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775B1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 Google Patents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775B1
KR102404775B1 KR1020210063556A KR20210063556A KR102404775B1 KR 102404775 B1 KR102404775 B1 KR 102404775B1 KR 1020210063556 A KR1020210063556 A KR 1020210063556A KR 20210063556 A KR20210063556 A KR 20210063556A KR 102404775 B1 KR102404775 B1 KR 10240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ion degree
indoor
air
air pollution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재유
Original Assignee
(주)야손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야손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야손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6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7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7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은, 복층형 공동주택의 1층의 제1 생활공간과 상기 제1 생활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2층의 제2 생활공간에 각각 배치된 제1 실내센서부와 제2 실내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1 실내공기정보와 제1 실내공기정보 획득하고, 상기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내공기정보, 상기 제2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제2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와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내는 제1 상대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제2 상대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상대오염도가 상기 제2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대오염도가 상기 제1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생활공간 및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는 상기 실외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일 수 있다.Disclosed are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purifying indoor air in a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In the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in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which is performed by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living space on the first floor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nd the second living space on the second floor located above the first living space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and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are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and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respectively arranged,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is obtained in real time through the outdoor sensor unit arrang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obtaining; calculating a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an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by comparing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the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with reference air information; Comparing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a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ed, and a second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calculating a relative pollution degree;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whe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Whe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including, wherein the ventil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and the second living space is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may be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Description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door air purification in a duplex apartment

아래 실시예들은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를 균일하게 정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technology for uniformly purifying indoor air in a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일반적으로, 거실, 주방 등 주거공간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이 밀폐된 실내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정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에서 작업 또는 생활하는 경우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의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실내의 공기 오염을 유발한다.In general, in a sealed indoor space such as a living room or kitchen or an office, etc., the flow of air is maintained in a stagnant state, so as time increases when working or living in an enclosed room, carbon dioxide (CO 2 )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rises sharply, causing indoor air pollution.

또한, 신축 건물의 경우에는 실내의 건축자재 또는 내장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며, 이와 같이 밀폐된 실내에서 오염된 공기를 장시간 흡입하는 경우, 호흡기 질환 등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ew building, indoor air is polluted due to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indoor building materials or interior materials, and when the polluted air is inhaled in a closed room for a long time, it cause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ha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풍기 등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que for exchanging indoor air by installing a ventilation device such as a ventilator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while introduc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종래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온/오프 스위치 또는 타이머에 의해 강제적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교체하는 것으로, 실외의 공기가 오염된 경우 실내 공기를 더욱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s generally replace indoor air by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while forcibly introducing outdoor air by an on/off switch or timer. I had.

또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자 공기청정기와 같은 공기정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및 냄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등으로 인한 실내의 공기오염은 해결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although air purif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ir purifiers have been developed to purify polluted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bacteria, and odors contained in indoor air can be removed, but the indoor air quality due to increas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tc. Air pollution has not been solv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accepted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한국등록특허 제10-1260564호Korean Patent No. 10-1260564

실시예들은 실외공기오염도를 고려하여 복층 내부의 실내 공기를 균일하게 정화할 수 있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purifying indoor air in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that can uniformly purify the indoor air inside the multi-story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outdoor air poll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복층형 공동주택의 1층의 제1 생활공간과 상기 제1 생활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2층의 제2 생활공간에 각각 배치된 제1 실내센서부와 제2 실내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1 실내공기정보와 제2 실내공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내공기정보, 상기 제2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제2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와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내는 제1 상대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제2 상대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상대오염도가 상기 제2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대오염도가 상기 제1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생활공간 및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는 상기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in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indoor air purification method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performed by an apparatus, the first living space on the first floor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iving space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re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and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second living space of the second floor located in acquiring outdoor air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arranged outdoor sensor unit; calculating a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an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by comparing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the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with reference air information; Comparing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a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ed, and a second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calculating a relative pollution degree;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whe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Whe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including, wherein the ventil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and the second living space is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may be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level.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1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상기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상기 제1 실내산소농도가 상기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includes: a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a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ing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when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and when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is based on Calculating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may includ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2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상기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상기 제2 실내산소농도가 상기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of whether or not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includes: a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a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ing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when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and when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is based on Calculating second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may includ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는 상기 제1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생활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유입량과 유입속도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는 상기 제1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생활공간의 내부공기의 순환시간 및 순환속도의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는 상기 제2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생활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유입량과 유입속도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는 상기 제2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생활공간의 내부공기의 순환시간 및 순환속도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n inflow amount and an inflow rate of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first living space in response to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and the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irculation time and circulation speed of the internal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in response to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and the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in the second living space information on the inflow amount and inflow rate of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can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상기 복층형 공동주택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서화하는 단계는,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상기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 상기 참조 블록과 상기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도면 폼에 설정된 상기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상기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상기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을 제1 PDF 파일 및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DF 파일 및 상기 제2 PDF 파일의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상기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면의 도면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상기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utomatically documenting the architectural design drawing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by the device, wherein the documenting includes, a first drawing that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DWG file When the reference block is set to an area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rawing including the outer edge of setting the drawing form; obtaining a first image by dividing an area including up to, down, left, and right to a blank space of the outer border of the first drawing based on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blanks set in the drawing form and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recognizing an outer border of a second drawing, which is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drawings, based on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outer border set in the drawing form; obtaining a second image by dividing an area including up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of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drawing based on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blanks set in the drawing form and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and converting each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to a first PDF file and a second PDF file and outputting the first PDF file and the second PDF file,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first PDF file and the second PDF file comprises: checking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drawing are register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not registered, displaying a registration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outputting the first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checking whether drawing numbers and drawing names of the second drawing are registered; displaying a registration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not registered; setting the reference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by using the reference number of the first drawing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ference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is not register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re registered,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nd outputting the second PDF file.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trolled by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실시예들은 실외공기오염도를 고려하여 복층 구조의 실내의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고려하여 실내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에 따라 실내공기를 정화함으로써, 복층의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적절한 시기에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mbodiments consider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indoor pollutants in rea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nd purify the indoor air accordingly, so that the indoor air of the multi-layer structure is uniform at all times in a comfortable st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door air purification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allowing ventilation to be performed at an appropriate tim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제1 및 제2 생활공간의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제1 및 제2 생활공간의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시예에 따른 복측형 공동주택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DWG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ystem shown in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in first and second living spaces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in first and second living spaces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documenting the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of the ventral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WG f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first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econd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may be chang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product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computers, smart phones, televisions, smart home appliances, intelligent cars, kiosks, wearable devices, and the lik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system shown in FIG. 1 .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내부 및 실외에 공기정화장치(2)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for an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ir purifier 2 may be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o purify the indoor air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have.

