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785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785B1
KR102403785B1 KR1020170128515A KR20170128515A KR102403785B1 KR 102403785 B1 KR102403785 B1 KR 102403785B1 KR 1020170128515 A KR1020170128515 A KR 1020170128515A KR 20170128515 A KR20170128515 A KR 20170128515A KR 102403785 B1 KR102403785 B1 KR 10240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rail
connector
refrigerator
door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8977A (en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785B1/en
Publication of KR2019003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9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수납장 도어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상기 냉장고 도어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홀더 레일; 및 상기 냉장고 도어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홀더 레일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room;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connector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to connect the refrigerator door to a cabinet door; a first holder rail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and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holder rail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and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an object such a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 storage room provided in a cabinet. Since the storage chamber is surrounded by an insulating wall,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hamber may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external temperature.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divided in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대상물을 저장실에 넣거나 저장실에서 꺼내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다.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using the door. In order to put an object into or take out the storage room, the user opens the door.

상기 냉장고는 수납장 등에 빌트인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장 내에 냉장고가 위치된 상태에서 수납장 도어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be used as a built-in storage cabinet. In this case, the cabinet door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while the refrigerator is located in the cabinet.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605호에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도어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097605, which is a prior document, discloses a door fixing device for a built-in type refrigerator.

선행문헌의 도어 고정장치의 경우, 냉장고 도어의 상측에 높이조절나사가 설치되고, 높이조절나사에 너트가 체결된다. 그리고, 가구도어의 내측면에는 고정홀이 구비된 브라켓이 고정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나사가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브라켓이 냉장고 도어의 상측플레이트에 놓이도록 한 상태에서 가구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또 하나의 너트를 높이조절나사에 체결하여 브라켓을 고정한다. In the case of the door fixing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a height adjusting screw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 nut is fastened to the height adjusting screw. A bracket having a fixing hole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urniture door. Then,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urniture door with the bracket placed on the upper plate of the refrigerator door with the height adjust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fasten another nut to the height adjusting screw to fix the bracket. .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가구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높이조절나사에 체결된 너트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 편의성 낮은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se prior documents, the height of the furniture door can be adjusted, but for this purpose, the operator has to adjust the nut fastened to the height adjusting scre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so there is a problem of low work convenience.

또한, 냉장고를 수납장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구도어를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가구도어의 전면과 수납장의 전면이 일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Also, when the refrigerator is accommodated in the cabinet and the furniture door is coupled to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o be used, the front of the furniture door and the front of the cabinet should match.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가구도어가 냉장고 도어에 대해서 상하 이동할 수 있을 뿐, 가구도어와 냉장고 도어 간의 간격이 조절되지 않는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furniture door can only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do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urniture door and the refrigerator door is not adjusted.

이 경우, 가구도어의 전면과 수납장의 전면이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냉장고 전체를 앞쪽으로 당겨야 하므로, 많은 힘이 들어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냉장고를 전방을 당기는 과정에서 냉장고가 전복될 우려가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user has to pull the entire refrigerator forward in order to match the front of the furniture door with the front of the cabinet, it takes a lot of force to work,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refrigerator may overturn while pulling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과제는, 수납장 도어를 냉장고 도어에 쉽게 체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cabinet door can be easily fastened to a refrigerator door.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수납장 도어가 냉장고 도어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에 대한 수납장 도어의 상대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door can be easily changed while the cabinet door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door.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수납장 도어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recis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abinet door.

상기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수납장 도어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장 도어의 배면에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refriger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connector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to connect the refrigerator door to the storage cabinet door, ,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door, the operator's work convenience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홀더 레일과, 상기 냉장고 도어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홀더 레일을 포함함으로써, 수납장 도어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a first holder rail for moving the connector in a first direction, is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and moves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By including the second holder rail for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제1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은 상기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제1홀더 레일이 관통하기 위한 제1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의 제2방향 폭은 상기 제1홀더 레일의 제2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각 홀더 레일이 체결 볼트와 간섭되지 않고,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lot for the fastening bolt to pass through is formed in the first holder rail, the first slot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holder rail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A first opening is formed, and a width of the first opening in a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first holder rail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each holder rail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astening bolt, and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direction can be moved.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제1홀더 레일이 관통하기 위한 제1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의 제2방향 폭은 상기 제1홀더 레일의 제2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제2홀더 레일이 관통하기 위한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의 제1방향 폭은 상기 제2홀더 레일의 제1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이동 과정에서 홀더 레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irst holder rail passes is formed in the connector, and a width of the first opening in a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first holder rail in a second direction, and the connector is formed with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passes, and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holder rail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holder rail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가 냉장고 도어의 측면에 연결되고, 커넥터의 전면에 수납장 도어가 연결되므로, 수납장 도어를 냉장고 도어에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the cabinet door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abinet door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refrigerator door.

