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407B1 -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제어 - Google Patents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407B1
KR102399407B1 KR1020197025114A KR20197025114A KR102399407B1 KR 102399407 B1 KR102399407 B1 KR 102399407B1 KR 1020197025114 A KR1020197025114 A KR 1020197025114A KR 20197025114 A KR20197025114 A KR 20197025114A KR 102399407 B1 KR102399407 B1 KR 102399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age
predefined
uplink data
mod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300A (ko
Inventor
클로드 쟝-프레데릭 아르젤리어
스테판 존 배렛
르네 포리
카렌 린 바흐만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의 제어를 위한 방법은, 모뎀으로부터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모뎀을 포함함―;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뎀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제어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7년 1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5/419,32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enhanced coverage functionality)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커버리지 영역은 반복되는 데이터 송신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커버리지 영역의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송신하여 기지국이 데이터를 검출하기에 충분한 무선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LTE(Long-Term Evolution) 무선 시스템에서,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으로 구성된 디바이스는 최대 반복 횟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확장 모드 A에 있는 경우 8 ~ 32,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확장 모드 B에 있는 경우 192 ~ 2048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반복된 데이터 송신은 디바이스에서 높은 전력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배터리가 용이하게 또는 빈번하게 충전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경우, 더 많은 커버리지를 얻기 위해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을 사용하는 이점은 여분의 배터리 소모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그러나 자주 충전할 수 없거나 전혀 충전할 수 없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수년간 유지 보수 없이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산 추적 디바이스와 같은 경우, 배터리 소모가 민감하며, 여분의 배터리 소모가 커버리지의 이득을 능가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enhanced coverage state)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1을 도시하는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에 대한 제1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2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1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2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에 대한 제2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3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을 도시하는 제2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는 솔루션 1을 도시하는 제3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에 대한 제3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4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5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14c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솔루션 1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AT(attention) 커맨드의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5a-15b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솔루션 2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AT 커맨드의 제1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솔루션 2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AT 커맨드의 제2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7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 IE) 또는 필드를 도시한다.
도 18a-18d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Attach Accept 메시지에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9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Attach Accept 메시지에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20a-20h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Activate Default EPS(evolved packet system)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서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설명을 나타낸다.
도 21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송신 제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IE를 도시한다.
도 22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a-24b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요청된(solicited) AT 커맨드의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 및 명칭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개시는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때의 데이터 송신 제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설명된 원리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현들 및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액세스하기 위해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특정 커버리지 확장 모드(들), 커버리지 확장 레벨(들)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들)에 있거나,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 또는 품질이 임계치(threshold)보다 낮거나, 데이터 송신의 반복 횟수가 임계치보다 높다면, 디바이스는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데이터 타입(예를 들어, 긴급(emergency) 또는 비-긴급 데이터),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지 여부, 송신 제어와 연관된 타이머 또는 카운터가 만료되었는지 여부, 배터리 레벨 또는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power outlet)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경우, 데이터가 비-긴급 위치 정보를 전달하거나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으면, 디바이스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다.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비(UE) 또는 디바이스(102) 및 기지국(104)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디바이스(102)는 기지국(104)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다. 기지국(104)의 커버리지 영역은 일반(normal) 커버리지 경계(106) 내의 일반 커버리지 영역 및 일반 커버리지 경계(106)와 확장된 커버리지 경계(108) 사이의 확장된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2)는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을 사용하여 기지국(104)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110)를 기지국(104)으로 송신할 때, 디바이스(102)는 통상적인 커버리지 영역에서보다 확장된 커버리지 영역에서 더 높은 반복 횟수를 사용할 수 있다.
LTE(Long-Term Evolution) 무선 시스템에서,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3GPP TS 36.300 참조)은 다음을 포함한다:
● 무선 리소스 제어(RRC) 유휴 모드(RRC_IDLE)에서, 4개의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0, 1, 2 및 3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리소스 선택에 대해 정의된다.
● RRC 접속 모드(RRC CONNECTED)에서 2개의 확장된 CE 모드, 모드 A(낮은/중간 커버리지) 및 모드 B(극단적인 커버리지)가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지원된다.
주어진 CE 레벨과 각각 연관된 PRACH 리소스 집합(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프리앰블)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으로 제공된다. CE 레벨 당 PRACH 반복 횟수 및 최대 프리앰블 송신 시도 횟수도 또한 SIB로 제공된다. 초기 CE 레벨은 SIB로 제공될 수 있고, 그 셀 내의 UE들에 의한 랜덤 액세스에서 사용될 초기 PRACH CE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제공되지 않으면, UE는 SIB에 제공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임계치와 비교하여 측정된 RSRP 레벨에 기초하여 PRACH CE 레벨을 선택한다(3GPP TS 36.321 참조). 확장된 커버리지에 있는 UE에 의해 사용될 CE 모드는 UE가 접속 모드에 진입하고 있을 때, 전형적으로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또는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로 제공된다. 주어진 신호 또는 주어진 채널에 대해 사용될 반복 횟수에 관한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일부로서 (CE 모드마다) SIB로 제공되거나, UE가 접속 모드에 진입하고 있을 때 전용 메시지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최대 반복 횟수는 CE 모드 A의 경우 8 ~ 32이고, CE 모드 B의 경우 192 ~ 2048이다. 다시 말해서, 모드 B는 모드 A보다 더 확장된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더 높은 반복 횟수 및 따라서 더 높은 배터리 소모를 요구한다.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은 또한 협대역 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UE에 대해서도 정의될 수 있으며, 상이한 CE 레벨 및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상이한 반복 레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셀에 최대 3개의 협대역 PRACH(NPRACH) 리소스가 최대 두 개의 RSRP 임계치로 정의된 셀에서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NPRACH 리소스는 대응하는 CE 레벨에 매핑된다. 네트워크는 UE에 의해 사용될 PRACH의 초기 반복 횟수를 나타낼 수 있거나, 시작 CE 레벨은 상위(upper) 계층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UE는 측정된 RSRP와 관계 없이 자신이 대응하는 CE 레벨에 있다고 간주한다. 주어진 채널에 대한 최대 반복 횟수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은 또한 최대 5 개의 커버리지 클래스(coverage class, CC), CC1, CC2, CC3, CC4 및 만일 적용 가능하다면 CC5를 포함하는 EC-GSM-IoT(extended coverage GSM for Internet of Things)의 내재한 일부이고(3GPP TS 43.064 참조), CC1은 전형적인 GPRS/E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nhanced GPRS) 커버리지 범위에 대응한다. 유휴 모드에서, EC-GSM-IoT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사용될 CC를 선택하고, 선택된 CC를 네트워크에 표시하는 반면, 패킷 전송 모드(Packet Transfer Mode)에서는, 네트워크가 CC 선택을 수행하고 CC를 MS에 전달한다. 미리 정의된 수의 논리 채널 특유의 블라인드 물리 계층 송신은 특정 레벨의 확장된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디바이스가 유휴 모드에 있을 때, UE는 무선 측정 기준에 기초하여 무선 커버리지 레벨(UE가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해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디바이스가 접속 모드에 진입할 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무선 측정 및/또는 다른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UE가 어느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 또는 반복 레벨을 사용할지 구성한다.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을 지원하는 UE에 대해, 네트워크는 UE가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이유로 확장된 커버리지 특징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확장된 커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프리미엄 가입 사용자에게만 허용될 수 있다).
기술된 접근법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radio coverage condition)를 나타내는 정보를 모뎀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UE)가 애플리케이션 및 모뎀을 포함한다.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은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은 모뎀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여,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확장 모드, 커버리지 클래스, 데이터 반복 표시자,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UE가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클래스, 또는 커버리지 확장 모드의 집합 중 하나에 있고, 데이터 반복 표시자는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를 초과하고, UE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UE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은 것;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것;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QoS 표시자, 미리 정의된 우선 순위 레벨, 또는 미리 정의된 비트 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것; 송신 제어와 연관된 미리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것; 송신 제어와 연관된 카운터가 미리 정의된 카운터 임계치에 도달한 것; UE가 이동 중인 것;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보다 높은 것;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2 임계치보다 낮은 것; 또는 UE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은 것.
