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918B1 - Mirror typ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irror typ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918B1
KR102401918B1 KR1020170147499A KR20170147499A KR102401918B1 KR 102401918 B1 KR102401918 B1 KR 102401918B1 KR 1020170147499 A KR1020170147499 A KR 1020170147499A KR 20170147499 A KR20170147499 A KR 20170147499A KR 102401918 B1 KR102401918 B1 KR 10240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lor
center
opening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634A (en
Inventor
김의태
김창수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9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01L51/5271
    • H01L27/322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절 현상에 의해 회절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러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들은 원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rror-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 diffraction pattern due to a diffraction phenomenon, compris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a reflective pl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wherein the openings of the reflective plate are circular.

Description

미러형 표시장치{Mirror type Display Device}Mirror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미러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절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러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rror-typ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rror-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diffractive reflection.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부피가 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얇고 가벼우며 대면적이 가능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 급속히 발전해 왔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EL),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D)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has rapidly developed into a thin, light, and large-area Flat Panel Display Device (FPD) that replaces a bulky cathode ray tube (CRT). As such a flat pane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 Field Emission Display (FED) , and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an electrophoretic display (ED)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이들 표시장치에 있어서, 최근에는 표시패널이 동작할 때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거울기능을 갖도록 하여 영상표시와 영상 반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미러형 표시장치(mirror type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In these display devices, recently, a mirror type display that displays an image when the display panel is operating but has a mirror function when not in use so that it can display an image and reflect an image at the same time has been developed. have

미러형 표시장치는 미러 기능(거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반사 기능을 갖는 막 구조 또는 패턴들(예를 들면, 미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미러 패턴들 사이에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는 통상적으로 표시장치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표시장치의 발광영역은 통상적으로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므로, 미러 패턴들 사이의 개구부들은 발광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배치에 따라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을 갖게 된다. 그런데, 개구부의 중심으로부터 각 변까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각형 개구부의 상대적으로 작은 변을 갖는 부분이 슬릿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미러 패턴들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빛이 통과할 때 빛의 회절 현상에 의해 회절 무늬가 발생되므로 표시영상의 시청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irror-typ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film structure or patterns (eg, a mirror pattern) having a reflective function to implement a mirror function (mirror function). A plurality of openings corresponding to regions for transmitting light are formed between adjacent mirror patterns. These openings are usu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display device. Since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display device is usually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the openings between the mirror patterns have a rectangular shape form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to secure the light emitting area. will have However, sinc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opening to each side is not constant, th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side of the rectangular opening acts like a slit. When light passes through the openings between these mirror patterns, diffraction patterns are generated due to the diffraction of light, so there is a problem that prevents viewing of the displayed imag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영상 시청시 회절 현상에 의해 회절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러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irror-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diffraction patterns due to diffraction when viewing an image.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미러형 표시장치는,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들은 원형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a reflective pl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wherein the openings of the reflective plate are circular.

상기 반사판의 복수의 개구부들 면적은 상기 발광부의 면적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Areas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reflector may be set in proportion to an area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컬러 개구부,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컬러 개구부들, 및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3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1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들의 일부는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를 에워싸는 제 1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들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를 에워싸는 제 2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각형과 상기 제 2 사각형은 1변을 공유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include a first color opening that transmits light of a first color, second color openings that transmit light of a second color, and a third color opening that transmits light of a third color having an open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lor openings is arranged to form a first rectangle enclosing the first color opening, and other portions of the second color openings are arranged to form a second rectangle enclosing the third color opening, wherein the first The quadrangle and the second quadrangle may share one side.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컬러 개구부,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3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삼각형을 이룬다.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include a first color opening for transmitting light of a first color, a second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ransmitting light of a second color, and the first and second color openings a first opening spaced apart from and having a third color opening through which light of a third color is transmitte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hird color opening forms a triangle.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수직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second color opening may be alternately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may form a vertical line.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수직라인에 대해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second color opening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can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제 3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4 컬러 개구부,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4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5 컬러 개구부, 상기 제 4 및 제 5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6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2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5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은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include a four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lor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and transmitting light of the first color, the third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lor opening and the fourth color opening of the second color. a second opening having a fifth color opening for transmitting light, a six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and fifth color openings for transmitting light of the third color;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hird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hird color opening and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fifth color opening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제 2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7 컬러 개구부, 상기 제 7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8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7 및 제 8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9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3 개구부; 및 상기 제 3 개구부의 제 9 컬러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제 5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0 컬러 개구부, 상기 제 10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1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10 및 제 11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2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4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개구부의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제 1 삼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제 4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5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6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제 2 삼각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개구부의 상기 제 7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8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9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제 3 삼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개구부의 상기 제 10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11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1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제 4 삼각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삼각형의 중심, 상기 제 2 삼각형의 중심, 상기 제 3 삼각형의 중심, 상기 제 4 삼각형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사각형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include a seven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lor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and a first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color opening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second color. a third opening having an eight color opening and a nin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and eighth color openings to transmit light of the third color; and a ten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ninth color opening of the third opening and the fifth color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enth color opening and a fourth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enth and eleventh openings and having a twelfth color opening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third color is transmitted, A first triangle is formed by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hird color opening, the center of the fourth color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the A second triangle is formed by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fth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sixth color opening, the center of the seventh color opening of the third opening, the center of the eighth color opening, and A third triangle is formed by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ninth color openings, the center of the tenth color opening of the fourth opening, the center of the eleventh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welfth color opening A fourth triangle is formed by the connecting line, and a quadrangle is formed by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triangle, the center of the second triangle, the center of the third triangle, and the center of the fourth triangle. have.