또한, 수납장 도어가 냉장고 도어에 연결된 경우, 냉장고 도어를 열고 냉장고 도어의 측면에서 수납장 도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의 제약이 적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binet door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door, since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and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can be adjusted from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work convenience is improved because there is less restriction on the work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홀더 레일에 의해서 수납장 도어의 제1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홀더 레일에 의해서 수납장 도어의 제2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납장 도어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be adjus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holder rail,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can be adjust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second holder rail, so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can be precisely adjus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djust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수납장에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수납장 도어가 결합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제1홀더 레일 및 커넥터가 냉장고 도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제2홀더 레일 및 커넥터가 냉장고 도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스패너를 이용하여 제1홀더 레일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1홀더 레일의 제1방향에 따른 수납장 도어와 냉장고 도어 간의 간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스패너를 이용하여 제2홀더 레일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제2홀더 레일의 제2방향에 따른 제2홀더 레일의 높이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cabinet;
2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to which the cabin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rail and the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door;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3 ;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and the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door;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holder rail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using a spanner;
9 is a view showing a gap between a cabinet door and a refrigerator door in a first direction of a first holder rail;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moving a second holder rail in a second direction using a spanner;
11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height of a second holder rail along a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holder rail;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수납장에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발명의 수납장 도어가 결합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cabine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frigerator to which the cabinet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주방의 가구에 빌트인될 수 있다. 1 to 3 ,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ilt-in to kitchen furniture.

일 예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에 수납장(1)이 설치되고, 상기 수납장(1) 내에 상기 냉장고(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1)은 수납장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binet 1 may be installed in a kitchen or a specific space, and the refrigerator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 . The cabinet 1 may include a cabinet door 2 .

상기 냉장고(10)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cabinet 11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12 .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는 기계실(17)이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achine room 17 may be positioned below the cabinet 11 .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수납장(1) 내로 수용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13)는, 상기 수납장 도어(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abinet 11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 ,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be connected to the cabinet door 2 .

상기 수납장 도어(2)의 회전 시 상기 수납장 도어(2)와 연결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12)이 개방될 수 있다. When the cabinet door 2 is rotated, the refrigerator door 13 connected to the cabinet door 2 may be rotated together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12 .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상기 저장실(12)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장 도어(2)가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외측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3) 및 기계실(17)을 커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3) 및 기계실(17)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12 , the cabinet door 2 covers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machine room 17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 so that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machine room 17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수납장 도어(2)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장 도어(2) 및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어셈블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further includes a hinge assembly 20 connected to the cabinet door 2 or the refrigerator door 13 so that the cabinet door 2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can rotate together.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에는 식품과 같은 피보관물의 수납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바스켓(15)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baskets 15 for accommodating items to be stored, such as food,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수납장 도어(2)와 상기 냉장고 도어(13)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30 for connecting the cabinet door 2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납장 도어(2)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30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 and may b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door 2 .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측면에 결합되기 위한 제1브라켓(31)과, 상기 수납장 도어(2)의 배면에 결합되기 위한 제2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nector 30 may include a first bracket 31 to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a second bracket 32 to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door 2 . can

상기 제2브라켓(32)은 상기 제1브라켓(31)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second bracket 32 is formed by bending the first bracket 31 .

상기 제1브라켓(31)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브라켓(32)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수납장 도어(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31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by one or more screws, and the second bracket 32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door 2 by one or more screws.

이때, 상기 제1브라켓(31)과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제1브라켓(31)이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for stabl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racket 31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 the first bracket 31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by a plurality of screw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상기 제2브라켓(32)과 상기 수납장 도어(2)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하 방향을 배열되는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제2브라켓(32)이 상기 수납장 도어(2)에 결합될 수 있다. For stabl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bracket 32 and the cabinet door 2 , the second bracket 32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door 2 by a plurality of screw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넥터(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납장 도어(2)와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상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30 ,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2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be adjusted.

