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03B1 -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03B1
KR102408703B1 KR1020197027124A KR20197027124A KR102408703B1 KR 102408703 B1 KR102408703 B1 KR 102408703B1 KR 1020197027124 A KR1020197027124 A KR 1020197027124A KR 20197027124 A KR20197027124 A KR 20197027124A KR 102408703 B1 KR102408703 B1 KR 10240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terminal device
access information
network dev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626A (ko
Inventor
지안후아 리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7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access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제1 메시지에는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무작위 접속 정보는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인 것이 포함된다. 이로써, 네트워크 장치가 효과적으로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의 크기를 취득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과정에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하는 확률을 낮춘다.

Description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무작위 접속을 진행할 때, 2 스탭 무작위 접속(2-step RA, 그 중에서 무작위 접속(Random Access, RA))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즉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중의 4 스탭 무작위 접속(4-step RA) 과정 중의 메시지(Message, Msg) 1 즉 프리앰블(preamble) 및 Msg 3을 제1 단계로 송신을 진행한다. 2-step RA는 주요하게 일부 저전력의 접속점(small cell) 또는 정지된 단말 장치 및 기타 타임 어드밴스(Time Advance, TA)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황에 적용되는 바, 왜냐하면 4-step RA의 무작위 접속 과정에서, Msg 1과 Msg 2는 주요하게는 TA값을 취득하여 업링크 동기화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 기 때문이다.
하지만, 2-step RA에서, 기지국은 성공적으로 preamble 또는 Msg 3을 수신하지 못하여 무작위 접속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으며, 만일 지기국이 단지 성공적으로 preamble만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Msg 3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단말 장치는 4-step RA로 폴백(fallback)하여 계속하여 본 회 무작위 접속을 완성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어떻게 하면 단말 장치로 하여금 자유롭게 2-step RA 또는 4-step RA를 선택하도록 할 것인지는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가 유연하게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방식 또는 4 스탭 무작위 접속의 방식을 선택하여 무작위 접속을 구현하도록 한다.
제1 방면으로, 무작위 접속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통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아울러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중에서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낮춘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인덱스에 의하여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수신하는 바, 상기 RAR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AR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송신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무작위 접속의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무작위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며;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송신하는 바, 상기 RAR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통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한다.
아울러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중에서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낮춘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맵핑 관계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3 방면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4 방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무작위 접속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무작위 접속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및 그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0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방면 및 그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예시적 구조도.
도2는 종래 기술 중의 4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
도3은 종래 기술 중의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
도4는 2 스탭 무작위 접속과 4 스탭 무작위 접속 사이에 전환을 진행하는 과정 상호작용 도면.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작위 접속의 방법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작위 접속의 방법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단말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말 장치는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등일 수 있다.
도1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네트워크 장치(10)와 단말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단말 장치(2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20)는 네트워크 장치(1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20)와 네트워크 장치(10) 사이의 셀룰로우스 링크를 통하여 진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또는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네트워크 또는 기계 대 기계/인간(Machine to Machine/Man, M2M)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도1은 단지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네트워크에는 또한 기타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도1에 도시하지 않았다.
도2는 4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무작위 접속 과정에 하기 4개 단계가 포함된다.
단계1: Msg 1.
단말 장치가 기지국으로 Msg 1 즉 무작위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바, 그 중에는 무작위 접속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이 포함되고, 이는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라 불린다.
단계2: Msg 2.
기지국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Msg 1을 수신한 후, 단말 장치로 Msg 2 즉 무작위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송신하는 바, 그 중에는 타임 어드밴스(Time Advance, TA), 업링크 수권 명령(예를 들면 업링크 자원 구성)과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Cell-Radio Network Tempory Identity, C-RNTI) 등이 포함된다.
단계3: Msg 3.
단말 장치는 RAR를 수신한 후, 해당 RAR가 자기에게 속한 RAR 메시지인지 여부를 예를 들면 프리앰블 아이디(preamble IDentity)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바, 자기에게 속한 RAR인 것을 확인한 후, 단말 장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에서 Msg 3을 생성하고 또한 기지국으로 Msg 3, 예를 들면 RRC 연결 구성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여 스케줄링 전송(Scheduled Tranmission)을 진행하는 바, 그 중에는 단말 장치의 아이디(Identity, ID) 등이 포함된다.
