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926B1 -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926B1
KR102403926B1 KR1020210132812A KR20210132812A KR102403926B1 KR 102403926 B1 KR102403926 B1 KR 102403926B1 KR 1020210132812 A KR1020210132812 A KR 1020210132812A KR 20210132812 A KR20210132812 A KR 20210132812A KR 102403926 B1 KR102403926 B1 KR 10240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over plate
column pipe
distance
pressur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영
이호창
강종태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03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controlling of welding dist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7/00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 F22D7/12Contro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다이아프램의 용접 시 열응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장치의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 정비 시,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는 칼럼 파이프(Colume pipe);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커버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볼트; 및 칼럼 파이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다이아프램과 결합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용접 작업에 방해되는 간섭 구성요소들(ex. 스터드 볼트 등)을 제거하고, 다이아프램을 취부한 상태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의 용접 작업에 앞서, 센터링 확인 작업 및 면압 확인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의 용접 시 열응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Device for preventing thermal stress at high pressure heater diaphragm of standard thermal power plant and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의 정비 시 이용되는 장치 및 장치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아프램의 용접 시 열응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장치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Horizontal U-Tube Type으로 고온고압에 견디도록 제작되는 발전소용 고압히터는, Water Chamber가 Partion Plate로 상하로 나뉘어져 있어, 급수가 하부 Chamber로 유입되고 U-type Tube를 왕복하여 상부 Chamber를 통해 배출되며, Man Hole이 있는 전면부는 Diaphragm 용접으로 밀봉되어있다.
이러한 발전소용 고압히터는, 급전상황에 따라 기동정지 반복으로 용접부에 응력과다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태의 잔류응력 영향으로 인하여, 고압히터의 전면부에 스팀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팀 누설 시, 발전기 감발운전 및 정지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스팀 누설로 인한 발전기 감발운전 및 정지작업 시, 정비절차에 따라, 고압히터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고,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을 취부하여, 스팀 누설이 발생하는 부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스팀 누설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데,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용접 공간이 협소하고, 용접 작업 시,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 중심(센터링) 확인 및 접촉면에서 압력과 용접을 위한 열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응력 및 열응력에 해당하는 면압 확인이 어려워, 열응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작업에 방해되는 간섭 구성요소들(ex. 스터드 볼트 등)을 제거하고, 다이아프램을 취부한 상태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장치 및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아프램의 용접 작업에 앞서, 센터링 확인 작업 및 면압 확인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의 용접 시 열응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설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 정비 시,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는 칼럼 파이프(Colume pipe);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커버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볼트; 및 칼럼 파이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다이아프램과 결합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커버 플레이트의 중심 부분 및 칼럼 파이프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다이아프램 정비 과정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칼럼 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에 밀착되어, 용접 작업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센터링 로드(Centering Ro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칼럼 파이프의 측면에 설치되어, 칼럼 파이프에서 볼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거리 센서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 각각 설치되며, 칼럼 파이프의 위치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와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각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리 센서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상부, 일측 하부,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볼트는, 일측 상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와 일측 하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의 비교 결과 및 타측 상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와 타측 하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수직도가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커버 플레이트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거리 센서는,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일측까지의 거리와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타측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2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은, 어댑터가 다이아프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볼트가 각각의 어댑터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하는 단계; 칼럼 파이프가 고압히터의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커버 플레이트가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어댑터의 상단에 체결된 각 볼트의 상단이,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체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 각각 설치된 제1 거리 센서를 통해 칼럼 파이프에서 볼트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각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와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칼럼 파이프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은,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 거리 센서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2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일측까지의 거리와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타측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접 작업에 방해되는 간섭 구성요소들(ex. 스터드 볼트 등)을 제거하고, 다이아프램을 취부한 상태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이아프램의 용접 작업에 앞서, 센터링 확인 작업 및 면압 확인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의 용접 시 열응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파이프가 설치된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파이프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칼럼 파이프(1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4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이하에서는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로 총칭하기로 함)는, 스터드 볼트와 같이 용접 작업에 방해되는 간섭 구성요소를 제거하고, 다이아프램을 취부한 상태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아프램(Diaphragm)은, 발전소 고압히터의 Channel End의 표면과 Man Hole Cover Plate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을 의미한다.