조립 과정 또는 조립 완료된 후 수납장 도어(2)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13)의 측방에 선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30)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작업 공간에 제약이 없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2 after the assembly is completed, the user only need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30 while standing on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thereby limiting the user's work space.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work convenience.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necto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제1홀더 레일 및 커넥터가 냉장고 도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rail and the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doo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홀더 레일(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 the refrigerato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older rail 40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

상기 제1홀더 레일(40)은 상기 커넥터(30)를 제1방향(냉장고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first holder rail 40 is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30 in a first direction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상기 제1홀더 레일(40)은 체결 볼트(61)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rail 40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by a fastening bolt 61 .

상기 제1홀더 레일(40)에는 상기 체결 볼트(61)가 관통하기 위한 제1슬롯(402)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13)에는 상기 체결 볼트(61)가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slot 402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61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holder rail 40 , and a first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61 is fastened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door 13 . 131 may be formed.

상기 제1홀더 레일(40)은 상기 커넥터(3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rail 40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or 30 .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30)에는 상기 제1홀더 레일(40)이 관통하기 위한 제1개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first opening 310 through which the first holder rail 4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30 .

상기 체결 볼트(61)가 상기 제1슬롯(40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체결홀(131)에 체결된 상태(체결 볼트(61)가 완전하게 체결되기 전 상태임)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은 상기 제1개구(310)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rail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olt 61 passes through the first slot 402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31 (a state before the fastening bolt 61 is completely fastened) (4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opening (310).

이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은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제1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1홀더 레일(40)과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first holder rail 40 may be 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connector 30 is moved to the first holder rail 40 by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rail 40 in the first direction. ) and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홀더 레일(40)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1슬롯(402)은 제1방향(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과 상기 체결 볼트(61)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first holder rail 40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lot 402 may be a long hol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holder rail 40 and the fastening bolt 61 can be prevented while the first holder rail 4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홀더 레일(40)이 상기 제1개구(3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이동력이 상기 커넥터(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두께는 상기 커넥터(30)의 제1브라켓(31)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The first holder rail ( The thickness of 40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racket 31 of the connector 30 .

또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이 상기 제1개구(3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이동력이 상기 커넥터(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310)의 제1방향 폭(좌우 폭)은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제1방향(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유사한 정도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rail 40 is positioned at the first opening 310 , the moving force of the first holder rail 4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30 , the first opening The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left and right width) of the 310 may be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similar to the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left and right) of the first holder rail 40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31)은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스크류(S1)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31)과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체결이 향상되도록 상기 스크류(S1)와 상기 제1브라켓(31) 사이에 와셔(34)가 개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1)가 상기 와셔(34) 및 상기 제1브라켓(31)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체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racket 31 may be fasten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by a screw S1. In a state where a washer 34 is interposed between the screw S1 and the first bracket 31 so that the fastening of the first bracket 31 and the refrigerator door 13 is improved, the screw S1 is It may be fasten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through the washer 34 and the first bracket 31 .

상기 제1브라켓(31)에는 상기 스크류(S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 개구(311)가 형성된다. A through opening 311 through which the screw S1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bracket 31 .

이때, 상기 커넥터(3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류(S1)를 살짝 푼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30 , the first holder rail 40 may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S1 is slightly loosened.

상기 스크류(S1)를 살짝 푼 상태에서도 상기 스크류(S1)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30)가 이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관통 개구(311)의 제1방향 폭은 상기 스크류(S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S1 is slightly loosened, the screw S1 remains fasten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In this state, in order for the connector 30 to move, the through opening 311 is The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crew S1.

따라서,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제1방향 이동 시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스크류(S1)의 간섭 없이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holder rail 4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nector 3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without interference of the screw S1 .

도 6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제2홀더 레일 및 커넥터가 냉장고 도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3 ,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and the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door.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0)는,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홀더 레일(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4 to 7 , the refrigerato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lder rail 50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

상기 제2홀더 레일(50)은 상기 커넥터(30)를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냉장고 도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The second holder rail 50 is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30 in a second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2홀더 레일(50)은 체결 볼트(62)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by a fastening bolt 62 .

