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427B1 -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 Google Patents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427B1
KR102399427B1 KR1020170084671A KR20170084671A KR102399427B1 KR 102399427 B1 KR102399427 B1 KR 102399427B1 KR 1020170084671 A KR1020170084671 A KR 1020170084671A KR 20170084671 A KR20170084671 A KR 20170084671A KR 102399427 B1 KR102399427 B1 KR 10239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frame
mounting unit
nut
pip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4442A (en
Inventor
김덕현
박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8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427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4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형성된 용접단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 하측에 접합되는 파이프 너트,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기 파이프 너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링,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구성된 부시 브라켓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한다.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is disclosed. The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for fastening the sub-frame to a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cision at opposite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roove is formed, a threaded pa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pipe nut joined to the rear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in a state of being joined to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a welding end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is formed in a ring shape, , a nut ring having a threa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pipe nut, and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pipe nut through a through hole of a bush bracket configured in the sub-frame.

Description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Mounting unit for sub-fram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고속 충돌에 대한 서브 프레임의 이탈을 유도하여 차체의 변형모드를 안정적으로 이루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that stably forms a deformation mode of a vehicle body by inducing separation of the sub-frame in response to a high-speed collision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중심 지지방식의 차량에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01)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에 볼팅에 의해 결합된다. In general, in a center-supported vehicle, as shown in FIG. 1 , the sub-frame 101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member 103 by bolting.

즉, 상기 서브 프레임(101)은 그 전후방 양측이 양측의 각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에 체결된다. That i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b frame 101 are fastened to each of the front side members 103 on both sides.

상기한 서브 프레임(101)에는 엔진과 트랜스미션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정면 충돌 시 상기 서브 프레임(101)의 좌굴에 의해 엔진의 드롭을 유도하여 엔진이 강체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그 충돌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sub-frame 101, and the engine is designed to prevent the engine from being pushed to a rigid body by inducing a drop of the engine by buckling of the sub-frame 101 during a frontal collision. will ensure safety.

이러한 서브 프레임(101)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체결을 위하여 종래에 적용되는 마운팅 너트(105,107)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전후방 하부에 용접 고정되는데, 특히, 후방의 마운팅 너트(107)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7b)의 외주면에 플랜지부(107a)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후방 측 하부 브라켓(111)의 홀(H)을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상기 플랜지부(107a)를 통하여 하부 브라켓(111)에 용접되고, 상단은 보강패널(113)에 용접된다. Mounting nuts 105 and 107 conventionally applied for fastening the sub-frame 101 and the front side member 103 are welded and fixed to the front and rear lower portions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In particular, the rear mounting nut 107 ), as shown in FIG. 2 , the flange portion 107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7b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hole H of the rear side lower bracket 111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 In the inserted state from the, it is welded to the lower bracket 111 through the flange portion 107a, and the upper end is welded to the reinforcing panel 113 .

그러나 종래의 마운팅 너트(107)는 체결볼트(109)와의 결합부(P)가 견고하여 차량의 고속 전방 충돌 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변형이 오히려 서브 프레임(101)과 프론트 크로스 멤버(미도시)에 밀림력으로 작용하여 운전자의 다리부 상해치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unting nut 107, the coupling portion P with the fastening bolt 109 is strong, so that, as shown in FIG. 3, the deforma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is rather sub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ame 101 and the front cross member (not shown) act as a pushing force to increase the driver's leg injury valu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prepar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 너트에 절개홈을 형성한 후,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를 너트링에 의해 지지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의 전방 고속 충돌 시, 그 충격력에 의해 상기 너트링이 조기 파손되면서 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파이프 너트의 후방부가 후측을 향하여 벌어지고, 서브 프레임 후방의 이탈을 유도함으로써,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대한 서브 프레임의 후측이 후방 하부로 안내되도록 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밀림량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a cut-out groove in the pipe nut,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is supported and fixed by a nut ring. As this early breakage occurs, the rear portion of the pipe nut opens toward the rear based on the cutout groove, and induces separation of the rear of the sub frame, so that the rear of the sub frame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member is guided to the lower rear of the front side memb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capable of suppressing the amount of pushing.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형성된 용접단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 하측에 접합되는 파이프 너트;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기 파이프 너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링;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구성된 부시 브라켓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for fastening the sub-frame to the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it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cut-out groove of a certain length is formed on opposite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ipe nut having a threaded part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joined to a mounting bracket through a welding end formed on a lower end surface, and joined to a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a nut ring formed in a ring shape, a thread is machin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pipe nut; and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pipe nut through a through hole of a bush bracket configured in the sub-frame.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양측 절개홈이 차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pe nut may be installed so that both side cutout groov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보강패널에 일측이 접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pe nut may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one side may be joined to the internal reinforcement panel.

