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24B1 -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 Google Patents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224B1
KR102406224B1 KR1020200111831A KR20200111831A KR102406224B1 KR 102406224 B1 KR102406224 B1 KR 102406224B1 KR 1020200111831 A KR1020200111831 A KR 1020200111831A KR 20200111831 A KR20200111831 A KR 20200111831A KR 102406224 B1 KR102406224 B1 KR 10240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member
main frame
us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0078A (en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박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20011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24B1/en
Priority to PCT/KR2021/011071 priority patent/WO2022039539A1/en
Priority to CN202190000712.7U priority patent/CN219920658U/en
Publication of KR2022003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24B1/en
Priority to US18/155,956 priority patent/US118393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채널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감 내지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er fo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tial or three-dimensional effect to a user seated in a chair by sound output from a plurality of channels. It relates to a member fo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A member fo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채널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감 내지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er fo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tial or three-dimensional effect to a user seated in a chair by sound output from a plurality of channels. It relates to a member fo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피커는 대개 전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전기 신호 및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진동부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소리를 내는 것이다.In general, a speaker used in connection with a computer produces sound by conver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an electric wir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and vibrating it with a vibrating unit.

예를 들어, 컴퓨터를 통하여 영화 시청 또는 게임을 하는 경우에 컴퓨터 모니터를 볼 수 있는 의자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의 화면에 비치는 영상을 눈으로 시청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진동되는 스피커의 떨림에 의하여 영상에 해당하는 진동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를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watching a movie or playing a game through a computer, the user sits in a chair where the computer monitor can be viewed and watches the image reflected on the computer screen with his/her eyes, and at the same time,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speaker vibrates.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due to the shaking,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특히, 이러한 스피커를 여러대 구비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내 사운드의 방향 및 크기 등을 보다 정교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ulti-channel sound system having several such speak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more precisely experience the direction and size of sound in an image.

다만, 이러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책상 위, 아래 또는 의자의 후방 등에 각각 스피커를 마련해야 하며, 복수의 스피커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적인 제약이 크다고 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each speaker on the top, bottom of a desk, or the back of a chair,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is limited in that a plurality of speakers must all be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복수의 스피커를 배치시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했다 하더라도, 의자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와 스피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리적인 간섭이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In addition, even if a multi-channel sound system is implemen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chair is changed or various physical interferences existing between the user and the speaker sitting in the chair may exist.

관련 선행기술로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관한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38848호가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38848, which relates to a chair-type massage device having a multi-channel sound system.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전단에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 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센터 스피커,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 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 및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다채널 오디오 출력부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피시료자의 체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체형정보에 의해 피시료자의 청취원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취원점과 각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시간 지연량을 조정하여 입체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e chair-type massage device including the seat part, the footrest part, the backrest part, and the armrest par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protruding listening position ar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 part and inserted in response to a seating or leaving operation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 center speaker moved between positions, a pair of front speaker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armrests of the seat unit and moved between an initial position inserted and a protruding listening position in response to a seating or leaving operation of a person to be treated; A pair of rare speaker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and a multi-channel audio output unit for applying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respectively, wherein the audio output unit is provided on the seat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The body type of the subject is detected, the listening origin of the subject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tected body shape inform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alculated listening origin and each speaker is calculated, and applied to each speaker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Disclosed is a chair-type massage device that generates three-dimensional sound by adjusting a volume level or a time delay amount of an audio signal.

다만,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의하더라도,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되는 위치는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 및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고정되어 있어 스피커의 보다 정교한 조정이 불가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However, even with the chair-type massage device, the position where the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is provided is fix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ack of the chair-type massage device and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armrests of the seat part, so more precise adjustment of the speaker is impossible There is a limit to

