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198B1 -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198B1
KR102404198B1 KR1020210132606A KR20210132606A KR102404198B1 KR 102404198 B1 KR102404198 B1 KR 102404198B1 KR 1020210132606 A KR1020210132606 A KR 1020210132606A KR 20210132606 A KR20210132606 A KR 20210132606A KR 102404198 B1 KR102404198 B1 KR 10240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cloth
loading plate
auxiliary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21013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1/145Unloading equipment for pushing the load from the carrie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2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pushing or pulling the load from/onto the platform

Abstract

본 발명은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카트본체(110)와; 상기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본체(110)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본체(11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상기 하역보조부재(120)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111)에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펼쳐져서 상기 수직프레임(113)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부와 후방이 상기 하역보조포(121)에 감싸여지게 적재되고, 상기 보조포손잡이(129)를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물품의 하부와 후방을 감싸며 접혀져 있던 하역보조포(121)가 상부로 펼쳐지며 상기 물품(A)을 적재판(111)의 전방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Easy-to-load handcart with unloading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은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일체로 결합된 하역보조부재를 이용해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쉽게 할 수 있는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핸드카트는 물품을 쉽게 적재하고 운반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특히 최근 택배배송이 늘어나며 택배배송기사들이 간편하게 접을 수 있으며 많은 물품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핸드카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핸드카트의 일례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94353호 "핸드카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핸드카트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과, 적재판의 후방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하된 이동바퀴를 포함한다.
종래 핸드카트는 많은 짐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적재판에 적재된 물품을 사용자가 일일이 하역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수와 같이 무거운 물품을 하역할 때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이 증가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판에 적재된 물품을 적은 힘으로 하역할 수 있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제작된 카트본체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하역보조부재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는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카트본체(110)와; 상기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본체(110)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본체(11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상기 하역보조부재(120)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111)에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펼쳐져서 상기 수직프레임(113)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부와 후방이 상기 하역보조포(121)에 감싸여지게 적재되고, 상기 보조포손잡이(129)를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물품의 하부와 후방을 감싸며 접혀져 있던 하역보조포(121)가 상부로 펼쳐지며 상기 물품(A)을 적재판(111)의 전방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판(111)의 전방측 판면에는 폭방향으로 보조포삽입공(111e)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에는 고정축삽입공(12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축삽입공(121-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보조포삽입공(111e)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축(122)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은 상기 보조포삽입공(111e)을 통해 상기 적재판(111)의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적재판(111)의 하부로 삽입된 상기 고정축삽입공(121-2)에 상기 고정축(122)이 삽입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적재판(111)에 함께 감겨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고정하는 테잎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와이어(123)와;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에 일정면적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거치되도록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접힘지지하는 접힘지지와이어(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하단을 연결하여 물품이 하역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고정와이어(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은 상기 적재판(1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와이어(123)는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적재판(111)의 하단을 감싸게 결합되고, 상기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상기 적재판(111)의 선단으로부터 4~7cm 범위에서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판(111)의 하단을 감싸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카트에 결합되어 핸드카트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핸드카트용 하역보조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드카트(10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A)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핸드카트용 하역보조부재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와이어(123)와;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에 일정면적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113)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접힘지지하는 접힘지지와이어(125)와;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는 하역보조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물품을 하역하지 않고 하역보조포를 당겨 하역보조포가 펼쳐지는 압력에 의해 물품을 전방으로 밀어 간편하게 적재판에 적재된 물품을 한꺼번에 하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역보조부재는 기존에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핸드카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결합와이어와 접힘지지와이어를 이용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에 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의 카트본체와 하역보조부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의 저면구성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를 이용해 물품을 하역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물품이 적재된 핸드카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핸드카트(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100)는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카트본체(110)와,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적재된 물품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하역보조부재(120)를 포함한다.
하역보조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적재되는 물품(A)의 바닥에 깔리고, 사용자가 하역보조부재(120)의 보조포손잡이(129)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하역보조부재(120)가 펼쳐지는 압력과 카트본체(110)가 뒤로 이동하는 압력에 의해 물품(A)이 전방을 향해 하역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물품(A)을 개별적으로 하역하지 않고 한꺼번에 하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트본체(110)는 물품을 적재하여 희망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카트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물품이 지지되는 수직프레임(113)과, 수직프레임(113)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카트본체(110)를 견인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115)와, 수직프레임(1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카트본체(110)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이송바퀴(117)를 포함한다.
