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994B1 -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 Google Patents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994B1
KR102400994B1 KR1020200143662A KR20200143662A KR102400994B1 KR 102400994 B1 KR102400994 B1 KR 102400994B1 KR 1020200143662 A KR1020200143662 A KR 1020200143662A KR 20200143662 A KR20200143662 A KR 20200143662A KR 102400994 B1 KR102400994 B1 KR 10240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tex
dip molding
dip
latex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8184A (en
Inventor
김동환
김성률
한정원
정성훈
한형석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994B1/en
Publication of KR2022005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1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9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3/00Compositions of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08L13/02Latex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8L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08L9/04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이 개시된다.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ompris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 anionic dispersant and a filler,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are disclosed.

Description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ith excellent storage stabilit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eep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종래 의료용, 농축산물 가공용,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장갑의 주원료는 천연고무 라텍스였다. 그런데 천연고무 라텍스로부터 제조된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 천연고무 라텍스에 함유된 단백질에 의해 장갑의 사용자가 접촉성 알레르기 질환을 앓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The main raw material of gloves used for conventional medical,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cessing, and industrial use was natural rubber latex. However, when gloves made from natural rubber latex are used, the problem that the glove user suffers from a contact allergic disease has frequently occurred due to the protein contained in the natural rubber latex.

이에 천연고무 라텍스를 대체할 수 있는 장갑의 원료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와 같이 단백질을 포함하지 않는 합성고무 라텍스를 적용하여 장갑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천연고무 라텍스 장갑에 비하여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장갑은 천공강도가 높으므로, 날카로운 물체와 접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의료 내지 식품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장갑에서 구현된 천공강도, 인장강도, 신율 등은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According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nufacture raw materials for gloves that can replace natural rubber latex. For example,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nufacture gloves by applying a synthetic rubber latex that does not contain a protein, such as a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s compared to natural rubber latex gloves,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gloves have a higher puncture strength, and thus demand is increasing in the medical and food fields where contact with sharp objects frequently occurs. However, there are clearly limitations in the puncture strength, tensile strength, elongation, etc. implemented in the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gloves to date.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964278호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을 명칭으로 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알케닐 숙신산계 유화제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은 인장강도가 개선된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64278 discloses an invention with the name of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a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ncludes an alkenyl succinic acid-based emulsifier, and the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has improved tensile strength.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1839호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명칭으로 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 유화제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은 인장강도 내지 신율이 개선된다.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1839 discloses an invention with the name of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a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ncludes an emulsifier composed of a triblock copolymer, and the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has improved tensile strength or elongation.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1147호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명칭으로 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은 인장강도 내지 신율 등이 개선된다.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1147 discloses an invention with the name of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a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ncludes polyethylene glycol, and the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has improved tensile strength or elongation.

상기 발명들은 특수한 유화제를 첨가하거나 변성 단량체를 사용하여 딥 성형품의 물성을 개선하고 있으나, 기계적 물성을 균형적으로 개선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Although the above inventions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dip molded article by adding a special emulsifier or using a modified monomer, there is a limit in that mechanical properties cannot be improved in a balanced way.

그리고, 니트릴계 공중합체 장갑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딥 성형(Dip molding)과정에서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가 할라이드(halide)계인 칼슘 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CaCl2), 마그네슘 클로라이드(magnesium chloride, MgCl2), 바륨 클로라이드(barium chloride, BaCl2), 또는 나이트레이트(nitrate)계인 칼슘 나이트레이트(calcium nitrate, Ca(NO3)2), 마그네슘 나이트레이트(magnesium nitrate, Mg(NO3)2) 등의 양이온성 응고제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라텍스의 화학적 안정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니트릴계 공중합체 장갑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 또한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중합 이후 투입되는 입자형 첨가제가 높은 분산도로 도입되지 않으면 시간에 따른 라텍스의 저장 안정성 저하로 인하여 제조된 장갑의 물성 품질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itrile-based copolymer glove, in the dip molding process, the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s a halide-based calcium chloride (CaCl 2 ), magnesium chloride (MgCl 2 ) ), barium chloride (barium chloride, BaCl 2 ), or nitrate-based calcium nitrate (calcium nitrate, Ca(NO 3 ) 2 ), magnesium nitrate (magnesium nitrate, Mg(NO 3 ) 2 ),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latex is sharply deteriorated as it is exposed to a cationic coagulant for a long time. This reduces the productivity as well as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nitrile-based copolymer glove. In addition, if the particulate additive added after polymerization is not introduced with a high degree of dispersibi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quality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nufactured glove deteriorate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latex over time.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 목적은 딥 성형용 니트릴계 라텍스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딥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딥 성형용 니트릴계 라텍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딥 성형품을 제조하였을 때,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등 기계적 물성을 갖는 딥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purpose is to prevent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nitrile-based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from being lowe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dip molded article, and the nitrile for dip molding To provide a dip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hen a dip molded article is manufactured using the latex-based composition.

