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232B1 -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232B1
KR102409232B1 KR1020210081346A KR20210081346A KR102409232B1 KR 102409232 B1 KR102409232 B1 KR 102409232B1 KR 1020210081346 A KR1020210081346 A KR 1020210081346A KR 20210081346 A KR20210081346 A KR 20210081346A KR 102409232 B1 KR102409232 B1 KR 10240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cloth
support plate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앤현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앤현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앤현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21008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원이 확인되고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건물에 출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사용자 ID 카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식별 단말기; 및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를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상기 사용자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의 정당 권한 여부를 판독한 뒤 출입에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 한하여 출입을 승인하는 출입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implemented to allow access to a building only for users whose identity is confirmed and has legitimate authority, and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authorized to enter a building. a user terminal to store; a user ID card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there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the user is authorized to enter the party; a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by photographing an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D card approaches; and a database of users permitted to enter and store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obtain the right to access. and an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that reads whether or not and approves access only if the user has the right to access.

Description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SMART GATEWAY SECURITY SYSTEM}Smart Access Security System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원이 확인되고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건물에 출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implemented to allow access to a building only for users whose identity is confirmed and has legitimate rights.

종래의 출입통제 시스템은 주로 사용자의 토큰 또는 별도로 발급된 ID카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홍채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를 미리 시스템에 등록시키고 출입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미리 시스템에 등록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89121호("출입권한 관리 시스템 및 그 출입 인증방법", 공고일 2016.12.19.)가 있다.The conventional access control system mainly uses the user's token or a separately issued ID card, or regist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iris or fingerprint in advance in the system and register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enter the system in advance A method of deciding whether to enter or not was used compared to .) is ther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방식 중 토큰 또는 ID카드를 사용하는 방식은 토큰 또는 ID카드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토큰 또는 ID카드를 분실한 상황에서 토큰 또는 ID카드를 취득한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할 방법이 없었으며, 토큰 또는 ID카드의 재발급 및 재등록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Among the conventional methods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using a token or ID card requires a separate token or ID card, and there is no way to control the access of unauthorized persons who have acquired the token or ID card in a situation where the token or ID card is los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nconvenient to reissue and re-register tokens or ID cards.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68912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89121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신원이 확인되고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건물에 출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implemented to allow access to a building only for users whose identity is confirmed and has a legitimate authorit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사용자 ID 카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식별 단말기; 및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를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상기 사용자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의 정당 권한 여부를 판독한 뒤 출입에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 한하여 출입을 승인하는 출입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stor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or not a user is authorized to access a party; a user ID card having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there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the user is authorized to enter the party; a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by photographing an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D card approaches; and a database of users permitted to enter and store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obtain the right to access. and an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that reads whether or not and approves access only if the user has the right to acces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단말기는, 입력되는 식별 코드를 상기 출입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입력받아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달하는 촬영부; 및 사용자의 손 소독을 위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설치되는 손 소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comprises: a kiosk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input identification code to the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a display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to output a video image; I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and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D card approaches, an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is photographed, received and delivered to the kiosk terminal. wealth; and a hand sanitiz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for user hand disinf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 소독부는, 사용자가 내부 공간으로 손을 투입한 뒤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가르지르면서 이동하는 소독포를 이용하여 손을 닦을 수 있도록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형성되는 소독 하우징; 상기 소독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어 권취되어 있는 소독포를 권출시키면서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소독포 공급부; 상기 소독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 하우징을 통과하고 상기 소독 하우징의 하측으로 하강하는 소독포를 권취하는 소독포 회수부; 및 상기 소독 하우징과 상기 소독포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투입되는 소독포의 양면에 사용자의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소독액 도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 disinfection unit is a disinfec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wipe his or her hands using a disinfectant cloth that moves while crossing the inner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 into the inner space. housing; a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supplying the disinfection cloth to the disinfection housing while unwinding the wound disinfection cloth; a disinfectant cloth recovery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to wind the disinfectant cloth that passes through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desc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an antiseptic solution apply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disinfecting housing and the disinfecting cloth supply unit to spray and apply a disinfectant solution for disinfecting a user's hands on both sides of the disinfecting cloth injected into the disinfecting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독액 도포부는, 내부 공간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소독 하우징과 상기 소독포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소독포를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전달하는 밀폐 케이스; 상기 밀폐 케이스로 투입되는 소독포의 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소독포의 일면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제1 분사기; 상기 밀폐 케이스로 투입되는 소독포의 다른 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소독포의 다른 일면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제2 분사기; 및 상기 밀폐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소독 하우징에 배치된 소독포에 손을 닦는 동안 소독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소독포를 체결하는 소독포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infectant apply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disinfecting housing and the disinfecting cloth supply unit while forming a sealed inner space to prevent the disinfecting liquid sprayed from the inner spac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inside a sealed case for transferring the disinfectant cloth introduced into the space to the disinfection housing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 first spray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case while facing one surface of the disinfectant cloth that is put into the closed case to spray and apply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one surface of the disinfectant cloth; a second spray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case while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ing cloth injected into the sealed case to spray and apply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ing cloth; and a disinfectant cloth fastening par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to fasten the disinfectant cloth to prevent the disinfection cloth from moving while the user wipes his or her hand on the disinfectant cloth disposed in the disinfection hous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독포 체결부는, 상기 밀폐 케이스로부터 소독포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밀폐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소독포의 일면과 대향하면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 및 소독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향하면서 상기 밀폐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손을 