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861B1 -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861B1
KR102401861B1 KR1020207019295A KR20207019295A KR102401861B1 KR 102401861 B1 KR102401861 B1 KR 102401861B1 KR 1020207019295 A KR1020207019295 A KR 1020207019295A KR 20207019295 A KR20207019295 A KR 20207019295A KR 102401861 B1 KR102401861 B1 KR 10240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terminal equipment
scs
timing advance
uplink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904A (ko
Inventor
친옌 장
레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취득하는 단계 - TA는 단말기 장비에 의해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 TA 명령은 TA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기 장비는 업링크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통신 기술들의 분야, 및 특히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TE)은 내부-셀 간섭을 피하도록 업링크 송신의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 타이밍 선행(timing advance)(TA)을 채택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타이밍 선행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수신되는 시간과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송신되는 시간 사이의 음의 편이(negative offset)이다. 기지국은 각각의 UE의 편이의 정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상이한 UE들의 상이한 송신 지연들을 편이시켜서, 상이한 UE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들의 도달의 시간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UE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이 기지국에 도달하는 시간들은 주기적 전치 부호(CP) 내에 드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LTE에서의 업링크 동기 입도(uplink synchronization granularity)는 16Ts(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1
5.2μs)이고; 여기서, Ts=1(15*103*2048)초이다. UE가 처음에 수신된 다운링크 송신과 동기된 후에, 초기 타이밍 선행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획득된다. 초기 타이밍 선행을 표시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응답(RAR) 내에 11 비트들의 업링크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이 있다. UE에 의해 수신된 RAR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2
이고, 다음에 타이밍 선행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3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4
이고,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5
은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셀 유형 및 듀플렉스 유형에 의존하는 고정된 값이다. 하나의 UE는 복수의 TAG(예를 들어, mcg_PTAG, scg_PTAG, msg_STAG, 및 scg_STAG)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TAG 내의 셀들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은 동일하다. 그리고 소정의 TAG에 대한 타이밍 선행 명령을 수신하는 데 있어서, UE는 TAG 내의 셀들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해 통일된 조정을 수행한다.
UE의 초기 업링크 동기 후에, 기지국은 (MAC-CE라고 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의 제어 요소를 통해 UE의 업링크 타이밍을 조정한다. 타이밍 선행 명령을 캐리하기 위한 MAC-CE의 구조가 도 2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2 비트들은 TAG(TAG ID)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6 비트들은 TAG에 대한 타이밍 선행 명령들이다. UE에 의해 수신된 MAC-CE에 의해 캐리된 타이밍 선행 명령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6
이고, 다음에 타이밍 선행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7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8
이고,
Figure 112020069161942-pct00009
는 타이밍 선행 명령이 수신되기 전의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0
의 값이다.
상기 배경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분명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해결책은 그것이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뉴 라디오(NR)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형의 서브캐리어 간격들(SCS들)이 지원되고, SCS들과 업링크 동기 입도(Unit) 사이의 대응관계가 아래의 표에 도시된 것과 같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1
Tc=1/(64*30.72*106)초에서, Tc의 의미는 본원에 포함되는 기존의 표준의 것과 동일하다.
그것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2
, μ=0,1,2,3.
μ의 값들과 SCS들 사이의 대응관계는 아래의 표에 도시한 것과 같다: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3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4
는 SCS들의 값들을 특성화한다.
MAC-CE 내의 TA 명령에 대해,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들이 상이할 때, 도 2에 도시한 TA 명령들의 비트 정보인, 동일한 타이밍 선행 명령 값들(TA 값들)을 포함하는 TA 명령들은 동일하고, 동일한 TA 값들이 상이한 SCS들과 상관되면, 실제로 표시되는 타이밍 선행은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TA 명령들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들(TA 값들)이 동일하고 2개의 TA 값들이 15㎑의 SCS 및 30㎑의 SCS와 각각 상관되면, 15㎑와 상관된 TA 값에 의해 실제로 표시되는 타이밍 선행의 조정의 양은 후자의 2배이다.
그러므로, UE가 TA 명령을 수신할 때, UE에 의해 이해된 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 값)이 대응하는 SCS가 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 값)이 실제로 대응하는 SCS와 상이하면, UE는 정확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획득할 수 없어서, 업링크 송신의 직교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내부-셀 간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정확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UE를 지원하도록,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는 단계 - TA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 TA 명령은 TA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도록, 단말기 장비에 의해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장비에 의해, TA와 관련되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 TA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및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TA 명령은 TA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 구성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도록,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TA와 관련되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장비 내에 구성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장비에 의해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TA 명령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포함함 -; TA에 기초하여 단말기 장비에 의해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시점 후에 단말기 장비에 의해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시점은 제2 기준 SCS와 상관되고, 제2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되고/되거나, 제1 시점은 단말기 장비의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상관되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TA 명령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포함함 -; TA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제1 시점 후에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시점은 제2 기준 SCS와 상관되고, 제2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되고/되거나, 제1 시점은 단말기 장비의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상관되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제n 시간 단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구성 정보는 단말기 장비에 활성 업링크 BWP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단말기 장비에 의해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 업링크 BWP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k는 양의 정수이고 K 이상이고, K는 TA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TA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것 사이의 시간 단위들의 수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인,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활성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제n 시간 단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구성 정보는 단말기 장비에 활성 업링크 BWP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 업링크 BWP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k는 양의 정수이고 K 이상이고, K는 TA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TA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것 사이의 시간 단위들의 수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인,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활성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제3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제4 양태, 또는 제6 양태, 또는 제8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비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1 양태에 따르면, 제9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10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단말기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1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1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장비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기 장비에서, 제2 양태, 또는 제5 양태, 또는 제7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기 장비에서, 제2 양태, 또는 제5 양태, 또는 제7 양태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장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타이밍 선행(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이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제1 SCS라고 하는) 기준 SCS와 상관된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는 업링크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많은 대체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도시된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그들 대신에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구성한다/포함한다"는 기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기 위해 취해지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표시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표시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하나 보다 많은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은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본 개시내용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다른 첨부 도면들이 창의적 노력을 들이지 않고서 이들 첨부 도면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면들에서:
도 1은 타이밍 선행의 개념의 개략도이고;
도 2는 MAC-CE의 포맷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하나의 TAG가 복수의 UL BWP를 포함하는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5는 실시예 1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6은 TA 명령의 유효 시간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실시예 2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8은 실시예 3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9는 실시예 4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실시예 5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실시예 6의 단말기 장비의 구현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NR 시스템 내의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상이한 심볼 시간 길이들의 개략도이고;
도 13은 실시예 8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실시예 9의 업링크 대역폭 부분에 대한 활성화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15는 실시예 10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6은 실시예 11의 업링크 대역폭 부분에 대한 활성화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7은 실시예 12의 단말기 장비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추가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명백할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범위에 있어서 대응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드는 모든 변화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들 "제1", 및 "제2" 등은 명칭들과 관련하여 상이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들 요소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표시하지 않고, 이들 요소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용어들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되어 리스트된 용어들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용어들 "포함한다", 및 "갖는다"는 기술된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조립품들의 존재를 참조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컴포넌트, 또는 조립품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수 형태는 복수 형태를 포함하고, "종류의" 또는 "유형의"로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의미로서 정의되지 않아야 하고; 단수 형태는 달리 명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단수 형태와 복수 형태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용어 "에 따라"는 달리 명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용어 "에 기초하여"는 달리 명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네트워크를 말할 수 있다: 롱텀 에볼루션(LTE),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트(LTE-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및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등.
