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21B1 - dressing band - Google Patents

dressing b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21B1
KR102409621B1 KR1020220023439A KR20220023439A KR102409621B1 KR 102409621 B1 KR102409621 B1 KR 102409621B1 KR 1020220023439 A KR1020220023439 A KR 1020220023439A KR 20220023439 A KR20220023439 A KR 20220023439A KR 102409621 B1 KR102409621 B1 KR 10240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eeling
protective film
adhesive
dress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렉스
Priority to KR102022002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3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 A61F13/024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the application or handling support layer being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9Wound bandag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61F2013/0081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perforate or breakable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4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for tearing off dressing of desired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에 관한 것으로, 시트부와, 시트부의 하면에 도포되어 인체에 부착되는 점착부와, 점착부의 가장자리측 하면에 부착되고, 일측이 시트부의 일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박리부 및, 점착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측 상면이 박리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보호 필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ing band, comprising: a sheet part; an adhesive part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art and attached to the human body; , and a protective film par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Description

드레싱 밴드{dressing band}dressing band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부를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시트부에 부착되지 않고, 점착부가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드레싱 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ing 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essing band capable of ensuring hygiene and safety because contaminants do not adhere to the sheet portion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sheet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does not stick to the user's hand. .

일반적으로 드레싱 밴드는 가정이나 병원 등에서 상처 부위를 보호하거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dressing bands are used for protecting wounds or preventing infection at home or hospitals, and are us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이러한 드레싱 밴드는 사용자의 인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시트와, 시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거즈와, 시트의 점착제에 부착되어 거즈를 커버하는 보호 필름 등으로 구성되며, 보호 필름을 박리시킨 상태에서 점착제가 도포된 시트의 일면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다.Such a dressing band consists of a sheet with an adhesive applied to one side to be attached to the user's body, gauze tha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eet and closely adheres to the user's skin, and a protective film that is attached to the adhesive of the sheet to cover the gauze.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one side of the sheet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s attached to the user's skin.

그런데, 종래의 드레싱 밴드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경우 점착제에 묻은 오염 물질(세균, 이물질 증)이 상처에 전달되어 감염될 염려가 있었고, 시트와 보호 필름을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점착제가 손에 묻는 경우가 있어 비위생적이었다. 또한 시트와 보호 필름의 일측을 각각 파지한 후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시켜야 하지만, 시트와 보호 필름의 가장자리가 점착제에 의해 긴밀하게 부착되므로 시트와 보호 필름을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dressing band is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taminants (bacteria,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adhesive are transmitted to the wound and become infected, and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sheet and the protective film, the adhesive gets on the hands. In some cases, it was unsanitary. In addition, one side of the sheet and the protective film should be respectively gripped and separated in opposite directions, but since the edges of the sheet and the protective film are closely attached by an adhesive,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the sheet and the protective film.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638호(2013년 05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드레싱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2638 (May 03, 2013),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dressing band.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부를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시트부에 부착되지 않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점착부와 오염 물질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드레싱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essing band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because contaminants do not adhere to the sheet portion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sheet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fec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and contaminants do not stick to the user's hand. have.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면에 도포되어 인체에 부착되는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의 가장자리측 하면에 부착되고, 일측이 상기 시트부의 일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박리부 및,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측 상면이 상기 박리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보호 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를 상기 보호 필름부와 분리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상면과 상기 박리부의 하면이 함께 파지되어 상기 보호 필름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시트부를 인체에 부착시 상기 박리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portion, an adhesive portion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a peeling portion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adhesive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one side of the sheet portion and a protective film part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and having an edge-side upp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wherein when the sheet part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the edge-side upper surface of the sheet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are attached together It is gripped and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and the peeling part is separated when the sheet part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또한, 상기 박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일단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박리부측 절첩선 및, 상기 박리부측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기 박리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박리부의 하면으로 절첩시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호 필름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박리부측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eeling part-side fold line formed at one end of the peeling part and having a length parallel to an edge-side one end of the sheet part, and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eeling part based on the peeling part-side fold line,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sheet part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when folded.

