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057B1 - Light unit - Google Patents

Light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057B1
KR102400057B1 KR1020210017508A KR20210017508A KR102400057B1 KR 102400057 B1 KR102400057 B1 KR 102400057B1 KR 1020210017508 A KR1020210017508 A KR 1020210017508A KR 20210017508 A KR20210017508 A KR 20210017508A KR 102400057 B1 KR102400057 B1 KR 10240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ilm
light
light blocking
spatial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9042A (en
Inventor
박무룡
김철홍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35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5971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0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1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042A/en
Priority to KR1020220059616A priority patent/KR1026010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057B1/en
Priority to KR1020230152688A priority patent/KR202301584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광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유닛; 및 상기 복수개의 광원 상에 배치되는 레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필름, 상기 반사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투명 재질의 필름 및 상기 반사필름과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Embodiments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reflection unit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resin layer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wherein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reflective film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transparent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lective film, and the refle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Disclosed is a lighting device including a spac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lms of the reflective unit and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passes.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 unit}Light unit

본 발명은 LED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장치, 나아가 상술한 조명장치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장치, 차량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as a light source, and further to a backlight uni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lighting device using the aforementioned lighting device.

광원에서 발광하는 광을 유도하여 조명을 구현하는 장치는 조명용램프나 차량용램프,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다양하게 필요로 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에서는 장비의 구조를 얇게 하는 기술과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가장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A device for realizing lighting by induc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required in various ways in lighting lamps, vehicle lamp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the like. In such a lighting device, a technology for thinning the structure of equipment and a structure for increasing light efficiency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이러한 조명장치가 작용되는 일예로서 액정표시장치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n example in which such a lighting device work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조명장치(1)는 기판(20) 상에 평탄한 도광판(30)이 배치되고 이 도광판(30)의 측면에는 복수의 측면형 LED(10)(하나만 도시)가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 , in this lighting device 1 , a flat light guide plate 30 is disposed on a substrate 20 , and a plurality of side-type LEDs 10 (only one is shown) are array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 is placed as

LED(10)에서 도광판(30)으로 입사된 빛(L)은 도광판(30)의 밑면에 제공된 미세한 반사 패턴 또는 반사 시트(40)에 의해 상부로 반사되어 도광판(30)에서 출사된 다음 도광판(30) 상부의 LCD 패널(50)에 광을 제공하게 된다. The light L incident from the LED 10 to the light guide plate 30 is reflected upward by a fine reflective pattern or reflective sheet 40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is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then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 30) Light is provided to the upper LCD panel 50 .

이러한 조명장치에는 도 2에 도시된 개념도와 같이, 상기 도광판(30)과 LCD 패널(50) 사이에 확산시트(31)나 프리즘 시트(32, 33), 보호시트(34) 등의 복수의 광학시트를 더 부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conceptual diagram of FIG. 2 , in such a lighting device, a plurality of optical elements such as a diffusion sheet 31 , a prism sheet 32 , 33 , and a protection sheet 34 are disposed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the LCD panel 50 .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further adds a sheet.

따라서 이러한 도광판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조명장치의 필수적인 부품으로 사용되지만, 이로 인해 도광판 자체의 두께로 인해 전체적인 제품의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면적 조명장치의 경우,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Therefore, such a light guide plate is basically used as an essential part of such a lighting device, but due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itself,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product. is caus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접착물질을 패터닝한 에어영역을 백색 PET를 이용해 구현하는 반사유닛을 구비하여 광의 반사율 향상과 함께 휘도향상을 극대화하며, 조명장치의 두께나 광원의 수 증가 없이도 휘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에어영역을 형성하는 이격부재(스페이서)의 패턴 디자인으로 인해 광의 조절 및 반사효율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lective unit that implements an air region patterned with an adhes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white PET to improve reflectance of light and luminanc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improvement, increase the brightness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or increase the number of light sources, and maximize the control and reflection efficiency of light due to the pattern design of the spacer (spacer) forming the air area.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구조에 필수적인 도광판을 제거하고, 필름타입의 레진층을 이용하여 광원을 유도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광원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박형화하며,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light guide plate essential for 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ming a structure for guiding the light source using a film-type resin layer, the number of light sources can be reduced, and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is reduc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iable product capabl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product design.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조명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광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유닛; 및 상기 복수개의 광원 상에 배치되는 레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필름, 상기 반사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투명 재질의 필름 및 상기 반사필름과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한다.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reflection unit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resin layer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wherein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reflective film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transparent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lective film, and the refle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and a spac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lms, and the refl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passes.

상기 복수개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필름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film and be reflected by the reflective film.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반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ve patterns disposed on the film of the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이격부재는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 및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이격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pac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pacers and a plurality of first space regions, and the unit spacers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 각각은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 각각이 배치되는 육각형의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spacers may include a hexa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is disposed.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광학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패턴층은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2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패턴 및 접착 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resin layer, wherein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 first film,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a light blocking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an adhesive pattern layer.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광원 각각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pattern may include a region overlapp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유닛;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 상에 배치되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차광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필름 및 상기 반사필름 상에 배치되는 투명 재질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필름 및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측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이다.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reflection unit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resin layer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nd a light blocking pattern disposed on the resin layer, wherein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reflective film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transparent film disposed on the reflective film, the refle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The film material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passes,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light emitting devices that emit light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반사필름과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공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iv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각각의 광이 출사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반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ive pattern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film and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l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is emitted.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반사필름과 상기 투명 재질의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 및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pacer members and a plurality of first space regions disposed between the refle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plurality of first space regions are mutually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unit spacers. They may be spaced apart.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 각각은 육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may include a hexagonal horizontal cross-section.

