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068B1 -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068B1
KR102400068B1 KR1020200162521A KR20200162521A KR102400068B1 KR 102400068 B1 KR102400068 B1 KR 102400068B1 KR 1020200162521 A KR1020200162521 A KR 1020200162521A KR 20200162521 A KR20200162521 A KR 20200162521A KR 102400068 B1 KR102400068 B1 KR 10240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anagement
information
insuran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연
김성민
심명숙
김병수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룰스
Priority to KR102020016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068B1/ko
Priority to KR1020210171141A priority patent/KR2022007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은 상품의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통합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관리하여 상품 정보, 상품 관련 규칙에 대한 연계 관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SYSTEM FOR BASE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DIGITAL INFORM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물리 모델 변경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물리 DB를 의식하면서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메타 모델링에 의한 이상적인 상품 구조를 구현하여, 물리 DB의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상품 구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은 상품의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통합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관리하여 상품 정보, 상품 관련 규칙에 대한 연계 관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상이한 구조 및 속성을 가지는 유형의 상품에 대한 일괄 관리를 수행하고, 물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변경 없이 새로운 상품의 구조를 정의하고, 속성 추가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상품을 구성하는 단위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구성요소 간의 상하 관계를 정의하여, 구성요소를 Pool 조립으로 구현한다.
프로세서는 상품 유형 정의, 관계 정의를 포함하는 상품 구조 모델링을 디지털 상품 관리 화면의 설정을 통해 정의하여, Pool 단위의 조립을 통해 상품 구조를 정의한다.
프로세서는 구성요소 Pool에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구성요소를 선별하여 조립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상품 구조 상의 상품 레벨 별로 독립된 속성을 부여하고, 상하 구조 관계에 대한 속성을 정의한다.
프로세서는 기존 상품의 속성 및 구조에 대한 복사 기능을 제공하고, 복사 이후 Pool로 관리하는 구성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적용하여 신규 상품 생성 기능 또는 상품 변경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상품 관리(DPM) 구축을 통하여 상품 정보를 구조와 속성에 따라 계층화 및 체계화하며, 업무 규칙의 통합 관리 수행을 통해 비즈니스 측면의 제도, 규정 변화에 대해 민첩한 대응이 가능하고, IT 측면의 개발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품 정보 이력 관리와, 이관 관리,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상품 정보 및 업무규칙의 변경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업무 시스템 변경 최소화를 통해 조기 상품 출시를 지원하고, 다양한 복합 상품, 융합 상품의 신속한 개발을 지원하며, 드래그 앤 드롭을 활용한 손쉬운 상품의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업무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상품 관리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조 관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속성 관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칙 속성 관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관리방안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상품 관리의 관리대상 상품 기준 정보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Pool 정보관리의 특약 Pool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생성, 상품 복사 및 상품 조립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oB 통합 상품 생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관계 규칙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장 지급 기준조건 관리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장 위험 관리, 보험금 산출 흐름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이관 관리 기능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규칙 관리 및 활용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룰 찾기 및 룰 관계도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룰 테스트 실행경로 추적 화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전 및 이력 관리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권한 관리 화면 및 상품데이터 변경 이력 조회 화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 권한 관리와의 연계 및 접근 제어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관 시스템의 성능 보장 방안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품질보증 방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PM(Digital Product Management)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품 기획, 개발, 릴리스, 운영 및 판매 분석 등 모든 상품 라이프 사이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품의 기준 정보와 룰을 통합 관리한다.
룰 기반의 DPM 시스템은 상품 구조 및 기준 정보 관리를 통해 다양한 상품의 기준 정보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상품 관련 룰을 관리하여 자산화한다.
룰 기반의 DPM 시스템의 리퍼지토리 풀에는 상품 구조, 상품 룰, 공통 룰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상품의 구조, 속성, 룰을 카피하고, 차분만큼 드래그 앤 드랍 조작으로 신상품 제작이 가능하다.