더불어, 본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다이아프램(10)의 용접 작업에 앞서, 센터링 확인 작업 및 면압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는, 칼럼 파이프(100), 커버 플레이트(200), 볼트(300), 어댑터(400), 센터링 로드(500), 제1 거리 센서(600), 제2 거리 센서(700), 출력부(미도시), 면압 조정 너트(800) 및 센터링 조정 너트(90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럼 파이프(100)는,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 정비(용접) 시, 다이아프램(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파이프(100)가 설치된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럼 파이프(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커버 플레이트(200)는, 칼럼 파이프(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20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센터링 로드(50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300)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어댑터(400)는 칼럼 파이프(100)의 외측에 배치되되, 볼트(300)의 하단에 체결되어, 다이아프램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400)는, 기존에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설치되어, 용접 작업에 방해되는 간섭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스터드 볼트보다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용접 작업을 위한 공간을 기존보다 크게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센터링 로드(500)는, 칼럼 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10)에 밀착되어, 용접 작업 중 다이아프램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용접 작업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링 로드(500)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커버 플레이트(200)의 중심 부분 및 칼럼 파이프(100)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다이아프램 정비 과정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칼럼 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10)에 밀착되어, 용접 작업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거리 센서(600)는, 칼럼 파이프(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칼럼 파이프(100)에서 볼트(3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거리 센서(600)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1)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2)에 각각 설치되어,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1)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2)에서 각각의 볼트(300-1, 300-2)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1)에서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300-1)까지의 거리와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2)에서 커버 플레이트(200)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300-2)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각의 제1 거리 센서(600-1, 600-3)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칼럼 파이프(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거리 센서(600)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상부(600-1), 일측 하부(600-2), 타측 상부(600-3) 및 타측 하부(600-4)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일측 상부의 제1 거리 센서(600-1)의 측정 결과와 일측 하부의 제1 거리 센서(600-2)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300-1)의 수직도를 조정하거나 및/또는 타측 상부의 제1 거리 센서(600-3)의 측정 결과와 타측 하부의 제1 거리 센서(600-4)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커버 플레이트(200)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300-2)의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거리 센서(700)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커버 플레이트(200)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거리 센서(700)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 하부(700-1) 및 타측 하부(700-2)에 각각 설치되어, 커버 플레이트(200)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일측까지의 거리와 커버 플레이트(200)의 타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타측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2 거리 센서(700-1, 700-2)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커버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출력부(미도시)는, 제1 거리 센서(600) 및 제2 거리 센서(700)를 통해 획득되는 측정 결과를 전달받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는, 제1 거리 센서(600) 및 제2 거리 센서(700)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제1 거리 센서(600) 및 제2 거리 센서(700)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제1 거리 센서(600) 및 각 제2 거리 센서(7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측정 결과)를 식별하기 위해, 각 제1 거리 센서(600-1 내지 600-4) 및 각 제2 거리 센서(700-1 내지 700-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측정 결과와 식별 데이터가 매칭된 상태로 출력되거나 또는 출력 화면을 연결된 거리 센서의 수만큼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 화면에 각각 각 거리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면압 조정 너트(800)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상측에서 커버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볼트(300-1, 300-2)에 체결되며, 작업자에 의해, 조여짐 또는 풀어짐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20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각 제2 거리 센서(700)의 측정 결과를 확인하며, 양 측면에 마련되는 각 면압 조정 너트(800-1, 800-2)를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커버 플레이트(20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센터링 조정 너트(900)는, 센터링 로드(500)의 상측에 체결되어, 센터링 로드(50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링 조정 너트(900)는, 센터링 로드(500)가 칼럼 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센터링 로드(500)의 상측에 체결되어, 조여짐 또는 풀어짐에 따라 센터링 로드(500)의 위치가 정밀하게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은, 작업자가, 다이아프램의 일측 및 타측에 어댑터(400-1, 400-2)를 각각 결합하고(S510), 각각의 어댑터(400-1, 400-2)의 상단에 볼트(300)를 체결할 수 있다(S520).
이후, 작업자는, 고압히터의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칼럼 파이프(100)를 설치하고(S530), 칼럼 파이프(100)의 상측에 커버 플레이트(200)를 설치할 수 있다(S540).
이때, 칼럼 파이프(100) 및 커버 플레이트(200)는 제1 거리 센서(600) 및 제2 거리 센서(700)를 통해 획득되는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가설치(임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칼럼 파이프(100)의 상측에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에 어댑터(400-1, 400-2)의 상단에 체결된 각 볼트(300-1, 300-2)의 상단을 체결하고(S550), 커버 플레이트(200)를 체결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각 볼트(300-1, 300-2)의 상단에 각각 면압 조정 너트(800-1, 800-2)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면압 조정 너트(800)의 조여짐 정도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20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어, 면압 조정 너트(800)를 임시 체결시키고, 이후, 제2 거리 측정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조여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1)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2)에 각각 설치된 제1 거리 센서(600-1, 600-3)를 통해 칼럼 파이프(100-1, 100-2)에서 볼트(300-1, 300-2)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각의 제1 거리 센서(600-1, 600-3)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1)에서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300-1)까지의 거리와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100-2)에서 커버 플레이트(200)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300-2)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각 칼럼 파이프(100-1, 100-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560).
그리고 작업자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 거리 센서(700-1, 700-2)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200)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2 거리 센서(700)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커버 플레이트(200)의 일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일측까지의 거리와 커버 플레이트(200)의 타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타측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커버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570).
이후, 작업자는, 센터링 로드(500)를 칼럼 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S580), 센터링 조정 너트(900)를 센터링 로드(500)의 상측에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센터링 조정 너트(900)의 조여짐 또는 풀어짐 정도를 조정하여, 센터링 로드(500)의 위치가 정밀하게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S590).
이를 통해, 다이아프램의 용접 작업에 앞서, 센터링 확인 작업 및 면압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다이아프램
100 : 칼럼 파이프(Colume pipe)
200 :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210 : 관통홀
300 : 볼트
400 : 어댑터(Adapter)
500 : 센터링 로드(Centering Rod)
600 : 제1 거리 센서
700 : 제2 거리 센서
800 : 면압 조정 너트
900 : 센터링 조정 너트

