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326B1 -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326B1
KR102399326B1 KR1020200118988A KR20200118988A KR102399326B1 KR 102399326 B1 KR102399326 B1 KR 102399326B1 KR 1020200118988 A KR1020200118988 A KR 1020200118988A KR 20200118988 A KR20200118988 A KR 20200118988A KR 102399326 B1 KR102399326 B1 KR 10239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exercise
pegboard
display
pe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7021A (en
Inventor
조성민
박정택
조영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바인
Priority to KR102020011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326B1/en
Publication of KR2022003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3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574Connections between board and playing pieces
    • A63F3/00634Sliding connections, e.g. playing pieces sliding in a groov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63F2003/00662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with an electric sensor for playing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일체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커넥터, 페그보드, 리치바(reach bar) 및 핀치바(pinch bar)를 포함하는 보드판; 및 1) 상기 보드판과 결합되어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고, 2)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활훈련 미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복수의 단위 모듈들을 통해 페그의 삽입 또는 이탈을 검출하는 페그보드 모듈, 상기 리치바의 이동을 검출하는 리치바 모듈 및 상기 핀치바의 회전을 검출하는 핀치바 모듈을 포함하며, 3)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페그보드 모듈, 상기 리치바 모듈 및 상기 핀치바 모듈을 제어하여 재활운동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메인보드;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e display; a display connector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ing the display, a peg board, a board plate including a reach bar and a pinch bar; And 1) is combined with the board plate to form an external housing, 2) a display module that provides a rehabilitation mission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connector, a peg board module that detects insertion or detachment of a peg throug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 a rich bar module detecting movement of the reach bar and a pinch bar module detecting rotation of the pinch bar, 3) controlling the display module, the pegboard module, the rich bar module, and the pinch bar module a main board operable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to the display; includes

Description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화된 페그보드를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재활운동 미션을 제공하여 재활운동의 집중도를 높이고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that can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provid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using an advanced pegboard. It's about the device.

뇌졸중 등으로 인하여 재활훈련이 필요한 환자들에 대하여, 기존의 재활훈련은 전문 치료인력이 갖추어진 의료시설에서 재활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상지 재활훈련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존의 페그보드는 훈련을 수행하는 환자의 상지 근력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에 해당하는 반면, 기존의 페그보드를 이용한 재활훈련은 페그 및 보드의 형태가 정해진 바에 따라서만 훈련이 수행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그에 더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반복적인 훈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재활훈련을 수행하는 환자가 흥미와 재미를 느끼기 힘든 한계도 여전히 존재한다.For patients in need of rehabilitation training due to stroke, the existing rehabilitation training was generally performed using rehabilitation tools in a medical facility equipped with professional treatment personnel. In particular, while the existing pegboard used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aining corresponds to an effective means for strengthening the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 performing the training, rehabilitation using the existing pegboard is There is a limit that only training can be performed, and in addition, there is still a limit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to feel interest and fun because repetitive training is performed in a limited space.

이러한 고식적인 재활훈련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이용한 재활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도 그 중 하나이지만 페그보드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의 고도화 역시 필요한 상황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uch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nd one of them is a study on a rehabilitation treatment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VR), but it is also necessary to upgrade th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a pegboard situ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0832810호 (2008.05.2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2810 (2008.05.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도화된 페그보드를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재활운동 미션을 제공하여 재활운동의 집중도를 높이고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ve exercise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using an advanced pegboard to provide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체계적인 재활훈련 데이터의 획득 및 관리가 가능하고, 재활훈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적확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enables systematic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and enables accurate treatment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재활훈련을 가능하게 하여 재활훈련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an enhance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by enabling the user to perform various rehabilitation exercises.

실시예들 중에서,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일체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커넥터, 페그보드, 리치바(reach bar) 및 핀치바(pinch bar)를 포함하는 보드판; 및 1) 상기 보드판과 결합되어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고, 2)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활훈련 미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복수의 단위 모듈들을 통해 페그의 삽입 또는 이탈을 검출하는 페그보드 모듈, 상기 리치바의 이동을 검출하는 리치바 모듈 및 상기 핀치바의 회전을 검출하는 핀치바 모듈을 포함하며, 3)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페그보드 모듈, 상기 리치바 모듈 및 상기 핀치바 모듈을 제어하여 재활운동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메인보드; 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includes a display; a display connector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ing the display, a peg board, a board plate including a reach bar and a pinch bar; And 1) is combined with the board plate to form an external housing, 2) a display module that provides a rehabilitation mission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connector, a peg board module that detects insertion or detachment of a peg throug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 a rich bar module detecting movement of the reach bar and a pinch bar module detecting rotation of the pinch bar, 3) controlling the display module, the pegboard module, the rich bar module, and the pinch bar module a main board operable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to the display; includes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유선형 또는 무선형 커넥터로 구현되고, 상기 유선형 커넥터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형 커넥터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와 무선으로 연동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connector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or wireless connector, and in the case of the wired connector, a charging function for the display may be provided, and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onnector, a wireless interface that wirelessly interworks with the display may be provided.