적재판(111)은 지면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상면에 물품이 적재된다. 적재판(111)의 양측 테두리에는 결합와이어삽입홈(111a)과 접힘와이어삽입홈(111b)이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하역보조부재(120)의 결합와이어(123)와 접힘지지와이어(125)가 미끄러지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적재판(111)의 내측 판면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공(111c)이 형성된다. 절개공(111c)은 카트본체(11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된다. 절개공(111c)을 형성하는 테두리영역에는 결합와이어(123)의 위치를 고정하는 내측결합와이어삽입홈(111d)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적재판(111)의 선단(112)은 하부로 경사지게 타영역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적재된 물품의 하부로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이에 의해 물품의 적재와 하역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3)은 적재판(111)의 하부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적재판(111)의 상부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카트본체(110)가 이송될 때 수직프레임(113)에 물품이 지지되며 물품(A)이 적재판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한다. 이 때, 수직프레임(113)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14,114a)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가로프레임(114)과 상부가로프레임(114a)만 도시되었으나, 수직프레임(113)의 높이에 따라 가로프레임(114,114a)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한편, 수직프레임(113)에는 하역보조부재(120)의 프레임고정와이어(127)가 결합되는 고정와이어삽입공(113a)이 양측에 관통형성된다.
손잡이(115)는 수직프레임(113)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잡고 핸드카트(100)를 견인하며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송바퀴(117)는 수직프레임(1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견인하는 방향으로 핸드카트(100)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송바퀴(117)는 좌우 한 쌍의 바퀴로 구비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바퀴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카트본체(110)는 종래 핸드카트를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하역보조부재(120)는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물품 하역을 보조한다. 하역보조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천 형태의 하역보조포(121)와, 하역보조포(121)를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와이어(123)와, 결합와이어(123)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하역보조포(121)가 수직프레임(113)을 향해 접혀지게 지지하는 접힘지지와이어(125)와, 하역보조포(121)의 하단부와 수직프레임(113)을 고정하는 프레임고정와이어(127)와,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하역보조포(121)를 당길 수 있게 파지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한다.
하역보조포(121)는 형상변형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당김여부에 따라 접혀지거나 팽팽해지며 물품(A)을 가압할 수 있는 천으로 구비된다. 하역보조포(121)는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역보조포(121)의 폭은 적재판(111)의 폭에 대응되거나 일정 범위 작게 형성된다. 즉, 하역보조포(121)는 적재판(111)의 상면을 완전히 덮어 물품(A)이 하역보조포(121)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역보조포(121)의 전체 길이(L1)는 적재판(111)에 접혀지는 접힘영역(121-1)이 길이(L2), 즉 하단으로부터 접힘지지와이어(125)까지의 길이(L2)를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1)의 상면과 수직프레임(113)으로부터 하부가로프레임(114)을 덮으며, 하부가로프레임(114)으로부터 일정길이(L3) 만큼 하부로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역보조포(121)의 전체 길이(L1)는 수직프레임(113)의 전체 높이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하역보조포(121)의 전체 길이(L1)가 길어질 경우 하역보조포(121)는 상부가로프레임(114a)에 거치될 수 있다.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에는 좌우 한 쌍의 내부결합공(121a)과 외부결합공(121b)이 관통형성된다. 한 쌍의 내부결합공(121a)에는 결합와이어(123)가 결합되고, 외부결합공(121b)에는 프레임고정와이어(127)가 결합된다.
하역보조포(121)에는 접힘지지와이어(125)가 삽입되는 접힘와이어삽입공(121c)이 봉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접힘와이어삽입공(121c)에 삽입되어 하역보조포(121)가 접힘지지와이어(125)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 때,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접힘와이어삽입공(121c) 내에 은폐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물품(A)과 직접 닿지 않으며, 물기와 닿더라도 부식되지 않는다.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는 손잡이축(128)이 삽입되는 손잡이축삽입공(121d)이 형성된다. 손잡이축삽입공(121d)은 하역보조포(121)를 봉제하여 손잡이축(128)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도 4는 카트본체(110)에 하역보조부재(120)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핸드카트(100)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와이어(123)는 하역보조포(121)의 내부결합공(121a)으로부터 적재판(111)의 테두리의 결합와이어삽입홈(111a)에 끼워진 후 바닥을 감싸게 결합되어 하역보조포(121)를 적재판(111)에 고정한다.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접힘와이어삽입공(121c)에 삽입된 후 양단이 적재판(111)의 테두리에 형성된 접힘와이어삽입홈(111b)에 끼워지고, 적재판(111)의 바닥을 감싼 후 고정된다.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접힘와이어삽입홈(111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물품(A)이 적재되거나 하역되더라도 위치가 이탈되지 않는다.