본 실시예에서, 복층형 공동주택(1)은 개별세대로써, 내부가 1층의 제1 생활공간(10)과, 1층과 계단과 같은 이동 가능한 구조에 의해 제1 생활공간(10) 상부에 위치하는 2층의 제2 생활공간(12)으로 이루어진 복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층형 공동주택(1)은 제2 생활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3층의 생활공간 또는 다락공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is an individual household, and the interior is located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on the first floor and on the first living space 10 by a movable structure such as the first floor and stairs. It may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including the second living space 12 of two floo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may further include a three-story living space or an attic space located above the second living space.

이때, 제1 생활공간(10) 및 제2 생활공간(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문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the second living space 12 may include at least one wind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공기정화장치(2)는 공기정화부(20), 제1 실내센서부(22), 제2 실내센서부(24) 및 실외센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2 may include an air purifier 20 , a first indoor sensor unit 22 , a second indoor sensor unit 24 , and an outdoor sensor unit 26 .

공기정화부(20)는 실외센서부(26)를 통해서 수신된 실외공기정보를 기준으로 제1 실내센서부(22) 및 제2 실내센서부(24)를 통해서 획득한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기설정된 기준공기정보에 대응하여 제1 생활공간(10) 및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20 receives the indoor air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22 and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24 based o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outdoor sensor unit 26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the second living space 12 in response to the acquired and preset reference air information.

이때, 제1 실내센서부(22)는 제1 생활공간(10)에 배치되어 제1 생활공간(10)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1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22 is disposed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to obtain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n real time. have.

또한, 제2 실내센서부(24)는 제2 생활공간(12)에 배치되어 제2 생활공간(12)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2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24 is disposed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to obtain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in real time. have.

그리고, 실외센서부(26)는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외에 배치되어 실외의 실외산소농도 및 실외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실외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sensor unit 26 is dispos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to acquire out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real time.

구체적으로, 공기정화부(20)는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실외공기정보가 기준공기정보보다 낮은 경우, 즉,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기준공기정보와 실내공기정보를 비교하여 실외공기 유입 또는 실내공기순환을 통해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i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purifier 20 compares the standard air information with the indoor air information to compare the outdoor air Indoor air can be purified through inflow or indoor air circulation.

예를 들어,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공기정화부(20)는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제1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을 때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생성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내부공기 순환속도와 순환시간을 조절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purifier 20 determines that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When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the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speed and circulation time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ar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level to adjust the circulation time for the first life.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by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of the space (10).