상기 페그보드는 복수의 페그 삽입홈들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페그 삽입홈들은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결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 각각은 다면체 구조로 형성된 제1 삽입홈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g board is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eg insertion grooves, the plurality of peg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in a matrix form,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is formed in a polyhedral structure It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or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상기 리치바(reach bar)는 상기 페그보드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의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The reach bar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pegboard, and a sliding range may be limited by sliding grooves formed along edges of both ends.

상기 핀치바는 상기 페그보드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가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inch bars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peg board in an aligned state.

상기 핀치바는 상기 정렬된 상태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nch ba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peration button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aligned state.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 각각은 해당 페그 삽입홈에 대해 상기 페그의 삽입 또는 이탈을 자동인식하는 자동인식 센서 및 상기 해당 페그 삽입홈에 관한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may include an automatic recognition sensor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insertion or separation of the peg into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and a light source sensor for providing a guide light source for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상기 광원 센서는 상기 해당 페그 삽입홈의 내부 또는 인근에서 상기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인근의 경우 소정의 반경마다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상기 가이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sensor provides the guide light source inside or near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and in the case of the vicinity, the guide light sourc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different color for at least one light source area defined for each predetermined radius is provided can do.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을 통해 상기 재활훈련 미션에 동기화된 가이드 광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board may control to provide a guide light source synchronized to the rehabilitation mission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상기 메인보드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치료보고서를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치료보고서를 해당 사용자와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The main board may share the treatment report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with an external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store the treatment report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through a database.

상기 메인보드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재활훈련 미션의 종류 및 난이도를 추천할 수 있다.The main board may record the training data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 the type and difficult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most suitable for the user.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방향별 반응시간, 속도, 가속도 및 떨림을 관절 부위 별로 학습하여 사용자별 재활운동 미션을 추천하는 제1 계산 엔진을 구축할 수 있다.The main board may build a first calculation engine that recommend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each user by learning the reaction time, speed, acceleration, and tremor for each direction regard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for each joint part based on the training data.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페그보드 상에서 정의되는 복수의 훈련 영역들 각각의 활동 점수를 결정하여 상기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활동맵을 생성하고, 상기 활동맵의 패턴을 학습하여 상기 활동 점수가 가장 낮은 훈련 영역을 보완하는 사용자별 재활운동 미션을 추천하는 제2 계산 엔진을 구축할 수 있다.The main board determines an activity score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ining areas defined on the pegboard based on the training data to generate an activity map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and learns a pattern of the activity map to learn the activity It is possible to build a second calculation engine that recommend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each user that complements the training area with the lowest scor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는 고도화된 페그보드를 이용하여 수행 가능한 재활운동 미션을 제공하여 재활운동의 집중도를 높이고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using an advanced pegboard, there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는 체계적인 재활훈련 데이터의 획득 및 관리가 가능하고, 재활훈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적확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nable systematic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and enable accurate treatment based 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운동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에서 수행되는 재활운동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of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performed in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페그보드는 재활훈련이 필요한 환자 등이 손가락이나 팔에 대한 재활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구멍이 뚫린 보드판에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만들어진 페그들을 꽂는 연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 소근육 훈련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보드판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페그보드는 환자들의 재활훈련을 보조하여 공간감각이나 집중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도화된 페그보드를 재활운동 미션과 함께 제공하여 재활운동의 집중도를 높이고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재활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egboard may correspond to a device used for rehabilitation of a finger or arm by a patient who needs rehabilitation training. For example, the patient can repeatedly practice inserting peg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on a perforated board, and through this, he can practice eye-hand coordination and fine muscle training. In this case, the board may be implemented with wood or plastic. The pegboard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patial sense and concentration by assisting patients in rehabilitation train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by providing an advanced pegboard together with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4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에서,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보드판(120) 및 메인보드(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FIG. 1 ,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display 110 , a board plate 120 , and a main board 130 .

디스플레이(110)는 재활훈련 미션에 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물리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보드판(120)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보드판(120)의 구조에 대응되어 설계된 전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으로 대체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전용 장치 이외에 상용화된 제품들과의 연동을 위한 물리적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에 직접 연결하여 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보드판(120) 또는 메인보드(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110 may correspond to a physic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screen capable of reproducing an image or an image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mission. The display 110 may be operated by being coupled to the board 120 ,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edicated device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the board 120 . In addition, the display 110 may be replaced with a user's smartphone or tablet to operate. That is, 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hysical connector for interworking with commercialized products in addition to the dedicated device, and the user connects his/her smartphone to 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carried out directly by connecting to Meanwhile, th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board 120 or the main board 130 .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AR/VR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상현실(VR) 공간 또는 증강현실(AR) 공간 상에서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재활훈련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110 may include an AR/VR terminal provid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That is, the user may perform a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provided by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in a virtual reality (VR) space or an augmented reality (AR) space.