접힘지지와이어(125)에 의해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으로부터 접힘지지와이어(125)까지의 면적은 적재판(111)의 상면에 펼쳐져 고정되고, 나머지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지지와이어(125)를 기준으로 접혀져 하부가로프레임(114)으로 반전되어 위치된다.
결합와이어(123)와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철사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거나, 강도를 갖는 로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적재판(111)과 수직프레임(113)을 덮고 하부가로프레임(114)의 외부로 손잡이축(128)과 보조포손잡이(129)는 일정길이 노출되게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로프레임(114)의 외부로 노출된 하역보조포(121)의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1)에 물품(A)이 적재되더라도 여전히 수직프레임(113)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된다. 이에 사용자가 물품(A)을 하역하고자 할 때 노출된 보조포손잡이(129)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당길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지지와이어(125)와 적재판(111)의 선단(112)까지의 거리는 4~7c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지지와이어(125)와 선단(112)까지의 거리가 7cm 보다 멀 경우 사용자가 하역보조포(121)를 당기더라도 물품(A)이 선단까지 가압되지 않아 제대로 하역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4cm 보다 가까울 경우 하역보조포(121)가 물품(A)과 함께 적재판(111) 밖으로 밀려나가 카트본체(110)의 후방 이송이 어려울 수 있다.
프레임고정와이어(1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보조포(121) 하단의 외부결합공(121b)과 수직프레임(113)의 고정와이어삽입공(113a)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프레임고정와이어(1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A)이 적재판(111)의 외부로 하역될 때 하역보조포(121)가 함께 밀려나 적재판(1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물품(A)의 하역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역보조포(121)를 고정한다.
손잡이축(128)과 보조포손잡이(129)는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구비되며, 하부가로프레임(114)에 하역보조포(121)가 거치될 때 수직프레임(113)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물품 하역을 위해 당길 수 있게 한다.
손잡이축(128)은 손잡이축삽입공(121d)에 수용되어 보조포손잡이(129)가 하역보조포(121)와 분리되지 않게 지지하며,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하역보조포(121)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100)의 카트본체(110)와 하역보조부재(120)의 조립과정과 핸드카트(100)를 이용한 물품 하역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핸드카트(100)는 카트본체(110)에 하역보조부재(120)를 조립하여 사용된다. 카트본체(110)는 종래 판매되던 핸드카트를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판(111)에 결합와이어삽입홈(111a), 접힘와이어삽입홈(111b), 내측결합와이어삽입홈(111d) 없이 하역보조부재(120)를 결합하게 된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보조포(121)를 적재판(111)의 상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을 내측결합와이어삽입홈(111d)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단의 보조포손잡이(129)가 적재판(111)의 선단(112) 밖을 향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결합와이어(123)를 각각 내부결합공(121a)과 내측결합와이어삽입홈(111d)을 통해 삽입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1)의 바닥면을 감싼 후 결합와이어삽입홈(111a)을 경유하게 배치하고 묶거나 매듭을 지어 적재판(111)에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을 고정한다.
그리고, 프레임고정와이어(127)를 외부결합공(121b)과 고정와이어삽입공(113a) 및 적재판(111)의 바닥면을 감싸게 끼운 후 묶거나 매듭을 지어 고정한다.
그리고, 접힘와이어삽입공(121c)의 양측으로 노출된 접힘지지와이어(125)의 양단을 적재판(111)의 하부로 배치시킨 후 묶거나 매듭을 지어 위치를 고정한다. 이렇게 접힘지지와이어(125)의 위치가 고정되면,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보조포(121)를 접힘지지와이어(125)를 기준으로 수직프레임(113) 측으로 접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축(128)을 하부가로프레임(114)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에 의해 하역보조포(121)가 적재판(111)의 상면에서 한번 접힌 후 수직프레임(113)으로 연장되고 하부가로프레임(114)에 거치된 후 보조포손잡이(129)는 수직프레임(113)의 외측에서 하부로 처진 상태로 위치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보조포(121)는 적재판(111)에 물품(A)이 적재될 때, 적재판(111)의 상면에 위치되는 접힘영역(121-1)과, 접힘영역(121-1)에서 접힘지지와이어(125)에 의해 접혀져서 물품(A)의 하부에 깔려지는 물품지지영역(121')과, 물품지지영역(121')에서 수직하게 접혀져서 적재된 물품(A)과 하부가로프레임(114)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거치영역(121")과, 하부가로프레임(114)으로부터 보조포손잡이(129)까지 외부로 일정길이 처지게 위치되는 당김영역(121"')을 포함한다.
