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60B1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8660B1 KR102398660B1 KR1020200170801A KR20200170801A KR102398660B1 KR 102398660 B1 KR102398660 B1 KR 102398660B1 KR 1020200170801 A KR1020200170801 A KR 1020200170801A KR 20200170801 A KR20200170801 A KR 20200170801A KR 102398660 B1 KR102398660 B1 KR 1023986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holding part
- elastic holding
- extending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중에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근력강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strengthening member capable of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during walking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발등과 발목 부위을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甲皮)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신발창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신발의 내측 바닥면에 깔창을 깔거나 신발밑창과 뒤축 부분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및 발포 스폰지 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에어백(Air bag)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체를 신발창에 내장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들은 보행편의성을 제공할 뿐, 보행 중 착용자의 근력이 개입되는 것을 오히려 완화시키고 있어, 착용자의 근력향상에는 전혀 도움이 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착용 후 보행만으로도 착용자의 근육이 보행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착용자의 근력이 발달되도록 하는 신발이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shoes are worn to protect the feet of the human body, and are manufactured and marketed in a wide variety of shapes and types. However, in general, shoes have an upp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instep and ankle, and an upper that protects the sole of the foot while protecting the ground. It is composed of a sole that improves the walking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friction of In the case of such conventional shoes, in order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soles of the feet during walking, an insole is lai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 or the sole and heel part of the shoe are made of rubber and foamed sponge materials with excellent cushioning power, Alternatively, it is known that an elastic restoring member such as an air bag or a spring is built into the shoe sole. However, these conventional shoes only provide walking convenience and rather alleviate the involvement of the wearer's muscle strength during walking, so the reality is that they are not helpful at all in improving the wearer's muscle strength.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shoes that allow the wearer's muscles to actively intervene in the walking only after wearing and to develop the wearer's muscle str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행시에 신발 착용자가 보다 많은 근육이 사용되도록 유도하여 보행 중에 근력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nduce a shoe wearer to use more muscles during walking so that a strength exercise is performed while walk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발 내에서 대전체가 되는 근력강화부재를 접지하여 착용자에게 정전기 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event electrostatic discharge from occurring to a wearer by grounding a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that is an electrified body in a shoe.
본 발명은 보행 중에 착용자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중족지절과 발가락 사이 구간 또는 발가락 하부에 위치되고 발 볼 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유지부; 제1탄성유지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중족지절과 교차되는 방향인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족지절과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탄성유지부; 및 제2탄성유지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뒤꿈치 측으로 연장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근력강화부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s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wearer's muscle strength during walking,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locat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the toe or the lower toe and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ball;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positioned at a position facing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 second elastic holding par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and an elastic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lastic holding part to the heel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그리고, 제1탄성유지부, 연결부, 제2탄성유지부 및 탄성연장부는 탄성변형구간이 존재하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탄성연장부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접촉가능한 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the connecting part, the second elastic holding part and the elastically extending part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section, extend from the elastically extended part toward the ground,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 may be included.
또한, 방전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외부로의 노출을 통해 지면과 선접촉, 니들형으로 형성되어, 외부로의 노출을 통해 지면과 점접촉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외부로의 노출을 통해 지면과 면접촉 중 하나 이상의 접촉방식으로 지면과 접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is formed in a line contact with the ground through exposure to the outside, and is formed in a needle shape, and is formed in a point contact and a rectangle shape with the ground through exposure to the outside, so that the ground and the surface through exposure to the outside It may be grounded with the ground by one or more of the contact methods.
또한, 방전부는 탄성연장부 상에 형성되되, 탄성연장부의 연장구간과 발바닥의 장심부가 중첩되는 구간 내인 배치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is formed on the elastic extension, it may be formed in the arrangement section, which is within the section where the extension section of the elastic extension section and the long core of the sole overlap.
또한, 연결부는 복수 개 형성되고, 적어도 제1탄성유지부 및 제2탄성유지부 각각의 양단이 서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may be formed, and at leas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retaining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또한,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면, 제1탄성유지부와 제2탄성유지부 사이에서 직선형으로 복귀되도록 탄성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generated to return to a straight line between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and the second elastic holding part.