다른 일 목적은 입자형 첨가제로 인한 라텍스의 분산 안정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라텍스 저장소 내에서의 피막 형성을 현저히 저감시켜 최종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is to improv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latex due to the particulate additiv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film formation in the latex reservoir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일 측면에 따르면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re is provided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omprising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 anionic dispersant and a fill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공액 디엔계 단량체 45~80중량%;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15~45중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45 to 80% by weight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15 to 45% by weight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1 to 10% by weight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2-ethyl-1,3-butadiene, 1,3-pentadiene, isoprene, and these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humaronitrile, α-chloronitrile, α-cyano ethyl acrylonitril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can be o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스티렌 술폰산, 푸마르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2-히드록시 프로필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citraconic acid anhydride, styrene sulfonic acid, monobutyl fumarate, monobutyl maleate, mono-2 maleic acid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 propyl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중량부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be 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틸레이트, 비닐메톡시아세테이트, 벤조산 비닐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량체를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80중량%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comprises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methoxyacetate, vinyl benzoat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It may contain 2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50,000 g/mol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50,000 g/mo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anionic dispersant may be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스,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포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ionic dispersant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laureth sulfate, ammonium laureth sulfate, sodium laureth sulfonat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can b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filler may be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의 평균 입경은 10~200 nm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may be 10-200 n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퓸드 실리카, 침강 실리카, 실리카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le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fumed silica, precipitated silica, silica sol,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안료, 가황제, 가황촉진제, 가교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may further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igment, a vulcanizing agent, a vulcanization accelerator,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유화제,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 중합 정지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산소포착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 polymerization terminator, a pH regulator, an antioxidant, an oxygen scavenger,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may include more.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에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액,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mixtu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base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to obta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b) mixing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ionic dispersant and filler aqueous solution with the product of step (a); comprising, a method for producing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s provided.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딥 성형하여 얻어지는, 딥 성형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ip molded article obtained by dip molding the above-described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딥 성형품은 의료용 장갑, 농축산물 가공용 장갑, 산업용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p molded article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dical gloves,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cessing gloves, industrial gloves.

일 측면에 따르면, 딥 성형용 니트릴계 라텍스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딥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딥 성형용 니트릴계 라텍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딥 성형품을 제조하였을 때,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등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nitrile-based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s prevented from lowering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dip-molded article, and when a dip-molded article is manufactured using the nitrile-based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ongation can be implemented.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입자형 첨가제로 인하여 라텍스의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라텍스 저장조에 피막이 형성되는 현상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딥 성형품의 성능 및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henomenon of film formation in the latex storage tank by improving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latex due to the particulate additive,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dip molded product.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When a range of numerical values is recited herein, the values have the precision of the significant figure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rules in chemistry for significant figures, unless the specific range is otherwise stated. For example, 10 includes the range of 5.0 to 14.9 and the number 10.0 includes the range of 9.50 to 10.49.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1차 입자(primary particle)"는 평균 입도가 1~100 nm인 1차원 이상의 입자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2차 입자(secondary particle)"는 상기 1차 입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입자를 의미한다. 이 때 2차 입자는 반데르발스 결합, 공유 결합과 같은 물리적 내지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rimary particle” refers to one-dimensional or mor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 to 100 nm. In this regard, "secondary particle" means a particle formed by agglomeration of the primary particle. In this case, the secondary particles may be formed by physical or chemical bonds such as van der Waals bonds and covalent bonds.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일 측면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ccording to one aspect may include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 anionic dispersant, and a filler.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공액 디엔계 단량체 45~80중량%;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15~45중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45 to 80% by weight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15 to 45% by weight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1 to 10% by weight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또는 55중량% 이상이고, 80중량% 이하, 75중량% 이하, 또는 70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공역 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이 45중량% 미만이면 딥 성형품이 과도하게 경화되어 딥 성형품의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고, 상기 공역 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이 80중량% 초과하면 딥 성형품의 내유성이 저하되고 및 인장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45% by weight or more, 50% by weight or more, or 55%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80 weight percent or less, 75 weight percent or less, or 70 weight percent or less. If the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less than 45% by weight, the deep-molded article is excessively hardened, and the user of the dip-molded article can reduce the wearing feeling. This may be lowered and the tensile strength may be lowered.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또는 25중량% 이상이고, 45중량% 이하, 40중량% 이하, 또는 35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딥 성형품의 내유성이 저하되고 인장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의 함량이 45중량% 초과하면 딥 성형품이 과도하게 경화되어 딥 성형품의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is 15% by weight or more, 20% by weight or more, or 25%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45 wt% or less, 40 wt% or less, or 35 wt% or less. If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is less than 15% by weight, the oil resistance of the dip molded article may be lowered and the tensile strength may be lowered. If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exceeds 45% by weight, the dip molded article may be excessively hardened, and thus the user of the dip molded article may reduce the wearing comfort.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 이상, 2중량% 이상, 또는 3중량% 이상이고, 10중량% 이하, 9중량% 이하, 또는 8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딥 성형물의 인장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의 함량이 10중량% 초과하면 딥 성형품이 과도하게 경화되어 딥 성형품의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1% by weight or more, 2% by weight or more, or 3%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10 wt% or less, 9 wt% or less, or 8 wt% or less. If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dip molding may decrease. If the conte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exceeds 10% by weight, the dip molded article may be excessively hardened, and thus the user of the dip molded article may reduce the wearing comfort.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be a co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0116080608-pat00001
Figure 112020116080608-pat00001

상기 화학식 1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3가지 구성 단위인 공액 디엔계 단량체 단위,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단위의 일반적인 예를 표현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은 편의상 각 단위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각 단위가 상기 화학식 1의 순서와 무관하게 혼합되어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블록 단위로 분포된 것일 수 있다.Formula 1 represents a general example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unit,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unit,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unit, which are three structural units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the copolymer is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Formula 1 shows each unit in order for convenience, and the copolymer is randomly distributed by mixing each unit irrespective of the order of Formula 1, or at least some of them are block unit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may be distributed.

