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079B1 -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079B1
KR102403079B1 KR1020190176870A KR20190176870A KR102403079B1 KR 102403079 B1 KR102403079 B1 KR 102403079B1 KR 1020190176870 A KR1020190176870 A KR 1020190176870A KR 20190176870 A KR20190176870 A KR 20190176870A KR 102403079 B1 KR102403079 B1 KR 10240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map model
information
m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4004A (en
Inventor
양현정
Original Assignee
양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정 filed Critical 양현정
Priority to KR102019017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79B1/en
Publication of KR2021008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0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6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7Sensors changing capacitance upon adsorption or absorption of fluid components, e.g.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sensors, MOS capac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장치 본체의 상부에 천연 이끼를 사용하여 설치된 지도모형을 구비하는 지도모형 장치와, 지도모형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깃대의 상부에 기가 설치되는 깃발과, 지도모형에 장착되는 깃발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와, 지도모형에서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이 개시된다.A map model device having a map mode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body using natural moss, a flag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p model and the flag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lagpo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ag mounted on the map model is obtained A map information comprising: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selects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 output unit that outputs related information on a point where a flag is mounted in the map model;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and provides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A provision system is disclosed.

Description

지도정보 제공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적인 소재로 제작되어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de of an eco-friendly material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selected area on a map.

일반적으로 관광지나 박물관 등에는 주변 지형을 안내하기 위한 지도가 전시되어 제공된다.In general, a map for guiding the surrounding terrain is displayed and provided at tourist sites or museums.

제공되는 지도는 단순히 패널이나 종이에 인쇄되어 제공됨으로써, 단순한 지리정보나 관광 정보, 역사적 지역, 건물 등의 정보를 일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the provided map is simply printed on a panel or paper and provided, it is common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simple geographic information, tourist information, historical areas, and buildings in one direction.

또한, 교육 효과를 높이고 호기심을 일으키기 위해서, 입체적인 지도모형을 제작하고, 해당 지도모형의 특정 위치에 조명을 설치하고, 조명에 대응되는 스위치 버튼을 설치한 시설이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 스위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서 조명이 점등하도록 하여 특정 지리적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and arouse curiosity, facilities are provided in which a three-dimensional map model is produced, a light is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model, and a switch butt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switch button is operated As a result, the lighting is turned on to provide only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geographic loca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입체적인 지도모형의 경우에도, 단순히 지리적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불과하여 관람자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three-dimensional map mode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required by a viewer or a user because it merely provide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물론,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음성을 통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미리 녹화된 해설이나 영상을 출력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불가하여, 관람인 개별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Of course, in consideration of this,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voice or by outputting a pre-recorded commentary or video through a separate display screen. There was a limit to what was provid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705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705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도상의 지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pable of stimulating curiosity as well as individuall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on a point on a map desired by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은, 장치 본체의 상부에 천연 이끼를 사용하여 설치된 지도모형을 구비하는 지도모형 장치; 상기 지도모형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깃대의 상부에 기가 설치되는 깃발; 상기 지도모형에 장착되는 깃발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지도모형에서 상기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ap model device having a map model installed using natural moss on an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a flag detachably mounted on the map model and having a fla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lagpole;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flag mounted on the map mode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oint on which the flag is mounted in the map model;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and provides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이로써, 천연이끼를 활용한 지도모형과 깃발에 마련된 QR코드를 이용하여 지도정보를 제공하여 학습과 체험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help learning and experience by providing map information using the map model using natural moss and the QR code provided on the flag.

여기서, 상기 깃발에는 장착된 지도모형 상의 지역에 매칭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QR코드가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QR코드를 촬영하면,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매칭되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lag is provided with a QR code for providing information matching an area on a mounted map model, and when the QR code is photographed with a user terminal, information matching the flag mounted point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ceive

이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QR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지도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map information can be easily checked by scanning the QR code using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깃발이 설치된 좌표값을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e device body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p model, the sens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flag is mounted;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oordinate value at which the flag is installed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이로써, 지도모형 상에서 깃발이 놓인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where the flag is placed on the map model.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X, Y축 각각에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된 다수의 상부 및 하부전극 사이에서 상기 깃발의 무게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sense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weight of the flag betwee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on each of the X and Y axes at the bottom of the map model.

이로써, 깃발이 설치된 위치에서의 전극들 사이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깃발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Thereby, the flag position can be easily detected by us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s at the flag-installed position.

또한, 상기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도모형의 물을 공급한 위치를 감지하는 습도변화 감지부; 및 상기 습도변화 감지부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지도모형에서 물이 공급된 좌표값을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e device body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p model, the humidity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water supply of the map model;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to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map model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이로써, 지도모형의 특정 위치에 공급된 수분을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된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model.