보드판(120)은 메인보드(130)와 상하로 결합하여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보드판(120)은 외부 하우징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보드(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드판(120)은 디스플레이(110)와 분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110)를 일체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커넥터(도면에 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ard plate 120 may be vertically combined with the main board 130 to form an external housing of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00 . That is, the board plate 120 may be formed in a plate-shaped structure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outer hou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ard 130 . The board 120 may be separately coupled to the display 110 , and as a configuration for this, a display connector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ing the display 110 may be included.

즉,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보드판(120의 내부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고, 메인보드(130)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결합홈(121)을 통해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connector may be formed to be included in the board plate 12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110 through the display coupling groove 121 formed in the main board 130 .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유선형 또는 무선형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유선형 커넥터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무선형 커넥터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디스플레이(110)와 무선으로 연동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유선형 및 무선형 커넥터를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connector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or wireless connector. If implemented as a wired connector, the display connector may provide a charging function for the display 110 while connected to the display 110 . If implemented as a wireless connector, the display connector may provide a wireless interface that wirelessly interworks with the display 110 . Mean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isplay connector may include both a wired type and a wireless type connector.

또한, 보드판(120)은 사용자의 재활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보드판(120)은 페그보드(122), 리치바(reach bar)(123) 및 핀치바(pinch bar)(12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 12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various configurations for supporting the user's rehabilitation training. That is, the board plate 120 may include a peg board 122 , a reach bar 123 , and a pinch bar 124 .

도 2에서, 페그보드(122)는 다양한 페그(peg)(140)들을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하여 형성된 삽입판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환자들은 페그(140)들을 페그보드(122)에 형성된 홈들에 삽입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특정 신체부위 및 근육에 대한 재활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페그보드(122)는 페그(140)의 형상에 맞춰 형성되는 복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홈들의 크기, 위치 및 구성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In FIG. 2 , the peg board 122 may correspond to an insertion plate formed including a groove into which various pegs 140 may be inserted. That is, the patients can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specific body parts and muscles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pegs 140 into the grooves formed on the peg board 122 . The pegboard 1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peg 140 , and the size,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grooves may be variously combined.

일 실시예에서 페그보드(122)는 복수의 페그 삽입홈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페그 삽입홈들은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결과로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 각각은 다면체 구조로 형성된 제1 삽입홈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g board 122 may be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eg insertion groove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eg insertion grooves may be forme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in a matrix form (see FIG. 2 ).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polyhedral structure or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예를 들어, 도 2에서,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 각각은 정사각형 구조로 형성된 제1 삽입홈(220), 원형 구조로 형성된 제2 삽입홈(230) 및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된 제3 삽입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홈(220)은 제2 삽입홈(230)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 삽입홈(230)은 제1 삽입홈(220)의 우측에 형성되며, 제3 삽입홈(240)은 제1 및 제2 삽입홈들의 하단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페그 삽입홈의 크기, 모양,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한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2 ,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220 formed in a square structure, a second insertion groove 230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rectangular structure. (240). The first insertion groove 22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30 ,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3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220 ,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40 is It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shape, number and position of the peg insertion groove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combinations.

리치바(123)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어깨에 관한 재활운동을 지원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환자는 리치바(123)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홈(250)을 따라 형성된 이동경로에 맞춰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재활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리치바(123)를 이용한 리칭(reaching) 훈련은 팔꿈치(elbow) 및 어깨(shoulder) 회복, 상지 근력 회복, 인지 능력 회복 등을 달성할 수 있다.The rich bar 123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a user's wrist or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That is, the patient can proceed with the rehabilitation exercise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pushing or pull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path formed along the sliding groove 250 while holding the reach bar 123 by hand. Reaching training using the reach bar 123 may achieve elbow and shoulder recovery,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recovery, cognitive ability recovery,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리치바(123)는 페그보드(122)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양단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250)에 의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홈(250)은 페그보드(122)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리치바(123)는 슬라이딩 홈(250)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현되는 점에서 슬라이딩 홈(250)의 길이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홈(250)은 페그보드(122)의 모서리 인근에서 직각방향으로 꺾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 홈(250)의 개수에 따라 리치바(123)의 개수도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ch bar 123 is formed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egboard 122, and the sliding range may be limited by the sliding grooves 250 formed along the edges of both ends. That is, the sliding groove 25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ends of the pegboard 122 , and the rich bar 123 is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250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move along the sliding groove 250 . movement may be restricted. In another embodiment, the sliding groove 25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b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near the edge of the pegboard 122, and the number of rich bars 123 may als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liding grooves 250. there is.