일부 구현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은 UE의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로부터 속도(spee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은 UE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로 전송된 질의에 응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은 UE의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로부터 배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은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보다 높거나 제2 임계치보다 낮은 지 여부 또는 UE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에 전송된 질의에 응답하여 수신될 수 있다. UE는 UE가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및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뎀에 전송된 질의에 응답하여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뎀으로의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한 질의는 제1 AT(attention) 커맨드로 전달될 수 있다. 모뎀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제2 AT 커맨드로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가 변할 때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모뎀으로부터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따른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는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24b 및 관련 설명은 이러한 구현에 대한 추가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요소들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돌아가서, UE(또는 디바이스)(102)는 IoT 디바이스,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이동 전자 디바이스(mobile electronic device), 사용자 디바이스, 이동국, 가입자 기지국(subscriber station),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portable electronic device), 이동 통신 디바이스(mobile communications device), 무선 모뎀, PTT(push-to-talk) 디스패치 콘솔, 또는 무선 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E의 예들은 셀룰러폰, PDA, 스마트폰, PTT 디스패치 콘솔, 랩탑, 태블릿 PC, 페이저,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테스트 장비, 도박 기계, 자동차/차량, 게시판, 가전 제품, M2M/IoT 전자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갖는 다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인가(licensed) 스펙트럼 및 비인가 스펙트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무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UE의 다른 예는 이동 및 고정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USIM(Universal SIM),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와 같은 이동 장비(Mobile Equipment, ME) 디바이스 및 착탈식 메모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UE"는 또한 사용자에 대한 통신 세션을 종료할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용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UA", "사용자 디바이스",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디바이스" 및 "모듈"은 여기에서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고정 이더넷 또는 IEEE 802.11 WLAN과 같은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및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RAN에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액세스 기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C-GSM-IoT, IS-95(Interim Standard 95),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volved UMTS, LTE, LTE-Advanced, NR(New Radio) 또는 NB-IoT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는 EPC(evolved packet core) 또는 NG 코어(next generation core)일 수 있다.
RAN은 GSM, UMTS, CDMA2000, 3GPP LTE, 3GPP LTE-Advanced(LTE-A), NB-IoT 및 EC-GSM-IoT와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RAN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4))은 시스템의 고정된 부분에서 모든 또는 적어도 일부 무선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은 UE가 통신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 내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복수의 기지국은 광범위한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UE, 다른 기지국들 및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도 1의 요소들은 다양한 특징 및 기능을 구현하는 다양한 컴포넌트 부분(part)들, 부분(portion)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요소는 적절한 경우 다수의 서브 모듈, 제3자 서비스,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등을 대신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컴포넌트의 특징 및 기능이 적절한 경우, 더 적은 수의 컴포넌트로 결합될 수 있다. 기술된 접근법은 본 개시의 범위와 일치하는 다른 방법 또는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설명에서, LTE 및 GSM이 예로서 사용되었지만,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명된 접근법은 3GPP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IEEE(예를 들어, 11.x, WiFi, WiMax), CDMA2000 및 5G(fifth generation)와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대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업링크 메시지", "업링크 데이터" 및 "업링크 데이터 송신"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구조화된 또는 비구조화된 데이터 스트림, 또는 임의의 다른 동등한 용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사용자 평면 타입의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커버리지 확장 레벨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과 호환 가능하고 커버리지 확장 모드는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와 호환 가능하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도 2 내지 13의 흐름도 및 플로우챠트의 다양한 단계는 병렬로, 조합하여, 루프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솔루션 1: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경우 모바일-발신(mobile-originated) 데이터 송신을 억제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2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1을 도시하는 제1 흐름도(200)이다. 흐름도(200)는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202) 및 모뎀(204)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202)은,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경우,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결정한다(또는 이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그렇게 구성된다). 송신이 안 된 데이터는 드롭(drop)되거나 폐기(discard)될 수 있다(예를 들면, 지속 시간 후에 쓸모 없게 될 위치 정보), 또는 유지되거나 나중에 전송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제한이 취소(revoke)될 때). 모뎀(204)은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 상태(예를 들어, 현재 적용 가능한 CE 모드/레벨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또는 RSRP와 같은 무선 신호 강도 또는 품질,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반복 횟수, 또는 다른 무선 링크 정보)를 알고 있다. 애플리케이션(202)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 또는 상태(status)에 대한 질의(206)를 모뎀(204)에 전송할 수 있다. 모뎀(204)으로부터의 상태 보고(status report)(208)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202)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송신 제한을 위한 임의의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디바이스 CE 레벨/모드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가 미리 정의된 CE 레벨/모드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의 집합 내의 하나라면, 만일 데이터 반복 횟수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다면, 애플리케이션(202)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다면, 애플리케이션(202)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질의(206) 및 상태 보고(208)는 각각 AT 커맨드 및 응답일 수 있다(3GPP TS 27.007 참조). AT 커맨드 및 응답은 단말기 어댑터(terminal adapter, TA)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단말기 장비(terminal equipment, TE))과 모뎀(즉, 이동 단말기(MT))간에 정보 또는 명령어들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응답은 다음 AT 커맨드(각 수신된 AT 커맨드에 대해 하나의 응답) 후에 또는 요청되지 않고 트리거될 수 있다(예를 들어, AT 커맨드에 의해 활성화 및/또는 구성된다; 해당 AT 커맨드에 대응하는 여러 응답이 전송될 수 있고, 모뎀에서 정보가 변경되거나 AT 커맨드에 의해 구성되었을 수 있는 다른 조건이 모뎀에서 충족될 때마다 응답이 전송된다). 경우에 따라 AT 응답은 또한 AT 커맨드라고도 불린다. 질의(206) 및 상태 보고(208)는 또한 AT 커맨드/응답 대신에 다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할 수 있다.
표 1은 애플리케이션(202)으로부터 모뎀(204)으로의 질의(206)의 예 및 모뎀(20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202)으로의 연관된 보고된 상태(208)의 예를 나열한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뎀으로의 질의의 예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뎀으로의 예시적인 질의 모뎀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으로의 가능한 보고된 상태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을 제공하라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0이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1이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2이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3이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2보다 높은가?
아니오
서빙 셀의 RSSI가 3dB보다 높은가?
아니오
주 서빙 셀의 RSSI를 제공하라 RSSI = -1dB
RSSI = 1dB
RSSI = 3dB
RSSI = 5dB
RSSI = 7dB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변하는 때마다 상태를 제공하라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0으로 변했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1로 변했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2로 변했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3으로 변했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0,1) 및 (2, 3) 사이로 될 때마다 상태를 제공하라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2,3)으로부터 (0, 1)로 변했다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0,1)으로부터 (2, 3)로 변했다
표 1의 마지막 두 예의 경우,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변경될 때마다 모뎀(204)이 상태 보고를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질의는 하나가 넘는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질의(206)는 이들 2 가지 예에 대해 선택적이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202)은 AT 커맨드를 사용하여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변경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모뎀(204)에 가입 또는 등록할 수 있고, 모뎀(204)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변경될 때마다 요청되지 않은 상태 보고를 애플리케이션(202)에 전송할 것이다. 대안으로, 모뎀(204)에 의해 요청되지 않은 통지를 애플리케이션(202)에 전송하는 것은 모뎀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다음 기준들 중 하나 이상을 따르는 디바이스이다(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 디바이스가 LTE UE의 경우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 A 또는 모드 B에 있으며 현재 선택된 CE 레벨은 가능한 CE 레벨의 식별된 집합의 일부이거나 현재 선택된 커버리지 클래스가 가능한 커버리지 클래스의 식별된 집합의 일부이다. LTE UE의 경우,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 B는 모드 A보다 더 열화된 커버리지에서 그러나 더 높은 전력 소모를 희생하여 송신을 허용하기 때문에, 디바이스가 모드 B에 있는 경우,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가 모드 A에 있는 경우, 가능할 때 메시지를 송신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 링크 예산 또는 (예를 들어, RSSI, RSCP 또는 RSRP에 기초한) 무선 링크 전력/품질이 식별된 임계치 미만이다. 이 기준은 디바이스 카테고리(예를 들어, NB-IoT 및 비 NB-IoT UE)와 관계 없이 일관된 동작을 지정할 수 있다.
● 주어진 채널 타입과 연관될 수 있는 반복 횟수(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PRACH 또는 MTC PRACH(MPRACH) 반복 횟수)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뎀(204)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의 변화(임의의 변화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한 변화(들))가 검출된 애플리케이션(202)에 통지하기 위해 이벤트 트리거 AT 커맨드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202)은 AT 커맨드를 사용하여 모뎀(204)으로부터 그러한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가입 또는 등록할 수 있다. 동작 중에 모뎀(204)이 확장된 커버리지의 그러한 변화를 검출했다면, 애플리케이션(202)이 통지를 받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202)은 UE에 대한 최신의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은 나중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202)이 모뎀(204)에 커버리지 정보를 질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를 얻으려면 모뎀에 전력 비용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열악한 커버리지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예를 들어, 낮은 우선 순위 패킷),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를 얻기 위한 전력이 낭비된다.