또한, 상기 습도변화 감지부는,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서 X, Y축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는 상부 전극 및 하부전극;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전극 사이에 설치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 감습층; 상기 하부전극의 하부에 설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분 감습층의 수분 변화에 따른 정전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전극과 지도모형의 사이에는 다공성 패드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disposed in an X and Y-axis matrix structure under the map model; a moisture-sensitive lay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to absorb moisture;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under the lower electrode; and a sensing substrate install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to sense a change in electrostatic force according to a change in moisture in the moisture-sensitive layer, wherein a porous pad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map model.

이로써, 습도변화를 감지하여 깃발의 설치 위치나 선택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selection position of the flag by detecting the change in humidity.

또한, 상기 깃발은, 파이프형의 깃대; 상기 깃대의 상부에 연결되는 기; 상기 깃대의 내부에 개재되어 물을 흡수하는 물 흡수재; 및 상기 깃대의 하단에 내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며, 상기 깃대 내부의 물을 토출하며, 상기 다공성 패드의 통공에 결합되는 토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lag, a pipe-shaped flagpole; a flag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agpole; a water absorbing material interposed inside the flagpole to absorb water; and a discharge coupling part formed by reducing an inner diameter at the lower end of the flagpole,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flagpole,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orous pad.

이로써, 깃발에 흡수된 물을 감지하여 깃발의 설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lag by detecting the water absorbed by the flag.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깃발에 설치되는 식별부의 식별코드를 근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X, Y축 각각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는 식별정보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er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on each of the X and Y axes at the bottom of the map model so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flag can be recognized at a short distance.

이로써, 깃발에 설치되는 식별부를 감지하여 선택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election position by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flag.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 천연이끼를 이용하여 지도모형을 제작하고, 해당 지도모형에 깃발을 장착하여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위치의 정보를 사용자별로 QR코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a map model using eco-friendly natural moss and selecting a location by mounting a flag on the map model, information on the location can be provided to each user through a QR code.

이로써, 호기심을 자극하고, 직접 체험을 통해서 지리적 정보와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어 교육 효과를 높이고, 체험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timulate curiosity and acquir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thereby increasing the educational effect and inducing experiential activities.

또한, 천연이끼에 물을 공급하는 체험을 통해서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점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 point through the experience of supplying water to natural mos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by detecting the selected point.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도모형 장치, 정보 제공서버 및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깃발을 이용하여 선택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깃발을 물통에 담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each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p model apparatus,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the terminal of FIG. 2 .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for explaining the sensing unit of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acquiring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fl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lag shown in FIG. 7 is dipped in a buck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은 지도모형 장치(100), 깃발(200),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 출력부(400) 및 정보제공 서버(500)를 구비한다.1 to 4 ,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p model device 100 , a flag 200 ,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0 , an output unit 400 , and information provision A server 500 is provided.

상기 지도모형 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상기 장치 본체(110) 상에 설치되는 지도모형(120)을 구비한다. 장치 본체(110)는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판 구조 또는 캐비닛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본체(110) 상에 지도모형(120)이 설치된다. 지도모형(120)은 특정 지역의 지도모형, 국가의 지도모형이거나, 세계지도 모형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도모형(120)은 단순히 평면 구조가 아니라,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소재 중에서도 천연 이끼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천연이끼의 종류는 다양하므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유해물질(미세먼지 등)을 정화하고, 습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칸디아모스가 작용될 수도 있다.The map model device 100 includes a device body 110 and a map model 120 installed on the device body 110 . The device body 110 may have a plate structure or a cabinet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map model 120 is installed on the device body 110 . The map model 120 may be a map model of a specific region, a map model of a country, or a world map model. Such a map model 120 is not simply a flat structure, but preferably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may preferably be made of an eco-friendly material. Among the eco-friendly materials, it is preferable to use natural moss. Since these types of natural moss are diverse, they can be selectively used. For example, scandia moss having a function of purifying harmful substances (fine dust, etc.) in the air and controlling moisture may be used.

상기 장치 본체(110)의 지도모형(120)이 설치된 부분에는 상기 깃발(200)을 장착할 수 있는 깃발 장착부(130)가 미리 설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깃발 장착부(130)는 깃발(200)을 장치 베이스(110) 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도모형(120) 일부분을 제거하여 공간을 확보하여 마련할 수도 있고, 추가로 공간이 마련된 부분의 바닥에 별도의 장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깃발(200)을 깃발 장착부(130)에 단순히 올려놓아서 세우거나, 깃발(200)을 장착홈 등에 끼워서 장착할 수도 있다.A flag mounting unit 130 capable of mounting the flag 200 may be preset and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device body 110 where the map model 120 is installed. The flag mounting unit 130 may be provid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map model 120 to secure a space so that the flag 200 can be placed on the device base 110, 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space provided. A separat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Therefore, the flag 200 may be simply placed on the flag mounting unit 130 to stand up, or the flag 200 may be mounted by inserting it into a mounting groove or the like.