핀치바(124)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손목 관절에 관한 재활운동을 지원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핀치바(124)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재가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 부재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하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된 회전축과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환자는 핀치바(12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재활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핀치바(124)를 이용한 훈련은 팔꿈치 회복, 손목 관절 회복, 상지 근력 회복, 인지 능력 회복 등을 달성할 수 있다.The pinch bar 124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user's wrist or wrist joint. The pinch bar 124 may be formed with a handle member that a user can hold by hand, and when a rotational force is provided through the handle member, it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a rotation shaft implemented to rotate in a specific direction. That is, the patient can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while repeatedly performing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pinch bar 124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holding the pinch bar 124 by hand. Training using the pinch bar 124 may achieve elbow recovery, wrist joint recovery,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recovery, cognitive ability recovery,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핀치바(124)는 페그보드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가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핀치바(124)는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총 4개의 핀치바(124)들이 페그보드(122)의 하단 모서리에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inch bar 124 may be formed by arranging at least one on one end of the pegboard in an aligned state. In FIG. 2 , the pinch bars 12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and a total of four pinch bars 124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ower edge of the peg board 12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an be

일 실시예에서, 핀치바(124)는 정렬된 상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동작 버튼(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버튼(260)은 사용자의 재활운동 과정에서 다양한 추가 동작을 위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버튼(260)은 재활운동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환자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재생되는 재활운동 미션에 따라 재활운동을 시작하기 위한 동작으로써 왼쪽 방향에 위치한 동작 버튼(260)을 누른 후 재활운동을 개시할 수 있으며, 재활운동이 완료된 경우 오른쪽 방향에 위치한 동작 버튼(260)을 누름으로써 재활운동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핀치바(124)는 정렬된 상태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inch bar 124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operation buttons 260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aligned state. The operation button 260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for various additional operations in the user's rehabilitation exercise process. For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260 may be used as a button for inputting start and end times of rehabilitation exercise. That is, the patient can star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fter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260 located in the left direction as an operation to star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110, and wh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s completed Rehabilitation exercise can be end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260 located in the right direction. Meanwhile, the pinch bar 124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peration button each arranged in an aligned state.

메인보드(130)는 보드판(120)과 상하로 결합하여 ㅍ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메인보드(130)는 외부 하우징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드판(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130)는 디스플레이(110)를 지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결합홈(12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결합홈(121)은 필요에 따라 보드판(120)에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ain board 130 may be vertically combined with the board plate 120 to form an external housing of the pi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00 . That is, the main board 130 may be formed in a plate-shaped structure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outer hous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ard plate 120 . In one embodiment, the main board 130 may be formed to include a display coupling groove 121 for supporting the display 110 . The display coupling groove 12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oupled to the board plate 120 if necessary.

또한, 메인보드(130)는 각 동작을 담당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보드(130)는 디스플레이 모듈, 페그보드 모듈, 리치바 모듈, 핀치바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modules in charge of each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ard 13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a pegboard module, a rich bar module, a pinch bar module, and a control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110)에 재활훈련 미션을 제공할 수 있고, 페그보드 모듈은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을 통해 페그(140)의 삽입 또는 이탈을 검출할 수 있으며, 리치바 모듈은 리치바(123)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고, 핀치바 모듈은 핀치바(124)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may provide a rehabilitation mission to the display 110 through the display connector, and the pegboard module may detect insertion or detachment of the peg 140 throug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and the rich bar The module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reach bar 123 , and the pinch bar module may detect the rotation of the pinch bar 124 .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 각각은 해당 페그 삽입홈에 대해 페그(140)의 삽입 또는 이탈을 자동인식하는 자동인식 센서 및 해당 페그 삽입홈에 관한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동인식 센서와 광원 센서는 단위 모듈(210)마다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다. 자동인식 센서는 페그(140)의 삽입 또는 이탈이 인식된 경우 해당 페그 삽입홈에 관한 식별정보, 검출 시점, 삽입 또는 이탈에 관한 구분정보를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단위 모듈(210)에 전달할 수 있다. 페그보드 모듈은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로부터 수집된 검출 신호를 메인보드(130)에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is an automatic recognition sensor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insertion or departure of the peg 140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and a light source sensor that provides a guide light source for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may include That is, the automatic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ght source sensor may be included and operated for each unit module 210 . When the insertion or departure of the peg 140 is recognized, the automatic recognition sensor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detection tim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insertion or departure to be delivered to the unit module 210 . can The pegboard module may transmit detection signal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to the main board 130 .

