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75B1 -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8675B1 KR102398675B1 KR1020210042265A KR20210042265A KR102398675B1 KR 102398675 B1 KR102398675 B1 KR 102398675B1 KR 1020210042265 A KR1020210042265 A KR 1020210042265A KR 20210042265 A KR20210042265 A KR 20210042265A KR 102398675 B1 KR102398675 B1 KR 1023986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ering device
- support
- water metering
- connection part
- connec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로서,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 장치;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수도 계량 장치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측정한 측정값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IoT 단말; 상기 IoT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IoT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측정데이터로부터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유체의 양을 분석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를 상기 수도 계량 장치 별로 나누어 누적 및 저장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수도 요금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는 수도 사용량을 계측하는 수도 계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도 계량 장치는 지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의 관로에 설치된다.
이때, 수도 계량 장치의 보호 및 용이한 검침을 위해, 덮개를 구비한 계량 장치 보호함이 지면에 매설되고, 수도 계량 장치는 이러한 계량 장치 보호함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도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원은 덮개를 열고 계량 장치 보호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 장치의 눈금을 확인함으로써 수도 계량 장치 검침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수도 계량 장치가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가에 사람이 있을 때나 없을 때나 관계없이 검침원 이 수도 계량 장치를 검침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수도 계량 장치는 수용가의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수용가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수도 계량 장치를 검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수도 계량 장치를 검침하기 위해서는 검침원이 검침 대상 수용가를 여러번 재 방문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검침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검침 대상 수용가가 많은 경우, 이에 비례하여 많은 검침원이 필요하므로, 검침 비용 또한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 검침의 신뢰성, 편의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는,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 장치;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수도 계량 장치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측정한 측정값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IoT 단말; 상기 IoT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IoT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측정데이터로부터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유체의 양을 분석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를 상기 수도 계량 장치 별로 나누어 누적 및 저장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수도 요금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상기 검침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빅데이터(Big Data)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누수탐지를 포함한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문제를 인식하여 부가서비스를 생성하는 문제인식부; 및 상기 문제인식부에서 생성한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부가서비스를 협력하는 통신사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문제인식부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문제 중 하나인 누수를 탐지하는 기술로서 야간 최소유량 측정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와 상기 IoT 단말의 사이에는 풍력이나 지진에 의하여 흔들림이 발생하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의 오류값 발생을 방지하는 단말고정부가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고정부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IoT 단말을 단단하게 고정 가능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소재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각 양단이 서로 맞닿아 결합하여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위치하는 지지대; 일단이 상기 지지대가 위치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수도 계량 장치가 위치한 건물 내벽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 상기 지지대의 맞닿아 결합되는 양단을 상하로 관통하며 서로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위치된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조이면서 감쇄 크기를 조정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두 개가 접촉하는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되고, 풍력이나 지진에 의하여 상기 수도 계량 장치에 발생하는 흔들림을 마찰열로 소산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도 계량 장치와 디지털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과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도의 누수율 및 수도 계량 장치의 불감율을 개선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수도 검침의 신뢰성, 편의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 서버가 이와 연결되어 있는 수용가 측의 고객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PC로 수도 계량 장치에 대한 검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고객 만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IoT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일부 구성인 단말고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IoT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일부 구성인 단말고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10)는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고, IoT 단말(300), 중앙 서버(700) 및 관리 서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단말(300)은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수도 계량 장치(100)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측정한 측정값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중앙 서버(700)는 상기 IoT 단말(300)과 통신하여 상기 IoT 단말(300)에서 발생한 상기 측정데이터로부터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의 유체의 양을 분석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검침 데이터를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 별로 나누어 누적 및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900)는 상기 중앙 서버(700)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의 수도 요금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900)는 데이터 수집부(910), 문제인식부(950) 및 서비스 제공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910)는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기 