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482B1 -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482B1
KR102400482B1 KR1020190151719A KR20190151719A KR102400482B1 KR 102400482 B1 KR102400482 B1 KR 102400482B1 KR 1020190151719 A KR1020190151719 A KR 1020190151719A KR 20190151719 A KR20190151719 A KR 20190151719A KR 102400482 B1 KR102400482 B1 KR 102400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access
dedicated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152A (ko
Inventor
김세훈
정지영
정성택
한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5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4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하는 제1 코어망, 그리고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로 연결하는 제2 코어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코어망의 정책 및 과금을 제어하는 제1 정책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면, 상기 단말을 전용망으로 연결시키는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에게 전용망 세션 정책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상태를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코어망의 정책 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상기 제2 코어망으로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한 경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접속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NETWORK INTERWORKING}
본 발명은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이동통신 시장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폰 등의 보급률이 확대됨에 따라, 광대역 이동통신과 스마트폰을 기업 서비스에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였다. 종래의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기업 서비스, 즉, 기업 전용 LTE 서비스에서는 Private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을 사용한다.
Private LTE 기술은 LTE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를 통해 PDN(Packet Data Network)들을 분리한다.
기업 전용 LTE 서비스는 일반 LTE 망과 분리된 기업 전용 LTE 망을 고객사에 제공한다. 따라서, 기업 전용 LTE 서비스는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은 물론 기업 데이터의 강력한 보안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B2B(Business to Business) 특화 서비스이다. 고객사는 기업 전용 LTE 모회선 상품에 가입하고, 고객사의 소속 직원은 기업 전용 LTE 부가서비스 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고객사의 소속 직원은 기업 전용 LTE 앱(App)을 자신의 개인 단말에 설치하여 기업 전용 LTE 망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 LTE 단말은 상용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통해 일반 LTE망에만 접속 가능하다. 반면, 기업 전용 LTE 부가서비스 상품에 가입한 고객의 단말은 기업 전용 LTE 앱의 트리거(ON/OFF)를 통해 기업 전용 LTE 망 또는 일반 LTE 망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기업 전용 PGW를 통해 기업 전용 LTE 망에 접속한 경우, 일반 LTE 망으로 접속은 불가능하다. 반대로, 상용 PGW를 통해 일반 LTE 망에 접속한 경우, 기업 전용 LTE 망으로 접속은 불가능하다. 이처럼, 기업 전용 LTE 서비스는 상용망과 기업 내부망의 망 분리 기법을 통해 기업 데이터의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고 있다. 기업 전용 LTE 서비스는 5G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서비스명은 기업 전용 5G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이처럼, EPC를 통해 일반 LTE(5G) 망과 기업 전용 LTE(5G) 망으로 구분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 APN(Access Point Name)이 이용된다.
APN을 이용한 기업 전용 LTE(5G) 망의 접속 기술 중에 네트워크 단에서 APN을 변경하는 방식이 있다. 가입자가 기업 전용 LTE(5G) 앱에서 전용망 접속을 선택(On)하면, HSS(Home Subscriber System) 또는 UDR(Unified Data Repository)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로 망 전환 요청이 전달된다. 그러면, 네트워크 장치는 요청받은 망에 대응하는 APN, 즉, 기업망 APN 또는 일반망 APN으로 단말의 APN을 변경한다. 따라서, 단말에 설정된 APN을 기초로, 코어망은 단말을 일반망으로 접속시키거나 또는 기업망으로 접속시킨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의 APN 중 오퍼레이터 식별자(Operator Identifier, 이하, 'APN-OI'라 통칭함)를 변경한다. 이처럼, 변경된 APN-OI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서 세션 생성을 요청할 PGW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현재, 통신 환경은 기존에 상용화된 3G망, LTE망, 그리고 5G망이 혼재되어 있다. LTE 단말은 LTE와 5G의 음영 지역에서는 3G망으로 접속하게 되어 있다. LTE망의 MME는 HSS와 연결되고, 5G망의 AMF는 UDM(Unified Data Management)을 통해 UDR에 연결되며, 3G망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은 HLR(Home Location Register)과 연결된다.
그런데, APN은 HSS 또는 UDR에 저장되는 값이다. 현재 망 구조에서는 SGSN이 HSS 또는 UDR과의 인터페이스가 전혀 없다. 따라서, 단말이 LTE망 또는 5G망에서 3G망으로 핸드오버를 진행하다가 실패하는 경우, 단말은 3G로 접속 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를 전송하여 망 전환을 시도한다.