그리고 통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임의의 스테이지에서 수행될 수 있다: 1G(세대), 2G, 2.5G, 2.75G, 3G, 4G, 4.5G, 및 5G 및 미래의 뉴 라디오(NR), 및/또는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의 단말기 장비에 액세스하고 단말기 장비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를 말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송신 수신 포인트(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게이트웨이, 서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이볼브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그것은 원격 무선 헤드(RRH), 원격 무선 유닛(RRU), 릴레이, 또는 (펨토, 및 피코와 같은) 저전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그것의 기능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용어 "셀"은 용어의 맥락에 의존하는 기지국 및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을 말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사용자 장비(UE)" 또는 "단말기 장비(TE)"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말한다. 사용자 장비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일 수 있고, 또한 이동국(MS), 단말기, 가입자 국(SS), 액세스 단말기(AT), 또는 스테이션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단말기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셀룰러 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휴대형 디바이스, 머신형 통신 디바이스, 랩탑, 코드리스 전화기,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
또 하나의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머신형 통신(MTC) 단말기, 차량 장착 통신 단말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단말기, 및 머신 대 머신(M2M)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의 시나리오들이 예로서 아래에 설명되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여기서 단말기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들로서 취해진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신 시스템(3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301) 및 단말기 장비(302)를 포함할 수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 도 3은 예로서 단지 하나의 단말기 장비 및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취함으로써 설명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존의 트래픽들 또는 미래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303)와 단말기 장비(3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트래픽들은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MBB), 대규모 머신형 통신(MTC), 및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RLLC)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기 장비(302)는 예를 들어 그랜트-프리(grant-free) 송신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301)에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1)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장비(30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확인(ACK)/비확인(NACK) 정보와 같은) 정보를 단말기 장비(302)에 피드백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 따라, 단말기 장비(302)는 송신 프로세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할 수 있거나, 데이터의 새로운 송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BWP)의 개념이 도입되고, 하나의 다운링크(DL)/업링크(UL) 대역폭은 복수의 BWP를 포함한다. 각각의 UE는 하나 이상의 DL/UL BWP로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구성될 수 있고, DL/UL BWP들 중 하나 이상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송신하기 위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BWP들에 의해 지원되는 SCS와 같은 파라미터들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TAG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고, 하나의 셀은 보충 UL(SUL) 및 비보충 UL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컴포넌트 캐리어(UL CC)를 지원하고, 하나의 UL CC는 적어도 하나의 UL BWP를 반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TAG가 하나 이상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UL BWP를 포함하는 시나리오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TAG에 대한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UE는 기준 SCS 및 그것의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에 따라 타이밍 선행을 계산할 수 있다. UE 측 상의 기준 SCS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되면, TA 명령이 수신된 후에 UL BWP 구성이 가능하게 변화할 수 있을 때, UE 측에서의 기준 SCS가 또한 변화(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측에서의 기준 SCS가 최대 또는 최소 SCS와 같은, TAG 내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UL BWP(들)의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된 SCS이면, UE가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TAG 내에 설정된 반정적으로 구성된 UL BWP를 업데이트하라는 것을 UE에 (RRC 시그널링과 같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표시하고, 그에 따라, 그것의 기준 SCS가 변화한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UE 측에서의 기준 SCS가 최대 또는 최소 SCS와 같은, TAG에서 활성화된 UL BWP(들)의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된 SCS이면, UE가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UL BWP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라는 것을, UE에 (Active-BWP-UL-SCell과 같은) RRC 시그널링, MAC-CE, DCI(다운링크 제어 정보, 예를 들어 DCI 포맷 0_1)와 같은,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표시하고, 그에 따라 그것의 기준 SCS는 변화한다. 대안적으로,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UE는 타이머에 기초하여 UL BWP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고, 그에 따라 그것의 기준 SCS가 변화한다. 타이머의 값은 RRC 시그널링(BWP-InactivityTimer)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구현들이 아래에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구현은 단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gNB(NR에서의 기지국) 등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법은
단계 50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는 단계 - TA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및
단계 50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 TA 명령은 TA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타이밍 선행 명령(TA)은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는 데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SCS와 관련되기 때문에, 단말기 장비에 의한 기준 SCS에 대한 이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대한 이해와 일치하여, 업링크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장비를 지원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한 구현에서,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1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되고, TA 명령이 유효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송신하고 또는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일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는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 내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수 있고, 또는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에서 활성화된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가 시간 t에서 TA 명령을 수신하고 TA 명령이 (시간 t+T와 같은) 소정의 시간 간격 후에 유효하면, 시간 t+T는 TA 명령의 유효 시간이라고 하고, 즉, 시간 t+T로부터, 단말기 장비는 TA 명령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사용함으로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장비가 제n 시간 단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면, TA 명령은 제(n+N)(N>0, 예를 들어, N=6) 시간 단위에서 유효하고, 즉, 제(n+N) 시간 단위로부터, 단말기 장비는 TA 명령에 기초하여 획득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업링크 송신 타이밍 조정량)을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슬롯은 14개 미만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과 단말기 장비 측이 TA 명령이 유효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대해 동일한 이해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BWP 구성을 표시하는 시간(t1)으로부터 단말기 장비가 표시에 따라 BWP 구성을 업데이트하는 시간(t3)까지의 간격 Gap A(t3-t1)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송신하는 시간(t2)으로부터 TA 명령이 유효한 시간(t4)까지의 간격 Gap B(t4-t2)보다 클 수 있다.