상기 차광 패턴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필름, 상기 차광 패턴 상측에 배치되는 제2 필름 및 상기 차광 패턴과 동일 수평선에 배치되는 접착 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first film disposed below the light blocking pattern, a second film disposed above the light blocking pattern, and an adhesive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light blocking pattern.

상기 차광 패턴은 복수개의 단위 패턴으로 상기 제2 필름 하면에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패턴의 밀도가 작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pattern may be formed by prin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m as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and the light blocking patter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density of the plurality of unit patterns decreases.

상기 접착 패턴층은 상기 차광 패턴의 주변에 형성된 제2 공간 영역에 의해 상기 차광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dhesive pattern layer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blocking pattern by a second space region formed around the light blocking pattern.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백색 PET(white polyethylen terephthalate)를 이용하여 에어영역을 구현하는 반사유닛을 구비하여 광의 반사율 향상과 함께 휘도향상을 극대화하며, 조명장치의 두께나 광원의 수 증가 없이도 휘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에어영역을 형성하는 이격부재(스페이서)의 패턴 디자인으로 인해 광의 조절 및 반사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lection unit for realizing an air region using white PET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n th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to maximize light reflectance and luminance improvement,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or the number of light sourc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uminance without increasing, and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control and reflection effect of light due to the pattern design of the spacer (spacer) forming the air area.

또한, 본 발명은 광학패턴을 구비하는 광학패턴층을 형성하되 접착물질을 패터닝(접착패턴층)하여 에어영역을 구비하도록 하여, 차광패턴부분에 발생하는 핫스팟의 발생 및 암부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접착물질과 접착되는 부품간의 신뢰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광학적 특성의 유의차가 없는 조명장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부품간의 징밀한 어라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optical pattern layer having an optical pattern, and patterning an adhesive material (adhesive pattern layer) to provide an air region, thereby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hot spots and dark areas occurring in the light-shielding pattern portio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between the adhesive material and the parts to be adhered is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a lighting devic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in optical properties can be realized, and precise alignment between parts is possible.

또한, 확산판에 패터닝을 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에어층을 구비한 에어갭모듈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조명장치의 확산, 광균일도의 광학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atterning the diffusion plate or using a separate member to provide an air gap module having an air layer,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diffusion and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ing device.

또한, 일반적인 조명장치의 구조에 필수적인 도광판을 제거하고, 필름타입의 레진층을 이용하여 광원을 유도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광원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박형화하며,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light guide plate essential to the structure of a general lighting device and forming a structure to guide the light source using a film-type resin layer, the number of light sources can be reduced,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is reduced, and product design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특히, 측면형 발광다이오드를 직하형으로 실장하여 광원의 수를 대폭 절감하면서도 광학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도광판을 제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조에도 적용가능하며, 레진층에 반사패턴을 포함하는 반사필름 및 에어층을 포함하는 확산판을 구비하여 안정적인 발광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cure optical characteristics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by directly mounting the side-type light emitting diodes,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a flexible display by removing the light guide plate. A reflective film including a reflective pattern on a resin layer and a diffusion plate including an air layer to ensure stable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조명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반사유닛을 구성하는 이격부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의 효율을 비교한 결과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패턴층 및 확산판에 구현되는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반사유닛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3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mbodiment of a spacer member constituting the reflection unit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FIG. 3 .
5 is a result table comparing the efficiency of the ref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show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in the optical pattern layer and the diffus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specific embodiments of the reflection uni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LED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장치에서 LED 광원의 하부에 백색 PET(white polyethylen terephthalate)를 포함하여 공간영역(에어영역)을 구현하는 반사유닛을 배치하여 반사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reflectance and luminance by arranging a reflective unit that implements a spatial region (air region) including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under the LED light source in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as a light source. make the gist

특히, 본 조명장치의 경우, 종래의 조명장치의 구조에서 접착물질을 패터닝(접착패턴층)하여 공간영역을 구현하는 광학패턴층 또는 확산판에 패터닝을 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에어층을 구비한 에어갭모듈을 구비하여 광학특성을 개선하며, 특히 도광판을 제거하고, 이를 레진층으로 형성하여 조명장치의 전체 두께를 혁신적으로 감소시키는 한편, 광원수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lighting device,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by patterning an adhesive material (adhesive pattern layer) to form an optical pattern layer or a diffusion plate to implement a spatial area, or using a separate member to provide an air layer The gist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by providing an air gap module and reduce the number of light sources while innovatively reduc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by removing the light guide plate and forming it as a resin layer do it with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적용됨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조명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램프장치, 이를테면 차량용램프, 가정용 조명장치, 산업용 조명장치에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차량용 램프는 헤드라이트, 실내와 조명, 후방라이트 등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as a backlight un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s, it is of course applicable to various lamp devices required for lighting, such as vehicle lamps, home lighting devices, and industrial lighting devic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vehicle lamp can be applied to headlights, interior and lighting, and rear lights.

