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900B1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 Google Patents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900B1
KR102406900B1 KR1020210109353A KR20210109353A KR102406900B1 KR 102406900 B1 KR102406900 B1 KR 102406900B1 KR 1020210109353 A KR1020210109353 A KR 1020210109353A KR 20210109353 A KR20210109353 A KR 20210109353A KR 102406900 B1 KR102406900 B1 KR 10240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ctivity
cognitive
training
elde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6900B9 (en
Inventor
황인정
임재균
장진구
김근홍
오혁천
안창효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1010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900B1/en
Priority to PCT/KR2021/011077 priority patent/WO202302226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900B1/en
Publication of KR10240690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900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에서의 노인 상태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이를 상기 노인의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t a set time every day, express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for the day of the day, providing a correction function to correct, add, and delete the activity contents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the modification function in the user terminal If there is a modified content, the step of reflecting it and correcting the activity content, performing a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before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There is no corrected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 calculating a score by comparing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with the correct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first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and incorrect answer rate in the user terminal Step, performing a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and determining whether to improve.

Description

노인 상태 개선 방법 및 시스템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본 발명은 노인 상태 개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최근 우리나라는 기대 수명의 증가와 저 출산의 영향으로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2015년 전체 인구의 13.1%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상태이고,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까지 증가하여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recent years, Korea is aging rapidly due to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a low birth rate.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and over in Korea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accounting for 13.1%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15,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o 15.7% in 2020 and 24.3% in 2030 to enter a super-aging society. .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노인들이 만족스럽고 행복한 노후가 보장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데 노년기에 겪게 되는 신체, 심리, 사회적 제반 문제를 노인들이 혼자 극복하기는 쉽지 않다. 인구의 고령화는 노인인구의 건강문제를 수반하는데, 이 중 노년기의 대표적인 정신장애인 우울 증상은 유병율이 높은 질환이다.With the advent of the 100-year-old age, it is not easy for the elderly to overcome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they face in old age alone, although they must lead a life that guarantees a satisfactory and happy old age.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ccompanies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and among them, the representative depressive symptoms of mental disorders in old age are diseases with high prevalence.

이처럼 인구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의 건강문제, 특히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질환과 치매환자 수의 급속한 증가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치매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만성노인성 질환 중 암, 심장질환, 뇌졸중의 세 가지 질병을 모두 합한 비용을 초과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보건복지부에서는 치매노인 관리를 위해 체계적인 치매 예방치료관리, 치매검진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발견된 고위험군에 대한 사례관리, 주기적 검진, 사후관리 강화, 치매예방을 위한 노인운동사업(건강백세 운동교실) 확대, 효과적인 치매관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As such, along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particularly complex and chronic diseases,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are emerging as serious social problems. Among chronic geriatric diseases, the combined cost of cancer, heart disease, and stroke exceeds the combined cost. According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implementing systematic dementia prevention and treatment management and dementia screening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expanding various proj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100-year-old exercise class) an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dementia management.

노년기 대표질환인 치매는 정상적인 지적능력을 유지하던 사람이 다양한 후천적인 원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사고력 등의 지적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초래되는 상태를 가리키며, 만성적이며 진행성으로 기억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실행기능, 계산기능 등 인지기능의 다발성장애와 정서증상, 성격변화, 행동증상 등이 나타나는 뇌정신질환이다. 이러한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대부분이 치매에 대한 근원적인 치료방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Dementia, which is a representative disease of old age, is a persistent and overall decline in intellectual functions such as memory, language ability, judgment, and thinking ability as brain functions are damaged due to various acquired causes in people who maintained normal intellectual ability, which significantly interferes with daily life. It is a chronic and progressive brain-psychiatric disorder in which multiple disorders of 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language, spatiotemporal, executive, and computational functions, emotional symptoms, personality changes, and behavioral symptoms appear. Dementia can be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In most cases, a fundamental treatment method for dementia has not yet been developed, so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are known as the best methods.