상기 제2홀더 레일(50)에는 상기 체결 볼트(62)가 관통하기 위한 제2슬롯(502)이 형성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13)에는 상기 체결 볼트(62)가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slot 502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62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holder rail 50 , and a second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62 is fasten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 132 may be formed.

상기 제2홀더 레일(50)은 상기 커넥터(3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13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or 30 .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30)에는 상기 제2홀더 레일(50)이 관통하기 위한 제2개구(314)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second opening 314 through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5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30 .

상기 체결 볼트(62)가 상기 제2슬롯(502)을 관통하여 상기 제2체결홀(132)에 체결된 상태(체결 볼트(62)가 완전하게 체결되기 전 상태임)에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은 상기 제2개구(314)에 위치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bolt 62 passes through the second slot 502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32 (a state before the fastening bolt 62 is completely fastened),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opening (314).

이 상태에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은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제2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2홀더 레일(50)과 함께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connector 30 is moved to the second holder rail 50 by the second direction movement of the second holder rail 50 . ) and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2홀더 레일(50)이 제2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제2슬롯(502)은 제2방향(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홀더 레일(50)과 상기 체결 볼트(62)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second holder rail 50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slot 502 may be a long hol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ly,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holder rail 50 and the fastening bolt 62 can be prevented while the second holder rail 5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2홀더 레일(50)이 상기 제2개구(314)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이동력이 상기 커넥터(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두께는 상기 커넥터(30)의 제1브라켓(31)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The second holder rail ( 50 )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racket 31 of the connector 30 .

또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이 상기 제2개구(314)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이동력이 상기 커넥터(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314)의 제2방향 폭(상하 길이)는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제2방향 폭(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유사한 정도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50 is positioned in the second opening 314 , the moving force of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or 30 , the second opening The second width (up and down length) of 314 may be the same as or somewhat larger (similar to) the second direction width (up and down length) of the second holder rail 50 .

상기 커넥터(3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류(S1)와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관통 개구(311)의 제2방향 폭은 상기 스크류(S1) 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crew S1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nector 3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width of the through opening 311 in the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crew S1 .

한편, 상기 제1홀더 레일(4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30)와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간섭이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홀더 레일(50)이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30)와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간섭이 방지되어야 한다. Meanwhile,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or 30 and the second holder rail 50 should be prevented while the first holder rail 4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or 30 and the first holder rail 40 should be prevented while the second holder rail 5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개구(310)의 제2방향 폭(상하 길이)은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제2방향 폭(상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개구(310)의 제2방향 폭은 상기 제1개구(310)의 제1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width (up and down length) of the first opening 310 in the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up and down length) of the first holder rail 40 .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310 in the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310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2개구(314)의 제1방향 폭(좌우 폭)은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제1방향 폭(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개구(314)의 제1방향 폭은 상기 제2개구(314)의 제2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314 in the first direction (left and right width)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left and right width) of the second holder rail 50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314 in the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314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홀더 레일(40) 및 상기 제2홀더 레일(50)은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rail 40 and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

이 때, 상기 냉장고 도어(13)의 상하 길이(제2방향으로의 길이임)가 두께(제1방향으로의 길이임) 보다 크므로, 상기 커넥터(3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넥터(30)의 상하 전체가 제1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홀더 레일(40)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냉장고 도어(13)에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vertical length (the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13, when the connector 3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holder rails 40 may be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13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ntir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or 30 can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도 8은 스패너를 이용하여 제1홀더 레일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홀더 레일의 제1방향에 따른 수납장 도어와 냉장고 도어 간의 간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er rail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using a spanner,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gap between the cabinet door and the refrigerator door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holder rail.

도 4,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에 상기 수납장 도어(2)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장 도어(2)의 하중이 상기 제1홀더 레일(40) 및 상기 제2홀더 레일(50)로 가해지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상기 제1홀더 레일(40) 또는 상기 제2홀더 레일(50)을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다. 4 and 7 to 9 , when the cabinet door 2 is coupled to the connector 30 , the load on the cabinet door 2 is applied to the first holder rail 40 and the second Since it is applied to the holder rail 50 ,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rectly move the first holder rail 40 or the second holder rail 50 by hand.

따라서, 사용자는 스패너(80)를 이용하여 각 홀더 레일(40, 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each of the holder rails 40 and 50 using the spanner 80 .

