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78B1 -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178B1
KR102405178B1 KR1020210169217A KR20210169217A KR102405178B1 KR 102405178 B1 KR102405178 B1 KR 102405178B1 KR 1020210169217 A KR1020210169217 A KR 1020210169217A KR 20210169217 A KR20210169217 A KR 20210169217A KR 102405178 B1 KR102405178 B1 KR 10240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peaters
communication
receiving devices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전
Priority to KR102021016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38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where lower stations, e.g. receivers, interact with the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당된 제1 그룹의 수신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제1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1 중계기, 할당된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2 중계기 및 상기 제1, 2 데이터들 수신 시, 상기 제1, 2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 2 중계기의 과부하 여부 및 상기 제1, 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에 따라 상기 제1, 2 그룹의 수신장치들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VILLAGE BROADCASTING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본 발명은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장치와 복수의 수신장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시티란, 도시에 ICT·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해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 수 있는 도시모델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서는 다양한 혁신기술을 도시 인프라와 결합하여 실현하고 융합할 수 있는 공간이란 의미의 '도시플랫폼'으로 활용된다.
4차 산업혁명에 맞춰 ICT 기술을 도시에 접목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자 하는 스마트시티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시트는 교통·에너지·환경 등 파급효과가 큰 미래 신성장동력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지능형 인프라와 자율차·드론 등 혁신 기술을 실현해 볼 수 있고, ICT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 추진이 가능하다.
한편, 농어촌의 군, 면, 리 단위의 마을에서는 지능형 인프라가 미흡하여 공공 지능형 서비스 구현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다. 농어촌 지역의 대표적인 공공 서비스라면 마을 방송을 들 수 있는데, 마을 방송은 통상 마을회관 내에 비치된 방송 장비를 통해 이장 등 관리자가 방송을 하면 방송 내용이 유선으로 연결된 방송탑 또는 마을 회관 옥상에 구비된 확성기를 통하여 음성으로 표출되는 방식이 주를 이루어왔다.
최근에는 가옥 내 방송수신기가 보급되어 마을 회관 내 동보장치에서 수신기로 단방향 방송 방식으로 내보내어 방송 내용을 각 가정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기존의 옥외 스피커로 송출하는 마을 방송과 큰 차이가 없다.
이에 따라 농어촌 지역의 마을에도 스마트시트 개념을 적용한 스마트타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 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KR 10-2016-0150563 A KR 10-1063560 B1 JP 06875689 B1 JP 32526943 A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장치와 복수의 수신장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는 할당된 제1 그룹의 수신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제1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1 중계기, 할당된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2 중계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및 제2 데이들을 LORA 자가망으로 수신 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의 과부하 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을 연산하는 품질 연산부,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과부하 판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이 설정된 기준 품질값보다 낮고,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가 과부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질 연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시간에 따른 패턴 이상도, 수신 신호 강도 및 오류 정도에 따라 설정된 연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통신 품질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부하 판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 각각의 통신 시작 시점 및 통신 종료 시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임계 데이터 개수보다 높으면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가 과부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재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 데이터를 개별 전송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 데이터를 동시 전송하는 제2 모드로 동작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한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되게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연령 데이터 및 이격 거리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장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정보 취득부(156)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환경 정보는 진동, 충격, 기온, 강우, 및 통신 이상 정보를 구비하고, 통신 이상 정보는 물리적인 통신 환경이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환경 정보 취득부(156)은 상기 통신 이상을 감지하면 진동에 따른 지진, 이상 기온, 충격, 강우 중 어느 요인에 따른 장비 이상인지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수신장치들을 그룹 할당하여 송신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수신장치가 할당된 중계기의 과부하 여부에 따라 수신장치의 개수를 재할당함으로써,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장치에 대한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는' 용어는 전후 문맥상 논리적 배타합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논리적 배타합' 등의 직접적인 묘사가 없으면, '및/또는'과 같은 의미, 즉, 논리합으로 해석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상하좌우의 배치 관계에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 있다고 할 때, 어떤 구성요가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의 일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장치에 대한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100)은 제1 그룹의 제1 수신장치들(110), 제2 그룹의 제2 수신장치들(120),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및 송신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장치(130),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및 제1 및 제2 그룹의 제2 수신장치들(110, 120) 간의 통신을 위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근거리 통신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GPS 기술, 이동통신 기술, 및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 기술을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Wi-Fi),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은 근거리 통신에 적합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술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차세대 이동통신(5G 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는 서비스 범위가 매우 넓고(10km 이상) 초당 수백 킬로비트(kbps) 가량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저전력의 무선 광역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 기술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제공하기 위한 전용 통신 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 LPWAN를 실현하기 위해, 로라(LoRaWAN; Long Range wireless network), 시그폭스(SIGFOX),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등의 기술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거리 통신 방식의 대표적인 예시로서 LoRA를 가정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그룹의 제1 수신장치들(110)은 제1 중계기(13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 중계기(13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그룹의 제2 수신장치들(120)은 제2 중계기(14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중계기(14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장치들(110, 1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3개 이상의 그룹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수신장치들(110, 120)은 예를 들어, 온도, 습도, 풍속 및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는 IoT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각각은 송신장치(150)에 의해 할당된 제1 및 제2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장치들(110, 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1 중계기(130)는 제1 그룹의 제1 수신장치들(110)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들을 송신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중계기(140)는 제2 그룹의 제2 수신장치들(110)로부터 송신된 제2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제2 데이터들을 송신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설정된 모드는 송신장치(15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각각은 송신장치(15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할당된 제1 및 제2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장치(110, 120)들로 상기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장치(150)는 품질 연산부(152), 과부하 판단부(154) 및 제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품질 연산부(152)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을 연산할 수 있다.
