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255B1 -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 - Google Patents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255B1
KR102408255B1 KR1020200084153A KR20200084153A KR102408255B1 KR 102408255 B1 KR102408255 B1 KR 102408255B1 KR 1020200084153 A KR1020200084153 A KR 1020200084153A KR 20200084153 A KR20200084153 A KR 20200084153A KR 102408255 B1 KR102408255 B1 KR 10240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rt
bolt
tuning
cover
cavit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610A (ko
Inventor
구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1013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튜닝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홈; 및 상기 볼트 홈의 바닥부이며 탄성을 가지도록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홈에 삽입된 튜닝 볼트가 상기 탄성부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튜닝이 이루어진다. 개시된 필터에 의하면, 일체화된 탄성 구조를 필터 커버에 적용하여 튜닝 시PIMD에 의한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튜닝 볼트의 자동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튜닝 볼트 고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RF Cavity Filter Using Elastic Structure of Cover}
본 발명은 RF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입력되는 신호 중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RF 필터의 대역 통과 주파수는 필터의 인덕턴스 성분 및 캐패시턴스 성분에 의해 정해진다. 필터는 캐비티의 사이즈, 캐비티의 수, 공진기의 구조 등을 적절히 설정하여 원하는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되나, 가공 오차나 다른 요인 등으로 인해 원하는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의 제작 후에 튜닝 과정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RF 캐비티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튜닝 볼트(112)는 커버(106)를 통해 관통된다. 튜닝 볼트(11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튜닝 볼트의 외주면 및 커버의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튜닝 볼트(112)의 회전에 의해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가 정해진다.
튜닝 볼트(112)의 삽입 깊이에 따라 공진기(110)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삽입 깊이의 가변을 통해 튜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튜닝 볼트(112)는 수작업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튜닝 머신이 이용될 수도 있다.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 볼트를 고정시키며, 너트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튜닝 볼트를 고정한다.
이러한 튜닝 볼트를 이용한 종래의 필터 튜닝 구조는 튜닝 볼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튜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금 또는 소재의 파편들이 필터 내부로 떨어져 PIMD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튜닝이 완료된 후 너트를 통해 튜닝 볼트를 고정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일일이 너트를 고정하는 작업은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커버와 일체화된 탄성 구조를 필터 커버에 적용하여 튜닝 시PIMD에 의한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RF 캐비티 필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닝 볼트의 자동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튜닝 볼트 고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RF 캐비티 필터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튜닝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홈; 및 상기 볼트 홈의 바닥부이며 탄성을 가지도록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홈에 삽입된 튜닝 볼트가 상기 탄성부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튜닝이 이루어지는 RF 캐비티 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볼트 홈 및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의 소정 영역을 절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RF 캐비티 필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볼트 홈의 내주면 및 상기 튜닝 볼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닝 볼트는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 홈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에는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주름 구조는 다수의 주름이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주름 구조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공진기는 상하로 정렬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닝 볼트의 중앙부에는 상기 튜닝 볼트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에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다른 영역보다 낮은 박막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에는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튜닝 볼트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형상이 변화되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공진기의 거리 변화에 의해 튜닝이 이루어지는 RF 캐비티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RF 캐비티 필터는 커버와 일체화된 탄성 구조를 필터 커버에 적용하여 튜닝 시PIMD에 의한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 캐비티 필터는 튜닝 볼트의 자동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튜닝 볼트 고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RF 캐비티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대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 단면 구조 및 평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닝 볼트의 삽입에 따른 탄성부의 형상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의 커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의 커버에 튜닝 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대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는 커버(200), 튜닝 볼트(210), 하우징(220) 및 공진기(230)를 포함하며, 도 2는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커버(2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우징과 결합되어 RF 캐비티 필터의 차폐 구조를 형성한다. 커버(200)와 하우징(220)은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결합된다. 커버(200)와 하우징(220)의 결합에는 다양한 결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볼트 결합, 솔더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커버(200)에는 필터의 튜닝을 위한 튜닝 볼트(210)가 결합된다. 커버(200)에는 튜닝 볼트(210)의 결합을 위한 볼트 홈이 형성되며, 볼트 홈으로 튜닝 볼트가 삽입된다. 볼트 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튜닝 볼트(210)는 볼트 홈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회전하면서 볼트 홈 내부로 삽입된다.