상기 스패너(80)에는 상기 각 홀더 레일(40, 50)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패너(80)와 홀더 레일(40, 5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각 홀더 레일(40, 50)의 양단부에는 돌출 리브(404, 504)가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holder rails 40 and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anner 80,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panner 80 and the holder rails 40 and 50 is increased. Projecting ribs 404 and 504 may be formed at both ends.

도 8과 같이, 상기 수납장 도어(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상기 수납장 도어(2)와 상기 냉장고 도어(3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패너(80)에 상기 제1홀더 레일(40)을 끼울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in order to move the cabinet door 2 in the first direction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cabinet door 2 and the refrigerator door 30 ), the user pushes the One holder rail 40 can be fitted.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패너(80)를 제1방향(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30)가 제1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may move the spanner 80 in the first direction (left direction or right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onnector 3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수납장 도어(2)의 배면(2a)과 냉장고 도어(13)의 전면(13a) 간의 간격을 D1이라 한다. In the state as shown in (a) of FIG. 9 ,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surface 2a of the cabinet door 2 and the front surface 13a o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referred to as D1.

이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스패너(8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홀더 레일(4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30) 및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된 상기 수납장 도어(2)가 좌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holder rail 40 is moved to the left using the spanner 80 as shown in FIG. 9(b), the connector 30 and the cabinet door 2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 ) moves to the left.

그러면, 수납장 도어(2)의 배면(2a)과 냉장고 도어(13)의 전면(13a) 간의 간격은 D1 보다 큰 D2가 된다. T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2a of the cabinet door 2 and the front surface 13a of the refrigerator door 13 becomes D2 greater than D1.

한편,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패너(8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홀더 레일(4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30) 및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된 상기 수납장 도어(2)가 우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holder rail 40 is moved to the right using the spanner 80 in the state as shown in (a) of FIG. 9 , the connector 30 and the cabinet do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 ( 2) moves to the right together.

그러면, 수납장 도어(2)의 배면(2a)과 냉장고 도어(13)의 전면(13a) 간의 간격은 D1 보다 작은 D3가 된다. T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2a of the cabinet door 2 and the front surface 13a of the refrigerator door 13 becomes D3 which is smaller than D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개구(314)의 제1방향 폭이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제1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커넥터(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30)와 상기 제2홀더 레일(50)의 간섭은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314 in the firs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holder rail 50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nector 3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or 30 and the second holder rail 50 may be prevented.

도 10은 스패너를 이용하여 제2홀더 레일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2홀더 레일의 제2방향에 따른 제2홀더 레일의 높이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using a spanner,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second holder rail along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holder rail.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장 도어(2)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상기 수납장 도어(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패너(80)에 상기 제2홀더 레일(50)을 끼울 수 있다. 10 and 11 , in order to move the cabinet door 2 in the second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abinet door 2 ), the user attaches the second holder rail to the spanner 80 . (50) can be inserted.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패너(80)를 제2방향(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30)가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may move the spanner 80 in the second direction (upper direction or lowe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onnector 30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의 (b)와 같이 상기 스패너(80)를 이용하여 상기 제2홀더 레일(5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30) 및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된 상기 수납장 도어(2)가 좌측으로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수납장 도어(2)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When the second holder rail 50 is moved upward using the spanner 80 as shown in FIG. 11(b)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The cabinet door (2) connected to the cabinet is moved upward together to the left, so that the height of the cabinet door (2) is increased.

반면,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의 (c)와 같이 상기 스패너(80)를 이용하여 상기 제2홀더 레일(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30) 및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된 상기 수납장 도어(2)가 하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어 상기 수납장 도어(2)의 높이가 감소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holder rail 50 is moved downward using the spanner 80 as shown in FIG. 11(c) in the state as shown in (a) of FIG. 30), the cabinet door 2 is moved downward together, so that the height of the cabinet door 2 is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구(310)의 제2방향 폭이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제2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커넥터(3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30)와 상기 제1홀더 레일(40)의 간섭은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310 in the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holder rail 4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onnector 3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or 30 and the first holder rail 40 may be prevented.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장 도어가 냉장고 도어에 연결된 경우, 냉장고 도어를 열고 냉장고 도어의 측면에서 수납장 도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의 제약이 적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binet door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door, the refrigerator door can be opened and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can be adjusted from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 space is less limited and the user's work convenience is improved.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홀더 레일에 의해서 수납장 도어의 제1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홀더 레일에 의해서 수납장 도어의 제2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납장 도어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be adjus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holder rail,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can be adjust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second holder rail, so the position of the cabinet door can be precisely adjus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djustable.

