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98B1 -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 Google Patents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98B1
KR102399098B1 KR1020200142098A KR20200142098A KR102399098B1 KR 102399098 B1 KR102399098 B1 KR 102399098B1 KR 1020200142098 A KR1020200142098 A KR 1020200142098A KR 20200142098 A KR20200142098 A KR 20200142098A KR 102399098 B1 KR102399098 B1 KR 10239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smart device
fixing part
belt
bel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7153A (en
Inventor
윤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립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립인
Priority to KR102020014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98B1/en
Publication of KR2022005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장치는 상기 스마트폰 디바이스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결합된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의 하면에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는 미리 정한 각도 이내로 회전가능하다.
A grip device for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phone device, a lower fixing part, and a bel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The upper fixing part is fixed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the lower fixing part is fix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smart device, and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ar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detachab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The device is installed, and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ar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 장치{Grip device for smart devices}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10)용 그립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10)의 배면을 손바닥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belt for a smart device (10),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p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with the palm of the hand.

최근들어 스마트 디바이스(10)인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 디바이스는 용도에 따라 소형부터 대형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또한, 제조사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형태가 상이하다.Recently, the smart device 10 , such as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have been widely used. In particular, recent smartphone devices vary in size from small to large according to their us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mart device 1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사용자는 소형의 스마트 디바이스(10)를 한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한 손으로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경우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아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액정이 망가지는 경우가 많다. The user often uses the small smart device 10 with one hand, but when using the smart device 10 with one h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ser drops the smart device 10 so that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 device 10 is damaged in many cases.

또한, 대형의 스마트 디바이스(10)는 별도의 거치대가 없는 경우에 양 손을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지지하거나, 한 손으로 불안하게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지지하고 사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large smart device 10 supports the smart device 10 using both hands when there is no separate cradle, or supports and uses the smart device 10 with one hand unsteadily to the smart device 10 ) was inconvenient to use.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스마트 디바이스(10)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손바닥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그립 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런 그립 장치는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종류와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그립 장치가 필요하여 상호 호환되지 못 하는 단점이 있었다. For this reason, the user of the existing smart device 10 used a grip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the smart device 10 with the palm of the hand. However, such a grip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because different grip device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type and manufacturer of the smart device 10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2-0058873 2012년06월08일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58873 published on June 08, 2012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크기, 형태와 무관하게 사용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 device for a smart device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smar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장치는 상기 스마트폰 디바이스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결합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제1 끼움부, 제1 벨트 삽입부,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제1 벨트 삽입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면 상부에 맞닿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벨트 삽입부와 만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벨트 삽입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부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제1 고정부는 다회 점착가능한 점착 스티커 또는 음압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빨판 형상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벨트 삽입부는 제1 베이스부, 제1 회전부, 제1 벨트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1 면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2 면에 상기 제1 회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2면에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홈에 끼워지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홈을 따라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벨트 구속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연장부와 동일하게 상기 제1 회전부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 제5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부는 제2 끼움부, 제2 벨트 삽입부,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제2 벨트 삽입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6 연장부, 상기 제6 연장부와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7 연장부, 상기 제7 연장부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8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면 하부에 맞닿고, 상기 제7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하단에 끼워지며, 상기 제8 연장부는 상기 제2 벨트 삽입부와 만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 삽입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제2 고정부는 다회 점착가능한 점착 스티커 또는 음압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빨판 형상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 삽입부는 제2 베이스부, 제2 회전부, 제2 벨트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1 면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2 면에 상기 제2 회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2 면에는 상기 제2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홈에 끼워지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2 홈을 따라서 회전가능할 수 있다.
The grip device for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fixing part, a lower fixing part, and a bel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device.
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art may be fixed to the upper rear of the smart device, and the lower fixing part may be fixed to the lower rear of the smart device.
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art may include a first fitting part, a first belt insertion part, and a first fixing part.
In addi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belt insertion por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third extension extending to form a second angle.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smart devic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be fitted on the upper end of the smart device,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may meet the first belt insertion portion.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and the upper fixing part is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and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by applying an adhesive sticker or negative pressure that can be adhered multiple times. It may be a sucker-shaped device.
In addition,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includes a first base part, a first rotation part, and a first belt restraint part, 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ota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rotating part is inserted and rotated to form a first groove having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the first rotating part is the first groove It may be fitted in the rotatable along the first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belt restraint portion is formed with a fourth extension extending by a first leng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exten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the same as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and a fifth extension extending by a first leng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art.
In addition, the lower fix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fitting part, a second belt insertion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In addition, the second fitting portion is a six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econd belt insertion portion, a seven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sixth extension portion, the seventh extension portion and It may include an eigh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form two angles.
In addition, the sixth extens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of the smart device, the seventh extension may be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and the eighth extension may meet the second belt insertion portion.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in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is detachably fixed from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fixed by applying an adhesive sticker or negative pressure that can be adhered multiple times. It may be a sucker-shaped device.
In addition,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base part, a second rotation part, and a second belt restraint part.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the second rotation part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At least a portion of a circular or elliptical second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and rotated,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is fitted in the second groove and may be rotatable along the second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 그립 장치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The smart device g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smart devic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그립 장치는 일반 케이싱 방식이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장치를 만들고, 이 고정장치에 벨트를 통과시켜 손바닥 삽입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크기, 형태와 무관하게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smart device g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general casing method, but a fixing device is made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mart device, and a belt is passed through the fixing device to form a palm insertion space, thereby form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mart devic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가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가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의 저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smart device in which an upper fixing part 100 and a lower fixing part 200 ar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the smart device in which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3 is a plan view of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는 스마트폰, 일반 핸드폰, PDA, 태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모든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The smar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mart phone, a general mobile phone, a PDA, a tablet PC, and the like. However, this is just an example and refers to all devices with a display on the front.