또한,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깃발 장착부(130)는 장치 본체(110)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깃대(200)의 받침대(230) 하단에도 자석이 구비되거나, 금속 재질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장치 본체(110)의 특정 부분에 깃발(200)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g mounting unit 130 installed on the device body 110 may include a magnet for providing a magnetic force to the device body 110 . In this case, a magne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230 of the flagpole 200 or a metal material may be combined. In addition, various configurations for mounting the flag 200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device body 110 may be applied.

또한, 장치 본체(110)에는 장치 제어부(140)와, 통신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140)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에서 획득된 깃발(200)이 놓인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위치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정보제공 서버(5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devic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device control unit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 The device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flag 200 obtained by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00 is placed or th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using other means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control to transmit.

또한, 장치 제어부(140)는 상기 출력부(400)를 통해서는 선택된 위치(지역)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150)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와 스피커(153)를 포함하고, 미도시된 다수의 LED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 unit 140 controls to output and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location (region) through the output unit 400 . The output unit 150 may be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110 ,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d a speaker 153 ,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not shown.

상기 깃발(200)은 깃대(210)와 깃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기(220)를 구비한다. 깃대(210)는 소정 길이의 막대나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상기 기(220)에는 제공되는 지도모형(120)의 특정 지역(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QR코드가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깃발(200) 중에서 일부의 기(220)에는 지도모형(120)에 해당되는 지역(국가, 도시, 지역명 등)에 대한 명칭이 인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깃대(210)는 긴 막대 모양을 가질 수도 있으나, 하단에 받침대(2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받침대(230)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의 센싱 방법에 따라서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자석이 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The flag 200 includes a flag pole 210 and a flag 2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lag pole 210 . The flagpole 210 has a rod or pipe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 QR cod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area (location) of the provided map model 120 may be printed and provided on the device 220 . In addition, names for regions (country, city, region names, etc.) corresponding to the map model 120 may be printed and provided on some of the flags 220 among the plurality of flags 200 . The flagpole 210 may have a long bar shape, but a pedestal 2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The pedestal 2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non-metal material according to the sensing method of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0 , or may be installed with a magnet attached thereto.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30) 또는 깃대(210)에는 장치 베이스(110)에 장착시 기(220)에 표시된 지역에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별부(240)는 NFC소자, 근거리 RF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깃발(200)에 구비된 식별부(240)에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상기 식별부(240)를 인식하기 위해 장치 베이스(110)에 구비된 리더기(310')에 의해 깃발(2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좌표 산출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310')는 장치 베이스(110)에 매트릭스 구조의 X, Y 좌표의 교차점마다 구비되어 근거리에 장착되는 깃발(200)을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pedestal 230 or the flagpole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unit 240 that can confirm whether it is mounted in the area marked on the flag 220 when it is mounted on the device base 110 . can The identification unit 240 may include an NFC device, short-range RFID, and the lik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unit 240 provided in each flag 200 , so that the flag 200 is recognized by the reader 310 ′ provided in the device base 110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unit 240 . ) may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ordinate calculator 320 . The reader 310' is provided at each intersection of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matrix structure on the device base 110 to recognize the flag 200 mounted in a short distance to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는 깃발(200)이 놓인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는 깃발(200)을 감지하는 센싱부(310)와 센싱부(310)의 신호를 획득하여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320)를 구비한다.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00 is for detecting a location where the flag 200 is placed.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00 includes a sensing unit 310 for detecting the flag 200 and a coordinate calculating unit 320 for calculating coordinates by obtaining a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310 .