하우징(220)에는 다수의 격벽을 통해 다수의 캐비티(260)가 정의된다. 각 캐비티(260)에는 공진기(230)가 수용된다. 하우징(220)에 형성되는 다수의 캐비티(260) 각각에서 독립적인 공진이 이루어지며, 캐비티(260)에서 이루어지는 공진에 의해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다수의 캐비티 각각에 수용되는 공진기(230)는 캐비티의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 형상을 가진다. 공진기(230)는 캐비티 필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엘리먼트로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공진기(230)가 본 발명의 RF 캐비티 필터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에 형성되는 캐비티 각각은 필터의 LC 모듈로 기능하며, 여기서 L은 인덕턴스를 의미하고 C는 캐패시턴스를 의미한다. 각 캐비티에서의 공진 주파수는 공진기(23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캐패시턴스(C)는 공진기(230)와 커버(200)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캐비티(260) 및 공진기(230)의 사이즈와 형태는 요구되는 필터의 통과 대역에 기초해서 미리 결정된다. 그러나, 필터의 제조 과정에서 가공 오차로 인해 원하는 형태 및 사이즈로 캐비티(260) 및 공진기(230)가 제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의도한 필터의 통과 대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공 오차 및 기타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과 대역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된 필터에 대해 튜닝 작업이 진행된다.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필터 튜닝은 튜닝 볼트를 캐비티 내부로 삽입하고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졌다.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 조절에 의해 공진기와 튜닝 볼트 종단과의 거리가 변화되며, 거리 변화에 따라 캐패시턴스 값이 변화하면서 캐비티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되면서 필터의 튜닝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튜닝 구조는 튜닝 볼트의 회전 시 금속 파편들이 필터 내부로 떨어지고, 떨어진 금속 파편들은 필터의 PIMD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 볼트는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튜닝 볼트의 고정에도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커버에 일체화된 구조로 탄성부를 형성하고 튜닝 볼트가 커버에 형성된 탄성부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의 형성 변화를 통해 튜닝을 수행하는 RF 캐비티 필터를 제안한다.
커버에 형성되는 탄성부의 상세한 구조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에는 볼트 홈(300)이 형성된다. 볼트 홈(300)은 커버(200)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며 볼트 홈(300)은 다양한 가공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홈(300)은 절삭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밀링 머신과 같은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커버(200)로부터 볼트 홈(300)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홈(300)은 펀칭 또는 프레싱과 같은 가압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볼트 홈(300)의 사이즈는 튜닝 볼트(210)의 사이즈에 상응하며, 볼트 홈(300)의 내주면 및 튜닝 볼트(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볼트 홈(300)의 바닥부는 박막 형태를 가지며, 볼트 홈(300)의 바닥부가 탄성부(350)로 기능한다. 볼트 홈(300)으로 튜닝 볼트(210)가 삽입되면, 튜닝 볼트(210)는 탄성부(350)에 접촉하게 되고 튜닝 볼트(210)가 탄성부(350)에 외력을 제공하면서 탄성부(350)가 변형된다.
볼트 홈(300)의 내주면 및 튜닝 볼트(21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에, 튜닝 볼트(210)를 회전시키면서 튜닝 볼트(210)가 볼트 홈 내부로 삽입되며, 튜닝 볼트(210)의 회전 수가 증가할수록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가 증가한다. 튜닝 볼트(210)가 탄성부(350)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계속적으로 삽입되면 튜닝 볼트(210)가 삽입되는 깊이에 상응하여 탄성부(350)는 하향으로 신장된다. 튜닝 볼트(210)가 삽입되는 깊이가 증가할수록 탄성부(350)의 신장 정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커버(2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부(35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는 두께가 되도록 성형된다. 일례로, 커버(2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된 후 은도금 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350)의 형상 변화 정도는 기존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는 튜닝 볼트의 삽입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탄성부(350)를 이용하여 튜닝이 이루어질 때의 튜닝 범위가 더 작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튜닝 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탄성부(350)는 주름 구조를 가진다. 또한, 탄성부(350)의 중앙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형상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탄성부(350)는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탄성부(350)에 적용될 경우, 탄성부(350)가 평판인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튜닝 범위가 확보될 수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에 의해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해지고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에 의해 공진기와의 거리가 다양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주름 구조는 하향 돌출 구조뿐만 아니라 상향 돌출 구조도 가능하며, 요구되는 탄성 계수 및 탄성부의 변형 형태에 기초하여 상향 돌출 구조의 주름과 하향 돌출 구조의 주름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향 돌출 구조의 주름 구조와 하향 돌출 구조의 주름 구조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50)에 형성되는 주름부는 다수의 동심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3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다수의 동심원이 하향 돌출되면서 주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동심원의 개수 및 간격은 요구되는 튜닝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 단면 구조 및 평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가 형성된 커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50)에 형성되는 주름부는 나선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나선형 구조 영역에서 하향 돌출되면서 주름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나선형의 형태는 요구되는 튜닝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름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주름 구조가 튜닝 범위 확대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튜닝 볼트에 의한 탄성부의 형상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에서 각 캐비티(260)에는 공진기(230)가 설치되고, 공진기(230)는 하우징의 바닥부에 결합된다. 공진기(230)는 볼트 또는 솔더링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바닥부에 결합된다.