또한, 본 발명에서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전면이라 함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면을 의미한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이라 함은 상기 전면의 반대면으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지 않은 면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f the smart device 10 means a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means a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on which a display is not mou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 장치는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에 장착된다.The grip device for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10 .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 장치는 상부 고정부(100), 하부 고정부(200), 상기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에 결합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100)와 상기 하부 고정부(200)는 그 형상이 동일하며 각각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 상면과 후면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고정부(100)와 하부 고정부(200) 사이에 벨트가 삽입되며 통과된다. 그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형태, 크기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rip device for the smart device may include an upper fixing part 100 , a lower fixing part 200 , and a bel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have the same shape and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rear upper surface and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the upper fixing part 100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 the belt is inserted and passed through.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rip device for 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regardless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smart device 10 .

상기 상부 고정부(1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2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fixing part 100 may be fixed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 and the lower fixing part 200 may be fix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smart device 10 .

상기 상부 고정부(100)는 제1 끼움부(110), 제1 벨트 삽입부(120),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부(110)는 상기 제1 벨트 삽입부(120)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11),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2 연장부(112), 상기 제2 연장부(112)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3 연장부(113)를 포함한다. The upper fixing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fitting part 110 , a first belt insertion part 120 , and a first fixing part. The first fitting portion 11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1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belt insertion portion 120 ,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1 . It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art 112 and a third extension part 113 extending to form a second angle with the second extension part 112 .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각도는 90도로 상기 제1 연장부(111)와 사이 제2 연장부(112)는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각도는 90도로 상기 제2 연장부(112)와 상기 제3 연장부(113)는 서로 수직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ngle is 90 degrees,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1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12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11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angle is 90 degrees,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12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113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제1 연장부(111)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전면 상부에 맞닿고, 상기 제2 연장부(112)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제3 연장부(113)는 상기 제1 벨트 삽입부(120)와 만난다.The first extension 11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of the smart device 10 , the second extension 112 is fitted on the top of the smart device 10 , and the third extension 113 is fitted to the top of the smart device 10 . ) meets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120 .