상기 센싱부(310)의 일예로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베이스(110)의 상부 및 하부 절연기판(111,113) 사이에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각각 전원이 공급되는 제1 및 제2전극(311,313)과, 제1 및 제2전극(311,313)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층(215)과, 제1 및 제2전극(311,313) 각각에서의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신호검출부(317,319)를 구비한다.As an example of the sensing unit 310,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re dispos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substrates 111 and 113 of the device base 110, respectively, to which power is supplied. The second electrodes 311 and 313, the insulating layer 215 that insulat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and 313, and first and second signals for sensing respons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and 313, respectively Detection units 317 and 319 are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깃발(200)을 장치 베이스(110)의 상부 절연기판(111) 상에 올려놓으면, 깃발(200)의 무게에 의한 접촉압력이 작용하는 제1 및 제2전극(311,313)의 교차점에서의 상호 작용하는 정전용량에 변화를 주게 된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제1 및 제2신호검출부(317,319)에서 감지하여 좌표 산출부(3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좌표 산출부(320)에서는 X축 및 Y 좌표값을 산출하여 깃발(200)이 놓인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장치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전극(311,313)은 X, Y 직교 좌표계에 대응되는 매트릭스 배열로 서로 절연상태로 설치되며, 각각의 일단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는 교차점에서의 상호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감지노드(317a,319a)가 연결되다. 각 감지노드(317a,319a)의 신호를 제1 및 제2신호검출부(317,319)에서 획득하여 좌표 산출부(320)로 전달함으로써 좌표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깃발(200)의 접촉무게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고, 깃발(200)의 받침대(230)에 정전용량에 영향을 주는 금속 재질이나 마그네트를 결합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flag 200 is placed on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of the device base 110,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and 313 to which the contact pressure by the weight of the flag 200 acts. This will change the interacting capacitance at the junction. The change in capacitance i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signal detecting units 317 and 319 and transmitted to the coordinate calculating unit 320 . Then, the coordinate calculator 320 calculates X-axis and Y-coordinate values,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flag 200 is placed,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controller 140 .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and 313 are installed in an insulated state from each other in a matrix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X, Y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power is supplied to each end, and mutual capacitance at the intersection point is sensed at the other end. The sensing nodes 317a and 319a are connected. Coordinate values can be obtained by acquiring the signals of the respective sensing nodes 317a and 319a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detecting units 317 and 319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coordinate calculating unit 320 . At this time,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contact weight of the flag 200 may be detected, or a metal material or magnet affecting the capacitance may be combined with the pedestal 230 of the flag 200 .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치 본체(110)에는 획득된 선택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위치값 보정부(160)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즉, 위치값 보정부(160)는 제1 및 제2전극(311,313)의 교차 좌표 위치에서의 정전용량의 초기값을 획득하고, 그 초기값을 기준으로 획득된 선택 위치정보 획득값을 보정함으로써 깃발(200)이 놓인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devic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value correction unit 160 for correcting the acquired selected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the position value correcting unit 160 obtains an initial value of the capacitance at the cross coordinat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11 and 313, and corrects the obtained selected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value based on the initial valu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position where the flag 200 is placed.

상기 출력부(400)는 깃발(200)이 놓인 위치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지역)에 대한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410)를 통해 제공하거나, 스피커(420)를 통해 음성메시지로 제공한다. 또한, 출력부는 미도시된 LED를 구비하여 점등 신호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출력부(400)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400 provides related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flag 200 is placed, that is, the location (reg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410 or as a voice message through the speaker 420 . In addition,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n LED (not shown) to output a signal as a lighting signal. The output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110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상기 정보 제공서버(500)는 통신망을 통해서 지도모형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600)와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는다. 이러한 정보 제공서버(500)는 앱서버(510)와, 정보 추출부(520), 지도정보 DB(530) 및 퀴즈정보 DB(540)를 구비한다. 앱서버(510)는 사용자 단말기(600)로 지도모형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600)로 정보 제공서버(500)의 앱서버(510)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앱서버(510)와의 접속은 지도모형 장치(100)나 안내자료 등을 통해 제공되는 QR코드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communicates with the map model apparatus 100 and the user terminal 6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includes an app server 510 ,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520 , a map information DB 530 , and a quiz information DB 540 . The app server 510 provides an application for using the service provided by the map model device 100 to the user terminal 600 by using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access the app server 51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with the user terminal 600 to download and use the application. Connection with the app server 510 may be accessed through a QR code provided through the map model device 100 or guide materials.

상기 정보 추출부(520)는 사용자 단말기(600)에서 깃발(200)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할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정보 DB(53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6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600 scans the QR code printed on the flag 200 ,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520 extract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area from the map information DB 53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600 .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400 .

상기 지도정보 DB(530)에는 제공되는 지도모형(120)의 지역(국가, 도시 등)에 대한 각종 관련 정보(국가명, 수도, 인구, 종교, 유적지, 관광명소, 주요 동물 및 식물정보 등)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In the map information DB 530, various related information (country name, capital, population, religion, historic sites, tourist attractions, main animal and plant information, etc.) about the region (country, city, etc.) of the map model 120 provided Matched and saved.