따라서,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단순히 스피커의 수만 5.1채널을 충족하였을 뿐,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내 사운드의 방향 및 크기 등이 보다 생동감있게 전달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Therefore, the chair-type massage device simply satisfies 5.1 channels only in the number of speakers,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direction and size of sound in the image can be transmitted more vividly to the user.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01388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8848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Under this technical backgrou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a chair and a shape tha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extends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to pas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To provide a chair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main frame and having a speaker installation area in which at least one speaker is install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is def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a chair and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hape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so as to pas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ber for a chair including a frame, wherein a speaker installation area in which at least one speaker is installed is defin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상술한 두 양태 중 임의의 하나의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r comprising at least 1)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waist, and 2) a seat for supporting the user's hip and leg portions, wherein the backrest is described above. It is to provide a chair in which any one member for a chair in the two aspects is installe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상술한 두 양태 중 임의의 하나의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1)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waist, 2) a seat for supporting the hip and leg portions of the user, and 3)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In the chair including a part, it is to provide a chair in which any one member for a chair among the above-mentioned two aspects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용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a chair, and at least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hape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to pas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There is provided a member for a chair including one main frame and having a speaker installation area in which at least one speaker is install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def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용 부재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a chair and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from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pass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There is provided a member for a chair including a main frame and having a speaker installation area in which at least one speaker is install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상술한 두 양태 중 임의의 하나의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hair comprising at least 1)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waist, and 2) a seat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legs, the backrest portion A chair provided with a member for a chair in any one of the above two aspects is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상술한 두 양태 중 임의의 하나의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1) a backres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waist portion, 2) a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hip portion and leg portion of the user, and 3) supporting the user's head portion In a chair including a headrest part, there is provided a chair in which any one chair member of the above two aspects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만으로 실제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 경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ly when the user sits in a chair, an image that is actually reproduced or a sound experience full of life is possible as if it exists in a game environment.

특히, 의자에 마련된 스피커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전방, 후방, 측방, 상방 및 하방 등과 같이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a true multi-channel sound system in that it can separate the sound generated from various directions such as the front, rear, side, up and down in the game environment or the video play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speakers provided in the chair and deliver it to the user. can be implement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 프레임을 매개로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변형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 프레임을 매개로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1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ackrest;
3 and 4 are side views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ackrest portion via an installation frame.
FIG. 5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headrest unit; FIG.
6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6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8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6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9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9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11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9 is installed on a headrest unit;
12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2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14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2 is installed on a headrest unit;
15 to 17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2 .
18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and 20 are side views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8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21 is a top view of a chair on which a member for a chai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23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is installed on a headrest unit;
24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is installed on a backrest portion via an installation frame.
25 to 27 show modified examples of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
28 is a sid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ertain terms are defined herein for convenience. Unless defined otherwise herein,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all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lso, unless the context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term in the singular includes its plural form as well, and a term in the plural form also includes its singular form.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관련된 내용은 각각의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실시예가 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전술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원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 chai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contents related to chair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understood as each independent embodiment, and if necessary, at least two independent embodiments may be merged. will be. On the other hand, components that are not sufficiently describ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 may refer to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1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member for a chai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ackres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1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110)와 상기 지지 부재(1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좌측, 우측 또는 좌측 및 우측)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120)을 포함한다.1 and 2 , the chair memb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installed on the chair and the support member 110 , and is installed on the chair 1000 . at least one main frame 120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1000 from the support member 110 so as to pass in the lateral direction (left, right, or left and right) of the seated user .

편의상 도 1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상기 지지 부재(110)에 설치된 위치(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중심측)로부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좌측과 우측을 모두 지나도록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 부재(110)에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을 지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in FIG. 1 , the main frame 120 passes through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1000 from the position (the center side of the main frame 120 ) installed at the support member 110 . Although illustrated as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 the main frame 120 passes from the posi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1000 . It may have an extended shape.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상기 지지 부재(110)에 설치된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 1에는 상기 지지 부재(110)의 후방에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지지 부재(110) 및 상기 지지 부재(110)에 구비된 고정 수단(1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의자(1000)의 등받이부(B)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location where the main frame 1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IG. 1 shows that the main frame 1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110 .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the chair member 100 includes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backrest portion ( It can be installed on the back of B).

상기 의자(10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의자(1000)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B),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S) 및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B)의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H)는 필요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hair 1000, the chair 1000 includes a backrest B that supports the back and waist of a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and a hip portion and a leg portion of the user. It may include a seat portion (S) for supporting and a headrest portion (H)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2, the headrest part (H)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part (B), and in this case, the headrest part (H) is the backrest part (B) if necessary. It may be separated from or configured integrally.

상기 헤드레스트부(H), 상기 등받이부(B) 및 상기 시트부(S)는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방 또는 내측(즉, 사용자의 사용자의 등, 허리 및 옆구리 등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진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 headrest part (H), the backrest part (B) and the seat part (S) are front or inside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back, waist, and side touches the user's back) for the convenience of the seated user.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eeling,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eeling is padded.