또한, 상기 시트부에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나 이상이 폭방향을 따라 이격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를 폭방향으로 분할하는 절개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one or more are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line dividing the sheet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시트부는 길이방향이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박리부는 상기 시트부의 폭방향 일측에 편심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part may be wound in a roll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eeling part may be eccentrically locat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part.

또한, 상기 시트부와 상기 점착부와 상기 박리부는 상기 보호 필름부의 하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peel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portion.

본 발명은 시트부를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시트부에 부착되지 않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점착부와 오염 물질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시트부의 일측이 보호 필름부와 비접착 상태로 밀착되므로 시트부를 보호 필름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because contaminants do not adhere to the sheet portion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sheet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and contaminants do not stick to the user's hand, enabling hygienic use, and one side of the sheet portion is protected Since the film portion and the non-adhesive state are closely adhered, the sheet portion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protective film por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를 인체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와 박리부를 보호 필름부의 양면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에 거즈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에 거즈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를 롤 형상으로 권취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보조 파지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보조 파지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보조 파지부를 이용해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보조 파지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시트부를 인체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결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결합부를 이용해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2 is a plan view for show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5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tate of attaching the seat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uman body.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eet portion and the peeling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film portion.
8 is a plan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uze part is applied to the seat par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uze part is applied to the seat par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wound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ll shap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gripper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are separated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grip portion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are separated using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grip portion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are separated us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각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를 인체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측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2 is a plan view for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5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tate of attaching the seat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uman body.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와 박리부를 보호 필름부의 양면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에 거즈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시트부에 거즈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를 롤 형상으로 권취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보조 파지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보조 파지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And,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eet portion and the peeling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film portion. 8 is a plan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uze part is applied to the seat par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uze part is applied to the seat part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wound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ll shap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gripper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eet part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are separated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grip part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보조 파지부를 이용해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보조 파지부를 적용한 상태에서 시트부를 인체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결합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의 결합부를 이용해 시트부와 보호 필름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13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using the auxiliary grip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grip portion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applied to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heet portion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us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는 시트부(100)와, 점착부(200)와, 박리부(300) 및, 보호 필름부(400)를 포함한다.1 to 16 ,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part 100 , an adhesive part 200 , a peeling part 300 , and a protective film part 400 .

시트부(100)는 후술될 점착부(200)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피부 등, 10)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인체(10)에 밀착되어 환부(상처 등, 11)를 외부에서 커버하고, 별도의 포장부(미도시)의 수용공간 내에 밀봉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다.The sheet part 100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kin, etc.) by an adhesive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10 to cover the affected part (wounds, etc.) from the outside, It may be packaged in a sealed state in the receiving space of a separate packaging unit (not shown).

여기서, 시트부(100)는 하면에 인체(10)에 밀착되고, 인체(10)와 대응되는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으며, 부직포, 폴리우레탄(PU), 실리콘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eat par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10 on the lower surfac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certain area using a stretchable material so as to be deformable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10, nonwoven fabric, polyurethane (PU), A material such as silicon may be selectively used.

그리고, 시트부(100)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된 정사각, 직사각 패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시트부(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시트부(100)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홀(110)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100)를 직사각 패드 형상으로 적용하는 경우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을 후술될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portion 100 may have a square or rectangular pad shape in which four corners are formed along the edges, but the shape of the seat portion 1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and the seat portion 100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0 may be vertically penetrated so that air can communi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sheet part 100 is appli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d, one end of the sheet pa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시트부(100)에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나 이상이 폭방향을 따라 이격 위치되는 절개선(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선(120)은 도 1과 2에서처럼 시트부(100)를 폭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고, 절개선(120)에 의해 분할된 시트부(100)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된 직사각 패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분할된 다수의 시트부(100)에는 후술될 박리부(300)가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ut-off lines 120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cut line 120 may divide the sheet part 100 in the width direction as in FIGS. 1 and 2 , and the sheet part 100 divided by the cut line 120 has a rectangular pad shape with four sides formed along the edge. can have In this case, the peel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divided sheet parts 100 .