그러나, SGSN은 단말의 이전 망 전환 상태를 알 수가 없고, APN도 알 수 없다. 단말이 전송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에는 APN이 있지만, 이 APN은 APN-NI만 있고, HLR에 저장된 APN은 단말의 IMSI에 매핑되는 APN-NI만 있다. 실질적으로 단말이 기업 전용 PGW 또는 기업 전용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UPF(User Plane Function)로 접속할 때 필요한 APN-OI는 HSS 또는 UDR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SGSN은 단말이 핸드오프 실패로 전송하는 3G 접속 요청 메시지로는 단말을 기업 전용 PGW 또는 기업 전용 SMF/UPF로 접속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단말은 3G 상태, 즉, 단말-NodeB-SGSN-GGSN의 경로로 일반망에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단말이 LTE 망 또는 5G 망에서 기업망에 접속한 상태였을 경우, 단말은 기업망에 접속된 상태로 인지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지만, 실제로는 일반망에 접속한 상태이므로, 망 전환 정보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가입자에게 예상치 못한 3G 데이터 과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이 전용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3G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거나 또는 전용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 3G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핸드오버에 실패하여 3G망으로 재접속 절차를 진행할 때, 공용망 접속을 차단하는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하는 제1 코어망 그리고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로 연결하는 제2 코어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코어망의 정책 및 과금을 제어하는 제1 정책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면, 상기 단말을 전용망으로 연결시키는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에게 전용망 세션 정책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상태를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코어망의 정책 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상기 제2 코어망으로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한 경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접속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코어망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 또는 5G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망은, 3G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이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면, 상기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용망 세션 정책을 삭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상태를 공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한 경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접속을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용망 세션 정책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가입 처리 장치로부터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전용망 서비스 가입 상태를 가입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한 경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접속을 상시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하는 제1 코어망 그리고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로 연결하는 제2 코어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코어망의 정책 및 과금을 제어하는 제2 정책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코어망의 제1 정책 장치와 연결된 망 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의 전용망 접속 여부를 나타내는 망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코어망의 제2 데이터망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세션 생성을 위한 정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정보에 상기 단말이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세션 차단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공용망 세션 차단을 요청하는 정책 응답을 상기 제2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상기 단말을 전용망으로 연결시키는 제1 코어망의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용망 세션 생성을 위한 정책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망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용망 세션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미접속으로 설정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정보에 상기 단말이 전용망 미접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세션 허용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정책을 포함하는 정책 응답을 상기 제2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가입 처리 장치로부터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서비스 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용망 서비스 가입이 설정되면, 상기 단말의 공용망 세션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종망 연동 장치는,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하는 제1 코어망의 정책 및 과금을 제어하는 제1 정책 장치와 연동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로 연결하는 제2 코어망의 제2 정책 장치와 연동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코어망과 상기 제2 코어망을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정책 장치로부터 망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정책 장치로 전달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용망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상기 제2 코어망으로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한 경우, 상기 제2 정책 장치가 상기 단말의 공용망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되고,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으로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미접속으로 설정되고,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으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가입 처리 장치로부터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서비스 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으로 접속하는 것을 상시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망 접속 정보는, 가입자 식별자, 단말 식별자, 전용망 접속 상태 및 전용망 서비스 가입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망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전용망의 접속 여부에 따라 활성값 또는 비활성값을 포함하고, 상기 전용망 서비스 가입 상태는, 상기 단말이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에 따라 활성값 또는 비활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 전용 LTE/5G 가입자가 LTE 망 또는 5G 망을 통해 전용망에 접속한 후, 3G 망으로 천이시 정상적인 핸드오버가 이루어지지 않아 3G 망으로 재접속을 시도하더라도, 공중망으로의 접속은 차단된다. 따라서, 종래에 발생한 망 전환 정보 불일치 문제와 예상치 못했던 3G 데이터 과금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오과금 발생 여부 확인 및 모니터링을 위한 불필요한 네트워크 운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전용 LTE/5G 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PCC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 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 AT(Access Terminal),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무선 기기 등의 용어로 불릴 수도 있고, UE, MS, MT, SS, PSS, AT,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무선 기기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기지국(base station, 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스마트 패드와 태블릿 PC와 같은 태블릿 단말, 컴퓨터, 텔레비전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 단말을 포함한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 LTE-A, 3GPP2,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시스템, FS_NextGen(Study on Architecture for Next Generation System)과 같은 3GPP 5G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표준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과 전용망을 분리하고,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가입자만 전용망에 접속하도록 한다. 여기서, 공용망은 불특정 다수가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서, 공용 네트워크, 공중망(Public Network), 인터넷(Internet)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전용망은 특정 가입자를 대상으로 외부 접근이 제한된 네트워크로서, 전용 네트워크, 사설망(Private Network), 인트라넷(Intranet)이라고도 할 수 있다.
통신 사업자가 기업 가입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기업 전용망 서비스라 정의한다. 기업 가입자는 이러한 기업 전용망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약정 또는 청약한 가입자를 지칭한다. 이런 경우, 전용망은 기업망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공용망과 전용망은 분리된 트래픽 경로를 의미하고,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공용망과 전용망은 동일한 물리적 경로에 생성된 서로 다른 베어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환경은 기존에 상용화된 3G 통신망과 더불어 4G LTE 통신망 또는 5G 통신망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코어망은 3G 코어망, LTE 코어망, 5G 코어망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3G 코어망은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GGSN(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HLR(Home Location Register) 등을 포함한다.