즉, 품질 연산부(152)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시간에 따른 패턴 이상도, 수신 신호 강도 및 오류 정도에 따라 설정된 연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통신 품질값을 연산할 수 있다.
과부하 판단부(154)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 각각의 통신 시작 시점 및 통신 종료 시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임계 데이터 개수보다 높으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가 과부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과부하 판단부(154)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 송신된 시점을 통신 시작 시점으로 확인하고,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로부터 전송된 시점을 통신 종료 시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과부하 판단부(154)는 통신 시작 시점 및 통신 종료 시점 사이에 입력된 데이터 개수를 확인하고,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데이터 개수보다 높으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의 동작 상태가 과부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이 설정된 기준 품질값보다 낮고,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가 과부하로 판단되면,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재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56)는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재할당은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각각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수신장치(110, 120)의 개수를 재할당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그룹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수신장치(110, 120)의 개수를 재 분배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1)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로 데이터를 개별 전송하는 제1 모드 및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서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로 데이터를 동시 전송하는 제2 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한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되게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1)는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 각각에 대한 사용자 연령 데이터 및 이격 거리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 다른 요인들이 추가적으로 개입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100)은 마을에 사용되는 복수의 수신장치들과 송신장치 사이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복수의 중계기에 적정한 개수의 수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장치(150)는 환경 정보 취득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취득부(156)는 통신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통신 환경 정보는 진동, 충격, 기온, 강우, 및 통신 이상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경 정보 취득부(156)은 진동, 충격, 온도, 기온, 및 강우 센서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취득부(156)는 물리적 통신 환경이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 이상 정보를 감지하여 통신 이상 감지 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물리적 통신 환경은 송신장치(150),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및 제1 및 제2 수신장치들(110, 120) 간에 기계적으로 통신되는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장비의 충격, 노후, 등에 따른 고장시 물리적 통신 환경은 불량해질 수 있다.
환경 정보 취득부(156)은 물리적인 통신 이상을 감지하면 진동에 따른 지진, 이상 기온, 충격, 및 강우 중 어느 요인에 따른 장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취득부(156)는 물리적인 통신 이상을 감지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사용자 통보는 모니터, 소리, 및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의 푸시업 메시지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100)의 송신장치(150)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장치들(110, 120)에서 수신한 제1 및 제2 데이터들을 전송받을 수 있다(S110).
송신장치(150)는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을 연산하고(S120), 상기 통신 품질값이 설정된 기준 품질값보다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S130).
즉, 송신장치(150)에 포함된 품질 연산부(152)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시간에 따른 패턴 이상도, 수신 신호 강도 및 오류 정도에 따라 설정된 연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통신 품질값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품질값이 상기 기준 품질값보다 낮은 경우, 송신장치(150)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중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즉, 송신장치(150)에 포함된 과부하 판단부(154)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 각각의 통신 시작 시점 및 통신 종료 시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임계 데이터 개수보다 높으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가 과부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과부하 판단부(154)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 송신된 시점을 통신 시작 시점으로 확인하고,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로부터 전송된 시점을 통신 종료 시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과부하 판단부(154)는 통신 시작 시점 및 통신 종료 시점 사이에 입력된 데이터 개수를 확인하고,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데이터 개수보다 높으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의 동작 상태가 과부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장치(150)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 중 적어도 하나가 과부하로 판단하면,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의 그룹 재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S150).