광원 센서는 단위 모듈의 내부 또는 하단부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원 센서는 페그 삽입홈의 내부 또는 인근에서 가이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광원은 불빛을 통해 재활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그보드(122) 상에서 특정 페그 삽입홈에 관한 가이드 광원이 제공되면 환자는 해당 페그 삽입홈에 적절한 페그(140)를 선택하여 삽입함으로써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sensor may operate by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r the lower end of the unit module.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sensor may provide a guide light source in or near the peg insertion groove. Here, the guide light source may serve to support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light. For example, when a guide light source for a specific peg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peg board 122, the patient can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by selecting and inserting an appropriate peg 140 into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한편, 광원 센서는 페그 삽입홈의 인근에서 가이드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정의 반경마다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가이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가이드 광원은 원형으로 형성된 제1 페그 삽입홈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각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광원 영역(41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제1 광원 영역(410)의 원형 홈에 대응되는 페그(140)를 선택하여 삽입함으로써 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 source sensor may provide a guide light source in the vicinity of the peg insertion groove, and may provide a guide light source that may be implemented in a different color for at least one light source area defined for each predetermined radius. In FIG. 4 , the guide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light source area 410 defined as a rectangular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ircularly formed first peg insertion groove. The user may proceed with rehabilitation by selecting and inserting the peg 140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groove of the first light source region 410 .

또한, 가이드 광원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제2 페그 삽입홈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각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광원 영역(4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광원 영역(420)은 서로 다른 색상의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는 2개의 광원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적절한 페그(140)를 제2 페그 삽입홈에 삽입하는 경우 제2 광원 영역(420)의 외곽에 형성된 광원 영역의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재활운동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light source area 420 defined as a rectangular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peg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is case, the second light source area 420 may include two light source areas providing guide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rs. If the user inserts the appropriate peg 140 into the second peg insertion groove, the color of the light source area formed outside the second light source area 420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corresponding rehabilitation exercise. I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that the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130)는 복수의 단위 모듈(210)들을 통해 재활훈련 미션(430)에 동기화된 가이드 광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보드(1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재활훈련 미션(430)을 제공할 수 있고, 재활훈련 미션(430)의 내용에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가이드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재활훈련 미션(430)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재미를 제공함과 동시에 재활운동을 통한 치료효과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활훈련 미션(430)에 동기화된 가이드 광원의 제공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재활운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ard 130 may control the guide light source synchronized to the rehabilitation mission 430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210 to be provided. That is, the main board 130 can provide a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430 suitable for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and provides a guide light source that is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430 , thereby provid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430 . ) can motivate and provide fun to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effect through rehabilitation exercise.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the guide light source synchroniz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430 may provide visual feedback on the user's movement to induce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ir movement an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13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치료보고서를 외부 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해 치료보고서를 해당 사용자와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즉, 메인보드(130)는 사용자의 훈련 기록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축적된 훈련 데이터에 관한 분석 결과를 리포트 형태로 생성하여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 또는 보호자에게 사용자의 훈련 기록을 공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board 130 may share the treatment report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with an external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store the treatment report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through the database 150 . That is, the main board 130 may store and manage the user's training record in the database 150 , and may generate an analysis result regarding the accumulated training data in the form of a report and provide it to an external system. For example,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share the user's training record with a doctor or guardian in charge of the user's treatment.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130)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기록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재활훈련 미션의 종류 및 난이도를 추천할 수 있다. 메인보드(130)는 사용자 별로 훈련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특정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개시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가장 적합한 재활훈련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재활훈련 미션은 훈련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나 근육에 따라 구축될 수 있으며, 동일한 신체 부위나 근육이라 하더라도 훈련 동작이나 난이도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분류되어 구축될 수 있다. 메인보드(130)는 사용자에 맞춰 종류 및 난이도를 결정한 후 재활훈련 미션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보드(130)에서 추천한 재활훈련 미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해당 재활훈련 미션에 따라 재활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ard 130 may record the training data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 the type and difficult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most suitable for the user. The main board 130 may manage training data for each user, and when a specific user initiates a rehabilitation exercise, the most suitabl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user's training data.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s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body part or muscle to be trained, and even the same body part or muscle can be classified and constructed into various grades according to the training motion or difficulty. The main board 130 may recommend a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after determining the type and difficulty according to the user. After selecting any one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s recommended by the main board 130 , the user may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130)는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방향별 반응시간, 속도, 가속도 및 떨림을 관절 부위 별로 학습하여 사용자별 재활운동 미션을 추천하는 제1 계산 엔진을 구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보드(130)는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 특히 페그(140)의 삽입과 이탈, 리치바(123)의 움직임, 핀치바(124)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대응하는 관절 부위 정보, 방향별 반응시간, 속도 및 가속도, 떨림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페그(140)의 삽입과 이탈, 리치바(123)의 움직임, 핀치바(124)의 움직임에 관한 1차 정보와 관절 부위, 방향별 반응시간, 속도 및 가속도, 떨림에 관한 2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board 130 learns the reaction time, speed, acceleration, and tremor for each direction for each direc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based on the training data for each joint part, and a first calculation engine that recommend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each user. can be built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ard 130 provides jo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raining data, in particular, from the data regarding the insertion and departure of the peg 140, the movement of the reach bar 123, and the movement of the pinch bar 124, It is possible to extract information on reaction time, speed and acceleration for each direction, and tremor, and generate learning data based on this. The learning data includes primary information on the insertion and departure of the peg 140 , the movement of the reach bar 123 , and the movement of the pinch bar 124 , and secondary information on joint parts, reaction time for each direction, speed and acceleration, and tremor It may be generated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또한, 학습 데이터는 해당 조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재활훈련 미션 정보, 재활훈련에 따른 훈련 결과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 및 평가 정보, 피드백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계산 엔진은 학습 데이터를 학습한 결과로서 구축될 수 있으며, 학습 데이터에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해당 입력에 가장 적합한 재활훈련의 종류와 난이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data may be generated includ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rresponding conditions, the training results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users' training data and evaluation information, feedback information, etc. as needed. there is. As a result, the first calculation engine can be built as a result of learning the learning data, and according to the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data, information about the type and difficulty of rehabilitation most suitable for the input can be generated as an output. .