상기 퀴즈정보 DB(540)는 사용자에게 지도모형(120)의 지도상에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깃발(200)을 놓거나, 별도의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하도록 하는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퀴즈정보 DB(540)에는 깃발(200)이 놓인 위치에 대한 다양한 퀴즈 문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퀴즈정보 DB(540)에서 제공되는 퀴즈와 답은 출력부(400)를 통해서 제공되거나, 사용자 단말기(60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The quiz information DB 540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a specific location on the map of the map model 120 to set the flag 200 or to select a specific point using a separate selection means. can In addition, the quiz information DB 540 may store and provide data on various quiz questions about the position where the flag 200 is placed. The quiz and answer provided from the quiz information DB 54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output unit 400 or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600 .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에는 QR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610)와, 촬영된 QR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QR코드 처리부(620)와,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실행하기 위한 앱 저장부(630)와, 실행된 애플리케이션(630)을 표시하고 정보 제공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640)를 구비한다. 출력부(640)는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정보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Here, the user terminal 600 includes a camera 610 for photographing a QR code, a QR code processing unit 620 for processing the photographed QR code, and an app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executing the downloaded application ( 630 , and an output unit 640 for displaying the executed application 630 and outputt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 The output unit 6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speaker. 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하면, 지도모형(120)의 특정 지점에 깃발(200)을 놓게 되면, 깃발(200)이 놓인 부분에 대한 정보를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에서 획득하고, 해당 깃발(200)이 매칭되는 지점에 놓였는지를 장치 제어부(140)에서 확인한다. 깃발(200)이 매칭된 위치에 놓이면 정상적으로 놓인 신호를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매칭된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경우에도 출력부(4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flag 200 is placed on a specific point of the map model 120, information on the portion on which the flag 200 is placed is selected and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It is acquired by the unit 300 and the device control unit 140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flag 200 is placed at a matching point. When the flag 200 is placed at the matched position, a normally placed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400 , and an alarm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400 even if the flag 200 is not placed at the matched position.

또한, 특정 위치에 놓인 깃발(200)의 기에 인쇄된 QR코드를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스캔하면, 스캔 된 QR코드에 매칭되는 지도정보가 정보 제공서버(5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500)로 제공되거나, 출력부(400)로 출력되도록 제공된다.In addition, when the QR code printed on the flag of the flag 200 placed at a specific location is scan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600, map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QR code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to the user terminal 500. provided or provided to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400 .

이때,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지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지도모형에서 표시된 깃발 중에서 특정 깃발을 선택함으로써, QR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을 대신할 수도 있다.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비어 있는 지도모형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깃발(200)이 놓이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map information through the downloaded application, and by selecting a specific flag from among the flags displayed in the map model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process of scanning the QR code may be substituted. Of course, the flag 200 may be placed by select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empty map model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다만 사용자가 어린 학생인 경우에, 교육과 체험활동의 목적을 위해서 지도모형(120)에 직접 깃발(200)을 놓아서 시각 및 촉각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기(600) 또는 출력부(400)를 통해서 지도모형(120)의 특정 지점에 대한 퀴즈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출력부(400)의 디스플레이부(410) 또는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서 퀴즈를 풀 수 있다. However, when the user is a young student,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flag 200 directly on the map model 120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experiential activities so that a visual and tactile learning effect can be expect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provides a quiz on a specific point of the map model 120 through the user terminal 600 or the output unit 400, and the user provides the display unit 410 of the output unit 400 Alternatively, the quiz may be sol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600 .

또한, 퀴즈 문제에 대한 답으로서 깃발(200)을 지도모형(120)의 특정 지점에 놓고, 놓인 위치를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정보제공 서버(500)로 전달함으로써, 정답인지 오답인지 여부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answer to the quiz question, the flag 200 is plac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map model 120 , the placed location is checked by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0 , and the checked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500 . By delivering,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on whether an answer is correct or incorrect.

이처럼 깃발(200)을 직접적으로 지도모형(120)에 설치하는 체험을 통해서 지도의 여러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퀴즈를 풀 수 있게 됨으로써, 어린이에게 호기심을 자극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습도 조절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천연 이끼 식물을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교육 및 체험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rough the experience of directly installing the flag 200 on the map model 120, information on various regions of the map can be obtained and quizzes can be solved, thereby stimulating curiosity in children and increasing the educational effect, In particular, by applying a natural moss plant having a humidity control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education and experience environment.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300')의 다른 예로서, 장치 본체(110)에 매트릭스 배열의 교차점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센싱부(310')와, 상기 센싱부(310')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좌표값을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10')는 깃발(200)'의 받침대(230)에 설치되는 식별부 즉, NFC 칩, RFID 등의 정보를 근거리에서 획득할 수 있는 식별정보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다수의 식별정보 리더기에서 획득된 정보는 좌표 산출부(320)로 전달됨으로써, 깃발(200)')인 놓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해진 깃발(200')이 해당 위치에 놓였는지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as another example of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00 ′,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310 ′ installed at each intersection of the matrix arrangement in the device body 110 , and the sensing units A coordinate calculator 320 for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in 310' may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unit 310 ′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er installed on the pedestal 230 of the flag 200 ′, that i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er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such as an NFC chip or RFID at a short distance. As such,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ers is transmitted to the coordinate calculator 320, so that it is possible to not only check the location where the flag 200') is placed, but also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rmined flag 200' is plac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can be checked accurately.