상기 a, b 및 c의 비율은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 단위의 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ratios of a, b and c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each monomer unit constituting the copolymer.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3-부타디엔(buta-1,3-die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2-ethyl-1,3-butadiene, 1,3-pentadiene, isoprene,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for example, may be 1,3-butadiene (buta-1,3-di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prop-2-enenitri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humaronitrile, α-chloronitrile, α-cyano ethyl acrylonitril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acrylonitrile (prop-2-enenitri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스티렌 술폰산, 푸마르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2-히드록시 프로필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2-methylprop-2-enoic aci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citraconic acid anhydride, styrene sulfonic acid, monobutyl fumarate, monobutyl maleate, mono-2-hydroxypropyl maleate and these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for example, methacrylic acid (2-methylprop-2-eno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중량부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 0.2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상, 0.4중량부 이상, 또는 0.5중량부 이상이고, 3중량부 이하, 2.8중량부 이하, 또는 2.6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be 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is 0.1 parts by weight or more, 0.2 parts by weight or more, 0.3 parts by weight or more, 0.4 parts by weight or more, or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art or more, and may be 3 parts by weight or less, 2.8 parts by weight or less, or 2.6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틸레이트, 비닐메톡시아세테이트, 벤조산 비닐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량체를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80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내산성을 나타내어 라텍스 입자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나노 입자 산화물과의 분산성도 우수하여 라텍스 입자의 화학적 안정성 향상과 더불어 동시에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is a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comprising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methoxyacetate, vinyl benzoate,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It may contain 2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for example, may be vinyl ace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exhibits acid resistance to improve chemical stability of latex particles as well as excellent dispersibility with nano-particle oxides, resulting in chemical stability of latex particles Along with the improvem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of dip-molded products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40중량% 이상이고, 80중량% 이하, 70중량% 이하, 또는 60중량% 이하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of the first monomer is 20%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40% by weight or more, 8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70% by weight or less, or 60% by weight or less.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g/mol 이상, 6,000 g/mol 이상, 또는 7,000 g/mol 이상이고, 50,000 g/mol 이하, 49,000 g/mol 이하, 또는 48,000 g/mol 이하일 수 있다.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50,000 g/mol.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is 5,000 g/mol or more, 6,000 g/mol or more, or 7,000 g/mol or more, and 50,000 g/mol or less, 49,000 g/mol or less, or 48,000 g/mol or less. can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표현되는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be a block co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20116080608-pat00002
Figure 112020116080608-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m : n의 비율은 1 : 1~1.5일 수 있다.In Formula 2, the ratio of m:n may be 1:1 to 1.5.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와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가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에 포함되면 입자형 첨가제로 인한 장기간 저장 안정성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When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d the anionic dispersant are included in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long-term storage stability degradation due to the particulate additive.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라텍스 입자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진제, 예를 들어, 실리카와 같은 나노 입자 산화물과의 분산 상용성이 우수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의 장기간 저장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고,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nionic dispersant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an improve chemical stability of latex particles, and has dispersion compatibility with fillers, for example, nanoparticle oxides such as silica Because it is excellent, long-term storage stability of latex for dip molding can be improved,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of dip molded products can be improved.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 0.15중량부 이상, 또는 0.2중량부 이상이고, 1중량부 이하, 0.9중량부 이하, 또는 0.8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nionic dispersant may be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anionic dispersant is 0.1 parts by weight or more, 0.15 parts by weight or more, or 0.2 parts by weight or more, 1 part by weight or less, 0.9 parts by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 or 0.8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스,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포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The anionic dispersan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laureth sulfate, ammonium laureth sulfate, sodium laureth sulfonat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3과 같이 표현되는 고분자 화합물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ionic dispersant may be a polym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화학식 3][Formula 3]

Figure 112020116080608-pat00003
Figure 112020116080608-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n : m의 비율은 각각 1~5 : 1~50일 수 있다.In Chemical Formula 3, the ratio of n: m may be 1-5: 1-50, respectively.