일 실시예에서, 메인보드(130)는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페그보드(122) 상에서 정의되는 복수의 훈련 영역들 각각의 활동 점수를 결정하여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활동맵을 생성하고, 활동맵의 패턴을 학습하여 활동 점수가 가장 낮은 훈련 영역을 보완하는 사용자별 재활운동 미션을 추천하는 제2 계산 엔진을 구축할 수 있다. 즉, 활동맵은 훈련 영역별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피처맵(feature map)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활동맵은 훈련 영역별 활동 점수를 표현하는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될 수 있고, 각 훈련 영역에 대해 활동 점수별 색상을 부여하여 시각화맵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ard 130 determines the activity sco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raining areas defined on the pegboard 122 based on the training data to generate an activity map related to the state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It is possible to build a second calculation engine that learns the pattern and recommend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each user that supplements the training area with the lowest activity score. That is, the activity map may correspond to a feature map regarding the state o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each training area. Meanwhile, the activity map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atrix expressing activity scores for each training area, or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visualization map by giving each training area a color for each activity score.

제2 계산 엔진은 활동맵을 학습 데이터로 학습한 결과로서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에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 해당 입력에 가장 적합한 재활훈련의 종류와 난이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계산 엔진은 활동맵 상에서 활동 점수가 낮은 영역을 중점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재활훈련 미션의 종류와 난이도를 출력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메인보드(130)는 제2 계산 엔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균형적인 재활치료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인공지능을 통해 재활훈련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맞춤형 재활운동이 제공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second calculation engine may be generated as a result of learning the activity map as learning data, and for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user's training data, information about the type and difficulty of rehabilitation most suitable for the input can be generated as output. can For example, the second calculation engine may generate as an output the type and difficulty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that can focus on areas with a low activity score on the activity map, and the main board 130 uses the second calculation engine Through this, it can operate so that a balanced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As a result,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00 can maximize the treatment effect 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tocol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viding a user-customized rehabilitation exercis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운동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재활운동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510),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5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510 ,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 and a database 520 .

사용자 단말(510)은 사용자가 운용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10)은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510)은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와 연동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1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operated by a use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510 may be connected to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through a network, and may perform the role of the display 110 by interworking with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510 may interwork with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through a dedicated program.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는 재활운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재활운동을 위한 재활운동 미션을 제공하여 재활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외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재활운동 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520)와 연동하여 재활운동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00 may provide a function to suppor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o the user. That is,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the display 110 to induce interest of the user and increase concentration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system, and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cess to the external system. In addition,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cess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520 .

도 6은 도 5의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사용자 입출력부(6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rocessor 610 , a memory 620 , a user input/output unit 63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640 .

프로세서(610)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6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6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620), 사용자 입출력부(6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6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step in the process in which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operates, and may manage the memory 62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in memory 620 may be scheduled. The processor 6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620, the user input/output unit 63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640 to flow data therebetween. can be controlled. The processor 61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