또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전방 또는 내측에 우퍼 스피커(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우퍼 스피커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내측에 구비된 우퍼 스피커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woofer speak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front or inside the backrest part B and/or the seat part S. Sinc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woofer speaker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10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lively user experience. An appropriate number of woofer speakers provided inside the backrest part B and/or the seat part S may be installed to implement a multi-channel sound system.

추가적으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에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온열 수단, 통풍 수단 및 마사지 수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heating means, a ventilation means, and a massage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B and/or the seat part 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1000 .

상기 시트부(S)의 하부로는 하부 지지대(BT)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대(BT)는 바퀴와 같은 이동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S)와 상기 하부 지지대(BT)는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구분이 불가능한 구성으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A lower support BT may be provided as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S, and the lower support BT may further include a movable member such as a wheel. In addition, the seat portion (S) and the lower support (BT) may be provided as a configuration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is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시트부(S)와 하부 지지대(BT)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진동 완화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완화 부재는 상대적으로 상기 시트부(S)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의자(1000)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a vibration mitigating member (not shown) may be sel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seat portion S and the lower support BT. The vibration alleviating member relatively serves to prevent or mitigate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air 1000 .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SA)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내측에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main frame 120 , a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in which at least one speaker SPE is installed may be defin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is seated on the chair 1000 . It is preferable to be defined on the inside of the main frame 120 that faces one user.

그러나, 만약 상기 스피커(SPE)가 상기 메인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설치될 경우, 반드시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내측에 정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f the speaker SPE is installed through the main frame 120 ,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is not necessarily defined inside the main frame 120 .

상기 스피커(SPE)는 스피커 완제품,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에 별도로 마련된 구동부에 연결되어 완제품으로서 동작하는 스피커 유닛, 디스플레이형 스피커 또는 박막형 스피커일 수 있으며, 원웨이 및 멀티웨이 스피커를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speaker (SPE) may be a finished speaker product, a speaker unit that is connected to a driving unit provided separately in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and operates as a finished product, a display type speaker, or a thin film type speaker, and includes one-way and multi-way speakers, It can operate by receiving a sound signal by wire or wirelessly.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피커(SPE)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SPE)가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의자용 부재(100) 또는 상기 의자용 부재(100)가 설치된 의자(1000)에는 무선 수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speaker SPE may receive a sound signal by wire or wirelessly, and when the speaker SPE wirelessly receives a sound signal, the chair member 100 or the chair member The chair 1000 in which 100 is installed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receiver.

상기 무선 수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DECT 또는 라이파이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운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는 후술할 의자의 결속부 및/또는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wireless receiver may wirelessly transmit/receive with a sound source (eg, home theater, TV, set-top box, sound bar, computer, mobile phone, tablet, etc.) in a manner such as Wi-Fi, Bluetooth, DECT, or Li-Fi. The wireless receiver may be provided in a binding part and/or a connection part of a chai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스피커(SPE)는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과 상기 스피커(SPE) 사이에 별도의 스피커 설치대가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SPE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speaker is installed between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and the speaker SPE. Fees may be intervened.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지지 부재(110)를 상기 의자(10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13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수단(130)은 상기 지지 부재(11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수단(13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소정의 하중을 가지는 상기 의자용 부재(100)를 의자(1000)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끼움 방식, 매듭 방식, 나사 체결 방식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chair memb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130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110 to the chair 1000 , and the fixing means 130 is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110 . It is preferable to be The fixing means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well-known means such as a fitting method, a knot method, and a screw fastening method for firmly fixing the chair member 100 having a predetermined load to the chair 1000 may be used. can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 프레임을 매개로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3 and 4 are side views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ackrest portion via an installation fram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210)이 위치하며,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지지 부재(1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110)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3 and 4 , the installation frame 2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backrest part B, and the chair member 100 interposes the support member 110 . This may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210 , and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and desc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과 상기 의자용 부재(100)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에 접촉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3 and 4 show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the chair member 100,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shown to be installed in a state that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backrest part (B).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frame 21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serted inside the backrest part B, or install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B.

