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63B1 -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63B1
KR102408763B1 KR1020190108836A KR20190108836A KR102408763B1 KR 102408763 B1 KR102408763 B1 KR 102408763B1 KR 1020190108836 A KR1020190108836 A KR 1020190108836A KR 20190108836 A KR20190108836 A KR 20190108836A KR 102408763 B1 KR102408763 B1 KR 10240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yelid
unit
light irradi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842A (ko
Inventor
김종민
박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9010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7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안검 조직에 흡수 가능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상기 사용자의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N TREATMENT APPARATUS FOR DRY EYE SYNDRO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AT}
본 발명은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헤드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는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구 건조증은 눈물 자체 또는 눈물의 일부 성분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되어 안구 표면에서 충분한 윤활 작용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안구 표면이 건조해지는 증상이다. 이러한 증상은 눈 조직의 자극을 수반하며, 심한 경우 안구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안구 건조증은 주로 안검 내측에 위치한 마이봄샘의 기능 장애에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마이봄샘의 지질 분비 경로가 좁아지거나 막힘에 따라 안구에 지방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안구 건조가 발생한다.
이러한 안구 건조증을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안검 조직에 광을 조사하여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마이봄샘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광을 이용한 치료장치는 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만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시적인 치료를 유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안검을 움직이는 상황에서도, 이에 대응하여 광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안검 조직에 흡수 가능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상기 사용자의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의 조사 위치, 상기 광의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광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광 조사부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안검의 크기 및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검출부는 사용자의 눈 전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소자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안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촬상 소자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수광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검출부는 사용자의 눈 전면으로 검측광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눈 전면에서 반사되는 검측광을 수광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위치에 따른 상기 검측광의 반사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안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는 사용자의 눈 중 샘플 구간의 안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샘플 구간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광 조사부는 광 조사부의 위치 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검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위치 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광 조사부는 복수개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검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광 조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단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광 조사부는 상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제1 광 조사유닛 및 하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제2 광 조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광 조사유닛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광 조사 시작 시점의 상안검의 위치 정보 및 광 조사 중 상안검의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광 조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광 조사 시작 시점의 하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광 조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안과용 장치는, 바디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 조사유닛 및 제2 광 조사유닛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표시부가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의 안검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헤드에 안과용 장치를 착용시 사용자의 안검의 초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안검의 초기 위치에 근거하여 광 조사부를 동작하여 상기 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광이 조사되는 동안 상기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안검의 위치 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 조사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 조사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광의 조사 위치, 상기 광의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광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 또는 검측광의 반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눈 중 샘플 구간의 안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환자가 안검을 움직이는 동안에도 안검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원하는 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환자가 다른 활동을 하는 동안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고글 형태의 영상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안구 건조증에 대응하는 광 조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상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디부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바디부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안검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이봄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 조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 조사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건조증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도 2의 바디부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제1 광 조사유닛 및 제2 광 조사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검출부에서 안검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샘플 영역을 표시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안구건조증용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도 7의 안구건조증용 장치의 다른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안과용 장치의 또 다른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안과용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하에서 안검의 '위치'라함은, 안과용 장치를 착용시 눈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일 수 있고, 나아가 눈 깜박임과 같은 안검의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검의 '형상'이라함은, 눈매 또는 안검의 크기와 같은 환자의 고유한 생김새에 의해 결정되는 형상일 수 있고, 나아가 눈 깜박임과 같은 안검의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안구 건조증에 대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녹내장, 망막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변 등 다양한 안과 병변에 대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1)는 각종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바디부(100)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착용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00)는 고글 형태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안과용 장치 착용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한다. 바디부의 내측에는 환자의 눈 전방에서 광을 조사하고 환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환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바디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양호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안과용 장치의 동작 중 광 조사부 또는 표시부 등의 동작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에 의해 착용 중 전안부가 위치하는 바디부 내측 공간이 건조해질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는, 내부의 수분 배출을 억제하고, 외부의 수분은 내부로의 유입을 도와줄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이러한 완충부재는 고어텍스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실시예로서, 바디부 내측에 구비되어 안과용 장치 동작 중 전안부가 노출되는 공간으로 주기적으로 습기를 제공하는 별도의 가습 모듈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용부(101)는 바디부(100)를 사용자의 눈 전방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구성이다. 도 1에서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밴드 구조로 착용부를 구성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착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글 형태로 바디부 및 착용부를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눈 전방이 차폐되지 않는 안경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바디부 및 착용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4 참조).