투입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독포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밀착시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함께 소독포를 체결하는 체결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infection cloth fastening unit, a fixing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ing case opposite to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disinfection cloth is discharged from the closed case; a support plate disposed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disinfectant cloth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a plate support part installed along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and the disinfectant cloth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while facing the support plate with the disinfectant cloth therebetween, and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 into the disinfection housing,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o bring the disinfectant cloth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the support. It may include; a fastening cylinder for fastening the disinfectant cloth together with the pl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te support portion, the first support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a first side bending frame formed by bending from one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one side forming a vertic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forming a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Forming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side bent fram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is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forms a vertical surface, and one side is differen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second side bending frame forming a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and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A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support between the support plates, and one side of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to face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 first side support frame in which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is pushed in the other one direction by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as the distance is reduced; and forming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an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to be slid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is connected to be slidably installed to support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other side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to face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second side support frame in which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is pushed and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decreases.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is connected to the upper sliding groov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so that the lower part is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 a support frame body on which a low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The upper side is bent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lower slid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upport frame. an upper support body inserted and installed in an upper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t least one first spring installed along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groove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upper support; at least one second spring install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liding groove to support the other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body; at least one or more third springs install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liding groove to support the other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upper supporter; a first leg gea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a second leg gea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re interlocked and installed, and as the first side bent frame moves in an up-down direction, it rotat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to support the suppor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gap support gear for moving the fram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bent frame is bent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one side of the first side forming a vertic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bending the first leg gear being formed. Bending frame body made of an upper inclined surface; a vertical support ba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he upper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 lower support groove formed under the bent frame body; and a vertical buffer spring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groove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on support b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기어는,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휠;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ap support gear may include a gear body installed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A first sliding guide groove formed in a disk shap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gear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rack gea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gear body and the first a first guide wheel seated in a second sliding guide groove facing the sliding guide groov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ck gear;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gear bod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ding guide groove to the rear end to prevent the gear body from being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rack gear and a third sliding guide groove extending and a second guide wheel seated in a fourth sliding guide groove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second rack gear while facing the third sliding guide groov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 또는 항시 소지하고 있는 ID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토큰이 필요하거나 지문 또는 홍채와 같은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필요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s access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a smart phone carried by the user or an ID card that the user always has, a separate token is required or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or ir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easily verifying the user's access without the need fo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손 소독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소독포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nd sanitizer of FIG. 1 .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disinfection cloth fastening part of FIG.
5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late support of FIG. 4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as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사용자 ID 카드(200), 사용자 식별 단말기(300) 및 출입 인증 서버(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 a user ID card 200 , a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300 , and an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400 . include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의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단말기의 표시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출력한다.The user terminal 100 stor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the user has access to a political party, and is stored i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when a request to output the identification code is input from the user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Output the identification code.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a desktop computer (PC), as well as a notebook (Notebook), smart phone (Smart Phone), tablet computer (Tablet PC), etc. It is a broad concept mean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that suppor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사용자 ID 카드(200)는,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인쇄되어 있다.The user ID card 200 is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the user is authorized to enter the party.

사용자 식별 단말기(3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ID 카드(200)가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사용자 ID 카드(200)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 받으며, 입력된 식별 코드를 네트워크(N)를 통해 출입 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300 is identified by photographing the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2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ID card 200 approaches. The code is received, and the inputted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N.

여기서,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network N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ptical ultrasound, or a combination thereof. BAN (Body Area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cellular communication,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 (Wireless Fidelity), and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r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are examples of wired communic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traverse multiple network topologies and distance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direct connectio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achieved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ow Power Wide Area Network) including LoRaWAN, NB-Fi, and RPMA. However, as for the network N,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 단말기(300)는, 키오스크 단말기(310), 표시부(320), 촬영부(330) 및 손 소독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300 may include a kiosk terminal 310 , a display unit 320 , a photographing unit 330 , and a hand sanitizer unit 340 .