즉, 상품 구조와 룰의 재이용을 통해, 신상품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은 상품의 디지털 정보 및 룰을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디지털 정보 및 룰을 통합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정보 및 룰을 관리하여 기준정보, 상품 관련 규칙에 대한 연계 관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상이한 구조 및 속성을 가지는 유형의 상품에 대한 일괄 관리를 수행하고, 물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변경 없이 새로운 상품의 구조를 정의하고, 속성 추가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을 구성하는 단위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구성요소 간의 상하 관계를 정의하여, 구성요소를 Pool 조립으로 구현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 유형 정의, 관계 정의를 포함하는 상품 구조 모델링을 디지털 상품 관리 화면의 설정을 통해 정의하여, Pool 단위의 조립을 통해 상품 구조를 정의한다.
프로세서(130)는 구성요소 Pool에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구성요소를 선별하여 조립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 구조 상의 상품 레벨 별로 독립된 속성을 부여하고, 상하 구조 관계에 대한 속성을 정의한다.
프로세서(130)는 기존 상품의 속성 및 구조에 대한 복사 기능을 제공하고, 복사 이후 Pool로 관리하는 구성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적용하여 신규 상품 생성 기능 또는 상품 변경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업무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상품과 관련된 약관, 사업방법서 등의 각종 기초서류 및 운영 매뉴얼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또한, 상품 담당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이용하여 상품 관리 대상을 모델링하고, 관련 규칙을 도출하여 디지털 상품 관리를 통한 통합 관리 환경을 구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품 관리 업무는 상품 기획 작성, 상품 기획 검토, 상품 기획 승인, 수익분석 시뮬레이션 실행, 수익분석 시뮬레이션 결과 검토, 상품 개발 문서 작성, 상품 개발 문서 검토, 상품 전산 개발, 상품 전산 테스트, 상품 출시 승인, 상품 정보 이관, 상품 판매, 사후 관리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상품 관리 업무 영역은 상품 전산 개발, 상품 전산 테스트에 해당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상품 관리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 정보 관리, 규칙 정보 관리, 기초정보 조회, 판매정보 관리, 변경영향도/이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관리는 상품 구조 관리, 상품 판매 기간 일괄 관리, 상품 서비스 뷰, 상품 구조 비교, 상품 항목 관리, 상품 항목 일괄 복사, 상품 조건 검색/수정, 상품 항목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규칙 정보 관리는 관계 등록/수정, 전체 속성룰 조회, 항목별 속성룰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기초 정보 조회는 표준 항목 관리, 표준 항목 관계 관리, 가변 패턴 관리, 패턴 데이터 관리, 오브젝트 업로드, 오브젝트 관계 업로드, 오브젝트 항목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판매 정보 관리는 상품 등록 현황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변경 영향도/이관은 상품 데이터 변경 이력 조회, 승인 요청/승인/이관, 이관 이력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를 통해 전사 상품 정보, 상품관련 규칙을 통합 관리하고, 각 업무 시스템(업무 영역)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정보와 업무규칙을 통합 관리하고, 상품과 상품 룰을 연계하여 관리하고, 상품 오류를 검증하고 테스트 기능을 수행하며, 수익성 분석 등 업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상품 요건을 물리적 모델 변경 없이 빠르고 쉽게 반영하고, 상품 API 활용으로 구조 변화에 업무 룰 독립성을 향상시키며, 연계/복합 상품 출시에 대한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상품 및 룰의 복사 및 조립 기능을 수행하고, 쉬운 산식, 평가 등의 규칙을 표현하며, 상품 및 룰 버전을 관리하고, 빠르고 용이한 테스트 및 디버깅 기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조 관리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상이한 구조 및 속성을 갖는 다양한 유형의 상품들을 일괄 관리하고 프로그램이나 리퍼지토리(Repository)의 물리 DB에 대한 변경 없이, 새로운 유형의 상품 구조를 정의하고, 속성 추가를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구성요소는 상/하위 구성요소로서 Pool 조립으로 구현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을 구성하는 단위(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각 구성 요소 간 상하 관계를 정의한다.