LTE 코어망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포함한다.
5G 코어망은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UDM(User Data Management) 등을 포함한다.
MSC, MME, AMF는 이동성 관리 장치로서, 단말의 접속 및 이동성을 관리한다.
SGSN/GGSN, PGW, SMF/UPF는 데이터망 게이트웨이로서, 단말을 PDN(Packet Data Network)과 연결시키는 세션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PDN은 공용망 또는 전용망을 포함한다.
HLR, HSS, UDM/UDR은 가입자 장치로서,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단말의 위치 등록, 가입자 인증 등을 수행한다.
LTE/5G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과 전용망으로 구분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 APN(Access Point Name)이 이용된다. APN은 이동통신망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e Network, 이하, 'PDN'이라 통칭함)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5G에서는 DNN(Data Network Name)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APN으로 통칭하여 기재한다.
APN은 가입자 장치에 프로비저닝(provisioning)되는데, LTE에서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5G에서는 UDR(Unified Data Repository)에 프로비저닝된다.
APN은 APN-NI(Access Point Name Network Identifier)와 APN-OI(Access Point Name Operator Identifier)로 구성된다.
APN-NI는 네트워크 식별자(ID)로서, 일반적으로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이 기록되며, 변경할 수 없다. 예를들면, 공용망 APN 이든 전용망 APN 이든 관계없이 'lte.kt.com'으로 설정될 수 있다. APN-OI는 네크워크 식별자 뒤에 붙여지는 망 운영을 위한 사업자 ID, 즉, 오퍼레이터 식별자로서, 공용망을 나타내는 도메인 또는 전용망을 나타내는 도메인이 기록된다.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장치, 즉, LTE에서는 MME, 그리고 5G에서는 AMF가 APN-OI를 기초로 단말을 공용망으로 접속시킬지 또는 전용망으로 접속시킬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가입자 저장 장치에 프로비저닝되어 있는 APN-OI를 변경하면, 단말이 접속하는 망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이 전용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또는 전용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 3G 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핸드오버에 성공하면, 단말이 현재 접속한 망 정보, 즉, 전용망 정보가 핸드오버 과정에서 3G 망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단말은 3G 망을 통해 전용망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드오버에 실패하면, 단말은 3G 망으로 재접속하는데, 이때, 3G 망은 단말이 이전에 접속한 망 정보를 알 수가 없으므로, 단말을 공용망으로 접속시킨다.
3G 망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접속 요청에는 APN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 APN은 APN-NI만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APN-NI는 공용망과 전용망을 구분하는 식별자가 아니기 때문에, 3G 망이 APN-NI를 가지고 단말을 전용망으로 접속시킬 수는 없다.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의 가입자 정보는 3G 가입자 장치인 HLR로부터 획득한다. 그러나, 단말의 망 전환 정보를 알 수 있는 APN-OI는 HSS 또는 UDM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3G 망에서 APN-OI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단말을 전용망에 접속시킬 수가 없다. 이로 인하여 가입자는 전용망으로 전환을 하였음에도 공용망에 접속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 사이에 망 상황 관리 장치를 설치하고, 망 상황 관리 장치를 통해 제1 통신망이 제2 통신망으로부터 단말의 망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망은 3G 망이고, 제2 통신망은 LTE 망 또는 5G 망일 수 있다.
단말의 망 접속 정보는 표 1과 같은 파라미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Attribute Presence Length Description
MDN M 11 가입자 MDN (01022007700)
IMSI M 15 가입자 IMSI (450081022007700)
PLTE_ALWAYS M 1 0: PLTE_ALWAYS OFF
1: PLTE_ALWAYS ON
PLTE_STATUS M 1 0: PLTE OFF
1: PLTE ON
P5G_ALWAYS M 1 0: P5G_ALWAYS OFF
1: P5G_ALWAYS ON
P5G_STATUS M 1 0: P5G OFF
1: P5G ON
IOT O 1 1: 일반단말
2: IoT단말
표 1을 참조하면, MDN(Mobile Diretory Number)은 가입자 전화번호로서, 가입자 식별에 사용될 수 있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는 단말에 할당되는 고유 15자리 식별번호로서, 단말 식별에 사용될 수 있다.
PLTE_ALWAYS, PLTE_STATUS는 LTE 망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이고, P5G_ALWAYS, P5G_STATUS는 5G 망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PLTE_ALWAYS, P5G_ALWAYS는 전용망에만 접속하는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0이면 PLTE_ALWAYS OFF로서, 공용망과 전용망간 전환이 가능한 망 전환 가입자 단말을 나타낸다. 1이면 PLTE_ALWAYS ON으로서, 전용망에만 접속이 가능한 전용망 가입자 단말을 나타낸다.