키오스크 단말기(310)는, 촬영부(33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사용자 ID 카드(200)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전달받으며, 네트워크(N)를 통해 촬영부(330)로부터 전달되 식별 코드를 출입 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The kiosk terminal 3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200 from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0 through the network N )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400 .

표시부(320)는, 키오스크 단말기(3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영상 이미지를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32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310 to output a video image.

촬영부(330)는, 키오스크 단말기(3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ID 카드(200)가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사용자 ID 카드(200)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입력받아 키오스크 단말기(310)로 전달한다.The photographing unit 33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310 and when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ID card 200 approaches, the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ID card 200 The printed identification code is photographed,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kiosk terminal 310 .

손 소독부(340)는, 사용자의 손 소독을 위해 키오스크 단말기(310)의 전단에 설치된다.The hand sanitizer 34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310 for user hand disinf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용자 식별 단말기(300)는, 자신이 설치된 건물 등으로 진입하는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식별 및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단말기로서의 역할에 더하여, 건물 등에 출입하는 사용자가 손을 소독할 수 있는 소독 장치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식별 단말기와 손 소독 장치 두 가지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의 지출을 줄일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role as a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for identifying and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reading whether or not a user entering the building in which it is installed is a legitimate user, the building, etc. By simultaneously providing a function as a disinfecting device for an entering and leaving user to disinfect their hands, it is possible to reduce expenses incurred by separately providing both the identification terminal and the hand disinfecting device.

출입 인증 서버(400)는,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를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식별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의 정당 권한 여부를 판독한 뒤 출입에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 한하여 출입을 승인한다.The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400 stores and stores the users allowed in access by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atabas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N). After comp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 it reads whether access is legitimate, and only the user with the right to access is approved for acces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10)은, 출입 인증 서버(400)로부터 출입이 승인된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한 출입 게이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access gate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allowing access of a user whose access is approved by the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400 .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10)은, 사용자가 항시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ID 카드(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토큰이 필요하거나 지문 또는 홍채와 같은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필요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할 수 있다.The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ses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ID card 200 always carried by the user to authenticate the user's access. Therefore, a separate token or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or iris is not required, and a user's access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도 2는 도 1의 손 소독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nd sanitizer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부(500)는, 소독 하우징(510), 소독포 공급부(520), 소독포 회수부(530) 및 소독액 도포부(5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hand sanitiz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infection housing 510 , a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 a disinfectant cloth recovery unit 530 , and a disinfectant solution application unit 540 .

소독 하우징(510)은, 사용자가 내부 공간으로 두 손(H1, H2)을 투입한 뒤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가르지르면서 이동하는 소독포(T)를 이용하여 손을 닦을 수 있도록 키오스크 단말기(310)의 전단에 형성된다.The disinfection housing 510 is a kiosk terminal ( 310) is formed at the front end.

이때, 소독 하우징(5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손(H1, H2)을 투입한 뒤 소독포(T)를 사이에 두고 두 손(H1, H2)을 소독포(T)에 밀착하여 비비는 형식으로 두 손(H1, H2)을 소독하기에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puts the two hands H1 and H2 in the disinfection cloth T, and then puts the two hands H1 and H2 in the disinfection cloth T with the disinfection cloth T therebetween. It should be formed with enough space to disinfect both hands (H1, H2) in a close rubbing format.

소독포 공급부(520)는, 소독 하우징(510)의 상측에 설치되어 권취(R1)되어 있는 소독포(T)를 권출시키면서 소독 하우징(510)으로 공급한다.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supplies the disinfectant housing 510 while unwinding the disinfecting cloth 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infecting housing 510 and wound (R1).

소독포 회수부(530)는, 소독 하우징(5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소독 하우징(510)을 통과하고 소독 하우징(510)의 하측으로 하강하는 소독포(T)를 권취(R2)한다.The disinfection cloth recovery unit 53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and passes through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and winds (R2) the disinfectant cloth T desc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

소독액 도포부(540)는, 소독 하우징(510)과 소독포 공급부(5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독 하우징(510)으로 투입되는 소독포(T)의 양면에 사용자의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킨 뒤 소독 하우징(510)으로 공급한다.The disinfectant application unit 54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and 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and sprays the disinfectant solution for disinfection of the user's hand on both sides of the disinfectant cloth T that is injected into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 After application, it is supplied to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

일 실시예에서, 소독액 도포부(540)는, 밀폐 케이스(541), 제1 분사기(542), 제2 분사기(543) 및 소독포 체결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infectant application unit 540 may include a sealed case 541 , a first sprayer 542 , a second sprayer 543 , and a disinfectant cloth fastening part 544 .