도 3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을 위한 제1 예시적인 방법(300)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방법(300)은 블록(3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또는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에 대해, 예를 들어 AT 커맨드를 사용하여 모뎀에 질의한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커버리지 레벨 변경 또는 무선 커버리지 상태 변경의 요청되지 않은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모뎀(204)에 가입하거나 등록한다면, 블록(302)은 선택 사항이다. 블록(304)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또는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를 수신한다. 블록(306)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대한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다면, 애플리케이션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a-14c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솔루션 1을 가능하게 하는 AT 커맨드의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무선 커버리지 상태가 변할 때마다(즉, 요청하지 않은 정보) 애플리케이션에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통지하기 위해, 코드 포인트가 모뎀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으로의 하나의 AT 커맨드에 도입될 수 있다. 도 14a-14c는 AT 커맨드 네트워크 등록 +CREG에 무선 커버리지 정보를 도입하기 위한 3GPP TS 27.007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을 도시한다(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다). 예를 들어 PLMN 선택 +COPS, GPRS 네트워크 등록 상태 +CGREG 및/또는 EPS 네트워크 등록 상태 +CEREG 대신에 또는 추가해서, 다른 AT 커맨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새로운 AT 커맨드가 또한 생성될 수도 있다. 새 필드 <cov> 및 <cov-gsm>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 커맨드 네트워크 등록 +CREG에 도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ov> 및 <cov-gsm>가 단일 필드로 병합될 수 있다.
+CREG 파라미터 커맨드 신택스
커맨드 가능한 응답(들)
+CREG=[<n>] +CME ERROR: <err>
+CREG? +CREG: <n>, <stat>[,[<lac>],[<ci>],[<AcT>][,<cause_type>,<reject_cause>],[<cov>],[<cov-gsm>]]
+CREG=? +CREG:(지원되는 <n>의 리스트)
<cov> 및 <cov-gsm> 필드는 임의의 무선 커버리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 27.007은 CE 레벨 및 커버리지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위해 <cov> 및 <cov-gsm> 필드에 대한 다음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cov> : 정수 타입; 커버리지 확장 레벨. <Act>=E-UTRAN 또는 NB-IoT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0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0
1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1
2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2
3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3 (<Act>=NB-IoT라면, 적용 가능하지 않음)
주 7: 3GPP TS 36.331은 커버리지 확장 레벨을 지정한다.
<cov-gsm> : 정수 타입; 커버리지 클래스. <Act>=EC-GSM-IoT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0 커버리지 클래스 CC1
1 커버리지 클래스 CC2
2 커버리지 클래스 CC3
3 커버리지 클래스 CC4
4 커버리지 클래스 CC5
주 8: 3GPP TS 43.064는 커버리지 클래스를 지정한다.
도 24a-24b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요청된 AT 커맨드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AT 커맨드를 도입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모뎀에 질의하고, 모뎀이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로 응답할 수 있게 한다. 도 24a-24b는 새로운 AT 커맨드 + CIOTQCEL을 포함시키기 위한 3GPP TS 27.007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을 도시한다.
솔루션 2: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경우 모바일-발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모뎀에 조건부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명령한다.
도 4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2를 도시하는 흐름도(400)이다. 흐름도(400)는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202) 및 모뎀(204)을 포함한다. 모뎀(204)은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 상태(예를 들어, 현재 적용 가능한 CE 모드/레벨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 RSSI, RSCP 또는 RSRP와 같은 무선 신호 강도 또는 품질,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반복 횟수, 또는 다른 무선 링크 정보)를 알고 있다. 애플리케이션(202)은 명령어(406)를 모뎀(204)에 전송하여, 모뎀(204)이 특정 조건 하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명령어(406)는 송신 제한들에 대한 임의의 조건들 및 송신 제한들에 대한 조건들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디바이스/모뎀 CE 레벨/모드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가 미리 정의된 CE 레벨/모드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의 집합 내의 하나라면, 만일 데이터 반복 횟수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다면, 애플리케이션(202)은 모뎀(204)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말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으면 모뎀(204)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말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뎀(204)이 데이터(408)에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애플리케이션(202)는 또한 데이터(408)를 모뎀(204)에 전송할 수 있다. 명령어(406) 및 데이터(408)는 AT 커맨드 또는 다른 API를 사용할 수 있다.
만일 데이터 반복 횟수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보다 낮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높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높다면, 디바이스/모뎀 CE 레벨/모드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레벨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의 미리 정의된 집합의 요소가 아닐 때, 애플리케이션(202)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모뎀(204)에 명령할 수 있다. 대칭적으로, 만일 데이터 반복 횟수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보다 높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디바이스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다면, 디바이스/모뎀 CE 레벨/모드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레벨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의 미리 정의된 집합의 요소일 때, 애플리케이션(202)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모뎀에 명령할 수 있다. 특정 업링크 데이터는 명령어(406)(예를 들어, 데이터가 명령어(406)에 포함됨)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예를 들어, 개별 명령어(406) 및 데이터(408))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가 명령어와 별도로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는 예를 들어 베어러 ID,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PDP) 컨텍스트,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할 수 있는) 소켓 번호 또는 목적지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구별될 수 있다. 데이터(408)는 명령어(406)와 동시에 또는 나중에 전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모뎀에 의한 커버리지 조건을 알고 여러 번 시도한 후에 무조건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애플리케이션/모뎀이 특정한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레벨 또는 특정 무선 커버리지 상태에 있지 않을 때 애플리케이션(202)이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모뎀(204)에 명령할 수 있다. 대칭적으로, 모뎀이 하나 이상의 특정한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들)/레벨(들) 또는 특정 무선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202)은 어떠한 업링크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도록 모뎀(204)에 명령할 수 있다. 솔루션 1과 마찬가지로,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는 드롭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표 3은 애플리케이션(202)으로부터 모뎀(204)으로의 명령어(406)의 예를 나열한다. 표 3의 제2 열은 관련된 업링크 데이터가 명령어(406)와 함께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뎀으로의 명령어의 예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뎀으로의 명령어 명령어가 포함된 업링크 데이터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지 않다면,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라 아니오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0 또는 1에 있다면,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라 아니오
모뎀이 커버리지 클래스 CC1 또는 CC2에 있다면, 이 명령어가 첨부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라
서빙 셀의 RSSI가 3dB보다 높다면, 이 명령어가 첨부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라(다른 업링크 데이터는 제한 없이 전송된다)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0에 있다면, 소켓 포트 0과 관련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라(다른 업링크 데이터는 제한 없이 전송된다) 아니오
예를 들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3과 같이, 보다 엄격한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레벨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에 대하여 송신 제한을 적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조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구현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를 위한 제1 예시적인 방법(5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500)은 블록(5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데이터를 모뎀에 전송하고 명령어에 지정된 조건에 따라 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한다. 블록(504)에서, 모뎀은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다면, 모뎀은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들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2 예시적인 방법(6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600)은 블록(6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포트 0으로부터 오는 임의의 장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한다. 블록(604)에서, 모뎀은 명령어에 따라 포트 0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으면, 애플리케이션은 포트 0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다면, 모뎀은 포트 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15a-15b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솔루션 2를 가능하게 하는 AT 커맨드의 제1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5a-15b는 AT 커맨드에서 명령어 및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3GPP TS 27.007에 대한 변경 예를 도시한다(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 새로운 필드 <cond>는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 커맨드 +CSODCP에 도입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cond> 필드에 명령어를 포함하고 <cpdata> 필드에 특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CSODCP 동작 커맨드 신택스
커맨드 가능한 응답(들)
+CSODCP=<cpdata_length>,<cpdata>[,<RAI>[,<type_of_user_data>,<cond>]] +CME ERROR: <err>
+CSODCP=? +CSODCP: (<cpdata_length>의 최대 바이트 수), (지원되는 <type_of_user_data>들의 리스트)
필드 <cond>에는 모든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 27.007은 명령어가 CE 레벨/커버리지 클래스와 관련된 경우, <cond> 필드에 대한 다음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cond> : 정수 타입.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0 데이터를 송신한다.
1 디바이스가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1, 2 및 3(E-UTRAN 또는 NB-IoT)에 있지 않은 경우에만 데이터를 송신한다.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클래스 2, 3 및 4(EC-GSM-IoT)에 있지 않은 경우에만 데이터를 송신한다.
주 7 : 3GPP TS 36.331은 커버리지 확장 레벨을 명시한다. 3GPP TS 43.064는 커버리지 클래스를 명시한다.
대안적으로, 필드 <cond>는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최대 CE 레벨 또는 최고 커버리지 클래스와 관련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 27.007은 <cond> 필드에 대해 다음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cond> : 정수 타입.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최대 CE 레벨 0 ~ 3(E-UTRAN), 0 ~ 2(NB-IoT) 또는 최고 커버리지 클래스 1 ~ 5(EC-GSM-IoT; 각각 CC1 ~ CC5)를 명시한다. 적용 가능한 경우, CE 레벨 또는 커버리지 클래스가 표시된 값보다 큰 경우, 사용자 데이터는 송신되지 않아야 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3GPP TS 27.007은 명령어가 CE 레벨/커버리지 클래스 및 송신 제한을 위한 미리 정의된 타이머와 관련되는 경우 <cond> 필드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cond> : 정수 타입.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태를 표시한다.