PLTE_STATUS, P5G_STATUS는 망 전환 가입자의 전용망 접속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0은 공용망 접속을 나타낸다. 1은 전용망 접속을 나타낸다.
IOT는 단말의 형태를 구분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1은 일반 단말을 의미하고, 2는 IoT 단말을 의미한다.
그러면, 이와 같은 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전용망에 접속중인 단말이 3G 망에 핸드오버 실패후 재접속하더라도 공용망에 접속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G 망과 LTE 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3G 망과 5G 망이 혼재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단말(100), 3G 망(200), LTE 망(300), 공용망(400), 전용망(500) 및 망 상황 관리 장치(600)를 포함한다.
단말(100)은 LTE 가입자 단말로서, LTE 기지국인 eNode B(301), 3G 기지국인 Node B(201)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100)은 eNode B(301), Node B(205)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뎀을 구비한다.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LTE 망(300)에 접속하나, LTE 음영 지역이나 LTE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해외 로밍 지역 등에서 3G 망(200)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3G 망(200)은 3G 기지국(NodeB)(201), RNC(Radio Network Controller)(203), SGSN(205), HLR(207), GGSN(209), 3G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 장치(211) 및 MSC(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SGSN(205), HLR(207), GGSN(209), 3G PCC 장치(211), MSC(213)는 3G 코어망을 구성한다.
LTE 망(300)은 LTE 기지국(eNodeB)(301), MME(303), HSS(305), 망 전환 중계 장치(307), 영업 전산 시스템(309), SGW(311), 공용 PGW(313), 전용 PGW(315), 공용 PCC 장치(317) 및 전용 PCC 장치(319)를 포함한다.
공용 PGW(313)는 공용망(400)에 연결되고, 전용 PGW(315)는 전용망(500)에 연결된다. 여기서, MME(303), HSS(305), SGW(311), 공용 PGW(313), 전용 PGW(315), 공용 PCC 장치(317) 및 전용 PCC 장치(319)는 LTE 코어망을 구성한다.
영업 전산 시스템(309)은 전용망 서비스와 같은 통신 서비스의 가입을 처리하는 가입 처리 장치에 해당된다.
이때, 3G 망(200), LTE 망(300)의 각 구성 요소(201, 203, 205, 207, 209, 211, 213, 301, 303, 305, 307, 309, 311, 313, 315, 317, 319)의 기능 중 3GPP 표준에 따른 공지된 내용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내용에 대한 설명만 기재하였다.
SGW(311) 및 SGSN(205) 간의 연동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LTE 망(300)에서 3G 망(200)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진다.
3G PCC 장치(211), 공용 PCC 장치(317) 및 전용 PCC 장치(319)는 PCRF(Policy and Charging Control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책 장치라고 명명할 수 있다.
3G PCC 장치(211)는 3G 가입자의 정책 및 과금 규칙(이하, PCC 규칙으로 통칭함)을 저장 및 관리한다. 공용 PCC 장치(317) 및 전용 PCC 장치(319)는 LTE 가입자의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전용 PCC 장치(319)는 전용 PGW(315)와 연결되어 전용망 세션에 적용할 PCC 규칙을 전용 PGW(315)로 제공한다.
여기서, 3G PCC 장치(211)와 공용 PCC 장치(317)는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지만, 하나의 공용 PCC 장치로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용 PCC 장치(319)와 3G PCC 장치(211)는 망 상황 관리 장치(600)를 통해 앞서 설명한 망 접속 정보를 공유한다.
전용 PCC 장치(319)와 망 상황 관리 장치(600), 그리고 망 상황 관리 장치(600)와 3G PCC 장치(211)는 HTTP 프로토콜, Restful API 등과 같은 공지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도 있고, 새로 정의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여 연동할 수도 있다.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공용망(400)에 접속하고,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전용망(50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업 전용 LTE 가입자인 단말(100)이 전용 앱(APP) 트리거 ON(S101)되면, 망 전환 중계 장치(307)로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S103). 이때, 망 전환 요청은 공용망(400)에서 전용망(500)으로의 전환 요청이다.
망 전환 중계 장치(307)는 HSS(305)에게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S105).
HSS(305)는 단말(100)의 APN-OI를 전용망 APN-OI로 설정한다(S107).
단말(100)이 전용망(500)으로 전환한 경우, HSS(305)의 가입자 프로파일에서 망 전환 정보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항목 설정
APN-OI Replacement Private
여기서, Private는 전용망 접속을 지시하는 식별자이다.
HSS(305)는 MME(303)에게 공용망 세션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S109). 그러면, MME(303)는 단말(100) 및 공용 PGW(313)와 연동하여 공용망 세션을 해제한다(S111).
단말(100)은 MME(303)에게 망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113). 이때, 망 접속 요청은 공용망 세션 해제에 따라 이루어진다.
MME(303)는 HSS(305)로부터 전용망 APN-OI를 획득한다(S115). S115 단계는 MME(303)와 HSS(305) 간의 가입자 프로파일 인증에 포함될 수 있다.