접힘영역(121-1)을 제외한 물품지지영역(121')의 길이(a)와 수직거치영역(121")의 길이(b)와 당김영역(c)의 길이는 카트본체(110)의 크기와 적재되는 물품(A)의 높이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A)이 적재되지 않은 경우 하역보조포(121)의 물품지지영역(121')과 수직거치영역(121")은 느슨하게 적재판(111) 상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품지지영역(121')의 상부로 물품(A)을 적재하여 물품지지영역(121')과 수직거치영역(121")에 물품의 바닥과 후방이 감싸여지게 물품(A)을 적재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A) 이송 중에는 보조포손잡이(129)는 수직프레임(113)의 외부로 노출된 후 하부로 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A)을 하역할 때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적재된 물품(A)의 상면을 잡고 다른 손으로 하역보조포(121)를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힘(P1)을 가한다. 이에 의해 접혀져 물품(A)의 하부에 깔려 접혀져 있던 하역보조포(121)의 물품지지영역(121')과 수직거치영역(121")이 펼쳐지면서 물품(A)으로 압력(P2)을 가하게 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후진시키면 카트본체(110)가 후진되는 속도(P)와 하역보조포(121)가 펼쳐지는 압력(P2)에 대한 반작용으로 물품(A)이 전방으로 떠밀려나며 적재판(111)으로부터 한꺼번에 하역되게 한다.
여기서, 하역보조포(121)의 물품지지영역(121')은 접힘지지와이어(125)에 의해 접혀져 있으므로 접힘지지와이어(125) 보다 선단(112) 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물품(A)만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은 결합와이어(123)와 프레임고정와이어(127)에 의해 적재판(111)과 수직프레임(113)에 고정되어 물품(A)과 함께 적재판(1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적재판(1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적재판(111)에 적재된 복수개의 물품을 개별적으로 하역하지 않고 하역보조포(121)의 보조포손잡이(129)를 당기며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물품(A)을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변형된 핸드카트(100a)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변형된 핸드카트(100a)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핸드카트(100)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되게 구조가 개선되었다.
카트본체(110)에 높게 물품(A)을 적재하더라도 물품(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113)의 상부에 이탈방지판(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역보조부재(120a)의 하역보조포(122)는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때 보다 강한 힘으로 물품(A)을 가압할 수 있도록 복합소재로 형성된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역보조포(121)는 비닐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천의 형태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하역보조포(122)는 확대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122a)의 내부에 지지부재(122b)가 감싸여진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하역보조포(122)는 천(122a)과 함께 지지부재(122b)가 함께 결합되어 두께가 두꺼우며, 보다 견고하며 내구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100b)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100b)는 적재판(111)의 전방에 하역보조포(121)가 삽입되는 보조포삽입공(111e)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에는 고정축삽입공(121-2)이 봉제되어 형성된다.
작업자는 고정축(122)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을 보조포삽입공(111e)을 통해 적재판(111)의 하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적재판(111)의 하부로 삽입된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축삽입공(121-2)에 고정축(122)을 삽입한다.
고정축(122)은 보조포삽입공(111e)의 폭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고정축삽입공(121-2)에 고정축(122)이 삽입되면 하역보조포(121)는 적재판(1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핸드카트(100b)는 수직거치영역(121")에 일정 두께를 갖는 가압판(121-3)을 결합시킨다. 가압판(121-3)은 고무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거치영역(121")에 봉제하거나 접착제나 테잎을 이용해 고정할 수 있다.