이를 통해, 상품의 구성 요소인 상품, 하위 1-level 구성요소 내지 하위 n-level 구성요소 등 n-level 구성 요소에 대해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솔루션은 상품 구조 정의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화면의 설정으로 상품 구조를 정의하며, 향후 미래의 통합, 복합 상품의 출시 등 구조의 변화에 융통성 있는 대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유형 정의, 관계 정의 등 상품 구조 모델링을 디지털 상품 관리(DPM) 화면 설정으로 정의함으로써, 각 Pool 단위 조립을 통해 상품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저장하여 상품 리퍼지토리에 보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속성 관리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 구조 상의 상품 Level별로 독립된 속성을 부여하고 상호 구조 관계에 대해 속성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적인 속성 및 관계의 변화는 리퍼지토리의 물리 DB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유연한 구조이다.
메타 시스템에 정의된 속성과 허용값은 필요한 정보가 상품시스템으로 적재되어 사용된다.
보험 상품을 예로 들어, 속성 구분 및 속성 예시를 설명한다.
상품 속성으로는 상품 한글명, 상품 영문명, 상품 구분 코드, 상품 개발 부서 기준 분류 코드, 배당 구분 코드, 사내 연금 지원 여부, 개인 연금 구분 코드, 금리 연동형 상품 여부, 실손보험여부 등이 포함된다.
상품- 보험 관계 속성으로는 보험 최소 가입 한도 금액, 보험 최대 가입 한도 금액, 최소 가입 나이 코드, 최대 가입 나이 코드, 보험기간 변경가능 기간 코드, 조립 담보 순번 등이 포함된다.
보험 속성에는 보험 한글 전체명, 보험 영문명, 보험 한글 약어명, 보험 사용자 정의명, 보험 리스크 기준 분류 코드, 보험 월보 기준 분류 코드, 대표군 코드, 장단기 구분코드, 무진단 여부, 우량체보험 구분코드, 태아 가입 가능 여부, 가입 단위 관리 기준 코드, 가입 기준금액 등이 포함된다.
메타시스템 연동 속성 관리로서, 메타시스템의 기준정보를 연동하여 속성과 허용값을 상품시스템에 적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칙 속성 관리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 의 속성 정의 화면(표준항목관리)을 통해 상품 속성을 정의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 속성명과 상품 정보 등록 화면에 나타낼 명칭, 데이터 형식, 속성 단위 운영 주관부서, 속성에 연계될 규칙 등을 정의하고, 이러한 속성 정보에 따라 상품 등록 화면의 화면이 동적으로 자동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 관리방안을 도시한다.
효율적인 상품관리를 위하여 상품코드 통합 및 정비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품 개정 시 신규코드로 모두 채번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표준항목과 허용값으로 처리하여 코드 채번 규칙을 단순하게 통합 관리한다.
상품 코드 통합으로서, 프로세서(130)는 보험기간과 납입기간을 표준 항목으로 관리하여 상품 코드를 통합하고, 개정 시에도 한 개의 상품코드 복사만을 수행하여 상품의 개정, 정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를 통해, 상품코드의 단순화로 상품이 증가되거나 개정되어도 상품 관리의 전체 복잡도가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보험기간, 납입 기간 관리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상품별 보험기간/납입기간의 정보를 디지털 상품 관리(DPM) 의 패턴데이터 관리 메뉴를 이용하여 관리하며, 유사한 상품 패턴데이터를 복사하여 사용한다.
As IS 코드와의 매핑을 위해, 프로세서(130)는 As-Is 상품테이블의 정보를 엑셀로 정리하여 신규 코드로 맵핑(엑셀 템플릿 파일 이용)한다.
