KR102409696B1 -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96B1
KR102409696B1 KR1020150137775A KR20150137775A KR102409696B1 KR 102409696 B1 KR102409696 B1 KR 102409696B1 KR 1020150137775 A KR1020150137775 A KR 1020150137775A KR 20150137775 A KR20150137775 A KR 20150137775A KR 102409696 B1 KR102409696 B1 KR 10240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fine dust
performance prediction
performanc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8422A (en
Inventor
이병혁
김태현
신예숙
김종철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96B1/en
Publication of KR2017003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는, 공기청정기의 성능 예측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변수값의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성능 예측부; 및 상기 성능 예측부에 의한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is disclosed. The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variable valu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 performance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nder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diction result by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Description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본 출원은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공기청정기의 평형은 실내 청정기 규격(예를 들어, 한국공기청정협회 규격 SPS-KACA002-132)에 규정된 조건하에서 분진 청정화 능력을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general,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to indicate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dust purifying ability under the conditions stipulated in the indoor purifier standards (eg, the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standard SPS-KACA002-132).

그러나, 공기청정기의 평형은 실험 환경에서 이론적으로 산출한 성능에 불과한 것으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각 가정의 실제 환경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성능은 크게 달라지게 된다.However,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is only a performance theoretically calculated 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actual environment of each home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제 환경을 고려하여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art,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more accurately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는, 공기청정기의 성능 예측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변수값의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성능 예측부; 및 상기 성능 예측부에 의한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variable valu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 performance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nder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diction result by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cidentall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and effects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제 환경을 고려하여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도 1은 실내 공기의 먼지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결과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factors affecting the dust concentration of indoor air.
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실내 공기의 먼지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factors affecting the dust concentration of indoor ai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변화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change may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우선, 미세먼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①은 실내에서 활동, 요리 등으로 인해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것(Generation)을 나타내며, 이에 의한 미세먼지 발생률을 Sin(μg/m3·hr-1)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②는 실외에서 실내로 미세먼지가 유입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크게 실외에서 실내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비율(Penetration, P) 및 자연적 환기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비율(Infiltration, Λa (hr-1))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a factor that increases fine dust, ① indicates generation of fine dust due to indoor activities and cooking, and S in (μg/m 3 hr -1 ) can be displayed as Also, ② indicates the inflow of fine dust from the outdoors into the room, which is largely the rate of fine dust inflow from the outdoors to the room (Penetration, P) and the rate at which fine dust moves from the outdoors to the room due to natural ventilation (Infiltration). , Λ a (hr -1 )).

한편, 미세먼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③은 자연적 환기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비율(Exfiltration, Λa (hr-1))을 나타내고, ④는 실내의 미세먼지가 중력, 정전기력 등에 의해 벽 또는 바닥으로 제거되는 비율(Deposition, Λd (hr-1))을 나타내며, ⑤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으로 인한 미세먼지 제거율(Air Purifier Removal Rate, ΛAP (hr-1))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as factors that reduce fine dust, ③ represents the rate at which fine dust moves from indoors to outdoors due to natural ventilation (Exfiltration, Λ a (hr -1 )), and ④ indicates that indoor fine dust is caused by gravity and electrostatic force. Indicates the rate (Deposition, Λ d (hr -1 )) removed to the wall or floor by .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내면 수학식 1과 같다.
In consideration of these various factor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change is expressed as Equation 1.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1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1

여기서, V는 실내의 체적, Cin은 실내 미세먼지 농도, Sin는 실내 미세먼지 발생률, Λa는 자연적 환기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실내 및 실외 사이에서 이동하는 비율, P는 실외에서 실내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비율, Cout은 실외 미세먼지 농도, Λd는 벽 또는 바닥으로 제거되는 비율, ΛAP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으로 인한 미세먼지 제거율을 나타낸다.where V is the volume of the room, C in i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S in is the indoor fine dust generation rate, Λ a is the rate at which fine dust moves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due to natural ventilation, and P is the fine dust from outdoors to indoors. The rate of inflow of dust, C out is the outdoor fine dust concentration, Λ d is the wall or floor removal rate, and Λ AP is the fine dust removal rat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여기서, 자연적 환기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실내 및 실외 사이에서 이동하는 비율(Infiltration/Exfiltration, Λa (hr-1))은 실내의 CO2 농도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2 및 3에 CO2 농도를 적용하여 환기율 λ (hr-1)를 계산한 후 이를 Λa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Ci (t)는 시간에 따른 CO2 농도를 나타내고, C0은 초기 CO2 농도를 나타낸다.Here, the rate at which fine dust moves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due to natural ventilation (Infiltration/Exfiltration, Λ a (hr -1 ))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indoor CO 2 concentration. For example, after calculating the ventilation rate λ (hr -1 ) by applying the CO 2 concentration to Equations 2 and 3, it can be used as Λ a . Here, C i (t) represents the CO 2 concentration with time, and C 0 represents the initial CO 2 concentration.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2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2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3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3