또 하나의 구현에서, 상기 TA와 연관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TA와 연관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것에 의해 지정된 기준 SCS를 단말기 장비에 표시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단말기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시그널링은 여기서,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MAC-CE,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등이지만; 본 실시예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Active-BWP-UL-SCell이고, MAC-CE는 예를 들어, TA 명령 MAC-CE이고, DCI는 예를 들어, DCI 포맷 0_1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상기 2개의 구현들은 조합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TA와 연관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것에 의해 지정된 기준 SCS를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장비에 표시하지 않으면, 단말기 장비는 위에 설명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된 기준 SCS에 따라 타이밍 선행을 계산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TA와 연관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것에 의해 지정된 기준 SCS를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장비에 표시하면, 단말기 장비는 지정된 기준 SCS에 따라 타이밍 선행을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SCS와 관련된 타이밍 선행 값(TA)을 TA 명령을 통해 송신하고, 단말기 장비에 의한 기준 SCS에 대한 이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대한 이해와 일치하여, 업링크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장비를 지원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기 장비에 적용가능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비 측에서 처리하는 것이고, 실시예 1의 것들과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법은
단계 701: 단말기 장비가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도록,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계 702: 단말기 장비가 TA와 관련되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TA와 관련되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은 TA 명령이 유효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송신하고 또는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와 같이,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는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들)(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수 있고, 또는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는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 내의 활성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하나의 구현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는 SCS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 시그널링은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제1 기준 SCS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비는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기 장비는 업링크 송신 시간(또는 시간 단위)이 대응하는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슬롯은 14개 미만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의 의미는 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기 장비에 의한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는 방법이 예로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예에서, gNB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UE인 단말기 디바이스가 예로서 취해진다.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 UE에 의해 수신된 TA 명령의 값은 TA(예를 들어,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5
)이고, TA 명령은 시간 t+T(또는 제(n+N) 시간 단위)에서 유효하다고 가정한다.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UE의 (SCS_0과 같은) 기준 SCS가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6
이고, 시간 t+T(또는 제(n+N)시간 단위)에서의 (SCS_1과 같은) 기준 SCS가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7
이고, 시간 t+T(또는 제(n+N)시간 단위) 후의 업링크 송신 시간(또는 시간 단위)에서의 (SCS_2와 같은) 기준 SCS가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8
이고, gNB는 (SCS_3과 같은) SCS가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19
이라는 것을 지정하고 UE에 통지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가정들에서, SCS_0, SCS_1, SCS_2 및 SCS_3의 값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대응하여, μ 0, μ 1, μ 2, 및 μ 3의 값들도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 구현에서,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UE는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한 UE의 기준 SCS는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이고, UE는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동기 입도를 결정할 수 있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할 수 있다.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가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되고 gNB가 TA 명령을 송신하고 또는 UE가 TA 명령을 수신할 때 UE 측에서의 기준 SCS(SCS_0)이면,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에 따라 UE에 의해 계산된 업데이트된 타이밍 선행(TTA)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0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1
이다.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가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되고 TA 명령이 유효할 때 UE 측에서의 기준 SCS(SCS_1)이면,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TA 명령(TA)에 따라 UE에 의해 계산된 업데이트된 타이밍 선행(TTA)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2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3
이다.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가 기지국에 의해 지정되고 UE에 통지된 SCS(SCS_3)이면,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TA 명령(TA)에 따라 UE에 의해 계산된 업데이트된 타이밍 선행(TTA)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4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5
이다.
상기 식들에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6
의 값은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 유형, 업링크 송신이 발생할 때의 듀플렉스 모드(FDD 또는 TDD), 및 주파수 범위(FR)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7
의 값과 TAG 유형 간의 관계가 고려되면,
TAG가 주 셀 및/또는 주 보조 셀(PCell/PSCell)을 포함하고, 또는 TAG가 PCell/PSCell을 포함하지만 그 안의 서빙 셀들이 동일한 듀플렉스 모드들을 가지면,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8
은 0이고;
TAG가 PCell/PSCell을 포함하지 않고 그안의 서빙 셀들이 상이한 듀플렉스 모드들을 가지면,
Figure 112020069161942-pct00029
의 값은 주파수 범위와 관련되고, 아래 표에 도시한 것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0
또 하나의 예를 들면,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1
의 값과 듀플렉스 모드 간의 관계 및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2
의 값과 주파수 범위 간의 관계가 단지 고려되면,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3
의 값은 예를 들어, 아래의 표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4
이 예에서, 동일한 TAG 내의 서빙 셀들의 듀플렉스 모드들은 동일한 것이 요구된다.
이 구현에서, 시간 t+T(또는 제(n+N) 시간 단위) 후의 기준 SCS가 변화하더라도, TA 명령이 유효한 후(시간 t+T)와 다음의 TA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UE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5
가 변화되지 않게 유지하고, 다음의 TA 명령이 유효하기 전에, UE는 여전히 상기 타이밍 선행(TTA)을 사용한다.
또 하나의 구현에서,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UE는 업링크 송신 시간이 대응하는 UE 측에서의 기준 SCS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또는 조정하기 위한 UE의 기준 SCS는 업링크 송신 시간이 대응하는 기준 SCS이고, 업링크 동기 입도는 업링크 송신 시간이 대응하는 기준 SCS에 따라 결정되고, 타이밍 선행(TTA)이 계산 또는 조정된다.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가 SCS_0이면,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TA 명령(TA)에 따라 UE에 의해 계산된 업데이트된 타이밍 선행(TTA)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6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7
이고;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8
(라운드 업됨)이고,
또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39
(라운드 다운됨)이다.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가 SCS_1이면,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TA 명령(TA)에 따라 UE에 의해 계산된 업데이트된 타이밍 선행(TTA)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0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1
이고;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2
(라운드 업됨)이고,
또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3
(라운드 다운됨)이다.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과 관련된 제1 기준 SCS가 SCS_3이면, 시간 t(또는 제n 시간 단위)에서의 TA 명령(TA)에 따라 UE에 의해 계산된 업데이트된 타이밍 선행(TTA)은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4
이고;
여기서,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5
이고;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6
(라운드 업됨)이고,
또는,
Figure 112020069161942-pct00047
(라운드 다운됨)이다.
