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891B1 -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891B1
KR102407891B1 KR1020210119460A KR20210119460A KR102407891B1 KR 102407891 B1 KR102407891 B1 KR 102407891B1 KR 1020210119460 A KR1020210119460 A KR 1020210119460A KR 20210119460 A KR20210119460 A KR 20210119460A KR 102407891 B1 KR102407891 B1 KR 10240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user
health
nutrients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트리션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트리션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트리션코트
Priority to KR102021011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891B1/ko
Priority to JP2022570267A priority patent/JP2023536039A/ja
Priority to EP21939981.3A priority patent/EP4138090A1/en
Priority to PCT/KR2021/017264 priority patent/WO2022270694A1/ko
Priority to KR1020220048660A priority patent/KR20230036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91B1/ko
Priority to US17/939,947 priority patent/US2023008314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1Detecting or monitoring allergy or intolerance reactions to an allergenic agent or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함 - ;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은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SEARCH REFLECTING INDIVIDUAL HEALTH ST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생활을 위하여 섭취해야 하는 다양한 영양소에 대한 관심은 현대인들에게 특히 중요한 이슈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추세에 따라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에는 이러한 영양 정보가 일반적으로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식재료, 음식, 건강 기능 식품 등의 명칭 등을 검색어로 입력하면, 해당 식재료, 음식, 건강 기능 식품 등에 포함된 영양소에 대한 정보, 영양소의 효과(질병 개선, 예방 효과 등)에 관한 정보, 열량(칼로리) 정보 등 다수의 사용자들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일반적인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형태에 그치고 있다.
사용자 개인의 건강 상태, 또는 이에 기초한 장래의 특정 질병에 대한 위험도 등으로 인해 사용자마다 필요한 영양소가 상이하지만, 이러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영양 정보는 그러한 사용자 개개인의 특징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제약들 및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맞춤형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각각의 특성을 반영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JP 2015-194807 A KR 10-2019-0074474 A KR 10-2014-0068726 A
본 발명은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함 - ;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은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함 - ; 및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S350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의 S350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말(10,…,N),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 데이터 베이스 서버(30) 및 네트워크(40)를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단말(10,…,N)은 네트워크(4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N)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가전 디바이스, 의료 디바이스,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0,…,N)은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0,…,N)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통해 개인 정보(식별 정보, 연령, 성별, 체중, 알레르기 유무, 복용 의약품 등)를 입력받아 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 및/또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자원, 저장 자원 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단말(10,…,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제어 서버, 데이터 저장 서버,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등 다양한 종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프로세스를 단독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가 같이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하여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소정의 검색 대상에 대한 검색어(식품, 식재료, 건강 기능 식품, 영양소 등의 명칭)를 입력하면, 이를 기초로 맞춤형 건강 정보를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병원, 검진 기관, 보건소 등) 및/또는 국가 기관(예를 들어, 국민건강보험공단, 식약처 등)이 데이터의 유지, 보수를 위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정한 자격을 지닌 사용자 또는 사업자 등에게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건강 검진 정보, 진료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30)에 저장 정보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의 요청에 따라 전달되어 맞춤형 영양 정보의 제공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 단말(10,…,N),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30)가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1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또는 문진 정보를 수신하고, 220 단계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검진 정보 및/또는 진료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건강 검진 정보는 의료 기관에서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분석 결과(또는 검사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료 정보는 건강 검진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 기관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질병 유무 등을 판단한 진단 정보 또는 투약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210 단계와 S220 단계 중 하나의 단계만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S230 단계 및 S24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건강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검사 항목 각각에 대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하고,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및 검사 항목에 대응하여 저장함으로써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정보들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검색 대상에 대한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대상은 식재료, 영양소, 식품 및/또는 건강 기능 식품이며, 맞춤형 검색 요청에는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S26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와 검색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검색 대상이 식품, 식재료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인 경우,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해당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와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비교하여 