본 발명의 미러형 표시장치에 따르면, 반사판의 개구부들을 원형으로 구성하여 개구부들이 동일한 크기의 슬릿을 갖게 되므로 발광영역에서 발출된 광이 개구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irror-typ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ings of the reflecting plate ar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openings have slits of the same size, the effect of maximally suppressing the diffract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area passes through the openings can g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역 A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반사판의 개구부에 따라 나타나는 빛의 회절현상의 시뮬레이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영역 B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반사판의 개구부에 따라 나타나는 빛의 회절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도면,
도 9는 종래기술에 의한 반사판 구조(비교예 1~비교예 3)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반사판의 회절현상에 의해 얻어지는 시뮬레이션 도면과 표시패널의 반사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flector of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reflector of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ea A shown in FIG. 3 in more detail;
5 is a simulation diagram of the diffraction phenomenon of light appearing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reflector shown in FIG. 3;
6 is a plan view showing a reflector of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ea B shown in FIG. 6 in more detail;
8 is a simulation view of the diffraction phenomenon of light appearing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reflector shown in FIG. 6;
9 is a view showing a reflection image of a display panel and a simulation diagram obtained by diffraction of a reflec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a ref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next to',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identical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형 표시장치는 표시패널(DP)과 점착층(AD)에 의해 표시패널(DP)에 부착되는 미러부(MP)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DP and a mirror unit MP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DP by an adhesive layer AD.

표시패널(DP)은 제 1 기판(SUB1)과, 제 1 기판(SUB1) 상에 배치되어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 어레이를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은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영역마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화소들 각각은 자기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거나 액정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화소를 자기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The display panel DP includes a first substrate SUB1 and a pixel array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SUB1 to display an input image. The pixel array may include pixels defined by intersections of data lines and gate lines.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t intersections of data lines and gate lines. Each of the pixel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that is a self-emission device or a liquid crystal cell. The example of FIG. 1 shows a case in which a pixel is formed of a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a self-light emitting device.

표시패널(DP)의 제 1 기판(SUB1) 상에는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L),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발광부(EP), 각 발광부(EP)를 밀봉하는 봉지막(ENC)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first substrate SUB1 of the display panel DP,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TL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in each pixel region, a light emitting part EP connected to each thin film transistor of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L; An encapsulation film ENC sealing each light emitting part EP may be included.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을 이루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소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n film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L may be implemented as p-type or n-type.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layer of the TFTs constituting the pixel may include amorphous silicon, polysilicon, or oxide.

발광부(EP)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L)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 1 전극(E1), 제 1 전극(E1)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막층(OL), 유기막층(OL)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전극(E2)을 포함한다. 유기막층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과, 발광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과, 발광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art EP includes a first electrode E1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TL, an organic layer OL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E1, and an organic layer OL disposed on the organic layer OL. A second electrode E2 is included. The organic layer includes an emission layer (EM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nd a hole transport layer (HT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mission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lectr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mission layer It may include a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봉지막(ENC)은 외부로부터의 수분 또는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층으로,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ncapsulation film ENC is a layer that prevents moisture or air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and protects it from external impact,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organic film and an inorganic film are alternately stacked.

미러부(MP)는 제 2 기판(SUB2), 제 2 기판(SUB2)의 일면에 배치되는 반사판(RE)을 포함한다. 반사판(RE)은 각 화소에 배치된 발광부(EP)에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부(OP)를 포함한다. 반사판(RE)의 개구부(OP)를 통해서는 발광부(EP)에서 생성된 광이 출사된다. The mirror unit MP includes a second substrate SUB2 and a reflection plate 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SUB2 . The reflective plate RE includes an opening OP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part EP disposed in each pixel.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EP is emitted through the opening OP of the reflective plate R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RE)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reflector RE of the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flection plate of the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반사판(RE)은 발광부의 R(적색), G(녹색), B(청색) 발광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들(RO, GO, BO)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reflector RE may include openings RO, GO, and BO exposing the R (red), G (green), and B (blue) emission regions of the light emitting part.