또한,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공기정화부(20)는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1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을 때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생성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실외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시간으로 조절하여 제1 생활공간(10)으로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즉, 공기정화부(20)는 제1 생활공간(10)의 상대오염도 및 부족한 산소농도를 산출하여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대오염도는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값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purifier 20 determines that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the reference oxygen When it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the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standard air pollution level, and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living space 10 by adjusting the outdoor air inflow amount and inflow time in response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level. It can purify the air. That is, the air purifier 20 can purify the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by introducing outdoor air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llution degree and in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 In this case, the relative pollution degree may be a valu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공기정화부(20)는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제2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을 때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생성하여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내부공기 순환속도와 순환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purifier 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the reference oxygen When it i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the second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speed and circulation tim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ar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level to adjust the second living space ( 12)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by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그리고,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공기정화부(20)는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2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을 때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생성하여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실외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시간으로 조절하여 제2 생활공간(12)으로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즉, 공기정화부(20)는 제2 생활공간(12)의 상대오염도 및 부족한 산소농도를 산출하여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대오염도는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값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nd, when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is high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purifier 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the reference oxygen When it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the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standard air pollution level, and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living space 12 by adjusting the outdoor air inflow amount and inflow time in response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level. It can purify the air. That is, the air purifier 20 can purify the air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by introducing outdoor air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llution degree and in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 In this case, the relative pollution degree may be a valu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공기정화부(20)는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시킨 후,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층형 공동주택(1)의 경우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가 제1 생활공간(10)과 제2 생활공간(12)의 온도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제2 생활공간(12)으로 많이 이동하므로,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의 오염도가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Here, the air purifier 20 may purify the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then purify the air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the air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flows into the second living space 12 relatively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the second living space 12. As it moves,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may be affected by the air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

따라서,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한 후,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하면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더욱 빠르게 정화하여 제1 생활공간(10)과 제2 생활공간(12)가 균일하게 정화되어 실내공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purifying the air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purifying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is more rapidly purged to form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Since the second living space 12 is uniformly purified,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urify the indoor air.

하지만, 이와 달리 제1 생활공간(10) 및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동시에 정화시키거나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한 후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However, unlike this, the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the second living space 12 is simultaneously purged or the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s purified after purifying the air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 can do it

한편, 공기정화부(20)는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더라도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오염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순환을 통해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pollution degree even though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purifier 20 may introduce outdoor air to purify the indoor air through indoor air circulation.

예를 들어, 100%를 기준으로 기준산소농도가 50%로 설정된 경우, 실내산소농도가 30% 미만인 경우, 실내에서 생활하는 거주자에 호흡곤란 두통, 혼절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와 상관없이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순환을 통해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is set to 50% based on 100%, if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30%, it is judged that it may cause difficulty breathing, headache, fainting, etc. Regardless of the level of outdoor air pollution,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to purify indoor air through indoor air circulation.

실시예에 따라, 복층형 공동주택(1)의 거주자의 선택에 따라 환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ther to ventil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resident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1).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as follows.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2)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100).First, as shown in FIG. 3 , indoor air information can be set using the air purifier 2 ( S100 ).

예를 들어, 실내공기정보는 복층형 공동주택(1)의 기준공기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공기정보는 거주자가 복층형 공동주택(1)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기에 알맞은 평균적인 기준산소농도 및 기준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y be set as reference air information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 At this time, the reference air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averag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and a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uitable for a resident to live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two-story apartment building (1).

실시예에 따라, 복층형 공동주택(1)의 거주자의 선택에 따라 실내공기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resident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실시간으로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여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S110).Next, the air purifier 2 may obtain indoor air information and outdoor air information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in real time and compare it with reference air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level (S110) .

예를 들어,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생활공간(10)에 배치된 제1 실내센서부(22)로부터 제1 생활공간(10)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1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제2 생활공간(12)에 배치된 제2 실내센서부(24)로부터 제2 생활공간(12)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2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며,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26)로부터 실외산소농도 및 실외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실외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ier 2 includes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from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22 disposed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 Second indoor air including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from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24 arranged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by acquiring indoor air information in real time Information is acquired in real time, and out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acquired in real time from the outdoor sensor unit 26 dispos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실외공기오염도와 기준공기오염도를 비교하여(S120),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실내공기오염도를 기준공기오염도와 비교하여 복층형 공동주택(1)의 환기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Next, the air purifier (2) compares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with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S120). You can decide whether to ventilate or not.

구체적으로,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S130),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40).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because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tandard oxygen concentration (S130), the air purifier 2 is based o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S140).

예를 들어, 실내산소농도가 낮고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높아서 실내공기오염도가 높으므로, 공기정화장치(2)는 실내공기오염도와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한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유입량과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 because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 the air purifier 2 responds to the relative pollution degree comparing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with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room. The flow rate and flow rate can be adjusted.

이때, 상대오염도는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값으로, 값이 클수록 오염도가 크다고 판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a valu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greater the value, the greater the pollution degree.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산출된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실외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시간으로 조절하여 복층형 공동주택(1)의 내부로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S150).Next, the air purifier 2 uses the calculate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to adjust the inflow amount and inflow time of the outdoor air in response to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and introduces the outdoor air into the multi-story apartment building 1 can be purified (S150).

즉, 공기정화장치(2)는 복층형 공동주택(1)의 내부의 부족한 산소농도를 산출하여 산소농도에 대응하는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복층형 공동주택(1)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ir purifier 2 calculates the in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inside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and introduces outdoor air corresponding to the oxygen concentration to purify the air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

이와 달리,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다고 판단된 경우(S160),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70).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because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oxygen concentration (S160), the air purifier 2 is based o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S170).