0 데이터를 송신한다.
1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데이터를 송신한다:
E-UTRAN 또는 NB-IoT:
- 디바이스가 CE 레벨 0에 있거나;
- 디바이스가 CE 레벨 1, 2 또는 3(E-UTRAN에만 해당)에 있고, 데이터가 지난 한 시간 동안 송신되지 않았다.
EC-GSM-IoT:
-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클래스 CCl에 있거나;
-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클래스 CC2, CC3, CC4 또는 (적용된다면) CC5에 있고, 데이터가 지난 한 시간 동안 송신되지 않았다.
솔루션 1 및 2는 디바이스가 유휴 모드 또는 접속 모드에 있을 때 사용될 수 있고, 상이한 시간에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타입에 기초하여 모바일-발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조건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데이터 타입은 솔루션 1 및/또는 2에서 송신 제한을 위한 조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타입의 데이터는 다른 타입보다 시스템 관점에서 덜 중요하다. 이러한 타입의 데이터의 예로는 주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 타입에 특유한 데이터일 수 있다(디바이스의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상이한 목적으로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데이터는 시간에 민감할 수 있으며,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으로 많은 양의 반복된 송신을 사용함으로써 추가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송신이 지연되어야 하는 경우, 그들을 전송할 가치가 없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데이터 타입에 기초한 추가적인 조건으로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면, 애플리케이션은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업링크 메시지(들))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억제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는 반면, 플랫 타이어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조건이 아닐 수 있다. 긴급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긴급 통화 정보, 임박한 차량 충돌 정보 또는 긴급 위치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억제하기 위한 조건이 되지 않을 것이지만, 다른 업링크 데이터는 될 것이다. 또 다른 예에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과 관련된 데이터 패킷은 전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지만,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UDP(user data protocol)/IP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은 전송될 수 있다. 그 이유는 TCP/IP가 추가 지연으로 인해 확장된 커버리지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조건은 IP 어드레스 및/또는 포트 번호(소켓), APN(Access Point Name), 프로토콜 관련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LTE를 위한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 또는 2G/3G를 위한 PDP 컨텍스트)와 관련될 수 있다.
송신 제한을 트리거할 수 있는 상이한 데이터 타입 또는 서브 타입의 다른 예는 차량 관리 및 물류, 자동차 텔레매틱스, 자동화 및 모니터링, PoS(point of sales), 보안 및 감시, 헬스 모니터링(예를 들어, 머신-투-머신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는(웨어러블) 웰빙/피트니스 서비스 디바이스), 안전한 원격 환자 관리 및 모니터링, 웨어러블(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파일 공유 또는 게임), 스마트 빌딩(예를 들어, 분석, 조명, 화재 및 생명 안전 또는 보안 및 액세스), 에너지(예를 들어, 고급 전송 및 분배 자동화를 위한 광역 에너지 관련 측정/제어 시스템, 수집 시작 및 중지, 조건부 수집, 수집 체계 생성/수정, 스마트 리더 판독, 수력 및/또는 석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 셀룰러/위성을 결정하기 위한 원격 위치의 환경 모니터링과 같은 머신 대 머신의 분석 유스 케이스), 엔터프라이즈(예를 들어, 빌딩 자동화 및 제어 또는 분석 또는 조명, 화재 및 생명 안전/보안 및 액세스, 난방, 환기, 에어컨, 전력 및 에너지 및/또는 산업 시스템과 같은 스마트 빌딩), 공공 서비스(예를 들어, 가로등 자동화, 디바이스, 가상 디바이스 및 사물 및/또는 자동차/자전거 공유 서비스에 대한 유스 케이스), 레지덴셜(예를 들어, 가정 에너지 관리, 가정 에너지 관리 시스템, 플러그인 전기 충전 차량 및 가정 시나리오의 전원 공급 장치,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통신, 이벤트 트리거 작업 실행 유스 케이스 및/또는 시맨틱 홈 제어), 시맨틱 디바이스 플러그 앤 플레이, 농업(예를 들어, 원격 장비 모니터링, 원격 작물 모니터링, 기후 모니터링 및 예측, 작물 및 가축에 대한 예측 분석, 가축 추적 및 지오 펜싱, 가축 먹이 및 생산에 대한 통계, 스마트 물류 및 창고 보관 및/또는 드론 모니터링 및 제어), 텔리매틱스(차량 진단 및 유지 보수 보고 및 서비스, 교통 사고 정보 수집, 도난 차량 복구, 길가 지원,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및 인터넷 액세스, 차량 내비게이션, 사용 기반 보험, 리스, 렌트 및/또는 HP 및 공유 차량 관리), 운송(예를 들어, 디지털 타코 그래프를 사용한 차량 관리 서비스), 다른 것(예를 들어, 위성을 사용하여 머신 대 머신 액세스 및/또는 네트워크 확장, 기본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한 M2M 데이터 트래픽 관리, 모바일 네트워크와의 최적화된 M2M 연동, 접속 관리 파라미터 최적화, 이동성 관리 파라미터 최적화, 슬리피(sleepy) 노드 유스 케이스, M2M 시스템 데이터의 수집에 관한 유스 케이스, 기본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팅/멀티캐스팅 기능 활용 및/또는 빌트인 머신 대 머신 디바이스가 있는 장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활용)을 포함할 수 있다(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2)는 이러한 예시적인 데이터 타입 및 유스 케이스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솔루션 1 및 2에서 송신 제한에 대한 조건으로서 서비스 품질(QoS)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기능의 반복된 송신에 의해 야기된 지연에 대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또는 다음과 관련된 QoS를 갖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로 구성된다면,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 GBR(Guaranteed Bit Rate);
● non-GBR(non-GBR은 반복된 송신으로 인한 지연을 허용할 수 있음); 및/또는
● 특정 QCI(QoS Class identifier)(들), 예를 들어, 대화형(interactive) 베어러를 반영하는 QCI.
위의 예는 LTE QoS 용어를 사용한다. 다른 용어들이 다른 RAT의 예와 함께 가능하다. 예를 들어, 2G/3G 시스템의 경우, 조건은 활성 PDP 컨텍스트(들)에 대한 QoS 트래픽 클래스(들)가 대화형 또는 스트리밍형이라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기준은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 레벨과 관련될 수 있다:
● 우선 순위(precedence) 등급에서 '높은 우선 순위' 및/또는 '보통 우선 순위' 대 '낮은 우선 순위'.
● 데이터 베어러의 무선 우선 순위에서 '우선 순위 1'(최고) 및/또는 '우선 순위 2' 대 '우선 순위 3'.
도 7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에 대한 제2 예시적인 방법(7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700)은 블록(7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AT 커맨드를 사용하여 무선 커버리지 상태에 관해 모뎀에 질의한다. 애플리케이션이 무선 커버리지 상태 변경의 요청되지 않은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모뎀에 가입하거나 모뎀에 등록하는 경우 블록(702)은 선택적이다. 블록(704)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를 수신한다. 블록(706)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모뎀이나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3에 있고 데이터가 비-긴급 디바이스 위치 정보에 관한 것인 경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부 구현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3 예시적인 방법(8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800)은 블록(8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명령어에 지정된 조건에 따라 장래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한다. 블록(804)에서, 모뎀은 명령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고 데이터가 비-긴급 디바이스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업링크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한다. 따라서, 모뎀/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고 데이터가 비-긴급 디바이스 위치 정보와 관련된 경우, 모뎀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이 상이한 업링크 데이터를 제어하고,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이 충돌하는 명령어를 전송하는 시나리오가 일어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이것이 일어난다면, 전체 결정에 대해 몇 가지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시간 내 수신된 최신 명령어는 모뎀에 적용될 수 있거나;
● 일부 우선 순위 제어가 명령어(들) 내에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모뎀까지 각 명령어에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충돌이 있는 경우 가장 높은 번호의 명령어가 적용된다. 일부 디폴트 값이 사용될 수 있다.
● 일부 미리 정의된 규칙이 모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집합을 가진 송신 제한을 사용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동일한 조건 집합을 가진 송신 제한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금지될 수 없다.
도 16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솔루션 2를 가능하게 하는 AT 커맨드의 제2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뎀으로 새로운 AT 커맨드가 도입되어, 명령어와 함께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6은 새로운 AT 커맨드 +CEUDR을 포함하도록 3GPP TS 27.007에 대한 변경 예(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를 도시한다. 표 5는 새로운 AT 커맨드 +CEUDR을 도시한다.