도 2는 도 1의 바디부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바디부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바디부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내측에는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200),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300)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광 조사부, 검출부 등은 양쪽 눈에 상응하도록 한 쌍의 구조로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구비되는 구성 요소 중 일측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광 조사부(200)는 광 조사 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조사부(200)에서 조사되는 광은 안검 조직에 흡수 가능한 파장의 광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광 조사 중 상기 광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은 비가시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적외선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다. 광 조사부(200)에서 조사되는 광은 안검 조직에 흡수되어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안구 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안검의 내측에 위치하는 마이봄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봄샘은 안구와 접촉하는 상안검 및 하안검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지선의 일종이다. 마이봄샘은 지질을 분비하여 안구의 전면에 지방층을 형성함으로써, 안구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때, 마이봄샘의 기능 장애로 인해 지질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안구의 수분층이 외부에 노출되어 과도하게 증발되면서 안구 건조증을 유발한다. 이에, 본 실시예의 광 조사부는 안검 조직에 광을 조사하여 안검 조직에 열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분비 경로에 형성된 지질 잔여물 또는 노폐물을 녹여 배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달되는 열 에너지는 안검 조직의 혈액 순환을 유도하여 마이봄샘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광 조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안과용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 전방에 배치된다. 광 조사부(200)는 엘이디(LED), 레이저 다이오드, 플래시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형태는 면광원 구조, 조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점광원 구조, 선택적으로 점멸하여 조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된 광원 어레이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광은 지질에 흡수되는 특성이 우수한 파장 대역의 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의 파장은 900nm 내지 950nm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또는 1140nm 내지 1260nm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1210nm 파장의 광을 광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검출부(300)는 사용자의 안검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사람에 따라 눈의 위치, 안검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하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안과용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 따라, 안과용 장치와 눈의 상대적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나아가, 광 조사 중 사용자가 눈을 깜박이는 등의 동작으로 인해, 안검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과용 장치는 전술한 원인에 따른 안검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00)를 구비하여,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라 광을 조사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검출부(300)는 알려진 다양한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검측광을 이용하여 안검과 안구 표면에서의 반사 특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의 눈과 인접한 영역의 온도 분포를 검출하고, 안검과 안구의 표면 온도 차이에 근거하여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검출부(300)는, 일 예로서,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부(310) 및 이미지부에서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안검 위치를 검출하는 처리부(320)를 포함한다. 이미지부(310)는 촬영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부(310)에서 조사되는 촬영광은 비가시 영역의 적외선 광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촬영광을 조사하지 않고 전술한 광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리부(32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상에 나타난 상안검의 하단 경계 및 하안검의 상단 경계 위치를 추출하여, 안검의 위치, 안검의 형태, 안검의 실시간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1)는, 전술한 검출부(300)에 의해, 안과용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검의 초기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위치 정보는 착용 상태에 따른 안과용 장치와 안검(눈)의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가 눈을 감았을 때 안검의 형상 및 눈을 떴을 때의 안검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착용 후 광 조사 중, 환자의 눈 깜박임 또는 기타 안검의 동작(예를 들어, 눈을 크게 뜨거나, 작게 뜨는 등의 동작)에 따른 실시간 안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40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설정 내용,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제어 알고리즘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400)는 전술한 검출부(300)로부터 검출된 안검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안검 위치로 광을 조사도록 광 조사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 안과용 장치의 착용 상태 및 광 조사 중 사용자의 안검 동작 등에 대응하여 원하는 광 조사 위치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안구에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광 조사부(200)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광이 조사되는 위치가 조절되거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 및 형상가 조절되거나, 광의 단면 형상이 조절되는 등 광의 조사 동작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광 조사부의 제어는, 광 조사부의 구성 및 동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 조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광 조사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조사부가 면광원(210)으로 구성되며, 광원 전방에 구비되는 