또한,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frame 21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ckrest portion B, and if necessary, the installation fram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rest portion B.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이격 설치된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과 상기 등받이부(B) 사이에는 제2 틸팅 부재(220)와 받침대(230)가 개재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B,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and the pedestal 2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the backrest B. .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230)는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제2 틸팅 부재(2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틸팅 부재(220)를 매개로 한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틸팅 부재(220)는 상기 받침대(230)에 대한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설치 프레임(210) 및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된 상기 의자용 부재(100)와 상기 등받이부(B)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pedestal 230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B and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 and the installation frame 210 via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is installed as the backrest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part (B),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adjusts the distance and angle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230, resulting in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the installation frame 210 The interval and angle between the seat member 100 and the backrest portion B installed in the chair can be adjusted.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부재(110)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 부재(110)의 독립적인 틸팅에 의해 상기 의자용 부재(100)와 상기 등받이부(B)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installed to be tiltable on the installation frame 210 .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10 in a fixed state.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chair member 100 and the backrest B may be adjusted by independent tilting.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지지 부재(110) 및 상기 지지 부재(110)에 구비된 고정 수단(1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의자(1000)의 헤드레스트부(H)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ich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the headrest part, the chair member 100 is the support member 110 and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110 . It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drest part H of the chair 1000 through the medium 130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6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member for a chair shown in FIG. 6 is installed on a back part, and FIG. 8 is a member for a chair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member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110)와 상기 지지 부재(1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120)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 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6 to 8 , the chair member 1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installed on the chair and the support member 110 , and show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 and at least one main frame 120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from the support member 110 so as to pass, wherein the main frame 120 is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10 . shown to be installed in

즉,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경량의 소재로 제작된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정의된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에 복수의 스피커(SPE)가 설치될 경우, 그 하중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의자용 부재(110)를 상기 의자(10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main frame 120 is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when a plurality of speakers SPE are installed in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SA defin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20, the A load may increase, and as the load of the main frame 120 increases, it may be difficult to stably fix the chair member 110 to the chair 1000 .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120)을 상기 지지 부재(110) 상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110)는 상기 고정 수단(130)에 의해 상기 의자(1000)에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20)을 상기 의자(10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in frame 1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 and the support member 110 is stably installed on the chair 1000 by the fixing means 130 in a state in which it is horizontally maintained. Accordingly, the main frame 120 can be stably fixed to the chair 1000 .

이와 같은 설치 방식은 상기 의자용 부재(100)를 상기 등받이부(B)에 설치하거나(도 7 참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설치하는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B)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상기 의자용 부재(100)를 설치할 때, 상기 고정 수단(130)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 상기 등받이부(B)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와 상기 등받이부(B)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Such an install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both the case where the chair member 100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part B (see FIG. 7 ) or installed on the headrest part H, and the backrest part B) Alternatively, when the chair member 100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H, the fixing means 130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part H, the backrest part B or the headrest part H. It may be fixed between the backrest portions (B).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9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member for a chair shown in FIG. 9 is installed on a back part, and FIG. 11 is a chair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use member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110)와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110)와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실질적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하나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중심측이 상기 지지 부재(110)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0)의 중심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수단(13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main fram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main frame 120 are substantially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as a configuration of In this case, the central side of the main frame 120 may be defined as the support member 110 , and the fixing means 130 may protrude from the central side of the main frame 120 .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지지 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등받이부(B), 상기 지지 부재(11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 the backrest portion B and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further, the backrest portion B,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main fram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It may be formed integrally.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부(H)와 상기 지지 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헤드레스트부(H), 상기 지지 부재(11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headrest part H and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further, the headrest part H,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main fram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 may be integrally formed.

이와 같이 상기 의자용 부재(100)에 포함된 구성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의자용 부재(100)에 포함된 구성 중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의자(1000)에 포함된 구성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더 미려한 외관의 의자(100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hair member 100 are integrally formed, or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hair member 100 and all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hair 1000 are integrally form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chair 1000 with a more beautiful appearance by being integrally formed.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12 is a top view of a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member for a chair shown in FIG. 12 is installed on a back portion, and FIG. 14 is a chair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use member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 부재(110)의 적어도 일 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지지 부재(110)의 양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main frame 12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 or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10 .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상기 지지 부재(110)의 양 측에 설치된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 부재(110)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1 사이드 프레임(120a)과 상기 지지 부재(110)의 타 측에 설치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을 포함할 수 있다.12 to 14 , when the main frame 1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10 , the main frame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 It may include a first side frame 120a and a second side frame 120b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

이 때,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일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타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이 상기 지지 부재(110)의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좌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의 좌측으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우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의 우측으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의 역방향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frame 120a has a sha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to pass through one side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 The second side frame 120b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so as to pass the other side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 can have From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1000 so that the first side frame 120a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side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of the support member 110 . When having an extended shape, the second side frame 120b extends from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to pass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 It may have a shape that has been changed,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reof will also be possible.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지지 부재(110)가 생략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은 상기 등받이부(B)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직접적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등받이부(B)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shown in FIGS. 13 and 14 , the support member 110 is omitted and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are the backrest B or the headrest. It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part (H),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ckrest part (B) or the headrest part (H).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변형예이다.15 to 17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2 .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110)에 대하여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1 틸팅 부재(111)를 매개로 상기 지지 부재(110)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among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110 . It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0 via the first tilting member 111 so as to be able to til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 a plane parallel to the floor.