예를 들어, 실내산소농도가 높고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낮아서 실내공기오염도가 낮으므로, 공기정화장치(2)는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내부공기 순환속도와 순환시간을 조절하여 복층형 공동주택(1)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 because the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 the air purifier 2 adjusts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speed and circulation time in response to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to adjust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speed and circulation time in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by circulating the inside air.

한편, 공기정화장치(2)는 실외공기오염도와 기준공기오염도를 비교하여(S120),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실내공기오염도를 기준공기오염도와 비교하여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내부공기 순환속도와 순환시간을 조절하여 복층형 공동주택(1)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air purifier 2 compares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with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S120), and if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compares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with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o respond to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by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by adjusting the air circulation speed and circulation time.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제1 및 제2 생활공간의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in first and second living spaces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2)는 실시간으로 복층형 공동주택(1)의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여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S200).First, as shown in FIG. 4 , the air purifier 2 acquires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and outdoor air inform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in real time to obtain reference air information and By comparison,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may be calculated (S200).

예를 들어,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생활공간(10)에 배치된 제1 실내센서부(22)로부터 제1 생활공간(10)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1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26)로부터 실외산소농도 및 실외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실외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ier 2 includes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from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22 disposed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 Indoor air information can be acquired in real time, and out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acquired in real time from the outdoor sensor unit 26 dispos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

다음으로,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을 때,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1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S202),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04).Next, when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judged to be high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In case (S202), the air purifier 2 may calculate the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S204).

예를 들어, 제1 실내산소농도가 낮고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높아서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높으므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실내공기오염도와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한 제1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제1 생활공간(10)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유입량과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 because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 the air purifier 2 compares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with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n response, the inflow amount and inflow speed of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first living space 10 may be adjusted.

이때, 제1 상대오염도는 제1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값으로, 값이 클수록 오염도가 크다고 판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a valu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greater the value, the greater the pollution degree.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산출된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실외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시간으로 조절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내부로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S206).Next, the air purifier 2 adjusts the inflow amount and inflow time of the outdoor air in response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level using the calculated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and then moves the outdoor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 The air may be purified by introducing air (S206).

즉,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생활공간(10)의 내부의 부족한 산소농도를 산출하여 산소농도에 대응하는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ir purifier 2 may calculate the in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inside the first living space 10 and introduce outdoor air corresponding to the oxygen concentration to purify the air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실시간으로 복층형 공동주택(1)의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여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제2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S206).Next, the air purifier 2 acquires the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nd outdoor air inform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in real time, and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air information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S206).

예를 들어, 공기정화장치(2)는 제2 생활공간(12)에 배치된 제2 실내센서부(24)로부터 제2 생활공간(12)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2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26)로부터 실외산소농도 및 실외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실외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purifier 2 includes a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an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from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24 disposed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 Indoor air information can be acquired in real time, and out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acquired in real time from the outdoor sensor unit 26 dispos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

다음으로,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을 때,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2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S210),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12).Next, when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In case (S210), the air purifier 2 may calculate the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S212).

예를 들어, 제2 실내산소농도가 낮고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높아서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높으므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2 실내공기오염도와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한 제2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제2 생활공간(12)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유입량과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 In response, the inflow amount and inflow speed of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second living space 12 may be adjusted.

이때, 제2 상대오염도는 제2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값으로, 값이 클수록 오염도가 크다고 판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a valu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greater the value, the greater the pollution degree.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산출된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이용하여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여 실외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시간으로 조절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내부로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S214).Next, the air purifier 2 adjusts the inflow amount and inflow time of the outdoor air in response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level using the calculated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and then moves the outdoor air to the insid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 Air may be purified by introducing air (S214).

즉, 공기정화장치(2)는 제2 생활공간(12)의 내부의 부족한 산소농도를 산출하여 산소농도에 대응하는 실외공기를 유입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ir purifier 2 calculates the insufficient oxygen concentration inside the second living space 12 and introduces outdoor air corresponding to the oxygen concentration to purify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

이와 달리,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제1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다고 판단된 경우(S216),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18).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S216), the air purifier (2) may calculate the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S218).

예를 들어, 제1 실내산소농도가 높고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낮아서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낮으므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내부공기 순환속도와 순환시간을 조절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 because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 the air purifier 2 circulates the internal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n response to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By controlling the speed and the circulation time, the internal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can be circulated to purify the air.

또한,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제2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다고 판단된 경우(S220),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22).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S220), the air purifier 2 is Second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level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S222).

예를 들어, 제2 실내산소농도가 높고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낮아서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낮으므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2 상대오염도에 대응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내부공기 순환속도와 순환시간을 조절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 because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 the air purifier 2 circulates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in response to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By controlling the speed and the circulation time,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can be circulated to purify the air.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공동주택의 제1 및 제2 생활공간의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in first and second living spaces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2)는 실시간으로 복층형 공동주택(1)의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정보,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여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상대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S300).First, as shown in FIG. 5 , the air purifier 2 provides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1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in real time. The indoor air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air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first and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s (S300).