상술한 수학식 1에서 활동, 요리 등으로 인한 미세먼지 발생을 고려하지 않고 Sin 항목을 제거한 후 Cin(t) 형태로 정리하면 수학식 4와 같다.In Equation 1 described above, without consider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due to activities, cooking, etc., after removing the S in item, it is summarized in Equation 4 in the form of C in (t).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4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4

여기서, 공기청정기의 작동으로 인한 미세먼지 제거율 ΛAP (hr-1)은 수학식 5와 같다.Here, the fine dust removal rate Λ AP (hr -1 )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is as in Equation 5.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5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5

여기서, CADR은 공기 청정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챔버 테스트 결과에서 도출되는 값이다.Here, CADR is a value derived from the chamber test result indicating the air cleaning ability.

또한, P, Λd는 관련 문헌(예를 들어, Chen et al., Atmos. Environ., 2011, Long et al., Environ. Sci. Tech., 2001, Thatcher, Atmos. Environ., 1995)에서 제시된 값을 적용할 수 있고, V 등의 설치 환경에 따라 고정된 값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P, Λ d in related literature (eg, Chen et al., Atmos. Environ., 2011, Long et al., Environ. Sci. Tech., 2001, Thatcher, Atmos. Environ., 1995) The suggested value can be applied, and a fixed valu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such as V can be input from the user.

상술한 수학식 4에 따라 시간 변화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계산될 수 있으며, 이를 공기청정기의 성능(즉, 미세먼지 제거 성능)으로 평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4 described above,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change may be calculated, and this may be evaluated as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ie, fine dust removal performance).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실내에 활동, 요리 등에 의한 추가적인 오염원이 존재하지 않고, 창문 또는 공조시설 등을 통해 지속적인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공기청정기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정확도 높게 예측할 수 있다.
Howeve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s described above assumes that there are no additional pollutants indoors due to activities or cooking, and that continuous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through windows or air conditioning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fine dust removal performance of an air purifi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100)는 입력부(110), 성능 예측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 a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 and an output unit 130 .

입력부(110)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을 위한 상수 및 변수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 입력장치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10 is for receiving constants and variables for predicting air purifier performance.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type or touch-type input device to receive data from a user, or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data from another device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를 통해 실내 또는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 공기청정기 사용 유무, 공기청정기의 평형,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변수값을 입력받거나, 변수 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를 통해 성능 예측부(120)에 의한 성능 예측을 위해 필요한 상수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variable valu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indoor or outdoor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whether or not an air purifier is used,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and the area of the application space of the air purifier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Variable types can be selected. In addition, a constant value necessary for performance prediction by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

성능 예측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변수값 또는 선택된 변수 종류에 대해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여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성능 예측부(12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is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by predicting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for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or the selected variable type. For example,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is a processor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can be implemen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능 예측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변수값을 기초로 해당 조건에서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성능 예측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변수 종류에 대해 복수의 조건하에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를 각각 산출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may calculate a change i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in a corresponding condition based on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may calculate the change i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under a plurality of conditions for the type of variabl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 , respectively.

여기서, 성능 예측부(120)는 상술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변수 이외의 값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Here,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may predict a change i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sing Equation 4 described above. Also, a value other than the variabl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

출력부(130)는 성능 예측부(120)에 의한 예측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입력된 조건에서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테이블, 그래프(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그래프 등) 등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복수의 조건하에서 각각 예측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e 참조).
The output unit 130 is to output the prediction result by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20 and provide it to the user, for example, a table or graph (for example, 3A to 3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each predicted time under a plurality of conditions (see, for example, FIGS. 3A to 3E ).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결과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A to 3E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a는 공기청정기 사용 유무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청정기의 평형은 15평형, 실내 및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는 100μg/m3,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은 15형인 경우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어, 30μg/m3) 이하로 떨어지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공기청정기 사용시에는 대략 19분, 공기청정기 미사용시에는 대략 130분 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다.
Specifically, FIG. 3A shows the change i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air purifier is used or not,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is 15 pyeong, the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indoors and outdoors is 100 μg/m 3 , and the space of the air purifier is applied. The area represent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in case of type 15. It can be seen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o fall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eg, 30 μg/m 3 ) takes about 19 minutes when the air purifier is used and about 130 minutes when the air purifier is not used.