최근에는 인지기능 항진제(cognitive enhancer)의 개발 등 약물치료로 비록 치매를 완치하지는 못하더라도 증상을 경감시키고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비약물적 치료법인 인지재활훈련도 치매 환자의 인지증상이나 행동증상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Recently, drug treatment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enhancers has made it possible to alleviate symptoms and delay the progression even if dementia cannot be cured. is helping to alleviate

이러한 약물적 치료 방법 외에, 비약물적 치료로써 최근 미국 및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여러 전문분야에서 노인의 정신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상을 이용한 치료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se pharmacological treatment methods, as a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implement treatment using recollection, which has been recently used as a means of maintaining and enhancing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n various specialized fields mainly in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Japan, has been developed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it is spreading.

치매노인 회상요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회상요법은 노인의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회상기능의 일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지고 있다.Studies on reminiscence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ve been very divers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ny studies, recall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improving some functions of the recall function.

이처럼 여러 연구 결과로부터 회상요법이 생애 과정의 회상을 통하여 노인이나 치매노인들의 회상기능 개선이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치매노인의 개인별 특성 및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단계별 회상의 확장활동을 활용한 맞춤형 회상 인지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따른 임상적 적용은 아직도 미미한 상황이다.As such,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several studies that recall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r improving the recall function of the elderly 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life-cycle recall.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recall cognitive training program using activitie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are still insignificant.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231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7-01323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인의 생활습관, 행동패턴 등을 파악하고, 반복된 학습을 통해 인지기능 및 일상 생활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노인 상태 개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that can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hrough repeated learning by identifying the lifestyle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elderly.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인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에서의 노인 상태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이를 상기 노인의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step, the step of express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for the day of the day at a set time every day in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correction function capable of modifying, adding, and deleting the activity contents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the above If there is a content corrected through the correction function in the user terminal, modifying the activity content by reflecting it; performing a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before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correction in the user terminal If there is no content or correction is completed, comparing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with the correct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and calculating a score;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differently,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determining whether to improve them.

상기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에서,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에서 무작위로 일부 내용을 생략하거나, 거짓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활동 내용을 표출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the activity contents may be expressed by randomly omitting some contents from the first recorded activity contents, changing them to false contents, or adding new contents.

상기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는 단계에서, 오답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 훈련 세트를 수행하는 반복 횟수가 더 많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greate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gnitive training set may be set.

상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인지 기능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백 불안척도(Back Anxiety Inventory, BAI), 도구형 일상생활척도(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이) 중 어느 하나의 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를 함께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Th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include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the Back Anxiety Inventory (BAI), the instrumental routine Either one of the 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tests may be performed, or two or more tests may be conducted together.

상기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impr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mprovement is achieved by performing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daily living abiliti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

본 발명의 노인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에서, 상기 노인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된 활동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고,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고,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고, 상기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In the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used by the elderly, a user terminal for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observed activity, and the user terminal At a set time every day,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of the day are expressed, and a correction function is provided to modify, add, and delete the expressed activity contents. Correct the content, perform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before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and if there is no correction or correction is completed, the final activity that reflects this is the correct answer activity,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first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The score is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the content, th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and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and th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are performed after th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and before and after th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and a server that provide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comparing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nd determining whether to improve.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에서 무작위로 일부 내용을 생략하거나, 거짓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활동 내용을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rver may randomly omit some content from the activity content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change it to false content, or add new content to express the activity content.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오답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 훈련 세트를 수행하는 반복 횟수가 더 많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server may set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set to increase as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n the user terminal increases.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인지 기능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백 불안척도(Back Anxiety Inventory, BAI), 도구형 일상생활척도(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이) 중 어느 하나의 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를 함께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server performs th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in the user terminal,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a Cognitive Function Test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 back anxiety scale Any one of (Back Anxiety Inventory, BAI) and 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tests may be performed, or two or more tests may be performed together.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o improve by performing a paired t-test on th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인의 생활습관, 행동패턴 등을 파악하고, 반복된 학습을 통해 인지기능 및 일상 생활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ifestyle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elderly, and improv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hrough repeated learn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지기능 및 일상 생활 능력을 개선함에 따라 고령층의 치매를 예방하고, 헬스 케어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ementia in the elderly and improving health care services by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상태 개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상태 개선 방법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인지 훈련의 종류를 예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1 illustrate various types of cognitiv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실시 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실시 예들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to be prop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nly provided to be a complete indication of the catego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실시 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precedent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of the entire specification, rather than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References in the singular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the singular.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lso, as used herein, the term “unit”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노인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관찰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 a server 200 , and an observer terminal 300 .