밀폐 케이스(541)는, 내부 공간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소독 하우징(510)과 소독포 공급부(5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소독포(T)를 하측에 설치되는 소독 하우징(510)으로 전달한다.The sealed case 541 is installed between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and 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while forming a sealed inner space to prevent the disinfectant solution sprayed from the inner spac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from the upper side. The disinfection cloth (T)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is transferred to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제1 분사기(542)는, 밀폐 케이스(541)로 투입되는 소독포(T)의 일면과 대향하면서 밀폐 케이스(541)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소독포(T)의 일면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킨다.The first sprayer 542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case 541 while facing one surface of the disinfecting cloth T that is put into the closed case 541 to spray the disinfectant solution on one surface of the disinfecting cloth T. and spread it.

제2 분사기(543)는, 밀폐 케이스(541)로 투입되는 소독포(T)의 다른 일면과 대향하면서 밀폐 케이스(541)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소독포(T)의 다른 일면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킨다.The second sprayer 543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case 541 while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ing cloth T that is put into the closed case 541 and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ing cloth T with the disinfectant solution. Apply by spraying.

소독포 체결부(544)는, 밀폐 케이스(541)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독 하우징(510)에 배치된 소독포(T)에 손을 닦는 동안 소독포(T)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소독포(T)를 체결한다.The disinfectant cloth fastening part 54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541 to prevent the disinfectant cloth T from moving while the user wipes his or her hand on the disinfectant cloth T disposed in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 Tighten (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손 소독부(500)는, 소독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동작 감지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 sanitizer 5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

이에 따라, 손 소독부(500)는, 소독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으로 사용자의 손(H1, H2)가 투입되면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H1, H2)의 투입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H1, H2)의 투입이 감지되면 소독포 공급부(520)와 소독포 회수부(530)를 구동시켜 소독포(T)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동 중인 소독포(T)에 소독액 도포부(540)를 이용하여 소독액을 도포시키게 되고, 소독액이 도포된 소독포(T)가 소독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뒤 사용자의 손 소독이 수행하기 충분한 시간(예를 들어, 1 분 내지 2 분 등) 동안 소독포 공급부(520), 소독포 회수부(530) 및 소독액 도포부(540)의 구동을 중단한다.Accordingly, the hand sanitizer 500 detects the input of the user's hands H1 and H2 u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when the user's hands H1 and H2 are pu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and , when the input of the user's hands (H1, H2) is detected, 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and the disinfection cloth recovery unit 530 are driven to move the disinfectant cloth (T) and at the same time apply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moving disinfectant cloth (T)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applied using the unit 540, and the disinfectant cloth (T) to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applie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For example, for 1 minute to 2 minutes, etc.), the operation of 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 the disinfectant cloth recovery unit 530 ,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application unit 540 is stopped.

그리고, 사용자의 손 소독이 수행하기 위한 시간이 종료되면 다시 소독포 공급부(520)와 소독포 회수부(530)를 다시 구동시켜 사용자의 손 소독이 수행된 소독 하우징(510)으로 노출되었던 소독포(T)를 소독 하우징(510)의 하측으로 배출한 뒤 소독포 회수부(530)를 이용하여 다시 권취하여 회수하게 된다.Then, when the time for user's hand disinfection is over, 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520 and the disinfection cloth recovery unit 530 are driven again to expose the disinfection cloth to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in which the user's hand disinfection is performed. After discharging (T) to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it is recovered by winding it up again using the disinfection cloth recovery unit 530.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소독포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disinfection cloth fastening part of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독포 체결부(544)는, 고정 플레이트(5441), 지지 플레이트(5442), 플레이트 지지부(5443) 및 체결 실린더(5444)를 포함한다.3 and 4 , the disinfectant cloth fastening unit 544 includes a fixing plate 5441 , a supporting plate 5442 , a plate supporting unit 5443 , and a fastening cylinder 5444 .

고정 플레이트(5441)는, 밀폐 케이스(541)로부터 소독포(T)가 배출되는 배출구(510a)와 대향하는 밀폐 케이스(541)의 하측에 설치되며, 전단을 따라 다수 개의 플레이트 지지부(5443)가 설치된다.The fixing plate 5441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541 opposite to the outlet 510a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cloth T is discharged from the sealed case 541, and a plurality of plate support parts 5443 are provided along the front end. is installed

지지 플레이트(5442)는, 고정 플레이트(5441)의 전단에서 플레이트 지지부(5443)에 의해 지지되어 소독포(T)의 일면과 대향하면서 설치된다.The support plate 5442 is supported by the plate support 5443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5441 and is installed while facing one surface of the disinfectant cloth (T).

