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421B1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421B1
KR102408421B1 KR1020150116326A KR20150116326A KR102408421B1 KR 102408421 B1 KR102408421 B1 KR 102408421B1 KR 1020150116326 A KR1020150116326 A KR 1020150116326A KR 20150116326 A KR20150116326 A KR 20150116326A KR 102408421 B1 KR102408421 B1 KR 10240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ensing electrode
grids
sub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673A (ko
Inventor
예재헌
정회원
김상호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5011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4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TOUCH SCREEN PANEL OF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AND SENSING ELECTRODE SENSOR INCLUD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에 포함된 감지 전극 센서에 관한 것이다.
터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으로서,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터치 입력 장치는 근래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많이 장착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터치입력 지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테스크탑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V), 최첨단 전투기, 탱크, 장갑차 등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다.
저항막 방식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두 장의 기판으로 구성되며, 손가락이나 펜을 통해 압력을 주면 그 부위의 기판이 서로 달라붙으며 위치를 인지하는 방식이다.
정전용량 방식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내구성이 강하고 투과성이 좋으며 반응시간이 빨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접촉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판 아래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터치 패널은 구동 전극(driving electrode)과 감지 전극(sensing electrode)으로 구성되는데, 각각 x축 내지 y축 방향으로 배치하여 직교좌표계 형태의 전극 패턴으로 구성하거나 다이아몬드 형태의 전극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교좌표계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전극 패턴은 패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면적이 작아 터치 감도가 낮으며,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되는 경우 선형적 입력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윈드밀 형태의 전극 패턴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의 레이어(layer) 상에 배치된 구동 전극과 감지 전극의 패턴은 윈드밀 형태의 패턴 셀(30)로 구성된다. 윈드밀 형태의 패턴 셀(130)은 제1 전도성 라인(10) 또는 제2 전도성 라인(20)을 테두리로 하여 복수의 요청이 포함된 윈드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동 전극 및 감지 전극의 패턴을 윈드밀 형태의 패턴으로 구성함으로써 패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길이를 증가시켜 커패시턴스 변화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키고 터치스크린 패널의 선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존의 윈드밀 패턴들은 RX 채널과 TX 채널 간의 상호 교차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패시턴스 변화에 대한 감도 및 선형성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4354호, 2012.04.09. 공고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 전극을 주 패턴 영역과 부 패턴 영역으로 형성하되 감지 전극 간의 부 패턴 영역을 공유하도록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보다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들 중 일부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 패턴부는 상기 주 패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부 패턴부와 상기 주 패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부 패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한 다수의 감지 전극들 각각을 구성하는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제1 기판의 상부에 제1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및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기판 상에 제2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축 방향과 상기 제2 축 방향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보다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들 중 일부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 패턴부는 상기 주 패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부 패턴부와 상기 주 패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부 패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한 다수의 감지 전극들 각각을 구성하는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감지 전극을 주 패턴 영역과 부 패턴 영역으로 형성하되 감지 전극 간의 부 패턴 영역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방식 대비 정전용량 변화량 증가 및 인접 노드 사이의 IRP(Interpolation Response Profile)의 선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 용량 간섭을 극대화하여 터치의 정확도 및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의 노드 영역을 RX 패턴의 피치의 1/n에 해당하는 레벨로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펜을 통한 미세 터치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윈드밀 형태의 전극 패턴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전극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전극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전극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영역을 공유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감지 전극을 주 패턴 영역과 주 패턴 영역의 양측에 연결된 부 패턴 영역으로 형성하되 인접한 감지 전극들 간의 부 패턴 영역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하여 일부 채널 영역을 공유하도록 하는 새로운 감지 전극 센서 구조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전극이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전극은 보호판(100), 감지 전극이 형성되는 제1 센서부(200), 구동 전극이 형성되는 제2 센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100)은 감지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감지 전극이 형성되는 제1 센서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부(200)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의 상부에 제1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sensing electrodes)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부(200)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전극들은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전극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CNT(Carbon Nano Tube), 및 전도성 고분자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부(300)는 제1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의 상부에 제2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driving electrode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구동 전극들은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들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전극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CNT(Carbon Nano Tube), 및 전도성 고분자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전극이 형성되는 제1 기판과 구동 전극이 형성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은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 소재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판은 투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투명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mide), 아크릴(Acry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글라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축 방향은 x축 방향을 나타내고 제2 축 방향은 y축 방향을 나타내거나 반대로 제1 축 방향은 y축 방향을 나타내고 제2 축 방향은 x축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센서부(200)에 다수의 감지 전극들이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인접한 감지 전극 간의 일부 패턴이 상호 교차하되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인접한 감지 전극 간의 일부 패턴이 상호 교차되어 채널이 공유되는 구간이 터치되는 경우 인접 두 채널 모두에 동일한 수준의 정전 용량 변화량이 감지되고, 하나의 채널이 터치되면 일정 기울기를 갖는 형태의 선형도가 높은 IRP(Interpolation Response Profile) 특성을 갖기 때문에 터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이다.
제1 센서부(200)를 정면에서 바라 봤을 때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이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전극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전극(210)은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210a)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210b, 210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 패턴부는 주 패턴부(210a)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부 패턴부(210b)와 주 패턴부(210a)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부 패턴부(2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모두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로 형성되는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보다 제2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은 제1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보다 2배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제2 패턴과의 경계(220)에서 제2 패턴의 그리드들과 연결되고,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제2 패턴과의 경계에서 끊어져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부 패턴부의 그리드 간 간격을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인접한 다른 감지 전극의 부 패턴부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제1 패턴과 동일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패턴의 가장자리가 끊어져 개방되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부 패턴부(210c)의 가장자리(230)에서 제2 패턴으로 형성된 그리드들이 끊어져 개방되어 형성되되 길이가 다르게 형성 즉, 짧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전극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감지 전극 센서 즉, 제1 센서부(200)에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 중 홀수번째 감지 전극(211, 213)을 보여주고 있다. 1번째 감지 전극(211)은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211a)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211b, 211c)로 형성되고, 3번째 감지 전극(213)은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213a)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213b, 213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1번째 감지 전극(211)과 3번째 감지 전극(213)의 사이에는 도 4b의 2번째 감지 전극(212)가 위치하게 되고, 3번째 감지 전극(213)과 5번째 감지 전극의 사이에는 도 4b의 4번째 감지 전극(214)에 위치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감지 전극 센서 즉, 제1 센서부(200)에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감지 전극들 중 짝수번째 감지 전극(212, 214)을 보여주고 있다. 2번째 감지 전극(212)은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212a)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212b, 212c)로 형성되고, 4번째 감지 전극(214)은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214a)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214b, 214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0번째 감지 전극과 2번째 감지 전극(212)의 사이에는 도 4a의 1번째 감지 전극(211)가 위치하게 되고, 2번째 감지 전극(212)과 4번째 감지 전극의 사이에는 도 4a의 3번째 감지 전극(213)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영역을 공유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1번째 감지 전극(211)과 2번째 감지 전극(212)이 채널 영역 즉, 제1 번째 감지 전극(211)의 부 패턴부(211c)와 2번째 감지 전극(212)의 부 패턴부(212b)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제1 번째 감지 전극(211)의 부 패턴부(211c)와 2번째 감지 전극(212)의 부 패턴부(212b)는 상호 교차하되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일부 채널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호판
200: 제1 센서부
210: 감지 전극
300: 제2 센서부