신상품 출시 및 개정 반영을 위해, 프로세서(130)는 대표상품을 먼저 상품시스템으로 로딩 이후, 일정 간격에 따라 신규/개정 상품 순차 반영하며, 엑셀 업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상품 관리의 관리대상 상품 기준 정보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와 사고보장 솔루션을 연계한다.
이를 통해, 상품정보, 급부정보, 증권정보, 요율관련 정보뿐 아니라 업무처리 연계 기준정보를 관리하여, 보험업무 전 영역에 관련된 기준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프로세서(130)는 단일 또는 다중 속성 정보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정형적 정보를 관리하고, 룰 기반 규칙속성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비정형적 정보를 관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 Pool 정보관리의 특약 Pool 구성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를 통해, 상품의 구성요소를 Pool로 운영한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30)는 신규상품 또는 상품 변경 시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선별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상품을 관리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 화면에서 상품 조립 시, 대표상품, 상품, 주계약, 특약을 트리 형태로 표현하여, 각 구성요소 풀(Pool)에서 드래그 앤 드롭 형태로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선별하여 조립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생성, 상품 복사 및 상품 조립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를 통해, 상품의 복사 기능을 제공하여, 기존 상품의 속성과 구조를 동일하게 복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품 복사 이후, Pool로 관리하는 특약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적용하여, 구조의 추가/삭제의 용이성을 도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oB 통합 상품 생성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를 통해, 상품 유형의 관계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통합상품의 구조와 속성을 관리한다.
즉,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 안에서 관리되고 있는 유형간의 상위/하위 구조 정보를 구성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유형정보를 추가하는 기능(예: 신탁/펀드 통합상품, 여신/신탁 통합상품), 관계유형 관리 화면에서 추가한 유형의 하위에 관리하고자 하는 유형들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적용하는 기능(예: 상위는 신탁/펀드 통합상품, 하위는 신탁상품, 펀드 상품), 정의된 상위/하위 구조로 유형간의 구조정보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 Level의 정의가 가능하여 다양한 구조의 복합상품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관계 규칙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관리 화면을 통해 상품의 종속. 배타, 독립 등의 관계 규칙 정보를 정의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 때 관계 유형에 대한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시가입, 종속관계 등의 관계규칙 유형에 대한 자유로운 추가 정의가 가능하며,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정의된 관계규칙 유형 정보를 상품 별로 간단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장 지급 기준조건 관리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사고 보장 솔루션을 이용하여 상품에 따른 보장 단위의 기준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사고 접수 시 지급 가능한 특약 목록과 보험금을 산출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보험금 지급을 수행한다.
보장 단위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에서 관리하는 상품/특약의 하위에 구조 정보로 정의된다.
프로세서(130)는 보장 단위의 지급 조건에 대한 기준 정보를 관리하여, 사고자 조건, KCD, 사고원인, 사고일시장소, 사고결과, 차사고, 산출식으로 분류된 분류 별 지급 조건에 대한 일괄 관리를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장 위험 관리, 보험금 산출 흐름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에 의해 관리하는 산출 규정을 이용하여, 피해 정도에 따라 지급대상 보험 급부의 보험금을 산출하고, 기지급액 및 보상한도를 제어하여 지급할 금액을 제시한다.
프로세서(130)는 지급 대상 보험 급부 목록, 계약 정보, 사고 정보, 보험급부 속성을 수신하여, 보험금 산출 규칙 및 보험급부간 규칙을 이용하여, 급부별 보험금을 산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이관 관리 기능을 도시하며, 즉시이관 화면 및 이관 이력 조회 화면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권한에 따른 이관 절차 진행 및 이력 조회 등 이관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승인 절차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즉시 이관 및 승인 절차에 따른 이관 작업이 진행된다.
이관 작업은 상품의 구조/규칙/속성별로 수행된다.