일 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3의 고분자 화합물은 알파설포오메가도데실오씨폴리오실에탄, 소듐염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폴리오실에탄과 소수성인 알킬 사슬로 구성된 것이나, 본 명세서의 음이온계 분산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ymer compound of Formula 3 according to an example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lpha sulfo-megadodecyl oxy polyosyl ethane and sodium salt. The compound is composed of polyosylethane and a hydrophobic alkyl chain, but the anionic dispersa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상, 또는 0.5중량부 이상이고, 5중량부 이하, 4.8중량부 이하, 또는 4.6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filler may be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filler is 0.1 parts by weight or more, 0.3 parts by weight or more, or 0.5 parts by weight or more, 5 parts by weight or less, 4.8 parts by weight or less, or It may be 4.6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충진제의 평균 입경은 10~200 nm일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 입자는 1차 입자 내지 2차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진제의 평균 입경은 10 nm 이상, 15 nm 이상, 또는 20 nm 이상이고, 200 nm 이하, 195 nm 이하, 19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평균 입경은 1차 입자의 입경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may be 10-200 nm. Such filler particles may include primary particles to secondary particles. At this tim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may be 10 nm or more, 15 nm or more, or 20 nm or more, and may be 200 nm or less, 195 nm or less, or 190 nm or les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may mea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rimary partic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퓸드 실리카, 침강 실리카, 실리카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퓸드 실리카(fumed silic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le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fumed silica, precipitated silica, silica sol,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for example, fumed silic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라텍스 조성물이 상기 충진제와 같은 입자형 첨가제를 포함하면 장기간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어 상기 조성물의 장기간 저장 시 피막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과 같이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와 음이온계 분산제를 동시에 포함하면 저장 안정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When the latex composition contains particulate additives such as the filler, long-term storage stability may be lowered and a film may be formed during long-term storage of the composition, but like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d anions When the system dispersant is included at the same time, storage st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안료, 가황제, 가황촉진제, 산화아연과 같은 가교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may further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igment such as titanium dioxide, a vulcanizing agent, a vulcanization accelerator,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zinc oxid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가황제는 분말 유황, 침강 유황, 콜로이드 유황, 표면처리 유황, 불용성 유황 등의 유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황제는 부타디엔의 공액 이중결합 내 파이결합을 공격하여 고분자 사슬 사이를 가교하므로, 공중합체에 탄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딥 성형품의 내화학성을 개선할 수 있다. 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ulcanizing agent may include sulfur such as powdered sulfur, precipitated sulfur, colloidal sulfur, surface treated sulfur, insoluble sulfur. Such a vulcanizing agent crosslinks between polymer chains by attacking the pi bonds in the conjugated double bond of butadiene, thereby imparting elasticity to the copolymer as well as improving the chemical resistance of the dip molded product.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가황촉진제는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2,2-디티오비스벤조티오졸-2-술펜아미드, N-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 2-모르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술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술파이드, 징크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페닐구아니딘, 디-o-톨릴구아니딘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thiocarbamate, ZDB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ulcanization accelerator is 2-mercaptobenzothiazole, 2,2-dithiobisbenzothioazole-2-sulfenamide, N-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2-morpholinothiobenzothiazole,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tetramethylthiuram disulfide, zinc diethyldithiocarbamate, zinc dibutyldithiocarbamate, diphenylguanidine, di-o-tolyl It may be one selected from guanidine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for example, zinc dibutylthiocarbamate (ZDB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유화제,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 중합 정지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산소포착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ay further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olecular weight control agent, a polymerization terminator, a pH control agent, an antioxidant, an oxygen scavenger,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중 하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킬벤젠 술폰산염, 지방족 술폰산염,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α-올레핀 술폰산염,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듐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alkylbenzene sulfon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화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8~8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mulsifier may be one of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for example, an anionic surfactant alkylbenzene sulfonate. , aliphatic sulfonates, sulfate ester salts of higher alcohols, α-olefin sulfonates, and alkyl ether sulfate ester salts, for example, sodium alkylbenzene sulfo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These emulsifier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8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과산화물; t-부틸 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p-탄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쿠밀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3,5,5-트리메틸헥산올 퍼옥사이드, 및 t-부틸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 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및 아조비스 이소낙산(부틸산)메틸 중 하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1.5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n inorganic perox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potassium perphosphate, and hydrogen peroxide; t-but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p-tanhydroperoxide, di-t-butyl peroxide, t-butylcumyl peroxide, acetyl peroxide, isobutyl peroxide, octanoyl peroxide, dibenzoyl peroxide an organic perox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ide, 3,5,5-trimethylhexanol peroxide, and t-butylperoxy isobutylate; azobis isobutyronitrile, 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nd azobisisobutyronitrile (butyric acid)methyl, for example, potass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persulf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2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α-메틸스티렌 다이머, t-도데실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옥틸 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브롬화 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 수소; 테트라 에틸 티우람 다이설파이드, 디펜타메칠렌 티우람 다이설파이드, 디이소프로필키산토겐 다이설파이드 등의 함유황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t-도데실 머캅탄(t-dodecyl mercapta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2~0.7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may include mercaptans such as α-methylstyrene dimer, t-dodecyl mercaptan, n-dodecyl mercaptan, and octyl mercaptan;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arbon tetrachloride, methylene chloride and methylene bromide; sulfur-containing compounds such as tetraethyl thiuram disulfide, dipentamethylene thiuram disulfide, and diisopropyl xanthogen disulfide; It may be one of, for example, t-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bu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0.2 to 0.7 parts by weight of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may be us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중합 정지제는 히드록실 아민, 히드록시 아민 황산염, 디에틸 히드록시 아민, 히드록시 아민 술폰산 및 그 알칼리 금속 이온, 소듐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하이드로 퀴논 유도체, 히드록시 디에틸 벤젠 디티오 카르본산, 히드록시 디부틸 벤젠 디티오 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히드록시 디티오 카르본산 중 하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소듐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lymerization terminator is hydroxylamine, hydroxylamine sulfate, diethylhydroxyamine, hydroxylamine sulfonic acid and alkali metal ions thereof, 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hydroquinone derivatives , hydroxy diethyl benzene dithio carboxylic acid, hydroxy dibutyl benzene dithio carboxylic acid, may be one of aromatic hydroxy dithio carboxylic acid such as dithio carboxylic acid, for example, sodium dimethyl dithio carbamate (sodium dimethyl dithiocarbam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수소 이온 농도 지수를 pH 9~11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pH 조절제로 1~5중량%의 수산화칼륨 수용액 또는 1~5중량%의 암모니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pH 조절제의 고형분 함량은 40~50중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0중량% 이상, 42중량% 이상, 또는 44중량% 이상이고, 50중량% 이하, 48중량% 이하, 또는 46중량% 이하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may be preferable to adjust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dex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to pH 9-11 by adding the pH adjusting agent. As such a pH adjusting agent, 1 to 5% by weight of potass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or 1 to 5% by weight of aqueous ammonia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solid content of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40 to 50% by weight, for example, 40% by weight or more, 42% by weight or more, or 44% by weight or more, 50% by weight or less, 48% by weight or less, or 46% by weight or less.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에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액,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mixtu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base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to obta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obtaining; and (b) mixing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ionic dispersant and filler aqueous solution with the product of step (a).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분무 건조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리돈계 수지만 첨가하고 상기 충진제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는 경우,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be prepared by spray drying. In addition, when only the polyvinylidene-based resin is added and the aqueous filler solution is not add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dip-molded product may be deteriorated.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충진제 수용액은 충진제의 함량이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3~40중량%일 수 있다. 이 때, 충진제의 함량은 3중량% 이상이고, 40중량% 이하, 35중량% 이하, 또는 30중량%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제 수용액은 실리카의 함량이 실리카 졸 총 중량으로 10~50중량%인 실리카 졸(silica sol)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리카의 함량은 10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또는 20중량% 이상이고, 50중량% 이하, 45중량% 이하, 또는 40중량%이하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ller aqueous solution may have a filler content of 3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filler may be 3% by weight or more, 40% by weight or less, 35% by weight or less, or 30% by weight or less. In addition, the aqueous filler solution may include a silica sol in which the content of silica is 1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ilica sol. In this case, the content of silica may be 10 wt% or more, 15 wt% or more, or 20 wt% or more, and may be 50 wt% or less, 45 wt% or less, or 40 wt% or less.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b) 단계의 혼합 반응은 25~75℃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물의 전환율이 93%이상일 때 중합 반응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ixing reaction of step (b) may be performed at 25 to 75° C., and it may be preferable to stop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hen the conversion rate of the reactants is 93% or more.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b) 단계에서 투입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40중량%일 수 있다. 이 때,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고형분 농도는 10중량% 이상, 15중량% 이상, 또는 20중량% 이상이고, 40중량% 이하, 35중량% 이하, 또는 30중량% 이하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olids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dded in step (b) may be 1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In this case,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may be 10% by weight or more, 15% by weight or more, or 20% by weight or more, and 40% by weight or less, 35% by weight or less, or 30% by weight or less.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b) 단계에서 투입되는 음이온계 분산제는 농도 20~40중량%의 용액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농도는, 예를 들어, 20중량% 이상, 25중량% 이상, 또는 30중량% 이상이고, 40중량% 이하, 또는 37.5중량% 이하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ionic dispersant introduced in step (b) may be added as a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20 to 40% by weight. The concentration may be, for example, 20% by weight or more, 25% by weight or more, or 30% by weight or more, 40% by weight or less, or 37.5% by weight or less.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는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충진제의 분산성을 개선하고,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anionic dispersant may interact with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to improve dispersibility of the filler and improve stability over time.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각 성분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전술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함량에 적합하게 계산되어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each component may be calculated and added to suit the content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solid content.