Claims (18)

  1.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보다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다수의 감지 전극들 각각을 구성하는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부 패턴부는, 상기 주 패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부 패턴부와 상기 주 패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부 패턴부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패턴과의 경계에서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패턴과의 경계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들 중 일부가 가장자리에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기판의 상부에 제1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주 패턴부와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부 패턴부로 형성되어 인접한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 전극들; 및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기판 상에 제2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구동 전극들;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상호 교차하는 격자 형상의 그리드들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보다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간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다수의 감지 전극들 각각을 구성하는 부 패턴부들 간에 서로 교차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부 패턴부는, 상기 주 패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부 패턴부와 상기 주 패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부 패턴부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과 상기 제2 축 방향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패턴과의 경계에서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상기 제2 패턴과의 경계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가장 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드들 중 일부가 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그리들 중 일부가 가장자리에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감지 전극 센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116326A 2015-08-18 2015-08-1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KR10240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26A KR102408421B1 (ko) 2015-08-18 2015-08-1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26A KR102408421B1 (ko) 2015-08-18 2015-08-1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73A KR20170021673A (ko) 2017-02-28
KR102408421B1 true KR102408421B1 (ko) 2022-06-14

Family

ID=5854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326A KR102408421B1 (ko) 2015-08-18 2015-08-1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4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6342A (ja) * 2013-12-02 2015-06-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870B (zh) * 2011-02-18 2016-06-01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片和触控面板
KR101134354B1 (ko) 2011-10-07 2012-04-0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윈드밀 형태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커패시턴스 감도 및 선형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6342A (ja) * 2013-12-02 2015-06-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73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267B2 (en) Touch detection method and touch detector performing the same
US20110050631A1 (en) Touch sensor
US20120139864A1 (en) Position-sensing and force detection panel
US9785298B2 (en) Capacitive controller
KR20130120815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376887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CN201489506U (zh) 电容式触控面板
US8907919B2 (en) Sensing structure of touch panel
US9535554B2 (e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US9645684B2 (en) Self-capacitive touch panel and conductive layer structure thereof
CN104951161A (zh) 具有触控功能的液晶显示器及其导电层结构
US20150324044A1 (en) Capacitive touch sensor architecture with adjustable resistance and noise reduction method
KR102183655B1 (ko) 표시 장치
KR101969831B1 (ko) 터치 센서 패널
US20160132180A1 (en) Capacitive Touch Circuit and Touch Sensor and Capacitive Touch System Using The Same
US20150309604A1 (en) Touch panel module
CN101976162A (zh) 电容触摸屏单层布线方法
KR102408421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감지 전극 센서
US20170060333A1 (e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101460772B1 (ko) 촉각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44533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2408422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이의 구동 전극 센서
KR101447543B1 (ko) 터치 센서 패널
KR2016008968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26303B1 (ko) 터치 센서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