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172B1 - A multimodal AI speaker - Google Patents

A multimodal AI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172B1
KR102407172B1 KR1020210026944A KR20210026944A KR102407172B1 KR 102407172 B1 KR102407172 B1 KR 102407172B1 KR 1020210026944 A KR1020210026944 A KR 1020210026944A KR 20210026944 A KR20210026944 A KR 20210026944A KR 102407172 B1 KR102407172 B1 KR 10240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andle
us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연진욱
Original Assignee
연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진욱 filed Critical 연진욱
Priority to KR102021002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1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캔들워머와 인공지능 스피커를 결합하고 시각, 청각 및 후각의 멀티모달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combining a candle warmer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by utilizing multi-modal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

Description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A multimodal AI speaker}Multimodal AI speaker {A multimodal AI speaker}

본 발명은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캔들워머와 인공지능 스피커를 결합하고 시각, 청각 및 후각의 멀티모달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combining a candle warmer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by utilizing multi-modal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

일반적으로 캔들워머는 할로겐 램프와 같이 고열을 발생시키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아로마 등의 향기성분이 포함된 발향 캔들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발광열을 통해 캔들의 상부를 용융시켜 상기 향기 성분이 공기 중으로 확산 되면서 발향되도록 하는 가열장치이다.In general, a candle warmer uses a light source that provides light that generates high heat, such as a halogen lamp, to irradiate light to a fragrance candle containing fragrance ingredients such as aroma, and melt the upper part of the candle through the irradiated luminous heat to melt the fragrance. It is a heating device that allows the ingredients to diffuse into the air and emit fragrance.

또한 캔들워머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특히 향초시장의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제품이다. 캔들워머는 아로마 테라피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candle warmers are commonly used as interior accessories, and are particularly popular with consumers in the scented candle market. The candle warmer can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users through its aromatherapy function.

캔들의 시장과 수요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미국 기준으로 10가구 중 이미 7가구가 향초를 경험해본 적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걱정스런 부분도 존재한다. 캔들의 구성성분 중 인공적인 화학합성향과 석유/화학계 페트로레움이 왁스를 한번 연소할 때마다 공기 중에 퍼지면서 부작용을 경험하는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 밀폐된 공간 안에서 방향제나 캔들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공기가 오염되고 후에는 발암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The market and demand for candles are growing steadily. In the United States, 7 out of 10 households said that they had experienced incense candl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concerns. There is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who experience side effects as artificial chemical fragrance and petroleum/chemical petroleum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andle spread in the air every time the wax is burned. There are studies that show that long-term use of air fresheners or candles in an enclosed space contaminates the air and can later act as a carcinogen.

한편, IT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스피커 시장에 앞다퉈 진출하고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스마트홈 시장이 활성화 되면서, 집안 가정 제품 등 모든 장치를 통신에 연결하여 원격 제어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2019년 판매된 스마트 스피커는 1억 4680만대로 전년대비 70% 성장하였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스크린, LED 탁상시계 등의 시각적 제품을 결합한 제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Meanwhile, IT companies are rushing to ent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 market. As the smart home market is activat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the era of remote control by connecting all devices, including household appliances, to communication has arrived. Smart speakers sold in 2019 were 146.8 million units, a 70% increase over the previous year. Recently, products that combine visual products such as screens and LED table clock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ave appeared,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various typ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as been raised.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4694호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이 있는 LED 캔들워머”에서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며, 다수의 홀이 마련된 원판형상의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 상부에 마련되는 LED 발열부, 제품 하단에 배치된 블루투스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캔들워머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LED 수용부, 상기 LED수용부 내측 하단에 마련되는 LED 발열부 및 상기 하우징 하단에 상기 LED 발열부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위치하며, 다수의 홀이 마련된 원판형상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As a prior art,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74694 “LED candle warmer with Bluetooth speaker function”, a cylindrical housing with an open upper surface, located inside the housing, has a disc shape with a plurality of holes of a heat sink, an LED heat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sink, and a Bluetooth speake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candle wa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with an open upper surface, a cylindrical LED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housing, and an LED heating part provid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LED accommodating part. and a disk-shaped heat sink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D heating unit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이와 같은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전원을 켜고 꺼야 하고 여러 캔들을 수용하기 힘들며 스마트폰 또는 음성으로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Such a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to turn on and off the power directly, i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several candles, an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it with a smartphone or voic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캔들워머와 인공지능 스피커를 결합하고 시각, 청각 및 후각의 멀티모달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provides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at combines a candle warmer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provides convenience to users by utilizing multi-modal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there is a purpose to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는 다수 개의 캔들이 구비되는 캔들부; 상기 캔들부와 결합되는 음향부; 상기 캔들부 및 음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다수 개의 센서를 통해 센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멀티모달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ndle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ndles; a sound unit coupled to the candle uni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ndle unit and the sound unit, and a multi-modal sensor unit for acquiring sensor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캔들부는 다수 개의 캔들이 수용되되, 각 캔들에 열을 가하여 향이 나도록 하는 온열부 및 상기 온열부 및 음향부 중 하나 이상의 제어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표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ndle uni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andles, and a heating unit that applies heat to each candle to give scent, and a display unit that visually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trol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and the sound unit. have.