셔터(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셔터(22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여,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 결과 사용자가 눈을 감은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셔터(220)를 하강시켜 보다 넓은 조사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눈을 뜬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셔터(220)를 상승시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안구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조사부(200)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 어레이(230)로 구성되며, 각각의 광원이 선택적으로 점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광원 어레이(230) 중 안검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광원들만 선택적으로 발광시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눈의 위치 및 안검의 동작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조사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어부에 의한 광 조사부의 제어 동작 예시 중 두 가지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가 광원의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어부는 광원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조사 방향을 변경하여 광 조사 위치 및 조사 영역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광 조사부가 광원의 전면에 광의 단면 형상을 결정하는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마스크의 위치 및 종류를 변경하여 광이 조사되는 영역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광 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안검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도록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건조증용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바디부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건조증용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 및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광 조사부, 검출부, 이미지부, 표시부와 같은 각 구성은 양 쪽 눈에 상응하도록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구조로 이루어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측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구건조증용 장치는 광 조사부(200), 검출부(300), 이미지부(31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0)는 영상 또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착용시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앙에 배치된다. 이러한 표시부(5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광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치료를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부(50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치료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종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지부(310)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눈 이미지를 획득하는 구성이다. 일 예로서, 이미지부(310)는 적외선 촬영광을 이용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눈의 위치, 안검의 형상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미지부(310)에서 획득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되어 광 조사부(200)의 동작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부(310)에서 획득된 이미지는 표시부(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광 조사 중 사용자의 자세(예를 들어, 시선 위치, 눈 깜빡임 등의 동작)를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7에서는 상기 이미지부가 검출부와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미지부를 통해 안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검출부의 서브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 조사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조사유닛(240) 및 제2 광 조사유닛(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조사유닛(240)은 표시부(5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2 광 조사유닛(250)은 표시부(5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 조사유닛(240)은 안검 중 상안검에 광을 조사하고, 제2 광 조사유닛(250)은 하안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 조사유닛(240) 및 제2 광 조사유닛(250)은 검출부(300)에서 검출되는 상안검 및 하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광 조사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하안검의 위치 정보는 안과용 장치의 착용 상태, 사용자의 눈의 위치, 안검의 형상과 같은 초기 위치 정보에 의해 결정되며, 광 조사 중 위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상안검은 전술한 초기 위치 정보 뿐 아니라, 광 조사 중 눈 깜박임과 같은 동작에 의해 위치가 변화한다. 이러한 상안검 및 하안검의 동작 특성을 고려하여, 제1 광 조사유닛(240) 및 제2 광 조사유닛(250)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광 조사유닛(240)은 제2 광 조사유닛(250)에 비해 큰 동작 자유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제1 광 조사유닛 및 제2 광 조사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1, 제2 광 조사유닛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조사유닛(240) 및 제2 광 조사유닛(250)은 각각 독립적으로 광원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9에서는 제1 광 조사유닛(240) 및 제2 광 조사유닛(250)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하 방향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과용 장치를 착용하면, 각각 상안검 및 하안검의 초기 위치에 상응하도록 제어부(400)는 각각의 광 조사유닛(240, 2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광 조사유닛(240)은, 제2 광 조사유닛(250)에 비해 추가적인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조사유닛(240)은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변경되거나, 광이 커버하는 조사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하방 회전시 눈을 감은 상태와 같이 보다 넓은 조사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방 회전시 눈을 뜬 상태와 같이 보다 제한된 조사 영역으로 광이 조사됨). 