검색 대상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검색 대상이 영양소인 경우,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해당 영양소가 권장 영양소 또는 제한 영양소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검색 대상의 적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검색 대상인 영양소를 함유 영양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검출하고, 해당 제품 각각의 함유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와 비교하여 제품 각각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S270 단계에서, 건강 정보는 단말(10)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건강 정보에는 검색 대상의 기본 정보, 함유 영양소, 사용자와의 적합 여부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31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또는 건강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전화번호, ID, 성명, 생년월일 등)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알레르기 및 복용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의 수행을 위해, 단말(10)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1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함으로써, 입력한 개인 정보를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30) 및/또는 단말(1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정도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표에 관한 정보로서, 건강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건강 검진 정보, 진료 정보, 생활 로그(Lifelog)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 검진 정보는 의료 기관 등에서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또는 분석 수치)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료 정보는 건강 검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질병 유무 등을 판단한 진단 정보 또는 투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활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수면 관련 정보, 식습관 정보, 생활 습관 정보, 운동 습관 정보, 생활 환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병원, 검진 기관, 보건소 등) 및/또는 국가 기관(예를 들어,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이 데이터의 유지, 보수를 위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운영 및 관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검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혈액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혈액 검사 항목은, 예를 들어, 혈당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혈색소 수치, 간 수치, 신장 기능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건강 검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소변 검사 항목, 모발 검사 항목 등 다양한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에 대한 문진을 통해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건강 상태 정보는 단말(10)에 제공된 설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기초로 판단된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이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설문(질병 유무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 다음, 사용자로부터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으로 문진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건강 상태 정보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건강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권장 영양소는 검사 항목과 관련된 건강 요소를 개선하는데 유익한 영양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제한 영양소는 해당 건강 요소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하여 피해야할 영양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사 항목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분석 결과가 수치 형태(즉, 분석 수치)로 표시될 수 있으며,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분석 수치(k)가 속하는 범위에 따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의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수치(k)가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S < k < Q)에는 권장 영양소와 제한 영양소를 선정하지 않으며, 분석 수치(k)가 정상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k < S, k > Q)에만 건강 항목과 관련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분석 수치(k)가 속하는 범위에 따라 상이한 위험 지수를 부여하고 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과 같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험 지수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지수는 A에서 C 순으로 증가될 수 있다.
분석 수치(k) 위험 지수
S < k < Q (정상) 없음
S1 < k < S, Q < k < Q1 (주의) A
S2 < k < S1, Q1 < k < Q2 (위험) B
k < S2 , k > Q2 (고위험) C
실시예에 따라,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험 지수가 높은 건강 항목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하거나, 위험 지수가 기준치 이상인 건강 항목에 대해서만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위험 지수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제 1 검사 항목에 대하여 특정 영양소가 권장 영양소에 해당하고, 제 2 검사 항목에 대하여 동일한 영양소가 제한 영양소에 해당하는 경우, 제 1 검사 항목과 제 2 검사 항목의 위험 지수를 비교하여 위험 지수가 더 높은 검사 항목을 기준으로 해당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또는 제한 영양소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지수가 동일하다면, 해당 영양소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로 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사 항목 상호 간의 교차 위험 지수를 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에 대한 제 1 혈액 검사 수치와 간 기능과 관련된 제 2 혈액 검사 수치를 교차 분석하여, “간 기능 저하로 인한 당뇨”에 대한 위험 지수를 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선정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선정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및 검사 항목(또는,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 생성할 수 있다.