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674B1 -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 Google Patents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674B1
KR102408674B1 KR1020210081256A KR20210081256A KR102408674B1 KR 102408674 B1 KR102408674 B1 KR 102408674B1 KR 1020210081256 A KR1020210081256 A KR 1020210081256A KR 20210081256 A KR20210081256 A KR 20210081256A KR 102408674 B1 KR102408674 B1 KR 10240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gutter
support
troug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102021008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21C23/142Making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extruding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재배 시설물(비닐하우스, 온실 등)의 지붕과 붕지이 맞닿는 경계부에 비닐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 배출시키는 물받이 거터를 이종재질 결합형으로 제작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보다 안정되고 튼튼한 물받이 구조물 제공이 가능한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재(Fe)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공간부(110)가 마련되며, 상기 홈공간부(110)의 아래측에는 홈통 지지체(120)가 형성되고, 상기 홈통 지지체(120)의 상부에는 경사형 받침부재(130)가 형성되며, 상기 홈통 지지체(120)와 경사형 받침부재(130)는 절곡에 의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알루미늄(Al)을 이용한 일체화 압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중간의 소폭 수평부(21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의 아래측에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이 각각 형성되고, 윗쪽으로는 양팔을 벌린 듯 위로 경사진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이 각각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위에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안착 후 상하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Combined gutter of heterogeneous material with drip tray for crop cultiv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작물재배 시설물(비닐하우스, 온실 등)의 지붕과 붕지이 맞닿는 경계부에 비닐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 배출시키는 물받이 거터를 이종재질 결합형으로 제작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보다 안정되고 튼튼한 물받이 구조물 제공이 가능한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작물재배에 적합한 인위적인 환경(온도,습도 등)을 조성하여 계절과 관계 없이 원하는 시기에 최상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온실 등 작물재배용 시설물들은 다양한 조건 및 구조물들이 설치되지만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아 원하는 곳으로 배수하는 물받이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온실이나 비닐 하우스에 설치되는 물받이는 얇은 철판을 접어 수로를 만들어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농자재 시설물이 날로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물배수 기능과 더불어 온실 설치시 천정을 이루는 서까래 등 파이프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꽂을 수 있는 기능까지 겸비되고 알루미늄으로 일체화 압출성형법에 의해 통으로 제작되는 알미늄 물홈통 압출형 거터가 많이 쓰인다.
현재 국내에서 널리 알려진 기존의 알미늄 물홈통 압출형 거터 중에는 특허등록 제10-1207429호(비닐하우스용 물홈통)가 대표적이다.
이는『 U자 형태의 내측공간(40)을 갖도록 몸통부재(10)를 형성하며, 상기 몸통부재(10)의 상측은 보강공간(20)을 형성하는 한편 그 상측으로 빗물이 모아지는 빗물 배출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 양측으로는 파이프 꽂이(200)가 끼워지는 끼움구(80)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구(80)에는 파이프 꽂이(200)에 형성된 끼움돌기(210)가 끼워지는 끼움홈(81)을 형성하는 한편 바닥에는 결로구멍(12)을 형성하며, 상기 빗물배출부(30)의 상부 양측에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비닐(1)이 끼워져 스프링 앵커(51)로 고정되는 비닐고정홈(50)을 형성하고, 상기 비닐 고정홈(50)의 하부 측면으로는 파이프 꽂이(200)의 걸림홈(220)에 끼워지는 걸림턱(60)과 파이프(2)에 받쳐지는 받침날개(6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파이프 꽂이(200)는 선단에 끼움돌기(210)가 양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끼움구(80)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81)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파이프 꽂이(200)에는 걸림턱(60)이 끼워지는 걸림홈(220)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파이프 꽂이(200)에 형성된 받침편(240)이 받침턱(70)에 받쳐지게 하며, 상기 파이프 꽂이(200)에는 파이프(2)의 하단이 걸쳐지는 받침돌기(23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 꽂이(200)에 끼워진 파이프(2)는 받침날개(61)의 하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 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위 특허선행기술의 알미늄 일체 압출형 물홈통 거터는, 내측공간(40)을 갖추며 U자 형태로 설형된 몸통부재(10)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부 양측으로는 파이프 꽂이(200)가 끼워지도록 하는 끼움구(80)와, 상기 몸통부재(10)의 상측에 빗물이 모아지게하는 빗물 배출부(30)와, 상기 빗물 배출부(30) 양측으로 비닐고정홈(50) 및 파이프 받침날개(61)를 포함하여 양팔을 벌린듯 뻗어있는 구성 전체가 알루미늄(수분과의 접촉시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 압출에 의한 일체화 성형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당히 취약할 뿐 아니라 제조에 따른 원가부담이 커 경제적으로 열악한 농민들에게 널리 보급하기에 부족하다.