메모리(62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62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includes an auxiliary memory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6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63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63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63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63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63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be perform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6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64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에서 수행되는 재활운동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performed in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710). 이 경우,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전용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S710 ). In this case,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510, and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input device.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맞춤형 재활훈련 미션을 재생할 수 있다(단계 S720).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재활훈련 미션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기준으로 재활훈련 미션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훈련기록을 기준으로 재활훈련 진도에 따라 재활훈련 미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reproduce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through the display 110 (step S720).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reproduce a customized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suitable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based on the user's current state, and may determin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ess based on the user's training record.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재활훈련 미션이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730). 보다 구체적으로,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페그보드 모듈을 통해 페그보드(122) 상에서 페그의 삽입 또는 이탈을 검출할 수 있고, 리치바 모듈을 통해 리치바(123)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 핀치바 모듈을 통해 핀치바(124)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collect the user's training data while the rehabilitation mission is provided (step S730). More specifically, th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detect the insertion or separation of the peg on the pegboard 122 through the pegboard module, and detect the movement of the rich bar 123 through the rich bar module. and the rotation of the pinch bar 124 may be detected through the pinch bar module.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재활운동 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740). 이때,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10)에게 분석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시스템(예를 들어, 병원 등)에 분석 결과를 치료 보고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analyze the state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ased on the user's training data and provide the result (step S740). At this time, the pegboard-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100 may provide an analysis result through the display 110 , ma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510 , and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an external system (eg, a hospital, etc.) Analysis result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eatment repor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보드판
121: 디스플레이 결합홈 122: 페그보드
123: 리치바 124: 핀치바
130: 메인보드 140: 페그
210: 단위 모듈 220: 제1 삽입홈
230: 제2 삽입홈 240: 제3 삽입홈
250: 슬라이딩 홈 260: 동작 버튼
410: 제1 광원 영역 420: 제2 광원 영역
430: 재활훈련 미션 500: 재활운동 시스템
510: 사용자 단말 520: 데이터베이스
610: 프로세서 620: 메모리
630: 사용자 입출력부 640: 네트워크 입출력부
100: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10: display 120: board board
121: display coupling groove 122: peg board
123: rich bar 124: pinch bar
130: main board 140: peg
210: unit module 220: first insertion groove
230: second insertion groove 240: third insertion groove
250: sliding groove 260: action button
410: first light source area 420: second light source area
430: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500: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510: user terminal 520: database
610: processor 620: memory
630: user input/output unit 640: network input/output unit

Claims (13)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일체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커넥터, 페그보드, 리치바(reach bar) 및 핀치바(pinch bar)를 포함하는 보드판; 및
1) 상기 보드판과 결합되어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고,
2)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재활훈련 미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복수의 단위 모듈들을 통해 페그의 삽입 또는 이탈을 검출하는 페그보드 모듈, 상기 리치바의 이동을 검출하는 리치바 모듈 및 상기 핀치바의 회전을 검출하는 핀치바 모듈을 포함하며,
3)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페그보드 모듈, 상기 리치바 모듈 및 상기 핀치바 모듈을 제어하여 재활운동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메인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리치바(reach bar)는 상기 페그보드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의해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되며,
상기 핀치바는 상기 페그보드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가 정렬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정렬된 상태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보드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재활훈련 미션의 종류 및 난이도를 추천하며, 상기 페그의 삽입과 이탈, 상기 리치바의 움직임 및 상기 핀치바의 움직임에 관한 1차 정보와 관절 부위, 방향별 반응시간, 속도, 가속도 및 떨림에 관한 2차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용자별 재활운동 미션을 추천하는 제1 계산 엔진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display;
a display connector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ing the display, a peg board, a board plate including a reach bar and a pinch bar; and
1) is combined with the board plate to form an external housing,
2) a display module that provides a rehabilitation mission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connector, a pegboard module that detects insertion or detachment of a peg throug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a rich bar module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rich bar, and the Includes a pinch bar module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pinch bar,
3) a main board operable to control the display module, the pegboard module, the rich bar module, and the pinch bar module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to the display;
including,
The reach bar is formed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pegboard, and the sliding range is limited by the sliding grooves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both ends,
The pinch bar includes at least one operation button disposed side by side in an aligned state on one end of the peg board, and at least one operation button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aligned state,
The main board records the training data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mmends the type and difficult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most suitable for the user, the insertion and departure of the peg, the movement of the rich bar, and the Building a first calculation engine that recommend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each user by learning learning data including primary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pinch bar and secondary information about reaction time, speed, acceleration, and tremor by joint parts, directions, and tremor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는 유선형 또는 무선형 커넥터로 구현되고,
상기 유선형 커넥터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형 커넥터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와 무선으로 연동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connector is implemented as a wired or wireless connector,
In the case of the streamlined connector, it provides a charging function for the display,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onnector,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wireless interface that wirelessly interworks with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그보드는 복수의 페그 삽입홈들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페그 삽입홈들은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결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 각각은 다면체 구조로 형성된 제1 삽입홈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eg board is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eg insertion grooves,
The plurality of peg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in a matrix form,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is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polyhedral structure or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 각각은
해당 페그 삽입홈에 대해 상기 페그의 삽입 또는 이탈을 자동인식하는 자동인식 센서 및 상기 해당 페그 삽입홈에 관한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an automatic recognition sensor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insertion or departure of the peg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and a light source sensor for providing a guide light source for the corresponding peg insertion groo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센서는
상기 해당 페그 삽입홈의 내부 또는 인근에서 상기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고,
상기 인근의 경우 소정의 반경마다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영역 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상기 가이드 광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ght source sensor
Providing the guide light source in or near the peg insertion groove,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he guide light source that can be implemented in different colors for each at least one light source area defined for each predetermined radius in the case of the vicinity.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복수의 단위 모듈들을 통해 상기 재활훈련 미션에 동기화된 가이드 광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main board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provide a guide light source synchroniz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ission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치료보고서를 외부 시스템과 공유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치료보고서를 해당 사용자와 연관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ard
Sharing the treatment report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us with an external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tment repor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through a data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페그보드 상에서 정의되는 복수의 훈련 영역들 각각의 활동 점수를 결정하여 상기 재활운동 상태에 관한 활동맵을 생성하고, 상기 활동맵의 패턴을 학습하여 상기 활동 점수가 가장 낮은 훈련 영역을 보완하는 사용자별 재활운동 미션을 추천하는 제2 계산 엔진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ard
Based on the training data, the activity sco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raining areas defined on the pegboard is determined to generate an activity map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ate, and the activity score is the lowest by learning the pattern of the activity map. A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builds a second calculation engine that recommends a rehabilitation exercise mission for each user that supplements the training area.
KR1020200118988A 2020-09-16 2020-09-16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1023993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88A KR102399326B1 (en) 2020-09-16 2020-09-16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88A KR102399326B1 (en) 2020-09-16 2020-09-16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21A KR20220037021A (en) 2022-03-24
KR102399326B1 true KR102399326B1 (en) 2022-05-20