단계4: Msg 4.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Msg 4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가 정확하게 Msg 4를 수신하여 경합 해결(Contention Resolution)을 완성하는 바, 예를 들면 RRC 연결 구성 과정에, Msg 4에 RRC 연결 구성 메시지를 포함한다.
단계5: Msg 5.
단말 장치가 기지국으로 Msg 5를 송신하여 Msg 4 중의 구성이 효력을 발생하는 것을 확정하는 바, 예를 들면 RRC 연결 구성 과정에, Msg 5에 RRC 연결 완성 메시지가 포함된다.
5G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무작위 접속을 진행할 때, 상기 4 스탭 무작위 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무작위 접속을 진행할 수 있는 외, 또한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즉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 중의 메시지(Msg 1) 즉 프리앰블(preamble) 및 Msg 3을 제1 단계로 하여 송신을 진행한다.
도3은 종래 기술 중의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이다.
단계1에서,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 preamble과 Msg 3을 송신한다.
단계2에서, 만일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preamble과 Msg 3을 수신한다면, 기지국은 단말 장치로 RAR와 연결 해결 메시지를 송신한다.
하지만 2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에서, 기지국은 성공적으로 preamble 또는 Msg 3을 수신하지 못하여 무작위 접속에 실패할 수 있다. 만일 지기국이 단지 성공적으로 preamble만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Msg 3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단말 장치는 4-step RA로 폴백(fallback)하여 계속하여 본 회 무작위 접속을 완성할 수 있다.
도4는 2 스탭 무작위 접속과 4 스탭 무작위 접속 사이에 전환을 진행하는 과정 상호작용 도면이다.
단계1에서,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 preamble과 Msg 3을 송신한다.
하지만 지기국이 단지 preamble만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Msg 3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단말 장치는 4-step RA과정으로 폴백한다.
단계2에서, 기지국은 단말 장치로 RAR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는 TA 값과 기지국의 Msg3에 대한 업링크 수권 명령 등이 포함된다.
단계3에서,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 Msg 3을 송신한다.
단계4에서, 기지국은 단말 장치로 연결 해결 메시지를 송신한다.
서로 다른 상황에 있어서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트리거 이벤트)가 존재하는 바,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의 단계3 중의 Msg 3에는 서로 다른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접속의 상황에 있어서, Msg 3에는 RRC 계층이 생성한 RRC 연결 요청이 포함되는 바, 그 중에는 단말 장치의 서비스 임시 이동 가입자 아이디(Serving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S-TMSI) 또는 무작위 숫자가 포함되며; 연결 재구성 상황에 있어서, Msg 3에는 RRC 계층이 생성한 RRC 연결 재구성 요청, C-RNTI와 프로토콜 제어 정보(Protocol Control Information, PCI)가 포함되며; 전환 상황에 있어서, Msg 3에는 RRC 계층이 생성한 RRC 전환 완성 메시지와 단말 장치의 C-RNTI가 포함되며;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한 상황에 있어서, Msg 3에는 단말 장치의 C-RNTI가 포함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상황에 있어서, 단계3 중의 Msg 3의 크기도 서로 다르다. 현재 다수의 preamble에 대하여 그룹핑을 진행하고, 또한 각 그룹의 preamble을 서로 다른 Msg 3 크기와 대응시켜, 기지국으로 하여금 수신된 preamble에 의하여, 대응되는 Msg 3의 크기를 확정하여, Msg 3에 대하여 업링크 수권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 장치의 수량이 비교적 많을 때, 서로 다른 단말 장치가 preamble을 선택할 때 충돌이 발생하여 무작위 접속의 과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단말 장치가 비교적 많을 때, 동일한 그룹의 preamble을 선택할 확률이 증가하여, preamble 충돌이 발생할 확률도 증가한다. 그리고, 2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에서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 중의 앞 두 단계를 통하여 TA 값 등 정보를 취득하여 Msg 3을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2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에서 preamble과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 중의 Msg 3의 크기를 대응시키는 것도 필요가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취득하고 또한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을 진행할 때,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한 메시지에는 프리앰블 시퀀스가 포함될 뿐 아니라, 또한 무작위 접속 정보도 포함된다. 또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한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인 바, 예를 들면,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전송이 동기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SR 전송에 사용될 사용가능한 PUCCH 자원이 없을 때 도달한 전송하고자 하는 업링크 데이터, 업링크 전송이 동기화되지 않았을 때 도달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 등이다.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동일한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개시할 때,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에 송신한 Msg 3에 상당하다. 하지만 4 스탭 무작위 접속 중의 Msg 3와 다른 점이라면, 2 스탭 무작위 접속에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프리앰블 시퀀스와 동시에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될 때, 스케줄링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되어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할 때만 스케줄링 전송된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작위 접속의 방법(500)의 과정 상호작용 도면이다. 도5 중의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단말 장치(20)일 수 있고, 도5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10)일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무작위 접속의 구체적인 과정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510에서, 단말 장치가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해당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2 스탭 무작위 접속을 개시할 때, 우선 자기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확정하는 바, 단말 장치는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자기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하여 무작위로 선택하였기 때문에, 서로 다른 단말 장치가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선택을 진행함과 아울러, 프리앰블 시퀀스의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크게 낮춘다.