즉, 알루미늄(Al) 소재는 일반 철(Fe)에 비해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물홈통 거터 전체를 알미늄 일체화 압출형으로 제작하면, 그 자체로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이를 성형할 수 있는 초대형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 또한 매우 제한적이라 발주처 선정부터 장시간의 제작기간, 초고가의 비용 등 제품수급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알루미늄 소재는 가벼우면서도 물과의 접촉이 빈번할 수 밖에 없는 물받이 기구에 부합하는 내부식성을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철판 등에 비해 강도가 약하여 시공작업 또는 사용 중에 파손되는 경우가 잦아 교체를 요구하는 등 수시로 A/S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온실에 설치되는 물홈통 거터는 물배수 기능뿐 아니라 온실 설치시 천정을 이루는 수 많은 개수의 파이프들(서까래)을 떠 받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당한 하중이 걸리고 특히 사용 중 폭우나 태풍 등 비바람이 몰아치는 경우 더욱 높아지는 하중 부담을 견뎌내야 한다.
현재 쓰이고 있는 알루미늄으로 압출되는 전체 일체형 물홈통 거터는 이를 완벽히 극복하기는 가능하고 새로운 개선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허등록 제10-1207429호(비닐하우스용 물홈통)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빗물과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는 상부는 내부식이 우수한 알루미늄 압출형으로 제작하고, 상당한 하중을 떠받쳐 지지하는 하부의 하부 받침용 홈통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철재(스텐, 철판 등)로 성형한 다음 상하 조립형으로 설계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더욱 견고한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재(Fe)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공간부(110)가 마련되며, 상기 홈공간부(110)의 아래측에는 홈통 지지체(120)가 형성되고, 상기 홈통 지지체(120)의 상부에는 경사형 받침부재(130)가 형성되며, 상기 홈통 지지체(120)와 경사형 받침부재(130)는 절곡에 의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알루미늄(Al)을 이용한 일체화 압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중간의 소폭 수평부(21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의 아래측에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이 각각 형성되고, 윗쪽으로는 양팔을 벌린 듯 위로 경사진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이 각각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위에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안착 후 상하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에 형성된 양측의 파이프꽂이 체결부(221)의 각 하부에는 온실에 덮어지는 비닐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수를 받아 배수하는 결로수 배수부(240)를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꽂이 체결부(221)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윗쪽에 형성된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의 하단에 파이프꽂이(10)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는 걸림턱(221-1)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외면의 하측에는 파이프꽂이(10)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편(221-2)이 돌출되며, 상기 결로수 배수부(240)는,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의 하측 끝부를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에 형성된 각 좌우 경사판(131) 하부 절곡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시킨 다음 외측으로 꺾어진 제1 결로수 배수판(241)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결로수 배수판(241)을 배제하고 좌우 경사판(131) 하부의 절곡부의 위치와 일치되게 맞춰진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의 하단 끝부에 하방향 직선으로 한번 더 절곡된 벌어짐방지판(235)을 형성시킨 다음 그 벌어짐 방지판(235) 끝의 외측으로는 2단으로 꺾어진 제2 결로수 배수판(234)을 형성시키며, 상기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에는 양측에 돌출된 2개의 고정편 사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음각된 비닐고정홈(410)을 포함하는 비닐고정부(400)가 형성되고, 상기 비닐고정홈(410)에는 비닐과 함께 "
Figure 112022029244425-pat00012
"형의 스프링형 클립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비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물재배 시설물 압출형 물받이 거터는,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의 받침부재 위에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가 일체로 조립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상당한 하중이 인가되어도 찌그러지거나 부러질 우려없이 전체적으로 상당히 견고한 골격구조가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에는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평면을 이루는 좌우측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이 간단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파이프꽂이의 구성 및 이의 조립을 위한 구조와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비닐을 고정하는 수단 또한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의 제작방법에 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의 부분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과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의 상하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에 파이프꽂이를 결합한 예시도
본 발명의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철재(Fe)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공간부(110)가 마련되며, 상기 홈공간부(110)의 아래측에는 홈통 지지체(120)가 형성되고, 상기 홈통 지지체(120)의 상부에는 경사형 받침부재(130)가 형성되며, 상기 홈통 지지체(120)와 경사형 받침부재(130)는 절곡에 의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을 구비한다.