사용자 단말(100)은 노인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된 활동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단말이다. 예를 들어, 노인의 활동에는 식사, 운동, 산책, 만나기, 휴식, 낮잠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used by the elderly, and is a terminal for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observed activity. For example, the activities of the elderly may include eating, exercising, walking, meeting, resting, and taking a nap.

관찰자 단말(100)은 노인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일정 시간 단위로 관찰 대상자인 노인을 관찰하여 활동 내용을 기록하고, 기록한 활동 내용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이다. 예를 들어, 관찰자 단말(100)은 노인의 보호자, 의료인, 노인 보호 요양 시설의 관계자 등이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The observ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used by an observer for observing the elderly. It is a terminal for observing the elderly who is the subject of observation at a certain time unit, recording the activity, and transmitting the recorded activity data to the server 300 . . For example, the observ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used by a caregiver of the elderly, a medical person, a person concerned with a nursing facility for the elderly,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00)과 관찰자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단말로서,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observer terminal 300 ar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고,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한다.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한다.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한다.The server 200 provides a dedicated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s a modification function capable of display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for the day at a set time every day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and modifying, adding, and deleting the expressed activity contents. And, if there are any corrections made through the edit function, the activity contents are revised by reflecting them.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skills are tested prior to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When there is no corrected content or correction is completed, a scor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with the correct answer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As a result of the score calculation,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n, after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tested, and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cognitive training are compared, and whether the improvement is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에서 무작위로 일부 내용을 생략하거나, 거짓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활동 내용을 표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0 may express the activity contents by randomly omitting some contents, changing to false contents, or adding new contents from the activity contents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활동 내용을 표출한다는 것은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of the activity contents in the user terminal 100 means displaying the activity content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or outputting the activity contents as a voice through the speaker of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displaying it on the screen of the device and outputting it as a voice through a speaker.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오답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 훈련 세트를 수행하는 반복 횟수가 더 많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set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set to increase as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n the user terminal 100 increases.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인지 기능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백 불안척도(Back Anxiety Inventory, BAI), 도구형 일상생활척도(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이) 중 어느 하나의 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를 함께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performs a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in the user terminal 100,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a cognitive function test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Either one of the Back Anxiety Inventory (BAI) and the 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test, or two or more tests can be performed together.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determine whether to improve by performing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daily living abiliti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지 훈련으로 주의 집중력 훈련, 지각 능력 훈련, 기억력 훈련, 관리기능 훈련, 구성 능력 훈련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훈련 등을 종합하여 인지 훈련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gnitive training, attention training, perceptual ability training, memory training, management function training, configuration ability training, etc. may be provided, and these trainings may be synthesized to form a cognitive training se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상태 개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이를 노인의 사용자 단말(100)에 기록한다(S201). Referring to FIG. 2 ,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s observed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and this is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of the elderly ( S201 ).