520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 즉 트리거 이벤트에 대하여,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다르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RRC Handover Confirm),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예를 들면, 초기 접속의 상황에 있어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RRC 계층이 생성한RRC 연결 요청이고, 단말 장치는 해당RRC 연결 요청을 통하여 초보적으로 네트워크와의 무선 연결을 구성하며, 단말 장치는 RRC 아이들(RRC_IDLE) 상태로부터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로 되며; 전환(handover) 상황에 있어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RRC 계층이 생성한 RRC 전환 완성 메시지로서, 이때 UE는 전환 후의 새 셀과 업링크 동기화를 구성하며; 연결 재구성 상황에 있어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으로서, 단말 장치가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후 무선 연결을 재구성하도록 하며; 업링크 데이터가 도달한 상황 예를 들면 측정 리포트를 리포팅하여야 하거나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때, 업링크 전송이 “동기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 SR) 전송에 사용될 사용가능한 PUCCH 자원이 없을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일 수 있고, SR 전송에 사용될 사용가능한 PUCCH 자원이 없을 때, 이미 업링크 동기화 상태에 처한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을 사용하여 SR의 작용을 대체하도록 허용하며;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한 상황에 있어서, 업링크 전송이 동기화되지 않았을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 예를 들면 응답(Acknowledgement, ACK) 또는 부정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일 수 있다.s
53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제1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제1 메시지에는 해당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54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한 제1 메시지 중의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550과 560을 실행한다.
55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메시지에 의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한다.
560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송신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피드백 메시지는 해당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550과 560에서,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즉 제1 메시지 중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을 뿐 아니라, 또한 성공적으로 제1 메시지 중의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메시지에 의하여 단말 장치로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해당 피드백 메시지를 통하여 해당 무작위 접속 이벤트 완성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제1 메시지 중의 인덱스가 무효인 것으로 여길 수 있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위하여 전송 자원을 구성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읽을 필요가 없다.
해당 피드백 메시지 중에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아울러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한 피드백 정보 즉 무작위 접속 응답(RAR)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RAR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미세 조정을 진행하기 위한 타임 어드밴스(TA) 값 등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 및 정확하게 디코딩하였음을 뜻하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는 것은, 단말 장치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장치가 그 중의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기는 하였지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정확하게 디코딩하지 못하였음을 뜻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한 제1 메시지 중의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도6에 도시된 무작위 접속 과정과 같이,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가 570 내지 590을 실행한다. 이때, 단말 장치는 510에서 개시한 2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으로 폴백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여야 한다.
57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RAR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된다.
580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인덱스에 의하여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응답(RAR)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RAR에는 단말 장치가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단말 장치가 송신한 제1 메시지 중의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이때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으로 폴백되어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여야 하지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에 스케줄링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메시지 중의 인덱스가 지시하는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단말 장치를 위하여 재차 무작위 접속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자원을 구성하여야 한다.