이 구현에서, TA 명령이 유효한 후에(시간 t+T) 그리고 다음의 TA 명령이 수신되고 다음의 TA 명령이 유효하기 전에, μ 2의 값은 UE의 업링크 송신 시간이 대응하는 기준 SCS의 변화와 함께 변화한다.
위에 설명된 2개의 구현들에서, 설명이 단말기 장비가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는 것을 예로서 취함으로서 설명이 주어지는데, 즉, 단말기 장비는 조정된 타이밍 선행을 직접 결정하고, 다음에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로 제한되지 않고, 단말기 장비는 먼저 현재의 타이밍 선행에 대한 조정의 양을 결정할 수 있고,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의 상대적 양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전의 구현들이 참조될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UL BWP가 변화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장비는 UL BWP가 변화한 후에 타이밍 선행을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값에 따라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타이밍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gNB(NR에서의 기지국)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 구성될 수 있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은 실시예 1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특정한 구현을 위해 실시예 1의 방법의 구현이 참조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800)는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801) - TA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및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유닛(802) - 타이밍 선행 명령은 타이밍 선행 명령 값을 포함함 -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TA 명령이 유효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를 들면, 그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송신하고 또는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일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는 TA 명령이 대응하는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들)(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수 있고, 또는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에서 활성화된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SCS이다.
이 구현에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치(800)는
제어 시그널링을 단말기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유닛(803) - 제어 시그널링은 자신을 통해 제1 기준 SCS가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다는 것을 단말기 장비에 표시함 -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SCS와 관련된 타이밍 선행 값(TA)을 TA 명령을 통해 송신하고, TTA를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에 의한 기준 SCS에 대한 이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TTA를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대한 이해와 일치하여, 업링크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장비를 지원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 내에 구성될 수 있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은 실시예 2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특정한 구현을 위해 실시예 2의 방법의 구현이 참조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900)는 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기 위해,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901); 및 TA와 관련되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90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TA와 관련되고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은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TA 명령이 유효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일 수 있고; 또 하나의 예를 들면, 그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송신하고 또는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할 때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하나의 구현에서,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 SCS이다.
이 구현에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치(9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903) - 제어 시그널링은 제1 기준 SCS가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다는 것을 표시함 -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치(900)는
TA와 관련되고 TTA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계산 유닛(90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계산 유닛(904)은 업링크 송신 시간이 대응하는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추가로 계산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는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반정적으로 구성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들)(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이고, 또는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는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 내의 활성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이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UL BWP가 변화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장비는 UL BWP가 변화한 후에 타이밍 선행을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값에 따라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타이밍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gNB(NR에서의 기지국)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실시예 3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는 중앙 처리 장치(CPU)(1001) 및 메모리(10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002)는 중앙 처리 장치(1001)에 결합된다. 메모리(1002)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단말기 장비에 의해 송신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 장비에 다양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중앙 처리 장치(1001)의 제어 하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한 구현에서,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장치(1001) 내로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장치(1001)는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하고;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장치의 기능들은 본원에 포함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 하나의 구현에서,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1001)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는 그것의 기능들이 중앙 처리 장치(1001)의 제어 하에서 실현되는, 중앙 처리 장치(10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는 송수신기(1003), 및 안테나(10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에서의 것들과 유사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는 도 10에 도시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는 도 10에 도시하지 않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SCS와 관련된 타이밍 선행 값(TA)을 TA 명령을 통해 송신하고, TTA를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에 의한 기준 SCS에 대한 이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TTA를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대한 이해와 일치하여, 업링크 송신의 정확한 타이밍 선행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장비를 지원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 6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4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비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단말기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말기 장비(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1101) 및 메모리(11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102)는 중앙 처리 장치(1101)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이고, 다른 유형들의 구조들이 이 구조를 보완 또는 대체하고 원거리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한 구현에서, 실시예 4에서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장치(1101) 내로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장치(1101)는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하고;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은 본원에 포함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 하나의 구현에서,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1101)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는 그것의 기능들이 중앙 처리 장치(1101)의 제어 하에서 실현되는, 중앙 처리 장치(11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말기 장비(1100)는 통신 모듈(1103), 입력 유닛(1104), 오디오 프로세서(1105), 디스플레이(1106), 및 전원(110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장비(1100)는 도 11에 도시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고, 상기 컴포넌트들은 필수적이 아니고; 또한 단말기 장비(1100)는 도 11에 도시하지 않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 처리 장치(1101)는 때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논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기 또는 컨트롤이라고 하고, 중앙 처리 장치(1101)는 입력들을 수신하고 단말기 장비(1100)의 모든 컴포넌트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102)는 예를 들어, 구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관련된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이동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1101)는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하도록, 메모리(1102)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에서의 것들과 유사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기 장비(11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특정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 장비로,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송신의 UL BWP가 변화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장비는 UL BWP가 변화한 후에 타이밍 선행을 고유하게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값에 따라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 장비의 업링크 타이밍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실시예 5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이고, 단말기 장비는 예를 들어, 실시예 6에서 설명된 단말기 장비(1100)이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NR에서의 gNB일 수 있고,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 외에, 그것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비는 예를 들어, gNB에 의해 서빙되는 UE일 수 있고,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의 기능들 외에, 그것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말기 장비의 통상적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 8
LTE 시스템에서, 단말기 장비가 제n 서브프레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면, 그것은 제(n+6)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는 TA 명령에 따라 조정된 타이밍 선행을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NR 시스템에서,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슬롯은 14개 미만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것이 정해진다. 또한, NR 시스템은 복수의 유형들의 SCS를 지원하고,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심볼 시간 길이들은 상이하다. 따라서,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슬롯들 또는 동일한 수들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서브-슬롯들의 심볼 시간 길이들도 또한 상이하다. 도 12는 상이한 SCS들이 NR 시스템에서 대응하는 상이한 심볼 시간 길이들을 도시하고; 15㎑가 대응하는 슬롯들의 절대 시간 길이는 1㎳이다.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과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에 기초하여 계산 또는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이 슬롯들, 서브-슬롯들 또는 심볼들의 수로서 정의되면, 그것은 단말기 장비로 하여금,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조정된 타이밍 선행을 사용함으로써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시작할 뚜렷한 시점을 알 수 없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기 장비에 적용가능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방법은
단계 1301: 단말기 장비가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TA 명령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포함함 -;
단계 1302: 단말기 장비가 TA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및
단계 1303: 단말기 장비가 제1 시점 후에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들의 실행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계들 1302 및 1303은 동시에 실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 1302는 단계 1303 전에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은 또한 TA 조정 파라미터라고 할 수 있고, 그것의 의미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비는 조정된 타이밍 선행을 직접 결정할 수 있고,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또는 단말기 장비는 현재의 타이밍 선행에 대한 조정의 양을 결정할 수 있고,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시점은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이 적용되는 제1 시간 단위의 리딩 에지이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제1 시점의 위치는 단말기 장비의 제2 기준 SCS와 상관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시점의 위치는 다음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제2 기준 SCS와 가능하게 상관될 수 있다.