또한, 상기 표시부는 다수 개의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조명부 또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n illumination unit capable of emitting light of a plurality of colors or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또한,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인지하는 시각센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센서 및 주변의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하는 후각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modal sensor unit is a visual sensor for recognizing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voice sensor for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nd an olfactory sensor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fragrance and air pollution in the vicinit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생활패턴정보, 날씨정보,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도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캔들정보 및 음악정보와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음향부 및 온열부에 송부될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선택부; 상기 후각센서를 통해 공기오염정보를 수신 받아 실내 공기 품질을 판단하여 환기필요정보를 제공하는 공기질향상부; 상기 캔들부에 구비되는 캔들의 캔들 잔여량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캔들교체정보를 제공하는 캔들교체알림부; 상기 정보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음악정보를 상기 음향부에 전송하는 음향제어부; 상기 정보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캔들에 열이 가해지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온열부를 제어하는 온열제어부 및 상기 정보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보, 상기 환기필요정보 및 상기 캔들교체정보에 따라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llects one or more of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degree, and determines the suitability of candle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to selec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ound unit and the heating unit. selection part; an air quality improving unit that receives air pollu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lfactory sensor, determines indoor air quality, and provides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 candle replacement notific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remaining amount of candles provided in the candle unit and providing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a sou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music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to the sound unit; A hea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so that heat is applied or cut off to the candle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th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nd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ca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생활패턴정보 및 캔들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사용자생활패턴정보는 사용자의 거주지, 기상시간, 취침시간, 퇴근시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날씨정보는 입력된 거주지의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를 포함하고,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user's smartphone to receiv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and cand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th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user's residence, waking time, bedtime, and work time. information, wherein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inputted weather and fine dust information of the residence,

상기 캔들정보는 상기 온열부에 수용된 캔들의 종류와 각 캔들과 상응되는 온열부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ndle information may include types of candles accommodated in the heating uni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eat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candle.

또한, 상기 정보선택부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에 적합한 음악정보, 캔들정보를 선택하고, 취침시간에 수면을 유도하는 캔들정보와 음악정보를 선택하며,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를 바탕으로 캔들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selects music information and candl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weather and fine dust information at the user's wake-up time, selects candle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that induces sleep at bedtim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dle information is selected based on the

또한 상기 온열제어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위치정보가 사용자 거주지의 설정반경 내에 들어오면 온열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ting control unit receiv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and operates the heating uni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a set radius of the user's residenc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는 상기 온열부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캔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캔들 수용공간; 상기 캔들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캔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for the heating unit; a candle receiv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accommodate candles; It may include a heating member formed in the candle receiving space and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membe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candle.

또한, 온열부는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에 인지된 사용자 동작정보에 따라 향기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향기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기방향조절부는 상기 베이스판 중앙 상면에 설치되어 향기를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휀 및 상기 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휀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multi-modal sensor unit,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to emit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fan and a motor formed under the fan to enable the fan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는 캔들워머와 인공지능 스피커의 결합하고 시각, 청각 및 후각의 멀티모달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by combining a candle warmer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utilizing multi-modal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또한, 여러 종류의 캔들을 구비하고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several types of candles are provided and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mor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can be obtained.

또한, 시각적으로 인테리어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visual interior effect.

또한,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날씨정보 및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weather information and fine dust information at the user's wake-up time.

또한, 사용자의 취침시간에 수면을 유도하는 향과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ent and music to induce sleep at the user's bedtime.

또한, 사용자가 캔들을 교체할 수 있도록 알림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a notification can be given so that the user can replace the candle.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향기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향기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agrance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so that the fragrance is diffused to the center of the user.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멀티모달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가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온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향기방향조절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modal sensor unit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communicates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heating unit of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1st, 2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7 .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멀티모달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가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modal sensor unit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rol unit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smartphon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는 크게 캔들부(10), 음향부(20), 제어부(30) 및 멀티모달 센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candle unit 10, a sound unit 20, a control unit 30 and a multi-modal sensor unit ( 40) may be included.