구체적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생활공간(10)에 배치된 제1 실내센서부(22)로부터 제1 생활공간(10)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1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제2 생활공간(12)에 배치된 제2 실내센서부(24)로부터 제2 생활공간(12)의 실내산소농도 및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제2 실내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며, 복층형 공동주택(1)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26)로부터 실외산소농도 및 실외이산화탄소농도가 포함된 실외공기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purifier 2 includes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from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22 disposed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from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24 disposed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acquiring air information in real time can be obtained in real time, and outdoor ai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out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obtained in real time from the outdoor sensor unit 26 dispos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1 .

다음, 공기정화장치(2)는 획득한 제1 실내공기정보, 제2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제2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air purifier 2 may calculate a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an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by using the obtained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nd outdoor air information.

다음,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실내공기오염도와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내는 제1 상대오염도를 산출하고, 제2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제2 상대오염도를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air purifier 2 compares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with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alculates a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ndica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calculates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The indicated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can be calculated.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산출된 제1 상대오염도가 제2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S310), 제1 생활공간(10)의 환기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S320).Next, when the calculated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S310), the air purifier 2 may determine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10 (S320).

즉,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상대오염도가 제2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에는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오염도보다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더 높으므로,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산소농도 및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를 기준산소농도 및 기준 이산화탄소농도와 비교하여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 또는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at is, in the air purifier 2, whe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s higher than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Since it is higher,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may be purified by calculating the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or the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다음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한 후, 제2 생활공간(12)의 환기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S330).Next, after purifying the air in the first living space 10 , the air purifier 2 may determine whether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12 ( S330 ).

즉, 공기정화장치(2)는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산소농도 및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를 기준산소농도 및 기준 이산화탄소농도와 비교하여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 또는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purifier 2 compares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with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based o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may be purified by calculating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or second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한편, 공기정화장치(2)는 산출된 제1 상대오염도가 제2 상대오염도보다 작은 경우(S340), 제2 생활공간(12)의 환기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S350).Meanwhile, when the calculated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S340), the air purifier 2 may determine whether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12 (S350).

즉, 공기정화장치(2)는 제1 상대오염도가 제2 상대오염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생활공간(10)의 제1 실내공기오염도보다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더 높으므로, 제2 생활공간(12)의 제2 실내산소농도 및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를 기준산소농도 및 기준 이산화탄소농도와 비교하여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 또는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여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is higher than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in the air purifier 2 . Since it is higher,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living space 12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may be purified by calculating the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or the second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마지막으로, 공기정화장치(2)는 제2 생활공간(12)의 공기를 정화한 후, 제1 생활공간(10)의 환기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S360).Finally, after purifying the air in the second living space 12 , the air purifier 2 may determine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10 ( S360 ).

즉, 공기정화장치(2)는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 또는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여 제1 생활공간(10)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purifier 2 purifies the air of the first living space 10 by calculating the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or the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level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level. can do.

일실시예에 따라, 복층형 공동주택(1)을 설계하기 위한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ocument the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for designing the multi-storey apartment house (1).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측형 공동주택의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documenting the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of the ventral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건축 설계 도면을 자동으로 문서화 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documenting architectural design drawings,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hardware module,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장치는 참조 블록의 면적, 참조 블록과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S501).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device may set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between the reference block and the outer border, and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outer border in the drawing form ( S501 ).

구체적으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파일 중 DWG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이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까지 포함하는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참조 블록이 설정되면, 장치는 참조 블록의 면적, 참조 블록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제1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ally, when a DWG file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file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device, a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selected DWG file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connected to the device,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DWG file may be displayed. When the reference block is set to an area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rawing including the outer border of the first drawing, the device determines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between the reference block and the outer border of the first drawing, and the first outside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border can be set in the drawing form.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다음으로,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DWG 파일의 전체 영역에서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02).Next, the device divides the area including the blank spac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uter border of the first drawing from the entire area of the DWG file based on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set in the drawing form and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to divide the first image can be obtained (S502).

장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있어, 참조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을 그대로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When acquiring the first image, the device may acquire the first image by dividing the region set as the reference block as it is.

다음으로, 제1 이미지 획득 이후, 장치는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3).Next, after acquiring the first image, th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outer edge of the drawing is additionally recognized ( S503 ).

구체적으로,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다른 하나인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drawing, which is another one of a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DWG file, is recognized, based on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outer border set in the drawing form.

예를 들어,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각각의 외부 테두리는 노란색 및 2mm 굵기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통해 도면 폼이 설정되었으므로, 도면 폼에 설정된 외부 테두리의 색 및 굵기는 노란색 및 2mm 굵기이며,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 이외에 노란색 및 2mm 굵기의 외부 테두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를 추가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b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DWG file is set to yellow and 2mm thick. Since the drawing form is set through the outer border of the first drawing,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outer border set in the drawing form is yellow and 2 mm thick, and the device may additionally recognize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drawing by checking whether there are yellow and 2 mm thick outer edges in addition to the outer border of the first drawing.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면(S503),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 및 참조 블록의 면적을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drawing is recognized (S503),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02, and the device sets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of the drawing form and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of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drawing. The second image may be obtained by dividing the region including the blank space in the .