딥 성형품dip molding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딥 성형품은, 전술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딥 성형하여 얻어질 수 있다.A dip-molded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ay be obtained by dip-molding the aforementioned latex composition for dip-molding.

상기 딥 성형품은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와 음이온계 분산제를 동시에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로부터 제조되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The dip-molded article may be prepared from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ncluding a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d an anionic dispersant at the same time, and thus may hav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상기 딥 성형품은 의료용 장갑, 농축산물 가공용 장갑, 산업용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The dip molded article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dical gloves,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cessing gloves, and industrial gloves.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명세서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명세서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 only representative experimental results among the above examples, and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not be construed as reduc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Each effec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explicitly presented below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질소 가스의 인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각 구성요소를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장치된 10 L의 고압 반응기를 준비하였다.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반응기에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3-부타디엔 61.5중량%, 아크릴로니트릴 32중량%, 메타크릴산 6.5중량%인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기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듐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alkylbenzene sulfonate)를 2중량부, t-도데실 머캅탄(t-dodecyl mercaptan)을 0.5중량부, 이온교환수를 140 중량부 투입하였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약 40℃까지 승온한 뒤,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0.3중량부 투입하였다.A 10 L high-pressure reactor was prepared which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 cooler, and an inlet for nitrogen gas, and was equipped to continuously input each component.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61.5 wt% of 1,3-butadiene, 32 wt% of acrylonitrile, and 6.5 wt% of methacrylic acid was added to the reacto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Thereafter, 2 parts by weight of sodium alkylbenzene sulfonate, 0.5 parts by weight of t-dodecyl mercaptan, and 14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were added to the reacto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A weight part was added. And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to about 40 ℃, potass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was added 0.3 parts by weight.

1,3-부타디엔의 전환율이 약 95%에 이르렀을 때, 소듐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0.1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 반응을 정지하였다. 이후, 탈취 공정을 통하여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였다.When the conversion rate of 1,3-butadiene reached about 95%, 0.1 parts by weight of sodium dimethyldithiocarbamate was added to stop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reafter, by removing the unreacted monomer through a deodorizing process, and adding ammonia water, an antioxidant, an antifoaming agent, etc.,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was prepared.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중량%으로 측정되었으며, 수소 이온 농도 지수는 pH 8.0으로 측정되었다.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was measured to be 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dex was measured as pH 8.0.

제조예 2Preparation 2

1 L 용기에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11,000 g/mol인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분자를 투입하고 2차 증류수와 함께 2,000 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투입량은 그 고형분 농도가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가 되도록 계산하였다.A polyvinylpyrrolidone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by putting a polyvinylpyrrolidone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000 to 11,000 g/mol in a 1 L container and stirring with secondary distilled water at 2,000 RPM for 1 hour. At this time, the input amount of polyvinylpyrrolidone was calculated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또한, 1 L 용기에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중량%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투입하여 2차 증류수와 함께 2,000 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투입량은 그 고형분 농도가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가 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by adding a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having a vinyl acetate content of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in a 1 L container and stirring with secondary distilled water at 2,000 RPM for 1 hour, A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At this time, the input amou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was calculated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제조예 3Preparation 3

1 L 용기에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입자를 투입하고, 비드밀(bead mill)을 사용하여 2차 증류수와 함께 1,500 RPM으로 6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퓸드 실리카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퓸드 실리카는 1차 입자의 입경이 20~30 nm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퓸드 실리카의 투입량은 그 고형분 농도가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중량%가 되도록 계산하였다.An aqueous solution of fumed silica was prepared by putting fumed silica particles in a 1 L container and stirring at 1,500 RPM with secondary distilled water for 6 hours using a bead mill. In this case, as the fumed silica, the primary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0 to 30 nm were used, and the amount of the fumed silica was calculated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투입한 뒤,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After putting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into the reactor, it was stirred for 10 minutes at 4,000 RPM using a high-speed stirrer.