즉, 제어부(151)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이 설정된 기준 품질값보다 낮고,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가 과부하로 판단되면,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재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56)는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송신장치(150)는 그룹 재할당 이후, 일정시간 제2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160).
즉, 제어부(151)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로 데이터를 개별 전송하는 제1 모드 및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서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110, 120)로 데이터를 동시 전송하는 제2 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한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되게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를 제어할 수 있다.
품질값 판단(S130) 결과 상기 통신 품질값이 상기 기준 품질값보다 높은 경우, 송신장치(150)는 제1 및 제2 중계기(130, 140)에 할당된 제1 및 제2 그룹의 제1 및 제2 수신장치들(110, 120)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모드 중 현재 동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170).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할당된 제1 그룹의 수신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제1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1 중계기;
    할당된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2 중계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및 제2 데이들을 LORA 자가망으로 수신 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의 과부하 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을 연산하는 품질 연산부;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과부하 판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통신 품질값이 설정된 기준 품질값보다 낮고,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가 과부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에 대해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연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의 시간에 따른 패턴 이상도, 수신 신호 강도 및 오류 정도에 따라 설정된 연산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통신 품질값을 연산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판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들 각각의 통신 시작 시점 및 통신 종료 시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개수가 설정된 임계 데이터 개수보다 높으면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가 과부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재할당을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재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 데이터를 개별 전송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로 데이터를 동시 전송하는 제2 모드로 동작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품질값 및 상기 임계 데이터 개수를 상향 조정한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2 모드로만 동작되게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를 제어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의 수신장치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연령 데이터 및 이격 거리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를 제어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정보 취득부(156)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환경 정보는 진동, 충격, 기온, 강우, 및 통신 이상 정보를 구비하고,
    통신 이상 정보는 물리적인 통신 환경이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환경 정보 취득부(156)은 상기 통신 이상을 감지하면 진동에 따른 지진, 이상 기온, 충격, 강우 중 어느 요인에 따른 장비 이상인지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20210169217A 2021-11-30 2021-11-30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240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17A KR102405178B1 (ko) 2021-11-30 2021-11-30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17A KR102405178B1 (ko) 2021-11-30 2021-11-30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178B1 true KR102405178B1 (ko) 2022-06-07

Family

ID=8198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217A KR102405178B1 (ko) 2021-11-30 2021-11-30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558B1 (ko) 2022-08-10 2023-03-14 (주)유니드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2694B2 (ja) 1996-02-26 2002-02-04 富士電機株式会社 位相差測定装置
KR101063560B1 (ko) 2009-09-29 2011-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라디오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50563A (ko) 2015-06-22 2016-12-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통신망의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6875689B2 (ja) 2016-08-29 2021-05-26 カーリンクKerlink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データ集中ゲートウェイの負荷を制御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2694B2 (ja) 1996-02-26 2002-02-04 富士電機株式会社 位相差測定装置
KR101063560B1 (ko) 2009-09-29 2011-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라디오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50563A (ko) 2015-06-22 2016-12-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통신망의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6875689B2 (ja) 2016-08-29 2021-05-26 カーリンクKerlink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データ集中ゲートウェイの負荷を制御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558B1 (ko) 2022-08-10 2023-03-14 (주)유니드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352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HARQ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83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BS in NR V2X
US118434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codeboo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375555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用户设备的方法
CN114303324B (zh) 无线通信系统中基于码本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装置
US11888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codeboo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708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62940B1 (en) Method for cooperative data transmission among terminals, and method for clustering cooperative terminals for same
CN114208383B (zh) 终端发送/接收执行rach过程的信号的方法和装置
KR20220093188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sci 관련 ue의 동작 방법
US2022033027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0294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634639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imoフィードバック情報送受信方法と、端末及び基地局
EP3442284B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source allocation of vehicle network
KR2022014368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 ue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KR102405178B1 (ko) 마을방송 송수신 시스템
CN114073114A (zh) 无线通信系统中终端执行随机接入信道过程的方法及其装置
CN11422317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副链路信号的方法
KR102541189B1 (ko) 비면허 대역에서 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4851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 ue 선택에 관련된 동작 방법
KR10258351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에 관련된 동작 방법
US202302690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delink harq retransmiss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450910B (zh) 无线通信系统中sci传输相关的ue的操作方法
KR20230122612A (ko) Nr-v2x 시스템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31550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aving in a transmit-and-receive point (tr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