또한, 제1탄성유지부로부터 발가락 측으로 연장되고, 발가락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력을 제1탄성유지부 측으로 직접 전달하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extends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to the toe side, when pressed by the to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ressing part that directly transmits the pressing force to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side.
또한, 제1탄성유지부 및 제2탄성유지부는 외력에 의한 변형 시에 종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and the second elastic holding part are restor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발등을 감싸는 외피; 외피의 하방에 지면에 대응하는 밑창; 및 밑창 내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된 근력강화부재;를 포함하고, 근력강화부재는, 중족지절과 발가락 사이 구간 또는 발가락 하부에 위치되고 발 볼 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유지부; 제1탄성유지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중족지절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족지절과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탄성유지부; 및 제2탄성유지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뒤꿈치 측으로 연장되는 탄성연장부를 포함하는, 근력강화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된다.Integument that wraps around the instep; a sole corresponding to the ground below the outer skin; and a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retracted into the sole, wherein the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first elastic holding part locat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the toe or under the toe and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ball;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positioned at a position facing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a second elastic holding par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one or more connecting parts; And it is provided with a shoe comprising a muscle strengthening member comprising an elastic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lastic holding portion to the heel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밑창은, 외력의 미작용 시에 중족지절로부터 종방향으로 전방에 포함되는 면적이 지면에 면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e, the area included in the front longitudinally from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can be maintained in a surface contact state with the 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에 인입된 근력강화부재의 탄성에 의해 보행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저항력이 발생하여 보행시에 신발 착용자가 보다 많은 근육이 사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행중에 근력운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force transmitted to the user during walking is generated by the elasticity of the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ole to induce the wearer of the shoe to use more muscles while walking, so that the strength exercise is performed while walking. can make it happen
발가락들이 중족지절(MTP; metatarsophalangeal) 관절을 중심으로 발등방향인 발 위쪽으로 또는 발아래쪽으로 적절한 힘이 가해진채 젖혀 올라가거나 굽혀지게 되면, 이 5 개 발가락의 MTP 관절과 주변을 둘러싼 근육과 인대부위에는 더 적절한 강도의 자극이 가해짐과 동시에, 발 부분에서는 발등과 발바닥의 각종 발속근육들이 그리고 발꿈치 주변과 종아리 부분에서는 장딴지근, 가자미근, 정강이근 등의 근육들이, 그리고 허벅지 주변으로서는 넓다리 네갈래근, 뒤넙다리근, 엉덩허리근과 큰볼기근 등 역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더 자극을 받으면서 움직이게 된다. 종아리와 허벅지 및 엉덩이의 근육들은 보행시 사용되는 발부분의 근육들과는 항상 연관되어서 조화롭게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발의 근육이 평소보다 더 힘을 받아서 사용이 되어지면 다른 관련된 근육들도 더 한층 이용도가 활성화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When the toes are turned up or bent with an appropriate force appli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foot in the dorsal direction around the metatarsophalangeal (MTP) joint, the MTP joint of these five toes and the surrounding muscles and ligaments At the same time as stimulation of more appropriate intensity is applied, various instep muscles of the dorsum and sole of the foot in the foot area, the calf muscles, soleus muscle, and shin muscles in the area around the heel and calf, and quadriceps quadriceps muscles around the thigh , hamstrings,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aximus, etc., are also stimulated to move much more than if they were not. Since the muscles of the calves, thighs and buttocks are always connected and harmoniously used with the muscles of the foot part used during walking, when the muscles of the foot are used with more force than usual, the other related muscles are also more active. can be expected to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과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신발 내에서 대전체가 되는 근력강화부재에 방전부를 형성하여 보행시에 지면과 반복적으로 접지될 수 있게 하여 착용자에게 정전기 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scharge part on a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that becomes an electrified body in the shoe by friction generated with the wearer's foot so that it can be repeatedly grounded with the ground during walking, thereby generat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to the wearer. i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를 착용자의 발에 위치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가 지면에 대하여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밑창의 전면이 지면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밑창 중 중족지절로부터 전방측 면적만 지면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근력강화부재에 적용가능한 연결부의 다양한 예시를 도 5(a) 내지 도 5(d)를 통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방전부의 다양한 예시를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나타낸 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hoe including a muscle strengthen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uscle strengthen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earer's feet.