1. 제1실시예1. Example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LED 광원(130)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상부면에는 상기 LED 광원(130)이 관통되는 구조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적층되는 반사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이 경우 상기 반사유닛(120)의 내부에 공간영역(A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영역(A1)은 상기 광원(130)에서 출사하는 빛의 반사효율을 증진시켜 휘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130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110 , and the LED light source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 The penetrating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flection unit 120 stack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 In particular, 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area A1 is provided inside the reflection unit 120 . The spatial area A1 may maximize the luminance by enhancing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30 .

특히, 상기 반사유닛(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표면에 밀착하는 백색 PET(white polyethylen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는 제1반사필름(121)과 상기 제1반사필름(121)과 이격되어 상기 공간영역(A1)을 형성하는 투명재질의 제2반사필름(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반사필름(121, 12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층되며, 상기 반사필름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LED 광원(130)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In particular, the reflective unit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lective film 121 and the first reflective film 121 made of white PET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eflective film 122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forms the space area (A1).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films 121 and 122 are stack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LED light source 130 protrudes outward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reflective film.

상기 공간영역(A1)의 형성은 상기 제1 및 제2반사필름(121, 122)을 별도의 접착제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일체로 압착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접착부재등의 이격부재(123)를 통해 공기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영역(A1)을 구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사필름(121, 122)을 이격시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pace area A1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films 121 and 122 in an integrally compressed structure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or the like, and furthermore, Likewise,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ve films 121 and 122 to be spaced apart to realize the space area A1 in which air is accommodated through a spacer 123 such as a separate adhesive member.

이 경우, 상기 제1반사필름(121)은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구조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백색 PET(white polyethylen terephthalate)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특유의 반사유닛에서 제1반사필름은 일반 금속반사물질층(Ag 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나, 휘도 향상의 극대화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백색 PET(white polyethylen terephthalate)를 이용할 수 있다(도 5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을 구현함에 있어서 백색 PET(white polyethylen terephthalate)를 제1반사필름으로 구현하는 경우 종래 대비 약 30%의 휘도 향상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reflective film 121 is a reflective structure that reflects light, an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racteristic reflect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ive film can be implemented with a general metal reflective material layer (Ag, etc.) There is (see Fig. 5). That is, when implementing the reflect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white PET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implemented as the first refl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uminance of about 3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2반사필름(122)는 상기 LED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제1반사필름(121)의 표면에 전달되어 재반사되도록 투명한 소재의 필름을 이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reflective film 122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a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is transmitt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film 121 and reflected again.

특히, 상기 광원(130)에서 출사된 광이 제2반사필름을 투과해 제1반사필름에서 재반사되는 것 외에도, 제2반사필름(122)의 표면에 화이트 인쇄를 통해 반사패턴(124)을 구비하여 빛의 분산을 더욱 촉진시켜 휘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의 반사율을 대폭 향상할 수 있도록 반사패턴(124)을 구비되며.상기 반사패턴은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P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30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flective film and being re-reflected on the first reflective film, a reflective pattern 124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ive film 122 by white printing.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promote the dispersion of light to improve luminance. A reflective pattern 124 is provid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reflectance of light. The reflective pattern can be printed using a reflective ink including any one of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and PS.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경우, 광원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의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면 발광형의 구조의 LED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반사패턴은 LED 광원의 광출사 방향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LED 광원의 출사방향에서 멀어질 수록 패턴 밀도가 높아지도록 패턴을 배치할 수 있다. 측면 발광형의 구조의 LED구현하는 경우, 광원의 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ight source,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can be applied,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n LED having a side-emitting type structure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reflection pattern is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light sourc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attern in the direction, and in particular, the pattern can be arranged so that the pattern densit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light source increases.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n LED having a side-emitting type structure,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is realized.

도 4는 도 3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반사유닛을 구성하는 이격부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 spacer member constituting a reflection unit included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FIG. 3 .

즉, 본 발명에 따른 이격부재는 제1반사필름과 제2반사필름을 단순히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부재나 접착성을 가지는 스페이서 부재 등 일반적으로 이격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영역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간영역의 배치를 효율화함과 동시에 접착효율을 증진하기 위해서, 이격부재를 구현함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구조로 패터닝된 구조를 균일하게 또는 랜덤하게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pac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performs a spacer function, such as a spacer member for simply separating the first reflective film and the second reflective film, or a spacer member having adhesive properties, etc. In order to efficiently arrange the spatial area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adhesion efficiency, the spacer member may be formed by uniformly or randomly patterning the structure patterned 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

도 4에 도시된 이격부재(123)은 내부에 공동(空洞)부가 구현되는 단위 이격부재(123a)가 다수 배치되며, 상기 단위 이격부재(123a)의 내측에는 비어 있는 구조로 제1공간영역(123b)이 구현되는 2차원 또는 3차원 적인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 이격부재(123a)의 단면은 다각형, 원, 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하나의 단위 이격부재(123a)가 다수개가 밀착하여 배치되는 구조 이외에도 상호간에 불규칙한 구도로 배치되어 단위 이격부재(123a)의 내부의 제1공간영역(123b)과 각각의 단위 이격부재(123a)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의 에어부(123c)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spacer member 123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unit spacer members 123a in which a cavity part is implemented are disposed therein, and a first space region ( 123b) can be implemented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spacing member 123a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circles, ellipses, and the like. In particular, as shown,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ach unit spacer member 123a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are arranged in an irregular composition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pace area 123b inside the unit spacer member 123a and each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s an air part 123c of an empty space between the unit spacer members 123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의 구조를 구현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휘도 향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결과표이다.(CIE X, CIE Y는 색좌표이다.)5 is a result table for compar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luminance of lighting devices when the structure of the ref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CIE X and CIE Y are color coordinates).