캔들부(10)는 다 수개의 캔들(C)이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을 제공할 수 있다. 캔들부(10)는 각 캔들(C)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한 캔들(C)로 구성하여 발향력을 높일 수 있다.The candle unit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ndles C to provide various scents to the user. In the candle unit 10, each of the candles C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candle C may be used to increase the scent diffusing power.

캔들부(10)는 온열부(100) 및 표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ndle unit 10 may include a heating unit 100 and a display unit 110 .

온열부(100)는 다수 개의 캔들(C)이 수용되되, 각 캔들(C)에 열을 가하여 향이 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열부(100)의 열을 차단하여 캔들(C)에서 향이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andles C are accommodated in the heating unit 100 , and heat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candles C to provide sc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heat of the heating unit 100 so that the candle (C) does not smell.

온열부(100)는 각 캔들(C)에 개별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 한 가지 캔들(C)에 열을 가하여 한 가지 향을 낼 수 있고, 다수 개의 동일한 캔들(C)에 열을 가하여 발향력을 높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캔들(C)에 열을 가하여 사용자가 배합된 향을 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100 may apply heat to each candle (C) individually, heat one candle (C) to give a single scent, and apply heat to a plurality of the same candles (C) to generate heat. The fragrance can be increased, and heat can be applied to the different candles (C) so that the user can smell the blended fragrance.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에서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n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캔들부(10)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다 수개의 홀이 측면에 형성되어 향이 캔들부(10) 내부에서 외측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온열부(100)에 수용되는 캔들(C)을 보호하고 향이 서서히 퍼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ndle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so that incense is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candle part 10 to the out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andle C accommodated in the heating unit 100 and to allow the fragrance to gradually spread.

표시부(110)은 온열부(100) 및 음향부(20) 중 하나 이상의 제어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조명부(111) 및 디스플레이부(1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a user according to a control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100 and the sound unit 20 . 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ing unit 111 and a display unit 112 .

조명부(111)는 다수 개의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111 may emit light of a plurality of colors.

조명부(111)는 캔들부(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캔들부(10)의 측면,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1)는 다수 개의 LED 램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캔들부(10)의 상측에 설치될 경우 상하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조명부(111)는 캔들부(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11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ndle unit 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ide of the candle unit 10 . Also, the lighting unit 11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lamps, and when installed above the candle unit 10 , may emit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lighting unit 111 may emit light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candle unit 10 .

또한, 조명부(111)는 빨강색, 녹색, 파랑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을 구현하는 LED를 포함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다양한 색을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11 may include an LED that implements at least one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and may emit various colors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음향부(20)는 캔들부(10)와 결합되되, 캔들부(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음향부(20)는 제어부(30)에서 전달된 음악정보를 수신 받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부(20)는 통상의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The acoustic unit 20 is coupled to the candle unit 10 , an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andle unit 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ound unit 20 may receive and output the mus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30 . In addition, the sound unit 20 may have all the functions of a typic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may be operated by a user's voice.

제어부(30)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

멀티모달 센서부(40)는 시각, 청각, 후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multi-modal sensor unit 40 may acquire information on sight, hearing, and smel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30 .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모달 센서부(40)는 시각센서(41), 음성센서(42) 및 후각센서(4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multi-modal sensor unit 40 may include a visual sensor 41 , a voice sensor 42 , and an olfactory sensor 43 .

시각센서(41)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영상 촬영 카메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외선 감지 모듈, 이미지 센서, 포토 다이오드 등이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visual sensor 4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mage capturing camera so as to recognize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infrared sensing module, an image sensor, a photodiode, etc. may include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 can be provided.

또한, 시각센서(41)는 영상 촬영 카메라와 적외선 감지 모듈을 조합하여 주간 및 야간에 사용자 동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동작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의 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isual sensor 41 may acquire user motion information during the day and at night by combining an image capturing camera and an infrared sensing module.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various modules for effectively acquiring user motion information is possible.

음성센서(42)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통상의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능 실행을 위해 구비될 수 있는 음성센서(42)가 사용될 수 있다. The voice sensor 42 may recognize a user's voice, and a voice sensor 42 that may be provided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typic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may be used.

후각센서(43)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 주변의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olfactory sensor 43 may acquir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around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

후각센서(43)은 향기의 농도, 실내 공기내의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냄새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가스 센서, 산소 센서 및 미세먼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lfactory sensor 43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ragranc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indoor ai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the like. ,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oxygen sensor and a fine dust sensor.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먼지에 알러지 반응을 나타낸다면, 냄새센서와 미세먼지 센서를 조합하여 향기농도정보 및 미세먼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내 공기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조합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f the user exhibits an allergic reaction to dust, scen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fine dust information may be acquired by combining the odor sensor and the fine dust sensor. In addition, various combinations of sensors for acquiring indoor air information are possible.