MME(303)는 전용 PGW(315)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S117). 전용 PGW(315)는 전용 PCC 장치(319)에게 전용망 PCC 규칙을 요청하여 수신한다(S119, S121). S119 단계에서는 세션 설립을 요청하는 CCR(Credit-Control-Request) 메시지가 전송되고, S121 단계에서는 세션 설립을 승인하는 CCA(Credit-Control-Response) 메시지가 전송된다.
그러면, 전용 PGW(315)는 MME(303)에게 전용망 세션 생성 응답을 전송한다(S123). MME(303)는 단말(100)에게 망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S125).
전용 PCC 장치(319)는 단말(100)이 전용망(500)으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하고, 이를 기초로 망 접속 상태를 설정한다(S127). 전용 PCC 장치(319)는 표 1의 망 접속 정보의 PLTE_STATUS=1로 설정한다(S127). 전용 PCC 장치(319)는 S127 단계에서 PLTE_STATUS=1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 전송한다(S129). 이때, 망 접속 정보는 단말(100)의 MDN, IMSI를 포함하고, PLTE_STATUS=1로 설정되고, PLTE_ALWAYS=0으로 설정된다. IoT 여부는 단말(100)에 따라 설정된다.
망 상황 관리 장치(600)는 S129 단계에서 수신한 망 접속 정보를 3G PCC 장치(211)로 전송한다(S131).
또한, 단말(100)은 전용망(500)에서 공용망(40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업 전용 LTE 가입자인 단말(100)이 전용 앱(APP) 트리거 OFF(S201)되면, 망 전환 중계 장치(307)로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S203). 이때, 망 전환 요청은 전용망(500)에서 공용망(400)으로의 전환 요청이다.
망 전환 중계 장치(307)는 HSS(305)에게 망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S205).
HSS(305)는 단말(100)의 APN-OI를 공용망 APN-OI로 설정한다(S207).
단말(100)이 전용망(500)에서 공용망(400)으로 전환하는 경우, HSS(305)의 가입자 프로파일에서 망 전환 정보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항목 설정
APN-OI Replacement MASS
여기서, MASS는 공용망 접속을 지시하는 식별자이다.
HSS(305)는 MME(303)에게 전용망 세션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S209). 그러면, MME(303)는 단말(100) 및 전용 PGW(315)와 연동하여 전용망 세션을 해제한다(S211).
단말(100)은 MME(303)에게 망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213). 이때, 망 접속 요청은 전용망 세션 해제에 따라 이루어진다.
MME(303)는 HSS(305)로부터 공용망 APN-OI를 획득한다(S215). S215 단계는 MME(303)와 HSS(305) 간의 가입자 프로파일 인증에 포함될 수 있다.
MME(303)는 공용 PGW(313)에게 공용망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S217). 공용 PGW(313)는 MME(303)와 연동하여 단말(100)과 공용망 세션을 연결한다(S219).
한편, 전용 PGW(315)는 S211 단계 이후, 전용 PCC 장치(319)에게 세션 종료를 요청하는 CCR 메시지를 전송한다(S221). 그러면, 전용 PCC 장치(319)는 단말(100)의 전용 PCC 규칙을 삭제한 후, 세션 종료를 승인하는 CCA(CC-Answer) 메시지를 전송(S223)하여 사용자에 할당한 PCC 규칙이 삭제되었음을 알린다.
전용 PCC 장치(319)는 단말(100)이 공용망(400)으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하고, 이를 기초로 망 접속 상태를 설정한다(S225). 전용 PCC 장치(319)는 표 1의 망 접속 정보의 PLTE_STATUS=0으로 설정한다(S225). 전용 PCC 장치(319)는 S225 단계에서 PLTE_STATUS=0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 전송한다(S227). 이때, 망 접속 정보는 단말(100)의 MDN, IMSI를 포함하고, PLTE_STATUS=0으로 설정되고, PLTE_ALWAYS=0으로 설정된다. IoT 여부는 단말(100)에 따라 설정된다.
망 상황 관리 장치(600)는 S227 단계에서 수신한 망 접속 정보를 3G PCC 장치(211)로 전송한다(S229).
'PLTE_ALWAYS' 서비스 가입자는 공용망(400)에는 접속할 수 없고 항상 전용망(500)에만 접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업 전산 시스템(309)은 전용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에 설치되어 서비스 가입 처리 등을 수행한다. 가입자가 영업 전산 시스템(309)을 통해 'PLTE_ALWAYS' 서비스 가입을 진행하면, 영업 전산 시스템(309)은 HSS(305)에게 전용망 가입 설정을 요청한다(S301).