도시된 표는 (A)는 도 3의 구조에서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Ag로 구현되는 반사필름 1장만을 형성한 경우의 휘도를 측정한 것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의 구조, 즉 접착패턴물질을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도 4의 패턴을 형성하고, 제1반사필름을 Ag 필름으로 한 경우에 종래 (A) 구조와 비교하여 휘도 향상결과값을 측정한 것이다.In the table shown, (A) is the measurement of luminance when only one reflective film implemented with Ag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structure of FIG. 3, (B) is the structure of the reflect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adhesive pattern material is formed of silicon to form the pattern of FIG. 4 and the first reflective film is made of an Ag film, the luminance improvement result value is measur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A).

또한 (C)는 (B)와는 달리 제1반사필름을 백색 PET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종래 (A) 구조와 비교하여 휘도 향상 결과값을 측정한 것이다.In addition, (C), unlike (B), the first reflective film is formed of white PET, and thus the brightness improvement result is measur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A).

측정 결과 (A)의 경우 휘도가 6605nit이며 이를 기준으로 할 때, (B)의 구조에서는 7468nit로 약 13%의 휘도 향상결과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백색 PET를 포함하여 반사유닛을 구현한 경우인 (C)에서는 8472nit로 (A) 대비 28.6%의 휘도 상승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접착물질층을 패터닝한 구조(공간영역)를 구비함과 동시에 백색 PET를 사용하는 경우 휘도 향상의 극대화된 결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easurement result (A), the luminance is 6605 nits, and based on this, the structure of (B) shows a luminance improvement result of about 13% to 7468 nits, and when a reflection unit including white P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Phosphorus (C) is 8472 nits, indicating a luminance increase rate of 28.6% compared to (A). In other words, when a white PET is used while having a structure (spatial region) patterned wit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 maximized result of luminance improvement can be realized.

2. 제2실시예2. 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한 것이다.6 is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레진층을 적층하는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레진층의 구성은 종래의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을 대체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광원에서 출사하는 빛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tructure in which a resin layer is lamina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n layer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replaces the light guide plate used in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and serve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front.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LED 광원(130)과 출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확산 유도하는 레진층(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130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and a resin layer 140 that diffuses and induces the emitted light forward. is composed

즉, 상기 레진층(140)은 상기 LED 광원(130)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로 적층되어, 측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원의 빛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의 도광판의 기능을 상기 레진층(140)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resin layer 140 is stack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LED light source 130 to perform a function of disper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emit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light guide plate can be performed in the resin layer 140 .

상기 레진층은 기본적으로 광을 확산할 수 있는 재질의 수지이면 어느 것이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레진층의 주재료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원료로 하는 레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합성올리고머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폴리아크릴인 폴리머 타입과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 저비점 희석형 반응성 모노머인 IBOA(isobornyl acrylate), HPA(Hydroxylpropyl acrylate, 2-HEA(2-hydroxyethyl acrylate) 등이 혼합된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광개시제(이를 테면, 1-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 등) 또는 산화방지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As a matter of course, the resin layer may be basically any resi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diffusing light. For example, as the main material of the resin layer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 having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as a main material may be used. For example, a mixture of urethane acrylate oligomer, which is a synthetic oligomer, and a polymer type, which is polyacrylic, may be used. Of course, the low-boiling dilution type reactive monomer IBOA (isobornyl acrylate), HPA (Hydroxylpropyl acrylate, 2-HEA (2-hydroxyethyl acrylate), etc. may further include a mixed monomer, etc., as an additive, a photoinitiator (for example, 1 -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 etc.) or antioxidants may be mixed.

아울러, 상기 레진층(140)은 빛의 확산과 반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비드(bead;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드(bead)는 전체 레진층 중량 대비 0.01~0.3%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ED에서 측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은 상기 레진층(140)과 비드를 통해 확산 및 반사되어 상부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sin layer 140 may include beads 141 to increase light diffusion and reflection. The bead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0.3%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layer. That is, the light emitted laterally from the LED is diffused and reflected through the resin layer 140 and the bead to travel upward.

이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120)과 더불어 반사 기능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진층의 존재는 종래의 도광판의 차지하던 두께를 혁신적으로 감소시켜 전체 제품의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연성의 재질을 가지게 되는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promote the reflection function together with the ref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existence of the resin layer can innovatively reduce the thickness occupied by the conventional light guide plate, thereby realizing a thinner overall product, as well as having a soft material, so it has versatility that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be able to

3. 제3실시예 3. Third embodiment

상술한 제2실시예의 구조에서 개량된 구조로 상기 레진층 상에 광확산을 촉진하는 광학패턴층의 구현되는 제3실시예의 조명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an optical pattern layer that promotes light diffusion is implemented on the resin layer as an improved structure from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즉,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도 6에서 상술한 구조에서, 상기 레진층(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광학패턴(151)을 포함하는 광학패턴층(150)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7 ,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in FIG. 6 ,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is disposed on the resin layer 140 and includes the optical pattern 151 .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tructure provided.