후각센서(43)는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를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olfactory sensor 43 may transmit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 .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정보선택부(31), 공기질향상부(32), 캔들교체알림부(33), 음향제어부(34), 온열제어부(35) 및 표시제어부(36)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n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 an air quality improvement unit 32 , a candle replacement notification unit 33 , a sound control unit 34 , a heat control unit 35 , and a display control unit 36 . may include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스마트폰(P)과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 unit 30 may be linked with the smart phone P.

스마트폰(P)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생활패턴정보 및 캔들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P)이라 칭하였지만 스마트폰(P) 외 PC, 태블릿 등 제어부(30)와 연동되는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P may receiv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and candle information from the user. Although referred to as a smart phone P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smart device capable of a wired/wireless network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unit 30 such as a PC, a tablet, etc.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P.

이와 같은 스마트폰(P)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를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Such a smartphone (P) can download a separate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스마트폰(P)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부(30)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P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30 through an application.

상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음향부(20), 온열부(100), 표시부(110)의 기능 구현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생성된 안드로이드, iOS 기반의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 제공 방법으로는 스마트폰(P)을 통해 온라인 어플 마켓(예컨대, 안드로이드 마켓, 애플 스토어, 통신사의 온라인 마켓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application refers to a general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and iOS that is created so that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sound unit 20, the heating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method of providing is It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an online application market (eg, Android market, Apple store, online market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etc.) through the smartphone P.

제어부(30)의 정보선택부(31)는 사용자생활패턴정보, 날씨정보,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캔들정보 및 음악정보와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음향부(20) 및 온열부(100)에 송부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of the control unit 30 collects one or more of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compatibility with the candle information and the music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ound unit 20 an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heating unit 100 may be selected.

여기서, 사용자생활패턴정보는 사용자의 거주지, 기상시간, 취침시간, 퇴근시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생활패턴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마트폰(P)의 건강어플리케이션, 생활수집어플리케이션에 있는 정보가 제어부(30)에 전송될 수 있다. Here, th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user's residence, waking time, bedtime, and work time. Th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may be input and set by the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formation in the health application and life collection application of the user's smartphone P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

날씨정보는 입력된 거주지의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거주지의 지역정보에 매칭되는 날씨 정보를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weather information may include inputted weather and fine dust information of the residence. Weather information matching the input local information of the residenc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 .

공기오염정보는 후각센서(43)에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pollu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measurement value of at least one of a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 oxygen concentration, and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olfactory sensor 43 .

사용자가 본인이 선호하는 발향 농도를 스마트폰(P)에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t his or her preferred scent diffusing concentration by inputting it into the smartphone (P).

캔들정보는 온열부(100)에 수용된 캔들(C)의 종류와 각 캔들(C)과 상응되는 온열부(100)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기호에 맞게 캔들(C)의 종류 및 각 캔들(C)이 수용되는 온열부(100)의 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 candl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the candle C accommodated in the heating unit 100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eating unit 100 corresponding to each candle C. Accordingly, the user may configure the type of the candle C and the position of the heating unit 100 in which each candle C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음악정보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된 선호하는 음악이거나 스마트폰(P)의 스트리밍 음원 어플에서 추출한 음악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usic information may include preferred music input from the user in advance or music extracted from a streaming sound sourc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P).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토대로 정보선택부(31)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에 적합한 음악정보, 캔들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may select music information and candl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weather and fine dust information at the user's wake-up time.

예를 들어 날이 맑은 날에는 조명부를 “노란 색” 광으로 방출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맑음”으로 표시하거나 이에 해당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맑음”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농도 낮음”을 표시하여 미세먼지 정도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on a sunny day, the lighting unit may emit “yellow” light, display “sunny” on the display unit, or play corresponding music.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provide a level of fine dust to the user by displaying not only “clear” but also “low fine dust concentration”.

또한, 정보선택부(31)는 사용자의 취침시간에 수면을 유도하는 캔들정보와 음악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취침시간이 되면 캔들정보 중 수면에 도움이 되는 캔들(C)이 위치한 온열부(100)의 위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Also,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may select candle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for inducing sleep at the user's bedtime. For example, when it is the user's bed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eating unit 100 in which the candle C helpful for sleep is located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candle information.

또한, 정보선택부(31)는 후각센서(43)로부터 향기농도정보를 수신받아 향기농도정보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향기농도기준과 비교하여 향기농도정보가 향기농도기준보다 낮으면 온열부(100)가 작동되도록 캔들(C)의 위치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receives th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from the olfactory sensor 43 and compares th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with the fragrance concentration standard set in advance by the user. If th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fragrance concentration standard, the heating unit 100 ) can be selected to ope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ndle (C).