무작위 접속 정보의 내용 크기는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의하여 서로 다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초기 접속, 전환, 재구성,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 도달 이 네 가지 트리거 이벤트에 있어서, 무작위 접속 정보의 내용 크기는 예를 들면 각각 56bit, 144 bit, 208 bit와 256bit일 수 있으나, 무작위 접속 프리앰블 시퀀스의 이용율을 향상시키고,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며, 무작위 접속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장치 업체에서는 또한 무작위 접속 정보 중에 잉여 비트를 증가하며, 이로써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도 변화가 발생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메시지 중의 인덱스에 의하여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취득하고, 또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RAR를 확정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RAR를 송신한다. 해당 RAR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무작위 접속 정보를 위한 자원 수권이 포함되는 외, 또한 단말 장치가 동기화를 진행하기 위한 TA 값 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해당 RAR를 수신한 후, 해당 RAR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590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RAR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RAR를 수신한 후, 해당 RAR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스케줄링 전송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되어 경합 해결을 완성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접속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접속 신호에 의하여 단말 장치로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해당 피드백 메시지를 통하여 해당 무작위 접속 이벤트 완성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송신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가 만일 초기 접속을 진행하기 위한 RRC 연결 요청이라면,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RRC 연결 완성 메시지를 피드백하여 단말 장치로 초기 연결 완성을 통지할 수 있으며;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가 만일 RRC 연결 재구성 요청이라면,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RRC 재구성 완성 메시지를 피드백하여 단말 장치로 연결 재구성이 완성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만일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가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라면,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로 해당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동일한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개시할 때,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에 송신한 Msg 3에 상당한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4 스탭 무작위 접속 중의 Msg 3와 다른 점이라면, 2 스탭 무작위 접속에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는 프리앰블 시퀀스와 동시에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될 때, 스케줄링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되어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할 때만 스케줄링 전송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통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아울러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중에서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낮춘다.
선택적으로, 510 전, 즉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단말 장치가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해당 인덱스를 확정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나아가, 단말 장치가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해당 인덱스를 확정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맵핑 관계를 송신하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제1 메시지 중의 인덱스(index)는 데이터 크기(Data Size) 와 맵핑(mapping) 관계가 존재하며, 해당 맵핑 관계는 네트워크 장치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해당 인덱스는 단지 네트워크 장치가 무작위 접속 정보에 대하여 디코딩 실패한 후 네트워크 장치가 자원 수권을 진행하는 참고이다. 즉 네트워크 장치가 단지 성공적으로 preamble을 수신하였지만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하여야 할 때,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인덱스를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권하는 참고로 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RAR 중의 수권에 의하여 계속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일 단말 장치가 성공적으로 preamble과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해당 index가 무효하다고 여길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확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7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700)에는 처리 유닛(710)과 송신 유닛(7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처리 유닛(710)은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송신 유닛(720)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상기 처리 유닛이 선택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통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아울러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중에서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낮춘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는 또한 수신 유닛이 포함되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인덱스에 의하여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수신하는 바, 상기 RAR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AR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는 또한 수신 유닛이 포함되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송신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710)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지시한다.
해당 단말 장치(700)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의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8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800)에는 수신 유닛(810), 처리 유닛(820)과 송신 유닛(83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수신 유닛(810)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무작위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 이며;
처리 유닛(820)은 상기 수신 유닛(810)이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며;
송신 유닛(830)은 상기 처리 유닛(820)이, 상기 수신 유닛(810)이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고 확정할 때,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송신 유닛(830)은 상기 처리 유닛(820)이, 상기 수신 유닛(810)이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확정할 때, 상기 단말 장치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송신하는 바, 상기 RAR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통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아울러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중에서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낮춘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83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맵핑 관계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도록 한다.