또한, 알루미늄(Al)을 이용한 일체화 압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중간의 소폭 수평부(21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의 아래측에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이 각각 형성되고, 윗쪽으로는 양팔을 벌린 듯 위로 경사진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이 각각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구비한다.
이에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위에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안착 후 상하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늄 외의 타금속재로 제작된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위에, 알루미늄 압출성형으로 제작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서로 맞춤형으로 안착시킨 다음 상하 조립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 고가이거나 강도가 취약한 알루미늄 소재의 비중을 줄이고, 저가 또는 더욱 고강성인 철재(일반강재, 탄소강, 합금강 등)로 대체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강도나 지지력 등에 따라 두께 또한 다양하게 선택할 수도 있는 등 소재의 원가절감 또는 구조물의 지지력 증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종 재질간 조립에 의한 결합구조로서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은 알루미늄에 비해 월등한 강도와 지지력을 갖는 금속재 박판 소재를 절단,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강재 파이프를 구입한 다음 이에 맞춤형으로 제작된 전용의 파이프 모양 변형기를 이용해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물받이 홈통 거터의 지지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시공 또는 사용 중 많은 수의 온실의 천정 프레임(파이프)들로부터 아래로 가해지는 상당한 하중과 그 부하로부터 견뎌내는 받침력 증강 및 파손, 붕괴 등 피해 방지에 크게 도움이 된다.
그리고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철재를 이용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홈공간부(110)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
Figure 112022029244425-pat00013
"자형의 홈통 지지체(120)가 형성되고, 홈통 지지체(120) 위에는 양측의 좌우 경사판(131)과 상단 중앙의 홈통측 소폭수평부(132)를 포함하는 경사형 받침부재(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통측 소폭수평부(132)에는 철재 박판을 절단,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절곡 이후 마지막 양끝단부가 서로 만나는 끊어진 부위가 발생되는데, 이 부위는 용접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접합시키면 된다.
만약, 시중에 판매되는 철재 파이프를 이용하고 전용 파이프 가압 변형기로 형상을 변형시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절단, 절곡하는 위 방법과 다르게 끊어진 부위 없이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전체가 완전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접 등의 별도 공정은 필요 없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는 알루미늄(Al) 소재를 이용한 일체화 압출성형법에 의해 제작되며, 중간의 소폭 수평부(210)를 기준으로 양단의 아래측에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폭 수평부(210)의 윗쪽으로는 양팔을 벌린 듯 위를 향해 각각 경사진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이 형성된다.
이때, 양방향 대칭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외측의 경사면에는 다수의 파이프꽂이(10)를 쉽고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체결할 수 있는 파이프꽂이 체결부(221)가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꽂이 체결부(221)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윗쪽에 형성된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의 하단에 파이프꽂이(10)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는 걸림턱(221-1)이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외면의 하측에는 파이프꽂이(10)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편(221-2)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꽂이(10)의 윗부분을 상기 걸림턱(221-1)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끼운 후 후미부분을 내려 스톱편(221-2) 내에 안착시키면 곧바로 체결이 완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후미를 살짝 올린 후 뒤로 빼내기만 하면 쉽게 분리도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파이프꽂이 체결부(221)의 각 하부에는 온실에 덮어지는 비닐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수를 받아 배수하는 결로수 배수부(2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로수 배수부(240)는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의 하측 끝부를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에 형성된 각 좌우 경사판(131) 하부 절곡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시킨 다음 외측으로 꺾어진 제1 결로수 배수판(241)을 형성시키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또 상기 결로수 배수부(240)는 상기 제1 결로수 배수판(241)을 배제하고 좌우 경사판(131) 하부의 절곡부의 위치와 일치되게 맞춰진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의 