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814B1 -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814B1
KR102401814B1 KR1020200113677A KR20200113677A KR102401814B1 KR 102401814 B1 KR102401814 B1 KR 102401814B1 KR 1020200113677 A KR1020200113677 A KR 1020200113677A KR 20200113677 A KR20200113677 A KR 20200113677A KR 102401814 B1 KR102401814 B1 KR 10240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nose plug
entrance hole
proced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193A (ko
Inventor
박준욱
송재훈
이동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814B1/ko
Priority to PCT/KR2021/009527 priority patent/WO2022050569A1/ko
Publication of KR2022003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93A/ko
Priority to KR1020220061674A priority patent/KR102553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3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nose, i.e. nasoscopes, e.g. testing of patency of Eustachia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을 갖는 코마개 몸체; 및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할 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에 밀착하여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NOSE STOPPER AND MAS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자의 콧구멍에 시술 및 검사기구 삽입시, 환자의 자연적인 호흡에 의해 배출되는 비말을 통하여 주변 의료인이나 주변 환자에게 호흡기 감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나 조류 인플루엔자와 더불어 2019년 12월경 중국 우한에서 출현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인 COVID-19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가 바이러스 감염이 퍼지는 판데믹(pandemic: 감염 폭발)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어, 긴급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COVID-19에 대한 백신은 없는 상황이고, COVID-19의 확진자는 국내 및 해외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환자의 호흡기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콧구멍에 내시경과 같은 시술 및 검사기구를 삽입하여 환자의 비강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그런데, 환자가 COVID-19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 환자인 경우, 환자의 콧구멍에 시술 및 검사기구 삽입시, 환자의 자연적인 호흡에 의해 배출되는 비말을 통하여 주변 의료인이나 주변 환자에게 호흡기 감염병이 전파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0079호(2015.11.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콧구멍에 시술 및 검사기구 삽입시, 환자의 자연적인 호흡에 의한 비말 배출을 차단하여, 주변 의료인이나 주변 환자에게 호흡기 감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는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을 갖는 코마개 몸체; 및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할 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에 밀착하여 상기 출입공을 밀폐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다수로 구성되고, 다수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출입공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배열되며, 다수의 상기 밀폐부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공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출입공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배치될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마개 몸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코마개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벤딩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코마개 몸체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시술 및 검사기구의 출입시 비말 흐름을 차단하는 코마개; 및 상기 코마개와 결합되어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마개는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이 형성된 코마개 몸체; 및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는 상기 출입공이 노출되도록 관통된 노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환자의 콧구멍에 시술 및 검사기구 삽입시, 환자의 자연적인 호흡에 의한 비말 배출을 차단하여, 주변 의료인이나 주변 환자에게 호흡기 감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에 시술 및 검사기구가 관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에 시술 및 검사기구가 관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시술 및 검사기구가 관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에 시술 및 검사기구가 관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에 시술 및 검사기구가 관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는 코마개 몸체(10) 및 밀폐부재(2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코마개 몸체(10)는 콧구멍에 착용되고, 코마개 몸체(10)의 내부에는 내시경과 같은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11)이 형성되며,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을 밀폐한다. 따라서,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에 내시경과 같은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되는 경우,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을 차단하여, 비말 감염을 방지한다. 특히, 밀폐부재(20)는 시술 및 검사기구(1)가 관통된 상태에서도,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을 차단하여,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코마개 몸체(10)는 콧구멍에 착용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코마개 몸체(10)는 콧구멍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코마개 몸체(10)가 콧구멍에 삽입될 때, 코마개 몸체(10)가 콧구멍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마개 몸체(10)의 내부에는 코마개 몸체(10)가 콧구멍에 착용되는 동안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11)이 형성된다.
예를들면, 출입공(11)은 코마개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입공(11)에는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출입공(11)에 출입된 시술 및 검사기구(1)를 이용하여 비강의 점막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호흡기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밀폐부재(20)는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출입공(11) 출입시,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폐부재(2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의 특정 깊이를 덮는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20)에 출입공(11)에 출입된 시술 및 검사기구(1)가 관통되는 경우, 밀폐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폐부재(20)가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 결과,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출입공(11) 출입시,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른예로, 밀폐부재(20)는 막 형태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절개부(21)에 의해 밀폐부재(20)는 다수의 단위부재(22)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단위부재(22)에 출입공(11)에 출입된 시술 및 검사기구(1)가 관통되는 경우, 다수의 단위부재(22)는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시술 및 검사기구(1)는 다수의 단위부재(22)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자유롭게 이동하여도, 다수의 단위부재(22)는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출입공(11) 출입시, 다수의 단위부재(22)는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밀폐부재(20)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배치될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말해,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의 특정 깊이를 덮는 막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밀폐부재(20)의 직경은 출입공(11)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출입공(11)은 출입공(1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출입공(1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배치될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출입공(11)은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밀폐부재(20)는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출입공(11)의 최초 출입시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를 크게 제한하지 않으나, 이후,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공(11)에 출입되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를 점차 제한함으로써, 시술 및 검사기구(1)의 말단이 콧구멍의 내벽을 접촉 및 자극하여 재채기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1밀폐부재(20a), 제2밀폐부재(20b) 및 제3밀폐부재(20c)를 예시를 들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밀폐부재(20a)는 출입공(11)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1직경을 가지며, 제2밀폐부재(20b)는 출입공(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되고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가지며, 제3밀폐부재(20c)는 출입공(11)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2직경보다 작은 제3직경을 갖는다.