또한, 상기 너트링은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나사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t ring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smaller than a length of the screw portion.

또한, 상기 너트링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t ring may be formed of a ring made of a reinforced p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부시 브라켓은 내주에 부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각각 접합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sh bracke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ush on the inner periphery, and may be bonded and fixed to both rear sides of the sub-fram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 너트에 절개홈을 형성한 후,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를 너트링에 의해 지지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의 전방 고속 충돌 시, 그 충격력에 의해 상기 너트링이 조기 파손되면서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파이프 너트의 후방부가 후측을 향하여 벌어지고, 서브 프레임 후방의 이탈을 유도함으로써,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대한 서브 프레임의 후측이 후방 하부로 안내되도록 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밀림량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a pipe nut,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is supported and fixed by a nut ring, so that the nut ring is prematurely damaged by the impact force during a high-speed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rear portion of the pipe nut opens toward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groove, and by inducing separation of the rear of the sub frame, the rear side of the sub frame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member is guided to the lower rear, thereby suppressing the amount of pushing of the front side member. let it be

이에 따라, 충돌에 의한 서브 프레임의 밀림량이 최소화되어 운전자의 다리부 상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amount of sliding of the sub-frame due to a collision is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an injury to the driver's leg.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너트의 장착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전방 충돌에 따른 충격하중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의한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체결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파이프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작동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ate of a general front side member and a sub fram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ounting nut for the sub-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impact load according to the front collis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art between a front side member and a sub frame by a mounting unit for a sub 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nut applied to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below relate to one preferred embodiment among various embodiment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의한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체결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파이프 너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의 작동 설명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art between a front side member and a sub-frame by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pplied to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nut being used, and FIG. 6 is an operation explanatory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2)에 서브 프레임(3)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4 and 5 , the mounting unit 1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astening the sub-frame 3 to the front side member 2 of the vehicle.

좀더 상세히 설면하면, 상기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은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2)의 후방측 하부에 서브 프레임(3)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파이프 너트(10), 너트링(20), 체결 볼트(30)로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unit 1 for the sub-frame is for fastening the sub-frame 3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2 of the vehicle, and its configuration is largely a pipe nut 10, It is composed of a nut ring 20 and a fastening bolt 30 .

먼저,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pipe nut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파이프 너트(10)에는 절개홈(11)이 형성된다. A cutout groove 11 is formed in the pipe nut 10 .

상기 절개홈(11)은 상기 파이프 너트(10)의 마주보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The cut-out grooves 11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pipe nut 1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절개홈(11)은 차량의 사양에 따라 그 길이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The cut-out groove 11 can be applied by chang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양측 절개홈(11)은 차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both side cutout grooves 11 are installed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1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ipe nut 10 is formed with a threaded portion 13 at the upper end of which is machined.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하단면에 용접단(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용접단(15)을 통해 상기 서브 프레임(3)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마운팅 브라켓(5)에 용접되어 접합된다. A weld end 15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10 , and is welded to and joined to a mounting bracket 5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b frame 3 through the weld end 15 .