본 발명에서 S201 단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한 노인의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방식으로 사용자(노인)가 직접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일정 시간마다 본인의 행위를 관찰하여 기록할 수 있다. 두번째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0) 자체에서 내장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위를 유추하여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기록할 수 있다. 세번째 방식으로, 관찰자가 노인을 관찰하면서 관찰자 단말(300)을 통해 일정 시간마다 노인의 활동 내용을 기록하고, 기록한 활동 내용을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세가지 방식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201 , the activity of the elderly can be observed in various ways, and the observed activity of the elderly can be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in the first method, a user (an elderly person) may directly observe and record his or her actions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econd method, the user's behavior can be inferred by using the sensing data of various sensors such as the geomagnetic sensor, the gyro sensor, and the detection sensor built in the user terminal 100 itself and automatic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As a third method, the observer may record the activity of the elderly at regular time through the observer terminal 300 while observing the elderly, and transmit the recorded activity to the server 200 . However, the above three methods are merely exemplary, and other methods of observing and recording the activities of the elderly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사용자 단말(100)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한다(S203).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하루 일과를 저녁 시간인 오후 9시에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출하는 활동 내용에는 날짜, 요일, 날씨(기온), 기상시간, 활동량, 식사 등 웨어러블 기기와 태블릿의 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며, 내일 일정을 간략히 소개할 수도 있다. 또는 일기를 음성으로 표출하고,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At a set time every day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for the day are expressed (S203).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a daily routine at 9:00 PM in the evening. In addition, information of wearable devices and tablets, such as date, day of the week, weather (temperature), wake-up time, activity amount, meal, etc., can be provided in the expressed activity content, and tomorrow's schedule can be briefly introduced.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diary is expressed by voice and the contents are correct.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S205). 이때, 사용자 단말에서 텍스트 또는 그림(도형)의 형식으로 일기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태블릿 PC 인 경우, 텍스트로 명사와 동사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식사, 활동을 대표하는 몇 개의 문장 패턴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사과 도형 이미지) + 먹다', (친구 도형) + 만나다', '(강아지 도형) + 산책하다' 등과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때, 도형 이미지 표시 아래에 한글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provides a correction function that can correct, add, and delete the activity content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100 (S205).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 correction function to allow the user terminal to revise the diary in the form of text or pictures (figures).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a tablet PC, it is possible to input nouns and verbs as text, or to present several sentence patterns representing meals and activities for the user to select, '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input interface such as (apple figure image) + eat', (friend figure) + meet', '(dog figure) + take a walk', etc.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Hangul below the figure image display .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한다(S207).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다시 일기를 음성으로 표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을 받도록 할 수 있으며, 내일의 일정도 함께 표출할 수 있다. If there is content corrected through the correction function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activity content is corrected by reflecting it (S207).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diary again by voice, receive confirmation by the user, and also display tomorrow's schedule.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한다(S211). Befor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0,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are performed (S211).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S209),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한다(S213). When there is no corrected content or correction is completed in the user terminal 100 (S209),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a score is calculated (S213) .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한다(S215). Then,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different cognitive training 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and incorrect answer rate (S215).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한다(S217). Then, after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0,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are performed (S217).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한다(S219, S221). Then, the user terminal 100 compares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improvement is made ( S219 and S221 ).

마지막으로, 인지 기능 개선 여부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표출하고 종료한다. Finally, a report on whether or not cognitive function has been improved is prepared, expressed, and finis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S201)에서,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에서 무작위로 일부 내용을 생략하거나, 거짓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활동 내용을 표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S201), the activity contents are expressed by randomly omitting some contents from the first recorded activity contents, changing them to false contents, or adding new contents can do.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는 단계(S215)에서, 오답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 훈련 세트를 수행하는 반복 횟수가 더 많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step (S215) of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greate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gnitive training set may be set.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인지 기능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백 불안척도(Back Anxiety Inventory, BAI), 도구형 일상생활척도(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이) 중 어느 하나의 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를 함께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Cognitive function, affect, and daily living skills tests include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Back Anxiety Inventory (BAI), and Instrumental Daily Life. Either one of the scales (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may be performed, or two or more tests may be performed together.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221)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In the step S221 of determining whether to improve,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daily living abiliti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to determine whether improvement can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상태 개선 방법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1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한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기록한다(S301). Referring to FIG. 3 ,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s observed in units of one hour, and the observed activity is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S301 ).

사용자 단말(100)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1시간 단위의 활동 내용을 표출한다(S303).At a predetermined time every day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activity contents for one hour during the day are expressed (S303).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S305).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한다(S307).And, it provides a correction function that can correct, add, and delete the activity content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100 (S305). And, if there is a content corrected through the correction function in the user terminal 100, it is reflected and the activity content is corrected (S307).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한다(S311).Befor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0, a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is performed (S311).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S309),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한다(S313).When there is no corrected content or correction is completed in the user terminal 100 (S309),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first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a score is calculated (S313) .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 세트 반복 횟수를 달리하여 수행한다(S315~S325).Then,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gnitive training set is varied 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S315 to S325).