따라서, 제1 광 조사유닛(240)은 이러한 동작을 통해 광 조사 중 상안검의 동작에 따른 광 조사 위치치 변화에 대응하여 광의 조사 내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전술한 제1, 제2 광 조사유닛의 동작 구조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광원 구조 및 제어 동작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검출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유닛(330) 및 수광 유닛(340)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330)은 검측광을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조사하고, 수광 유닛(340)은 사용자의 눈에서 반사되는 검측광을 수광하는 구성이다. 이때, 광의 반사 특성은 조직에 따라 상이하다. 안검의 경우 광 투과 특성이 낮은 조직이므로 광의 반사율이 높은 것에 비해, 안구는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광의 반사율이 낮다. 따라서, 처리부(320)는 수광 유닛(340)에서 수광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검출부는 발광 유닛이 눈의 전체 영역에 대해 검측광을 조사하고, 수광 유닛은 눈의 전체 영역에 반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눈의 일부 샘플 구간에서의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검출부에서 안검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샘플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300)는 표시부(500)의 일측에 세로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 중, 검출부(300)의 일측 단부에 발광 유닛이 구비되고, 나머지 길이 방향을 따라 수광 유닛(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 중 일측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샘플 구간(S)에서의 반사 정보에 근거하여, 안검의 위치(L) 및 안구의 위치(O)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처리부(320)는 샘플 구간(S)에서의 안검의 위치에 근거하여, 눈 전체 구간의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320)에서 샘플 구간의 정보에 근거하여 전체 구간의 정보를 검출하는 방식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내용을 참고하거나 정해진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부(310)에서 획득되는 눈의 전체 이미지 정보를 참조하여, 샘플 구간 정보에 대응되는 전체 구간 정보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검출부(300)가 샘플 구간의 반사 정보를 토대로 안검 전체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검출부(300)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400)는 검출부(300)에서 검출된 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광 조사부(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상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1 광 조사유닛(240)의 동작을 제어하고, 하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2 광 조사유닛(2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제1 광 조사유닛(240) 제어시 광 조사 시작 시점에서의 상안검의 초기 위치 정보와 더불어 광 조사 중 상안검의 동작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하고, 제2 광 조사유닛(250) 제어시 광 조사 시작 시점에서의 하안검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안구건조증용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구건조증용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안구건조증용 장치를 헤드에 착용한다(S10). 이로 인해, 바디부(100) 내측에 구비된 표시부(500), 광 조사부(200), 검출부(300) 등의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안과용 장치를 착용하면, 안검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눈의 위치(장치의 착용 상태 및 사용자의 외모 특성에 따른 안과용 장치와 눈의 상대적인 위치), 상안검과 하안검의 크기 및 형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전술한 이미지부(310)에서 눈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처리부(320)에서 이미지를 처리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나아가,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이후 샘플 구간(S)의 안검 위치 정보로부터 안검 전체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레퍼런스가 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눈 깜박임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상안검이 전체 가동 구간을 따라 동작하는 동안) 이미지부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샘플 구간의 안검 위치와 안검 전체의 위치간의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눈 깜박임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이미지부는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발광 유닛 및 수광 유닛은 샘플 구간의 반사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상관 관계를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검의 초기 위치가 검출되면, 제어부(400)는 광 조사부(200)를 제어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이때, 제어부(400)는 상안검의 초기 위치에 근거하여 제1 광 조사유닛(240)을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하안검의 초기 위치에 근거하여 제2 광 조사유닛(250)을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각 광 조사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은 안검 조직에 흡수 가능한 적외선 파장의 광으로 구성되며, 광은 각각 상안검과 하안검 표면에 조사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은 광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검출부(300)는 안검의 위치 변화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 본 단계에서, 검출부(300)는 발광 유닛(330)에서 조사되는 검측광이 조직에 반사되어 수광 유닛(340)에 수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안검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안검의 위치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 구간(S)에서의 검측광의 반사 정보에 근거하여, 전체 안검의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안검의 위치 변화가 검출되면, 제어부(400)는 변화된 안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광 조사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검출 단계(S40)에서는 상안검의 동작에 의한 위치 변화를 검출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제2 광 조사유닛(250)의 동작은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광 조사유닛(24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상안검의 변화된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광 조사유닛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광이 커버하는 조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이 조사되는 동안 안검의 위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광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고, 기 설정된 모드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 조사 종료 시점이 도래하면 이를 종료한다(S60).