이 때,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출입공(11)의 출입시, 시술 및 검사기구(1)는 제1밀폐부재(20a)에 최초로 관통되는데, 제1밀폐부재(20a)는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를 크게 제한하지 않으므로,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쉽게 틸팅될 수 있다. 이 후, 시술 및 검사기구(1)는 제2밀폐부재(20b)에 관통되는데, 제2밀폐부재(20b)는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를 제2직경으로 제한하므로, 그로 인해,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가 1차로 제한된다. 이 후, 시술 및 검사기구(1)는 제3밀폐부재(20c)에 관통되는데, 제3밀폐부재(20c)는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를 제2직경으로 제한하므로, 그로 인해, 시술 및 검사기구(1)의 틸팅 각도가 2차로 제한된다. 이후, 시술 및 검사기구(1)는 제1밀폐부재(20a) 내지 제3밀폐부재(20c)에 의해 밀팅 각도가 제한된 상태로 출입공(11)을 관통한다. 그 결과, 시술 및 검사기구(1)의 말단이 콧구멍의 내벽을 접촉 및 자극하여 재채기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시술자가 코마개 몸체(10)를 피시술자의 콧구멍에 착용시켜서, 피시술자의 콧구멍에서의 비말 흐름을 차단한다.
여기서, 피시술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인 경우, 시술자는 피시술자가 착용한 마스크를 내려서 코를 노출시킨 후, 코마개 몸체(10)를 피시줄자의 콧구멍에 착용시킨다.
다음으로, 시술자가 시술 및 검사기구(1)를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에 출입시킨다.
여기서,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에 출입된 시술 및 검사기구(1)가 밀폐부재(20)에 관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밀폐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부재(20)가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20)가 다수의 단위부재(22)로 분리되고,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에 출입된 시술 및 검사기구(1)가 다수의 단위부재(22)에 관통되는 경우, 다수의 단위부재(22)는 시술 및 검사기구(1)가 출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술 및 검사기구(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출입공(11)에서의 비말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술자가 시술 및 검사기구(1)를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에서 이탈시킨 후, 코마개 몸체(10)를 피시술자의 콧구멍에서 분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마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코마개 몸체(10)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부(3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30)의 벤딩에 의해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3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결부(30)의 일면을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벤딩하면,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 간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 간의 간격이 피시술자의 한 쌍의 콧구멍 간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연결부(30)는 일정 곡률로 곡률진 곡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코마개 몸체(10)는 곡판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코마개 몸체(10)는 연결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코마개 몸체(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연결부(30)에는 돌출부(12)에 대응하는 삽입홀(31)이 형성되며, 코마개 몸체(10)의 돌출부(12)가 연결부(30)의 삽입홀(3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2)와 삽입홀(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부(12)와 삽입홀(31)은 다각형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시술 및 검사기구(1)가 관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코마개 및 마스크 몸체(40)를 포함한다.
코마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 몸체(40)는 코마개와 결합되어 입을 커버한다. 이러한 마스크 몸체(40)에는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이 노출되도록 관통된 노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피시술자가 마스크 몸체(4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노출부(41)를 통해 노출된 코마개 몸체(10)의 출입공(11)으로 시술 및 검사기구(1)를 출입시킬 수 있다.
한편, 마스크는 한 쌍의 귀끈(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귀끈(50)은 마스크 몸체(40)의 양측에 연결되고, 귀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귀끈(50)은 고무밴드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한 쌍의 귀끈(50)이 한 쌍의 접착부재(60)로 대체된다.