공기질향상부(32)는 후각센서(43)를 통해 공기오염정보를 수신 받아 실내 공기 품질을 판단하여 환기필요정보를 표시제어부(36)에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quality improving unit 32 may receive air pollu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lfactory sensor 43 , determine indoor air quality, and provid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6 .

여기서, 공기오염정보는 후각센서(43)로부터 송신된 실내 공기의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농도 및 미세먼지 농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air pollu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and fine dust concentration of indoor air transmitted from the olfactory sensor 43 .

공기질향상부(32)는 수신 받은 공기오염정보와 미리 설정되거나 국가기관에서 공지한 실내 공기 기준과 비교하여 실내 공지 품질을 판단하여 공기오염 여부의 판단에 따라 표시제어부(36)에 환기필요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he air quality improvement unit 32 compares the received air pollution information with an indoor air standard set in advance or announced by a national institution to determine the indoor publicity quality, and provides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6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air pollution. can transmit

캔들교체알림부(33)는 캔들부(10)에 구비되는 캔들(C)의 캔들 잔여량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캔들교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ndle replacement notification unit 33 may provid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by determin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andles C provided in the candle unit 10 .

캔들(C)이 놓여지는 온열부(100)의 상면에 무게센서(103)가 구비되고, 무게센서(103)는 캔들(C)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0)는 측정된 무게에 따라 캔들 잔여량을 판단하여 표시제어부(36)에 캔들교체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A weight sensor 10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unit 100 on which the candle C is placed, and the weight sensor 103 measures the weight of the candle C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ler 3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andle according to the measured weight and transmit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6 .

음향제어부(34)는 정보선택부(31)로부터 선택된 음악정보를 음향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sound control unit 34 may transmit the music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to the sound unit 20 .

온열제어부(35)는 정보선택부(31)로부터 선택된 캔들(C)에 열이 가해지거나 차단되도록 온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heating control unit 35 may control the heating unit 100 so that heat is applied or blocked to the candle C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

온열제어부(35)는 정보선택부(31)에서 수신받은 온열부(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온열부(100)를 작동시킨 이후에는 후각센서(43)로부터 향기농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향기농도기준과 비교하여 향기농도정보가 향기농도기준보다 높으면 온열부(10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After operating the hea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eating unit 100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 the heat control unit 35 may receiv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from the olfactory sensor 43 . Accordingly, when the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fragrance concentration standard as compared with the fragrance concentration standard set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ing unit 100 not to operate.

표시제어부(36)는 정보선택부(31)에서 선택된 정보, 환기필요정보 및 캔들교체정보에 따라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36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nd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여기서, 표시부(110)는 조명부(111)에서 색상이나 디스플레이부(112)에서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color in the lighting unit 111 or a message in the display unit 112 .

조명부(111)의 색상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명색상정보를 미리 설정될 수 있다.As for the color of the lighting unit 111, various colors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the user may preset lighting color information.

조명색상정보는 조명부(111)에 구비된 다수 개의 LED에 대한 색상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황에 따른 조명색상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The lighting color information includes color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LEDs provided in the lighting unit 111, and the user can set the lighting col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예를 들어, 기본 색상은 “파란색”, 기상시간에 날씨에 따라 맑은 날은 “노란색”, 비오는 날은 “남색”, 눈오는 날은 “보라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세먼지 정보, 취침시간, 환기필요정보, 캔들교체정보 등에 해당하는 조명색상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you can set the default color to “blue”, and set the weather to “yellow” for a sunny day, “dark blue” for a rainy day, and “purple” for a snowy day, depending on the weather. In addition, lighting col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ine dust information, bedtim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nd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may be set by the user.

표시제어부(36)는 정보선택부(31)에서 선택된 음악정보 및 캔들정보를 수신받아 표시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 unit 36 may receive the music information and the candl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31 and transmit it to the display unit 110 .

또한, 표시제어부(360)는 공기질향상부(32)로부터 환기필요정보를 수신 받아 조명부(111)에서 색상이나 디스플레이부(112)에서 메시지의 형태로 환기필요정보를 표시되도록 제어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360 receives th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from the air quality improvement unit 32,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signal to display th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olor in the lighting unit 111 or a message in the display unit 112. have.

여기서 조명부(111)의 색상은 환기필요정보에 해당하는 색상이 표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경고의 의미를 가지는 “빨간색”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color of the lighting unit 111 may display a color corresponding to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for example, may be generally set to “red” having a meaning of a warning.

또한, 디스플레이부(112)는 환기필요정보를 “환기필요”, “창문을 여세요.” 및 “산소가 부족해요.”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환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2 displays th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s “require ventilation” and “open the window.” and "I'm running out of oxygen." It can be indicated a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xpressions for recognizing that the user needs ventilation are possible.