플레이트 지지부(5443)는, 고정 플레이트(5441)와 지지 플레이트(5442)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5442)를 지지하여 플레이트 지지부(5443)와 체결 실린더(5444)에 의해 소독포(T)가 일정한 압력으로 체결되도록 한다.The plate support 5443 is installed along between the fixing plate 5441 and the support plate 5442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5442 so that the disinfectant cloth T is installed by the plate support 5443 and the fastening cylinder 5444 . Tighten with constant pressure.

체결 실린더(5444)는, 소독포(T)를 사이에 두고 지지 플레이트(5442)와 대향하면서 밀폐 케이스(541)의 하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소독 하우징(510)으로 손을 투입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5442)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독포(T)를 지지 플레이트(5442)에 밀착시켜 지지 플레이트(5442)와 함께 소독포(T)를 체결한다.The fastening cylinder 544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541 while facing the support plate 5442 with the disinfectant cloth 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hen the user puts his/her hand into the disinfection housing 51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b), the antiseptic cloth T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5442 to closely contact the support plate 5442 to fasten the disinfectant cloth T together with the support plate 5442 .

일 실시예에서, 체결 실린더(54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5442)와 대향하는 전단에 지지 플레이트(5442) 방향으로 소독포(T)를 밀착시켜 주기 위한 평판(5444a)이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cylinder 5444, as shown in FIG. 3, may be installed in two or more, in this case, a disinfectant cloth ( A flat plate 5444a for adhering T) may be installed.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플레이트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5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late support of FIG. 4 .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6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을 포함한다.5 to 7 , the plate support unit 6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610 , a first side bent frame 620 , a second side bent frame 630 , and a second support plate 610 . It includes a plate 640 , a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 and a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610)가 전단에 위치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640)가 후단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누인 형태로 설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지지 플레이트(610)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지지 플레이트(640)가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plate support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support plate 610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It will be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in the same, b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based on a form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explained as

제1 지지 플레이트(6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5442)를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이 형성되며, 1 측면 지지 프레임(6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6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The first support plate 6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5442 , a first side bent frame 620 is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side bent frame 6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t is formed, and is supported while being spaced apart upward from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by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and the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620a)을 형성하며, 제1 상부 경사면(620a)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의 제1 하부 경사면(65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is bent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0, one side of which forms a vertic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ne upper inclined surface 620a is formed, and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620a is supported by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650a of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and as 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is moved by sli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여기서,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의 절곡 프레임 바디(621), 수직 지지 바아(6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6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side bending frame 630 forms a symmetric structure with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ending frame body 621 of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to be described later, vertical Configurations such as the support bar 622 and the vertical buffer spring 623 may be equally applied,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은, 절곡 프레임 바디(621), 수직 지지 바아(6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623)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includes a bending frame body 621 , a vertical support bar 622 , and a vertical buffer spring 623 .

절곡 프레임 바디(621)는,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제1 렉기어(656)가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620a)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 바아(622)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The bent frame body 621 is bent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0, one side of which forms a vertic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first leg gear 656 is formed. It is made of (620a), the lower side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support bar (622).

수직 지지 바아(62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절곡 프레임 바디(6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621a)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623)에 의해 지지된다.The vertical support bar 62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 and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groove 621a formed under the bent frame body 621 . 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buffer spring (623).

수직 완충 스프링(623)은,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 바아(622)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절곡 프레임 바디(621)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The vertical buffer spring 62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groove to support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bar 622 by using an elastic force to cushion the vibration or imp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generated in the bending frame body 621. give.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은,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630a)을 형성하며, 제2 상부 경사면(630a)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의 제2 하부 경사면(66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The second side bent frame 630 forms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first side bent frame 620 , is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0 , and the other side is vertical. forming a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630a such that one side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630a is the second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It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660a, and as 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2 지지 플레이트(64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고정 플레이트(5441)에 설치되며, 상측에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second support plate 6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610 and i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5441, and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and the second The side support frames 660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은,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1 상부 경사면(620a)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65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1 하부 경사면(650a)이 제1 상부 경사면(620a)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forms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a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0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upport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 and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mov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650a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ther one direction to face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620a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610 and 640 decreases.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650a is pushed and moved in the other one direction by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620a.