도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9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910), 송수신기(920)와 기억장치(9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910), 송수신기(920)와 기억장치(9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9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910)는 해당 기억장치(9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9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910)는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송수신기(920)는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상기 프로세서가 선택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92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인덱스에 의하여 송신하는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수신하는 바, 상기 RAR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RAR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92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송신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920)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기 전,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9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9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9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9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93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무작위 접속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9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10)가 기억장치(9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900)는 상기 방법(500) 중의 방법(500)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7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9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500)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0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와 기억장치(10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와 기억장치(10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10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1010)는 해당 기억장치(10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10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송수신기(1020)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무작위 접속을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이며;
프로세서(1010)는 상기 송수신기(1020)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며;
송수신기(1020)는 상기 프로세서(1010)가, 상기 송수신기(1020)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고 확정할 때,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송수신기(1020)는 상기 프로세서(1010)가, 상기 송수신기(1020)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확정할 때, 상기 단말 장치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송신하는 바, 상기 RAR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재차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업링크 자원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모든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2 스탭 무작위 접속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서로 다른 무작위 접속 이벤트에 대한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부터 4 스탭 무작위 접속으로 폴백할 때,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에 의하여 이에 대하여 업링크 자원 수권을 진행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4 스탭 무작위 접속을 통하여 재차 해당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아울러 단말 장치의 무작위 접속 중에서 프리앰블 시퀀스가 충돌이 발생할 확률을 낮춘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초기 접속을 진행하는 RRC 연결 요청, 셀 전환 완성을 지시하는 RRC 전환 확인 정보, RRC 연결 재구성을 요청하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 업링크 데이터,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02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맵핑 관계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에는 다수의 데이터 크기와 다수의 인덱스 값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11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10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10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0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10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103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0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무작위 접속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0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10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010)가 기억장치(10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000)는 상기 방법(500) 중의 방법(500)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8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10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500)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일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11의 시스템 칩(11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3), 기억장치(1104)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상기 프로세서(1103) 및 기억장치(11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103)는 상기 기억장치(1104) 중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5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5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확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해당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무작위 접속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단말 장치가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인 것이 포함되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인덱스에 의하여 확정한 업링크 자원 수권을 수신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업링크 자원 수권이 지시한 업링크 자원에 의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 중의 프리앰블 시퀀스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수신하는 바, 상기 RAR에 상기 피드백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AR에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자원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인덱스와 데이터 크기의 대응 관계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방법.
  7.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단말 장치가 2 스탭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에서, 무작위로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을 진행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는 처리 유닛;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상기 처리 유닛이 선택한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인덱스가 포함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인 송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에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인덱스에 의하여 확정한 업링크 자원 수권을 수신하며; 및 상기 업링크 자원 수권이 지시한 업링크 자원에 의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 중의 프리앰블 시퀀스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수신하는 바, 상기 RAR에 상기 피드백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AR에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자원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인덱스와 데이터 크기의 대응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한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단말 장치가 송신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에 무작위 접속에 이용되는 프리앰블 시퀀스, 무작위 접속 정보 및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를 지시하는 데 이용되는 인덱스가 포함되며,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이벤트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송신하는 데이터인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가 송신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확정하는 처리 유닛;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않다고 확정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인덱스에 의하여 확정한 업링크 자원 수권을 송신하는 송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수신 유닛이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업링크 자원 수권이 지시한 업링크 자원에 의하여 4 스탭 무작위 접속 과정을 통하여 송신한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제1 메시지 중의 프리앰블 시퀀스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장치로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무작위 접속 이벤트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무작위 접속 응답(RAR)을 송신하는 바, 상기 RAR에 상기 피드백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RAR에 상기 단말 장치가 무작위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데 이용되는 전송 자원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상기 수신 유닛이, 단말 장치가 송신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맵핑 관계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인덱스와 데이터 크기의 대응 관계이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제1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무작위 접속 정보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기 인덱스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이 또한
    시스템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작위 접속의 네트워크 장치.