또한, 표시제어부(360)는 캔들교체알림부(33)로부터 캔들교체정보를 수신 받아 조명부(111)에서 색상이나 디스플레이부(112)에서 메시지의 형태로 캔들교체정보를 표시되도록 제어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360 receives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from the candle replacement notification unit 33 ,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signal to display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olor in the lighting unit 111 or a message in the display unit 112 . can

조명부(111)의 색상은 캔들교체정보에 해당하는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As the color of the lighting unit 111,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12)는 캔들교체정보를 “캔들교체”, “향이 떨어졌어요.” 및 “교체필요”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캔들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12 displays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as “candle replacement” and “scent has gone down.” and “replacement requi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xpressions that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candle needs to be replaced are possible.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온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의 향기방향조절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heating unit of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 and (b) are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의 온열부(100)는 베이스판(101), 캔들 수용공간(102), 발열부재(103) 및 무게센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6, the heating unit 100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01, a candle receiving space 102, a heating member 103, and a weight. It may include a sensor 104 .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온열부(100)를 구체화하여 설명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ying the heating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이에 온열부(10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only the heat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베이스판(101)은 온열부(100)의 베이스판(101), 캔들 수용공간(102), 발열부재(103), 무게센서(104) 및 캔들(C)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판(101)은 장착되는 구성들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견고하고 내구성이 강한 소재, 발열부재(103)의 열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비교적 열전도가 낮은 내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판(101)의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재는 모두 가능하다.The base plate 101 may support the base plate 101 of the heating unit 100 ,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 the heating member 103 , the weight sensor 104 , and the candle C. The base plate 101 may be formed of a strong and durable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the load of the mounted components, a heat-resistant material with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that does not deform even with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103 . Accordingly, the material of the base plate 101 is preferably formed of an aluminum allo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is possible.

베이스판(101)은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1)의 형태에 따라 원형, 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및 다각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을 예시로 들어 도면에 나타내었다. The base plate 10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n oval, a rectangle, and a polyg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otype is shown in the drawings as an example.

캔들 수용공간(102)은 베이스판(101) 상면에 형성되되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의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캔들 수용공간(102)는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다수 개의 캔들 수용공간(102)에 여러 종류의 캔들(C)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P)을 통해 캔들의 종류와 각 캔들(C)의 캔들 수용공간(102)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may be composed of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user may place various types of candles C in the plurality of candle accommodating spaces 102 .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the type of candle and the location of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of each candle C through the smartphone P.

예를 들어, 캔들 수용공간(102)이 4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 캔들 수용공간(102)을 '가', '나', '다' 및 '라'라고 이름을 붙이고, '가'위치에는 '상쾌한 향', '나'위치에는 '달콤한 향', '다'위치에는 '커피향' 및 '라'위치에는 '수면유도향'을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is composed of four, each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is named 'A', 'I', 'C' and 'La', and at the position 'A' You can set the 'fresh scent', 'sweet scent' at the 'I' position, the 'coffee scent' at the 'C' position, and the 'sleep inducing scent' at the 'La' position.

발열부재(103)는 캔들 수용공간(102)에 형성되어 캔들(C)을 아래에서 데울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할로겐 램프 등 캔들(C)이 발향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heating member 103 may be formed in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to heat the candle C from be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in which the candle C such as a halogen lamp can emit light are possible.

제어부(30)로부터 수신 받은 신호에 의해 발열부재(103)가 작동되면 캔들 수용공간(102)에 놓인 캔들(C)이 녹기 시작하면서 발향되기 시작할 수 있다. When the heating member 103 is operated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0 , the candle C placed in the candle receiving space 102 starts to melt and emits scent.

무게센서(104)는 발열부재(103)의 일측에 설치되어 캔들 수용공간(102)에 수용되는 캔들(C)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무게센서(104)는 통상의 압전센서로 형성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weight sensor 104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member 103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candle C accommodated in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102 . The weight sensor 104 may be formed as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무게센서(104)의 위치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부재(103)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부재(10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weight sensor 10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eating member 103 as shown in Fig. 6 (a), o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ting member 103 as shown in Fig. 6 (a). can be

또한, 온열부는 멀티모달 센서부(40)에 인지된 사용자 동작정보에 따라 향기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향기방향조절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ragrance direction adjusting unit 105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multi-modal sensor unit 40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향기방향조절부(105)는 휀(106) 및 모터(107)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105 may include a fan 106 and a motor 107 .

휀(106)은 베이스판(101) 중앙 상면에 설치되어 향기를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휀(106)은 커버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휀(106)이 작동했을 때 커버의 홀을 통해 향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an 10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01 so that the fragrance is emitted to the outside. The fan 106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cover so that the fragrance is emitted through the hole of the cover when the fan 106 is operated.