즉, 오답 비율이 50% 이상이면 a세트를 수행하고(S317), 30~50% 이면 b세트를 수행하고(S319), 20~30% 이면 c세트를 수행하고(S321), 10~20%이면 d세트를 수행하고(S323), 10% 이하이면 e세트를 수행한다(S325). 여기서, a, b, c, d, e는 세트 반복 횟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a=12, b=10, c=8, d=6, e=4 로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if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s 50% or more, set a is performed (S317), if it is 30-50%, set b is performed (S319), if it is 20-30%, set c is performed (S321), and 10-20% If it is, the d set is performed (S323), and if it is 10% or less, the e set is performed (S325). Here, a, b, c, d, and e represent the number of set repetitions, and for example, a=12, b=10, c=8, d=6, e=4 may be set.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한다(S327).Then, after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100,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are performed (S327).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한다(S329). 이때, p-value(유의 확률)이 0.001(유의 수준) 이하인 경우(S331),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이 개선된 것으로 판정한다(S333). 그렇지 않은 경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S335).Then, the user terminal 100 performs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daily living abiliti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to determine whether improvement is made (S329). At this time, if the p-valu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01 (significance level) or less (S331), it i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is determined that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improved (S333). If not, it is determined that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not improved (S335).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인지 훈련의 종류를 예시한 것이다. 4 to 11 illustrate various types of cognitiv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인지 훈련 중에서 어떤 일을 할 때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인 주의 집중력 훈련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왼쪽 그림과 오른쪽 그림의 차이점을 찾는 틀린 그림 찾기를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도형의 색깔과 위치를 외우는 훈련을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문자에 맞는 숫자를 짝지기 하는 훈련을 예시한 것이다. 상대적 난이도로 분류하면, 도 4는 가장 쉬운 난이도 '하'이고, 도 5는 난이도 '중'이고, 도 6은 난이도 '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to 6 illustrate attention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maintain attention when doing something among cognitive training, and FIG. 4 illustrates finding the wrong picture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picture and the right picture, Figure 5 illustrates the training to memorize the color and position of the figure, Figure 6 illustrates the training to match the number to match the letter. When classified by relative difficulty, FIG. 4 may be classified as 'low', the easiest difficulty level, FIG. 5 as 'medium', and FIG. 6 as 'high'.

도 7 및 도 8은 인지 훈련 중에서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의 자극을 인식하는 능력인 지각 훈련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7은 선과 연결된 글자를 찾아 시선이 움직이도록 하는 선 따라가기 훈련을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겹쳐진 그림이 정해진 사이클로 조금씩 이동하여 시선을 계속 움직이도록 하는 겹쳐진 그림 찾기 훈련을 예시한 것이다. 7 and 8 illustrate perceptual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recognize stimuli such as sight, hearing, touch, and smell, among cognitive training. 8 is an example of an overlapping picture finding training in which the overlapped picture moves little by little in a set cycle to keep the eyes moving.

도 9는 인지 훈련 중에서 감각기관으로 유입되는 자극이나 정보를 등록한 후, 학습을 통해서 뇌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 쓰는 과정인 기억력 훈련을 예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그림을 찾는 달라진 그림 찾기 훈련을 예시한 것이다. 9 is an example of memory training, which is a process of registering stimuli or information flowing into the sensory organs during cognitive training, storing them in the brain through learning, and taking them out as needed. it is foreshadowed

도 10은 인지 훈련 중에서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기능 등의 기초 인지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인지 기능인 관리 기능 훈련을 예시한 것으로서, 사다리 타기 형식으로 맞는 길을 하나씩 눈으로 쫓아가는 것인 집 찾아가기 훈련을 예시한 것이다. 10 is an example of management function training, which is a cognitive function that manages and operates basic cognitive functions such as attention, language, spatiotemporal, and memory functions, among cognitive training. This is an example of home-going training.