도 2에서, 반사판(RE)의 개구부들(RO, GO, BO)은 적색 광을 투과시키는 적색 개구부들(RO),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녹색 개구부들(GO); 및 청색 광을 투과시키는 청색 개구부들(BO)을 포함한다. 4개의 녹색 개구부들(GO)은 1개의 적색 개구부(RO)를 에워싸는 제 1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적색 개구부(RO)를 에워싸는 녹색 개구부들 중 2개의 녹색 개구부들과 다른 2개의 녹색 개구부들은 청색 개구부(BO)를 에워싸는 제 2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In FIG. 2 , the openings RO, GO, and BO of the reflector RE include red openings RO for transmitting red light, green openings GO for transmitting green light; and blue openings BO for transmitting blue light. The four green openings GO are arranged to form a first rectangle surrounding the one red opening RO, and among the green openings surrounding the red opening RO, two green openings and the other two green openings are blue It is disposed to form a second quadrangle surrounding the opening BO.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적색 개구부(RO)를 에워싸도록 4개의 녹색 개구부(GO)가 배치되고, 그에 인접하여서는 청색 개구부(BO)를 에워싸도록 4개의 녹색 개구부(GO)가 배치되며, 4개의 녹색 개구부(GO) 중 2개는 서로 이웃하는 적색 개구부(RO)와 청색 개구부(BO)를 공유하도록 배치된다.반사판(RE)의 개구부들(RO, GO, BO)은 동일 발광영역의 면적을 기준으로 슬릿 크기를 가장 크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사판(RE)의 개구부들(RO, GO, BO)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반사판(RE)의 개구부들(RO, GO, BO)을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원의 중심으로부터 원주까지의 거리가 원주상의 어느 위치에서나 동일하다. 따라서, 개구부들은 동일한 크기의 슬릿을 갖게 되므로 발광영역에서 발출된 광이 개구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회절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ur green openings GO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red opening RO, and four green openings GO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blue opening BO adjacent thereto, and the four green openings GO are arranged adjacent thereto. Two of the openings GO are arranged to share the adjacent red opening RO and the blue opening BO. The openings RO, GO, and BO of the reflector RE are based on the area of the same light emitting region. It is formed so that the slit size can be maximized. Accordingly, the openings RO, GO, and BO of the reflector RE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the openings RO, GO, and BO of the reflection plate RE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le to the circumference is the same at any position on the circumference. Accordingly, since the openings have slits of the same siz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aximally suppressing the diffract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area passes through the openings.

도 2의 실시예에서 적색 개구부(RO), 녹색 개구부(GO), 및 청색 개구부(BO)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발광부(EP)의 면적에 대응하여 적색 개구부(RO), 녹색 개구부(GO) 및 청색 개구부(BO)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red opening RO, the green opening GO, and the blue opening BO have the same size in the embodiment of FIG. 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e sizes of the red opening RO, the green opening GO, and the blue opening BO may be set differently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part EP. It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RE)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reflecting plate RE of the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역 A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반사판의 개구부에 따라 나타나는 빛의 회절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도면이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flection plate of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gion A shown in FIG. 3 in more detail, and FIG. 5 is a simulation view for diffraction of light appearing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reflector shown in FIG. 3 .

도 3은 비록 반사판(RE)의 적색, 녹색, 청색 개구부들(RO1, GO1, BO1; RO2, GO2, BO2)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크기가 서로 다른 것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따라서, 도 3의 일부 영역 A를 도시한 도 4가 적색(R), 녹색(G), 청색(B) 발광영역의 크기에 따라 반사판(RE)의 개구부들(RO1, GO1, BO1; RO2, GO2, BO2)의 크기가 다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 3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Although FIG. 3 shows that the red, green, and blue openings RO1 , GO1 , BO1 ; RO2 , GO2 , and BO2 of the reflector RE have the same size, those having different sizes als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FIG. 4 showing a partial area A of FIG. 3 shows the openings RO1, GO1, BO1; RO2,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depiction of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 sizes of GO2 and BO2)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FIG. 3 .

도 4의 예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출사하는 발광층에 이용되는 발광물질은 재료 성질에 따라 수명이 다르다.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적색을 발하는 발광물질은 녹색을 발하는 발광물질보다 수명이 길고, 녹색을 발하는 발광물질은 청색을 발하는 발광물질보다 수명이 길다. 따라서, 3색 발광물질의 수명을 대략적으로 같게 하기 위해서는 수명이 짧은 색의 발광물질의 발광층의 면적을 수명이 긴 색의 발광물질의 발광층의 면적보다 크게 하여야 한다. 면적을 증가시키면 단위면적당 전류밀도를 낮출 수 있어 그 만큼 소자 수명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적색 발광층의 면적은 녹색 발광층의 면적보다 작고, 녹색 발광층의 면적은 청색 발광층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example of FIG. 4 exemplifies the case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the lifespan of the light emitting material us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varies according to material properties.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material emitting red light has a longer lifespan than a light emitting material emitting green light, and a light emitting material emitting green light has a longer lifespan than a light emitting material emitting blue color. Therefore, in order to approximately equalize the lifetime of the three-color light-emitting material, the area of the light-emitting layer of the light-emitting material of the short-lived color should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ight-emitting layer of the light-emitting material of the long-lived color. This is because, if the area is increased, the current density per unit area can be lowered, thereby extending the device lifespan. As a result, the area of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area of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이에 따라 반사판(RE)의 개구부들(RO1, GO1, BO1; RO2, GO2, BO2)의 면적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크기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reas of the openings RO1 , GO1 , BO1 ; RO2 , GO2 , and BO2 of the reflector RE may also be 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of size, as illustrated in FIG. 4 .