이때, 전용망 가입 설정 요청은 가입자의 MDN, IMSI 등과 함께 SVC=Provisioning 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단말(100)의 접속 요청에 따라 MME(303)가 HSS(305)로부터 SVC=Provisioning를 확인하면, MME(303)는 전용 PGW((315)에게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
또한, 영업 전산 시스템(309)은 전용 PCC 장치(319)에게 전용망 가입 설정을 요청한다(S303).
그러면, 전용 PCC 장치(319)는 표 1의 망 접속 정보에 S303 단계에서 획득한 MDN, IMSI를 수록하고, PLTE_STATUS=0으로 설정하며, PLTE_ALWAYS ON=1로 설정한다(S305).
전용 PCC 장치(319)는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 전달한다(S307). 망 상황 관리 장치(600)는 망 접속 정보를 3G PCC 장치(211)로 전달한다(S309).
도 2, 3 및 4를 통해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부터 3G PCC 장치(211)로 단말(100)의 망 접속 상태 및 가입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 망 접속 정보가 전달되며, 이는 단말(100)과 3G 망(200)간의 접속 절차에 반영된다.
단말(100)이 LTE 망(300)에 접속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던 도중에 3G 커버리지로 진입하면, 단말(100)은 LTE 망(300)에서 3G 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이와 같이, 핸드오버를 포함한 3G 망 접속 과정 중에 단말(100)의 망 접속 정보를 반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설명에서 핸드오버에 관한 절차는 공지된 기술 또는 표준을 기초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이 LTE망(300)에 접속하여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3G 커버리지로 진입하면, LTE 기지국, 즉, eNodeB(301)가 단말(100)의 3G 핸드오버를 결정(S401)한다.
eNodeB(301)는 MME(303)로 단말(100)의 3G 핸드오버를 요청한다(S403). MME(303)는 SGW(311), SGSN(205), 전용 PGW(315)와 연동하여 3G 핸드오버 절차를 진행한다(S405).
3G 핸드오버 절차는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S405 단계에서 eNodeB(301)는 MME(303)에게 핸드오버를 요청할 때, 타겟망의 RNC 식별자를 전송한다. 그러면, MME(303)는 RNC 식별자를 이용해서 SGSN(205)을 식별하고, SGSN(205)에게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orward relocation request)를 전송한다.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SGW(311)와 SGSN(205) 간에 통신 경로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SGSN(205)은 RNC(203)와 연동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를 진행한 후,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MME(303)에게 전송한다. MME(303)는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SGW(311)에게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 설립을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한다.
MME(303)는 3G 핸드오버 절차가 성공하는지 판단(S407)하여, 3G 핸드오버에 성공하면, eNodeB(301)에게 3G 핸드오버 응답(성공)을 전송한다(S409).
eNodeB(301)는 단말(100)에게 3G 핸드오버 응답(성공)을 전달한다(S411).
이처럼, 3G 핸드오버에 성공하면, 단말(100)은 3G 망(200)을 통해 전용망(500)에 접속할 수 있다. 즉, 3G 핸드오버의 성공으로 SGSN(205), SGW(311)간에 indirect data forwarding tunnel이 설립되어, 단말(100)은 NodeB(201), SGSN(205), SGW(311), 전용 PGW(315)의 통신 경로로 전용망(5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S407 단계에서 3G 핸드오버 실패로 판단되면, MME(303)는 3G 핸드오버 응답(실패)을 eNodeB(301)에게 전송한다(S415). eNodeB(301)는 단말(100)에게 3G 핸드오버 응답(실패)을 전달한다(S417).
이처럼, 핸드오버에 실패하면, 단말(100)은 3G 커버리지에 위치하므로, 3G 망(200)으로 초기 접속 절차를 진행한다. 즉, NodeB(201)에게 망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419).
NodeB(201)는 SGSN(205)에게 망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421).
이때, SGSN(205)은 단말(100)이 핸드오버를 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것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게다가 SGSN(205)과 HSS(305) 간의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SGSN(205)은 HSS(305)에 저장된 가입자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SGSN(205)은 일반 3G 호로 인식하므로, HLR(207)로 단말(10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때, 가입자 프로파일에는 APN-NI만 포함되어 있다.
SGSN(205)은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GGSN(209)으로 단말(100)의 데이터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S423). GGSN(209)은 3G PCC 장치(211)에게 단말(100)의 PCC 규칙을 요청한다(S425).
3G PCC 장치(211)는 S425 단계에서 획득한 단말의 MDN, IMSI와 매칭되는 PLTE_STATUS 및 PLTE_ALWAYS를 확인하고, PLTE_STATUS 또는 PLTE_ALWAYS의 값이 전용망 접속을 나타내는 값(1)인지 판단한다(S427).
3G PCC 장치(211)는 PLTE_STATUS도 PLTE_ALWAYS도 1이 아니라면, 단말(100)의 망 접속 허용을 결정한다(S429). 여기서, 핸드오버를 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말(100)은 전용망(500)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망 접속 허용은 공용망 접속의 허용을 의미한다.