여기서,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 바디(651), 바디 상부 지지대(652), 제1 스프링(653), 제2 스프링(654), 제3 스프링(655), 제1 렉기어(656), 제2 렉기어(6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658)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is to form a left-right symmetric structure with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frame body 651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body support body 652, the first spring 653 , the second spring 654 , the third spring 655 , the first rack gear 656 , the second rack gear 657 , and at least one or more spacing support gear 658 have the same configuration.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as applicabl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은, 지지 프레임 바디(651), 바디 상부 지지대(652), 제1 스프링(653), 제2 스프링(654), 제3 스프링(655), 제1 렉기어(656), 제2 렉기어(6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658)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includes a support frame body 651 , an upper body support 652 , a first spring 653 , a second spring 654 , a third spring 655 , It may include a first rack gear 656 , a second rack gear 657 , and at least one or more spacing support gears 658 .

지지 프레임 바디(651)는,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641)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하부 경사면(650a)이 형성된다.The support frame body 651 is connected to the upper sliding groove 641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so that the lower part is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rst A lower inclined surface 650a is formed.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651)는, 상부 슬라이딩홈(64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부 슬라이딩홈(64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2)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body 651 is a sliding formed extending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liding groove 641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sliding groove 641.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form a sliding protrusion K2 for sliding movement.

바디 상부 지지대(652)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61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 프레임 바디(6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6511)에 삽입 설치되어 제1 스프링(653)에 의해 지지된다.The upper body support 652 is connected to the lower sliding groove 611 whose upper side is bent in the other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pport groove 651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body 651 ,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653 .

일 실시예에서, 바디 상부 지지대(652)는, 하부 슬라이딩홈(61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하부 슬라이딩홈(6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1)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body support 652 is a sliding formed extending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liding groove 611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lower sliding groove 611.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form a sliding protrusion K1 for sliding movement.

제1 스프링(653)은, 상부 지지홈(651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652)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바디 상부 지지대(652)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At least one first spring 653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groove 6511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upper support 652 whil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upper support 652.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body support 652 or Absorbs shocks, etc.

제2 스프링(654)은, 상부 슬라이딩홈(64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 바디(651)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At least one second spring 654 is install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liding groove 641 to support the other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body 651 .

제3 스프링(655)은, 하부 슬라이딩홈(61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652)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At least one third spring 655 is install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liding groove 611 to support the other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supporter 652 .

즉, 제2 스프링(654)과 제3 스프링(655)은, 지지 프레임 바디(651)과 바디 상부 지지대(65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측 방향, 즉 제2 상부 경사면(630a)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이 상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을 극복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을 통해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줄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pring 654 and the third spring 655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body 651 and the upper body support 652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630a by using an elastic force. By giving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to overcome the external force pressed from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lowering, as well as to buffer the vibration or sh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

제1 렉기어(656)는, 간격 지지 기어(658)를 사이에 두고 제2 렉기어(657)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상부 경사면(62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6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The first rack gear 656 is installed to face the second rack gear 657 with the gap support gear 658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620a to form the gap support gear ( 658) are interlocked and connected.

제2 렉기어(657)는, 간격 지지 기어(658)를 사이에 두고 제1 렉기어(656)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하부 경사면(65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6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The second rack gear 657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rack gear 656 with the gap support gear 658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650a to form the gap support gear ( 658) are interlocked and connected.

간격 지지 기어(658)는, 제1 렉기어(656)와 제2 렉기어(6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렉기어(656) 및 제2 렉기어(657)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6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The gap support gear 658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ack gear 656 and the second rack gear 657, and as the first side bending frame 6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rack gear ( 656 ) and the second rack gear 657 , while rotating and moving the support frame body 651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어(658)는, 기어 본체(6581), 제1 가이드 휠(6582) 및 제2 가이드 휠(6583)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acing support gear 658 may include a gear body 6581 , a first guide wheel 6582 , and a second guide wheel 6583 .

기어 본체(6581)는, 제1 렉기어(656)와 제2 렉기어(6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1 가이드 휠(6582)이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가이드 휠(6583)이 연결 설치된다.The gear body 6581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ack gear 656 and the second rack gear 657, the first guide wheel 658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and the second guide wheel is installed to the rear end ( 6583) is connected and installed.

제1 가이드 휠(658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658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6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렉기어(6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6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L1)에 안착된다.The first guide wheel 6582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gear body 6581 , and along the first rack gear 656 to prevent the gear body 6581 from being separated. The first sliding guide groove (L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sliding guide groove (L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ck gear (657) while facing the first sliding guide groove (L1) is settled

제2 가이드 휠(658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658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6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제1 렉기어(6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L3) 제3 슬라이딩 유도홈(L3)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6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L4)에 안착된다.The second guide wheel 658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and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gear body 6581 , from the first sliding guide groove L1 to prevent the gear body 6581 from being separated. A third sliding guide groove (L3)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rack gear (656) and the third sliding guide groove (L3) facing the third sliding guide groove (L3)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rack gear (657) It is seated in the fourth sliding guide groove (L4) extending to the formed.