물론, 다수의 깃발(200,200') 중에서 지도상에 미리 지정된 위치에 매칭된 것도 있고, 놓일 자리가 미지정된 것도 있다. 따라서, 단순 지도상에서 특정 지역의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 또는 퀴즈 문제를 풀고자 할 경우 등에 따라서 다양한 깃발(200.200')을 사용할 수 있다.Of course, some of the plurality of flags 200 and 200 ′ match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map, and some have unspecified places to place them. Accordingly, various flags 200.200'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case of obtain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region on the simple map or solving a quiz problem.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700)는 깃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천연이끼로 마련된 지도모형(120)의 특정 위치에 별도의 물 공급수단(분무기, 물총 등)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여 지역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물을 공급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어린이에게 교육과 체험의 목적을 위해서 지도모형(120)을 이루는 천연이끼에 물을 주도록 하되, 특정 지점에 물을 주게 되면, 물을 준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700)는 장치 본체(110)의 지도모형(120) 하부에 설치되는 습도변화를 감지하여 물을 공급한 위치를 센싱하는 습도변화 감지부(710)와, 습도변환 감지부(710)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습도 변화된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720)를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tect the location of the flag, but allows the user to specify the map model 120 provided with natural moss. When an area is selected by supplying water to a location using a separate water supply means (sprayer, water gun, etc.), information on the point of supplying water can be obtained. In other word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experience for children, the natural moss constituting the map model 120 is watered, but when water is given to a specific poi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watered area is obtained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area is obtain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700 includes a humidity change detection unit 710 that senses a location to which water is supplied by detecting a change in humidit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p model 120 of the device body 110, and a humidity change detection It includes a coordinate calculator 720 that calculates the humidity-changed coordinates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unit 710 .

여기서 상기 습도변화 감지부(710)는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되는 상부전극(711)과 하부전극(712), 상부 및 하부전극(711,712)의 사이에 적층되는 수분 감습층(713)과, 하부전극(712)의 하부에 적층되는 절연층(714)과, 절연층(7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전극(711,712) 사이의 수분량에 따른 정전력의 유기량을 센싱하는 센서기판(715)을 구비한다.Here, the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710 includes an upper electrode 711 and a lower electrode 712 arranged in a matrix arrangement, a moisture-sensitive layer 713 stack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711 and 712, and a lower electrode ( An insulating layer 714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712), and a sensor substrate 715 install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714 to sense the induced amount of electrostatic for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711 and 712. be prepared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장치 본체(110)의 지도모형(120)의 하부에는 수분을 통과시킬 수 있는 다공성 패드(115)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기판(715)의 하부에는 지지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패드(115)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다공성 패드(115)에 놓인 천연이끼가 수분을 공급받아서 식생 할 수 있고, 공급되는 수분의 일부를 통공을 통해서 하부로 흘려보낼 수도 있다.Here, preferably, a porous pad 115 that allows moisture to pass therethrough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p model 120 of the device body 110, and a support panel 117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or substrate 715. can The porous pad 115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Accordingly, the natural moss placed on the porous pad 115 may be vegetated by receiving moisture, and some of the supplied moisture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hole.

상기 구성의 습도변화 감지부(710)는 특정 위치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 해당 위치의 수분 감습층(713)의 수분량이 변화되고, 그 수분량이 변화된 부분의 정전력이 유기됨으로써, 변화된 정전력을 센서기판(715)에서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센서기판(715)은 절연층(7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 감습층(713)의 수분 변화량에 따른 정전력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좌표 산출부(720)로 제공된다.When moisture is supplied to a specific position, the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710 of the above configuration change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oisture-sensitive layer 713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electrostatic force of the part where the moisture content is changed is induced, thereby detecting the changed electrostatic force. It is possible to sense the sensor substrate 715 . As such, the sensor substrate 715 is install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714 to sense a change in electrostatic for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in the moisture-sensitive layer 713 , and the sens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ordinate calculator 720 .