+CEUDR 파라미터 커맨드 신택스
커맨드 가능한 응답(들)
+CEUDR=[<setting>]
+CEUDR? +CEUDR: <setting>
+CEUDR=? +CEUDR: (지원되는 <setting>의 리스트)
새로운 AT 커맨드 +CEUDR은 임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가 CE 레벨/커버리지 클래스 및 송신 제한을 위한 미리 정의된 타이머와 관련이 있는 경우, 3 GPP TS 27.007은 새로운 AT 커맨드 +CEUDR에 대한 다음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Description)
set 커맨드는 업링크 데이터 제한에 따라 동작하도록 MT를 설정(set)하는 데 사용된다.
read 커맨드는 TE에 의해 설정된 사용 설정(usage setting)을 리턴한다.
test 커맨드는 지원되는 MT 설정(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정의된 값(Defined Values)
<setting>: 정수 타입; MT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 제한을 표시한다. 디폴트 값은 제조업체마다 다르다.
0 소켓 포트 0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허용된다.
1 다음 경우에 소켓 포트 0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허용된다:
E-UTRAN 또는 NB-IoT:
- 디바이스가 CE(Coverage Enhancement) 레벨 0에 있거나;
- 디바이스가 CE 레벨 1 또는 2 또는 3(E-UTRAN에만 적용)에 있고, 데이터가 지난 한 시간 동안 송신되지 않았다.
주 1: 3GPP TS 36.331은 커버리지 확장 레벨을 명시한다.
EC-GSM-IoT:
-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클래스 CC1에 있거나;
-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클래스 CC2, CC3, CC4 또는 (해당하는 경우) CC5에 있으며 데이터가 지난 한 시간 동안 전송되지 않았다.
주 2: 3 GPP TS 43.064는 커버리지 클래스를 명시한다.
구현(Implementation)
선택적이다.
대기 지속 기간 및/또는 시도 횟수에 기초하여 모바일-발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조건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솔루션 1 및 2의 송신 제한은 지속 기간(time duration) 및/또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도 횟수에 기초할 수 있다. 임계치는 미리 정의되거나 아래 논의된 대로 구성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특정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사전 정의된 지속 기간 및/또는 특정 수의 메시지에 적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업링크 메시지(들)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한 후에는, 메시지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속 시간 동안 전송되는 것이 금지되었다면, 억제를 취소할 것이다(즉, 메시지(들)를 다시 전송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전송을 억제하도록 모뎀에 명령할 수 있다. 특정 대기 시간이 만료된 후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가 무선 커버리지 상태과 관련하여 무조건적으로 전송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다른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업링크 메시지가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경우(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면(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특정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들)/모드(들)에 있다면), 디바이스는 특정 개수의 메시지에 대해 업링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또는 기회(opportunity)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정 수의 업링크 메시지들이 전송 억제되었거나, 특정 수의 전송 기회가 사용 억제된 후에, 디바이스가 여전히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고 업링크 송신을 위해 여분의 배터리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디바이스는 하나의 업링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업링크 메시지를 트리거링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송신 제한이 취소될 때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 컨텐츠가 나중에 전송될 수 있거나, 데이터 컨텐츠(예를 들어, 얼마 간의 지속 기간 후에 쓸모 없어진 위치 정보)가 드롭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속도에 기초하여 모바일-발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조건
솔루션 1 및 2에 대한 추가 또는 대안 조건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 경우 하나 이상의 특정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솔루션 1) 또는 모뎀(솔루션 2)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보류한 후에, 디바이스가 이동을 멈추거나 적어도 특정 기간 동안 이동을 멈춘다면, 송신 제한이 취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정지되어 있고 어느 위치에 있는지 네트워크가 아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정지 상태(stationary)가 될 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에 대한 예외가 생길 수 있으며,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여분의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에 대한 예외는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이상 정지 상태로 남아 있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럭이 정지한 후 즉각, 예를 들어, 정지 신호에서 다시 시작하면 송신 제한이 취소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을 때, (예를 들어, GPS와 같은 위치 센서 또는 셀 ID(Cell Identity), 라우팅 영역(Routing Area) 또는 디바이스의 추적 영역 ID(Tracking Area Identity)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알려진 임의의 다른 식별된 지리적 영역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로리(lorry)가 예를 들어 타운 내의 안전하지 않은 지역(dodgy area)과 관련된 미리 정의된 영역에 진입하고 있다면,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위치 또는 긴급 정보)의 전송을 허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고 디바이스가 안전하지 않은 영역에 있지 않으면 디바이스는 업링크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위치 정보를 사용할 때,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디바이스가 고정되어 있고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아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송신 제한은 디바이스가 정지 상태가 되었을 때 취소될 수 있고,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여분의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제한된 양의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의 업링크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업링크 메시지가 전송된 후에, 디바이스가 여전히 정지 상태에 있더라도, 업링크 메시지(들)의 전송이 다시 금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미리(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모뎀에 질의 한 마지막 시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었다는 것을 알고, (예를 들어, 가속도계 판독 값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가 이동하지 않았다는 것을 안다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가 여전히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레벨을 평가하거나 질의하기 위해 모뎀을 깨우지 않을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모뎀에 질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을 평가하는 것을 피하면, 디바이스/모뎀의 일부 전자 부품을 켤(switch on)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를 더 절약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구현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1을 도시하는 제2 흐름도(900)이다. 흐름도(900)는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202), 모뎀(204) 및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902)를 포함한다. 모뎀(204)은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알고 있다. 애플리케이션(202)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 또는 상태에 대한 질의(206)를 모뎀(204)에 전송하고, 모뎀(204)으로부터 상태 보고(208)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02)은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902)에 질의(908)를 전송할 수 있고, 위치 및/또는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910)을 수신할 수 있다. 상태 보고(208) 및 응답(910)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202)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202)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1, 2, 또는 3이고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2)과 모뎀(204) 사이 및 애플리케이션(202)과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902) 사이의 질의/상태 상호 작용은 임의의 순서로(즉,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902)에 처음 질의한 후, 모뎀(204)에 질의하거나, 아니면 그 반대),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솔루션 2의 경우, 모뎀 자체가 디바이스 위치/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에 질의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모뎀은 모뎀에서 수신된 GPS 신호를 분석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분석하거나, 셀 ID와 같은 무선 셀룰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위치/속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명령어 및 관련 데이터를 모뎀에 전송할 수 있으며, 명령어는 "(1)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지 않거나 (2)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고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 아니면 이 데이터를 전송하라"일 수 있다. 데이터 및 명령어를 수신한 후, 모뎀은 위치/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제한을 그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모바일-발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조건
솔루션 1 및 솔루션 2에 대한 추가 또는 대안 조건은 배터리 레벨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루션 1의 경우,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 미만이고/이거나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임계치는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0 %는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었음을 의미하고 0 %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또는 특정 타입/관련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시스템의 관점에서 유리하고 배터리 수명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은 충전/교체될 때까지 지속하기에 충분하다고 간주된다). 반면,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가장 관련이 있거나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보내지 말고 배터리 전원을 유지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배터리 레벨이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관련된/중요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최종 기회를 이용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짧은 시간 프레임 내에 디바이스 배터리의 전력이 거의 다 떨어지려고 할 때,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예를 들어, "난 여기에 있고 내 배터리가 다 되어 가고 있다(I am located here and my battery is dying)"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배터리가 제2 임계치를 초과하면 위치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을 것이다.
도 10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1을 도시하는 제3 흐름도(1000)이다. 흐름도(1000)는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202), 모뎀(204), 및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10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MMI(Man Machine Interface)가 될 수 있다. 모뎀(204)은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알고있다. 애플리케이션(202)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정보 또는 상태에 대한 질의(206)를 모뎀(204)에 전송하고 모뎀(204)으로부터 상태 보고(208)를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2)은 또한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1002)에 질의(1008)를 전송하고, 배터리 레벨 또는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1010)을 수신할 수 있다. 상태 보고(208) 및 응답(1010)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202)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이 1, 2 또는 3이고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 미만 및 제2 임계치 초과인 경우에 애플리케이션(202)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2)과 모뎀(204) 사이 및 애플리케이션(202)과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1002) 사이의 질의/상태 상호 작용은 임의의 순서로(즉,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1002)에 먼저 질의한 후, 모뎀(204)에 질의하거나 아니면 그 반대임),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솔루션 2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명령어 및 관련 데이터를 모뎀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는 "(1)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지 않거나 (2) 모뎀이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고 배터리 레벨이 80% 초과 또는 5% 미만이라면, 이 데이터를 전송하라"일 수 있다. 모뎀은 배터리 레벨 정보를 얻기 위해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에 질의를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로부터의 배터리 레벨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명령어에 따라 모뎀이 송신 제한을 그에 맞게 적용할 것이다.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로의 질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는 "배터리 레벨이 5 % 미만인가" 또는 "배터리 레벨을 제공하라"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로부터의 응답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임계치에 대한 상태,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 또는 배터리 레벨이 제2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은 또한 절대 배터리 레벨, 예를 들어 전압, 전류 또는 전하(쿨롱 단위)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모바일-발신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 또는 대안 조건
솔루션 1 및 2에 대한 추가 조건 또는 대안 조건은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루션 1의 경우,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는 디바이스는 전력 소비가 문제가 되지 않는 전원 콘센트에 디바이스가 플러그인되어 있다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다. 배터리 레벨을 질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뎀은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에 질의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의 송신 제한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데이터 타입, QoS,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 미리 정의된 시도 횟수, 디바이스 위치/속도, 배터리 레벨, 및/또는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합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들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1에 대한 제3 예시적인 방법(11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1100)은 무선 커버리지 정보, 디바이스 속도 정보, 배터리 레벨,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방법(1100)은 블록(11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에 관하여 AT 커맨드를 사용하여 모뎀에 질의하고,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에 디바이스의 속도를 질의하고,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에 배터리 레벨 및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질의한다. 블록(1102)은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정보를 가진 경우 선택적이다. 블록(1104)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배터리 레벨, 위치/속도 정보, 및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블록(1106)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비-긴급 위치 정보와 관련이 있다면, 모뎀 또는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다면,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면(또는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 아니고 하나의 메시지가 이미 현재 위치에서 전송되었다면),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다면, 그리고 배터리 레벨이 하나의 임계치를 초과하고 다른 임계치 미만이라면, 애플리케이션은 한 시간 동안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4 예시적인 방법(1200)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방법(1200)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디바이스 속도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방법(1200)은 블록(12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데이터를 모뎀에 전송하고 명령어에 지정된 조건에 따라 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한다. 블록(1204)에서, 모뎀은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고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면, 애플리케이션은 한 시간 동안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할 수 있고, 모뎀은 그에 따라 송신 제한을 적용할 것이다.