즉, 간격 지지 기어(658)는, 절곡 프레임 바디(6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렉기어(656)와 제2 렉기어(657)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651)를 이동시키거나, 지지 프레임 바디(651)가 각 스프링(654, 655)들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절곡 프레임 바디(6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다.That is, the gap support gear 658 moves the support frame body 651 while rotating between the first rack gear 656 and the second rack gear 657 as the bending frame body 621 descends, As the support frame body 651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one direction by the springs 654 and 655 , the bent frame body 621 may be raised and lowered.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2 상부 경사면(630a)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66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2 하부 경사면(660a)이 제2 상부 경사면(63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The second side support frame 660 forms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650 , a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0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support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 and the other side i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660a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to face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630a toward the side,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40 decreases,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660a is pushed and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630a.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부(600)는, 지지 플레이트(5442)를 지지하여 플레이트 지지부(5443)와 체결 실린더(5444)에 의해 소독포(T)가 일정한 압력으로 체결하여 사용자가 소독포(T)를 이용하여 손을 닦는 동안 소독포(T)가 찢어지는 등과 같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par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support plate 5442 so that the disinfectant cloth T is fastened with a constant pressure by the plate support part 5443 and the fastening cylinder 5444 .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such as tearing of the disinfectant cloth T while the user wipes his or her hands using the disinfectant cloth T.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ID 카드
300: 사용자 식별 단말기
400: 출입 인증 서버
500: 손 소독부
10: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100: user terminal
200: ID card
300: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400: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500: hand sanitizer

Claims (7)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정당 출입 권한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사용자 ID 카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식별 단말기; 및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를 사용자 식별 정보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상기 사용자 식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의 정당 권한 여부를 판독한 뒤 출입에 정당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 한하여 출입을 승인하는 출입 인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단말기는,
입력되는 식별 코드를 상기 출입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식별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ID 카드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촬영하여 입력받아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달하는 촬영부; 및
사용자의 손 소독을 위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설치되는 손 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 소독부는,
사용자가 내부 공간으로 손을 투입한 뒤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가르지르면서 이동하는 소독포를 이용하여 손을 닦을 수 있도록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전단에 형성되는 소독 하우징;
상기 소독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어 권취되어 있는 소독포를 권출시키면서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소독포 공급부;
상기 소독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 하우징을 통과하고 상기 소독 하우징의 하측으로 하강하는 소독포를 권취하는 소독포 회수부; 및
상기 소독 하우징과 상기 소독포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투입되는 소독포의 양면에 사용자의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소독액 도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
a user terminal that stor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the user has access to a political party;
a user ID card o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ad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authorized to enter the party is printed;
a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by photographing an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D card approaches; and
Users allowed to enter are stored in a database for each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access is justified. and an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that reads and approves access only if the user has the right to access
The user identification terminal,
a kiosk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input identification code to the access authentication server;
a display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to output a video image;
I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and when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ID card approaches, an identification code output from the user terminal or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user ID card is photographed, received and delivered to the kiosk terminal. wealth; and
Including; a hand disinfection unit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for user's hand disinfection;
The hand sanitizer,
a disinfection housing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kiosk terminal so that a user can wipe their hands using a disinfectant cloth that moves while crossing the interior space in a vertical direction after inserting a hand into the interior space;
a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supplying the disinfection cloth to the disinfection housing while unwinding the wound disinfection cloth;
a disinfectant cloth recovery unit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to wind the disinfectant cloth that passes through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desc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application unit installed between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the disinfection cloth supply unit to spray and apply a disinfectant solution for user's hand disinfection on both sides of the disinfection cloth injected into the disinfection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도포부는,
내부 공간에서 분사되는 소독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소독 하우징과 상기 소독포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소독포를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전달하는 밀폐 케이스;
상기 밀폐 케이스로 투입되는 소독포의 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어 소독포의 일면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제1 분사기;
상기 밀폐 케이스로 투입되는 소독포의 다른 일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밀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소독포의 다른 일면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제2 분사기; 및
상기 밀폐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소독 하우징에 배치된 소독포에 손을 닦는 동안 소독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소독포를 체결하는 소독포 체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infectant application uni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isinfection housing and the disinfectant cloth supply unit while forming a sealed inner space to prevent the disinfectant solution sprayed from the inner spac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disinfectant cloth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upper sid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 sealed case delivered to the disinfecting housing;
a first spray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closed case while facing one surface of the disinfecting cloth that is put into the closed case to spray and apply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one surface of the disinfecting cloth;
a second injecto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sealed case while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ing cloth injected into the sealed case to spray and apply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disinfecting cloth; and
A disinfectant cloth fastening par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to fasten the disinfectant cloth to prevent the disinfection cloth from moving while the user wipes his or her hand on the disinfectant cloth disposed in the disinfection housing;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포 체결부는,
상기 밀폐 케이스로부터 소독포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대향하는 상기 밀폐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소독포의 일면과 대향하면서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 및
소독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향하면서 상기 밀폐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소독 하우징으로 손을 투입하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방향으로 신장되어 소독포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밀착시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함께 소독포를 체결하는 체결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infection cloth fastening part,
a fixing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opposite to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cloth is discharged from the sealed case;
a support plate disposed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disinfectant cloth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a plate support part installed along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led case while facing the support plate with the disinfection cloth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 into the disinfection housing,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o bring the disinfectant cloth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to the support plate. A fastening cylinder for fastening the disinfectant cloth with; Containing,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late support portion,
a first support plat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a first side bending frame formed by bending from one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one side forming a vertical surface, and the other side forming a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Forming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side bent fram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is bent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forms a vertical surface, and one side is differen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 second side bending frame forming a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and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A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support between the support plates, and one side of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to face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 first side support frame in which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is pushed in the other one direction by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as the distance is reduced; and
Forming a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lower por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is slidably connected to suppor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and the other side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to face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second side support frame in which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is pushed and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decreases.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 보안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side support frame,
a support frame body having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sliding groove extend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an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upper side is bent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lower sliding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lower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upport frame. an upper support body inserted and installed in an upper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t least one first spring installed along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groove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upper support;
at least one second spring install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liding groove to support the other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body;
at least one or more third springs installed along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liding groove to support the other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upper supporter;
a first leg gea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a second leg gear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and
The support frame is connected and interlock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nd rotat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s the first side bent frame moves up and down. At least one gap support gear for moving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cluding, a smart access security system.
KR1020210081346A 2021-06-23 2021-06-23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KR102409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346A KR102409232B1 (en) 2021-06-23 2021-06-23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346A KR102409232B1 (en) 2021-06-23 2021-06-23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32B1 true KR102409232B1 (en) 2022-06-14