검침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빅데이터(Big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문제인식부(95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910)에서 수집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의 누수탐지를 포함한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의 문제를 인식하여 부가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문제인식부(950)는 수도 계량 장치(100)의 문제 중 하나인 누수를 탐지하는 기술로서 야간 최소유량 측정법을 채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990)는 문제인식부(950)에서 생성한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의 부가서비스를 협력하는 통신사에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서버 및 관리 서버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중앙 서버 및 관리 서버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10)의 중앙 서버(700) 또는 관리 서버(900)의 플랫폼에 대해 상세히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 서버(700) 또는 관리 서버(900)의 플랫폼의 오픈소스 기반은 각각 Light Edition과 Standard Edit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입된 상용 솔루션은 Enterprise Edit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각 도면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IoT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10)의 IoT 단말(300)은 수도 계량 장치(100)의 유체의 양을 측정하도록 내부에 위치한 측정 모듈을 보호하는 메인케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케이스(310)의 내부에 위치한 메인PBA(330)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단말(300)은 메인케이스(3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위치한 측정 모듈을 보호하는 이너케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단에 위치한 메인브라켓(390)과 결합 가능한 하단케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단말(300)은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단과 결합하여 고정 연결되는 메인브라켓(390)을 포함할 수 있고, 수도 계량 장치(100)의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버튼(3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의 일부 구성인 단말고정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고정부(200)는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단에 위치하되 IoT 단말(3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지지대(210), 연결부(220), 결합부(230) 및 감쇄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말고정부(200)는 수도 계량 장치(100)와 상기 IoT 단말(300)의 사이에는 풍력이나 지진에 의하여 흔들림이 발생하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100)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의 오류값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210)는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220)는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부(230)는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10)는 수도 계량 장치의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IoT 단말을 단단하게 고정 가능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소재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각 양단이 서로 맞닿아 결합하여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는 각 지지대(212 내지 218)의 양단이 서로 맞닿아 결합하여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를 통하여 각각 인접한 지지대(212 내지 218)와 체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는 스테인리스 강판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등 수도 계량 장치(100)의 흔들림으로부터 IoT 단말(300)을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가 위치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수도 계량 장치가 위치한 건물 내벽(A)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의 일단은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를 통하여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 중 적어도 2개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의 타단은 수도 계량 장치(100)의 양단에 위치한 건물 내벽(A)에 각각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인장력과 압축력이 좋은 금속이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연결부(220)는 인장력과 압축력이 좋은 금속이라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등 수도 계량 장치(100)의 흔들림과 IoT 단말(300)을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단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30)는 지지대의 맞닿아 결합되는 양단을 상하로 관통하며 서로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위치된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조이면서 감쇄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는 인접한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 중 적어도 두 개를 맞닿아 고정 가능하도록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감쇄부(242)는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 및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 중 적어도 두 개가 접촉하는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삽입될 수 있다.
감쇄부(242)는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과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의 미끄럼 운동과, 감쇄부(242)와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의 인장과 압축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하여 기계적 에너지가 마찰열로 소산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감쇄부(242)는 상술한 지지대(210)와 연결부(220)와 동일하게 마찰열로 소산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지지대(210) 및 결합부(230)의 흔들림을 마찰열로 인해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는 적층된 감쇄부(242) 및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을 조이면서 감쇄 크기 및 모우멘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는 볼트와 너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와셔와 같이 서로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는 내벽(A)과 각각 연결되는 경우, 제1 연결부(222) 내지 제4 연결부(228)와 내벽(A)의 접촉 공간에 감쇄부(242)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고정부(200)는 감쇄부(242)와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의 상호 감쇄력에 의해 수도 계량 장치(100)와 IoT 단말(300)에 발생하는 큰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고정부(200)는 바람에 의한 큰 풍하중이나 지진에 의한 강한 진동이 작용할 경우 수도 계량 장치(100)의 상부는 크게 흔들리게 될 수 있고, 수도 계량 장치(100) 및 IoT 단말(300)에 작용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에너지가 적층된 감쇄부(242)와 연결부(220)의 인장과 압축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해 소산될 수 있다.
즉 단말고정부(200)는 풍하중이나 지진력에 의해 구조물이 크게 흔들릴 경우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의 미끄럼 운동과, 감쇄부(242)와 제1 지지대(212) 내지 제4 지지대(218)의 인장과 압축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하여 기계적 에너지가 마찰열로 소산될 수 있다.