3 is a view showing a shoe including a muscle strengthen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scle strength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FIG. 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s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FIG. )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anterior area from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the s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5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connection part applicable to the muscle strengthe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S. 5 (a) to 5 (d).
6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S. 6 (a) to 6 (c).
7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pr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하며,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since these are only examples,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간단명료하게 전달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였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rts that do not appear to be of great help in simply and clearly convey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보므로 따라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지정되어질 수 있는 문제로 볼 수 있다.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definition may be specified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can be seen as a problem.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근력강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은, 착용자의 발과 발목은 물론 하지의 대다수 보행과 관련된 근력들에 운동부하를 유발시켜 보행을 통해 적절한 운동효과를 부여함에 있다.The muscle strengthe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duce an exercise load on the muscles associated with most gait of the lower extremities as well as the feet and ankles of the wearer, thereby imparting an appropriate exercise effect through gait.
종래의 운동화 등에는 보다 편한 보행만을 강조되어 제조된 나머지, 착용자의 각종 보행관련 근력들의 개입이 최소화되어 운동의 효과를 얻기가 다소 어려웠다.Conventional sports shoes and the like are manufactured by emphasizing only more comfortable walking, and the intervention of various types of walking-related muscle strength of the wearer is minimized, making it somewhat difficult to obtain the effect of exercise.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다양한 보행관련 근육들을 보행시에 개입하도록 하여 단순히 보행만으로도 착용자의 관련 근육들로 하여금 운동의 효과를 보도록 고안하였다. 이러한 효과 및 구성 등을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gait-related muscles of the wearer are intervened during walking, so that the relevant muscles of the wearer can see the effect of movement simply by walking. Such effects an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100)를 포함하는 신발(1)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도 1을 참조하면, 근력강화부재(100)를 포함하는 신발(1)은 발등을 감싸는 외피(10), 외피(10)와 결합되는 밑창(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밑창(20) 내부에 근력강화부재(100)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밑창(20)은 플라스틱, 섬유, 실리콘, 고무재, 우레탄 폼 등의 다양한 소재간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밑창(20)은 플렉시블한 질감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질감의 밑창(20) 내부에 인입된 근력강화부재(100)는 기 결정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적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예를 들면, 근력강화부재(100)는 탄성변형구간이 존재하는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지닌 비금속재의 강화플라스틱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탄성을 지닌 금속재인 근력강화부재(100)가 밑창(20)에 인입된 신발(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muscle
상기 근력강화부재(100)는 기본적으로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기본형태가 지면(3)으로부터 평행한 직선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직선방향 이외의 형태로 변형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력의 크기는 근력강화부재(100)의 두께, 소재 등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력강화부재(100)의 탄성력은 발의 볼 방향인 횡방향 단면의 단면적 넓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면적이 넓을수록 변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중 등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근력강화부재(100)가 결정될 수도 있다.The mus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100)를 착용자의 발에 위치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발(1)을 착용한 착용자의 발바닥(2)과 신발(1)에 내장된 근력강화부재(100)를 도시하여 각각의 위치가 서로 대응상태를 나타내었다.2 is a view showing that the
우선, 근력강화부재(100)는 제1탄성유지부(120), 제2탄성유지부(130), 연결부(110), 탄성연장부(140) 및 방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유지부(120)는 중족지절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발가락 및 중족지절 사이 구간 또는 발가락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발의 볼 방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탄성유지부(130)는 제1탄성유지부(120)와 중족지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족지절과 뒷꿈치 사이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muscle