Family

ID=809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988A KR102399326B1 (en) 2020-09-16 2020-09-16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32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1946A2 (en) * 2005-02-25 2006-08-31 Diego Guillen Reflex tester and method for measurement
KR101541099B1 (en) * 2015-01-27 2015-08-03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and application for evaluating body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10B1 (en) 2008-01-10 2008-05-27 김인겸 Pegboard set for strengthening of armmuscles
WO2017171476A1 (en)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네오펙트 Pegboard-typ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KR101910341B1 (en) * 2017-03-27 2018-10-23 주식회사 네오펙트 Smart tool set
CN111149143B (en) * 2017-09-28 2022-05-06 株式会社耐奥飞特 Nail plate train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1946A2 (en) * 2005-02-25 2006-08-31 Diego Guillen Reflex tester and method for measurement
KR101541099B1 (en) * 2015-01-27 2015-08-03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and application for evaluating body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21A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Cultura et al. Children’s play and problem-solving in motion-based learning technologies using a multi-modal mixed methods approach
US20090258703A1 (en) Motion Assessment Using a Game Controller
Sakamaki et al. Preliminary testing by adults of a haptics-assisted robot platform designed for children with physical impairments to access play
Mat Sanusi et al. Table tennis tutor: forehand strokes classification based on multimodal data and neural networks
Sathiyanarayanan et al. Map navigation using hand gesture recognition: A case study using myo connector on apple maps
Weiss Cohen et al. Hand rehabilitation assessment system using leap motion controller
US20050069205A1 (en) Interactive spatial chirography device
Wobrock et al. Continuous mental effort evaluation during 3d object manipulation tasks based on brain and physiological signals
Lu et al. Data Glove with Bending Sensor and Inertial Sensor Based on Weighted DTW Fusion for Sign Language Recognition
KR102399326B1 (en) Pegboard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Su et al. Syste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approach for assessing functional impairment fo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ilot study
Leo et al. Mental rotation skill shapes haptic exploration strategies
Nasser et al. Fingertalkie: Designing a low-cost finger-worn device for interactive audio labeling of tactile diagrams
Ogiela et al. Natural user interfaces for exploring and modeling medical images and defining gesture description technology
Hsieh et al. The Effects of concept map-oriented gesture-based teaching system on learners’ learning performance and cognitive load in earth science course
Shih et al. Development of a computer assistive input device through a commercial numerical keyboard by position coding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kita et al. A user-centered design approach to physical motion coaching systems for pervasive health
Scudeletti et al. Kinesios: A telerehabilit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system for post-stroke physical rehabilitation therapies
Georgi et al. Fusion and Comparison of IMU and EMG signals for wearable gesture recognition
Nácher Soler Kindertivity: Usability and communicability strategies for interactive surfaces and pre-kindergarten children
Korkiakoski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EEG for real-time interactions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Krukowski et al. User Interfaces and 3D Environment Scanning for Game-Based Training in Mixed-Reality Spaces
May Toward directly mediated interaction in computer supported environments
Loriette A computational approach to gestural interactions of the upper limb on planar surfaces
Papadopoulou Towards a feedback system for upper body bodyweight exercises using multiple inertial measurement units: A user-centred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