Family

ID=8198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346A KR102409232B1 (en) 2021-06-23 2021-06-23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21B1 (en) 2015-12-14 2017-01-02 김준영 Access right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102243814B1 (en) * 2020-11-06 2021-04-23 주식회사 만랩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non-face-to-face access
KR20210069221A (en)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펀앤뉴 Entr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21B1 (en) 2015-12-14 2017-01-02 김준영 Access right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20210069221A (en)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펀앤뉴 Entr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ard
KR102243814B1 (en) * 2020-11-06 2021-04-23 주식회사 만랩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non-face-to-face acc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01516T3 (en) Distribution of access information to facilities
US9621562B2 (en) Propagating authentication between terminals
KR20140098837A (en) System for pairing a terminal with an ego element worn on the wrist or hand of a user, and corresponding method
AU2013355386B2 (en) Medicament storage,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7222169A1 (en) Method for approving payment made using smart card, card company server executing same, and smart card
WO2011050309A3 (en) System and device for consolidating sim, personal token, and associated applications
ES2380382T3 (en) Mobile type identification for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systems
US20150172920A1 (en) System for proximity based encryption and decryption
US20140289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a local transaction
CA3043678A1 (en) System, methods and software for user authentication
KR100874067B1 (en) User equipment, certify system, certify method, certify program and write medium
US20150371214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 machine
WO2012125477A3 (en) System and device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by consolidating sim, personal token, and associated applications for electronic wallet transactions
US20220272084A1 (en) 5G-WiFi inside secure iris biometrics' login
US8839380B2 (en) Method for the temporary personaliz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JP6840568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ATE524941T1 (en) PROXIMITY BASED AUTHENTICATION USING TOKENS
EP17292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transfer over an NFC-connection
EP1628437A4 (en) Broadband access method with great capacity and the system thereof
US20150286811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CN103701781B (en) Method for on-line issue of digital certificate of enterprise mobile terminal equipment
CN102316132A (en) The network equipment login method and the network equipment
KR102409232B1 (en) Smart gateway security system
KR102153880B1 (en) Entering and Leaving Management System by Face Certification at office and Method thereof
CN108460876A (en) A kind of time sync-type Quick Response Code guard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