아울러, 시트부(100)는 도 10에서처럼 양측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이 롤 형상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후술될 박리부(300)는 시트부(100)의 폭방향 일측에 편심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시트부(100) 또는 후술될 보호 필름부(400) 방향으로 권취할 수 있고, 시트부(100)와 보호 필름부(400)는 길이방향이 별도의 권취롤(2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part 100 has a length on both sides as in FIG. 10 , and may be wound in a rol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eel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located eccentrically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part 100 . have. At this time, it may be wound in the direction of the sheet part 100 or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heet part 100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may be coupled to a separate winding roll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예를 들어, 절단 도구(가위 등)를 이용해 시트부(100)와 후술될 보호 필름부(400)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시트부(100)와 보호 필름부(400)의 길이, 폭, 형상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트부(100)와 보호 필름부(400)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For example, by using a cutting tool (scissors, etc.) to cut the sheet portion 100 and the protective film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user can adjust the desired length. That is, the length, width, shape, etc. of the sheet part 100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variously adjus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length of the sheet part 100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adjusted. It can be reduced for easy storage and portability.

점착부(200)는 시트부(100)를 사용자의 인체(10)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점착부(200)는 시트부(100)의 하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어 인체(10)에 부착되고, 인체(10)에 무해한 의료용 접착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부(200)는 시트부(100)의 전체영역에 도포될 수 있으나 점착부(200)가 도포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시트부(110)에 통기홀(110)을 형성시키기는 경우 점착부(200)에도 동일한 위치에 통기홀(110)이 관통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200 is for attaching the sheet part 100 to the user's body 10 , and the adhesive part 200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art 100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attached to the human body 10 , , a medical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10 can be selectively used. Here, the adhesive part 200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sheet part 100 , but the shape to which the adhesive part 200 is applied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and the vent hole 110 in the sheet part 110 . ), the vent hole 110 may be penetr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adhesive part 200 as well.

한편, 시트부(100)의 하면에는 인체(10)의 환부(11)와 밀착되는 거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즈부(30)는 환부(11)를 외부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천, 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거즈부(30)에는 환부 치료용 약품이 함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gauze portion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portion 11 of the human body 10 . The gauze part 30 may have a certain width and shape so as to cover the affected part 11 from the outside, and a cloth, cotton, etc. harmless to the human body may be used, and the gauze part 30 contains a drug for treating the affected part. can be

박리부(300)는 시트부(100)와 후술될 보호 필름부(400)를 분리시킬 때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점착부(200)의 가장자리측 하면에 부착되고, 일단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일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The peeling part 300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when separating the sheet part 100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adhesive part 200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and one end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edge-side end of the sheet part 100 .

여기서, 박리부(300)는 종이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된 사각 패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트부(100)의 일단을 파지시 손가락(엄지, 검지 등)이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를 갖는다.Here, the peeling unit 300 may use a material such as paper, may have a rectangular pad shape with four sides formed along the edge, and when a user grips one end of the sheet unit 100 with a finger (thumb, index finger, etc.) ) has a certain width so that it can be closely attached.

시트부(100)를 직사각형으로 적용하는 경우 박리부(300)가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편심 위치될 수 있고, 박리부(300)의 일측이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일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트부(100)의 길이방향 일단과 박리부(300)를 파지한 상태로 후술될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sheet part 100 is appli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peeling part 300 may be eccentrically locat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part 100 , and one side of the peeling part 300 i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part 100 .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In this case, the user can separat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part 100 and the peeling part 3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holding the peeling part 30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엄지, 검지 등)을 이용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일단을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이격시켜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할 수 있고, 손가락을 이용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상면과 박리부(300)의 하면을 양 방향에서 파지한 후 시트부(3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secure an interval for inserting a finger by separating one end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using a finger (thumb, index finger, etc.)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300 are gripped in both directions, the sheet part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즉,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 시트부(100)의 상면과 박리부(300)의 하면이 손가락과 접촉되므로, 시트부(10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점착부(200)에 오염 물질(세균, 이물질 등)이 부착되지 않고, 시트부(100)를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점착부(200)가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sheet part 100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part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300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nger, so that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heet part 100 , the adhesive part Contaminants (bacteria, foreign substances, etc.) are not attached to the 200 , and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sheet part 100 , the adhesive part 200 does not stick to the user's hand, so that it can be used hygienically.