한 쌍의 접착부재(60)는 마스크 몸체(40)의 양측에 결합되고, 안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60)는 양면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콧구멍에 시술 및 검사기구 삽입시, 환자의 자연적인 호흡에 의한 비말 배출을 차단하여, 주변 의료인이나 주변 환자에게 호흡기 감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시술 및 검사기구
10 : 코마개 몸체
11 : 출입공
12 : 돌출부
20 : 밀폐부재
20a : 제1밀폐부재
20b : 제2밀폐부재
20c : 제3밀폐부재
21 : 절개부
22 : 단위부재
30 : 연결부
31 : 삽입홀
40 : 마스크 몸체
41 : 노출부
50 : 귀끈
60 : 접착부재

Claims (12)

  1.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을 갖는 코마개 몸체;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할 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에 밀착하여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며,
    상기 출입공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밀폐부재는 다수로 구성되고, 다수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출입공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배열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되, 상기 출입공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배치될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출입공의 일단으로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개 몸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코마개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벤딩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코마개 몸체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개.
  8.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시술 및 검사기구의 출입시 비말 흐름을 차단하는 코마개; 및
    상기 코마개와 결합되어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마개는,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이 형성된 코마개 몸체;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공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밀폐부재는 다수로 구성되고, 다수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출입공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배열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되, 상기 출입공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배치될수록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출입공의 일단으로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는,
    상기 출입공이 노출되도록 관통된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2. 삭제
KR1020200113677A 2020-09-07 2020-09-07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40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7A KR102401814B1 (ko) 2020-09-07 2020-09-07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CT/KR2021/009527 WO2022050569A1 (ko) 2020-09-07 2021-07-23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220061674A KR102553950B1 (ko) 2020-09-07 2022-05-19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77A KR102401814B1 (ko) 2020-09-07 2020-09-07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74A Division KR102553950B1 (ko) 2020-09-07 2022-05-19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93A KR20220032193A (ko) 2022-03-15
KR102401814B1 true KR102401814B1 (ko) 2022-05-24

Family

ID=804912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77A KR102401814B1 (ko) 2020-09-07 2020-09-07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220061674A KR102553950B1 (ko) 2020-09-07 2022-05-19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74A KR102553950B1 (ko) 2020-09-07 2022-05-19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01814B1 (ko)
WO (1) WO202205056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18163U (zh) * 2010-03-30 2010-11-03 徐伟 一种婴儿用胃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221A (ja) * 1993-08-18 1995-02-28 Sumitomo Bakelite Co Ltd ガイドチューブ
KR100519464B1 (ko) * 2003-06-13 2005-10-10 유의성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KR101215209B1 (ko) * 2010-08-30 2012-12-24 최창익 체크밸브를 이용한 코마개
KR101639265B1 (ko) * 2014-04-02 2016-07-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KR20150130079A (ko) 2014-05-13 2015-11-23 서원준 내시경용 호흡마스크
CN107551381A (zh) * 2017-10-16 2018-01-09 李莉 一种具有保护功能的反向膨胀式鼻腔导管固定装置
KR20200062939A (ko) * 2018-11-27 2020-06-04 김제훈 내시경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18163U (zh) * 2010-03-30 2010-11-03 徐伟 一种婴儿用胃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950B1 (ko) 2023-07-07
KR20220032193A (ko) 2022-03-15
KR20220069912A (ko) 2022-05-27
WO2022050569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4454C (en) Exhalation scavenging therapy mask
US5398673A (en) Resuscitator-snorkel for land or water use
US5890488A (en) Coupling device and sound resonating membrane for a stethoscope and an endotracheal tube
US20030196664A1 (en) Inhalation face mask
US20100122704A1 (en) Combination anesthesia and scavenger surgical mask
US11020557B1 (en) Medical face mask
WO1997007846A9 (en) Coupling device for a stethoscope and an endotracheal tube
WO2018074840A2 (ko) 긴장성 기흉용 기체 제거 장치
AU2004268476B2 (en) Manually operated respiration apparatus, balloon unit and valve housing for a manually operated respiration apparatus, and manual artificial respiration method
KR102401814B1 (ko) 코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US20090217931A1 (en) Tongue-Holding Device
US20230285106A1 (en) Protective nasal mask device
JP4317457B2 (ja) 呼吸用保護具
KR20190034924A (ko) 기도유지 페이스마스크
US9724485B2 (en) Device for resuscitating victims of cardio-respiratory arrest
JP6586004B2 (ja) 鼻水吸引器
US20220023573A1 (en) Droplet isolation endoscopy mask
TW201021863A (en) A tracheostomy pad and a tracheostomy tube assembly with the tracheostomy pad
US10926063B2 (en) Decompression needle assembly
US20210329991A1 (en) Protective mask
CN210301964U (zh) 一种急诊内科使用的呼吸器
US20230069180A1 (en) Endoscope nosepiece and endoscope nosepiece disposal method
CN212789376U (zh) 一种一次性内窥镜检查隔离面罩
CA3220721A1 (en) Medical face mask
KR20220073336A (ko)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