이력 관리는 이관 대상 별 조회, 승인 절차 상태에 따른 조회, 이관 유형 기간별 조회를 통해 수행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규칙 관리 및 활용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를 통해, 인수심사, 보험료 계산, 보험금 지급, 보장내역 문구 등 상품 관련 규칙들을 관리한다.
프로세서(130)는 상품속성과 해당 상품의 규칙 관리를 일원화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업무 시스템은 예컨대 공통 규칙, 상품별 인수 규칙, 상품 별 관계 규칙을 이용하여 인수 심사를 수행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룰 찾기 및 룰 관계도 화면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법으로 등록되어 운영되는 룰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30)는 특정 룰이 활용되는 연관 룰과 호출되는 연관 룰을 관계도의 형태로 제공하여, 룰 변경 시의 영향 범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룰 찾기에 대해 설명하면, 룰 이름, 코드, 별칭, 설명, 내용 등으로 룰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 룰을 빠르게 찾아서 확인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항목을 사용하는 룰 찾기를 할 경우, 특정항목(변수)을 사용하는 룰을 검색할 수 있으므로, 항목의 변경에 따른 영향도 분석이 가능하다.
그 외 룰 종류별, 룰 형식별, 변경된 룰, 승인된 룰, 최종 편집일 기준 등으로 조회가 가능하다.
룰 이관 상태, 최종 편집자, 최종 편집일을 이용하여 결과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다.
업무 추적에 대해 설명하면, 특정 룰이 활용하는 연관 룰 및 호출되는 연관 룰을 관계도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룰 변경 시 영향 범위 파악이 용이하다.
룰 호출 Log 분석을 통해 룰 변경 시 영향을 받는 애플리케이션 (업무, 조직) 및 사용자 분석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룰 테스트 실행경로 추적 화면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업무 규칙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룰 작성 후 즉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테스트 시 실행경로 추적이 가능하여 에러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행 경로 상의 단위 룰 문법오류나 실행결과 확인을 통해 오류가 있는 단위 룰에 대한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다.
룰 테스트 및 실행 경로 추적에 대해 설명하면, 룰 실행경로 보기로 처리되는 룰의 하위 단위 룰의 실행 순서를 출력하여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실행경로 상의 단위 룰에 문법 오류가 있을 경우 단위 룰 박스에 에러 표시를 출력하고, 실행경로 상의 단위 룰 실행 결과를 조회하여 결과 오류를 유발하는 단위 룰을 식별하며, 실행경로 상의 선택된 단위 룰의 내용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전 및 이력 관리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룰의 기준일자를 이용하여 상세 버전 관리를 수행하며, 변경된 내용의 추적, 이전 버전으로의 회귀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30)는 시점을 지정하여 룰 테스트를 수행하며, 버전에 따른 결과 차이를 비교하여 제공하고, 룰 배포 기준의 이력 관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룰 변경 시 버전을 관리하여 과거 버전으로의 회귀 및 오류 추적이 용이하고, 최종 수정 날짜의 버전이 적용되도록 룰 엔진을 자동 관리(배치자, 배치시점, 최종 편집일 관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Factor 추가 등의 변화가 물리적 DB 작업 없이 논리적으로 정의되므로, 기준일자에 의한 당시 룰 실행이 가능하며, 룰 배포 기준의 이력 관리를 통해 운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권한 관리 화면 및 상품데이터 변경 이력 조회 화면을 도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상품 관리(DPM)를 통해 사용자 별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권한이 부여된 기준정보만을 조회하고 수정할 수 있다.
기준정보를 변경한 경우 변경 전 값, 변경 후 값, 처리자, 처리일시, 처리유형, 변경사유 등의 변경이력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준정보 변경이력의 추적이 가능하다.
사용자 별 권한 관리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 부서 별 화면의 권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읽기, 읽기/쓰기, 권한없음으로 부여된 권한 정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기능별 권한에 대해 설명하면, 디지털 상품 관리(DPM)의 메뉴별 읽기, 읽기/쓰기, 권한없음으로 권한 관리가 이루어진다.