도 11은 인지 훈련 중에서 판단, 조직화 계획, 시각 주의력 등 전반적인 인지 기능인 구성 능력 훈련을 예시한 것으로서, 같은 도형과 다른 도형을 분리하여 평면 도형과 입체 도형의 유추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을 예시한 것이다. 11 exemplifies construction ability training, which is an overall cognitive function such as judgment, organizational planning, and visual attention, among cognitive training, and illustrates training for improving the analogy ability between a flat figure and a three-dimensional figure by separating the same figure from another figure.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300 관찰자 단말
100 user terminals
200 servers
300 observer terminal

Claims (10)

노인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에서의 노인 상태 개선 방법에서,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이를 상기 노인의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에서,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에서 무작위로 일부 내용을 생략하거나, 거짓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활동 내용을 표출하고,
상기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는 단계에서, 오답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 훈련 세트를 수행하는 반복 횟수가 더 많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인지 기능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백 불안척도(Back Anxiety Inventory, BAI), 도구형 일상생활척도(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중 어느 하나의 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를 함께 실시하고,
상기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이를 상기 노인의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자체에 내장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의 행위를 유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며,
1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한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1시간 단위의 활동 내용을 표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고,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a, b, c, d, e는 세트 반복 횟수를 나타내며, a=12, b=10, c=8, d=6, e=4 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 세트 반복 횟수를 달리하여 수행하되, 오답 비율이 50% 이상이면 a세트를 수행하고, 30~50% 이면 b세트를 수행하고, 20~30% 이면 c세트를 수행하고, 10~20%이면 d세트를 수행하고, 10% 이하이면 e세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하되, p-value(유의 확률)이 0.001(유의 수준) 이하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이 개선된 것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 훈련은 어떤 일을 할 때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인 주의 집중력 훈련, 시각, 청각, 촉각, 후각의 자극을 인식하는 능력인 지각 훈련, 감각기관으로 유입되는 자극이나 정보를 등록한 후, 학습을 통해서 뇌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 쓰는 과정인 기억력 훈련,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기능의 기초 인지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인지 기능인 관리 기능 훈련 및 판단, 조직화 계획, 시각 주의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 기능인 구성 능력 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상태 개선 방법.
In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in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at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ecording the activity in the user terminal of the elderly;
at the user terminal, at a set time every day, express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for the day;
providing a correction function capable of modifying, adding, and deleting activity contents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modifying the activity contents by reflecting the contents modified through the modification function in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before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calculating a score by comparing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with the correct answer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when there is no corrected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or when the correction is completed;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differently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and incorrect answer rate;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in the user terminal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mprovement,
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the activity contents are expressed by randomly omitting some contents from the first recorded activity contents, changing them to false contents, or adding new contents,
In the step of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the greate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set is set,
Th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include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the Back Anxiety Inventory (BAI), the instrumental routine Conducting any one of the 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tests, or performing two or more tests together;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improve,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improvement is achieved by performing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daily living abiliti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step of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n the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ecording the activity in the user terminal of the elderly, the elderly using sensing data of sensors including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d a detection sensor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itself by inferring the behavior of the user and recording it in the user terminal,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n units of one hour, and recording the observed activity in the user terminal;
at the user terminal, at a set time every day, expressing the contents of an hour's activity for the day of the day;
providing a correction function capable of modifying, adding, and deleting the activity contents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and if there is a modification through the modification function, modifying the activity contents by reflecting it;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before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calculating a score by comparing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with the correct answer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initially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when there is no corrected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or when the correction is completed;
a, b, c, d, and e represent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set, and when a=12, b=10, c=8, d=6, e=4 is set,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in the user terminal,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gnitive training set is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gnitive training set, but if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s 50% or more, perform set a; if it is 30-50%, perform set b; if it is 20-30%, perform set c; %, performing set d; if less than or equal to 10%, performing set e;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in the user terminal after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and
The user terminal performs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cognitive training to determine whether improvement is achieved, but p-valu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01 (significance) level) or less, it i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judged as improved, otherwis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judged as not improved. includes,
The cognitive training includes attention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maintain interest when doing something, perception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recognize stimuli of sight, hearing, touch, and smell, and after registering stimuli or information flowing into the sensory organs, Memory training, which is the process of storing in the brain through learning and retrieving as needed, management function training and judgment, organizational planning, visual att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raining for constructive ability, which is an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노인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에서