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S34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검색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대상은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맞춤형 검색 요청에는 이러한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또는, 검색 대상을 지칭하는) 검색어(또는,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1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맞춤형 검색 요청을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검색어를 기초로 검색 대상 및 사용자와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대상이 식품, 식재료 및/또는 건강 기능 식품인 경우, 해당 검색 대상이 포함하는 함유 영양소와 사용자에 대한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검색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섭취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에 대한 정보와 함께 단말(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검색 대상이 영양소인 경우, 검색 대상을 영양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식품, 식재료 및/또는 건강 기능 식품)을 검출하고, 이들이 포함하는 함유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제품들 중 사용자의 섭취에 적합한 제품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품의 함유 영양소에 대한 정보와 함께 단말(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의 적합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알레르기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검색 대상인 식재료, 식품 또는 건강 기능 식품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성분이 포함된 경우, 검색 대상이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복용 의약품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검색 대상인 식재료 식품 또는 건강 기능 식품에 해당 의약품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거나, 검색 대상인 건강 기능 식품에 복용 의약품에 포함된 영양소가 일정 비율 이상 중복되는 경우, 검색 대상이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방법(300)은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가 검색 대상 또는 검색 대상인 영양소를 함유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10)을 통해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과 관련된 다양한 브랜드 및/또는 판매처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구매 정보에 대한 제공은 검색 대상 또는 상기 제품이 사용자와 일정 이상의 적합도를 가지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방법(300)은 단말(10)에 제공된 구매 정보를 통해 식품, 식재료, 건강 기능 식품을 주문하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가 이러한 사용자의 소비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 패턴 정보에는 사용자의 실구매 비율, 실구매 식재료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의 목록, 사용자의 집중 이용 시간 등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사용자의 동의를 기초로 수집된 소비 패턴 정보를 다른 고객사(온라인 쇼핑몰 등)에 전송하거나, 이를 직접 활용하여 사용자의 소비 선호도 등을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S350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와 비교하여, 이를 기초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대상은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단말(10)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함유 영양소에 관한 정보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30)에 구축된 성분 DB 등으로부터 검색 대상의 성분표에 관한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색 대상에 대하여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또는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아래의 수식을 통해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권장 영양소 매칭률 = L/N × 100(%)
제한 영양소 매칭률 = M/N × 100(%)
여기서, L은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 중 권장 영양소에 대응하는 영양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M은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 중 제한 영양소에 대응하는 영양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N은 검색 대상에 포함된 함유 영양소의 총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또는 제한 영양소 매칭률에 기초하여 검색 대상과의 맞춤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 지수는 권장 영양소 매칭률에서 제한 영양소의 매칭률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맞춤 지수가 높을수록 검색 대상에 제한 영양소 대비 권장 영양소의 함유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한 영양소의 매칭률이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권장 영양소의 매칭률만을 맞춤 지수에 반영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검색 대상의 섭취가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가 속하는 수치의 범위에 따라 상이한 맞춤 등급을 부여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검색 대상의 적합 여부를 복수의 맞춤 등급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색 대상 및 사용자와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대상에 관한 정보는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검색 대상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는 검색 대상의 섭취에 대한 추천/비추천 정보와 맞춤 지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단말(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의 함량을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량과 대비하여, 권장 섭취량 대비 함량이 높은 영양소를 우선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의 위험 지수를 기준으로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를 순차적으로 정렬(즉, 높은 위험 지수를 가지는 영양소를 우선하여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S350 단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검색 대상을 함유 영양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검출하고, 해당 제품의 함유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와 비교하여, 이를 기초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대상은 영양소일 수 있으며, 제품은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단말(10)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검색 대상을 함유 영양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30)에 구축된 성분 DB 등으로부터 검색 대상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을 검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제품 각각의 함유 영양소와 사용자의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제품 각각에 대하여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아래의 수식을 통해 제품 각각에 대하여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권장 영양소 매칭률 = L/N × 100(%)
제한 영양소 매칭률 = M/N × 100(%)
여기서, L은 제품의 함유 영양소 중 권장 영양소에 대응하는 영양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M은 제품의 함유 영양소 중 제한 영양소에 대응하는 영양소의 개수를 나타내고, N은 제품에 포함된 함유 영양소의 총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또는 제한 영양소 매칭률에 기초하여 제품 각각과 사용자의 맞춤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 지수는 제품 각각에 대하여 권장 영양소 매칭률에서 제한 영양소의 매칭률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맞춤 지수가 높을수록 검색 대상에 제한 영양소 대비 권장 영양소의 함유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한 영양소의 매칭률이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권장 영양소의 매칭률만을 맞춤 지수에 반영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S64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제품 간의 적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품의 섭취가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가 속하는 수치의 범위에 따라 상이한 맞춤 등급을 부여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제품의 적합 여부를 복수의 맞춤 등급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맞춤 지수를 기준으로 제품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단말(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에 관한 정보는 제품의 함유 영양소에 관한 정보, 맞춤 지수 및 이에 기초한 추천/비추천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품 각각의 함유 영양소는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제품의 함유 영양소를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단말(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는 권장 영양소 및/또는 제한 영양소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의 위험 지수를 기준으로 제품의 함유 영양소를 순차적으로 정렬(즉, 높은 위험 지수를 가지는 영양소를 우선하여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1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상술한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10)에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고등어”라는 식재료의 명칭을 검색어로 입력할 수 있다. 