캐비티(260)에서 공진기(230)와 탄성부(350)는 상하로 정렬하여 위치한다. 즉, 탄성부(350)의 하부에 공진기(2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공진기(230)의 센터부와 탄성부(350)의 센터부가 상하로 정렬된다.
캐비티(260)의 공진 주파수는 탄성부(350)와 공진기(230) 상단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탄성부(350)와 공진기(230)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튜닝을 수행하기 위해 탄성부(350)와 공진기(230)가 상하로 정렬되어 위치한다.
볼트 홈(300)에 삽입되는 튜닝 볼트(210)의 중앙 하부에는 돌출부(600)가 형성되며, 튜닝 볼트(210)의 돌출부(600)는 볼트 홈(300) 및 튜닝 볼트(210) 본체의 사이즈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부(600)는 탄성부(350)에 접촉하여 탄성부(350)에 외력을 제공한다.
돌출부(600)가 탄성부(350)에 비해 단면적이 작으므로, 돌출부(600)는 탄성부(350)의 중앙 영역에 집중적으로 외력을 제공하여 탄성부(350)를 변형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닝 볼트의 삽입에 따른 탄성부의 형상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튜닝 볼트(210)가 탄성부(350)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계속적으로 하강할 경우, 튜닝 볼트(210)의 돌출부(600)가 탄성부(350)에 외력을 제공하면서 탄성부(350)의 중앙부가 하향 방향으로 신장된다. 튜닝 볼트(210)의 돌출부가 탄성부(350)의 중앙부에 대해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중앙부가 볼록한 봉우리와 같이 형상 변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탄성부(350)에 형성되는 주름 구조들은 탄성부(350)의 형상 변화가 동일한 힘에 대해 보다 높은 민감도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주름 구조의 하향 돌출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공진기와 탄성부 사이의 거리가 다변화되므로 보다 넓고 미세한 튜닝 범위를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탄성부(350)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변형된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튜닝 볼트(210)에 가하게 되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튜닝 볼트가 자동적으로 고정되고 별도의 너트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의 커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800)에는 역-T(Inverse-T) 형태의 볼트 홈(900)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홈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홈이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800)의 볼트 홈은 홈의 직경이 소정 지점에서 증가하는 역-T 구조를 가진다.
결국, 본 발명의 볼트 홈(900)은 작은 직경 부분과 큰 직경 부분으로 구분되며, 작은 직경 부분의 직경은 삽입되는 튜닝 볼트의 직경에 상응하여 설정된다. 큰 직경 부분의 직경은 삽입되는 튜닝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도 8에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역-T 형태의 볼트 홈(900) 중 작은 직경 부분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튜닝 볼트의 회전을 통해 튜닝 볼트이 삽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볼트 홈(900)에 의해 커버(800)에는 박막부가 형성되며, 박막부는 탄성부(950)로 기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필터의 커버에 튜닝 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튜닝 볼트(100)는 볼트 홈(900)의 작은 직경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회전하면서 삽입되며, 탄성부(950)를 가압하여 탄성부(950)를 변형시킨다.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탄성부(950)에는 일부가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탄성부(950)의 변형에 의해 탄성부는 하향 방향으로 신장되며, 이를 통해 공진기와의 거리 변화가 발생하면서 필터의 튜닝이 이루어진다. 볼트 홈(900)이 역-T 형태의 구조이기 때문에 튜닝 볼트(1000)가 삽입된 후에 양 측에 잔여 공간(1100, 1200)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잔여 공간이 발생하는 볼트 홈(900)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보다 큰 튜닝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튜닝 볼트(1000)의 가압에 따른 변형 정도가 증가하여 튜닝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역-T형 구조로 인한 잔여 공간(1100, 1200)에 튜닝 볼트(1000)의 삽입 시 발생하는 금속 파편들이 수용될 수 있어, 금속 파편으로 인한 마모 및 특성 저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튜닝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홈; 및
    상기 볼트 홈의 바닥부이며 탄성을 가지도록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홈에 삽입된 튜닝 볼트가 상기 탄성부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튜닝이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 홈 및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의 소정 영역을 절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볼트 홈은 역-T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튜닝 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역-T 형상의 볼트 홈으로 인해 상기 튜닝 볼트의 양측에는 잔여 공간이 형성되어 튜님 범위가 확되되고 금속 파편들이 수용되는 RF 캐비티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를 더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홈의 내주면 및 상기 튜닝 볼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닝 볼트는 회전에 의해 상기 볼트 홈 내부로 삽입되는 RF 캐비티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다수의 주름이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공진기는 상하로 정렬되어 위치하는 RF 캐비티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볼트의 중앙부에는 상기 튜닝 볼트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에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RF 캐비티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11.