변경 이력 조회에 대해 설명하면, 기준정보를 변경한 경우 변경 전 값, 변경 후 값, 처리자, 처리일시, 처리유형, 변경사유 등의 변경이력 정보를 조회가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 권한 관리와의 연계 및 접근 제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권한의 SSO/IM의 API를 이용하여 Product Builder, 룰 Builder 접근 권한을 연계하고, 상품정보 및 업무규칙 관리 시스템의 설정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접근에 대한 권한 제어를 수행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관 시스템의 성능 보장 방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량의 상품데이터 접근 방안과 빈번한 호출방지 방안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유관시스템의 성능을 보장한다.
상품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품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방법으로 룰 API를 통하여 제공하고, 여러 건을 조회할 수 있는 상품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배치 처리에서 사용을 위하여 상품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에서 원하는 형태의 뷰 테이블(View Table)로 제공한다.
룰 호출 로그를 이용한 잘못된 호출 프로그램 검색에 대해 설명하면, 프로그램 ID를 이용하여 룰 호출 로그를 DB 테이블에 기록한다.
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단계에서 빈번하게 호출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호출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한다.
동일한 룰을 여러 번 호출하는 경우, 한번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코딩 변경을 가이드하고, 서로 다른 룰을 여러 번 호출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개선을 통해 룰 호출 횟수를 줄이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품질보증 방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시스템의 상품 기준정보와 업무 규칙에 대한 품질 보증 방안을 제공한다.
상품 기준 정보 정합성 검증에 대해 설명하면, As_Is 상품정보의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은 고객사 IT담당자의 협조를 받아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담당자가 수행한다(엑셀 템플릿 이용, Migration 규칙 정의).
상품/보험, 융자 등의 객체에서 사용되는 항목(속성) 중에 입력값의 정합성 검증이 필요한 속성들에 대해 속성별 정합성 검증 규칙을 정의한다.
상품정보를 로딩 또는 마이그레이션 할 때, 상품정보 리퍼지토리에 저장하기 전에 기정의된 상품정보 정합성 규칙을 적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업무 규칙 정보 품질 보증에 대해 설명하면, 업무 통합테스트 단계에서는 테스트 결과가 상품정보 오류로 비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품정보 정합성 규칙에 대한 수정한 후 기등록된 상품정보에 대해 일괄 검사를 수행한다.
업무 규칙의 경우 다양한 입력값으로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룰 빌더의 다중테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검증이 가능하다.
엑셀에 입력값을 정리한 후, 다중테스트 화면에서 엑셀 파일을 읽어 입력값으로 설정하고. 테스트 결과를 화면 또는 내역서를 통해 확인하고, 예상되는 결과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7)

  1. 상품의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통합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지털 기준정보 및 룰을 관리하여 상품 정보, 상품 관련 규칙에 대한 연계 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을 구성하는 단위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상기 구성요소 간의 상하 관계를 정의하여, 상기 구성요소를 Pool 조립으로 구현하고, 상이한 구조와 속성을 갖는 다양한 유형의 상품을 일괄 관리하며 프로그램 및 리퍼지토리의 물리 DB에 대한 변경 없이 새로운 유형의 상품 구조를 정의하고 속성 추가를 수행하며, 상품 유형, 관계 정의를 포함하는 상품 구조 모델링을 디지털 상품 관리 화면 설정으로 정의하고, 각 Pool 단위 조립을 통해 상품 구조를 정의하고, 정의한 상품 구조를 정의하여 상품 리퍼지로티에 보관하며, 상품 복사 이후 Pool로 관리하는 특약에 관한 구성요소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적용하여 신규 상품 생성 및 변경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품 구조 상의 상품 레벨 별로 독립된 속성을 부여하고, 상하 구조 관계에 대해 속성을 정의하되, 보험 상품의 경우 상품 한글명, 상품 영문명, 상품 구분 코드, 상품 개발 부서 기준 분류 코드, 배당 구분 코드, 사내 연금 지원 여부, 개인 연금 구분 코드, 금리 연동형 상품 여부, 실손보험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품 속성으로 정의하고, 보험 최소 가입 한도 금액, 보험 최대 가입 한도 금액, 최소 가입 나이 코드, 최대 가입 나이 코드, 보험기간 변경가능 기간 코드, 조립 담보 순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품- 보험 관계 속성으로 정의하고, 보험 한글 전체명, 보험 영문명, 보험 한글 약어명, 보험 사용자 정의명, 보험 리스크 기준 분류 코드, 보험 월보 기준 분류 코드, 대표군 코드, 장단기 구분코드, 무진단 여부, 우량체보험 구분코드, 태아 가입 가능 여부, 가입 단위 관리 기준 코드, 가입 기준금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험 속성으로 정의하고, 메타시스템의 기준정보를 연동하여 속성과 허용값을 상품시스템에 적재하는 것