하단 끝부에 하방향 직선으로 한번 더 절곡된 벌어짐방지판(243)을 형성시킨 다음 그 벌어짐방지판(243) 끝의 외측으로는 2단으로 꺾어진 제2 결로수 배수판(234)을 형성시켜 결로수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결로수 배수의 기능은 물론 이에 더하여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위에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안착 조립시킬 때,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의 양측의 벌어짐방지판(243) 사이에서 더욱 밀착 조립되고,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의 양방향 벌어짐 현상까지 자연스럽게 방지되는 등 맞춤형 조립의 편의성까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 중간의 소폭 수평부(21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의 윗쪽으로 양팔을 벌린 듯 위로 경사진 상기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에는 양측 천정에 덮어지는 비닐을 고정시키는 비닐고정홈(410)을 포함하는 비닐고정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비닐고정부(400)는 양측에 돌출된 2개의 고정편 사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음각된 비닐고정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비닐고정홈(410)에는 비닐과 함께 "
Figure 112022029244425-pat00014
"형의 스프링형 클립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비닐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에 형성된 상기 비닐고정부(400)의 내측으로는, 비닐고정부(400)에 고정된 후 내향으로 각각 더 연장되는 경우에 2겹으로 겹쳐진 비닐의 말단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닐압착고정부(500)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압착고정부(500)도 상기 비닐고정부(400)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돌출된 2개의 고정편 사이에 일정한 깊이로 음각된 비닐압착고정홈(520)을 형성하되, 상기 비닐압착고정홈(520)에는 2겹의 비닐과 함께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빼낼 수 있는 비닐압착고정클립(550)을 끼워 비닐고정부(400)에 고정된 비닐의 말단을 추가로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비닐압착고정클립(550)을 이용하여 2겹의 비닐을 압착 고정하면, 온실 내부로 물의 유입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음으로 인해 방수기능 확보에 매우 효과적이다.
나아가,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에 형성된 비닐고정부(400)의 양측 상단에는 비닐받침날개(440)가 형성됨으로써 온실 천정에 덮어진 양측의 비닐을 각각 받쳐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100: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 110: 홈공간부
120: 홈통 지지체 130: 경사형 받침부재
131: 좌우 경사판 132: 홈통측 소폭수평부
200: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 210: 소폭 수평부
220: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 221: 파이프꽂이 체결부
221-1: 걸림턱 221-2: 스톱편
230: 비닐고정용 설치판 240: 결로수 배수부
241: 제1 결로수 배수판 242: 제2 결로수 배수판
243: 벌어짐방지판 400: 비닐고정부
410; 비닐고정홈 440: 비닐받침날개
500: 비닐압착고정부 520: 비닐압착고정홈
550: 비닐압착고정클립 10: 파이프꽂이

Claims (4)

  1. 철재(Fe)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공간부(110)가 마련되며, 상기 홈공간부(110)의 아래측에는 홈통 지지체(120)가 형성되고, 상기 홈통 지지체(120)의 상부에는 경사형 받침부재(130)가 형성되며, 상기 홈통 지지체(120)와 경사형 받침부재(130)는 절곡에 의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알루미늄(Al)을 이용한 일체화 압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중간의 소폭 수평부(21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의 아래측에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이 각각 형성되고, 윗쪽으로는 양팔을 벌린 듯 위로 경사진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이 각각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 위에 알루미늄 압출형 상부 배수용 안착조립부재(200)를 안착 후 상하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에 형성된 양측의 파이프꽂이 체결부(221)의 각 하부에는 온실에 덮어지는 비닐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결로수를 받아 배수하는 결로수 배수부(240)를 형성하되, 상기 파이프꽂이 체결부(221)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윗쪽에 형성된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의 하단에 파이프꽂이(10)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는 걸림턱(221-1)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 외면의 하측에는 파이프꽂이(10)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편(221-2)이 돌출되며,
    상기 결로수 배수부(240)는,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의 하측 끝부를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에 형성된 각 좌우 경사판(131) 하부 절곡부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시킨 다음 외측으로 꺾어진 제1 결로수 배수판(241)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결로수 배수판(241)을 배제하고 좌우 경사판(131) 하부의 절곡부의 위치와 일치되게 맞춰진 상기 경사형 파이프꽂이 체결판(220)의 하단 끝부에 하방향 직선으로 한번 더 절곡된 벌어짐방지판(243)을 형성시킨 다음 그 벌어짐 방지판(243) 끝의 외측으로는 2단으로 꺾어진 제2 결로수 배수판(242)을 형성시키며,