도 12는 도 7의 안구건조증용 장치의 다른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도 11과 다른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어 모드는 실시간으로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방식인 것에 비해, 본 제어 모드에서는 소정 시간 주기별로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광 조사부의 광 조사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드에 의할 경우 제어 내용을 보다 단순시킴으로써, 안검 위치 변화가 거의 없는 사용 태양(예를 들어, 표시부를 통한 컨텐츠 시청 중)에서의 불필요한 제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구건조증용 장치를 헤드에 착용하면(S110), 우선 검출부(300)를 이용하여 안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0). 본 단계에서 검출되는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눈의 위치, 상안검과 하안검의 크기 및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단계에서 검출되는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검출 시간(예를 들어, 3초 내지 5초) 동안 사용자의 안검 동작에 따른 위치 변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설정된 검출 시간 동안 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광이 조사되는 위치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400)는 검출 시간 동안 안검의 위치의 평균값에 근거하여 광의 조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눈 깜박임과 같은 안검의 빠른 동작 정보는 제외하고 광 조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400)는 검출 시간 동안 안검이 가장 오래 머무는 위치를 추출하여 광 조사 위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400)는 검출 시간 동안 안검이 항상 위치하는 영역(예를 들어, 검출 시간 중 상안검의 변화하는 위치 정보 중 공통된 최소 영역)으로만 광이 조사되도록 광 조사 위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안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통해 안검의 위치를 고려한 광 조사 위치가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광 조사부(200) 를 제어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
이와 같이, 안검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광의 조사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은 소정 검출 주기(예를 들어, 5분)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 검출 주기가 도래한 경우 검출부 및 제어부는 전술한 안검 위치 검출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S120), 광 조사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안검 위치 검출 단계를 재차 수행하는 동안 광 조사부는 기존 조사 위치로 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안검 위치 검출 단계를 통해 광 조사 위치가 다시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광 조사부(200) 를 제어하여 광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S130).
이와 같이, 본 제어 모드에서는 소정의 검출 주기로 안검 위치 검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광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여 광 조사하는 단계를 소정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하고, 광 조사 종료 시점이 도래하면 광 조사를 종료한다(S150).
다만, 도 12에서는 안검 위치 검출 단계 및 광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소정 주기에 따라 복수회에 걸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광 조사 시작 시점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안검의 위치를 검출한 후 이에 의해 결정된 광 조사 위치로 광을 전체 단계에 걸쳐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500)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광 조사를 수행할 수 있어 상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안검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광 조사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안구에 광이 조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안검과 하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유닛을 별개로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광 조사가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안 광 조사를 수행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 전안부 전체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검출부는 사용자 안검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면서 사용자가 눈을 뜨는 것으로 인식되면, 광이 사용자의 안구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광의 조사를 종료하거나 광의 조사 방향을 변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제어 모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안과용 장치의 또 다른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과용 장치를 착용하는 단계(S210)를 수행하고, 안검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20). 이때, 안검의 초기 위치는 사용자가 안과용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바디부와 전안부의 상대적 위치 관계일 수 있다.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400)는 광 조사부(200)를 동작시켜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30). 본 실시예에서 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전안부 전체에 대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단계는 광이 조사되는 안검의 면적을 최대화시킨 상태에서 광 조사 이루어지므로 집중적으로 광이 조사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서 광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면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광 조사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며, 광이 조사되는 동안 검출부(300)는 지속적으로 안검의 위치 정보(움직임 정보 포함)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40). 이러한 모니터링 단계를 통해 안검이 오픈되면서 눈이 떠진 것으로 판단되면(S250), 제어부(400)는 광이 안구 내측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광 조사부를 제어한다(S260). 이때, 제어부(400)는 광 조사부(200)가 광 조사를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안구 외측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안검 위치 모니터링을 통해 다시 사용자가 눈을 감은 것으로 확인되면 광 조사를 진행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광 조사가 완료되면 광 조사를 종료할 수 있다(S270).