보호 필름부(400)는 시트부(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점착부(200)의 하면을 외부에서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점착부(2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시트부(100)를 하방에서 커버하고, 시트부(100)를 인체(10)에 부착시 점착부(200)로부터 분리된다.The protective film part 400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heet part 100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200 from the outside,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200 to hold the sheet part 100 from below. cover, and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200 when the sheet part 100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10 .

여기서, 보호 필름부(400)는 투명한 비닐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나, 보호 필름부(400)의 색상, 소재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전술한 시트부(100)와 점착부(200)와 박리부(300)는 도 7에서처럼 보호 필름부(400)의 하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필름부(400)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시트부(100)가 부착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Here,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vinyl, but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and the above-described sheet part 100 and The adhesive part 200 and the peeling part 30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as shown in FIG. 7 . In this case, both surfaces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used, so that the area to which the sheet part 100 is attached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 밴드는 박리부(3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일단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박리부측 절첩선(310) 및, 박리부측 절첩선(310)을 기준으로 박리부(300)의 일단에 절첩 및 절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박리부(300)의 하면으로 절첩시 시트부(100)와 보호 필름부(400)의 사이에 위치되는 박리부측 파지부(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eeling unit 300 and has a length in parallel with one end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100. A peeling part side fold line 310 and a peeling part side fold line ( 31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eeling unit 300 in the folding and unfolding directions, and when fo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unit 300, between the sheet unit 100 and the protective film unit 400 It may further include a gripping part 320 on the side of the peeling part.

박리부측 절첩선(310)은 박리부측 파지부(320)이 회동되는 기준 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일단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고, 박리부측 절첩선(310)의 폭방향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일단과 마주한다. 즉 박리부측 절첩선(310)을 기준으로 이하 설명될 박리부측 파지부(320)이 절첩 방향과 절첩 해지 방향으로 회동된다.The peeling part-side fold line 310 forms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is rotated, has a length in parallel with one end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100 , and is the width of the peeling part-side fold line 310 . The direction faces the edge-side one end of the sheet part 100 . That is, based on the peeling part-side folding line 310 ,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to be described below is rotated in the folding direction and the folding releasing direction.

박리부측 파지부(320)는 박리부(300)를 시트부(1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일단이 박리부측 절첩선(310)을 기준으로 박리부(300)의 일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이 절첩 방향과 절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is for separating the peeling part 300 from the sheet part 100 , and on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is the peeling part 300 based on the peeling part-side fold line 310 .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e opposite free end is provided rotatably in the folding direction and the folding direction.