상기 제1 틸팅 부재(111)를 매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의 지향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의자(1000)에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기립할 때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1000)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의 지향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SPE)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 및 각도 등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As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is changed via the first tilting member 111, the When a user sits or stands on the chair 1000, ease of use may be improved. In addition,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is changed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1000 . As a result,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user and the speaker SPE installed on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are customized. can do.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는 직선, 곡선 또는 꺾인 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직선, 곡선 또는 꺾인 선의 형상을 가질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절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may have a shap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bent line, and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curved line. When it has the shape of a bent line, i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joint.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절부(121)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잔부의 지향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6 , at least one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has at least one joint part ( 121),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mainder of the frame located on the outside relative to the joint portion 121.

추가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제1 틸팅 부재(111)와 도 16에 도시된 관절부(121)를 동시에 도입할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의 보다 자유로운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tilting member 111 shown in FIG. 15 and the joint part 121 shown in FIG. 16 are simultaneously introduced, the main frame 120 or the first side frame of the main frame 120 ( 120a) and more freely tilting of the second side frame 120b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관절부(121)는 단순히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기 관절부(121)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잔부가 자유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joint part 121 is not only til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 a plane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but the remainder of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outside the joint part 121 in the free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tiltable.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부재(110)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한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의 폭은 상기 지지 부재(110)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at least one of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moves forward from the support member 110 .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extension length toward the. To this end, the width of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of the main frame 120 or the main frame 120 is the width of the chair 1000 from the support member 110 . It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direction.

이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으로 나뉘어 지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 진 경우에도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i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extension can be adjusted even when the main frame 120 is not divided into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and is formed of one frame.

또한,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잔부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연장 길이가 조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20a)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20b)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extension length as the remainder of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outside is inserted into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insid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120 or the first side of the main frame 120 At least one speaker SPE installed on th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frame 120b may include the main frame 120 or the first side frame 120a and the second side of the main frame 120 .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ame 120b.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18 is a top view of a chai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9 and 20 are side views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18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도 19 내지 도 20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20)이 설치된 상기 지지 부재(11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19에는 상기 지지 부재(110)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 방향에서 내려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도 20에는 상기 지지 부재(110)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후면 방향에서 전진하여 끼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부재(110)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면 방향에서 후진하여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측면 방향에서 이동하여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19 to 20 , the support member 110 on which the main frame 120 is installed may be fitted to the headrest part H. 19 shows that the support member 110 comes down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headrest part H and is fitted, and in FIG. 20, the support member 110 is moved from the rear direction of the headrest part H. It was shown that it was fitted by advancin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fitted by moving backwar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eadrest part H, or may be fitted by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eadrest part H.

추가적으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메인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 부재(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지지 부재(11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 대신 상기 등받이부(B)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unlike those shown in FIGS. 18 and 19 , the main frame 120 may be installed above or below the support member 110 .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fitted to the backrest portion B instead of the headrest portion H.

아울러,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는 스피커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110)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120)과의 구분을 위해 어퍼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후술할 메인 프레임(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member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rame in which a speaker is installed. The frame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from the support member 110 or the main frame 120 so as to pas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and the frame may include the It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frame to distinguish it from the main frame 120 . The upper fram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in frame 320 to be described later, except that it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20 .