특히, 상기 광학패턴층(150)은 상기 광학패턴의 주변부를 포위하는 제2공간영역(152)을 형성하는 접착패턴층(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패턴층(153)은 상기 광학패턴(151)에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이격된 공간(제2공간영역)을 형성하고, 그 외 부분에는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접착하여 구현된다.In particular,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may include an adhesive pattern layer 153 forming a second spatial region 152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optical pattern. That is,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is implemented by forming a spaced space (second space region) having a pattern of a certain shape in the optical pattern 151 and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to the other parts to adhere.

즉 도시된 도면의 구조에서 상기 광학패턴층(150)과 접착패턴층(153)의 배치관계에서, 상기 광학패턴층(150)은, 상기 광학패턴을 내부에 포함하는 제1기판(150A) 및 제2기판(150B)를 구비하며, 상기 접착패턴층(153)은 상기 차광패턴의 주변부를 포위하는 상기 제2공간영역(152) 이외의 부분에 도포되어 제1기판(150A) 및 제2기판(150B)을 접착시키게 된다. That is, i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and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in the structure of the drawings,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50A including the optical pattern therein, and A second substrate 150B is provided, wherein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is applied to portions other than the second spatial region 152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to form a first substrate 150A and a second substrate. (150B) is bonded.

즉 상기 광학패턴(151)은 상기 LED 광원(130)에서 출사하는 광의 집중을 막기 위해 형성되는 차광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광학패턴(151)과 LED 광원(130)의 위치 사이에 어라인(align)이 필요하며, 어라인 이후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한 접착부재(adhensive)를 이용하여 접착하게 된다.That is, the optical pattern 151 may be formed as a light blocking pattern formed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130 , and for this purpos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optical pattern 151 and the LED light source 130 . Alignment is required, and bonding is performed using an adhesive member to secure fixing force after alignment.

상기 제1기판(150A) 및 제2기판(150B)은 광투과율이 우수한 재질의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ET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판(150A) 및 제2기판(150B)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패턴(151)은 기본적으로 LED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기판(150A) 또는 제2기판(150B)의 어느 하나에 차광인쇄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차광패턴의 주변부를 포위하는 구조로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접착층으로 두 기판을 접착하여 어라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기판(150A) 및 제2기판(150B)의 접착구조는 인쇄된 차광패턴(151)을 고정하는 기능을 아울러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착층은, 열경화 PSA, 열경화접착제, UV 경화 PSA 타입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150A and the second substrate 150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PET may be us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optical pattern 151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50A and the second substrate 150B basically functions to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from being concentrated, and the first substrate ( 150A) or the second substrate 150B can be implemented through shading printing, and the two substrates are adher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layer for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shading pattern to implement fishing line. . That is, the adhesive structure of the first substrate 150A and the second substrate 150B can implement the function of fixing the printed light blocking pattern 151 together.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may use a thermosetting PSA, thermosetting adhesive, or UV curing PSA type material.

상기 접착패턴층(153)을 형성하여 접착시 제2공간영역(152)을 형성하는 패턴 구조로 접착을 하게 되는 경우, 접착물질이 차광패턴에 겹쳐 발생하는 강한 핫스팟(Hot spot) 또는 휘암부의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되며, 에어층(air layer)의 존재로 인해 광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is formed and adhered in a pattern structure that forms the second spatial region 152 during bonding, strong hot spots or shady areas generated by the adhesive material overlapping the light-shielding pattern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generation of the light,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light due to the presence of an air layer.

상술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레진층(140)의 상부에는 확산판(17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확산판(170)과 상기 광학패턴층(150)의 사이에는 제3공간영역(160)을 구비한 에어갭모듈(16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프리즘시트, 보호시트 등이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may include a diffusion plate 170 on the resin layer 140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diffusion plate 170 and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 An air gap module 161 having a third spatial region 16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 In addition, a prism sheet, a protective sheet, etc.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diffusion plate.

도 8에 도시된 것은 상기 광학패턴(151)과 접착패턴층(153), 그리고 이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간영역(152)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8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pattern 151,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and the second spatial region 152 formed thereby.

상기 제1기판 상에 특정 패턴으로 인쇄되는 광학패턴(151)의 주위를 포위하는 구조로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접착패턴층(153)을 형성하게 되면, 일정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면서 제2기판(150B)이 접착되는 경우 이 이격공간은 에어층이 형성된 밀폐구조가 되며, 이를 '제2공간영역'이라 정의한다. 상기 접착패턴층(153)이 형성하는 상기 제2공간영역(152)의 평면형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패턴층은 열경화 PSA, 열경화접착제, UV 경화 PSA 타입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is formed using an adhesive material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ptical pattern 151 printed in a specific pattern on the first substrat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nd the second substrate 150B ), this separation space becomes a closed structure in which an air layer is formed, and this space is defined as a 'second space region'. The planar shape of the second spatial region 152 formed by the adhesive pattern layer 153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 square, and a polygon. In addition, the adhesive pattern layer may be formed using a thermosetting PSA, thermosetting adhesive, or UV curing PSA type material.