가압판(121-3)은 작업자가 보조포손잡이(129)를 당긴 후 펼쳐져서 물품을 가압할 때 보다 큰 가압력을 작용하여 물품의 하차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100b)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100)와 비교할 때 적재판(111)의 판면에 보조포삽입공(111e)을 절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결합와이어(123)와 프레임고정와이어(127)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외관이 깔끔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1과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핸드카트(100c)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의 핸드카트(100c)는 하역보조부재(120b)의 물품지지영역(121')을 제외한 접힘영역(121-1)을 적재판(111)의 상면에 테잎(130)을 이용해 고정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영역(121-1)을 적재판(111)의 상면에 배치한 후, 물품지지영역(121')을 제외한 적재판(111)과 접힘영역(121-1)을 테잎(130)을 이용해 권취하여 고정한다. 작업자는 테잎(130)을 접힘영역(121-1)의 상면과 적재판(111)의 하면을 감싸도록 전영역을 테이핑하여 고정한다.
이 때, 테잎(130)은 물품의 상하역이 발생되는 마찰과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갖는 필라멘트테잎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의 핸드카트(100c)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핸드카트(100)와 다른 실시예의 핸드카트(100b)와 비교할 때 결합와이어(123)와 프레임고정와이어(127)을 결합시키거나 보조포삽입공(111e)을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한 설치와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카트는 하역보조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개별절으로 물품을 하역하지 않고 하역보조포를 당겨 하역보조포가 펼쳐지는 압력에 의해 물품을 전방으로 밀어 간편하게 적재판에 적재된 물품을 한꺼번에 하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역보조부재는 기존에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핸드카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결합와이어와 접힘지지와이어를 이용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핸드카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핸드카트 110 : 카트본체
111 : 적재판 111a : 결합와이어삽입홈
111b : 접힘와이어삽입홈 111c : 절개공
111d : 내측결합와이어삽입홈 111e : 보조포삽입공
112 : 선단 113 : 수직프레임
113a : 고정와이어삽입공 114 : 하부가로프레임
114a : 상부가로프레임 115 : 손잡이
116 : 이탈방지판 117 : 이송바퀴
120 : 하역보조부재 121 : 하역보조포
121-1 : 접힘영역 121-2 : 고정축삽입공
121-3 : 가압판 121’ : 물품지지영역
121“ : 수직거치영역 121”' : 당김영역
121a : 내부결합공 121b : 외부결합공
121c : 접힘와이어삽입공 121d : 손잡이축삽입공
122 : 고정축 123 : 결합와이어
125 : 접힘지지와이어 127 : 프레임고정와이어
128 : 손잡이축 129 : 보조포손잡이
130 : 테잎

Claims (7)

  1. 삭제
  2.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카트본체(110)와;
    상기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본체(110)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본체(11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상기 하역보조부재(120)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111)에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펼쳐져서 상기 수직프레임(113)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부와 후방이 상기 하역보조포(121)에 감싸여지게 적재되고,
    상기 보조포손잡이(129)를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물품의 하부와 후방을 감싸며 접혀져 있던 하역보조포(121)가 상부로 펼쳐지며 상기 물품(A)을 적재판(111)의 전방을 향해 가압하되,
    상기 적재판(111)의 전방측 판면에는 폭방향으로 보조포삽입공(111e)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에는 고정축삽입공(12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축삽입공(121-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보조포삽입공(111e)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축(122)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은 상기 보조포삽입공(111e)을 통해 상기 적재판(111)의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적재판(111)의 하부로 삽입된 상기 고정축삽입공(121-2)에 상기 고정축(122)이 삽입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이 용이한 핸드카트.
  3.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카트본체(110)와;
    상기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본체(110)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본체(11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상기 하역보조부재(120)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111)에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펼쳐져서 상기 수직프레임(113)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부와 후방이 상기 하역보조포(121)에 감싸여지게 적재되고,
    상기 보조포손잡이(129)를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물품의 하부와 후방을 감싸며 접혀져 있던 하역보조포(121)가 상부로 펼쳐지며 상기 물품(A)을 적재판(111)의 전방을 향해 가압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적재판(111)에 함께 감겨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고정하는 테잎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역보조포(121)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테잎으로 상기 적재판(111)과 함께 감기어 고정되는 접힘영역(121-1)과 상기 보조포손잡이(129)가 당겨지면 펼쳐지는 물품지지영역(1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이 용이한 핸드카트.