즉, 전술한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을 가지는 실시예와 후술할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또는 어퍼 프레임)을 가지는 실시예는 서로 병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실시예가 병합될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또는 어퍼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an embodiment having at least one main frame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from the support member so as to pas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to be described later. Embodiments having at least one main frame (or upper frame)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from the support member to pass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merged with each other, and as described above, the two embodiments may be merged. In this case, the main frame (or upper frame)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or the main frame.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상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21 is a top view of a chair in which a chair memb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ide view of the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is installed on a back part, and FIG. 23 is FIG. It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illustrated chair member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이하에 설명되는 의자용 부재는 전술한 의자용 부재와 메인 프레임이 설치된 위치 및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이 상이한 것으로서, 이외의 구성 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The chair member described below differs from the aforementioned chair member in a location in which the main frame is installed and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nd since the other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mponents is omitted for convenience. decide to do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3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310)와 상기 지지 부재(3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310) 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부재(310)와 상기 메인 프레임(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1 , a chair memb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upport member 310 installed on a chair and the support member 310 , and a user seated on the chair 1000 . and a main frame 320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1000 from the support member 310 to pas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support member 310 and the main frame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메인 프레임(320)이 상기 지지 부재(310)에 설치된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 21에는 상기 지지 부재(310)의 상부에 상기 메인 프레임(320)이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The location where the main frame 3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3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IG. 21 shows that the main frame 3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310 .

또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300)는 상기 지지 부재(310) 및 상기 지지 부재(310)에 구비된 고정 수단(3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의자(1000)의 상기 등받이부(B)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2 and 23 , the chair member 300 is mounted on the chair 1000 through the support member 310 and the fixing means 330 provided on the support member 310 . It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side of the backrest part (B) or the headrest part (H).

또한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지지부재(3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B), 상기 지지부재(310) 및 상기 메인 프레임(32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ackrest part B and the support member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backrest part B, the support member 310 and the main frame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320)은 상기 지지 부재(310)에 대하여 바닥면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2 틸팅 부재(211)를 매개로 상기 지지 부재(310)에 설치될 수 있다.23, the main frame 320 is til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loo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310 via a second tilting member 211 as a medium to the support member ( 310) can be installed.

이 경우, 상기 제2 틸팅 부재(211)를 매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320)의 지향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의자(1000)에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기립할 때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1000)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상기 메인 프레임(320)의 지향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320)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SPE)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 및 각도 등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main frame 320 is changed via the second tilting member 211 , ease of sitting or standing on the chair 1000 may be improved. In addition, as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main frame 320 is changed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1000,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speaker (SP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320 and the user is customized. can do.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 프레임을 매개로 등받이부에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24 is a side view of a chair in which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is installed on a backrest portion via an installation frame.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210)이 위치하며, 상기 의자용 부재(300)는 상기 지지 부재(3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310)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 an installation frame 210 extending in an up-down direction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r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B, and the chair member 300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member 310 as a medium. It may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210 , and the support member 31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

도 24에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과 상기 의자용 부재(100)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에 접촉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In FIG. 24,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shown to be install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B to show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the member 100 for the chair, but previously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frame 21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serted inside the backrest part B, or install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B.

또한,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frame 21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ckrest portion (B), and if necessary, the installation fram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rest portion (B).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이격 설치된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과 상기 등받이부(B) 사이에는 제2 틸팅 부재(220)와 받침대(230)가 개재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ckrest portion B,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and the pedestal 2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the backrest portion B. .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230)는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제2 틸팅 부재(2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틸팅 부재(220)를 매개로 한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틸팅 부재(220)는 상기 받침대(230)에 대한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설치 프레임(210) 및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된 상기 의자용 부재(300)와 상기 등받이부(B)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pedestal 230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rest part B and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 and the installation frame 210 via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is installed as the backrest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part (B), the second tilting member 220 adjusts the spacing and angle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230 as a result of the installation frame 210 and the installation frame 210 The interval and angle between the seat member 300 and the backrest portion B installed in the can be adjusted.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 부재(310)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 부재(310)의 독립적인 틸팅에 의해 상기 의자용 부재(300)와 상기 등받이부(B)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support member 310 may be installed to be tiltable to the installation frame 210 .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frame 210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310 in a fixed state.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chair member 300 and the backrest B may be adjusted by independent tilting.

도 25 내지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25 to 27 show modified examples of the chair member shown in FIG. 21 .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320)은 상기 지지 부재(310)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한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320)은 상기 지지 부재(310)로부터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5 and 26 , the main frame 3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310 toward the front can be adjusted. To this end, the main frame 320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of the chair 1000 from the support member 310 .