좌표 산출부(720)에서는 정전력이 변화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물이 공급된 지점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calculator 720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ostatic force is changed.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을 갖는 위치정보 획득부(700)는 상기 다공성 패드(115)에 설치되는 깃발(200")을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감지하여 선택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깃발(200")은 기(220)가 상부에 연결된 깃대(210')가 상하고 관통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 흡수재(260)가 내재 될 수 있다. 그리고 깃대(210')의 하단에는 물이 흘러나오도록 중공 형상을 가지고, 다공성 패드(115)의 통공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외경이 감소된 토출 결합부(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깃발(200")은 지도모형 장치(100)의 주변에 별도로 마련된 물통(10)에 넣어서 보관됨으로써, 깃대(210') 내부의 물 흡수재(260)에는 물이 흡수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물통(10)의 깃대(210')를 빼내서 모형 지도(120)의 원하는 위치에 도 7과 같이 세워서 장착할 수 있다. 그러면, 토출 결합부(250)를 통해서 수분이 흘러나와 수분 감습부(713)로 흡수됨으로써, 센서기판(714)에서는 수분의 변화에 따른 정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깃발(200")의 장착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 결합부(250)의 길이는 다공성 패드(115)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700 ha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moisture supplied through the flag 200 ″ installed on the porous pad 115 and selects a location At this time, the flag 200" has a pipe shape with the flagpole 21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ag 220 broken and penetrated, and a water absorbent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water therein ( 260) can be implied. In addition, a discharge coupling part 250 having a hollow shape so that water flows out and having a reduced outer diameter so that it can be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porous pad 115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gpole 210 ′. The flag 200" is stored in a water container 10 provided separately around the map model device 100, so that water is absorbed in the water absorbent 260 inside the flagpole 210'. Therefore, The flagpole 210' of the bucket 10 can be removed and installed in a desired position on the model map 120 as shown in Fig. 7. Then, water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coupling part 250 and the moisture reduction part 713 ), the sensor substrate 714 detects a change in electrostatic force according to a change in moisture to detect a mounting position of the flag 200 ″.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discharge coupling part 2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orous pad 115 .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지도모형 장치 110..장치 본체
111,113..절연기판 115..다공성 패드
117..지지패널 120..지도모형
140..장치 제어부 150..통신부
160..위치값 보정부 200,200',200"..깃발
210,210'..깃대 220..기
230..받침대 240..식별부
250..토출 결합부 260..물 흡수재
300,300',700..선택 위치정보 획득부 310,310'..센싱부
320..좌표 산출부 400..출력부
410..디스플레이부 420..스피커
500..정보제공 서버 510..앱서버
520..정보추출부 530..지도정보 DB
540..퀴즈정보 DB 600..단말기
610..카메라 620..QR코드 처리부
630..앱저장부 640..출력부
710..습도변화 감지부
100..Map model device 110..Device body
111,113..Insulated substrate 115..Porous pad
117..Support panel 120..Map model
140..device control 150..communications
160..Position value correction unit 200,200',200"..flag
210,210'.. flagpole 220.. flag
230.. pedestal 240.. identification part
250..Discharge coupling part 260..Water absorber
300,300',700..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10,310'..Sensing unit
320..Coordinate calculation unit 400..Output unit
410..Display unit 420..Speaker
500..Information server 510..App server
520..Information extraction unit 530..Map information DB
540..Quiz information DB 600..Terminal
610..Camera 620..QR code processing unit
630..App storage unit 640..Output unit
710.. Humidity change detection unit

Claims (8)