적색 개구부(RO1)<녹색 개구부(GO1)<청색 개구부BO1)Red opening (RO1) < Green opening (GO1) < Blue opening BO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반사판(RE)의 영역 A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단위화소들(P1, P2)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개구부(OP1) 및 제 2 개구부(OP2)가 서로 인접 배치된다. 3 and 4 , in the area A of the reflector RE, the first opening OP1 and the second opening OP2 corresponding to the unit pixels P1 and P2 including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units, respectively. )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제 1 개구부(OP1)는 제 1 적색 개구부(RO1), 제 1 녹색 개구부(GO1) 및 제 1 청색 개구부(BO1)를 포함하고, 제 2 개구부(OP2)는 제 2 적색 개구부(RO2), 제 2 녹색 개구부(GO1) 및 제 2 청색 개구부(BO2)를 포함한다. The first opening OP1 includes a first red opening RO1 , a first green opening GO1 , and a first blue opening BO1 , and the second opening OP2 includes a second red opening RO2 and a second opening BO1 . It includes two green openings GO1 and a second blue opening BO2 .

제 1 개구부(OP1)의 제 1 적색 개구부(RO1), 제 1 녹색 개구부(GO1), 제 1 청색 개구부(BO1)는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삼각형을 형성하고, 제 1 적색 개구부(RO1)와 제 1 녹색 개구부(GO1)는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반사판(RE)의 1변에 대해 제 1 수직 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Line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the first green opening GO1, and the first blue opening BO1 of the first opening OP1 form a triangle, and the first red opening RO1 ) and the first green opening GO1 are arranged such that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thereof forms a first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reflector RE.

제 2 개구부(OP2)의 제 2 적색 개구부(RO2), 제 2 녹색 개구부(GO2), 제 2 청색 개구부(BO2) 또한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삼각형을 형성하고, 제 2 적색 개구부(RO2)와 제 2 녹색 개구부(GO2)는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1 수직라인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제 2 수직 라인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Line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and the second blue opening BO2 of the second opening OP2 also form a triangle, and the second red opening RO2 ) and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are arranged such that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thereof forms a second vertical lin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개구부(OP1) 및 제 2 개구부(OP2)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하면 도 3의 구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If the first opening OP1 and the second opening OP2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of FIG. 3 may be obtained.

도 3의 구성에서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 및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configuration of FIG. 3 ,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 the center of the first green opening GO1 , and the center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may be arranged to be a straight li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as shown in FIG. 4 .

도 4를 참고하면, 제 1 적색 개구부(RO1) 및 제 1 녹색 개구부(GO1)는 제 1 청색 발광층(BO1)의 좌측에서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수직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적색 개구부(RO2)와 제 2 녹색 개구부(GO2)는 청색 발광층(BO1)의 우측에서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수직라인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first green opening GO1 are disposed such that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blue light emitting layer BO1 on the left side is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and the second The red opening RO2 and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are configured such that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BO1 on a right side is disposed on a vertical line.

청색 발광층(BO1)을 중심으로 한 제 1 적색 개구부(RO1) 및 제 1 녹색 개구부(GO1)와, 제 2 적색 개구부(RO2)와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배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first green opening GO1, the second red opening RO2, and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with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BO1 as the cen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same.