장치는 도면 폼에 설정된 상하좌우 여백 크기를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을 추가로 포함시킨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되는 영역이 참조 블록의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vice may divide a region including additional blank space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uter border of the second drawing based on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set in the drawing form, wherein the divided area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If confirmed, the second image may be acquired through the divided area.

제2 이미지 획득 이후, 장치는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S503),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중 또 다른 하나인 제3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면, S502 단계로 되돌아가, 제3 도면의 외부 테두리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3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After acquiring the second image, th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outer border of the drawing is additionally recognized (S503), and the outer border of the third drawing, which is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DWG file, is additionally recognized ,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02, and the third image may be acquired by dividing the region including the blank space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border of the third figure.

즉,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도면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모두 획득할 때까지 S502 단계 및 S503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may repeat steps S502 and S503 until all imag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ings included in the DWG file are acquired.

도면의 외부 테두리가 추가로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503), 장치는 획득된 이미지 각각을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50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er edge of the drawing is not additionally recognized (S503), the device may convert each of the acquired images into a PDF file and output it (S504).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장치는 제1 이미지를 제1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제2 이미지를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obtained, the device may convert the first image into a first PDF file and output it, and convert the second image into a second PDF file and output the converted image.

장치는 출력된 각각의 PDF 파일을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device may process each outputted PDF file to be stored in a preset folder.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DWG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WG f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DWG 파일(200)에는 복수의 도면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WG 파일(200)에는 제1 도면 및 제2 도면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WG fil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awings. As shown in FIG. 7 , the DWG file 200 may include a first drawing and a second drawing.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는 DWG 파일(200) 내에서 제1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선이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는 DWG 파일(200) 내에서 제2 도면을 구분하기 위한 선이다.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와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는 동일한 색 및 동일한 굵기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is a line for dividing the first drawing in the DWG file 200 , and the outer border 220 of the second drawing is a line for separating the second drawing in the DWG file 200 . line for The outer edge 210 of the first drawing and the outer edge 220 of the second drawing may be set to have the same color and the same thickness.

제1 도면의 영역은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까지 포함하는 영역이고, 제2 도면의 영역은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까지 포함하는 영역이다. 제1 도면의 영역과 제2 도면의 영역은 동일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도면의 영역이 상이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area of the first drawing is an area including up to the outer edge 210 of the first drawing, and the area of the second drawing is an area including up to the outer edge 220 of the second drawing. The area of the first drawing and the area of the second drawing may have the same area, and the area of each drawing may have a different area.

참조 블록(230)은 제1 도면의 영역 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통해 참조 블록(230)의 크기가 설정되면, 참조 블록(230) 내에 위치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를 인식하고, 참조 블록(230)의 면적,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색 및 굵기를 도면 폼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reference block 230 may be set to a wider area than the area of the first drawing. When the size of the reference block 230 is set through a user operation, the device recognizes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block 230 ,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230 , and the reference block 230 . ) and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between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and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may be set in the drawing form.

장치는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사이의 공간을 확인하여, 참조 블록(230)과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 간의 상하좌우 여백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여백(231),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여백(232),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 여백(233),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여백(234)을 확인할 수 있다.The device may check the space between the reference block 230 and the outer edge 210 of the first drawing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margins between the reference block 230 and the outer edge 210 of the first drawing. For example, the device includes a first blank 231 positioned above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a second blank 232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A third blank 233 positioned below the outer border 210 of the drawing and a fourth blank 234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may be identified.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 각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는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The device may check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blank 231 , the second blank 232 , the third blank 233 , and the fourth blank 234 . The first blank 231 , the second blank 232 , the third blank 233 , and the fourth blank 234 may all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의 크기를 기초로,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참조 블록(230)의 영역을 그대로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Based on the sizes of the first blank 231 , the second blank 232 , the third blank 233 , and the fourth blank 234 , the device has a blank space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A region including up to . may be divided, and a first image may be acquired through the divided region. The device may acquire the first image by dividing the region of the reference block 230 as it is.

장치는 참조 블록(230) 내에 위치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색 및 굵기를 기초로, 참조 블록(230)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를 확인하여 인식할 수 있다.Based on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outer border 210 of the first drawing positioned within the reference block 230, the device identifies and recognizes the outer border 220 of the second figure positioned outside the reference block 230. can

장치는 제1 여백(231), 제2 여백(232), 제3 여백(233) 및 제4 여백(234)의 크기를 기초로,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영역이 참조 블록(230)의 면적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분할된 영역을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Based on the sizes of the first blank 231 , the second blank 232 , the third blank 233 , and the fourth blank 234 , the device has a blank spac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uter border 220 of the second drawing. Up to , may be divided,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ivided area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reference block 230 , a second image may be acquired through the divided area.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는데 있어,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측에 제1 여백(231)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좌측에 제2 여백(232)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하측에 제3 여백(233)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키고,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우측에 제4 여백(234)의 크기에 해당하는 여백 공간을 포함시킬 수 있다.When the device divides the area including the blank spaces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border 220 of the second drawing,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blank 231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border 220 of the second drawing Including a space, including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blank 232 on the left side of the outer border 220 of the second drawing, and a third blank (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233 may be included, and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ourth blank 234 may be included on the right side of the outer edge 220 of the second drawing.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first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제1 도면의 외부 테두리(21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may acquire the first image by dividing the region including the blank spac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uter edge 210 of the first drawing.