또한,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잔부가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연장 길이가 조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3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SPE)는 상기 메인 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extension length as the remainder of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outside is inserted into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inside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peaker SP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320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ame 320 .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320)은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3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절부(321)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잔부의 지향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7 , the main frame 320 may include at least one joint part 321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remainder of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outside the joint part 321 as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change

추가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제2 틸팅 부재(311)와 도 27에 도시된 관절부(321)를 동시에 도입할 경우, 상기 메인 프레임(320)의 보다 자유로운 틸팅이 가능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second tilting member 311 shown in FIG. 23 and the joint part 321 shown in FIG. 27 are simultaneously introduced, more free tilting of the main frame 320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관절부(321)는 단순히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기 관절부(321)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잔부가 자유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joint part 321 is not limited to simply tilting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 a plane parallel to the floor, and the remainder of the frame positioned relatively outside of the joint part 321 is in the free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tiltable.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28 is a sid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0)는 상기 의자(10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C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속부(CM)는 결속 케이블(CB)을 매개로 하여 가구 또는 책상 등과 같은 구조물에 상기 의자(1000)를 결속함으로써 상기 의자(10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8 , the chair 1000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unit CM for binding the chair 1000 to an arbitrary structure. For example, the binding unit CM may limit the movement radius of the chair 1000 by binding the chair 1000 to a structure such as furniture or a desk via the binding cable CB.

또한, 상기 의자(1000)는 상기 백 프레임(110)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SPE)가 유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AC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ACM)로부터 연장된 수신 케이블(AC)은 오디오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오디오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중개 소스에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ACM)는 수신 케이블(AC)에 의하지 않고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hair 1000 may include a receiver ACM so that the speaker SPE installed on the back frame 110 receives a sound signal by wire. The receiving cable (AC)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unit (ACM) is directly connected to an audio source (eg, home theater, TV, set-top box, sound bar, computer, mobile phone, tablet, etc.) or wirelessly from the audio source. It may be coupled to an audio intermediary source that receives the sound signal to receive the sound signal. Meanwhile, the receiving unit ACM may receive a sound signal wirelessly without using the receiving cable AC.

상기 수신 케이블(AC)이 오디오 소스 또는 오디오 중개 소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의자(1000)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상기 수신 케이블(AC), 상기 수신 케이블(AC)이 연결된 상기 수신부(ACM) 또는 오디오 소스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속 케이블(CB)로 상기 의자(10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여 상기 의자(10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hair 1000 moves excessively while the receiving cable AC is connected to an audio source or an audio intermediary source, the receiving cable AC, the receiving unit ACM to which the receiving cable AC is connected, or audio There is a risk that the source may be damaged.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binding the chair 1000 to an arbitrary structure with the binding cable CB to limit the radius of movement of the chair 1000. .

한편, 상기 결속부(CM)와 상기 수신부(ACM)는 도 3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 케이블(CB)과 상기 수신 케이블(AC)은 일체로 마련되거나,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inding unit CM and the receiving unit ACM may be provided integrally as shown in FIG. 31 . In this case, the binding cable CB and the receiving cable AC may be provided integrally or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lengths.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의자(1000)의 임의의 영역에는 다채널 사운드 신호의 수신, 증폭 및 전송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리시버와 같은 채널 처리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소스를 상기 채널 처리 장치에 연결하여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상기 의자(1000)에 마련된 채널에 맞게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a channel processing device such as a receiver in charge of receiving,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 multi-channel sound signal may be provided in an arbitrary area of the chair 1000, and the audio source may be It may be connected to a channel processing device to output a multi-channel sound signal according to a channel provided in the chair 1000 .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by thi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0)