우선, 제 1 청색 개구부(BO1)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B1, 제 1 적색 개구부(RO1)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R1, 제 1 녹색 개구부(GO1)를 구성하는 원의 중점을 G1, 제 2 적색 개구부(RO2)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R2, 제 2 녹색 개구부(GO2)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G2라 한다. First, the center of the circle constituting the first blue opening BO1 is B1, the center of the circle constituting the first red opening RO1 is R1, the midpoint of the circle constituting the first green opening GO1 is G1, A center of a circle constituting the second red opening RO2 is denoted by R2, and a center of a circle constituting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is denoted by G2.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R1과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R1B1,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 G2와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G2B1,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R1과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 G2를 연결하는 선분을 R1G2라 하면, 선분 R1B1과 선분 R1G2에 의해 제 1 각도 θ1가 형성되고, 선분을 G2B1와 선분 R1G2에 의해 제 2 각도 θ2가 형성된다.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1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center B1 of the blue opening BO1 is R1B1, and the center G2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are connected. Assuming that the line segment G2B1 and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1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center G2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is R1G2, the first angle θ1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R1B1 and the line segment R1G2, and the line segment A second angle θ2 is formed by G2B1 and the line segment R1G2.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R1과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R1B1,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 G2와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G2B1,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R1과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 G2를 연결하는 선분을 R1G2라 하면, 선분 R1B1과 선분 R1G2에 의해 제 1 각도 θ1가 형성되고, 선분을 G2B1와 선분 R1G2에 의해 제 2 각도 θ2가 형성된다.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R1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is R1B1, the center G2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are Assuming that the connecting line segment is G2B1, and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1 of the first red opening portion RO1 and the center G2 of the second green opening portion GO2 is R1G2, the first angle θ1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R1B1 and the line segment R1G2. , a second angle θ2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G2B1 and the line segment R1G2.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 R2와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R2B1,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 G1과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G1B1,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 R2와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 G1를 연결하는 선분을 R2G1이라 하면, 선분 R2B1과 선분 R2G1에 의해 제 3 각도 θ3가 형성되고, 선분 G1B1과 선분 R2G1에 의해 제 4 각도 θ4가 형성된다. 제 1 각도 θ1 내지 제 4 각도 θ4는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2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is R2B1, the center G1 of the first green opening GO1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are If the connecting line segment is G1B1, and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2 of the second red opening part RO2 and the center G1 of the first green opening part GO1 is R2G1, the third angle θ3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R2B1 and the line segment R2G1. , a fourth angle θ4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G1B1 and the line segment R2G1. The first angle θ1 to the fourth angle θ4 may be arbitrarily set at an angl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degrees.

도 3에 도시된 반사판의 개구부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하면, 제 1 적색 개구부(RO1), 제 1 청색 개구부(BO1),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회절현상의 중첩도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회절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openings of the reflector shown in FIG. 3 are arranged in the manner shown in FIG. 4 , the center lines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 the first blue opening BO1 , and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diffraction phenomenon, so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diffraction phenomenon can be obtained.

도 5는 상술한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따라 나타나는 빛의 회절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도면으로, 회절현상에 의한 간섭무늬가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FIG. 5 is a simulation diagram for a diffraction phenomenon of light appear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ference fringe due to the diffraction phenomenon is weakened.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RE)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reflector RE of the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영역 B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반사판의 개구부에 따라 나타나는 빛의 회절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도면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flection plate of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gion B shown in FIG. 6 in more detail, and FIG. 8 is a simulation view for diffraction of light appearing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reflector shown in FIG. 6 .

도 6은 비록 반사판(RE)의 적색, 녹색, 청색 개구부들(RO1, GO1, BO1; RO2, GO2, BO2)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크기가 서로 다른 것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따라서, 도 6의 일부 영역 A를 도시한 도 7이 적색(R), 녹색(G), 청색(B) 발광영역의 크기에 따라 반사판(RE)의 개구부들(RO1, GO1, BO1; RO2, GO2, BO2)의 크기가 다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 6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Although FIG. 6 shows that the red, green, and blue openings RO1 , GO1 , BO1 ; RO2 , GO2 , and BO2 of the reflector RE have the same size, different sizes als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FIG. 7 showing a partial area A of FIG. 6 shows the openings RO1, GO1, BO1; RO2, of the reflector 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d (R), green (G), and blue (B) emission areas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depiction of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 sizes of GO2 and BO2)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FIG. 6 .

도 7의 예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 적색 발광층의 면적은 녹색 발광층의 면적보다 작고, 녹색 발광층의 면적은 청색 발광층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example of FIG. 7 exemplifies the cas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s in FIG. 4 . The area of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area of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반사판(RE)의 영역 B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단위화소들(P1, P2, P3, P4)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개구부(OP1), 제 2 개구부(OP2), 제 3 개구부(OP3), 및 제 4 개구부(OP4)가 상하좌우로 서로 인접 배치된다. 6 and 7 , in the region B of the reflector RE, a first opening OP1 corresponding to the unit pixels P1 , P2 , P3 , and P4 including the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units, respectively, is provided. The second opening OP2 , the third opening OP3 , and the fourth opening OP4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제 1 개구부(OP1)는 제 1 적색 개구부(RO1), 제 1 녹색 개구부(GO1) 및 제 1 청색 개구부(BO1)를 포함한다. 제 2 개구부(OP2)는 제 1 개구부(RO1)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며, 제 2 적색 개구부(RO2), 제 2 녹색 개구부(GO2) 및 제 2 청색 개구부(BO2)를 포함한다. 제 3 개구부(OP3)는 제 1 개구부(RO1)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며, 제 3 적색 개구부(RO3), 제 3 녹색 개구부(GO3) 및 제 3 청색 개구부(BO3)를 포함한다. 제 4 개구부(OP4)는 제 3 개구부(OP3)의 우측 방향과 제 2 개구부(OP2)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며, 제 4 적색 개구부(RO4), 제 4 녹색 개구부(GO4) 및 제 4 청색 개구부(BO4)를 포함한다. The first opening OP1 includes a first red opening RO1 , a first green opening GO1 , and a first blue opening BO1 . The second opening OP2 is disposed in a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RO1 , and includes a second red opening RO2 , a second green opening GO2 , and a second blue opening BO2 . The third opening OP3 is disposed below the first opening RO1 , and includes a third red opening RO3 , a third green opening GO3 , and a third blue opening BO3 . The fourth opening OP4 is disposed in a right direction of the third opening OP3 and a lower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OP2 , and includes a fourth red opening RO4 , a fourth green opening GO4 , and a fourth blue opening. (BO4).