Claims (9)

  1.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 정비 시,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는 칼럼 파이프(Colume pipe);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커버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볼트; 및
    칼럼 파이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다이아프램과 결합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커버 플레이트의 중심 부분 및 칼럼 파이프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다이아프램 정비 과정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칼럼 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에 밀착되어, 용접 작업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센터링 로드(Centering Rod); 및
    칼럼 파이프의 측면에 설치되어, 칼럼 파이프에서 볼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거리 센서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 각각 설치되며,
    칼럼 파이프의 위치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와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각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거리 센서는,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상부, 일측 하부, 타측 상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볼트는,
    일측 상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와 일측 하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의 비교 결과 및 타측 상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와 타측 하부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수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6. 발전소용 고압히터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 정비 시,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는 칼럼 파이프(Colume pipe);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커버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체결되는 볼트; 및
    칼럼 파이프의 외측에 배치되되, 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다이아프램과 결합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커버 플레이트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거리 센서는,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는,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일측까지의 거리와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타측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2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8. 어댑터가 다이아프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볼트가 각각의 어댑터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하는 단계;
    칼럼 파이프가 고압히터의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커버 플레이트가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
    어댑터의 상단에 체결된 각 볼트의 상단이, 칼럼 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체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 및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 각각 설치된 제1 거리 센서를 통해 칼럼 파이프에서 볼트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 각각의 제1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일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와 타측에 마련되는 칼럼 파이프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된 볼트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칼럼 파이프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2 거리 센서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에서 다이아프램까지의 거리가 측정되면,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제2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일측까지의 거리와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서 다이아프램 타측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질 때까지,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



KR1020210132812A 2021-10-07 2021-10-07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KR10240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12A KR102403926B1 (ko) 2021-10-07 2021-10-07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12A KR102403926B1 (ko) 2021-10-07 2021-10-07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926B1 true KR102403926B1 (ko) 2022-05-30

Family

ID=8179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12A KR102403926B1 (ko) 2021-10-07 2021-10-07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9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40Y1 (ko) * 2001-10-09 2002-02-06 한전기공주식회사 유압 실린더 커버 분해조립용 공구
KR101950134B1 (ko) * 2018-03-22 2019-02-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압히터 다이어프램의 용접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40Y1 (ko) * 2001-10-09 2002-02-06 한전기공주식회사 유압 실린더 커버 분해조립용 공구
KR101950134B1 (ko) * 2018-03-22 2019-02-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고압히터 다이어프램의 용접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926B1 (ko) 고압히터 다이아프램 열응력 변형 방지 장치 및 설치 방법
KR101227772B1 (ko)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CN101726449A (zh) 无损检测装置
US5438862A (en) System and method for in situ testing of the leak-tightness of a tubular member
KR20110003159U (ko) 리프팅 러그 로드 테스트 장치
KR20140043862A (ko) 열교환기용 관다발의 기밀 시험 장치
CN105784268A (zh) 一种基于气源载荷的多路压力传感器标定装置
KR20070114249A (ko) 브리더밸브 검사장치
CN108287049A (zh) 真空环境下星载飞轮扰振力测试的试验装置
CN106799589A (zh) 铁矿石筛分机振动筛的安装调试方法
US20110120234A1 (en) Method for assessing the seal of a servomotor housing
CN113932991A (zh) 一种安全壳整体泄露测量装置
CN215952896U (zh) 一种气密性测试机
CN110650786B (zh) 喷淋管的设置方法
JP2012172620A (ja) ジェットポンプ及び沸騰水型原子炉
WO2019059181A1 (ja) 脱硫装置
CN112228169B (zh) 核电汽轮机高压外缸中分面组装方法
US10508965B2 (en) Sealant detection apparatus, method and assembly
CN110261015A (zh) 锚索预应力自动测量系统及方法
JP2009074878A (ja) 沸騰水型原子炉のドライヤの健全性を確認する方法
CN218486773U (zh) 蒸汽管道吹扫靶板安装器
KR102547747B1 (ko) 스프레이 노즐 테스트 장치
CN117030160A (zh) 一种新能源电工钢退火炉气密性试验方法及施工方法
CN217708903U (zh) 视镜装置和还原炉
CN219120167U (zh) 一种管道振动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