상기 노인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일정 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된 활동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시간 단위 별 활동 내용을 표출하고,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고,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을 달리하여 수행하고, 상기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개선 여부를 판정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에서 무작위로 일부 내용을 생략하거나, 거짓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활동 내용을 표출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오답 비율이 높을수록 인지 훈련 세트를 수행하는 반복 횟수가 더 많도록 설정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인지 기능 검사(Clinical Dementia Rating, CDR), 백 불안척도(Back Anxiety Inventory, BAI), 도구형 일상생활척도(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중 어느 하나의 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검사를 함께 실시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자체에 내장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의 행위를 유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며,
1시간 단위로 노인의 활동을 관찰하고, 관찰한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당일 하루 동안의 1시간 단위의 활동 내용을 표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출된 활동 내용을 수정,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는 수정 기능을 제공하고, 수정 기능을 통해 수정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활동 내용을 수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정된 내용이 없거나 수정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최종 활동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초 기록된 활동 내용인 정답 활동 내용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고, a, b, c, d, e는 세트 반복 횟수를 나타내며, a=12, b=10, c=8, d=6, e=4 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점수 계산 결과, 오답 비율에 따라 인지 훈련 세트 반복 횟수를 달리하여 수행하되, 오답 비율이 50% 이상이면 a세트를 수행하고, 30~50% 이면 b세트를 수행하고, 20~30% 이면 c세트를 수행하고, 10~20%이면 d세트를 수행하고, 10% 이하이면 e세트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후에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지 훈련 수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개선 여부를 판정하되, p-value(유의 확률)이 0.001(유의 수준) 이하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이 개선된 것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인지 기능, 정서 및 일상 생활 능력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인지 훈련은 어떤 일을 할 때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인 주의 집중력 훈련, 시각, 청각, 촉각, 후각의 자극을 인식하는 능력인 지각 훈련, 감각기관으로 유입되는 자극이나 정보를 등록한 후, 학습을 통해서 뇌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 쓰는 과정인 기억력 훈련,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기능의 기초 인지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인지 기능인 관리 기능 훈련 및 판단, 조직화 계획, 시각 주의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 기능인 구성 능력 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상태 개선 시스템.
In the elderly condition improvement system to improve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A terminal used by the elderly, comprising: a user terminal for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at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ecording the observed activity; and
At a set time every day in the user terminal, the activity contents for each time unit for the day are expressed, and a modification function is provided to modify, add, and delete the displayed activity contents, and if there is any modification through the modification function The activity contents are revised by reflecting this,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tested befor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The score is calcul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correct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content, and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result and incorrect answer rate, and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s are performed after the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and the recognition Comprising a server that provides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compares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rain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improvement is made,
The server randomly omits some content from the first recorded activity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changes it to false content, or adds new content to express the activity content,
The server sets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set to be greater as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n the user terminal is higher,
When the server performs the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in the user terminal,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SE), a Cognitive Function Test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 back anxiety scale (Back Anxiety Inventory, BAI) and Should-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S-IA), or two or more tests together;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improvement is achieved by performing a paired t-test o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daily living abilities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cognitive training in the user terminal,
The behavior of the elderly is inferred using sensing data of sensors including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d a detection sensor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itself and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Observing the activity of the elderly in units of one hour,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observed activity in the user terminal, and expressing the contents of the activity in units of one hour during the day at a set time every day in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provides a correction function that can correct, add, and delete the activity contents expressed in the user terminal, and if there is a modification through the modification function, the activity contents are corrected by reflecting it, and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are tested before, and if there is no correction or correction is completed in the user terminal, the final activity content reflecting this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activity content, which is the activity content first recorded in the user terminal A score is calculated, and a, b, c, d, and e represent the number of set repetitions. When a=12, b=10, c=8, d=6, e=4 is set,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the score As a result,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gnitive training set varie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f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is 50% or more, perform set a; if it is 30-50%, perform set b; if it is 20-30%, perform set c If it is 10 to 20%, perform d set, if less than 10%, perform e set,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test is performed after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and cogn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A paired t-test is performed on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performance to determine whether improvement is achieved, but if the p-valu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is 0.001 (significance level) or less, statistical to be considered academically meaningful, and to determine that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daily living abilities have improved, otherwise, cognitive function, emotional and
The cognitive training includes attention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maintain interest when doing something, perception training, which is the ability to recognize stimuli of sight, hearing, touch, and smell, and after registering stimuli or information flowing into the sensory organs, Memory training, which is the process of storing in the brain through learning and retrieving as needed, management function training and judgment, organizational planning, visual attention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raining of constructive ability, which is an overall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09353A 2021-08-19 2021-08-19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KR102406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53A KR102406900B1 (en) 2021-08-19 2021-08-19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PCT/KR2021/011077 WO2023022264A1 (en) 2021-08-19 2021-08-20 Elderly condition improvement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53A KR102406900B1 (en) 2021-08-19 2021-08-19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900B1 true KR102406900B1 (en) 2022-06-08
KR102406900B9 KR102406900B9 (en) 2022-12-27