제 1 개구부(OP1)의 제 1 적색 개구부(RO1), 제 1 녹색 개구부(GO1) 및 제 1 청색 개구부(BO1)는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제 1 삼각형을 형성하고, 제 1 적색 개구부(RO1)와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라인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Line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 the first green opening GO1 , and the first blue opening BO1 of the first opening OP1 form a first triangle, and the first red opening A line connecting RO1 and the center of the first green opening GO1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제 2 개구부(OP2)의 제 2 적색 개구부(RO2), 제 2 녹색 개구부(GO2) 및 제 2 청색 개구부(BO2) 또한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제 2 삼각형을 형성하고, 제 2 적색 개구부(RO2)와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라인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Line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 and the second blue opening BO2 of the second opening OP2 also form a second triangle, the second red opening A line connecting RO2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제 3 개구부(OP3)의 제 3 적색 개구부(RO3), 제 3 녹색 개구부(GO3) 및 제 3 청색 개구부(BO3)는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제 3 삼각형을 형성하고, 제 3 적색 개구부(RO3)와 제 3 녹색 개구부(GO3)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3 적색 개구부(RO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라인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Lines connecting respective centers of the third red opening RO3, the third green opening GO3, and the third blue opening BO3 of the third opening OP3 form a third triangle, and the third red opening A line connecting RO3 and the center of the third green opening GO3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hird red opening RO3.

제 4 개구부(OP4)의 제 4 적색 개구부(RO4), 제 4 녹색 개구부(GO4) 및 제 4 청색 개구부(BO4) 또한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들이 제 4 삼각형을 형성하고, 제 4 적색 개구부(RO4)와 제 4 녹색 개구부(GO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4 적색 개구부(RO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라인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Lines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ourth red opening RO4 , the fourth green opening GO4 , and the fourth blue opening BO4 of the fourth opening OP4 also form a fourth triangle, and the fourth red opening BO4 A line connecting RO4 and the center of the fourth green opening GO4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ourth red opening RO4.

또한, 제 1 삼각형의 중심 a와 제 2 삼각형의 중심 b를 연결하고, 제 2 삼각형의 중심 b와 제 3 각형의 중심 c를 연결하며, 제 3 각형의 중심 c와 제 4 삼각형의 중심 d를 연결하면 사각형 형상이 얻어질 수 있다. Also, the center a of the first triangle and the center b of the second triangle are connected, the center b of the second triangle and the center c of the third triangle are connected, and the center c of the third triangle and the center d of the fourth triangle are connected. When connected, a rectangular shape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개구부(OP1), 제 2 개구부(OP2), 제 3 개구부(OP3) 및 제 4 개구부(OP4)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하면 도 6의 구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If the first opening OP1, the second opening OP2, the third opening OP3, and the fourth opening OP4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of FIG. 6 can be obtained do.

도 7을 참고하면,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과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1 청색 발광층(BO1)의 좌측에서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라인과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고,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과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1 청색 발광층(BO1)의 우측에서 그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라인과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7 ,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center of the first green opening GO1 forms the center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blue light emitting layer BO1 .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it and connects the center of the first blue light emitting layer BO1 on the right side. A line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제 1 청색 발광층(BO1)을 중심으로 한 제 1 적색 개구부(RO1) 및 제 1 녹색 개구부(GO1)와, 제 2 적색 개구부(RO2) 및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배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first green opening GO1, and the second red opening RO2 and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centered on the first blue light emitting layer BO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제 1 청색 개구부(BO1)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B1, 제 1 적색 개구부(RO1)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R1, 제 1 녹색 개구부(GO1)를 구성하는 원의 중점을 G1, 제 2 적색 개구부(RO2)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R2, 제 2 녹색 개구부(GO2)를 구성하는 원의 중심을 G2라 한다. First, the center of the circle constituting the first blue opening BO1 is B1, the center of the circle constituting the first red opening RO1 is R1, the midpoint of the circle constituting the first green opening GO1 is G1, A center of a circle constituting the second red opening RO2 is denoted by R2, and a center of a circle constituting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is denoted by G2.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R1과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R1B1,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 G2와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G2B1, 제 1 적색 개구부(RO1)의 중심 R1과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 G2를 연결하는 선분을 R1G2라 하면, 선분 R1B1과 선분 R1G2에 의해 제 1 각도 θ1가 형성되고, 선분 G2B1와 선분 R1G2에 의해 제 2 각도 θ2가 형성된다.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1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center B1 of the blue opening BO1 is R1B1, and the center G2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are connected. Assuming that the line segment G2B1 and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1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and the center G2 of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is R1G2, the first angle θ1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R1B1 and the line segment R1G2, and the line segment A second angle θ2 is formed by G2B1 and the line segment R1G2.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 R2와 제 1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R2B1,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 G1과 청색 개구부(BO1)의 중심 B1을 연결하는 선분을 G1B1, 제 2 적색 개구부(RO2)의 중심 R2와 제 1 녹색 개구부(GO1)의 중심 G1를 연결하는 선분을 R2G1이라 하면, 선분 R2B1과 선분 R2G1에 의해 제 3 각도 θ3가 형성되고, 선분 G1B1과 선분 R2G1에 의해 제 4 각도 θ4가 형성된다. 제 1 각도 θ1 내지 제 4 각도 θ4는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2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and the center B1 of the first blue opening BO1 is R2B1, and the center G1 of the first green opening GO1 and the center B1 of the blue opening BO1 are connected. Assuming that the line segment G1B1 and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center R2 of the second red opening RO2 and the center G1 of the first green opening GO1 is R2G1, the third angle θ3 is formed by the line segment R2B1 and the line segment R2G1, and the line segment A fourth angle θ4 is formed by G1B1 and the line segment R2G1. The first angle θ1 to the fourth angle θ4 may be arbitrarily set at an angl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degrees.