예를 들어,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킨 후, 박리부측 파지부(320)을 절첩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켜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을 시트부(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시트부(100)의 하부 또는 가장자리 방향으로 잡아당겨 박리부(300)를 시트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박리부(300)가 점착부(200)로부터 분리되므로 시트부(100)의 하부에 점착부(200)를 전체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separating the sheet part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is rotated in the folding release direction so that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is separated from the sheet part 100 . ), and the user pulls the peeling part 300 in the lower or edge direction of the sheet part 100 while holding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by hand to remove the peeling part 300 from the sheet part 100.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At this time, since the peeling part 300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200 , the adhesive part 200 may be entirely exposed under the sheet part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 밴드는 도 11 내지 14에서처럼 박리부측 절첩선(310)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도록 박리부(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보조 절첩선(330)과, 제1보조 절첩선(330)을 기준으로 박리부(300)의 일단에 부착 방향 및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부착 방향으로 절첩시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일단을 감싸는 상태로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상면에 밀착되는 보조 파지부(340) 및, 보조 파지부(340)의 하면에 도포되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상면에 부착되는 보조 점착부(의료용 접착제 등, 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uxiliary fold line 330 formed on one side of the peeling part 300 to have a length in parallel with the peeling part side fold line 310 as in FIGS. Based on the first auxiliary fold line 330 ,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eeling unit 300 to be rotatably connect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and when fold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the sheet in a state of surrounding one end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unit 100 Auxiliary gripping part 34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part 100, and an auxiliary adhesive part (medical adhesive, etc.)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gripping part 340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100; 500) may be included.

제1보조 절첩선(330)은 박리부측 절첩선(310)과 반대되는 박리부(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보조 절첩선(330)은 박리부측 절첩선(310)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고, 보조 파지부(340)가 부착 방향과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기준 선을 형성한다.The first auxiliary fold line 33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eeling part 300 opposite to the peeling part side fold line 310 , and the first auxiliary fold line 330 is parallel to the peeling part side fold line 310 . It has a length, and forms a reference line so that the auxiliary gripper 340 is rotat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보조 파지부(340)는 시트부(100)의 일단을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조 파지부(340)의 일단이 제1보조 절첩선(330)을 기준으로 박리부(300)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이 부착 방향과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auxiliary gripping part 340 is for separating one end of the sheet part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gripping part 340 is a peeling part ( 30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pposite free e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여기서, 보조 파지부(340)의 하면은 후술될 보조 점착부(500)에 의해 시트부(100)의 가장자리측 상면에 부착되고, 제1보조 절첩선(330)이 형성된 박리부(300)의 일단과 보조 파지부(340)의 연결 부위가 시트부(340)의 가장자리측 일단을 측부에서 감싼다. 이때 보조 파지부(340)와 박리부(300)가 시트부(10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위치된다.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lding part 34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100 by an auxiliary adhesive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eeling part 300 on which the first auxiliary fold line 330 is forme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auxiliary gripping unit 340 surrounds the edge-side one end of the seat unit 340 from the side. In this case, the auxiliary gripping part 340 and the peeling part 300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eet part 100 .

예를 들어,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도 13에서처럼 보조 파지부(340)의 자유단을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켜 시트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파지부(340)와 시트부(100)의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된다.For example, when separating the sheet portion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ortion 400, the free end of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340 is rotated in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3 to separate i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100. have. At this time, a gap for inserting a finger is secured between the auxiliary gripping unit 340 and the seat unit 100 .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 파지부(340)의 자유단을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시트부(100)의 상부로 잡아당겨 시트부(100)의 일단을 보호 필름부(4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킨 후 박리부측 파지부(320)을 절첩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켜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을 시트부(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grips the free end of the auxiliary gripping part 340 with a finger and then pulls it to the upper part of the sheet part 100 to separate one end of the sheet part 10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After separating the sheet part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the release part-side gripping part 320 is rotated in the folding release direction to separate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from the sheet part 100 . can be separated.

이후, 사용자는 도 14에서처럼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시트부(100)의 하부 또는 가장자리 방향으로 잡아당겨 박리부(300)를 시트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박리부(300)가 점착부(200)로부터 분리되므로 시트부(100)의 하부에 점착부(200)를 전체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4 , the user pulls the peeling part 300 toward the lower or edge of the sheet part 100 while holding the free end of the gripping part 320 on the peeling part side by hand.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At this time, since the peeling part 300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200 , the adhesive part 200 may be entirely exposed under the sheet part 1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 밴드는 도 11 내지 14에서처럼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을 따라 형성되는 필름부측 절첩선(410) 및, 필름부측 절첩선(410)을 기준으로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필름부측 파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film portion side fold line 410 and the film portion side fold line 410 formed along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portion 400 as shown in FIGS. 11 to 14 . It may include a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lm part 400 .