모터(107)은 휀(106)의 하부에 형성되어, 휀(106)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모터(107)는 통상의 다양한 모터로 설치될 수 있다. The motor 107 may be formed under the fan 106 to allow the fan 106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otor 107 may be installed with various conventional motors.

또한, 제어부(30)은 향기방향조절부(105)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향기방향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105).

향기방향제어부(미도시)는 시각센서(42)로부터 사용자 동작정보를 수신 받아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휀작동정보 및 모터회전각도정보를 향기방향조절부(105)의 휀(106) 및 모터(107)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from the visual sensor 42, determines the user's position, and provides the fan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motor rotation angle information to the fan 106 and the motor ( 107), respectively.

이에, 향기방향조절부(105)는 향기방향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를 받아 휀(106) 및 모터(107)가 작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105 may operate the fan 106 and the motor 107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not show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 : 캔들
P : 스마트폰
1 :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10 : 캔들부
100 : 온열부
101 : 베이스판
102 : 캔들 수용공간
103 : 발열부재
104 : 무게센서
105 : 향기방향조절부
106 : 휀
107 : 모터
110 : 표시부
111 : 조명부
112 : 디스플레이부
20 : 음향부
30 : 제어부
31 : 정보선택부
32 : 공기질향상부
33 : 캔들교체알림부
34 : 음향제어부
35 : 온열제어부
36 : 표시제어부
40 : 멀티모달 센서부
41 : 시각센서
42 : 음성센서
43 : 후각센서
C: candle
P : Smartphone
1: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10: candle part
100: heating part
101: base plate
102: Candle accommodation space
103: heating member
104: weight sensor
105: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106: fan
107: motor
110: display unit
111: lighting unit
112: display unit
20: sound unit
30: control unit
31: information selection unit
32: air quality improvement unit
33: Candle replacement notification unit
34: sound control unit
35: heat control unit
36: display control unit
40: multi-modal sensor unit
41: visual sensor
42: voice sensor
43: olfactory sensor

Claims (9)

다수 개의 캔들이 구비되되, 측면에 형성된 다 수개의 홀을 통해 향이 외측으로 방출하는 캔들부;
상기 캔들부와 결합되는 음향부;
상기 캔들부 및 음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다수 개의 센서를 통해 센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멀티모달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캔들부는,
다수 개의 캔들이 수용되되, 각 캔들에 열을 가하여 향이 나도록 하는 온열부 및
상기 온열부 및 음향부 중 하나 이상의 제어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열부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캔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캔들 수용공간;
상기 캔들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발열부재;
상기 발열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캔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에 인지된 사용자 동작정보에 따라 향기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향기방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향기방향조절부는,
상기 베이스판 중앙 상면에 설치되어 향기를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휀 및
상기 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휀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A candle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ndles, for emitting incense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side;
a sound unit coupled to the candl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ndle unit and the sound unit; and
A multi-modal sensor unit for acquiring sensor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The candle part,
A plurality of candles are accommodated, and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each candle to create a fragrance, and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according to a control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heating unit and the sound unit,
The heating unit,
base plate;
a candle receiv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accommodate candles;
a heating member formed in the candle accommodating space;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membe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candle; and
A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 mo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multi-modal sensor unit,
The fragrance direction control unit,
A fa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to release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and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at is formed under the fan and includes a motor that enables the fan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다수 개의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조명부 또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ighting unit capable of emitting light of a plurality of colors or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달 센서부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인지하는 시각센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센서 및
주변의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를 획득하는 후각센서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modal sensor unit,
a visual sensor for recognizing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A voice sensor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at includes an olfactory sensor that acquires surrounding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생활패턴정보, 날씨정보,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도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캔들정보 및 음악정보와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음향부 및 온열부에 송부될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선택부;
상기 후각센서를 통해 공기오염정보를 수신 받아 실내 공기 품질을 판단하여 환기필요정보를 제공하는 공기질향상부;
상기 캔들부에 구비되는 캔들의 캔들 잔여량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캔들교체정보를 제공하는 캔들교체알림부;
상기 정보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음악정보를 상기 음향부에 전송하는 음향제어부;
상기 정보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캔들에 열이 가해지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온열부를 제어하는 온열제어부 및
상기 정보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보, 상기 환기필요정보 및 상기 캔들교체정보에 따라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n information selection unit that collects one or more of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degree, determines suitability with candle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and select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acoustic unit and the heating unit;
an air quality improving unit that receives air pollu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lfactory sensor, determines indoor air quality, and provides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 candle replacement notific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remaining amount of candles provided in the candle unit and providing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a sou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music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to the sound unit;
a temperatur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to apply or block heat to the candle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and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the ventilation required information, and the candle replacement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생활패턴정보 및 캔들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사용자생활패턴정보는,
사용자의 거주지, 기상시간, 취침시간, 퇴근시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날씨정보는,
입력된 거주지의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캔들정보는,
상기 온열부에 수용된 캔들의 종류와 각 캔들과 상응되는 온열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It can be linked with the user's smartphone to receiv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and candl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e user life pattern information,
Contains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user's residence, wake-up time, bedtime, and work time;
The weather information is
Including the weather and fine dust information of the entered residence,
The candle information is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including types of candles accommodated in the heating unit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heat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ca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선택부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에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에 적합한 음악정보, 캔들정보를 선택하고, 취침시간에 수면을 유도하는 캔들정보와 음악정보를 선택하며, 향기농도정보 및 공기오염정보를 바탕으로 캔들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Select music information and candl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weather and fine dust information at the user's wake-up time, select candle information and music information that induce sleep at bedtime, and collect candle information based on fragr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제어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위치정보가 사용자 거주지의 설정반경 내에 들어오면 온열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 스피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t control unit,
A multi-mod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and operates the heating uni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comes within a set radius of the user's resid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6944A 2021-02-26 2021-02-26 A multimodal AI speaker KR102407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44A KR102407172B1 (en) 2021-02-26 2021-02-26 A multimodal AI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44A KR102407172B1 (en) 2021-02-26 2021-02-26 A multimodal AI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172B1 true KR102407172B1 (en) 2022-06-10