도 13은 일부 구현들에 따라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솔루션 2에 대한 제5 예시적인 방법(13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1200)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디바이스 속도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방법(1300)은 블록(13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포트 0로부터 오는 임의의 장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한다. 블록(1304)에서, 모뎀은 명령어에 따라 포트 0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1, 2 또는 3에 있고 디바이스가 이동 중이라면, 애플리케이션은 한 시간 동안 포트 0으로부터 데이터에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모뎀에 명령할 수 있고, 모뎀은 이에 따라 송신 제한을 적용할 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디바이스, 디바이스 상위층 또는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서의 송신 제한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관해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제한이 허용되는 경우,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송신 제한의 조건과 연관된 파라미터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송신 제한이 허용되는지 여부, 송신 제한에 대한 시간 주기, 송신 제한에 영향을 받는 데이터 타입, 송신 제한과 관련된 배터리 레벨 등과 같은 파라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네트워크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송신 제한을 적용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솔루션 1 및 2에서 송신 제한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방법은 디바이스에서 구성 파라미터를 미리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 파라미터는 디바이스 제조업체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바이스는 또한 네트워크로부터의 시그널링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송신 제한을 위한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트래픽의 QoS 클래스 또는 트래픽이 속한 논리 채널 또는 무선 베어러를 기반으로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방법은 디바이스 동작이 산업 표준을 따르도록 산업 표준의 구성 파라미터를 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GPP 표준은 "디바이스가 CE 레벨 1, 2 및 3에 있지 않은 경우에만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라"와 같은 문장을 포함함으로써 송신 제한에 대한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제3 방법은 네트워크가 구성 파라미터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이다. 커버리지가 개선될 때까지 데이터 송신을 억제하는 것은 트래픽 QoS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는 주어진 QoS를 보장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특정 트래픽(또는 QoS)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주어진 조건 집합이 언제 사용될 수 있는지 네트워크가 제어하고 싶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신 제한은 일부 QoS 클래스에는 적용되지만 다른 QoS 클래스에는 적용될 수 없다. 경우에 따라 일부 애플리케이션에는 송신 제한이 적용될 수 있지만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는 적용될 수 없다.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또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송신 제한들에 관련된 구성 파라미터들을 디바이스(예를 들어, 포인트-투-포인트 시그널링 또는 포인트-투-멀티 포인트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한 AS(Access Stratum) 레벨 또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로 전송하여, 디바이스에서 송신 제한 기능이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고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또한 USAT(USIM application toolkit) 애플리케이션 또는 OMA(Open Mobile Alliance) DM(device management)을 통하여 구성 파라미터를 또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에 대해 다음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에 대해 배터리 레벨을 고려한다(예/아니오)(즉, 업링크 데이터 송신 제한을 위해 배터리 레벨을 고려할지 여부에 대해 네트워크가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음),
● 배터리가 90 % 미만으로 충전되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을 허용한다(예/아니오),
● 배터리가 10 % 초과로 충전되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을 허용한다(예/아니오),
●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을 위하여 디바이스가 주 전원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한다(예/아니오),
●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을 위해 미리 정의된 위치 영역을 사용한다(예/아니오),
●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을 위해 정의된 위치 영역의 리스트를 사용한다(예/아니오),
●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3에 있는 경우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디바이스가 확장된 커버리지 레벨 2 또는 3에 있는 경우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최대 한 시간 동안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3 시간 동안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최대로 유지(hold)하면서,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최대 5 개의 메시지에 대한 주기적 위치 정보 보고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특정(표시된) 트래픽 클래스(또는 QoS 클래스 또는 무선 베어러/논리 채널/논리 채널 그룹)에 매핑된 트래픽에 대하여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된다(예/아니오),
● 특정(표시된) 트래픽 클래스(또는 QoS 클래스 또는 무선 베어러/논리 채널/논리 채널 그룹)에 대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되지 않는다(즉, 그러한 데이터는 다른 조건에 관계 없이 즉시 전송되어야 한다),
● 주어진 트래픽 클래스에 대한 최대 지연 제한.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서 송신 제한에 관련된 구성 파라미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NB-IoT UE의 경우 LTE NAS 계층 3 프로토콜(3 GPP TS 24.301 참조)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메시지가 NAS(Non-Access Stratum) 레벨에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로부터 디바이스로 Tracking Area Accept 메시지 또는 Attach Accept 메시지에 구성 파라미터가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UE를 향해 네트워크 내의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 또는 SCEF(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로부터 오는 다운링크 메시지를 수반하는 EPS 베어러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를 사용하여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IE(information element)에서 구성 파라미터가 추가될 수 있다. PCO IE를 운반하는 다운링크 메시지를 수반하고 PCO IE의 컨텐츠를 향상시킨 후에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절차는, EPS 베어러 컨텍스트 비활성화 절차, EPS 베어러 컨텍스트 수정 절차, PDN 접속 거부 절차, 베어러 리소스 할당 거부 절차 및 베어러 리소스 수정 거부 절차이다. Activate Default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 ESM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 및 Modify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와 같은 다운링크 메시지가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GSM의 경우 3GPP TS 24.008의 메시지(예를 들어, Routing Area Accept 메시지, 또는 Attach Accept 메시지)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PCO IE가 다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운링크 GSM 메시지, 예를 들어, Activate PDP Context Accept 메시지, Activate Secondary PDP Context Reject 메시지, Request PDP Context Activation 메시지, Modify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 Modify PDP Context Accept 메시지, 및 Modify PDP Context Reject 메시지로 또한 전송되기 때문이다.
도 17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IE 또는 필드를 도시한다. IE 또는 필드(1700)는 송신 제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 또는 필드(1700)는 다음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표시(Data Sending Indication) 값
UDRA(Uplink Data Restriction Allowed)
비트
2 1
0 0 정보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
0 1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허용되지 않는다
1 0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1, 2 또는 3에 있다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최대 한 시간 동안 허용된다
1 1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1, 2 또는 3에 있다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이 최대 두 시간 동안 허용된다
도 18a-18d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Attach Accept 메시지에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8a-18d는 3GPP TS 24.301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을 도시하며(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 여기서 송신 제한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적용된다. 예를 들어, 3GPP TS 24.301은 다음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도 18a에 도시됨):
만일 ATTACH ACCEPT 메시지가 Data Sending Indication IE를 포함하면, 이것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 제한을 적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 및 어느 기간 동안인지 UE에 표시한다.
3GPP TS 24.301은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또한 도 18C에 도시됨), Attach Accept 메시지에 데이터 전송 표시의 새로운 IE를 포함할 수 있다.