도 8을 참조하면,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제1 도면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601).Referring to FIG. 8 , the device may obtain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For example, the device may check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rawing included in the DWG file, and obtain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 S601 ).

다음으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2).Next, the device may check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S602).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602),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603).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입력되면,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등록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not registered (S602), the device may display a registration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on a screen connected to the device (S603) . That is, the device displays a notification message on the screen informing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not registered, and that registration of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is required, Registration of drawing names can be induced. Whe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input through the registration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the device can regist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through the input information .

이때, S603 단계 이후 S6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다시 획득하여,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step S603, returning to step S601, the device may obtain again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and check again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한편,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602),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S604).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S602), the device may set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S604).

예를 들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가 “931”로 등록되어 있고, 제1 도면의 도면명이 “39m2형단위세대창호도”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는 “931 39m2형단위세대창호도”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rawing number of the first drawing is registered as “931” and the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is registered as “39m 2 type unit household window diagram”, the device is “931 39m 2 type unit household window diagram” You can set the file name with “do”.

다음으로,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설정된 파일명으로, 제1 이미지를 제1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605).Next, the device may convert the first image into a first PDF file and output it with a file name set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S605).

즉,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제1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1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first drawing are registered, the device may output the first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checked first drawing.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econd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제2 도면의 외부 테두리(220)의 상하좌우에 여백 공간까지 포함된 영역을 분할하여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may acquire the second image by dividing the region including the blank spac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uter edge 220 of the second drawing.

도 9를 참조하면,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DWG 파일에 포함된 제2 도면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701).Referring to FIG. 9 , the device may acquire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re registered. For example, the device may check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drawing included in the DWG file, and obtain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re registered (S701).

다음으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2).Next, the device may check whether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registered (S702).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702),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장치와 연결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703). 즉,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도면의 도면명에 대한 등록 요청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2 도면의 도면명이 입력되면,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제2 도면의 도면명을 등록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not registered (S702), the device may display a registration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on a screen connected to the device (S703). That is, the device can induce registration of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by displaying a notification message on the screen informing that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not registered and that registration of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required. have. When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input through the registration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the device may register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through the input information.

S703 단계 이후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등록 여부를 다시 획득하여,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Returning to step S701 after step S703, the device may obtain again whether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re registered, and check again whether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registered.

다음으로, 제2 도면의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702),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04).Nex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is registered (S702), the device may check whether the drawing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is registered (S704).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704), 장치는 제1 도면의 도면 번호를 이용하여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S705).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ference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is not registered (S704), the device may automatically set the reference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by using the reference number of the first drawing (S705).

예를 들어, 제1 도면의 도면 번호가 “931”로 등록되어 있고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치는 “931”다음 번호인 “932”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를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rawing number of the first drawing is registered as “931” and the drawing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is not registered, the device changes the drawing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to “932”, which is the number after “931”. You can set and register.

한편, S704 단계에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거나 S705 단계 이후,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할 수 있다(S706).On the other hand, it is confirmed in step S704 that the drawing number of the second drawing is registered or after step S705, the device may set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S706).

다음으로,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설정된 파일명으로, 제2 이미지를 제2 PDF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707).Next, the device may convert the second image into a second PDF file and output it with a file name set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S707).

즉, 장치는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제2 도면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을 기반으로 파일명을 설정하여 제2 PDF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second drawing are registered, the device may output the second PDF file by setting a file name based on the drawing number and drawing name of the confirmed second drawing.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프로세서(301) 및 메모리(30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30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Devic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rocessor 301 and a memory 302 . Th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the above-described server or terminal. The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evic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or perform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The memory 302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may store a program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implemented. Memory 302 may be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3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0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30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processor 301 may execute a program and control the device 300 . The code of the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30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02 . The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personal computer or a network) through an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and exchange data.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apparatu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apparatus,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 복층형 공동주택
10 : 제1 생활공간 12 : 제2 생활공간
2 : 공기정화장치
1: Double-storey apartment house
10: first living space 12: second living space
2: Air purifier