또한, 상기 광학패턴(151)은 빛이 강도가 과하게 강하여 광학특성이 나빠지거나 황색광이 도출(yellowish)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부분 차광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차광패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빛의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광잉크를 이용하여 차광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pattern 151 is preferably formed as a light-shielding pattern so that a certain portion of the light-shielding effect can be realized in order to preven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from being deteriorated or yellow light from being emitted due to excessively strong light. That is, the light blocking pattern can be printed using the light blocking ink so that light is not concentrated.

상기 광학패턴은 광을 완전차단하는 기능이 아니라, 광의 일부 차광 및 확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의 광학패턴으로 광의 차광도나 확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패턴은 복합적인 패턴의 중첩인쇄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중첩인쇄의 구조란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또 하나의 패턴형상을 인쇄하여 구현하는 구조를 말한다.The optical pattern is not a function of completely blocking light, but may be implemented so that a light blocking degree or a diffusion degree of light can be adjusted with one optical pattern so as to perform a function of partially blocking and diffusing light. Furthermore, more preferably, the optica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overlap printing structure of a complex pattern. The structure of overlap printing refers to a structure implemented by forming one pattern and printing another pattern shape on the top.

일례로는 상기 광학패턴(151)을 구현함에 있어서, 광의 출사방향으로 고분자필름의 하면에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확산패턴과, Al 또는 Al과 TiO2의 혼합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잉크를 이용한 차광패턴의 중첩인쇄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즉 고분자필름의 표면에 확산패턴를 화이트인쇄 하여 형성한 후, 그 위에 차광패턴를 형성하거나, 이와 반대의 순서로 2중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패턴의 형성 디자인은 광의 효율과 강도, 차광율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는, 순차적층구조에서 가운데층에 금속패턴인 차광패턴를 형성하고,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확산패턴을 구현하는 3 중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 중구조에서는 상술한 물질을 선택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한 일례로서는 굴절율이 뛰어난 TiO2를 이용하여 확산패턴 중 하나를 구현하고, 광안정성과 색감이 뛰어난 CaCO3를 TiO2와 함께 사용하여 다른 확산패턴을 구현하며, 은폐가 뛰어난 Al을 이용하여 차광패턴을 구현하는 구조의 3 중 구조를 통해 빛의 효율성과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CaCO3는 황색광의 노출을 차감하는 기능을 통해 최종적으로 백색광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여 더욱 안정적인 효율의 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CaCO3이외에도 BaSO4, Al2O3, Silicon 비드 등의 입자 사이즈가 크고, 유사한 구조를 가진 무기 재료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광학패턴은 상기 LED 광원의 출사방향에서 멀어질수록 패턴밀도가 낮아지도록 패턴밀도를 조절하여 형성함이 광효율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implementing the optical pattern 151, diffusion formed using a light-shielding ink contain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iO2, CaCO3, BaSO4, Al2O3, and Silic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lymer film in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an overlap printing structure of a pattern and a light-shielding pattern using a light-shielding ink containing Al or a mixture of Al and TiO2. That is, after forming a diffusion pattern by white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film,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light-shielding pattern thereon, or to form a double structure in the reverse order. Of cours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design of the formation of such a pattern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light efficiency, intensity, and light blocking rat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riple structure in which a light shielding pattern, which is a metal pattern, is formed on the middle layer in a sequential layer structure, and a diffusion pattern is implement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In such a tri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s a preferable example, one of the diffusion patterns is implemented using TiO2 having excellent refractive index, and CaCO3 having excellent photostability and color is used together with TiO2 to achieve another diffusion. Light efficiency and uniformity can be secured through the triple structure of a structure that implements a pattern and implements a light-shielding pattern using Al, which has excellent concealment. In particular, CaCO3 has a function of finally realizing white light through the function of subtracting the exposure of yellow light, so that more stable light can be realized. You can also use inorganic materials with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light efficiency to form the optical pattern by adjusting the pattern density so that the pattern densit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light source increases.

아울러, 본 발명은 광학패턴층(150)과 확산판(170)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갭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광학패턴층(150)과 확산판(170)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갭모듈을 형성하는 구현례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further including an air gap modul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and the diffusion plate 170 . FIG. 9 shows an embodiment of forming an air gap modul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and the diffusion plate 170 shown in FIG. 7 .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에는 광학패턴층(150)과 확산판(170) 사이에 에어층(제3공간영역;160)을 구비하는 구조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3공간영역(160)의 존재로 인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고, 광의 균일도(uniformity)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구현된다. 아울러, 상기 레진층(140)과 광학패턴층(150)을 투과한 빛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제3공간영역(160)의 두께는 0.01~2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a structure including an air layer (third space region; 160) between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and the diffusion plate 170 may be add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rd space region Due to the presence of 160, the effect of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light is implemented.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resin layer 140 and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 the thickness of the third spatial region 160 is preferably 0.01 to 2 mm.

상기 제3공간영역(160)은 확산판의 하부에 에어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구현되는 제3공간영역을 포함하여 "에어갭모듈"이라고 정의한다. The third spatial region 160 may be formed by implementing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n air layer under the diffusion plate, and including the third spatial region implemented through this structure is defined as an “air gap module” do.