이후, 2 L 플라스틱 용기에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40중량% 유황 수용액, 40중량%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ZDBC) 수화물, 40중량% 산화아연 수용액, 40중량% 이산화티타늄 수용액, 4중량% 수산화칼륨 수용액 및 2차 증류수를 첨가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수득하였다.Then, in a 2 L plastic container,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40 wt% sulfur aqueous solution, 40 wt% zinc dibutyldithiocarbamate (ZDBC) hydrate, 40 wt% zinc oxide aqueous solution, 40 wt% % titanium dioxide aqueous solution, 4 wt% potass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and secondary distilled water were added to obtain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이 때, 상기 첨가제가 혼합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400 g, 유황 수용액 11.25 g, ZDBC 수화물 6.75 g, 산화아연 수용액 11.25 g, 이산화티타늄 수용액 11.25 g, 수산화칼륨 수용액 1,350 g, 2차 증류수 474.8 g을 투입하였다.At this time, 400 g of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ixed with the above additives, 11.25 g of sulfur aqueous solution, 6.75 g of ZDBC hydrate, 11.25 g of zinc oxide aqueous solution, 11.25 g of titanium dioxide aqueous solution, 1,350 g of potass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2nd distilled water 474.8 g was added.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으로 측정되었으며, 수소 이온 농도 지수는 pH 10으로 측정되었다.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as measured to be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dex was measured to be pH 1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반응기에서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기 제조예 2에 따른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 및 상기 제조예 3에 따른 퓸드 실리카 수용액을 투입한 후,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첨가제가 혼합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 the reactor,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the polyvinylpyrrolidone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were added, and then 4,000 using a high-speed stirrer. By stirring at RPM for 10 minutes,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ixed with an additive was prepared.

이 때,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PVP) 고형분 0.25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pyrrolidone (PVP) solid content was ad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퓸드 실리카의 고형분이 0.7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7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fumed silica was ad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기 제조예 2에 따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 및 상기 제조예 3에 따른 퓸드 실리카 수용액을 투입한 후,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첨가제가 혼합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fter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the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were put into the reactor, high-speed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ixed with an additive was prepared by stirring at 4,000 RPM using a stirrer for 10 minutes.

이 때,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A) 고형분 0.25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At this time, the input amou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is 0.25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PVA) solid cont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alculated.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퓸드 실리카의 고형분이 0.7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7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fumed silica was ad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실시예 1Example 1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기 제조예 2에 따른 폴리비닐피롤리돈-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 및 상기 제조예 3에 따른 퓸드 실리카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음이온계 분산제 투입한 후,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첨가제가 혼합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the polyvinylpyrrolidone-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were put into a reactor, and then sodium la After adding the less sulfate anionic dispersant, by stirring at 4,000 RPM for 10 minutes using a high-speed stirrer, dip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ixed with the additive was prepared. A latex composition for molding was prepared.

이 때,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A) 고형분 0.1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At this time, the input amou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idone-vinylacetate copolymer (PVA) solid content was ad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

또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음이온계 분산제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amount of sodium laureth sulfate anionic dispersant added was calculated to be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퓸드 실리카의 고형분이 0.7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7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fumed silica was ad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상기 제조예 2에 따른 폴리비닐피롤리돈-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 및 상기 제조예 3에 따른 퓸드 실리카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음이온계 분산제 투입한 후,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첨가제가 혼합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the polyvinylpyrrolidone-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were put into a reactor, and then sodium la After adding the less sulfate anionic dispersant, by stirring at 4,000 RPM for 10 minutes using a high-speed stirrer, dip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ixed with the additive was prepared. A latex composition for molding was prepared.

이 때,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A) 고형분 0.1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At this time, the input amou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1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idone-vinylacetate copolymer (PVA) solid content was ad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

또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음이온계 분산제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amount of sodium laureth sulfate anionic dispersant added was calculated to be added in 0.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또한, 상기 퓸드 실리카 수용액의 투입량은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퓸드 실리카의 고형분이 0.7중량부가 투입되도록 계산하였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fumed silica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so that 0.7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fumed silica was ad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라텍스의 각 성분 함량을 아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The contents of each component of the latex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라텍스latex PVPPVP PVAPVA 음이온분산제anion dispersant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100 00 00 00 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0100 0.250.25 00 00 0.70.7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0100 00 0.250.25 00 0.70.7 실시예 1Example 1 100100 00 0.10.1 0.10.1 0.70.7 실시예 2Example 2 100100 00 0.10.1 0.20.2 0.70.7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응집시간을 측정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응집시간은 칼슘 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적가하는 시점부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이 응집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agglomeration time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At this time, the agglomeration time refers to the time from the point of dropwise addition of the calcium chloride aqueous solution to the time at which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starts to aggregate.

구체적으로, 300 mL 비커에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2 g 투입한 뒤, 2차 증류수를 200 g 투입하고 1시간 동안 2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이후, 칼슘 클로라이드의 함량이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중량%인 칼슘 클로라이드 수용액을 3 mL/min의 속도로 적가하였고,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이 응집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교반을 멈추었다.Specifically, 2 g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as added to a 300 mL beaker, 200 g of secondary distilled water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200 RPM for 1 hour. Thereafter, an aqueous calcium chloride solution having a calcium chloride content of 0.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was added dropwise at a rate of 3 mL/min, and stirring was stopped when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started to aggregate.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의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화학적 안정성 인덱스(Chemical Stability Index, CSI)를 계산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of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a Chemical Stability Index (CSI) expressed as in Equation 1 was calculat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CSI 값은 높을수록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The higher the CSI value, the better the chemical stability.