도 6에 도시된 반사판의 개구부들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하면, 제 1 적색 개구부(RO1), 제 1 청색 개구부(BO1), 제 2 녹색 개구부(GO2)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게 되고, 제 1 적색 개구부의 중심과 제 1 녹색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한 선이 제 1 개구부(OP1)의 아래 쪽에 위치한 제 3 개구부(OP3)의 제 3 적색 개구부(RO3)의 중심과 제 3 녹색 개구부(GO3)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일직선을 이루지 않으므로 제 2 실시예에 비해 회절현상의 중첩도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회절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openings of the reflector shown in FIG. 6 a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7 , the center lines of the first red opening RO1 , the first blue opening BO1 , and the second green opening GO2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red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first green opening is the center of the third red opening RO3 of the third opening OP3 positioned below the first opening OP1 and the third green Since it does not form a straight line with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pening GO3,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diffraction phenomenon can be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second embodiment, so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diffraction phenomenon can be obtained.

도 8은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구성에 따라 나타나는 빛의 회절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 도면으로, 회절현상에 의한 간섭무늬가 더욱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FIG. 8 is a simulation diagram for a diffraction phenomenon of light appear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ference fringe due to the diffraction phenomenon is further weakened.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미러형 표시장치의 반사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9, an effect obtainable from the reflector of the mirror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종래기술에 의한 반사판 구조(비교예 1~비교예 3)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반사판의 회절현상에 의해 얻어지는 미슐레이션 사진과 표시패널의 반사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reflection image of a display panel and a mitral photograph obtained by the diffraction phenomenon of the reflector structure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비교예 1은 반사판 개구부가 3각형 및 마름모꼴로 형성된 경우로, 개구부를 통과하는 빛의 회절에 의해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회절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Referring to FIG. 9 , Comparative Example 1 shows that the reflective plate opening is formed in a triangular and rhombus shape, and diffraction patterns are generated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by diffrac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

비교예 2는 반사판의 개구부가 크기가 다른 3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로, 개구부를 통과하는 빛의 회절에 의해 별 모양으로 회절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Comparative Example 2 is a case in which the openings of the reflecting plate are formed in triangle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ows that diffraction patterns are generated in the shape of stars by diffrac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enings.

비교예 3은 반사판의 개구부가 크기가 다른 4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로, 개구부를 통과하는 빛의 회절에 의해 X자 형으로 회절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Comparative Example 3 is a case in which the openings of the reflector are formed in quadrilateral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ows that diffraction patterns are generated in an X-shape by diffrac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enings.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 구조는 개구부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로, 회절무늬가 점 형태의 원형으로 발생하여 비교예 1-3에 대해 회절에 의한 간섭무늬가 훨씬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contrast, the reflec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diffraction pattern is generated in a dotted circular shape, so that the interference fringe due to diffraction is much suppres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3. can be know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D)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ic fiel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SUB1, SUB2: 기판 TL: 박막 트랜지스터층
EP: 발광부 RE: 반사판
OP, OP1, OP2, OP3, OP4: 개구부
RO1, RO2, RO3, RO4: 적색 개구부,
GO1, GO2, GO3, GO4: 녹색 개구부
BO1, BO2, BO3, BO4: 청색 개구부
SUB1, SUB2: substrate TL: thin film transistor layer
EP: light emitting unit RE: reflector
OP, OP1, OP2, OP3, OP4: opening
RO1, RO2, RO3, RO4: red opening,
GO1, GO2, GO3, GO4: green opening
BO1, BO2, BO3, BO4: Blue opening