단말기 장비는 제n 시간 단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고, 단말기 장비는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n+N) 시간 단위에서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기 시작하고, n은 자연수이고 N은 양의 정수(예를 들어, N=5, 6, 8, 16, 18, 20)라고 가정한다. 시간 단위가 타임 슬롯 또는 서브-타임 슬롯이면, 제1 시점의 위치는 제2 기준 SCS에 기초하는 제(n+N) 시간 단위의 리딩 에지이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시간 단위들의 길이들은 이 때 상이하고, 그러므로, 상이한 제2 기준 SCS들의 값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 시점의 위치들은 상이하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간격들은 상이하고, 간격들은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 단위와 단말기 장비가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TA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기 시작하는 시간 단위 사이에 있다. 예를 들어, 15㎑의 SCS에 대해, 단말기 장비는 제n 시간 단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고, 제(n+N1) 시간 단위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고; 30㎑의 SCS에 대해, 단말기 장비는 제n 시간 단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고, 제(n+N2) 시간 단위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고, 여기서, N1은 N2와 동일하지 않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SCS들이 대응하는 간격들이 기초로 하는 시간 단위들은 상이하고, 간격들은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TA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기 시작하는 것 사이에 있다. 예를 들어, 15㎑의 SCS에 대해, 단말기 장비는 제n 서브프레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고, 제(n+N1)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고; 30㎑의 SCS에 대해, 단말기 장비는 제n 슬롯에서 TA 명령을 수신하고, 제(n+N2) 슬롯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고, 여기서, N1은 N2와 동일하지 않다.
한 예에서, 상기 제2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다는 것은 단말기 장비가 공장을 떠나기 전에 제2 기준 SCS가 단말기 장비 내에 미리 설정된다는 것을 말하고, 제2 기준 SCS을 미리 정하고 미리 구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1 기준 SCS를 미리 정하거나 미리 구성하는 위에 설명된 방식이 참조될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구현에서, 제2 기준 SCS는 제1 기준 SCS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그들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제1 기준 SCS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시에 단말기 장비의 기준 SCS이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기준 SCS는 또한 제1 구성 정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고, 제1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SCS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는 제2 기준 SCS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이 구현에서, 제1 구성 정보가 제2 기준 SCS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제1 구성 정보는 다음의 정보 또는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캐리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제어 채널, MAC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 이들 시그널링의 정의들 또는 구현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표준들이 참조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구성 정보가 제2 기준 SCS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사용될 때, 제1 구성 정보는 단말기 장비에 활성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표시하기 위해 추가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기준 SCS는 활성 업링크 BWP(UL BWP)의 SCS이다.
본 실시예의 또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시점의 위치는 또한 단말기 장비의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관련될 수 있고, 또는 제2 기준 SCS와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동시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의 (대역 1이라고 하는) 동작 대역이 6㎓보다 높을 때, 제1 시점의 위치는 (SCS_4와 같은) SCS에 기초하는 제(n+N1) 시간 단위의 리딩 에지일 수 있고; 서빙 셀의 (대역 2라고 하는) 동작 대역이 6㎓보다 낮을 때, 제1 시점의 위치는 (SCS_5와 같은) SCS에 기초하는 제(n+N2) 시간 단위의 리딩 에지일 수 있다. 이 예에서, SCS_4와 SCS_5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N1은 N2와 동일하지 않다. 즉, 이 예에서, 제1 시점의 위치는 단지 단말기 장비의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관련된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서빙 셀의 동작 대역이 6㎓보다 높을 때, 제1 시점의 위치는 제(n+N1) 시간 단위의 리딩 에지일 수 있고; 서빙 셀의 동작 대역이 6㎓보다 낮을 때, 제1 시점의 위치는 제(n+N2) 시간 단위의 리딩 에지일 수 있고, 시간 단위의 인덱스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된 제2 기준 SCS와 관련된다. 즉, 이 예에서, 제1 시점의 위치는 상기 제2 기준 SCS와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동시에 관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기준 SCS 또는 제2 기준 SCS가 TA 명령이 대응하는 TAG 내의 활성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때, 제1 기준 SCS 또는 제2 기준 SCS는 UL BWP(들)의 활성화/비활성화와 함께 변화할 수 있고, UL BWP 활성화 표시가 유효한 제2 시점의 위치에 대한 TA 명령이 유효하기 시작하는 제1 시점의 위치는 조정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한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고, 제2 구성 정보는 단말기 장비에 활성 업링크 대역폭 부분(UL BWP)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활성 UL BWP가 제1 구성 정보를 통해 표시되는 이 구현 및 상기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는 제2 시점 후에 활성 UL BWP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순간에, 제2 시점은 제1 시점 또는 타임라인 상의 상기 제1 시점 후와 동일하다. 또한, 단말기 장비가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 UL BWP를 또한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단말기 장비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 단위의 순차 번호이고, k는 단말기 장비가 TA 명령을 수신한 후로부터 위에 설명된 제1 시점 전까지의 시간 단위들의 합 이상이다. 여기서,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고, n과 k 둘 다는 자연수들이다.