상기 에어갭모듈은 확산판 자체를 가공하여 공간영역(에어층)을 구현하는 방식 또는, 확산판의 하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하여 공간영역을 형성하는 구성 등을 모두 포함한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판(170)의 하부에 스페이서(171)을 형성하여 제3공간영역(160)을 구현하거나, (b)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판의 하부를 패터닝하여 하부의 층과 밀착하여 제3공간영역(air area)(160)을 형성하는 브릿지(172)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ir gap module includes both a method of realizing a spatial region (air layer) by processing the diffuser plate itself, or a configuration of forming a spatial region by forming a separate structure under the diffuser plate.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9 , a spacer 171 is formed under the diffusion plate 170 to implement the third spatial region 160 , or as shown in (b), the lower portion of the diffusion plate. may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of the bridge 172 forming a third air area 160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layer by patterning.

이러한 일체형 구조는 상기 패터닝된 형상, 즉 공간영역을 형성하는 패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릿지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나아가 (c)에 도시된 구조처럼, 확산판의 하면 자체를 패터닝하는 방식 이외에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3공간영역(160)을 형성하는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구조물은 스페이서 부재로 브릿지(174)를 형성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이러한 방식을 포함하여, 확산판의 하부에 에어층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This integrated structure can be various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atterned shape, that is, the shape of the pattern forming the spatial region, and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shape of the bridge can also be variously deformed, and this is also 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cluded Furthermore, like the structure shown in (c),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pattern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spatial region 160 is formed using a separate structure. Of course, the illustrated structure exemplifies a structure for forming the bridge 174 with a spacer member, bu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is method, and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that can implement an air layer under the diffusion plate are also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fit the gist.

(d)에 도시된 도면처럼, 확산판 자체를 패터닝하는 (b) 구성이나,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는 구성(c)처럼, 에어층을 단일층으로 하는 것 이외에, 독립적인 에어층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175, 176)를 채용하여 복수의 층으로 공간영역(16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d), as in (b) configuration of patterning the diffusion plate itself or configuration (c) using a separate structure, in addition to making the air layer a single layer, an independent air layer can be implemented.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structures 175 and 176 to form spatial region 160 in a plurality of layer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광(L)을 출사하는 광원(130)의 배치 구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광원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LED 광원(130)은 측면 발광 LED를 적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implement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 130 emitting the light L as shown in FIG. 5 . That i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light sources, the LED light source 130 may be disposed by applying a side-emitting LE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통해 LCD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측면발광형 LED(130)에서 측방향으로 광이 출사하게 되며, 출사된 광은 종래의 도광판의 구조 대신 형성된 레진층(140)에서 반사, 확산하게 되며, 광학패턴층(150)을 통해 광의 집중을 막고, 확산판의 하부에 형성된 제3공간영역을 통해 빛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레진층(140)과 인쇄회로기판(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120)의 존재로 인해 반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휘도향상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120)의 경우, 접착물질층의 패터닝을 통해 공간영역을 구현하는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반사율 조절을 구현할 수 있으며, 패터닝된 접착물질의 재료, 종류에 따라 다른 반사율, 색의 구현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제2반사필름(122)의 광특성, 두께에 따라 반사율을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n LCD throug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operation. Referring to FIG. 7 , light is emitted laterally from the side-emitting LED 130 , and the emitted light is reflected and diffused by the resin layer 140 formed instead of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light guide plate, and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light and minimize the deviation of light through the third spatial region formed under the diffuser plate. In particular, due to the presence of the reflective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between the resin layer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10 , the reflec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light is maximized and the luminance is improved. can be implemen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fle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ance control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ly changing the design for implementing the spatial area through the patterning of the adhesive material layer, and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type of the patterned adhesive material.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adjust the reflectance and color implementation.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flectance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thickness of the second reflective film 122 .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사유닛(120)과 반사패턴(124)에 의해 출사된 광은 더욱 반사효율이 높아져, 광을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레진층(140)을 통과한 광은 광학패턴층(150)에 형성된 광학패턴(151)을 통해 확산 또는 차광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렇게 정제된 광은 확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에어갭모듈을 통해 다시 한번 광학특성이 정제되어 균일도를 증가할 수 있게 되며, 추후 부가되는 프리즘시트(180), DBEF(190) 등의 광학 시트를 거쳐서 백색광으로 LCD 패널로 입사하게 된다.In summary,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ed by the reflection unit 120 and the reflection pattern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light can be guided forwar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sin layer 140 is diffused or blocked through the optical pattern 151 formed on the optical pattern layer 150, and the purified light is an air gap module formed under the diffusion plat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refined once again, so that the uniformity can be increased, and white light is incident on the LCD panel through optical sheets such as the prism sheet 180 and DBEF 190 which are added later.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경우 반사유닛의 공간영역을 구비한 구조를 통해 반사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도광판의 구조를 제거하고, 광의 공급원을 측면발광형 LED를 적용하고 레진층을 통하여 광을 확산, 반사를 통해 광을 유도함으로써, 박형화 및 광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광원의 감소로 인한 휘도저하 및 균일도의 문제를 반사패턴과 차광패턴 및 에어갭모듈의 공간영역을 구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in the case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maximized through the structure having the spatial area of the reflection unit, and the structur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removed, the light source is applied to the side emission type LED, and the resin layer is used. By guiding the light through diffusion and refl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and the number of light sources.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tical properties by providing a reflective pattern, a light-shielding pattern, and a spatial region of the air gap module to control the problems of luminance degradation and uniformit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light sourc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10: 인쇄회로기판
120: 반사유닛
121: 제1반사필름(White PET)
122: 제2반사필름
123: 이격부재
124: 반사패턴
130: 광원
140: 레진층
150: 광학패턴층
151: 광학패턴
152: 제2공간영역
153: 접착층
160: 제3공간영역
170: 확산판
180: 프리즘시트
190: DBEF
110: printed circuit board
120: reflection unit
121: first reflective film (White PET)
122: second reflective film
123: spacer member
124: reflection pattern
130: light source
140: resin layer
150: optical pattern layer
151: optical pattern
152: second spatial area
153: adhesive layer
160: third space area
170: diffuser plate
180: prism sheet
190: DBEF