필름부측 절첩선(410)은 박리부(300)가 위치된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에 형성되고, 필름부측 파지부(420)가 상부와 하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기준 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필름부측 절첩선(410)은 전술한 박리부측 절첩선(310)과 나란하게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film part-side fold line 4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on which the peeling part 300 is located, and forms a reference line so that the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can rotate upward and downward. Here, the film part-side fold line 410 may have a length parallel to the peeling part-side fold line 310 described above.

필름부측 파지부(420)는 시트부(100)를 분리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필름부측 파지부(420)의 일단이 필름부측 절첩선(410)을 기준으로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필름부측 파지부(42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시트부(100)의 일측보다 외곽으로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The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is a part for the user to grip with a finger when the sheet part 100 is separated, and one end of the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is a protective film part ( 40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pposite free e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may protrude longer than one side of the sheet part 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with a finger.

예를 들어,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도 12에서처럼 필름부측 파지부(420)의 자유단을 하부로 회동시켜 시트부(100)의 하부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12와 13에서처럼 필름부측 파지부(420)의 자유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시트부(100)의 하방으로 잡아당겨 보호 필름부(400)를 시트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heet part 100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he free end of the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is rotated downward as shown in FIG. 1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sheet part 100. . Thereafter, the user pulls the protective film 40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100 by pulling the sheet portion 100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film portion-side gripping portion 420 is gripped by hand, as in FIGS. 12 and 13 . can be separated sequentially.

즉, 필름부측 파지부(420)가 보호 필름부(400)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돌출되므로, 보호 필름부(4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을 시트부(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어 시트부(100)와 보호 필름부(4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lm part-side gripping part 420 rotatably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easily gripped, and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is attached to the sheet part. It can be pu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100), so that the sheet part 100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can be easily separ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 밴드는 도 15와 16에서처럼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박리부측 절첩선(310)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제2보조 절첩선(350) 및, 제2보조 절첩선(350)을 기준으로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에 부착 방향 및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부착 방향으로 절첩시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 필름부(400)의 가장자리측 하면에 밀착되는 결합부(360) 및, 결합부(360)의 하면에 도포되어 보호 필름부(4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보조 점착부(의료용 접착제 등, 60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d has a second auxiliary folding line ( 350) and, based on the second auxiliary fold line 3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and when fold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A coupling part 36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in a state of enclosing one end of (medical adhesive, etc., 600).

제2보조 절첩선(350)은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박리부측 절첩선(310)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고, 결합부(360)가 부착 방향과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기준 선을 형성한다.The second auxiliary fold line 350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 and has a length parallel to the peeling part-side folding line 310 , and the coupling part 360 moves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A reference line is formed so that it rotates to

결합부(360)는 시트부(100)의 일단을 보호 필름부(4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360)의 일단이 제2보조 절첩선(350)을 기준으로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되는 자유단이 부착 방향과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coupling part 360 is for fixing one end of the sheet part 100 to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360 is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 3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ee end, and the opposite free e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여기서, 결합부(360)의 하면은 보조 점착부(600)에 의해 보호 필름부(400)의 가장자리측 하면에 부착되고, 제2보조 절첩선(350)이 형성된 발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과 결합부(360)의 연결 부위가 보호 필름부(400)의 일단을 외측에서 감싼다. 이때 결합부(360)와 박리부측 파지부(320)가 보호 필름부(40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위치된다.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6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by the auxiliary adhesive part 600 , and the second auxiliary fold line 350 is formed on the Bali part side grip part 320 .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ee end and the coupling portion 360 surrounds one end of the protective film portion 400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360 and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예를 들어,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도 16에서처럼 결합부(360)의 자유단을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켜 보호 필름부(400)의 하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부(360)와 보호 필름부(400)의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된다.For example, when the sheet part 100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art 360 is rotated in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to separate i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have. At this time, a gap for inserting a finger is secured between the coupling part 360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합부(360)의 자유단을 손가락으로 파지지한 후 상부로 회동시켜 보호 필름부(400)의 상부로 잡아당기는 경우, 시트부(100)가 보호 필름부(400)의 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며,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분리시킨 후 박리부측 파지부(320)을 절첩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켜 파지부(320)의 자유단을 시트부(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holds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art 360 with a finger and then rotates it upward to pull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to the upper part, the sheet part 100 is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is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nd after separating the sheet part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100) can be separated.