    상기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에는 양측에 돌출된 2개의 고정편 사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음각된 비닐고정홈(410)을 포함하는 비닐고정부(400)가 형성되고, 상기 비닐고정홈(410)에는 비닐과 함께 "
    Figure 112022029244425-pat00015
    "형의 스프링형 클립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비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제작형 하부 받침용 홈통(100)은, 강재 박판을 절단, 절곡공정을 통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강재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이프 모양 변형기를 통하여 그 형상을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고정용 설치판(230)에 형성된 비닐고정부(400)의 내측에는 양측에 돌출된 2개의 고정편 사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음각된 비닐압착고정홈(520)이 형성된 비닐압착고정부(5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비닐압착고정홈(520)에는 비닐과 함께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빼낼 수 있는 비닐압착고정클립(550)을 끼워 비닐고정부(400)에 고정된 비닐의 말단을 추가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KR1020210081256A 2021-06-23 2021-06-23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KR10240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56A KR102408674B1 (ko) 2021-06-23 2021-06-23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56A KR102408674B1 (ko) 2021-06-23 2021-06-23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674B1 true KR102408674B1 (ko) 2022-06-13

Family

ID=8198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256A KR102408674B1 (ko) 2021-06-23 2021-06-23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4B1 (ko) * 2022-09-15 2023-04-11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와이드 온실하우스용 거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7639A1 (fr) * 2002-03-19 2003-09-25 Green Tec Co., Ltd. Dispositif de noue pour serre, materiau de noue et procede de mise en tension d'un film plastique
KR100929772B1 (ko) * 2009-05-26 2009-12-03 엠에스건설주식회사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KR101207429B1 (ko) 2012-09-28 2012-12-04 팜스코 주식회사 비닐하우스용 물홈통
JP2018199990A (ja) * 2017-05-25 2018-12-20 株式会社萬道総業 薄板屋根部材と軒下唐草部材の係合構造とその組み立て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7639A1 (fr) * 2002-03-19 2003-09-25 Green Tec Co., Ltd. Dispositif de noue pour serre, materiau de noue et procede de mise en tension d'un film plastique
KR100929772B1 (ko) * 2009-05-26 2009-12-03 엠에스건설주식회사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KR101207429B1 (ko) 2012-09-28 2012-12-04 팜스코 주식회사 비닐하우스용 물홈통
JP2018199990A (ja) * 2017-05-25 2018-12-20 株式会社萬道総業 薄板屋根部材と軒下唐草部材の係合構造とその組み立て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4B1 (ko) * 2022-09-15 2023-04-11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와이드 온실하우스용 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1659A (en) Gutter protector
US8286390B2 (en) Removable downspout for a gutter system
US9422722B2 (en) Mesh gutter cover
KR100929772B1 (ko) 온실 하우스용 곡부홈통
KR102408674B1 (ko) 작물재배 시설물의 물받이 이종재질 결합형 거터
US8402697B1 (en) Gutter cover with rear compound bend
US20070044387A1 (en)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having a fluid directing assembly
KR101207429B1 (ko) 비닐하우스용 물홈통
JP2022009705A (ja) 簡易構造物
EP2921800B1 (en) Clamping means for fastening frameless solar modules
US20210062577A1 (en) Screen enclosure frame component assembly
EP0511717B1 (en) Glasshouse and gutter edge profile therefor
KR101683537B1 (ko) 내부 물받이를 갖는 연동 비닐하우스
NL1036694C2 (nl) Dakconstructie.
JP6376415B2 (ja) 植栽ルーバ構造
KR101531014B1 (ko) 온실용 프로파일
JP5926207B2 (ja) 簡易構造物
US20040163329A1 (en) Eaves beam with internal drainage
JP2010136681A (ja) 結露水回収装置
JP4301447B2 (ja) 壁面緑化プランター並びにこの壁面緑化プランターの取付方法及び灌水方法
JP3041417U (ja) ビニールハウス用結露水排水装置
US20040083657A1 (en) Gutter and cover system
KR200372615Y1 (ko) 비닐하우스 프레임 체결구조
CN205591344U (zh) 篷房
JP5990111B2 (ja) 簡易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