ATTACH ACCEPT 메시지 내의 데이터 전송 표시 IE
IEI 정보 엘리먼트 타입/참조 존재 포맷 길이
x- 데이터 전송 표시 데이터 전송 표시 O TV 1
3GPP TS 24.301은 도 18c-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표시 IE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Attach Accept 메시지에서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c-18d에서 논의된 IE 데이터 전송 표시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3GPP TS 24.301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를 도시하고, 여기서 송신 제한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 배터리 레벨,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지 여부 및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20a-20h는 일부 구현들에 따라 Activate Default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서 송신 제한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설명을 나타낸다. 3GPP TS 24.301로부터 Activate Default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도 20C에 도시됨)의 IE Extended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이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장된 프로토콜 구성 옵션의 컨텐츠가 3GPP TS 24.008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도 20d-20h는 3GPP TS 24.008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을 도시한다(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 예를 들어, 도 20G는 구성 프로토콜이 새로운 파라미터 리스트 "0017H(Uplink Data Restriction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0g-20h는 업링크 데이터 제한 표시의 새로운 파라미터 리스트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하며, 여기서 송신 제한은 무선 커버리지 상태,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 배터리 레벨, 디바이스가 이동 중인지 여부 및 디바이스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다른 다운링크 메시지가 송신 제한의 구성 파라미터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투-포인트 시그널링 또는 포인트-투-멀티 포인트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한 Access Stratum 레벨의 메시지. 경우에 따라, 디바이스가 RRC 유휴 모드에 있을 때, SIB 메시지는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디바이스가 RRC 접속 모드에 있을 때, RRCConnectionSetup,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또는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송신 제한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RRC IE를 도시한다. 도 21은 새로운 IE가 포함될 수 있는 3GPP TS 36.331에 대한 예시적인 변경을 나타낸다(변경은 밑줄이 그어져 있음). 도 21은 새로운 IE UL-DataRestrictions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을 도시하며, 여기서 송신 제한은 배터리 레벨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특정 논리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IE UL-DataRestrictions는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다음 RRC IE: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radioResourceConfigCommon 또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2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Home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위한 USAT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링크 메시지가 송신 제한의 구성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U)SIM에 저장되고 3GPP TS 31.102에 지정된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a-21 및 도 24a-2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코딩이 사용될 수 있다. GSM/GPRS/LTE 또는 다른 3GPP 시스템이 아닌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디바이스/애플리케이션에 명령할 수 있다:
● 업링크 메시지 송신을 억제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
● 억제할지 여부에 대한 유효성(validity) 조건(억제하기로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속 시간 및/또는 메시지의 수).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특정 채널에 대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반복 횟수와 비교될 수 있는 반복 횟수 임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업링크 메시지(들)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업링크 메시지와 연관된 어느 QoS가 업링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
● 배터리 레벨의 추가 조건이 적용되는지 여부. 이것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할 배터리 임계치는 무엇인지.
도 22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220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2200)는 프로세싱 모듈(2202), 유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4) 및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6)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6)은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고 디바이스로부터의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6)은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4)은 백홀 접속을 통해 다른 액세스 노드 디바이스들 간에 제어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2202)은 여기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구현과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스, 단계 또는 동작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컴포넌트(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2202)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보조 저장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일시적 저장 매체)와 같은 다른 보조 컴포넌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2202)은 유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4) 또는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206)을 사용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 명령어들 및 커맨드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이 네트워크 노드(2200)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도 23은 일부 구현들에 따른 예시적인 UE 디바이스(230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예시적인 디바이스(2300)는 프로세싱 유닛(230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304)(예를 들어,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306), 인터페이스(2308), 및 I/O 인터페이스(2310)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2302)은 여기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구현과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스, 단계 또는 동작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컴포넌트(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2)은 또한 RAM 및 ROM과 같은 다른 보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304)는 디바이스(2300)의 운영 체제(OS) 및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단계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컴퓨터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일시적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UE)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유형의(tangibl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여기에 개시된다.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306)은 프로세싱 유닛(2302)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위한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2306)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 수신기, 송신기, 국부 발진기, 믹서 및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서브 시스템(2306)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서브 시스템들(2306) 내의 수신기들은 사전 수신기(advance receiver) 또는 베이스라인 수신기(baseline receiver)일 수 있다. 2 개의 수신기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상이한 수신기 처리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308)는 예를 들어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키패드, 트랙볼,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310)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숙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가 또한 예시적인 디바이스(23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당업자는 유사한 프로세스가 모바일 종착(mobile terminated) 메시지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SCS(Service Capability Server)는 디바이스의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SCS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모바일 종착 메시지를 셀룰러 네트워크를 향해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업링크의 경우에 나열된 것과 유사한 기준을 고려할 수 있다. 기준은 예를 들어 데이터 타입, QoS 표시자, 우선 순위 레벨, 타이머 만료, 카운터 임계치, 배터리 레벨 및 UE 이동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SCS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커버리지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모바일 종착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에 질의하거나, 무선 커버리지 상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SCS에 통보되도록 셀룰러 네트워크 상의 이벤트를 구성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히스테리시스가 보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질의 및 이벤트 구성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SCS와 SCEF[3GPP TS 23.682] 사이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SCEF는 결국 T6a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또는 T6b 인터페이스를 통해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으로부터 디바이스의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MME는 결국 BTS, 노드 B, 또는 진화된 노드 B(eNB)로부터 또는 UE로부터의 시그널링을 통해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통보받을 수 있다. 무선 커버리지 상태에 대한 최신 정보는 UE가 접속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만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UE가 유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기간 동안, 셀룰러 네트워크는 아마도 그 정보가 획득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와 함께 최후에 알려진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리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수행되거나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현에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모든 구현들에서 그러한 분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기술된 프로그램 컴포넌트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신호 소프트웨어 제품에 함께 통합되거나 여러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구현들에서 별개이거나 분리된 것으로 설명되고 예시된 기술, 시스템, 서브 시스템 및 방법은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결합되거나 직접 결합되거나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논의된 다른 항목은 전기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중간 컴포넌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통신될 수 있다. 변경(change), 대체(substitution) 및 교체(alternation)의 다른 예는 당업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고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현들들에 적용된 본 개시의 기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지적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세부 사항들에서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방법 단계들의 순서는 청구범위에 나타나는 순서에 의해 암시되지 않는다.

Claims (20)

  1.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뎀으로부터 무선 커버리지 상태(radio coverage condition)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모뎀을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뎀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클래스, 또는 커버리지 확장 모드의 집합(set) 중 하나에 있거나, 상기 UE에서의 데이터 반복 표시자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threshold)를 초과하거나, 상기 UE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상기 UE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은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QoS(Quality of Service) 표시자, 미리 정의된 우선 순위 레벨, 또는 미리 정의된 비트 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미리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카운터가 미리 정의된 카운터 임계치에 도달한 것;
    상기 UE가 이동 중인 것;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보다 높은 것;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2 임계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UE가 전원 콘센트(power outlet)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확장 모드, 커버리지 클래스, 데이터 반복 표시자(indicator),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위치 센서 또는 상기 가속도계로 전송되는 질의(query)에 응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로부터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상기 제1 임계치보다 높거나 상기 제2 임계치보다 낮은지 여부, 또는 상기 UE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운영 체제,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배터리 센서로 전송되는 질의에 응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에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UE가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모뎀으로 전송되는 질의에 응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한 질의는 제1 AT(attention) 커맨드로 전달(convey)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제2 AT 커맨드로 전달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커버리지 상태가 변할 때 상기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모뎀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사용자 장비(UE)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뎀으로부터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사용자 장비(UE)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모뎀을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며;
    상기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뎀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UE가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클래스, 또는 커버리지 확장 모드의 집합 중 하나에 있거나, 상기 UE에서의 데이터 반복 표시자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UE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상기 UE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은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QoS 표시자, 미리 정의된 우선 순위 레벨, 또는 미리 정의된 비트 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미리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카운터가 미리 정의된 카운터 임계치에 도달한 것;
    상기 UE가 이동 중인 것;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보다 높은 것;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2 임계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UE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확장 모드, 커버리지 클래스, 데이터 반복 표시자,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UE의 위치 센서 또는 가속도계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UE의 운영 체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배터리 센서로부터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보다 높거나 제2 임계치보다 낮은지 여부, 또는 상기 UE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16.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UE)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유형의(tangibl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뎀으로부터 무선 커버리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사용자 장비(UE)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모뎀을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가 확장된 커버리지 상태에 있다고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하는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UE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뎀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UE가 미리 정의된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클래스, 또는 커버리지 확장 모드의 집합 중 하나에 있거나, 상기 UE에서의 데이터 반복 표시자가 미리 정의된 반복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UE에서의 신호 강도가 미리 정의된 신호 강도 임계치보다 낮거나, 상기 UE에서의 신호 품질이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치보다 낮은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QoS 표시자, 미리 정의된 우선 순위 레벨, 또는 미리 정의된 비트 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미리 정의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카운터가 미리 정의된 카운터 임계치에 도달한 것;
    상기 UE가 이동 중인 것;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1 임계치보다 높은 것;
    상기 UE의 배터리 레벨이 제2 임계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UE가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인되어 있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때,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인,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커버리지 확장 레벨, 커버리지 확장 모드, 커버리지 클래스, 데이터 반복 표시자, 신호 강도, 또는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7025114A 2017-01-30 2018-01-30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제어 KR102399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19,321 US10070393B2 (en) 2017-01-30 2017-01-30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US15/419,321 2017-01-30
PCT/EP2018/052305 WO2018138382A1 (en) 2017-01-30 2018-01-30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300A KR20190112300A (ko) 2019-10-04
KR102399407B1 true KR102399407B1 (ko) 2022-05-17

Family

ID=6114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114A KR102399407B1 (ko) 2017-01-30 2018-01-30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제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6) US10070393B2 (ko)
EP (2) EP3972354B1 (ko)
JP (1) JP7116069B2 (ko)
KR (1) KR102399407B1 (ko)
CN (1) CN110521244B (ko)
CA (1) CA3051723A1 (ko)
ES (1) ES2907754T3 (ko)
FI (1) FI3972354T3 (ko)
MX (1) MX2019008876A (ko)
WO (1) WO2018138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2245A1 (en) 2012-04-25 2015-03-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US10313925B2 (en) * 2014-03-12 2019-06-04 Beartooth Radio, Inc. Long-rang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using LoRa modulation and sensitivity-enhancing buffering techniques
WO2016048045A1 (en) 2014-09-23 2016-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able downlink subframes for low cos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00054B1 (en) 2016-01-08 2020-10-28 Cardiac Pacemakers, Inc. Syncing multiple sources of physiological data
WO2017120560A1 (en) 2016-01-08 2017-07-13 Cardiac Pacemakers, Inc. Obtaining high-resolution information from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CN108472491B (zh) * 2016-01-08 2021-10-15 心脏起搏器股份公司 渐进式自适应数据传输
US10070393B2 (en) 2017-01-30 2018-09-04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CN107104908B (zh) * 2017-04-25 2020-10-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20180324869A1 (en) * 2017-05-04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early data transmission
CN110622580B (zh) * 2017-05-05 2023-07-11 苹果公司 NB-IoT/MTC的绝对功率控制容差
WO2019027262A1 (en) * 2017-08-02 2019-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PLANNING INFORMATION RECEIVING EQUIPMENT, TERMINAL,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US11172486B2 (en) * 2017-08-09 2021-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an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MX2020002868A (es) * 2017-09-13 2020-10-01 4Morr Entpr Ip Llc Un sistema y metodo para efectuar la transmisión de datos de un detector de humo desde un detector de humo.