이때,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5)에 용접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션 용접에 사용되는 프로젝션 용접건(미도시)은 상기 나사부(13)를 통해 설정 위치로 로딩되어 상기 용접단(15)에 대하여 용접을 진행한다. At this time, the pipe nut 10 may be welded to the mounting bracket 5 through projection welding, and a projection welding gun (not shown) used for the projection welding is loaded to a set position through the screw 13 . and welding proceeds with respect to the welding end 15 .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나사부(13)를 통해 프로젝션 용접건을 로딩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체결 직진도를 높여 서브 프레임(3)과의 조립공차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pipe nut 10 can reduce the assembly tolerance with the sub-frame 3 by loading the projection welding gun through the threaded part 13 , thereby increasing the straightness of fastening without a separate device.

이러한 파이프 너트(10)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2)의 후방 하측에 접합된다. This pipe nut (10) is join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2).

더불어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2)의 하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보강패널(4)에 일측이 접합된다. In addition, the pipe nut 10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2 and one side is joined to the internal reinforcement panel 4 .

그리고 상기 너트링(2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기 파이프 너트(10)의 나사부(13)에 체결된다. And the nut ring 20 is formed in a ring shape, a thread is machi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13 of the pipe nut 10 .

또한, 상기 너트링(20)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나사부(13)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nut ring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crew part 13 .

상기 너트링(20)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링으로 형성된다. The nut ring 20 is formed of a ring made of a reinforced plastic material.

이때, 상기 너트링(20)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너트링(20)의 소재는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nut ring 2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formed of a ring made of a reinforced plastic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material of the nut ring 20 can be changed and applied as needed.

이러한 너트링(20)은 충돌 시 파손되면서 상기 파이프 너트(10)의 절개홈(11)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후측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nut ring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ar portion opens toward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ut-out groove 11 of the pipe nut 10 while being damaged upon collision.

아울러 상기 너트링(20)의 두께는 서브 프레임(3)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체의 중량과 비례하여 두껍거나 얇게 하여 전달되는 일정 충돌에너지에 대하여 파손되도록 설계된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nut ring 20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sub-frame 3 , and for example, it is designed to be thick or thin in proportion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to be damaged with respect to a certain collision energy transmitted.

한편, 상기 체결 볼트(30)는 상기 서브 프레임(3)에 구성된 부시 브라켓(6)의 관통홀(H)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10)에 체결된다. Meanwhile, the fastening bolt 30 is fastened to the pipe nut 10 through the through hole H of the bush bracket 6 configured in the sub frame 3 .

또한, 상기 체결 볼트(30)는 하단부에 지지단(3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end 3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bolt 30 .

상기 지지단(31)은 상기 부시 브라켓(6)의 관통홀(H)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부시 브라켓(6)의 하단면에 지지된다. The support end 3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H of the bush bracket 6 and is support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ush bracket 6 .

여기서 상기 부시 브라켓(6)은 내주에 부시(7)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볼트와의 이음을 방지한다. Here, the bushing bracket 6 has a bush 7 integrally formed on its inner periphery to prevent connection with the fastening bolt.

이러한 부시 브라켓(6)은 상기 서브 프레임(3)의 후방 양측에 각각 접합 고정된다. These bush brackets 6 are respectively bond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sub-frame 3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은 체결 볼트(30)가 상기 서브 프레임(3)의 후방측에 구성되는 부시 브라켓(6)을 관통하여 파이프 너트(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 볼트(30)와 함께 상기 서브 프레임(3)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2)의 후방측을 체결하게 된다. The mounting unit 1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fastened to the pipe nut 10 by the fastening bolt 30 passing through the bush bracket 6 configured on the rear side of the sub-frame 3 . Accordingly, the sub frame 3 and the rea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2 are fastened together with the fastening bolt 3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고속 전방 충돌 시에,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2)를 통하여 후방으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E)가 너트링(20)에 전달되어 상기 너트링(20)이 조기에 파손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 in the mounting unit 1 for a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high-speed front collision of a vehicle, collision energy transmitted to the rear through the front side member 2 is (E) is transmitted to the nut ring 20, the nut ring 20 is prematurely damaged.