3G PCC 장치(211)는 GGSN(209)에게 PCC 규칙 응답을 전송한다(S431). 이때, 망 접속 허용으로 결정되면, PCC 규칙응답은 단말(100)에 설정된 PCC 규칙을 포함한다.
GGSN(209)은 SGSN(205)에게 망 접속 응답을 전송(S433)하고, SGSN(205)은 NodeB(201)를 통해 단말(100)로 망 접속 응답을 전송한다(S435, S437).
반면, S427 단계에서 PLTE_STATUS 또는 PLTE_ALWAYS의 값이 1이면, 망 접속 차단, 즉, 공용망 접속 차단을 결정한다(S439).
그러나, 망 접속 차단으로 결정되면, 3G PCC 장치(211)는 GGSN(209)에게 PCC 규칙 거절을 전송한다(S441). GGSN(209)은 SGSN(205)에게 세션 실패 응답을 전송한다(S443). SGSN(205)은 NodeB(201)에게 망 접속 실패 응답을 전송한다(S445). NodeB(201)는 단말(100)에게 망 접속 실패 응답을 전송한다(S447). 이 과정(S427~S447)을 통해 전용망(500)에 접속중인 단말(100) 또는 전용망(500)에만 접속할 수 있는 단말(100)은 3G 망에서 공용망(400) 접속이 차단된다.
이때, 3G PCC 장치(211)는 단말(100)에게 망 접속 차단 알림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S449). 예를들어, '3G 접속으로 데이터 사용이 차단되었습니다. 단말을 다시 켜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100)이 전용망(500)에 접속한 경우, 3G PCC 장치(211)의 PLTE_STATUS는 1로 설정되므로, 단말(100)이 3G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 3G망(200)에 접속하더라도 망 접속이 차단되어 공용망 접속이 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100)이 공용망(400)으로 망 전환을 한 경우, 3G PCC 장치(211)의 PLTE_STATUS는 0으로 설정되므로, 단말(100)은 3G망(200)에서 망 접속이 허용된다.
또한, 단말(100)이 전용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PLTE_ALWAYS는 항상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단말(100)이 3G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 3G망(200)에서는 항상 망 접속이 차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PCC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용 PCC 장치(319)는 전용망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즉, PLTE_STATUS 또는 PLTE_ALWAYS의 설정값을 변경(S501)한다.
이때, 단말(100)이 전용망 접속만 가능한 가입자인지 판단한다(S503). 전용망 접속만 가능한 가입자라면, 망 접속 정보 미전송으로 결정한다(S505).
그러나, 전용망 접속만 가능한 가입자가 아니라면,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 변경된 설정값이 포함된 망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S507).
이처럼, PLTE_ALWAYS 가입자 단말은 항상 전용망(500)에만 접속해야 하는 단말이므로, 단말(100)이 망 접속/망 접속 해지를 할때마다 PLTE_STATUS가 변경되더라도 이를 3G PCC 장치(211)로 전달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시그널링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전용 PCC 장치(319)는 PLTE_ALWAYS 가입자 단말에 대해서는 PLTE_STATUS의 변경이 발생해도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 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구성과 유사하나, 다만, LTE 망(300) 대신 5G 망(700)과 3G 망(200)이 혼재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3G 망(200)과 5G 망(700) 간의 이종망 연동 구성 및 절차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조적 차이에 대해서만 기재한다.
단말(100)은 5G 가입자 단말로서, 5G 기지국인 gNB(701), 3G 기지국인 Node B(201)에 각각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100)은 gNB(701), Node B(205)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뎀을 구비한다.
5G 망(700)은 gNB(701), AMF(703), UDM(705), UDR(707), 망 전환 중계 장치(709), 영업 전산 시스템(711), 공용 SMF(713), 전용 SMF(715), 공용 UPF(717), 전용 UPF(719), 공용 PCC 장치(721), 전용 PCC 장치(723)를 포함한다.
공용 SMF(713), 공용 UPF(717)는 공용망(400)에 연결되고, 전용 SMF(715), 전용 UPF(719)는 전용망(500)에 연결된다. 여기서, AMF(703), UDM(705), UDR(707), 공용 SMF(713), 전용 SMF(715), 공용 UPF(717), 전용 UPF(719), 공용 PCC 장치(721), 전용 PCC 장치(723)는 5G 코어망을 구성한다.
공용 SMF(713), 공용 UPF(717)는 공용 PGW에 해당하고, 전용 SMF(715), 전용 UPF(719)는 전용 PGW에 해당하며, AMF(703)는 MME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망 전환 중계 장치(709)에 따라 생성되는 망 전환 정보는 UDR(707)에 저장되고, UDM(705)을 통해 AMF(703)로 전달된다.
전용 PCC 장치(723)는 전용 SMF(715)와 연동한다. 전용 PCC 장치(723)는 전용 SMF(715)로부터 획득한 망 접속 상태 및 망 가입 상태를 기초로 망 접속 정보를 생성해서 망 상황 관리 장치(600)로 전달한다.