[수학식 1][Equation 1]

CSI(%) = 측정 대상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응집시간(분) /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응집시간(분) * 100CSI (%) = Agglomeration time (minutes)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to be measured / Agglomeration time (minutes)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 100

구분division CSI (%)CSI (%)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010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17.0117.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20.4120.4 실시예 1Example 1 121.7121.7 실시예 2Example 2 125.2125.2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PVP 또는 PVA를 첨가제로 사용하면 퓸드 실리카가 첨가되어도 별도의 첨가제가 없는 라텍스 대비 안정성이 15%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첨가하면 PVA의 첨가량이 감소하여도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PVP or PVA is used as an additive, stability is increased by 15% or more compared to latex without a separate additive even when fumed silica is add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sodium laureth sulfate is added, excellent chemical stability can be realized even when the amount of PVA added is reduced.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액상의 라텍스를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용액 상층부(상부 모드)에 크리밍 현상이 발생하고, 하층부(하부 모드)에서는 응집, 응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장갑의 제조 시 지속적인 디핑 작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라텍스의 저장 안정성이 중요하며, 종래에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성상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반을 수행하였다.When liquid latex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creaming occurs in the upper layer (upper mode) of the solution over time, and agglomeration and coagulation occur in the lower layer (lower mode). Therefore, storage stability of the latex is important in order to maintain a continuous dipping operation during the manufacture of gloves, and in the prior art, continuous stirring was performed to maintain the properties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의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저장 안정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터비스캔(Turbiscan power model)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 모드는 존 모드에서 비교하였고, 가속 응집을 통해 응집시간을 측정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이 때, 응집시간은 칼슘 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적가하는 시점부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이 응집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The storage stability with time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of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was comparatively measured. The measurement mode was compared in the zone mode using a Turbiscan power model measuring device, and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agglomeration time through accelerated agglomeration. At this time, the agglomeration time refers to the time from the point of dropwise addition of the calcium chloride aqueous solution to the time at which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starts to aggregate.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2과 같이 표현되는 저장 안정성 인덱스(Storage Stability Index; SSI) 계산하였다.In ord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 Storage Stability Index (SSI)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was calculated.

상기 SSI 값은 작을수록 저장 안정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The smaller the SSI value, the better the storage stability.

[수학식 2][Equation 2]

저장 안정성 인덱스(%) = 측정 대상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존(상부 또는 하부) 모드의 측정 강도/상기 비교예 1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해당 존 모드의 측정 강도 * 100Storage stability index (%) = measured intensity of the zone (upper or lower) mode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to be measured/measured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zone mode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 100

3일간 가속 측정을 통해 존 모드 상태를 비교한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Table 3 below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zone mode state through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for 3 days.

구분division 상부 SSI(%)Upper SSI (%) 하부 SSI(%)Lower SSI (%)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100 1001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9696 949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9494 9595 실시예 1Example 1 8787 8484 실시예 2Example 2 8484 8080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PVA와 음이온계 분산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적은 양을 투입하여도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PVA and anionic dispersant are mixed and use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even when a smaller amount is added.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60℃ 오븐에 칼슘 나이트레이트의 함량이 수용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18중량%인 칼슘 나이트레이트 수용액(calcium nitrate)을 6 L 투입한 뒤 약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중온 상태로 만들었다.6 L of an aqueous solution of calcium nitrate having a calcium nitrate content of 1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queous solution was put into an oven at 60° C., and then heated for about 3 hours to bring it to a medium temperature state.

상기 중온 상태의 용액에 가로*세로*두께의 크기가 17 cm*17 cm*0.5 cm인 평판 모양의 세라믹 몰드를 1분간 침지시킨 뒤, 80℃에서 3분 동안 건조시키고, 응고제를 평판 모양의 세라믹 몰드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응고제가 도포된 평판의 세라믹 몰드를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에 1분 동안 침지시킨 뒤, 70℃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3분 동안 수세하였다.After immersing a plate-shaped ceramic mold with a width*length*thickness of 17 cm*17 cm*0.5 cm in the medium-temperature solution for 1 minute, it was dried at 80° C. for 3 minutes, and the coagulant was applied to the plate-shaped ceramic mold. It was applied to the mold. Then, the flat ceramic mold coated with the coagulant was immersed in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for 1 minute, dried at 70° C. for 10 minutes, and washed with water for 3 minutes.

수세된 세라믹 몰드를 다시 70℃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킨 뒤, 120℃에서 25분 동안 가교시켰다. 이 후, 가교된 평판 모양의 딥 성형용 라텍스 필름을 세라믹 몰드로부터 권취함으로써, 시트(sheet) 형태의 딥 성형용 라텍스 성형품을 수득하였다.The washed ceramic mold was dried again at 70° C. for 10 minutes, and then crosslinked at 120° C. for 25 minutes. After that, by winding the cross-linked flat latex film for dip molding from a ceramic mold, a sheet-shaped latex molded article for dip molding was obtained.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성형품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딥 성형용 라텍스 필름 시험편은 ASTM D412에 준하여 덤벨 형상으로 제조되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atex molded article for dip molding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3 below. At this time, the latex film test piece for dip molding was prepared in a dumbbell shape according to ASTM D412.

구분division 인장강도The tensile strength 100% 모듈러스100% modulus 300% 모듈러스300% modulus 500% 모듈러스500% modulus 신율elonga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2.442.4 2.72.7 5.95.9 22.722.7 57057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46.946.9 2.52.5 4.84.8 16.216.2 61561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54.754.7 2.42.4 4.74.7 17.217.2 622622 실시예 1Example 1 54.554.5 2.52.5 4.74.7 16.916.9 617617 실시예 2Example 2 55.155.1 2.62.6 4.44.4 15.815.8 620620 * 단위 : 인장강도(MPa), 신율(%) 모듈러스(MPa)
* 측정방법 :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 필름 시험편을 신장속도 500 mm/min으로 끌어당기고, 파단 시의 인장강도, 모듈러스 및 신율을 측정하였음
* Unit: Tensile strength (MPa), Elongation (%) Modulus (MPa)
* Measurement method: Using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a specimen of latex film for dip molding was pulled at an elongation rate of 500 mm/min, and tensile strength, modulus and elongation at break were measured.