Claims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을 덮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광학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필름,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투명필름,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상기 제2 투명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광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의 일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의 개수보다 많은 조명 장치.
Boar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 reflection unit disposed on the substrate;
a resin layer disposed on the reflection unit and covering the light source; and
An optica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resin layer,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first film, a second film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m, and a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film disposed on the resin layer, a second transparent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film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a pattern and a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disposed around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are vertically overlapping,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pacer member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is a lighting devic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spacer members.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을 덮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광학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재 및 상기 이격부재 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필름,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투명필름 및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상기 제2 투명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광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의 일부와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조명 장치.
Boar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 reflection unit disposed on the substrate;
a resin layer disposed on the reflection unit and covering the light source; and
An optica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resin layer,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first film, a second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m, a spac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a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formed in the spacer member including,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film disposed on the resin layer, a second transparent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film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including pattern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A lighting device in which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overlap in a vertical direc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disposed around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을 덮는 레진층; 및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광학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레진층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필름,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투명필름 및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상기 제2 투명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광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공간영역의 일부와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조명 장치.
Boar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 reflection unit disposed on the substrate;
a resin layer disposed on the reflection unit and covering the light source; and
An optica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resin layer,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first film, a second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m, and a spac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The spac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pacer members,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film disposed on the resin layer, a second transparent fil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a plurality of light blocking film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including pattern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unit spacing member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A lighting device in which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spatial regions and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overlap in a vertical direc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disposed around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단위 이격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1 공간영역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flective unit includes a first spatial area disposed within the plurality of unit spaced members.
제1 항, 제3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차광패턴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의 개수와 동일한 조명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8,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patterns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제1 항, 제3 항, 제5 항, 제7 항 및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의 개수는 상기 발광소자의 개수와 동일한 조명 장치.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5, 7 and 8,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영역은 상기 차광패턴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조명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patial region is a lighting device disposed to surround a periphery of the light blocking patter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공간영역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조명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urality of second spatial regions are regularly arranged.
제1 항, 제3 항, 제5 항, 제7 항 및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제1 투명필름과 상기 제2 투명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영역은 상기 접착층과 상기 차광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5, 7 and 8,
The optical pattern lay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The second spatial region is dis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light blocking patter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제2 공간영역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명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ight blocking patter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layer by the second spatial region.
제1 항, 제3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반사재질이고 상기 제2 필름은 투명재질의 필름인 조명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8,
The first film is a refle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film is a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210017508A 2020-01-10 2021-02-08 Light unit KR102400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08A KR102400057B1 (en) 2020-01-10 2021-02-08 Light unit
KR1020220059616A KR102601097B1 (en) 2021-02-08 2022-05-16 Light unit
KR1020230152688A KR20230158444A (en) 2021-02-08 2023-11-07 Ligh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63A KR102215971B1 (en) 2020-01-10 2020-01-10 Light unit
KR1020210017508A KR102400057B1 (en) 2020-01-10 2021-02-08 Light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563A Division KR102215971B1 (en) 2020-01-10 2020-01-10 Light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16A Division KR102601097B1 (en) 2021-02-08 2022-05-16 Light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042A KR20210019042A (en) 2021-02-19
KR102400057B1 true KR102400057B1 (en) 2022-05-19

Family

ID=8180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08A KR102400057B1 (en) 2020-01-10 2021-02-08 Light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0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714A (en) * 2001-11-16 2003-08-08 Kimoto & Co Ltd Optical reflection material and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JP2009193955A (en) 2008-01-15 2009-08-27 Rohm & Haas Denmark Finance As Multilayer integrated backlight illumina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403B1 (en) * 2010-07-02 2012-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Back light um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211728B1 (en) * 2010-07-06 2012-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714A (en) * 2001-11-16 2003-08-08 Kimoto & Co Ltd Optical reflection material and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JP2009193955A (en) 2008-01-15 2009-08-27 Rohm & Haas Denmark Finance As Multilayer integrated backlight illuminati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042A (en)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9139B2 (en) lighting equipment
JP6246860B2 (en)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68404B1 (en) Back light um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211728B1 (en) Back light un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168403B1 (en) Back light um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379924B1 (en) Back light um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341972B1 (en) Lamp device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2215971B1 (en) Light unit
KR101829306B1 (en) Light unit
KR20120113178A (en) Lamp device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2400057B1 (en) Light unit
KR101211710B1 (en) Back light un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829305B1 (en) Light unit
KR102601097B1 (en) Light unit
KR101341968B1 (en) Lamp device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2067041B1 (en) Light unit
KR20180134825A (en) Light unit
KR101947532B1 (en) Light unit
KR101399039B1 (en) Light umit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KR101930852B1 (en) Light unit
KR101399048B1 (en) Lamp device within resin layer for light-guide and LC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