상기 제1 벨트 삽입부(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부 고정부(100)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킨다. 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120 , and the upper fixing part 100 is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smart device 10 .

상기 제1 고정부는 다회 점착가능한 점착 스티커이거나, 제1 고정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 후면 사이에 음압이 걸려 고정되도록 빨판 형상의 장치일 수 있다.The first fixing unit may be a multi-adhesive adhesive sticker, or a sucker-shaped device such that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to be fixed.

상기 제1 벨트 삽입부(120)는 제1 베이스부(121), 제1 회전부(122), 제1 벨트 구속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base part 121 , a first rotating part 122 , and a first belt restraining part 123 .

상기 제1 베이스부(121)의 제1 면(121A)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121)의 제2 면(121B)에 제1 회전부(12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과 만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과 대향한 면이다.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121A of the first base part 121 ,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22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121B of the first base part 121 . The first surface meets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and the second surface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상기 제1 베이스부(121)의 제2 면(121B)에는 상기 제1 회전부(122)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제1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은 전체적으로 원형이거나 타원형일 수도 있지만, 적어도 일부의 형상이 호를 이루도록 원형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A first groov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ircular or oval, is formed in the second surface 121B of the first base part 121 so that the first rotation part 122 is inserted and rotated. The first groove may be generally circular or oval, but may be circular or ov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forms an arc.

상기 제1 회전부(122)는 상기 제1 홈에 끼워지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홈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다.The first rotating part 122 is fitted in the first groove and is rotatable along the first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1 벨트 구속부(123)는 제4 연장부(123A), 제5 연장부(123B), 제1 이음부(123C)를 포함한다. The first belt restraint portion 123 includes a fourth extension portion 123A, a fifth extension portion 123B, and a first joint portion 123C.

상기 제4 연장부(123A)는 제1 회전부(122)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5 연장부(123B)는 상기 제4 연장부(123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연장부(123A)와 동일하게 상기 제1 회전부(122)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1 이음부(123C)는 상기 제4 연장부(123A)와 상기 제5 연장부(123B)를 이어 벨트가 지나갈 통로를 형성하면서, 벨트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urth extension part 123A extends by a first leng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part 122 . The fifth extension part 123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extension part 123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part 122 in the same manner as the fourth extension part 123A. extend by a first length. The first joint 123C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elt passes by connecting the fourth extension 123A and the fifth extension 123B, and may prevent the belt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상기 하부 고정부(200)는 제2 끼움부(210), 제2 벨트 삽입부(220),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부(210)는 상기 제2 벨트 삽입부(220)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6 연장부(211), 상기 제6 연장부(211)와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7 연장부(212), 상기 제7 연장부(212)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8 연장부(213)를 포함한다. The lower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second fitting part 210 , a second belt insertion part 220 , and a second fixing part. The second fitting part 210 includes a sixth extension part 2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220 , and a sixth extension part 211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sixth extension part 211 . It includes a seventh extension part 212 and an eighth extension part 213 extending to form a second angle with the seventh extension part 212 .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각도는 90도로 상기 제6 연장부(211)와 사이 제7 연장부(212)는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각도는 90도로 상기 제7 연장부(212)와 상기 제8 연장부(213)는 서로 수직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ngle is 90 degrees, and the sixth extension part 211 and the seventh extension part 212 between the sixth extension part 211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angle is 90 degrees, and the seventh extension part 212 and the eighth extension part 213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제6 연장부(211)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전면 하부에 맞닿고, 상기 제7 연장부(212)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하단에 끼워지며, 상기 제8 연장부(213)는 상기 제2 벨트 삽입부(220)와 만난다.The sixth extension 21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of the smart device 10 , the seventh extension 212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10 , and the eighth extension 213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10 . ) meets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220 .

상기 제2 벨트 삽입부(220)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200)를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 하부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킨다.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in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220 to detachably fix the lower fixing part 200 to the lower rear part of the smart device 10 .