의자의 후방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것을 가정할 때,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일 측면을 지나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
a support member fixed to the rear of the chair; and
at least one main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hape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to the front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through one side of the user assuming that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includes,
A speaker installatio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peakers are installed is defin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plurality of speaker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and outputting sound from the front of the user toward the use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의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추가적으로 마련된,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chai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 측에 설치되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member for chai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지지 부재의 타 측에 설치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일 측면 방향을 지나 상기 지지 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타 측면 방향을 지나 상기 지지 부재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의자용 부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frame includes a first side fram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ide fram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The first side frame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past one side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The second side frame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past the other side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1 틸팅 부재를 매개로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via a first tilt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til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 a plane parallel to the floo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frame are integrally formed,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정의된,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is defined inside the main frame facing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한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s provid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extension length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direction,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직선, 곡선 또는 꺾인 선의 형상을 가지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has a shap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broken line,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어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upper frame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from the support member to pas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member for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어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further comprising an upper frame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from the support member to pas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chair,
member for chair.
의자의 후방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것을 가정할 때,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부를 지나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 부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사용자를 향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
a support member fixed to the rear of the chair; and
a main fram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hape extending from the support member to a front o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user, assuming that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includes,
A speaker installatio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peakers are installed is defin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frame,
The plurality of speaker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and outputting sound from the front of the user toward the user,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의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추가적으로 마련된,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pport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chair,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는,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바닥면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2 틸팅 부재를 매개로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via a second tilt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til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loo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frame are integrally formed,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정의된,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peaker installation area is defined inside the main frame facing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한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in frame is provid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extension length from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direction,
member for chai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직선, 곡선 또는 꺾인 선의 형상을 가지는,
의자용 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in frame has a shap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broken line,
member for chair.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에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
In a chair comprising at least 1) a backrest for supporting a user's back and waist, and 2) a seat for supporting a user's hip and leg portions,
The chair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is installed in the backrest portion,
chai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또는 후면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2. The method of claim 21,
An installation frame that is fixed to the inside or rear of the backrest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cated,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to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frame to be able to elevat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chai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installation frame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ckrest portion,
chai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형성된,
의자.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installation fram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ckrest portion,
chai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의자.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chai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된,
의자.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backrest portion, the support member and the main frame are integrally formed,
chai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하는 제3 틸팅 부재가 개재된,
의자.
22. The method of claim 21,
A third tilt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for adjusting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chair.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
In a chair comprising at least 1) a backrest for supporting a user's back and waist, 2) a seat for supporting a user's buttocks and legs, and 3) a headrest for supporting a user's head,
The chair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is installed in the headrest part,
chai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끼움 결합되는,
의자.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support member is fitted to the headrest portion,
chai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상기 지지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의자.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headres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chair.
KR1020200111831A 2020-08-21 2020-09-02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KR102406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31A KR102406224B1 (en) 2020-09-02 2020-09-02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PCT/KR2021/011071 WO2022039539A1 (en) 2020-08-21 2021-08-20 Chai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CN202190000712.7U CN219920658U (en) 2020-08-21 2021-08-20 Chair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US18/155,956 US11839311B2 (en) 2020-08-21 2023-01-18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31A KR102406224B1 (en) 2020-09-02 2020-09-02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078A KR20220030078A (en) 2022-03-10
KR102406224B1 true KR102406224B1 (en) 2022-06-08

Family

ID=8081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31A KR102406224B1 (en) 2020-08-21 2020-09-02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6224B1 (en)
CN (1) CN219920658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42B1 (en) * 2020-05-15 2022-02-08 박재범 Element for chair comprising multi channel sound system for chair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2378865B1 (en) * 2020-06-16 2022-03-25 박재범 Element implementing multi channel sound system for chair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477A (en) * 2005-05-13 2006-12-21 Sony Corp Acoustic reproduction method and acoustic reproduction system
US20180201373A1 (en) * 2009-10-02 2018-07-19 Dennis A. Tracy Loudspeaker system
KR101991425B1 (en) *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9656A1 (en) 2012-06-15 2013-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re and Replace DAT Table Ent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477A (en) * 2005-05-13 2006-12-21 Sony Corp Acoustic reproduction method and acoustic reproduction system
US20180201373A1 (en) * 2009-10-02 2018-07-19 Dennis A. Tracy Loudspeaker system
KR101991425B1 (en) *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ound field examination system and a small audiometric booth including th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9920658U (en) 2023-10-31
KR20220030078A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387B1 (en)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KR102357554B1 (en)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KR102426565B1 (en)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KR102406224B1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JP7126714B2 (en) A chair including a chair member equipped with a multi-channel sound system
KR102333695B1 (en) Element for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and the chair comprising the same
CN218942659U (en) Chair with multichannel system
US20010026087A1 (en) Sound apparatus
US11839311B2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TWI816901B (en) Furniture with embedded transducers
KR102381959B1 (en) Element for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and the 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2378865B1 (en) Element implementing multi channel sound system for chair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2352425B1 (en) 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JP6776342B6 (en) Music appreciation device
CA3156094C (en) Chair membe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comprising same
US11998121B2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JP3246391U (en) Sound equipment
US20240049883A1 (en) Bottom base for preventing chair fall down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JP3245299U (en) Sofa with acoustic function
KR20220094537A (en) Chair member for implementing audiovisual system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JP2023132331A (en) Vibration seat and reprod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