Claims (3)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에 있어서,
복층형 공동주택의 1층의 제1 생활공간과 상기 제1 생활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2층의 제2 생활공간에 각각 배치된 제1 실내센서부와 제2 실내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1 실내공기정보와 제2 실내공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외에 배치된 실외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실외공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내공기정보, 상기 제2 실내공기정보 및 실외공기정보를 기준공기정보와 비교하여 제1 실내공기오염도, 제2 실내공기오염도 및 실외공기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와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내는 제1 상대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 대비 상기 실외공기오염도를 나타낸 제2 상대오염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상대오염도가 상기 제2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상대오염도가 상기 제1 상대오염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생활공간 및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는 상기 실외공기오염도가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인,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In the method of purifying indoor air of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performed by the device,
The first indoor space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indoor sensor unit and the second indoor sensor unit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living space of the first floor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and the second living space of the second floor located above the first living space acquiring air information and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nd acquiring outdoor air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n outdoor sensor disposed outdoors of the multi-storey apartment building;
calculating a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an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by comparing the first indoor air information, the second indoor air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with reference air information;
Comparing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a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ed, and a second representing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compared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calculating a relative pollution degree;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whe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When the second relative pollution degre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lative pollution degree,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The ventilation of the first living space and the second living space is when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A method of purifying indoor air in a two-story apartment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1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상기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상기 제1 실내산소농도가 상기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1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first living space,
When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first indoor air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calculating first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llution level; and
When the first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ing first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 method of purifying indoor air in a two-story apartment buil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생활공간의 환기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높고, 제2 실내산소농도가 기준산소농도보다 낮아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외공기유입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실내이산화탄소농도가 상기 기준이산화탄소농도보다 낮고, 상기 제2 실내산소농도가 상기 기준산소농도보다 높아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가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준공기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실내공기오염도에 대응하는 제2 실내공기순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ventilate the second living space,
When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the second indoor air based on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calculating second outdoor air inflow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llution level; and
When the second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door oxy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oxygen concentration, so that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s lower than the standard air pollution degree, the reference air pollution degree is Calculating second indoo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 method of purifying indoor air in a two-story apartment building.
KR1020210063556A 2021-05-17 2021-05-1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KR1024047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556A KR102404775B1 (en) 2021-05-17 2021-05-1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556A KR102404775B1 (en) 2021-05-17 2021-05-1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775B1 true KR102404775B1 (en) 2022-06-02

Family

ID=8198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556A KR102404775B1 (en) 2021-05-17 2021-05-1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77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64B1 (en) 2010-04-05 2013-05-06 (주)엘지하우시스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ventilation equipment for window and a direction of wind and a method for ventilation using thereof
KR20200126854A (en) * 2019-04-30 2020-11-09 김선욱 Method of purifying of indoor air
KR20210026757A (en)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64B1 (en) 2010-04-05 2013-05-06 (주)엘지하우시스 Ventilation apparatus using a ventilation equipment for window and a direction of wind and a method for ventilation using thereof
KR20200126854A (en) * 2019-04-30 2020-11-09 김선욱 Method of purifying of indoor air
KR20210026757A (en)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ari et al. Towards sustainable, energy-efficient and healthy ventilation strategies in buildings: A review
O'Neill et al. Energy savings and ventilation performance from CO2-based 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Simulation results from ASHRAE RP-1747 (ASHRAE RP-1747)
Kang et al. A study on the control method of single duct VAV terminal unit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proper minimum air flow
WO20110491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Dodoo et al. Effects of climate change for thermal comfort and energy performance of residential buildings in a Sub-Saharan African climate
Du et al. Effects of architectural space layouts on energy performance: A review
Lim et al. Energy benefit of the underfloor air distribution system for reducing air-conditioning and heating loads in buildings
Romanska-Zapala et al. Buildings with environmental quality management: Part 4: A path to the future NZEB
KR102404775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urifying of indoor air of in multi-storey apartment house
Rabani et al. Building retrofitting through coupling of building energy simulation-optimization tool with CFD and daylight programs
Filipsson et al. Modelling of rooms with active chilled beams
Kravchenko et al. Performance of Modern Passive Stack Ventilation in a Retrofitted Nordic Apartment Building
Sung et al. Analysis of Building Retrofit, Ventilation, and Filtration Measures for Indoor Air Quality in a Real School Context: A Case Study in Korea
Mastellone et al. Energy, environmental impact and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of add-ons in buildings
Zhao et 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he indoor climate in a classroom with mixing and displacement air distribution methods
Ooi et al. Porous media representation of louvers in building simulations for natural ventilation
Fedorczak-Cisak et al. Position paper introducing a sustainable, universal approach to retrofitting residential buildings
Hawila et al. Metamodeling of mean radiant temperature to optimize glass facade design in PMV-based comfort controlled space
KR102326016B1 (en) Oxygen Providing Ventil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20051647A (en) Ventilation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Weber et al. TRNFLOW: integration of COMIS into TRNSYS type 56
JP2004301350A (en) Ventilator
Kravchenko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demand-based ventilation in a nordic apartment building
Zhao et al. Operational Challenges of Modern Demand-Control Ventilation Systems: A Field Study
JP2019078427A (en) Controller, control method using controller,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