상기 제2 고정부는 다회 점착가능한 점착 스티커이거나, 제2 고정부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10) 후면 사이에 음압이 걸려 고정되도록 빨판 형상의 장치일 수 있다.The second fixing unit may be an adhesive sticker that can be adhered multiple times, or a sucker-shaped device such that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between the second fixing uni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10 to be fixed.

상기 제2 벨트 삽입부(220)는 제2 베이스부(221), 제2 회전부(222), 제2 벨트 구속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elt insertion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base unit 221 , a second rotation unit 222 , and a second belt restraint unit 223 .

상기 제2 베이스부(221)의 제1 면(221A)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221)의 제2 면(221B)에 제2 회전부(222)가 설치된다.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221A of the second base part 221 ,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22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221B of the second base part 221 .

상기 제2 베이스부(221)의 제2 면(221B)에는 상기 제2 회전부(222)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제2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홈은 전체적으로 원형이거나 타원형일 수도 있지만, 적어도 일부의 형상이 호를 이루도록 원형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A second groov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ircular or oval, is formed in the second surface 221B of the second base part 221 so that the second rotation part 222 is inserted and rotated. The second groove may be entirely circular or elliptical, but may be circular or ov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forms an arc.

상기 제2 회전부(222)는 상기 제2 홈에 끼워지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2 홈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다.The second rotating part 222 is fitted in the second groove and is rotatable along the second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2 벨트 구속부(223)는 제9 연장부(223A), 제10 연장부(223B), 제2 이음부(223C)를 포함한다. The second belt restraint portion 223 includes a ninth extension portion 223A, a tenth extension portion 223B, and a second joint portion 223C.

상기 제9 연장부(223A)는 제2 회전부(222)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10 연장부(223B)는 상기 제9 연장부(223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9 연장부(223A)와 동일하게 상기 제2 회전부(222)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2 이음부(223C)는 상기 제9 연장부(223A)와 상기 제10 연장부(223B)를 이어 벨트가 지나갈 통로를 형성하면서, 벨트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ninth extension part 223A extends by a first leng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part 222 . The tenth extension part 223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inth extension part 223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part 222 like the ninth extension part 223A. extend by a first length. The second joint portion 223C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elt passes by connecting the ninth extension portion 223A and the tenth extension portion 223B, and may prevent the belt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벨트의 제1 면은 상기 제1 벨트 구속부(123)에 구속되고, 상기 벨트의 제1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은 상기 제2 벨트 구속부(223)에 구속되면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삽입 공간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이 손 삽입 공간에 손을 삽입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0)의 후면을 손 바닥으로 지지할 수 있다.A first surface of the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ained by the first belt restraint portion 123 ,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elt is restrained by the second belt restraint portion 223 , and the user's hand This insertable hand insertion space is formed, and the user can insert a hand into this hand insertion space to support the back of the smart device 10 with the palm of the hand.