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다른 영역보다 낮은 박막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에는 부분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튜닝 볼트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형상이 변화되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공진기의 거리 변화에 의해 튜닝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튜닝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홈의 바닥부가 상기 탄성부로 기능하며,
    상기 볼트 홈 및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의 소정 영역을 절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볼트 홈은 역-T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튜닝 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역-T 형상의 볼트 홈으로 인해 상기 튜닝 볼트의 양측에는 잔여 공간이 형성되어 튜님 범위가 확되되고 금속 파편들이 수용되는 RF 캐비티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홈의 내주면 및 상기 튜닝 볼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다수의 주름이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공진기는 상하로 정렬되어 위치하는 RF 캐비티 필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는 주름 구조가 더 형성되는 RF 캐비티 필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00084153A 2020-04-22 2020-07-08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 KR102408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48 2020-04-22
KR20200048448 2020-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10A KR20210130610A (ko) 2021-11-01
KR102408255B1 true KR102408255B1 (ko) 2022-06-13

Family

ID=7851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153A KR102408255B1 (ko) 2020-04-22 2020-07-08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417A (ko)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캐비티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77B1 (ko) * 2022-04-12 2024-02-05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캐비티형 무선 주파수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76B1 (ko) * 2018-04-13 2020-02-1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imd로 인한 성능 저하에 강인한rf 캐비티 필터 및 rf 캐비티 필터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417A (ko) 2022-07-25 2024-02-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캐비티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10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255B1 (ko) 커버의 탄성 구조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
CN108631027B (zh) 利用弹性体的rf腔体滤波器及其制造方法
US6466109B1 (en) Dielectric filter having non-conductive adjusting regions
US6522225B2 (en) Coupling mechanisms for dielectric resonator loaded cavity filters
US4630012A (en) Ring shaped dielectric resonator with adjustable tuning screw extending upwardly into ring opening
WO2018129719A1 (zh) 腔体谐振器、滤波器及通信设备
KR20190082026A (ko) 데브리(debris) 유입 방지를 위해 고탄성 플레이트 탄성체를 갖는 RF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0354B1 (ko) 튜닝 구조가 일체화된 커버를 가지는 rf 캐비티 필터
KR102077476B1 (ko) Pimd로 인한 성능 저하에 강인한rf 캐비티 필터 및 rf 캐비티 필터 제조 방법
KR101954641B1 (ko) 탄성체를 이용한 튜닝 구조를 가지는 rf 캐비티 필터
KR102172764B1 (ko) 셀프 락 구조를 갖는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69577A (ko) 탄성 시트를 이용하는 rf 캐비티 필터
WO2000038269A1 (en) A sleeve in a radio frequency filter
KR101932975B1 (ko) 탄성체를 이용한 rf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461879B (zh) 腔体滤波器
CN215869731U (zh) 一种腔体式滤波器及腔体式滤波器用的自锁调谐螺钉
KR20220001664A (ko) 포밍에 의해 튜닝이 이루어지는 rf 캐비티 필터
KR20220058107A (ko) 탄성체 튜닝을 이용하는 rf 매크로 캐비티 필터
KR102439016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66787A (ja) 吸音材の製造方法
CN114006138A (zh) 一种腔体式滤波器及腔体式滤波器用的自锁调谐螺钉
EP0533394A2 (en) Filter comprising a resonator rod mounted on a base plate
KR20100079292A (ko) Pimd에 의한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rf 캐비티 필터 및 이에 적용되는 튜닝 구조
KR101009276B1 (ko) 안정적인 슬라이딩 구조의 튜너블 필터
CN110544810B (zh) 具备调谐螺栓的腔体滤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