이에 따라, 상기 너트링(20)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파이프 너트(10)는 절개홈(11)을 기준으로 후방부가 후측으로 벌어지면서 서브 프레임(3) 후방의 이탈을 유도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ipe nut 10 supported and fixed by the nut ring 20 , the rear portion of the pipe nut 10 is opened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incision groove 11 , thereby inducing separation of the rear of the sub frame 3 .

이에 따라, 상기 서브 프레임(3)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1)에 대하여 후측이 후방 하부로 안내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3)에 지지되는 중량물의 밀림량을 억제함으로써, 승객실에 탑승한 승객의 다리부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ar side of the sub-frame 3 is guided to the rear low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member 1 to suppress the amount of pushing of the weight supported by the sub-frame 3, so that the legs of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collateral injuries can be minimiz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 마운팅 유닛
2: 프론트 사이드 멤버
3: 서브 프레임
4: 보강패널
5: 마운팅 브라켓
6: 부시 브라켓
7: 부시
10: 파이프 너트
11: 절개홈
13: 나사부
15: 용접단
20: 너트링
30: 체결 볼트
31: 지지단
1: Mounting unit
2: Front side member
3: sub frame
4: Reinforcement panel
5: Mounting bracket
6: Bush bracket
7: Bush
10: pipe nut
11: incision groove
13: threaded part
15: weld end
20: nut ring
30: fastening bolt
31: support group

Claims (6)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양측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절개홈이 차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하단면에 형성된 용접단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후방 하측에 접합되는 파이프 너트;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나사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기 파이프 너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링;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구성된 부시 브라켓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
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보강패널에 일측이 접합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for fastening a sub-frame to a front side member of a vehicle, the mounting unit comprising:
It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both sides of the cut-out grooves of a certain length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pposite sides, and a threaded pa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a pipe nut joined to a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in a state of being joined to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the pipe nut;
a nut ring formed in a ring shape of a reinforced plastic material,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being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crew portion, and thread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pipe nut; and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pipe nut through a through hole of a bush bracket configured in the sub frame;
including,
The pipe nut is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in which one side is joined to an inner reinforcing panel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브라켓은
내주에 부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각각 접합 고정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ush bracket is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in which a bush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sub-frame, respectively.
KR1020170084671A 2017-07-04 2017-07-04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KR102399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71A KR102399427B1 (en) 2017-07-04 2017-07-04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71A KR102399427B1 (en) 2017-07-04 2017-07-04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42A KR20190004442A (en) 2019-01-14
KR102399427B1 true KR102399427B1 (en) 2022-05-18

Family

ID=6502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71A KR102399427B1 (en) 2017-07-04 2017-07-04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42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69B1 (en) * 2009-12-02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KR20150093881A (en) * 2014-02-07 2015-08-19 주식회사 세화 Loose stopping nut
KR101601441B1 (en) * 2014-06-27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ub frame mounting b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42A (en)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955B2 (en) Zero stack-up telescopically collapsible energy absorbing rail and bracket assembly
US5238286A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8801087B2 (en) Cowl cross assembly
US8764102B2 (en) Structure of high-strength vehicle body member
KR101855766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EP2821325A1 (en) Vehicular shock absorbing device and vehicular shock absorbing structure
EP2412584B1 (en) Bumper device for vehicle
US20140252739A1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09528950A (en) Vehicle dive prevention device
US8746763B2 (en) Multistage energy absorbe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WO2016104094A1 (en)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KR100929527B1 (en) Front side member assembly
US20170225718A1 (en) Low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08120256A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JPWO2011036780A1 (en)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s
WO2012140809A1 (en) Bumper-stay-attaching structure and load-transmitting member
US10752193B2 (en) Vehicle incorporating a deformable front frame structure
KR102399427B1 (en) Mounting unit for sub frame of vehicles
JP2010115946A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JP2022511705A (en) Automotive energy absorbers, energy absorbers and enhancements to them
KR101743845B1 (en) side body quarter panel reinforcing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9096291A (en) Steering device fitting structure
JP2010173422A (en)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13111997A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2013133043A (en) Vehicle body lower pa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