Claims (2)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디바이스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결합된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는 제1 끼움부, 제1 벨트 삽입부,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제1 벨트 삽입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면 상부에 맞닿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벨트 삽입부와 만나고,
상기 제1 벨트 삽입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부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 상부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제1 고정부는 다회 점착가능한 점착 스티커 또는 음압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빨판 형상의 장치이며,
상기 제1 벨트 삽입부는 제1 베이스부, 제1 회전부, 제1 벨트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1 면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2 면에 상기 제1 회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2면에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홈에 끼워지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홈을 따라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벨트 구속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 제4 연장부,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연장부와 동일하게 상기 제1 회전부의 제1 면과 수직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된 제5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는 제2 끼움부, 제2 벨트 삽입부,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제2 벨트 삽입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6 연장부, 상기 제6 연장부와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7 연장부, 상기 제7 연장부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8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면 하부에 맞닿고, 상기 제7 연장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하단에 끼워지며, 상기 제8 연장부는 상기 제2 벨트 삽입부와 만나고,
상기 제2 벨트 삽입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제2 고정부는 다회 점착가능한 점착 스티커 또는 음압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빨판 형상의 장치이며,
상기 제2 벨트 삽입부는 제2 베이스부, 제2 회전부, 제2 벨트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1 면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2 면에 상기 제2 회전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제2 면에는 상기 제2 회전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홈에 끼워지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2 홈을 따라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용 그립장치.
In the grip device for a smart device,
Comprising an upper fixing part, a lower fixing part, and a bel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device,
The upper fixing part is fixed to the upper rear of the smart device, and the lower fixing part is fixed to the lower rear of the smart device,
The upper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tting portion, a first belt insertion portion, a first fixing portion,
The first fit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belt insertion por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angle wit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ncluding a third extension extending to form a,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buts on the upper front of the smart devic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fitted on the top of the smart device, the third extension portion meets the first belt insertion portion,
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and the upper fixing part is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mart device, and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by applying an adhesive sticker or negative pressure that can be adhered multiple times. It is a sucker-shaped device,
The first belt insertion part includes a first base part, a first rotation part, and a first belt restraint part,
The first fixing part is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the first rotation part is install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first rota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lar or elliptical first groove is formed to be rotated, and the first rotating part is fitted in the first groove and is rotatable along the first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first belt restraint portion is formed with a fourth extension extending by a first leng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exten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ame as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and a fifth extension extending by a first length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ortion,
The lower fix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fitting portion, a second belt insertion portion, a second fixing portion,
The second fitting portion includes a six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econd belt insertion portion, a seven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sixth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angle with the seventh extension portion Including an eighth extension extending to form a,
The sixth extens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of the smart device, the seventh extension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and the eighth extension meets the second belt insertion portion,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in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is detachably fixed from the rear side of the smart device,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a sucker shape that is fixed by applying an adhesive sticker or negative pressure that can be applied multiple times. is the device of
The second belt insertion part includes a second base part, a second rotation part, and a second belt restraint part,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the second rotation part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A second groove of which at least a portion is circular or oval is formed so as to be rotated,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is fitted in the second groove and is rotatable along the second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for gripping device.
삭제delete
KR1020200142098A 2020-10-29 2020-10-29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KR102399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098A KR102399098B1 (en) 2020-10-29 2020-10-29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098A KR102399098B1 (en) 2020-10-29 2020-10-29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53A KR20220057153A (en) 2022-05-09
KR102399098B1 true KR102399098B1 (en) 2022-05-17

Family

ID=8158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098A KR102399098B1 (en) 2020-10-29 2020-10-29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98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93B1 (en) 2010-11-30 2012-07-19 윤정진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Goods
KR20180092552A (en) * 2017-02-10 2018-08-20 장현진 Two mounts are combined together to rotate the attached device to the desired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53A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147B2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ing tool
US10356920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bendable apparatus thereof
CN111670570B (en) Portable equipment support
TWM483638U (en) Stand
US20140231276A1 (en)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ase
JP2016019010A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EP3244594A1 (en) Mounting member
US20130233732A1 (en) Protective bag
KR102399098B1 (en) Grip device for smart devices
US10571068B2 (en) Mobile device stand with adaptive mounting arrangement
CN204859814U (en) Installing component
KR101390427B1 (en) The hand grip with holder function for cell phone
US20090110389A1 (en)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KR20160000276U (en) Stand structures for vehicle of electronic machinesincluding smartphone
US20130292538A1 (en) Ergonomic device holder
KR101394944B1 (en) Gripping device for mobile phone
CN204901267U (en) Cell -phone clamping device
CN203549309U (en) Self-adaptive clamping device for digital-product bracket
US8752875B1 (en) Electronic device holding system
KR200487229Y1 (en) Mounting member
US20080047097A1 (en) Handle structure
CN105472914B (en) Protective case
US20160198071A1 (en) Compliant support for component alignment
EP3306171B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JP3175262U (en) Gripp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