또한 감쇄부(242)와 지지대(210) 사이 제1 결합부(232) 내지 제4 결합부(238)의 체결력을 조정하여 다양한 풍하중이나 지진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400)는 다수 개의 연결부(220)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벽(A)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보강부(410) 및 제2 보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410)는 연결부(220)의 일단을 구속하여 내벽(A)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보강부(430)는 제1 보강부(410)에 연결된 연결부(220)의 타단을 구속할 수 있으며, 다른 연결부(220)의 일단과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부(22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강부(410)를 내벽(A)에 인접하게 배치시킨 후에 연결부(220)와 내벽(A)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제1 보강부(4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내벽(A)에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부(220)의 단부가 내벽(A)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보강부(410)는 내벽(A)에 밀착되는 고정패널(412)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패널(412)에 형성되는 케이스홈(414a)을 포함할 수 있고, 케이스홈(414a)을 따라 연장되며 연결부(220)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재케이스(4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부(410)는 부재케이스(414)와 고정패널(41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416)을 포함할 수 있고, 부재케이스(414)의 둘레면에 일부분이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부(220)의 단부에 부재케이스(414)을 삽입하고,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418)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돌출홀(418a)을 통해 조임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부(220)의 일단에 제1 보강부(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보강부(410)를 연결부(220)의 일단에 고정시킨 후, 고정패널(412)을 내벽(A)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한 후에 고정패널(41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12a)을 이용해 내벽(A)에 접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제1 보강부(410)와 내벽(A)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가압력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부(220)의 단부가 내벽(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자는 손쉽게 별도의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고정패널(412)의 체결홈(412a)를 통해 내벽(A)에 체결시키면서 내벽(A)과 연결부(220)의 결합을 정확한 자리에 견고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보강부(430)는 연결부(220)의 타단을 구속하는 상단부(432)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220)의 타단과 다른 연결부(220)의 일단을 동시에 구속하도록 상단부(4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하단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430)는 상단부(432) 및 하단부(434)를 통해 삽입되는 연결부(220)가 안착되는 내부안착부(436)를 포함할 수 있고, 상단부(432)와 하단부(434)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단부(432)와 하단부(434)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4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220)와 내벽(A)이 밀착되어 가조립된 후에 작업자가 체결홈(412a)를 통해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내벽(A)에 고정패널(412)을 결합시키면 고정패널(412)이 내벽(A)에 결합되어 연결부(220)의 완전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단부(432) 및 하단부(434)에 삽입되는 연결부(220)의 단부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손쉽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다수 개의 연결부(220)가 제2 보강부(430)에 의해 연결될 때에 다수 개의 연결부(220)를 하나의 연결부(220)로 연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연결부(220)를 내벽(A)에 연결할 때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연결부(220)가 내벽(A)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 개의 연결부(220)를 이용할 때에도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부(220)를 내벽(A)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시킨 후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부(220)를 내벽(A)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부(220)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보강모듈(4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100: 수도 계량 장치
300: IoT 단말
700: 중앙 서버
900: 관리 서버
100: 수도 계량 장치
300: IoT 단말
700: 중앙 서버
900: 관리 서버
Claims (2)
-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 계량 장치;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수도 계량 장치를 흐르는 유체의 양을 측정한 측정값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측정데이터를 발생시키는 IoT 단말;
상기 IoT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IoT 단말에서 발생한 상기 측정데이터로부터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유체의 양을 분석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를 상기 수도 계량 장치 별로 나누어 누적 및 저장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수도 요금을 예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상기 검침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빅데이터(Big Data)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누수탐지를 포함한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문제를 인식하여 부가서비스를 생성하는 문제인식부; 및
상기 문제인식부에서 생성한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부가서비스를 협력하는 통신사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인식부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문제 중 하나인 누수를 탐지하는 기술로서 야간 최소유량 측정법을 채용하고,
상기 수도 계량 장치와 상기 IoT 단말의 사이에는 풍력이나 지진에 의하여 흔들림이 발생하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로부터 상기 측정데이터의 오류값 발생을 방지하는 단말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말고정부는,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IoT 단말을 단단하게 고정 가능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소재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각 양단이 서로 맞닿아 결합하여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위치하는 지지대;
일단이 상기 지지대가 위치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수도 계량 장치가 위치한 건물 내벽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