이 구현에서, 단말기 장비는 상기 제1 시점 전에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구성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채널 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RRC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캐리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말기 장비는 조정된 타이밍 선행이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되는 뚜렷한 시점을 알아낼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에서, 제1 기준 SCS가 TA 명령과 연관된 TAG 내의 TA 명령이 유효할 때 UE 측에서의 기준 SCS이고 UE 측에서의 기준 SCS가 활성 UL BWP(들)의 최대 또는 최소 SCS일 때, 업링크 타이밍 선행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TA 명령을 송신하기 전에 활성 UL BWP(들)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TA 명령이 유효한 시간은 활성 UL BWP(들)의 시간과 정렬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기 장비에 적용가능한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활성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방법은
단계 1401: 단말기 장비가 제n 시간 단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구성 정보는 단말기 장비에 활성 UL BWP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단계 1402: 단말기 장비가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 UL BWP를 사용하는 단계 -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k는 양의 정수이고 K(예를 들어, K=5, 6, 8, 16, 18, 20) 이상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임 -
를 포함한다.
K는 타이밍 선행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타이밍 선행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것 사이의 시간 단위들의 수이고, 즉, 단말기 장비가 제n 시간 단위에서 TA 명령을 수신하면, 제(n+k) 시간 단위에서, 그것은 TA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비는 제n 시간 단위 후와 제(n+k) 시간 단위 전에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TA 명령의 유효 시간은 활성 업링크 BWP의 시간과 정렬되게 될 수 있다.
실시예 10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은 실시예 8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특정한 구현을 위해 실시예 8의 방법의 구현이 참조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는 장치(1500)는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1501) - TA 명령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포함함 -;
TA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1502); 및
제1 시점 후에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503)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시점은 제2 기준 SCS와 상관되고/되거나, 그들이 상관되는 양태/양태들은 실시예 8에서 설명된 것과 같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고; 제1 시점은 단말기 장비의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상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기준 SCS는 제1 기준 SCS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제1 기준 SCS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장비의 기준 SCS이다.
한 구현에서, 제2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된다. 미리 정해진다는 것은 단말기 장비가 공장을 떠나기 전에 제2 기준 SCS가 단말기 장비 내에 미리 설정된다는 것을 말한다.
또 하나의 구현에서, 제2 기준 SC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에 따라 획득된다. 이 구현에서, 수신 유닛(150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고, 제1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SCS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는 제2 기준 SCS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이 구현에서, 제1 구성 정보가 제2 기준 SCS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제1 구성 정보는 다음의 정보 또는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캐리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제어 채널, MAC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
이 구현에서, 제1 구성 정보가 제2 기준 SCS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될 때, 제1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활성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표시하기 위해 추가로 사용되고, 제2 기준 SCS는 활성 UL BWP의 SCS이다.
본 실시예의 또 하나의 구현에서, 수신 유닛(150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고, 제2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활성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구현에서, 처리 유닛(1503)은 제2 시점 후에 활성 UL BWP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시점은 제1 시점 또는 타임라인 상의 제1 시점 후와 동일하다.
이 구현에서, 처리 유닛(1503)은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 UL BWP를 또한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 시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간 단위의 순차 번호이고, k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수신한 후와 제1 시점 전의 시간 단위들의 합 이상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이고, n과 k는 자연수들이다.
이 구현에서, 수신 유닛(1501)은 상기 제1 시점 전에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성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채널, 또는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에서 캐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단말기 장비는 조정된 타이밍 선행이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되는 뚜렷한 시점을 알아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활성화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은 실시예 9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특정한 구현을 위해 실시예 9의 방법의 구현이 참조될 수 있고,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업링크 대역폭 부분에 대한 활성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업링크 대역폭 부분에 대한 활성화 장치(1600)는
제n 시간 단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1601) -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활성화된 UL BWP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화된 UL BWP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602) -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k는 양의 정수이고 K 이상이고, K는 타이밍 선행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타이밍 선행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것 사이의 시간 단위들의 수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임 -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1601)은 제n 시간 단위 후와 제(n+k) 시간 단위 전에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TA 명령의 유효 시간은 활성 UL BWP의 시간과 정렬되게 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10 또는 1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비를 제공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단말기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말기 장비(1700)는 중앙 처리 장치(CPU)(1701) 및 메모리(17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702)는 중앙 처리 장치(1701)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이고, 다른 유형들의 구조들이 이 구조를 보완 또는 대체하고 원거리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한 구현에서, 실시예 10 또는 11에서의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장치(1701) 내로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장치(1701)는 실시예 10 또는 11에서의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하고; 실시예 10 또는 11에서의 장치의 기능들은 본원에 포함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 하나의 구현에서, 실시예 10 또는 11에서의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1701)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0 또는 11에서의 장치는 그것의 기능들이 중앙 처리 장치(1701)의 제어 하에서 실현되는, 중앙 처리 장치(17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말기 장비(1700)는 통신 모듈(1703), 입력 유닛(1704), 오디오 프로세서(1705), 디스플레이(1706), 및 전원(170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장비(1700)는 도 17에 도시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고, 상기 컴포넌트들은 필수적이 아니고; 또한 단말기 장비(1700)는 도 17에 도시하지 않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 처리 장치(1701)는 때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논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기 또는 컨트롤이라고 하고, 중앙 처리 장치(1701)는 입력들을 수신하고 단말기 장비(1700)의 모든 컴포넌트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702)는 예를 들어, 구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관련된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이동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1701)는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하도록, 메모리(1702)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에서의 것들과 유사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기 장비(17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특정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 장비로, 실시예 10에서 설명된 장치가 구성될 때, TA 명령을 수신한 후에, 단말기 장비는 조정된 타이밍 선행이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길 시작할 때 뚜렷한 시점을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1에서 설명된 장치가 구성될 때, TA 명령의 유효 시간은 활성 업링크 BWP의 시간과 정렬되게 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실시예 5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000)이고, 단말기 장비는 예를 들어, 실시예 12에서 설명된 단말기 장비(1100)이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NR에서의 gNB일 수 있고,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는 장치의 기능들 외에, 그것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비는 예를 들어, gNB에 의해 서빙되는 UE일 수 있고, 실시예 4 또는 10 또는 11에서의 장치의 기능들 외에, 그것은 도 6 또는 1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말기 장비의 통상적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이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기 장비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기 장비에서, 실시예 2, 또는 8, 또는 9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기 장비에서, 실시예 2, 또는 8, 또는 9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논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논리 디바이스가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하게 하거나,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들/장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직접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거나,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각각 도 5에 도시한 단계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퍼밍(firm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형태들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메모리 매체 내로 정보를 기입할 수 있고; 또는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고, 플러그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카드 내에 또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와 같은) 장비가 비교적 큰 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큰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하면, 소프트 모듈들은 큰 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 내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블록 및/또는 기능적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유니버설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들, 분리된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분리된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내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블록도 및/또는 기능적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또한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 DSP와 통신 조합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그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비의 조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변화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든다.