또한, 도 3b는 공기청정기의 평형(즉, 제품군)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내 및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는 100μg/m3,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은 15형인 경우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어, 30μg/m3) 이하로 떨어지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25평형 공기청정기 사용시에는 대략 12분, 20평형 공기청정기 사용시에는 대략 15분, 15평형 공기청정기 사용시에는 대략 19분, 10평형 공기청정기 사용시에는 대략 27분, 그리고 5평형 공기청정기 사용시에는 대략 44분 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FIG. 3B show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equilibrium (that is, product group) of the air purifier, the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indoors and outdoors is 100 μg/m 3 , and the area of the application space of the air purifier is 15 type It show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The time required fo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o fall below the preset reference value (eg, 30μg/m 3 ) is approximately 12 minutes when using a 25 pyeong air purifier, 15 minutes when using a 20 pyeong air purifier, and 15 pyeong air purifier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about 19 minutes when using, about 27 minutes when using a 10-pyeong air purifier, and about 44 minutes when using a 5-square-meter air purifier.

또한, 도 3c는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청정기의 평형은 15평형, 그리고 실내 및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는 100μg/m3인 경우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어, 30μg/m3) 이하로 떨어지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적용 공간의 면적이 40평인 경우 대략 40분, 30평인 경우 대략 33분, 20평인 경우 대략 24분, 15평인 경우 대략 19분, 10평인 경우 대략 13분, 그리고 5평인 경우 대략 7분 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FIG. 3C shows the change i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application space of the air purifier, when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is 15 pyeong, and the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indoors and outdoors is 100 μg/m 3 It show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o fall below the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30μg/m 3 ) is approximately 40 minutes if the area of the applied space is 40 pyeong, approximately 33 minutes in the case of 30 pyeong, and approximately 24 minutes in the case of 20 pyeong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about 19 minutes for 15 pyeong, about 13 minutes for 10 pyeong, and about 7 minutes for 5 pyeong.

또한, 도 3d는 실내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청정기의 평형은 15평형,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는 100μg/m3,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은 15형인 경우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어, 30μg/m3) 이하로 떨어지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실내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가 500μg/m3인 경우 대략 42분, 400μg/m3인 경우 대략 39분, 300μg/m3인 경우 대략 35분, 200μg/m3인 경우 대략 29분, 그리고 100μg/m3인 경우 대략 19분 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FIG. 3D show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indoor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is 15 pyeong, the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outdoors is 100 μg/m 3 , and the area of the application space of the air purifier i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ime in the case of type 15. The time required fo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o fall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30μg/m 3 ) is approximately 42 minutes when the initial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is 500 μg/m 3 and approximately 400 μg/m 3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39 minutes, about 35 minutes for 300 μg/m 3 , about 29 minutes for 200 μg/m 3 , and about 19 minutes for 100 μg/m 3 .

마지막으로, 도 3e는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청정기의 평형은 15평형, 실내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는 100μg/m3,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은 15형인 경우의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어, 30μg/m3) 이하로 떨어지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가 500μg/m3인 경우 대략 52분, 400μg/m3인 경우 대략 33분, 300μg/m3인 경우 대략 26분, 200μg/m3인 경우 대략 22분, 그리고 100μg/m3인 경우 대략 19분 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다.
Finally, Figure 3e shows the change in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initial outdoor fine dust concentration . The area represent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in case of type 15. The time required fo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to fall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30μg/m 3 ) is approximately 52 minutes when the initial outdoor fine dust concentration is 500 μg/m 3 , and about 400 μg/m 3 It can be seen that it takes 33 minutes, approximately 26 minutes in the case of 300 μg/m 3 , approximately 22 minutes in the case of 200 μg/m 3 , and approximately 19 minutes in the case of 100 μg/m 3 .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건하에서 각각 예측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면, 해당 변수값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성능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A to 3E , whe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predicted time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under a plurality of conditions, a change in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variable value can be grasped at a glanc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110: 입력부
120: 성능예측부
130: 출력부
100: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110: input unit
120: performance prediction unit
130: output unit

Claims (8)

공기청정기의 성능 예측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변수값의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성능 예측부; 및
상기 성능 예측부에 의한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variable valu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 performance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nder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rediction result by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값은 실내 또는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 공기청정기 사용 유무, 공기청정기의 평형,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value is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includ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indoor or outdoor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whether or not an air purifier is used,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and an area of an application space of the air pur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예측부는 다음의 수학식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6