검색어가 입력되면, 맞춤형 검색 요청이 단말(10)로부터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건강 정보 제공 서버(20)가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생성한 건강 정보가 단말(10)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강 정보는 검색 대상인 식재료의 기본 정보, 함유 영양소, 검색 대상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도(맞춤 점수), 검색 대상의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 등이 건강 정보로써 단말(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은 통신부(810), 입력부(820), 메모리(830) 및 프로세서(8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810), 입력부(820), 메모리(830), 프로세서(840) 중 적어도 2 이상이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81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단말(10), 데이터 베이스 서버(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유무선 통신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84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8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820)는 외부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82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820)는 키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820)는 USB 포트 뿐만 아니라 선더볼트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820)는 터치스크린,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결합하여 외부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830)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3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8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이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84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40)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선정된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및 상기 검사 항목에 대응하여 저장함으로써,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상기 검사 항목 각각의 개별 위험 지수 및 상기 검사 항목 상호 간의 교차 위험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사용자의 알레르기 및 복용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정보에 더 기초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와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며,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대상은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를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로부터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맞춤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맞춤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검색 대상을 함유 영양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검출하고, 상기 제품의 함유 영양소와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상기 제품 각각에 대하여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산출하며,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로부터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제품 각각의 맞춤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맞춤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제품 간의 적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대상은 영양소이고, 제품은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상기 맞춤 지수를 기초로 복수의 상기 제품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10: 단말
20: 건강 정보 제공 서버
30: 데이터 베이스 서버
810: 통신부
820: 입력부
830: 메모리
840: 프로세서

Claims (11)

  1.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은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함 - ;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대상 또는 상기 검색 대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의 함유 영양소와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산출하고,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과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맞춤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선정된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및 상기 검사 항목에 대응하여 저장함으로써,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상기 검사 항목 각각의 개별 위험 지수 및 상기 검사 항목 상호 간의 교차 위험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정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알레르기 및 복용 의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더 기초하여 수행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은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와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대상의 함유 영양소를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로부터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맞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대상은 영양소이고,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대상을 함유 영양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품은 식품, 식재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상기 제품의 함유 영양소와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상기 제품 각각에 대하여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로부터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제품 각각의 맞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제품 간의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 지수를 기초로 복수의 상기 제품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권장 영양소 및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식품, 식재료, 영양소 및 건강 기능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대상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맞춤형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맞춤형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검색어를 기초로, 상기 검색 대상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적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강 