이후, 사용자는 박리부측 파지부(320)의 자유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시트부(10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잡아당겨 박리부(300)를 시트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박리부(300)가 점착부(200)로부터 분리되므로 시트부(100)의 하부에 점착부(200)를 전체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may sequentially separate the peeling part 30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art 100 by pulling the peeling part 300 toward the edge of the sheet part 100 while holding the free end of the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320 by hand. can At this time, since the peeling part 300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200 , the adhesive part 200 may be entirely exposed under the sheet part 100 .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시트부(100)를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시트부(100)에 부착되지 않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점착부(200)와 오염 물질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시트부(100)의 일측이 보호 필름부(400)와 비접착 상태로 밀착되므로 시트부(100)를 보호 필름부(400)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because contaminants are not attached to the sheet unit 100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sheet unit 100, and the adhesive unit 200 and contaminants do not stick to the user's hand. Since one side of the sheet par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in a non-adhesive state, it is possible to easily peel the sheet part 100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400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밴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dress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far, it is apparent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veyed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인체 11: 환부
20: 권취롤 30: 거즈부
100: 시트부 110: 통기홀
120: 절개선 200: 점착부
300: 박리부 310: 박리부측 절첩선
320: 박리부측 파지부 330: 제1보조 절첩선
340: 보조 파지부 350: 제2보조 절첩선
360: 결합부 400: 보호 필름부
410: 필름부측 절첩선 420: 필름부측 파지부
500: 보조 점착부 600: 보조 점착부
10: human body 11: affected part
20: winding roll 30: gauze part
100: seat portion 110: ventilation hole
120: incision line 200: adhesive part
300: peeling part 310: peeling part side fold line
320: peeling portion side grip portion 330: first auxiliary fold line
340: auxiliary grip part 350: second auxiliary fold line
360: coupling unit 400: protective film unit
410: film part side fold line 420: film part side grip part
500: auxiliary adhesive part 600: auxiliary adhesive part

Claims (5)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하면에 도포되어 인체에 부착되는 점착부;
상기 점착부의 가장자리측 하면에 부착되고, 일측이 상기 시트부의 일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박리부; 및
상기 점착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가장자리측 상면이 상기 박리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보호 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를 상기 보호 필름부와 분리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상면과 상기 박리부의 하면이 함께 파지되어 상기 보호 필름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시트부를 인체에 부착시 상기 박리부가 상기 점착부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박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일단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박리부측 절첩선 및,
상기 박리부측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기 박리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박리부의 하면으로 절첩시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호 필름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박리부측 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리부측 절첩선과 나란하게 길이를 갖도록 상기 박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보조 절첩선과, 상기 제1보조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기 박리부의 일단에 부착 방향 및 부착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부착 방향으로 절첩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일단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상면에 밀착되는 보조 파지부 및, 상기 보조 파지부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시트부의 가장자리측 상면에 부착되는 보조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
sheet part;
an adhesive portion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and attached to the human body;
a peeling par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adhesive part and having one sid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one side of the sheet part; and
and a protective film par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When the sheet part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are gripped together to be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film part, and when the sheet part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the peel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art,
a peeling part-side fold line formed at one end of the peeling part and having a length in parallel with an edge-side end of the sheet part;
It further comprises a peeling part-side gripp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eeling part based on the peeling part-side fold line, and positioned between the sheet part and the protective film part when fo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eling part,
A first auxiliary fold line formed on one side of the peeling part so as to have a length parallel to the peeling part side fold line, and one end of the peeling part based on the first auxiliary fold line are connected rotatably in the attachment direction and the attachment release direction, When folded in the attachment direction, the auxiliary gripp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ortion while wrapping one end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ortion, and the auxiliary adhesive portion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gripper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sheet portion. Dressing band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나 이상이 폭방향을 따라 이격 위치되어 상기 시트부를 폭방향으로 분할하는 절개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
According to claim 1,
Dressing band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sheet portion, and one or more are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urther include an incision for dividing the sheet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길이방향이 롤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박리부는 상기 시트부의 폭방향 일측에 편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
According to claim 1,
The sheet portion is wound in a roll 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ressing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eeling portion is located eccentrically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와 상기 점착부와 상기 박리부는 상기 보호 필름부의 하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
According to claim 1,
Dressing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et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peeling portion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portion.
KR1020220023439A 2022-02-23 2022-02-23 dressing band KR102409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9A KR102409621B1 (en) 2022-02-23 2022-02-23 dressing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9A KR102409621B1 (en) 2022-02-23 2022-02-23 dressing 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621B1 true KR102409621B1 (en) 2022-06-22