Family

ID=8198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353A KR102406900B1 (en) 2021-08-19 2021-08-19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6900B1 (en)
WO (1) WO2023022264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173A (en) * 2006-12-06 2009-09-1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emory training via visual journal
KR20160001164A (en) * 2014-06-26 2016-01-06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of data processing for preventing dementia and method of data processing for preventing dementia using the same
KR20170073037A (en) * 2015-12-18 2017-06-28 (주)메디즈 Tablet pc -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delivery method
KR20170132318A (en) 2015-04-02 2017-12-01 씨알씨 포 멘탈 헬스 리미티드 How to predict the risk of cognitive decline
US20190167179A1 (en) * 2016-08-07 2019-06-06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Methods and system for assessing a cognitive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0772A (en) * 2019-10-07 2021-04-15 学校法人冬木学園 Dementia patient outing suppor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173A (en) * 2006-12-06 2009-09-1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emory training via visual journal
KR20160001164A (en) * 2014-06-26 2016-01-06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of data processing for preventing dementia and method of data processing for preventing dementia using the same
KR20170132318A (en) 2015-04-02 2017-12-01 씨알씨 포 멘탈 헬스 리미티드 How to predict the risk of cognitive decline
KR20170073037A (en) * 2015-12-18 2017-06-28 (주)메디즈 Tablet pc -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delivery method
US20190167179A1 (en) * 2016-08-07 2019-06-06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Methods and system for assessing a cognitiv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900B9 (en) 2022-12-27
WO2023022264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ger-Flusberg et al. Conducting research with minimally verbal particip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Zisman-Ilani et al. Expanding the concept of shared decision making for mental health: systematic search and scoping review of interventions
Asghar et al. Usability evaluation of assistive technolog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people with mild dementia
Tropea et al. Rehabilitation, the great absentee of virtual coaching in medical care: scoping review
JP2022097488A (en) Processo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ies
Costa-Cordella et al. Social support and cognition: a systematic review
Ostrovsky et al. Vision following extended congenital blindness
Fawcett et al. Pupillary contagion in infancy: Evidence for spontaneous transfer of arousal
Mancioppi et al. Novel technological solutions for assessment, treatment, and assistanc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Barbosa et al. Empowerment-oriented strategies to identify behavior chang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US20160125748A1 (en) Memory test for Alzheimer's disease
Parsons et al. Paradigm shift toward digital neuropsychology and high-dimensional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Vancea et al. Population aging in the European Information Societies: towards a comprehensive research Agenda in eHealth innovations for elderly
Piran et al. Medical mobile applications for stroke survivors and caregivers
Geddes et al. Psychiatry
Plow et al. Correlates of participation in meaningful activities among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Lancioni et al. Technology-based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daily activities and supported ambulation in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Berger et al. Assessing pain research: a narrative review of emerging pain methods, their technosocial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Modi et al. A survey of research trends in assistive technologies using information modelling techniques
Lee et al. Theory of mind as a mediator of reasoning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findings from 200 healthy people
O’Brien et al. Repurposing a smartwatch to support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ensory and operational considerations
Santos et al. Challenges for inclusive affective detection in educational scenarios
Jasper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ormation order effects: The importance of right-hemisphere access in belief updating
JP2002078699A (en) Measurement of cognitive impairment due to incidental or intentional exposure to neurotoxic element
KR10240690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