Family

ID=8198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944A KR102407172B1 (en) 2021-02-26 2021-02-26 A multimodal AI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1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467B1 (en) 2022-07-20 2023-01-11 주식회사 이포넷 System and method for donating nft using nft server addres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932B1 (en) * 2015-12-10 2017-03-22 김수향 Music output system according to the scent of candle
KR20180013313A (en) * 2016-07-29 2018-02-07 최윤영 Candle warmer having fun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KR101907090B1 (en) * 2017-09-29 2018-10-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peakers with light
KR20190076292A (en) * 2017-12-22 2019-07-02 최지훈 Electric candle pot
KR20190095697A (en) * 2018-02-07 2019-08-16 장재윤 a multi-functional candle warmer
KR20190126686A (en) * 2018-05-02 2019-11-12 서정수 Sound Can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932B1 (en) * 2015-12-10 2017-03-22 김수향 Music output system according to the scent of candle
KR20180013313A (en) * 2016-07-29 2018-02-07 최윤영 Candle warmer having fun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KR101907090B1 (en) * 2017-09-29 2018-10-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peakers with light
KR20190076292A (en) * 2017-12-22 2019-07-02 최지훈 Electric candle pot
KR20190095697A (en) * 2018-02-07 2019-08-16 장재윤 a multi-functional candle warmer
KR20190126686A (en) * 2018-05-02 2019-11-12 서정수 Sound Can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467B1 (en) 2022-07-20 2023-01-11 주식회사 이포넷 System and method for donating nft using nft server addr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266B1 (en) Fragrance discharge apparatus
US6779905B1 (en) Electric sensory device
US7476002B2 (en) Color changing light device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for mood enhancement
US7520635B2 (en) Structures for color changing light devices
EP1728022B1 (en) Led light bulb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US20210015955A1 (en) Plug-in fragrance diffuse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080038156A1 (en) Electronic candle
US20070109763A1 (en) Color changing outdoor light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US20110134628A1 (en) Continuous Fragrance and Illumination Device with Replaceable Fragrance Refills
US20080130266A1 (en) Fragrancer
US20100270943A1 (en) College and pro sports fragrance oil warmers
KR200473634Y1 (en) Aroma therapy diffuser
WO2008016867A2 (en) Flameless candle incorporating insect repellant diffuser and an ambient light sensor
JP2014504518A (en) Aroma generating lighting device
JP200752710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led divergence of light and volatile actives
KR20180017602A (en) Candle warme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KR102407172B1 (en) A multimodal AI speaker
WO2009027668A1 (en) Fragrancing device
WO2009027670A1 (en) Fragrancing device
CA3130714A1 (en) Atmosphere adjusting method, atmosphere adjusting device, and aroma diffuser
KR102299983B1 (en) Candle Warmer Device for Smart Speaker
KR20210121964A (en) Smart Multifunctional Air Freshener Diffusion System
JP3151237U (en) Lighting device with fragrance and sound effect
US20230226242A1 (en) Plug-In Fragrance Diffuse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230110571A1 (en) LED and AUDIO FRAGRANT OIL DIFF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