Family

ID=8221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39A KR102409621B1 (en) 2022-02-23 2022-02-23 dressing b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2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3029A (en) * 1987-09-25 1989-03-28 Sanshin Kagaku Kogyo Kk Acylating agent
KR20000075902A (en) * 1997-03-04 2000-12-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Medical adhesive bandage,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0404263Y1 (en) * 2005-09-21 2005-12-20 (주)영케미칼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20060066253A (en) * 2004-12-13 2006-06-1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Adhesive plaster set
KR101281353B1 (en) * 2012-11-28 2013-07-02 박지혜 Dressing patch for medic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160003188U (en) * 2015-03-10 2016-09-22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High transparency ultra thin band aid
KR20170003918U (en) * 2016-05-10 2017-11-21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Band ai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3029A (en) * 1987-09-25 1989-03-28 Sanshin Kagaku Kogyo Kk Acylating agent
KR20000075902A (en) * 1997-03-04 2000-12-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Medical adhesive bandage,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060066253A (en) * 2004-12-13 2006-06-1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Adhesive plaster set
KR200404263Y1 (en) * 2005-09-21 2005-12-20 (주)영케미칼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101281353B1 (en) * 2012-11-28 2013-07-02 박지혜 Dressing patch for medic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160003188U (en) * 2015-03-10 2016-09-22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High transparency ultra thin band aid
KR20170003918U (en) * 2016-05-10 2017-11-21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Band ai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83029(1989.6.2.).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138Y1 (en) Band aid
US5643189A (en) Composite wound dressing including inversion means
US4614183A (en) Adhesive film dressing
US3955569A (en) Surgical drape
US3952738A (en) Folded surgical drape
WO2001002270A1 (en) Package for housing a self-adhesive bandage
KR20170000168A (en) Roll type medical band-aids
US20150257934A1 (en) Easy access bandages, packaging, and systems for application
KR200439156Y1 (en)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200404263Y1 (en) A easy sticking disposable medical band
KR102409621B1 (en) dressing band
KR200483881Y1 (en) High transparency ultra thin band aid
KR20090066415A (en) Flexible band aid for preventing scarring
US20230019451A1 (en) Dressing band
EP2477574B1 (en) Surgical drape or towel having an adhesive edge
KR20160002587U (en) Band Aid
JP2007126425A (en) Transdermal patch
KR20200000706U (en) First aid set
KR20130003864U (en) Disposable One-Touch medical band
KR200412669Y1 (en) a disposable medical band
KR101773341B1 (en) Multipurpose medical band
JP3246372U (en) Bandage for chapped fingertips
JP2007130314A (en) First-aid adhesive tape
KR200357036Y1 (en) Disposable sanitized band
KR200444430Y1 (en) A disposable medical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