10: 냉장고 11: 캐비닛
13: 냉장고 도어 30: 커넥터
40: 제1홀더 레일 50: 제2홀더 레일
10: Refrigerator 11: Cabinet
13: refrigerator door 30: connector
40: first holder rail 50: second holder rail

Claims (10)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수납장 도어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상기 냉장고 도어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홀더 레일; 및
상기 냉장고 도어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홀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 레일 및 상기 제2홀더 레일 각각은 상기 커넥터를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 볼트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는 냉장고.
cabinets forming a storage room;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connector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to connect the refrigerator door to a cabinet door;
a first holder rail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and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holder rail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and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Each of the first holder rail and the second holder rail is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by a fastening bolt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서 절곡되며 상기 수납장 도어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may include a first bracket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 second bracket bent from the first bracket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do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 레일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제1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은 상기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is formed in the first holder rail;
The first slot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제1홀더 레일이 관통하기 위한 제1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의 제2방향 폭은 상기 제1홀더 레일의 제2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opening is formed in the connector through which the first holder rail passes;
A width of the first opening in a second direction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first holder rail in a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 레일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제2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롯은 상기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holder rail;
The second slot is elongat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제2홀더 레일이 관통하기 위한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의 제1방향 폭은 상기 제2홀더 레일의 제1방향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opening is formed in the connector through which the second holder rail passes;
A width of the second opening in a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holder rail in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 레일의 두께는 상기 커넥터의 두께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each holder rail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 레일의 양단부에는 돌출 리브가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protruding rib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holder rai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상기 냉장고 도어에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스크류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 개구의 제1방향 폭 및 상기 제2방향 폭은 상기 스크류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crew for fastening the connector to the refrigerator door,
The connector is formed with a through opening through which the screw passes;
The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hrough opening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screw.
KR1020170128515A 2017-10-02 2017-10-02 Refrigerator KR102403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15A KR102403785B1 (en) 2017-10-02 2017-10-0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15A KR102403785B1 (en) 2017-10-02 2017-10-0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977A KR20190038977A (en) 2019-04-10
KR102403785B1 true KR102403785B1 (en) 2022-05-30

Family

ID=6616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515A KR102403785B1 (en) 2017-10-02 2017-10-02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78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25B1 (en) * 2003-03-19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assembly of built-in type storage
KR101478359B1 (en) * 2008-06-25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in type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27B1 (en) * 2003-03-19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assembly of built-in storage
KR100512728B1 (en) * 2003-03-2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assembly of built-in storage
KR100512734B1 (en) * 2003-05-1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Built-in sto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25B1 (en) * 2003-03-19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assembly of built-in type storage
KR101478359B1 (en) * 2008-06-25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in type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977A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370B2 (en) Refrigerator
EP2225510B1 (en) Refrigerator
US8840205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US20090179539A1 (en) Refrigerator door stop
KR100735100B1 (en) refrigerator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US10295246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door of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and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EP2175218B1 (en) Refrigerator
US20130291853A1 (en) Home appliance with adjustable hinges
US11795745B2 (en) Furniture hinge
RU2429432C2 (en) Method to fix furniture and instruments with risk of tripping
US20110163643A1 (en) Domestic appliance with a door-weight compensating device
KR20160143695A (en) An item of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and fitting unit for an item of furniture or a household appliance
KR101730775B1 (en) Door height adjuster for slide door
EP3722713B1 (en) Refrigerator
KR102403785B1 (en) Refrigerator
US8616664B2 (en) Inset undermounted bracket for drawer and tray slides in cabinetry
KR102422099B1 (en) Refrigerator
EP2108729A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eaturing a device for fixing an outer panel to the appliance casing
KR200429027Y1 (en) guide rail mounting structure for furniture receipt tray
US20200378613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lowerable door, which has a specific retaining spring for a bearing bush
JP2004154223A (en) Attaching structure of slide rail
KR101585495B1 (en) Built-in wardrobe with fixed type drawer
KR102338782B1 (en) Refrigerator
KR2021008163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