US11153142B2 (en) * 2017-11-30 2021-10-19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US11057882B1 (en) * 2018-04-03 2021-07-06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tting fram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0952094B2 (en) * 2018-04-09 2021-03-16 Mediatek Inc. AT commands for 5G QoS management
US11323948B2 (en) * 2018-07-24 2022-05-03 T-Mobile Usa, Inc. Device management for NB-IoT devices
CN110933715B (zh) * 2018-09-20 2021-11-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获取及提供定位辅助数据的方法、装置及设备
ES2966921T3 (es) * 2018-10-30 2024-04-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nfiguración de recursos, dispositivo de red y dispositivo terminal
WO2020098907A1 (en) * 2018-11-12 2020-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methods therein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of uplink data
WO2020098913A1 (en) * 2018-11-13 2020-05-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for radio carrier analyzation
US11122442B2 (en) * 2018-12-11 2021-09-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nsferring coverage enhancement information from terminal adapter to terminal equipment
EP3888386B1 (en) * 2019-02-15 2023-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e for handling ul nas transport message fail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399274B2 (en) * 2019-04-04 2022-07-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btaining 5G or next generation network dual connectivity mobile device communication-related operating information
CN113826442A (zh) * 2019-05-13 2021-12-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连接配置变化
CN112020150B (zh) * 2019-05-31 2022-04-2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调度方法及装置、网络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0248400B (zh) * 2019-06-17 2021-11-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752241B (zh) * 2019-10-31 2022-11-11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eMTC终端的覆盖模式切换方法和装置
CN113498037B (zh) * 2020-04-01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V2x通信方法和装置
US20210329535A1 (en) * 2020-04-15 2021-10-21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de)activating coverage enhancement on a user equipment (ue) based on a location of the ue
US11251888B1 (en) 2020-12-18 2022-02-15 Itron, Inc. Preserving battery life in poor signal conditions using RF link analysis
US11638215B2 (en) 2020-12-18 2023-04-25 Itron, Inc. Techniques for preserving battery life in poor signal conditions using cellular protocol information
EP4135381A1 (en) 2021-08-09 2023-02-15 Nokia Technologies Oy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for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network
US11956732B2 (en) * 2021-09-28 2024-04-09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 cancellation for energy-limited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6942A1 (en) * 2015-07-23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91B1 (ko) 1999-02-13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송신제어장치 및 방법
EP1969774A2 (en) * 2005-12-16 2008-09-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obility middleware architecture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apparatus
WO2007078663A2 (en) 2005-12-16 2007-07-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obility middleware architecture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apparatus
US8873474B2 (en) * 2008-10-17 2014-10-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obile terminal providing priority-based 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KR101114883B1 (ko) * 2010-02-16 2012-02-27 이강원 절전 및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자전거용 휴대형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 방지 시스템
KR101830738B1 (ko) * 2011-02-22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802243A (zh) * 2011-05-24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载波配置的方法及系统
EP2579522B1 (en) * 2011-10-05 2018-05-30 BlackBerry Limited Wireless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049657B2 (en) * 2011-11-11 2015-06-02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user equipment state transition
US10154483B2 (en) * 2012-09-12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Coverage enhancement techniqu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N105052044B (zh) * 2012-11-15 2019-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9499995B2 (en) * 2013-08-08 2016-11-22 Intel IP Corporation Coverage extension level for coverage limited device
EP2836029A1 (en) * 2013-08-09 2015-02-11 Alcatel Lucent Radio coverage enhancement employing message repetition
US9667386B2 (en) * 2013-11-13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s for coverage enhancements
US9535490B2 (en) * 2013-12-16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techniques in computing devices
ES2742039T3 (es) * 2014-01-30 2020-02-12 Alcatel Lucent Técnicas de comunicación que usan un régimen de repetición en una región de cobertura mejorada
EP2903227B1 (en) * 2014-01-30 2018-10-17 Sony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CN107113137B (zh) * 2014-10-30 2020-09-29 Lg 电子株式会社 通过mtc设备的pucch发送方法
US10374677B2 (en) * 2014-11-04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nel-related feedback and apparatus for same
EP3217714B1 (en) * 2014-11-07 2019-09-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network coverage enhanc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9860294B2 (en) * 2014-12-24 2018-01-02 Intel Corporation Media content streaming
US10516517B2 (en) * 2015-01-29 2019-12-24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 of frequency hopping for UEs with reduced bandwidth support
US9930700B2 (en) 2015-04-21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random access initial power level selection
US10143013B2 (en) * 2015-10-02 2018-11-27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UE) coverage enhancement level definition, selection and allocation
CN105848258A (zh) * 2016-01-27 2016-08-10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在具有至少两个通信链路的通信设备上的通信方法和装置
CN105792339A (zh) * 2016-03-03 2016-07-20 上海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节点低功耗设计方法
US10070393B2 (en) 2017-01-30 2018-09-04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uplink data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6942A1 (en) * 2015-07-23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56979A1 (en) 2024-02-15
KR20190112300A (ko) 2019-10-04
EP3574686A1 (en) 2019-12-04
US11395233B2 (en) 2022-07-19
US20220346023A1 (en) 2022-10-27
US10405279B2 (en) 2019-09-03
JP7116069B2 (ja) 2022-08-09
EP3972354B1 (en) 2024-03-27
CN110521244B (zh) 2022-08-12
US20190357147A1 (en) 2019-11-21
JP2020505858A (ja) 2020-02-20
US20180220373A1 (en) 2018-08-02
US20180376427A1 (en) 2018-12-27
ES2907754T3 (es) 2022-04-26
US20210037475A1 (en) 2021-02-04
CA3051723A1 (en) 2018-08-02
US10834677B2 (en) 2020-11-10
EP3574686B1 (en) 2021-12-01
WO2018138382A1 (en) 2018-08-02
US11832190B2 (en) 2023-11-28
CN110521244A (zh) 2019-11-29
US10070393B2 (en) 2018-09-04
EP3972354A1 (en) 2022-03-23
MX2019008876A (es) 2021-10-26
FI3972354T3 (fi)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407B1 (ko)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제어
US10796501B2 (en) Interactive sharing of vehicle sensor information
US10420017B2 (e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EP2979495B1 (e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CA2844411C (en) Extended access barring
US20110310731A1 (en) Controlling network resource usage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EP2807761A1 (en) Extended access barring (eab) signaling for a core network (cn) and node
EP34373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communication modes for v2x services
CN111971999B (zh) 针对无线环境中的接收受限用户设备的支持
CN111432457A (zh)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