상기 지지대의 맞닿아 결합되는 양단을 상하로 관통하며 서로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위치된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의 양단을 조이면서 감쇄 크기를 조정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두 개가 접촉하는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위치되고, 풍력이나 지진에 의하여 상기 수도 계량 장치에 발생하는 흔들림을 마찰열로 소산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제3 지지대 및 제4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각 제1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 상기 제3 지지대 및 상기 제4 지지대의 양단이 서로 맞닿아 결합하여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부, 제2 결합부,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내지 상기 제4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 결합부 내지 상기 제4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지대 내지 상기 제4 지지대 중 적어도 두 개와 체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내지 상기 제4 연결부는,
타단이 상기 수도 계량 장치의 양단에 위치한 상기 건물 내벽에 각각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내지 상기 제4 결합부는,
인접한 상기 제1 지지대 내지 상기 제4 지지대 중 적어도 두 대를 맞닿아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 내지 상기 제4 연결부를 체결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내지 상기 제4 결합부는,
적층된 상기 감쇄부 및 상기 제1 지지대 내지 상기 제4 지지대를 조이면서 감쇄 크기 및 모우멘트를 조정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내지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건물 내벽과 각각 연결되는 경우, 상기 건물 내벽의 접촉 공간에 상기 감쇄부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는,
보강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보강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구속하여 상기 건물 내벽에 연결시키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타단을 구속하며, 다른 연결부의 일단과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건물 내벽에 밀착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되는 케이스홈;
상기 케이스홈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재케이스;
상기 부재케이스와 상기 고정패널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 및
상기 부재케이스의 둘레면에 일부분이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부재케이스를 삽입하고,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돌출홀을 통해 조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고정된 후, 상기 고정패널을 상기 건물 내벽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한 후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을 통해 상기 건물 내벽에 접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을 구속하는 상단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다른 연결부의 일단을 동시에 구속하며, 상기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하단부;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연결부가 안착되는 내부안착부; 및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265A KR102398675B1 (ko) | 2021-03-31 | 2021-03-31 |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265A KR102398675B1 (ko) | 2021-03-31 | 2021-03-31 |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8675B1 true KR102398675B1 (ko) | 2022-06-15 |
Family
ID=8198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265A KR102398675B1 (ko) | 2021-03-31 | 2021-03-31 |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867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547U (ko) * | 2016-04-05 | 2017-10-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Gis 탱크의 가스 게이지 지지구조 |
KR20200015954A (ko) * | 2018-05-30 | 2020-02-14 | (주)오픈오브젝트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수도계량기 검침 및 누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1
- 2021-03-31 KR KR1020210042265A patent/KR1023986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547U (ko) * | 2016-04-05 | 2017-10-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Gis 탱크의 가스 게이지 지지구조 |
KR20200015954A (ko) * | 2018-05-30 | 2020-02-14 | (주)오픈오브젝트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수도계량기 검침 및 누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 Domenico et al. | Improving the dynamic performance of base‐isolated structures via tuned mass damper and inerter devices: A comparative study | |
De Domenico et al. | Optimal design and seismic performance of tuned mass damper inerter (TMDI) for structures with nonlinear base isolation systems | |
Cardone et al. | Restoring capability of friction pendulum seismic isolation systems | |
Iervolino et al. | Markovian modeling of seismic damage accumulation | |
Chen et al. | Dynamic wind effects on buildings with 3D coupled modes: Application of high frequency force balance measurements | |
Cessford et al. | Monitoring options for visitor numbers in national parks and natural areas | |
US8121741B2 (en) | Intelligent monitoring of an electrical utility grid | |
Anajafi et al. | Inelastic floor spectra for designing anchored acceleration-sensitive nonstructural components | |
Moser et al. | Design and deployment of a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for the Dowling Hall Footbridges | |
US20120012544A1 (en) | Server rack | |
US8350719B2 (en) | Lid plug and bracket | |
Quaglini et al. | Total displacement of curved surface sliders under nonseismic and seismic actions: A parametric study | |
KR102398675B1 (ko) | IoT 디바이스 기반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 |
Chang et al. | Effects of urban development on future multi-hazard risk: The case of Vancouver, Canada | |
Fischer et al. | Spatio-temporal analysis of economic losses from tropical cyclones in affected provinces of China for the last 30 years (1984–2013) | |
Sungkono et al. | Evaluation of buildings strength from microtremor analyses | |
Guo et al. | A procedure for generating performance spectra for structures equipped with passive supplemental dampers | |
KR100643055B1 (ko) | 다짐도 관리 및 노상 지지력 평가 시스템 | |
KR20170016863A (ko) | 주행중인 차량의 계량 시스템용 로딩 플레이트 및 관련 구속 시스템 | |
Schmidt et al. | Searching for gravitational-wave signals from precessing black hole binaries with the GstLAL pipeline | |
Pozos-Estrada et al. | Serviceability design factors for wind-sensitive structures | |
Amditis et al. | An overview of MEMSCON project: An intelligent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fter-earthquake evaluation of concrete buildings | |
Ben-Haim | Reliability of vibrating structures with uncertain inputs | |
US7800981B2 (en) | High efficiency portable seismograph for measuring seismic tremor | |
Moris et al. | Wave–current impulsive debris loading on a coastal building arr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