    인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62521A 2020-11-27 2020-11-27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KR10240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521A KR102400068B1 (ko) 2020-11-27 2020-11-27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KR1020210171141A KR20220075190A (ko) 2020-11-27 2021-12-02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521A KR102400068B1 (ko) 2020-11-27 2020-11-27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141A Division KR20220075190A (ko) 2020-11-27 2021-12-02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068B1 true KR102400068B1 (ko) 2022-05-24

Family

ID=818067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521A KR102400068B1 (ko) 2020-11-27 2020-11-27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KR1020210171141A KR20220075190A (ko) 2020-11-27 2021-12-02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141A KR20220075190A (ko) 2020-11-27 2021-12-02 디지털 기준정보 관리를 이용한 상품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00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42B1 (ko) * 2007-12-04 2010-07-01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KR20130047799A (ko) * 2011-10-28 2013-05-09 양동훈 유비쿼터스 스마트 쇼핑 시스템
KR20160103842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이노룰스 Brms를 이용한 상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200B1 (ko) * 2017-12-15 2019-05-23 주식회사 이노룰스 서비스상품의 기준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42B1 (ko) * 2007-12-04 2010-07-01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KR20130047799A (ko) * 2011-10-28 2013-05-09 양동훈 유비쿼터스 스마트 쇼핑 시스템
KR20160103842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이노룰스 Brms를 이용한 상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200B1 (ko) * 2017-12-15 2019-05-23 주식회사 이노룰스 서비스상품의 기준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190A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259B2 (en) Configurable and customizable software application system and metadata
US83972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baselining across multiple domains
US102963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utomated production and provision of at least one software application
US82665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uspect links between objects
AU2018281314A1 (en) Integrated system for rule editing, simulation, version control, and business process management
US117832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adaptive data governance system
US201401223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to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EP2610762A1 (en) Database version management system
US20140143765A1 (en) Orphan token management during in-flight process system migration
Weinreich et al. Automatic reference architecture conformance checking for soa-based software systems
US11537989B2 (en) Dynamically controlling case model structure using case fragments
US20140310715A1 (en) Modeling and Consuming Business Policy Rules
US202100892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application currency
KR102400068B1 (ko)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Heckel et al. Visual smart contracts for DAML
Szívós et al. The role of data authentication and security in the audit of financial statements
CN112132529A (zh) 一种用于保险系统整合的资源管理平台及管理方法
Sellami et al. Guiding the functional change decisions in agile project: An empirical evaluation
CN117687681B (zh) 一种低代码应用的版本管理方法及系统
US11385869B2 (en) Code modification technique
US20220317980A1 (en) Code modification technique
KR20220148431A (ko)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CN114693275A (zh) 一种业务系统函数动态执行方法
Rohde Pervasive Governance–Understand and Secure Your Transaction Data & Content
Sál Data Mining as Tool for Invoices Vali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