상기 도 13에서 따른 제어 모드는 전술한 도 7의 안과용 장치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제어 모드일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도 2의 안과용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 및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광 조사부 등과 같은 각 구성은 양 쪽 눈에 상응하도록 대칭 배치되는 한 쌍의 구조로 이루어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측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안검 위치가 상이하고 안검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구 내측으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검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광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차단부를 전안부에 착용함으로써 광의 파장이 안구 내측으로 조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바디부(100), 광 조사부(2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차단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6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렌즈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안부 표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광 조사부(200) 는 안검 조직에 흡수되는 파장의 광을 조사하며, 차단부(600)는 광의 파장에 상응하는 광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차단부는 가시광선 대역의 파장의 광은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차단부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광은 1210nm의 파장을 갖는 광으로 구성되며, 차단부(600)는 전면이 가시광선 대역의 파장의 광은 투과할 수 있으면서 1210nm 파장의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로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차단부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종래의 다양한 차단부의 구조를 적용하여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광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안검 조직 뿐 아니라 안구로 조사되더라도, 안구 전면에 위치하는 차단부에 의해 광이 안구 내측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검출부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고 광 조사부의 구성을 단순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일부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광 조사부 및 검출부와 같은 각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은 변경 가능한 다양한 예중 일부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설명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

Claims (21)

  1.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안검 조직에 흡수 가능한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상기 광이 조사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안검 동작에 따른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광이 안구 내측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의 조사 위치, 상기 광의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광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안검의 크기 및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사용자의 눈 전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소자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수광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사용자의 눈 전면으로 검측광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눈 전면에서 반사되는 검측광을 수광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위치에 따른 상기 검측광의 반사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사용자의 눈 중 샘플 구간에서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샘플 구간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광 조사부의 위치 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위치 또는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복수개의 광원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광원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조사되는 상기 광의 단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상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제1 광 조사유닛 및 하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제2 광 조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광 조사유닛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이 조사되는 시작 시점의 상안검의 위치 정보 및 광 조사 중 상안검의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광 조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광이 조사되는 시작 시점의 하안검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광 조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조사유닛 및 상기 제2 광 조사유닛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표시부가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의 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15. 사용자가 헤드에 안과용 장치를 착용시, 사용자의 안검의 초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안검의 초기 위치에 근거하여 광 조사부를 동작하여 상기 안검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광이 조사되는 동안 상기 안검의 동작에 따른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가 변화된 안검으로 상기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 조사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광의 조사 위치, 상기 광의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광의 단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상기 안검 조직에 흡수 가능한 적외선 대역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 또는 검측광의 반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눈 중 샘플 구간의 실시간 안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안검의 실시간 위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제어방법.
  21. 삭제
KR1020190108836A 2019-09-03 2019-09-03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0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36A KR102408763B1 (ko) 2019-09-03 2019-09-03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36A KR102408763B1 (ko) 2019-09-03 2019-09-03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42A KR20210027842A (ko) 2021-03-11
KR102408763B1 true KR102408763B1 (ko) 2022-06-14

Family

ID=7514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36A KR102408763B1 (ko) 2019-09-03 2019-09-03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9316B (zh) * 2021-11-26 2024-02-23 杭州叁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高压氧眼部治疗仪的眼部放松设备
IL290389B2 (en) * 2022-02-06 2024-04-01 Shavit Ronen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tear secre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4425A1 (en) * 2012-07-25 2015-06-25 Rolando Toyos Selected light wavelengths and delivery devi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KR101820492B1 (ko) 2016-08-08 2018-01-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망막 질환 광치료기
KR101820928B1 (ko) * 2017-08-03 2018-03-0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입체적 인지를 통한 안구건조증 표적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86B1 (ko) * 2008-04-14 2010-05-03 국립암센터 안구 종양 치료에서의 안구 추적 방법
KR101315736B1 (ko) * 2011-05-30 2013-10-14 주식회사 한빛나노바이오테크 펨토레이저를 이용한 안구 치료 장치
US10744034B2 (en) * 2012-04-25 2020-08-18 Gregg S. Homer Method for laser treatment for glaucoma
KR20160077272A (ko) * 2014-12-22 2016-07-04 한국광기술원 Led를 이용한 안구 피로회복 장치
EP4173550A1 (en) * 2015-03-16 2023-05-03 Magic Leap, Inc. Diagnosing and treating health ailments
KR101902862B1 (ko) * 2016-07-27 2018-10-01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4425A1 (en) * 2012-07-25 2015-06-25 Rolando Toyos Selected light wavelengths and delivery devi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KR101820492B1 (ko) 2016-08-08 2018-01-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망막 질환 광치료기
KR101820928B1 (ko) * 2017-08-03 2018-03-0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입체적 인지를 통한 안구건조증 표적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42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4935B2 (ja) 健康を損う疾病を診断して治療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029423B1 (ko) 시각장애 예방 및 치료장치
KR102408763B1 (ko)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