정보의 제공은, 상기 검색 대상 또는 상기 검색 대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의 함유 영양소와 상기 권장 영양소 및 상기 제한 영양소를 기초로 권장 영양소 매칭률 및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산출하고, 상기 권장 영양소 매칭률과 상기 제한 영양소 매칭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검색 대상 간의 맞춤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수행되는,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19460A 2021-06-23 2021-09-08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60A KR102407891B1 (ko) 2021-09-08 2021-09-08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22570267A JP2023536039A (ja) 2021-06-23 2021-11-23 カスタマイズ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EP21939981.3A EP4138090A1 (en) 2021-06-23 2021-11-23 Personalized healthc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21/017264 WO2022270694A1 (ko) 2021-06-23 2021-11-23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20048660A KR20230036952A (ko) 2021-09-08 2022-04-20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7/939,947 US20230083143A1 (en) 2021-09-08 2022-09-07 System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through customized search that reflects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60A KR102407891B1 (ko) 2021-09-08 2021-09-08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660A Division KR20230036952A (ko) 2021-09-08 2022-04-20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891B1 true KR102407891B1 (ko) 2022-06-10

Family

ID=819866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60A KR102407891B1 (ko) 2021-06-23 2021-09-08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20048660A KR20230036952A (ko) 2021-09-08 2022-04-20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660A KR20230036952A (ko) 2021-09-08 2022-04-20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83143A1 (ko)
KR (2) KR102407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726A (ko) 2012-11-28 2014-06-09 (주)웰티즌 건강 정보 기반 맞춤형 식이 적합률 제공 방법
JP2015194807A (ja) 2014-03-31 2015-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栄養管理システム及び栄養管理プログラム
KR20190074474A (ko) 2017-12-20 2019-06-28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개인 맞춤형 식습관 관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726A (ko) 2012-11-28 2014-06-09 (주)웰티즌 건강 정보 기반 맞춤형 식이 적합률 제공 방법
JP2015194807A (ja) 2014-03-31 2015-1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栄養管理システム及び栄養管理プログラム
KR20190074474A (ko) 2017-12-20 2019-06-28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개인 맞춤형 식습관 관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52A (ko) 2023-03-15
US20230083143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sello et al. Risk prediction tools i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 report from the ESC Prevention of CVD Programme led by the European Association of Preventive Cardiology (EAPC) in collaboration with the Acute Cardiovascular Care Association (ACCA) and the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Nursing and Allied Professions (ACNAP)
US10067627B2 (en) Health forecaster
US20200227172A1 (en) Determining indicators of individual health
Clarke et al.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telemonitoring of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meta-analysis
Christensen et al. The Danish national health survey 2010. Study design and respondent characteristics
Wootton Twenty years of telemedicine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an evidence synthesis
Kamstrup et al. Genetically elevated lipoprotein (a) and increas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Dilles et al. Comparison of a computer assisted learning program to standard education tools in hospitalized heart failure patients
KR102298937B1 (ko) 식습관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032674A1 (en) Diagnostic system, diagnostic method, and storage medium
Grady et al.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 novel color range indicator in multiple blood glucose meters demonstrates improved glucose range interpretation and awareness in subjects with type 1 and type 2 diabetes
Habibi et al. Use of videoconferencing for lactation consultation: An online cross-sectional survey of mothers’ acceptance in the United States
Towne et al. A multi-level analyses of charges and cost of fall-related hospitalizations among older adults: individual, hospital, and geospatial variation
CN113436738A (zh) 管理风险用户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Ben-Assuli et al. Profiling readmissions using hidden markov model-the case of congestive heart failure
Grady et al. Patients with diabetes using a new glucose meter with blood sugar mentor and dynamic color range indicator features show improved interpretation and willingness to act on blood glucose results (ASCEND study)
CN116228440B (zh) 一种医保智能管理方法、系统、装置和介质
Apalasam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mong Malaysian older adults
KR102407891B1 (ko) 개인별 건강 상태를 반영한 맞춤형 검색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1132B1 (ko) 큐레이션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right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patient hypoglycemia models centered around the insulin ordering process
Koulaouzidis et al. Telemonitoring in subjects with newly diagnosed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From clinical research to everyday practice
Clarke et al. An examin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12-item SPHERE questionnaire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common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
Sathish et al. Achutha Menon Centre Diabetes Risk Score: a type 2 diabetes screening tool for primary health care providers in rural India
EP4138090A1 (en) Personalized healthc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