Claims (8)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들은 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컬러 개구부,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컬러 개구부들, 및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3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1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는 4개의 제 2 컬러 개구부들의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사각형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는 4개의 제 2 컬러 개구부들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 2 사각형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사각형의 2개의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변과 상기 제 2 사각형의 2개의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변은 상기 제 1 사각형 및 상기 제 2 사각형에 공유되는 동일한 변인 미러형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and a reflective pl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is transmitted;
The openings of the reflector are circular,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include a first color opening that transmits light of a first color, second color openings that transmit light of a second color, and a third color opening that transmits light of a third color having an opening;
The first color opening is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a first rectangl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our second color openings to each other,
The third color opening is arranged to be surrounded by a second rectangl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our second color openings,
A sid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two second color openings of the first rectangle and a sid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two second color openings of the second rectangle are the same side shared by the first rectangle and the second rectangle mirror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복수의 개구부들 면적은 상기 발광부의 면적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미러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irror-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n area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reflection plate is set in proportion to an area of the light emitting part.
삭제delete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며,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들은 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 컬러 개구부,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2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3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1 개구부의 제 3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4 컬러 개구부,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4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5 컬러 개구부, 상기 제 4 및 제 5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6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제1 삼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 4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5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6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제2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3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5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은 일정 각도를 갖는 미러형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and a reflective pl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wherein the openings of the reflective plate are circular;
The plurality of openings,
a first color opening through which light of a first color transmits, a second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lor opening, and a second color opening through which light of a second color transmits, and a third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color openings; a first opening having a third color opening through which colored light is transmitted; and
a four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hird color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a second opening having a fifth color opening and a six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and fifth color openings to transmit light of the third color;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hird color opening forms a first triangle, the center of the fourth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fifth color opening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sixth color openings form a second triangle,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hird color opening and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fifth color opening have a predetermined ang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수직라인을 형성하는 미러형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second color opening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forms a vertical line.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 1 컬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수직라인에 대해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미러형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second color opening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color opening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mirror display.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제 1 개구부의 상기 제 2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7 컬러 개구부, 상기 제 7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8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7 및 제 8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9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3 개구부; 및
상기 제 3 개구부의 상기 제 9 컬러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의 상기 제 5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1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0 컬러 개구부, 상기 제 10 컬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2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1 컬러 개구부, 및 상기 제 10 및 제 11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컬러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 12 컬러 개구부를 갖는 제 4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개구부의 상기 제 7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8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9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제 3 삼각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 4 개구부의 상기 제 10 컬러 개구부의 중심, 상기 제 11 컬러 개구부의 중심, 및 상기 제 12 컬러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제 4 삼각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삼각형의 중심, 상기 제 2 삼각형의 중심, 상기 제 3 삼각형의 중심, 상기 제 4 삼각형의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사각형이 형성되는 미러형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openings,
a seven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lor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to transmit light of the first color; an eighth color opening spaced from the seventh color opening to transmit light of the second color; and a third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and eighth color openings and having a ninth color opening for transmitting light of the third color; and
A tenth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ninth color opening of the third opening and the fifth color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first color, the second color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enth color opening and a fourth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tenth and eleventh openings and having a twelfth color opening through which light of the third color is transmitted;
A third triangle is formed by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eventh color opening of the third opening, the center of the eighth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ninth color opening,
A fourth triangle is formed by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tenth color opening of the fourth opening, the center of the eleventh color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welfth color opening,
A mirror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 quadrangle is formed by a line connecting a center of the first triangle, a center of the second triangle, a center of the third triangle, and a center of the fourth triangle.
KR1020170147499A 2017-11-07 2017-11-07 Mirror type Display Device KR102401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99A KR102401918B1 (en) 2017-11-07 2017-11-07 Mirror typ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99A KR102401918B1 (en) 2017-11-07 2017-11-07 Mirror typ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34A KR20190051634A (en) 2019-05-15
KR102401918B1 true KR102401918B1 (en) 2022-05-25

Family

ID=6657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99A KR102401918B1 (en) 2017-11-07 2017-11-07 Mirror typ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9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4791A (en) * 2016-11-17 2017-05-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Mirr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443B1 (en) * 2015-04-17 2022-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irror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4791A (en) * 2016-11-17 2017-05-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Mirr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34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770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983747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6856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61684B1 (en) Display panel
CN109427855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091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3480807A1 (en) Display apparatus
US836268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JP6686497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60104750A1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9019604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for, and mask plate
KR20180038112A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KR102568777B1 (en) Display apparatus
CN106098731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5004200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482035B (en) Display device
US20190198581A1 (en) Irregularly-shaped flat-panel display having irregularly-shaped pixels
KR102401918B1 (en) Mirror type Display Device
CN102194852A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JP5179104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WO2021161528A1 (en) Display device
KR2018002660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