  4.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한 카트본체(110)와;
    상기 카트본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본체(110)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본체(11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상기 하역보조부재(120)는,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111)에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펼쳐져서 상기 수직프레임(113)으로 연장된 후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품의 하부와 후방이 상기 하역보조포(121)에 감싸여지게 적재되고,
    상기 보조포손잡이(129)를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카트본체(1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물품의 하부와 후방을 감싸며 접혀져 있던 하역보조포(121)가 상부로 펼쳐지며 상기 물품(A)을 적재판(111)의 전방을 향해 가압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와이어(123)와;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에 일정면적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거치되도록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접힘지지하는 접힘지지와이어(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이 용이한 핸드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하단을 연결하여 물품이 하역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고정와이어(1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이 용이한 핸드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은 상기 적재판(1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와이어(123)는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적재판(111)의 하단을 감싸게 결합되고,
    상기 접힘지지와이어(125)는 상기 적재판(111)의 선단으로부터 4~7cm 범위에서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판(111)의 하단을 감싸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이 용이한 핸드카트.
  7. 핸드카트에 결합되어 핸드카트에 적재된 물품의 하역을 보조하는 핸드카트용 하역보조부재에 있어서,
    상기 핸드카트(100)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판(111)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111)에 적재된 물품(A)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프레임(114,114a)과;
    상기 적재판(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117)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판(111)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일부면적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하역보조포(121)와;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상기 적재판(111)에 결합시키는 결합와이어(123)와;
    상기 하역보조포(121)가 상기 적재판(111)에 일정면적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113)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하역보조포(121)를 접힘지지하는 접힘지지와이어(125)와;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역보조포(121)의 상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에 거치될 때 상기 가로프레임(114,114a)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포손잡이(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카트용 하역보조부재.
KR1020210132606A 2021-10-06 2021-10-06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KR10240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06A KR102404198B1 (ko) 2021-10-06 2021-10-06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06A KR102404198B1 (ko) 2021-10-06 2021-10-06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198B1 true KR102404198B1 (ko) 2022-05-31

Family

ID=8178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606A KR102404198B1 (ko) 2021-10-06 2021-10-06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1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735U (ja) * 1993-12-30 1995-08-11 茂 岩岡 カート
US6598898B2 (en) * 2001-07-18 2003-07-29 Aports Training Devices, Llc Folding cart
US20080258528A1 (en) * 2007-04-20 2008-10-23 Blue Ridge International Products Company Shopping Cart Cover
US20200039163A1 (en) * 2017-04-24 2020-02-06 Strautmann Gépgyártó Hungária Kft Device for collecting compaction material and for feeding the collected compaction material to a press that compacts the compaction material, and mobile collection cart for use in th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735U (ja) * 1993-12-30 1995-08-11 茂 岩岡 カート
US6598898B2 (en) * 2001-07-18 2003-07-29 Aports Training Devices, Llc Folding cart
US20080258528A1 (en) * 2007-04-20 2008-10-23 Blue Ridge International Products Company Shopping Cart Cover
US20200039163A1 (en) * 2017-04-24 2020-02-06 Strautmann Gépgyártó Hungária Kft Device for collecting compaction material and for feeding the collected compaction material to a press that compacts the compaction material, and mobile collection cart for use in th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8955A (en) Device for stabilizing a cluster of articles
JP5799020B2 (ja) 軟質面型手荷物ケースのための一体型持運び取っ手付き手荷物ケース・パネル
US5645146A (en) Suitcase with retractable pull handle
US20050258610A1 (en) Container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030038008A1 (en) Cart-separable traveling bag
US20070090616A1 (en) Wheeled shopping tote
US20020125089A1 (en) Wheeled lightweight collapsible luggage
US20060145437A1 (en) Shopping cart having slotted rack for securing objects
KR101640623B1 (ko) 자체-안정화식 롤링가능한 여행가방 어셈블리용 장치 및 방법
US20080258437A1 (en) Removable Cargo Liners for a Stroll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60244226A1 (en) Shopping cart tether system and method
US20130048689A1 (en) Container for Shopping Utensils
US10342320B2 (en) Transformable multifunction backpack
CN100493973C (zh) 紧凑型手推车
US20110110614A1 (en) Original christmas tree transport system
US10239548B2 (en) Multiple bag hanging cart
US20090224495A1 (en) Collapsible shopping caddy
KR102404198B1 (ko) 하역보조부재를 갖는 하역이 쉬운 핸드카트
US4406353A (en) Wheeled garment bag
US20080185307A1 (en) Original Christmas tree transport system
FR2539288A1 (fr) Sac amovible destine notamment a cooperer avec un conteneur mobile
KR20160093868A (ko) 폴딩 왜건
US20190168793A1 (en) Shopping Cart Bag Hook and Methods of Use
US20100237084A1 (en) Rolling Transport Container
KR20010110844A (ko)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