통상적으로 라텍스 성형품의 인장강도 및 신율은 그 수치가 높을수록 딥 품질이 우수하고, 특히 300% 모듈러스 값이 낮을수록 딥 성형품의 사용자에 우수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the higher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latex molded article, the better the dip quality.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PVP 또는 PVA와 퓸드 실리카를 동시에 사용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 성형품을 제조하면 인장강도와 신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음이온계 분산제를 더 첨가하면 더 적은 양의 PVA를 첨가하여도 우수한 인장강도 및 신율을 나타내며, 촉감 특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confirmed tha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re improved when a latex molded article for dip molding is manufactured using PVP or PVA and fumed silica at the same time. When an anionic dispersant is further added,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nd excellent tactile properties can be manufactured even when a small amount of PVA is added.

전술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one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elongs can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s (18)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틸레이트, 비닐메톡시아세테이트, 벤조산 비닐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량체를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80중량%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It includes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nionic dispersant and filler, and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is vinyl acetate, vinylpropionate, vinylbutyrate, and vinylmethoxyacetate. ,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omprising 20 to 80% by weight of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benzoate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공액 디엔계 단량체 45~80중량%;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15~45중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1~10중량%;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45-80 wt%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15 to 45% by weight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and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including; 1 to 10% by weight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이소프렌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is 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2-ethyl-1,3-butadiene, 1,3-pentadiene, isoprene,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α-시아노 에틸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 monom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humaronitrile, α-chloronitrile, α-cyano ethyl acrylonitril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dip molding latex composition f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스티렌 술폰산, 푸마르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부틸, 말레인산 모노-2-히드록시 프로필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i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citraconic anhydride, styrene sulfonic acid, monobutyl fumarate, monobutyl maleate, mono-2-hydroxypropyl maleate and thes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중량부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f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is 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50,000 g/mol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50,000 g/mol,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f the anionic dispersant is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분산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스,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포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anionic dispersant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laureth sulfate, ammonium laureth sulfate, sodium laureth sulfonat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latex for dip molding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of the filler is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의 평균 입경은 10~200 nm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is 10-200 nm,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퓸드 실리카, 침강 실리카, 실리카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ll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fumed silica, precipitated silica, silica sol,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은 안료, 가황제, 가황촉진제, 가교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further compris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igment, a vulcanizing agent, a vulcanization accelerator,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유화제,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 중합 정지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산소포착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further compris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 polymerization terminator, a pH regulator, an antioxidant, an oxygen scavenger,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dip molding latex composition for
(a)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의 혼합물을 유화 중합시켜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생성물에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액, 음이온계 분산제 및 충진제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틸레이트, 비닐메톡시아세테이트, 벤조산 비닐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량체를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80중량%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a) emulsion polymerization of a mixtu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nitrile-based monomer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acid monomer to obtain a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and
(b) mixing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aqueous solution, anionic dispersant and filler aqueous solution with the product of step (a);
The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is a polyvinylpyrrolidone-based resin comprising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methoxyacetate, vinyl benzoate,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A method of producing a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omprising 2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제1항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을 딥 성형하여 얻어지는, 딥 성형품.A dip molded article obtained by dip molding th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ccording to claim 1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딥 성형품은 의료용 장갑, 농축산물 가공용 장갑, 산업용 장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딥 성형품.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dip molded article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dical gloves,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cessing gloves, and industrial gloves.
KR1020200143662A 2020-10-30 2020-10-30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KR1024009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62A KR102400994B1 (en) 2020-10-30 2020-10-30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62A KR102400994B1 (en) 2020-10-30 2020-10-30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84A KR20220058184A (en) 2022-05-09
KR102400994B1 true KR102400994B1 (en) 2022-05-25

Family

ID=8158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662A KR102400994B1 (en) 2020-10-30 2020-10-30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9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13B1 (en) 2005-01-12 2012-05-17 앤셀 헬스케어 프로덕츠 엘엘씨 Latex Gloves and Articles with Geometrically Defined Surface Texture Providing Enhanced Grip and Method for In-Line Processing Thereof
WO2020068483A1 (en) 2018-09-25 2020-04-02 Hydroglyde Coating Llc Gloves and methods thereof
KR102135399B1 (en) 2018-10-11 2020-07-1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carboxylic acid modified late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p-formed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3062A1 (en) * 2006-08-24 2008-09-25 Venkataram Krishnan Cationic latex as a carrier for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965046B2 (en) * 2016-03-21 2024-04-23 Synthomer Sdn. Bhd. Polymer latex for dip-molding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13B1 (en) 2005-01-12 2012-05-17 앤셀 헬스케어 프로덕츠 엘엘씨 Latex Gloves and Articles with Geometrically Defined Surface Texture Providing Enhanced Grip and Method for In-Line Processing Thereof
WO2020068483A1 (en) 2018-09-25 2020-04-02 Hydroglyde Coating Llc Gloves and methods thereof
KR102135399B1 (en) 2018-10-11 2020-07-1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carboxylic acid modified late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p-formed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84A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9230B1 (en) Dip-forming latex composition and dip-formed article
JP6458139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dip-molded product produced therefrom
KR101599583B1 (en) Carboxylic acid modified-nitrile 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and dip-forming comprising the same
CN109071886B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CN109071885B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EP1209192B1 (en) Latex for dip forming and molded object obtained by dip forming
KR101444577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US10703884B2 (en)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method for preparing same,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ontaining same, and dip-molded article
US10501611B2 (en) Dip-formed article
KR102400994B1 (en) A latex composition with a good storage stability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US10669406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KR101779295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dip-forming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2251967B1 (en) A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WO2019139082A1 (en) Latex composition
KR102579512B1 (en) A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comprising inorganic particle dispersion,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a dip-form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KR102069829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the product prepared thereby
JP7367702B2 (en) Chloroprene polymer latex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022840B2 (en) Carboxylic acid-modified nitrile-based copolymer latex compositio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containing the same, and molded products formed thereby.
KR101657346B1 (en) Latex composition for dip-form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15579B1 (en) Composition for latex polymerization, latex for dip molding and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