상기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구현들을 위해, 다음의 보충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보충 1. 단말기 장비 내에 구성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는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TA 명령은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포함함 -;
TA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제1 시점 후에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을 포함하고,
제1 시점은 제2 기준 SCS와 상관되고, 제2 기준 SCS는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구성되고/되거나;
제1 시점은 단말기 장비의 서빙 셀의 동작 대역과 상관된다.
보충 2. 보충 1의 장치에 있어서, 제2 기준 SCS가 미리 정해진다는 것은 단말기 장비가 공장을 떠나기 전에 SCS가 단말기 장비 내에 미리 설정된다는 것을 말한다.
보충 3. 보충 1의 장치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고, 제1 구성 정보는 제2 기준 SCS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는 제2 기준 SCS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보충 4. 보충들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제2 기준 SCS는 제1 기준 SCS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제1 기준 SCS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장비의 기준 SCS이다.
보충 5. 보충 3의 장치에 있어서, 제1 구성 정보가 제2 기준 SCS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제1 구성 정보는 다음의 정보 또는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캐리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제어 채널, MAC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
보충 6. 보충 3의 장치에 있어서, 제1 구성 정보가 제2 기준 SCS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될 때, 제1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활성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표시하기 위해 추가로 사용되고, 제2 기준 SCS는 활성 UL BWP의 SCS이다.
보충 7. 보충 1의 장치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고, 제2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활성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충 8. 보충 6 또는 7의 장치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제2 시점 후의 활성 UL BWP를 사용하고, 제2 시점은 제1 시점 또는 타임라인 상의 상기 제1 시점 후와 동일하다.
보충 9. 보충 6 또는 7의 장치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 UL BWP를 사용하고; 여기서, n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데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간 단위의 순차 번호이고, k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TA 명령을 수신한 후와 제1 시점 전의 시간 단위들의 합 이상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이고, n과 k는 자연수들이다.
보충 10. 보충들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제1 시점 전에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보충 11. 보충들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제2 구성 정보는 물리적 계층 제어 채널, 또는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에서 캐리된다.
보충 12. 단말기 장비 내에 구성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활성화 장치는
제n 시간 단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구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활성화된 UL BWP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n+k) 시간 단위로부터 시작하는 활성화된 UL BWP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k는 양의 정수이고 K보다 크고, K는 타이밍 선행 명령을 수신하는 것과 타이밍 선행 명령에 기초하여 조정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적용하는 것 사이의 시간 단위들의 수이고,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이다.
보충 13. 보충 12의 장치에 있어서, 수신 유닛은 제n 시간 단위 후와 제(n+k) 시간 단위 전에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한다.

Claims (19)

  1.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 구성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이밍 선행 명령 값(timing advance command value)(TA)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 상기 TA는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기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및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 상기 TA 명령은 상기 TA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장비가 상기 TA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과 상기 단말기 장비가 대응하는 조정을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적용하는 시간 사이에 활성 업링크(UL) 대역폭 부분(BWP)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준 SCS는 상기 단말기 장비가 상기 대응하는 조정을 상기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적용할 때의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활성 UL BWP(들)의 최대 SCS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은 미리 정해지는 장치.
  3. 단말기 장비 내에 구성된,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고 업링크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 내의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TA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TA와 관련되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장비가 상기 TA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과 대응하는 조정을 상기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적용하는 시간 사이에 활성 업링크(UL) 대역폭 부분(BWP)을 변경시키는 경우, 상기 제1 기준 SCS는 상기 단말기 장비가 상기 대응하는 조정을 상기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적용할 때의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활성 UL BWP(들)의 최대 SCS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은 미리 정해지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업링크 송신 시간이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장비 측에서의 기준 SCS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 또는 조정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대한 조정을 적용한 후에 상기 단말기 장비가 활성 UL BWP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단말기 장비는 상기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일한 타이밍 선행 명령 값을 상기 활성 UL BWP 변화 전 및 후에 유지하는 장치.
  7.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고 - 상기 TA는 제1 기준 서브캐리어 간격(SCS)과 관련됨 -;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송신하도록 - 상기 TA 명령은 상기 TA를 포함함 -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장비는
    상기 TA 명령 내의 상기 타이밍 선행 명령 값(TA)을 획득하도록 상기 타이밍 선행 명령(TA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TA와 관련된 제1 기준 SCS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기준 SCS에 기초하여 타이밍 선행(TTA)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장비가 상기 TA 명령을 수신하는 시간과 대응하는 조정을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적용하는 시간 사이에 활성 업링크(UL) 대역폭 부분(BWP)을 변경시키는 경우, 상기 제1 기준 SCS는 상기 단말기 장비가 상기 대응하는 조정을 상기 업링크 송신 타이밍에 적용할 때의 상기 TA 명령이 대응하는 타이밍 선행 그룹(TAG) 내의 활성 UL BWP(들)의 최대 SCS인 통신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07019295A 2018-01-10 2018-01-10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2401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2163 WO2019136649A1 (zh) 2018-01-10 2018-01-10 上行传输定时提前量的获取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904A KR20200090904A (ko) 2020-07-29
KR102401861B1 true KR102401861B1 (ko) 2022-05-25

Family

ID=6721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295A KR102401861B1 (ko) 2018-01-10 2018-01-10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68932B2 (ko)
EP (1) EP3739974A4 (ko)
JP (2) JP7074195B2 (ko)
KR (1) KR102401861B1 (ko)
CN (2) CN111448833B (ko)
WO (1) WO2019136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1387A1 (en) * 2017-11-17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ta-offset in nr
KR102638627B1 (ko) * 2018-02-23 2024-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수행 시 설정된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24295A1 (en) * 2018-08-03 2020-02-06 Nec Corporation Timing adjustment
US20210377988A1 (en) * 2018-11-05 2021-12-02 Apple Inc. Mechanisms for bandwidth part (bwp) switching in a new radio (nr) network
CN111356238A (zh) * 2018-12-24 2020-06-30 夏普株式会社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CN111526576B (zh) * 2019-02-01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定时提前的更新方法、装置、设备与存储介质