SGSN(205)은 AMF(703)와 연동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통신 경로를 생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1 코어망 그리고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2 코어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코어망의 제1 정책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코어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을 전용망에 연결시킨 후 단말의 망 접속 상태를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망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망 접속 정보를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코어망의 제2 정책 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상기 제2 코어망으로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 요청을 전송한 경우, 상기 제2 정책 장치에 의해, 상기 재접속 요청을 거절하는데 사용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코어망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 또는 5G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망은, 3G망을 포함하는, 이종망 연동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이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면, 상기 제 1 코어망의 데이터망 게이트웨이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에 설정된 전용망 세션 정책을 삭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상태를 공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를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용망 접속으로 설정한 망 접속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한 경우, 상기 단말의 공용망 접속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가입 처리 장치로부터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종망 연동 방법.
  5.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1 코어망 그리고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2 코어망이 혼재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코어망의 제2 정책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코어망의 제1 정책 장치와 연결된 망 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단말의 망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코어망의 데이터망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단말의 세션 생성을 위한 정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단말의 망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코어망을 통한 전용망 접속 상태인지 또는 상기 단말이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 가입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용망 접속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전용망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세션 생성을 거절하는 정책 거절 응답을 상기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망 상황 관리 장치로 전달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의 데이터망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용망 세션 삭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미접속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정보에 상기 단말이 전용망 미접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세션 허용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의 정책을 포함하는 정책 응답을 상기 제2 코어망의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종망 연동 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가입 처리 장치로부터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서비스 가입으로 설정되는, 이종망 연동 방법.
  8. 단말을 공용망 또는 전용망으로 연결하는 제1 코어망의 정책 및 과금을 제어하는 제1 정책 장치와 연동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을 공용망으만 연결할 수 있는 제2 코어망의 제2 정책 장치와 연동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코어망과 상기 제2 코어망을 연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정책 장치로부터 망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정책 장치로 전달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코어망을 통해 전용망에 연결된 경우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된 상기 단말의 망 접속 상태, 또는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상기 제2 코어망으로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으로 재접속 요청을 전송한 경우, 상기 제2 정책 장치에 의해, 상기 재접속 요청을 거절하는데 사용되는, 이종망 연동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이 공용망에서 전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접속으로 설정되고,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으로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이종망 연동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전용망에서 공용망으로 망 전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미접속으로 설정되고,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으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이종망 연동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정책 장치가 가입 처리 장치로부터 전용망에만 접속 가능하고 공용망 접속은 차단하는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책 장치에 의해 전용망 서비스 가입으로 설정되고, 상기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이 상기 제2 코어망을 통해 공용망으로 접속하는 것을 상시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이종망 연동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망 접속 정보는,
    가입자 식별자, 단말 식별자, 전용망 접속 상태 및 전용망 서비스 가입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망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코어망에서 전용망의 접속 여부에 따라 활성값 또는 비활성값을 포함하고,
    상기 전용망 서비스 가입 상태는, 상기 단말이 전용망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에 따라 활성값 또는 비활성값을 포함하는, 이종망 연동 장치.

KR1020190151719A 2019-11-22 2019-11-22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400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19A KR10240048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19A KR10240048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52A KR20210063152A (ko) 2021-06-01
KR102400482B1 true KR102400482B1 (ko) 2022-05-19

Family

ID=7637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719A KR10240048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4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5845A (ja) * 2018-01-12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ー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252B1 (ko) * 2016-09-06 2023-04-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전용망 정책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5845A (ja) * 2018-01-12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52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116B2 (en) Traffic offload via local network
KR10228795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역별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9609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역별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197204B2 (en) Voice service handover
US10070288B2 (en)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ing mobile network, subscription manager, and user equipment
KR101660966B1 (ko) 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032746B2 (en) Voice service handover
US9055553B2 (en) Method for guaranteeing establishment of local IP access correctly
CN104854893A (zh) 用于处理无线设备在Wi-Fi网络中的接入的系统
WO2016117505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2200273B1 (ko) 사설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611749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13841429B (zh) 用于发起切片特定的认证和授权的通信网络组件和方法
CN102014452B (zh) 一种本地ip访问连接实现移动性的方法和系统
CN102438328B (zh) 一种用户参与本地访问连接建立的方法及系统
KR102400482B1 (ko) 이종망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69806B1 (ko) 멀티-테넌트 전용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mme, p-gw 및 가입자 서버 각각의 동작 방법
WO2021170597A1 (en) Configuring usage of a communication network
EP2378831B1 (en) Deactivating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KR102321411B1 (ko) Odb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255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shared networks in a private network through a provider network
US20240137277A1 (en) Network Slice Quota Management Enhancements
KR102553168B1 (ko) 네트워크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WO2012000367A1 (zh) Mtc特性的激活方法、移动性管理网元及mtc设备
KR20210043950A (ko) 이종망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