  20.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실행은 상기 단말 장치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97027124A 2017-02-28 2017-02-28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408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5244 WO2018157298A1 (zh) 2017-02-28 2017-02-28 随机接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626A KR20190118626A (ko) 2019-10-18
KR102408703B1 true KR102408703B1 (ko) 2022-06-13

Family

ID=6336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124A KR102408703B1 (ko) 2017-02-28 2017-02-28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34422B2 (ko)
EP (2) EP3937587B1 (ko)
JP (2) JP6994041B2 (ko)
KR (1) KR102408703B1 (ko)
CN (1) CN110366868B (ko)
WO (1) WO2018157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9494A (zh) 2017-08-10 2023-09-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确定上行链路发送定时的方法和装置
JP7185758B2 (ja) * 2018-07-25 2022-12-0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信号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端末装置並びにネットワーク装置
KR20210057745A (ko) * 2018-09-10 2021-05-2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파워 램핑 카운터의 제어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CN112771983A (zh) 2018-09-26 2021-05-07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执行两步随机接入信道过程
CN111263464B (zh) * 2019-01-30 2021-12-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设备及介质
US20220124814A1 (en) * 2019-02-01 2022-04-21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1438931B2 (en) * 2019-03-28 2022-09-06 Ofinno, Llc Selec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type in a wireless system
CN111867126A (zh) * 2019-04-30 2020-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和装置
WO2020223843A1 (en) * 2019-05-04 2020-11-12 Qualcomm Incorporated Aggregated up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 for two step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CN112449386B (zh) * 2019-09-02 2022-08-2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记录上报方法及装置
EP4040908A4 (en) * 2019-10-04 2022-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BY A TERMINAL, A DOWNLINK SIGNAL BASED ON A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IN AN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THEREOF
CN113260078A (zh) * 2020-02-07 2021-08-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453343B (zh) * 2020-03-25 2023-04-1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业务的请求方法及装置
CN113518468A (zh) * 2020-04-09 2021-10-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确定配置的方法和设备
CN115333910B (zh) * 2022-08-10 2024-01-2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电力线网络随机接入的帧间干扰连续消除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8637A (zh) 2008-05-22 2009-11-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系统、网络侧接入设备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2796B (zh) 2006-12-29 2012-05-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随机接入过程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2144768A2 (en) * 2011-04-21 2012-10-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dio access with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919885A (zh) * 2013-01-17 2015-09-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动态随机接入资源大小配置和选择
CN104754758A (zh) 2013-12-27 2015-07-01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用户设备、基站及系统
US10034308B2 (en) * 2014-03-11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temporary identifier to terminal in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4981022B (zh) * 2014-04-04 2020-07-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基站及终端
US10548039B2 (en) 2014-12-05 2020-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23066A1 (ko) *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 및 mtc 기기
JP7034906B2 (ja) 2016-05-06 2022-03-1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074122B2 (ja) * 2016-09-28 2022-05-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次世代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
KR102505734B1 (ko) * 2017-01-13 2023-03-03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캐리어 주파수에서 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8637A (zh) 2008-05-22 2009-11-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系统、网络侧接入设备及终端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0464*
3GPP R2-167588*
3GPP R2-17000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66868A (zh) 2019-10-22
EP3937587A1 (en) 2022-01-12
EP3579649A1 (en) 2019-12-11
US20210345199A1 (en) 2021-11-04
EP3579649B1 (en) 2021-09-08
JP2022031881A (ja) 2022-02-22
JP6994041B2 (ja) 2022-01-14
CN110366868B (zh) 2022-11-01
US11134422B2 (en) 2021-09-28
EP3579649A4 (en) 2020-02-19
US11736993B2 (en) 2023-08-22
US20190380071A1 (en) 2019-12-12
EP3937587B1 (en) 2023-08-02
WO2018157298A1 (zh) 2018-09-07
KR20190118626A (ko) 2019-10-18
JP2020513172A (ja)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703B1 (ko) 무작위 접속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617213B2 (en) Method for random access,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220108820A (ko) Msg3의 전송 방법과 장치
KR102401274B1 (ko)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353039B1 (ko)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20210289560A1 (en) Method for selecting random access procedur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2021780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secondary cell
CN114390705A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40080699A1 (en) Sdt failure repor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317757B1 (ko)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RU2742721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боев выполнения пейджинга, устройство сетевого доступа и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ети
TWI676381B (zh) 發送隨機接入前導的方法和終端設備
EP3557937B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2023520690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リソース設定方法及び装置
CN113228786A (zh) 非许可频带中的msg3传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