EP3952556A1 (en) * 2019-03-29 2022-02-09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3892290A (zh) * 2021-09-03 2022-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定时提前值上报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832091B2 (en) * 2021-12-16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uplink communication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6410B2 (ja) * 2006-07-27 2009-04-22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CN102227939B (zh) * 2009-10-30 2013-09-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同步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2812760B (zh) * 2010-02-15 2016-03-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电通信系统中的方法和装置
JP5789668B2 (ja) * 2010-09-30 2015-10-0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複数のアップリンク・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に関する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構成
US9344985B2 (en) * 2011-03-08 2016-05-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opagation delay difference reporting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EP2557867A1 (en) * 2011-08-11 2013-02-13 Panasonic Corporation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multiple uplink component carriers
CN102695164A (zh) * 2011-03-21 2012-09-26 华为技术有限公司 定时提前值的更新处理方法、基站、用户设备及系统
CN103298136B (zh) 2012-02-29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终端、基站及系统
US9215678B2 (en) * 2012-04-01 2015-12-15 Ofinno Technologies, Llc Timing advance timer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CN104348603B (zh) * 2013-07-30 2020-06-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配置上行传输定时的方法和设备
CN105247933B (zh) * 2013-08-09 2019-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时调整方法及装置
EP3143827A1 (en) * 2014-05-16 2017-03-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activity timer in a wireless network
WO2016004634A1 (en)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160174177A1 (en) * 2014-12-12 2016-06-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iming advance methods and apparatuses
US10159092B2 (en) * 2015-02-26 2018-12-18 Hfi Innovation Inc. Uplink contention based multiple access for cellular IoT
US10531451B2 (en) * 2015-05-18 2020-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advance for dual connectivity
CN107005989B (zh) * 2015-09-23 2020-09-04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网络设备、上行参考信号发送方法和接收方法
CN106993335B (zh) * 2016-01-21 202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前导码发送、接收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US10673672B2 (en) * 2016-09-30 2020-06-0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signals and random access for flexible radio communication
US11497015B2 (en) * 2016-09-30 2022-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nomous timing adjustment for a wireless device
US10863380B2 (en) * 2017-03-16 2020-12-08 Ofinno, Llc Buffer status reporting procedure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856174B2 (en) * 2017-03-16 2020-12-01 Ofinno, Llc Buffer status report control
US10368334B2 (en) * 2017-03-17 2019-07-30 Ofinno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 paging area configuration
US10349380B2 (en) * 2017-03-17 2019-07-09 Ofinno, Llc Radio access network area information
US10849022B2 (en) * 2017-03-17 2020-11-24 Ofinno, Llc Cell selection of inactive state wireless device
US10264622B2 (en) * 2017-03-17 2019-04-16 Ofinno Technologies, Llc Inactive state data forwarding
US10448423B2 (en) * 2017-03-22 2019-10-15 Ofinno, Llc Data multiplexing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716094B2 (en) * 2017-03-23 2020-07-14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873911B2 (en) * 2017-03-23 2020-12-22 Ofinno, LCC Uplink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US11240774B2 (en) * 2017-06-02 2022-02-01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group for new radio
US10764888B2 (en) * 2017-07-27 2020-09-01 Yeongmoon SO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SCS
US11032816B2 (en) * 2017-08-10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variable timing adjustment granularity
WO2019031872A1 (en) * 2017-08-10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DETERMINATION
EP3664527B1 (en) * 2017-08-11 2022-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djusting uplink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9051242A2 (en) * 2017-09-08 2019-03-14 Convida Wireless, Llc COMMUNICATION MANAGEMENT USING DOWNLINK COMMAND INFORMATION
KR102417648B1 (ko) * 2017-09-11 2022-07-07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다수의 뉴머럴러지를 가진 업 링크 타이밍 조정
BR112020008456A2 (pt) * 2017-10-31 2020-11-03 Ntt Docomo, Inc. terminal e método de transmissão para um terminal
US11540256B2 (en) * 2017-11-03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granularity for uplink with different numerologies
EP3711387A1 (en) * 2017-11-17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ta-offset in nr
US10893496B2 (en) * 2017-12-19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Beam specific timing advance command parameters
US10784944B2 (en) * 2018-01-09 2020-09-22 Ofinno, Llc Timing advance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PL3866376T3 (pl) * 2018-01-09 2023-02-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rocesy warstwy fizycznej i mac w urządzeniu bezprzewodowym
US10750534B2 (en) * 2018-01-09 2020-08-18 Yeongmoon SO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transmi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20653*
3GPP R1-17207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0249A (ja) 2021-04-15
CN114845378A (zh) 2022-08-02
CN111448833B (zh) 2022-06-14
US11800477B2 (en) 2023-10-24
CN114845378B (zh) 2023-11-24
JP7074195B2 (ja) 2022-05-24
US20200337011A1 (en) 2020-10-22
JP7409429B2 (ja) 2024-01-09
EP3739974A1 (en) 2020-11-18
CN111448833A (zh) 2020-07-24
JP2022097677A (ja) 2022-06-30
KR20200090904A (ko) 2020-07-29
WO2019136649A1 (zh) 2019-07-18
US11368932B2 (en) 2022-06-21
EP3739974A4 (en) 2021-01-06
US20220286990A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861B1 (ko) 업링크 송신 타이밍 선행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통신 시스템
JP6653394B2 (ja) アップリンク送信タイミング制御
RU2717553C1 (ru) Автономная коррекция временной диаграммы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671502B2 (ja) 拡張カバレッジモードにおける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コマンドの適用
US10979951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7156477B2 (ja) 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JP65805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最大上りリンク送信電力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RU2726641C1 (ru) Сигнализация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опорных сигналов в слотах и минислотах
EP3648389B1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relay device
CN111869152A (zh) 波束指示方法、装置和系统
WO2019106050A1 (en) Switching of transmission between cell groups
CN113498627B (zh) 信号接收或发送方法、装置和系统
WO20201657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rs switching impact control
EP391104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220394781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7487785B2 (ja) 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及び装置
EP3624383A1 (en) Nr-lte coexisting operation for uplink
WO2024020922A1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JP2024069386A (ja) 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及び装置
JP2022191326A (ja) 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CN118120302A (zh) 维护上行时间同步的方法以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