장치 본체의 상부에 천연 이끼를 사용하여 설치된 지도모형을 구비하는 지도모형 장치;
상기 지도모형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깃대의 상부에 기가 설치되는 깃발;
상기 지도모형에 장착되는 깃발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지도모형에서 상기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깃발이 설치된 좌표값을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X, Y축 각각에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된 다수의 상부 및 하부전극 사이에서 상기 깃발의 무게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
a map model device having a map mode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using natural moss;
a flag detachably mounted on the map model and having a fla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lagpole;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flag mounted on the map mode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oint on which the flag is mounted in the map model; an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and provides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 sensing unit installed under the map model of the device body to detect whether the flag is mounted;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oordinate value at which the flag is installed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system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uni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the weight of the flag betwee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on each of the X and Y axes under the map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깃발에는 장착된 지도모형 상의 지역에 매칭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QR코드가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QR코드를 촬영하면, 상기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매칭되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g is provided with a QR code for providing information matching the region on the mounted map model,
When the QR code is photographed by a user terminal,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receive information matching the point on which the flag is moun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장치 본체의 상부에 천연 이끼를 사용하여 설치된 지도모형을 구비하는 지도모형 장치;
상기 지도모형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깃대의 상부에 기가 설치되는 깃발;
상기 지도모형에 장착되는 깃발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지도모형에서 상기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깃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깃발이 설치된 좌표값을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깃발에 설치되는 식별부의 식별코드를 근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X, Y축 각각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는 식별정보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
a map model device having a map mode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using natural moss;
a flag detachably mounted on the map model and having a fla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lagpole;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flag mounted on the map mode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oint on which the flag is mounted in the map model; an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and provides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 sensing unit installed under the map model of the device body to detect whether the flag is mounted;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oordinate value at which the flag is installed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compris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er disposed in a matrix structure on each of the X and Y axes at the bottom of the map model so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flag can be recognized at a short distance. .
장치 본체의 상부에 천연 이끼를 사용하여 설치된 지도모형을 구비하는 지도모형 장치;
상기 지도모형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깃대의 상부에 기가 설치되는 깃발;
상기 지도모형에 장착되는 깃발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지도모형에서 상기 깃발이 장착된 지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정보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위치정보 획득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도모형의 물을 공급한 위치를 감지하는 습도변화 감지부; 및
상기 습도변화 감지부의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지도모형에서 물이 공급된 좌표값을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
a map model device having a map model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using natural moss;
a flag detachably mounted on the map model and having a flag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lagpole;
a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flag mounted on the map model;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oint on which the flag is mounted in the map model; an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and provides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The selecti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installed under the map model of the device body to detect a location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map model; and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to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map model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변화 감지부는,
상기 지도모형의 하부에서 X, Y축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는 상부전극 및 하부전극;
상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사이에 설치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 감습층;
상기 하부전극의 하부에 설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분 감습층의 수분 변화에 따른 정전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전극과 지도모형의 사이에는 다공성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umidity change sensing unit,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arranged in an X and Y-axis matrix structure under the map model;
a moisture-sensitive lay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to absorb moisture;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under the lower electrode; and
a sensing substrate installed under the insulating layer to detect a change in electrostatic force according to a change in moisture in the moisture-sensitive layer; and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orous pad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map mode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깃발은,
파이프형의 깃대;
상기 깃대의 상부에 연결되는 기;
상기 깃대의 내부에 개재되어 물을 흡수하는 물 흡수재; 및
상기 깃대의 하단에 내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며, 상기 깃대 내부의 물을 토출하며, 상기 다공성 패드의 통공에 결합되는 토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ag,
pipe-shaped flagpole;
a flag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agpole;
a water absorbing material interposed inside the flagpole to absorb water; and
and a discharge coupling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gpole with a reduced inner diameter,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flagpole,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orous pad.
KR1020190176870A 2019-12-27 2019-12-27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403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70A KR102403079B1 (en) 2019-12-27 2019-12-27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70A KR102403079B1 (en) 2019-12-27 2019-12-27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04A KR20210084004A (en) 2021-07-07
KR102403079B1 true KR102403079B1 (en) 2022-05-26

Family

ID=7686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870A KR102403079B1 (en) 2019-12-27 2019-12-27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07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854B1 (en) * 2016-04-18 2016-12-0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bird's eye view fo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48Y2 (en) * 1987-05-19 1992-02-19
KR20060098107A (en) * 2005-03-09 2006-09-18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Capacitive humidity sensor
KR20140107050A (en) 2013-02-27 2014-09-0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ourism information using QR code
KR102051215B1 (en) * 2018-04-16 2019-12-02 최정태 Mat type sensing device of capacitance pressure detecting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854B1 (en) * 2016-04-18 2016-12-0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Three-dimensional bird's eye view f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04A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836B1 (en) Figure data input device
AU662566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electronically reading a book
CN105745696B (en) A kind of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training system
CN100561165C (en) Lens meter
CA2768738C (en) Locating equipment for and methods of simulating locate operations for training and/or skills evaluation
KR102094792B1 (en) Augmented Reality Based Areas of Specializ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N104266658B (en) One kind is based on precise positioning instructor in broadcasting guide system, method and its collecting method
US11688299B2 (en) Programm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KR1019063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localization based on camera
CN102192738A (en) Exhibition hall navigator and navigation system
US11113036B2 (en) Programm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KR1018308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mart Pot
JP2013038539A (en) System, transmitter, and management method
CN102192742A (en)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CN102192743A (en)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for scenic spot
KR102403079B1 (en) A system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TR201605283A2 (en)
CN107424235A (en) A kind of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CN110220452A (en) A kind of localization method and system
CN106792537A (en) A kind of alignment system
CN110503886A (en) Interactively globe
KR102071270B1 (en) Coding education system for children using color block
CN105403235A (en) Two-dimensiona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4601458B2 (en) Direction indicator
CN208077433U (en) A kind of interesting tea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