에 따라 상기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며,
Cin(t)는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Λa는 자연적 환기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실내 및 실외 사이에서 이동하는 비율, P는 실외에서 실내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비율, Cout은 실외 미세먼지 농도, Λd는 벽 또는 바닥으로 제거되는 비율, ΛAP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으로 인한 미세먼지 제거율을 나타내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6

predict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time,
C in (t) i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Λ a is the rate of movement of fine dust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due to natural ventilation, P is the rate of inflow of fine dust from the outdoors into the room, and C out is the outdoor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that indicat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Λ d is the rate of removal by walls or floors, and Λ AP is the rate of removal of fine dust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테이블 또는 그래프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unit is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for displaying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 the form of a table or graph.
공기청정기의 성능 예측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종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변수 종류에 대해 기 설정된 복수의 조건하에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각각 예측하는 성능 예측부; 및
상기 성능 예측부에 의한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types of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 performance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under a plurality of preset conditions for the variable typ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rediction result by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 종류는 실내 또는 실외의 초기 미세먼지 농도, 공기청정기 사용 유무, 공기청정기의 평형, 공기청정기의 적용 공간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ariable type is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including any one of indoor or outdoor initial fine dust concentration, whether or not to use an air purifier, the equilibrium of the air purifier, and an area of an application space of the air purifi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예측부는 다음의 수학식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7

에 따라 상기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며,
Cin(t)는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Λa는 자연적 환기로 인하여 미세먼지가 실내 및 실외 사이에서 이동하는 비율, P는 실외에서 실내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비율, Cout은 실외 미세먼지 농도, Λd는 벽 또는 바닥으로 제거되는 비율, ΛAP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으로 인한 미세먼지 제거율을 나타내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erformance prediction uni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5094639214-pat00007

predict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time,
C in (t) is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over time, Λ a is the rate of movement of fine dust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due to natural ventilation, P is the rate of inflow of fine dust from the outdoors into the room, and C out is the outdoor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that indicat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Λ d is the rate of removal by walls or floors, and Λ AP is the rate of removal of fine dust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조건하에서 각각 예측된 시간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동시에 테이블 또는 그래프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공기청정기 성능 예측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put unit is an air purifier performance prediction devic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dicted time under the plurality of conditions in the form of a table or a graph.
KR1020150137775A 2015-09-30 2015-09-30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KR102409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75A KR102409696B1 (en) 2015-09-30 2015-09-30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775A KR102409696B1 (en) 2015-09-30 2015-09-30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422A KR20170038422A (en) 2017-04-07
KR102409696B1 true KR102409696B1 (en) 2022-06-17

Family

ID=5858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775A KR102409696B1 (en) 2015-09-30 2015-09-30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3263B (en) * 2020-10-13 2023-07-2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Filter screen life prediction method and cabinet with filter screen life prediction function
KR102507614B1 (en) 2021-06-14 2023-03-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fine dust density using Machine Learn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043A1 (en) 2011-02-28 2012-09-07 興研株式会社 Air cleaner and method for predicting breakthrough time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6587B2 (en) * 1997-06-20 2002-04-22 三宝電機株式会社 Clean room air clean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pparatus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KR100602697B1 (en) * 2004-08-25 200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1147430B1 (en) * 2012-01-05 2012-05-22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A biopile remediation system for contaminated soil,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046675A (en) * 2012-10-10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8043A1 (en) 2011-02-28 2012-09-07 興研株式会社 Air cleaner and method for predicting breakthrough time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422A (en)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204B2 (e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as well as analysis servers
Novoselac et al. Impact of placement of portable air cleaning devices in multizone residential environments
US10302325B1 (en) Air filter operation and use modification according to identify a filter resistance of an air handling unit
KR1005466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Clean Function in Air-Conditioning System
Batog et al. Dynamic of changes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bedrooms
Ansanay-Alex Estimating occupancy using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only in an office building: a method and qualitative assessment
US11002459B2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air treatment apparatuses
US11633687B2 (en) Air purifier
Noh et al. Variation of clean air delivery rate and effective air cleaning ratio of room air cleaning devices
KR102409696B1 (en) Apparatus of estimating performance of air cleaner
Mirza Mohammed Shah PhD New correlation for prediction of evaporation from occupied swimming pools
US10827893B2 (en) Dust processing
JP2016023887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JPWO2016021150A1 (en) Air quality monitoring devic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ir quality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WO2014050067A1 (en)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 device, and program
JP2015140962A (en) Ventilation air volume measuring system and ventilation air volume measuring method
JP6726884B2 (en) Pollution amount estimation system, pollution amount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CN105674359B (en) Smoke exhaust ventilator and it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Marshall et al. Studies of ventilation efficiency in a protective isolation room by the use of a scale model
KR102502947B1 (en) Air purifier and method of displaying efficiency thereof
KR10145005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ir washer
KR102333357B1 (en) Air cleaning system
KR20160074731A (en) Air purifier, system for controling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ing air purifier
JP2023176520A (en) Facility information system, facility information derivation method and facility information derivation program
JP6295402B2 (en) A habit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building vib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