상기 연결부(110)는 중족지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부(110)의 일단은 제1탄성유지부(120)에 연결되고, 타단을 제2탄성유지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탄성유지부(120)와 제2탄성유지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1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예시는 연결부(110)가 제1연결부(111), 제2연결부(112) 및 제3연결부(113)를 포함하는 타입이며 연결부(110)는 이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10)는 포함하며 하나만 포함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necting
한편, 연결부(110)는 중족지절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착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중족지절을 기준으로 전방은 지면(3)에 접촉된 상태고, 후방은 지변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중족지절에서 근력강화부재(100)가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휘어짐의 발생은 연결부(110)로부터 탄성복원력이 발생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착용자는 보행 중에 나아가려고 하는 방향으로의 걸음에 저항력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근육의 개입이 보행에 요구된다. 발근육은 물론이며, 발목, 종아리, 가자미근, 정강이,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엉덩이허리근 및 큰볼기근을 포함하는 하체근육이 보다 자연스럽고 적극적으로 보행에 개입되게 된다. 나아가 허리 등의 상반신의 일부 근육도 보조적으로 개입되며 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을 통해 근육의 사용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다양한 근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wearer generates resistance to a step in the direction he intends to advance while walking, so that relatively more muscle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walking. Not only the foot muscles, but also the lower body muscles including the ankle, calf, soleus muscle, shin, quadriceps femoris, gluteus maximus,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are more naturally and actively involved in gait. Furthermore, some muscles of the upper body, such as the back, may be involved and tensed as an auxiliary. Accordingly, various muscles can be activated by increasing the use rate of the muscles through walking.
또한, 제2탄성유지부(130)로부터 뒷꿈치로 연장되는 탄성연장부(140)에는 방전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연장부(140)는 제2탄성유지부(130)로부터 발바닥(2)의 장심부를 초과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방전부(150)가 형성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의 탄성연장부(140)와 상기 종방향으로의 장심부 형성구간 중 중첩되는 탄성연장부(140) 상의 구간이 방전부(150)가 형성되는 배치구간일 수 있다. 즉, 탄성연장부(140) 상에 위치되되, 장심부가 형성된 구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이는 방전부(150) 특성상, 밑창(20)의 저면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금속재인 방전부(150)에 접지력이 분배되면, 방전부(150)와 지면(3)이 접촉된 면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접지력이 밑창(20)과 지면(3) 사이의 접지력보다 낮기 때문에 접지력의 의존도가 낮은 장심부 측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을 의미한다. 발을 통해 발생되는 체압은 중족지절과 뒷꿈치에 상당부분이 발생하고 장심부는 가장 낮은 체압영역으로 형성되므로, 장심부 측에 금속재인 방전부(150)가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지면(3)과의 접촉을 이룸으로써 보행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100)를 포함하는 신발(1)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부재(100)가 지면(3)에 대하여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밑창(20)의 전면이 지면(3)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밑창(20) 중 중족지절로부터 전방측 면적만 지면(3)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side view of 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면(3)에 접촉되는 방전부(150)는 탄성연장부(14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신발(1)의 착용자가 보행을 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접촉과 이격이 수행됨으로써 접촉부(3')가 반복적으로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과 접촉은 중족지절 측의 관절움직임에 의한 것으로, 상기 관절움직임에 따라 중족지절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연결부(110)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탄성연장부(140)가 기 결정된 범위 내에서 회동각도(R)만큼 회동될 수 있다. 즉, 연결부(110)에 발생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착용자는 보행에 저항을 느끼게 된다.3 and 4 , the
한편, 보행 중 걸음을 단계적으로 구분하면, 뒤축딛기, 체중기, 중간디딤기, 발끝디딤기, 발끝떼기, 초기이동기 중간이동기 및 끝이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가 체중기가 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상태가 발끝디딤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간디딤기, 발끝디딤기, 발끝떼기 과정에서 발가락을 포함한 발에 직접적으로 운동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근육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을 유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ep during walking is divided into steps, it can be divided into heel step, weight scale, intermediate step, toe step, toe step, initial mover, intermediate mover, and end mover. The state shown in Fig. 4(a) may be a weight scale, and the state shown in Fig. 4(b) may be a toe stepp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more active muscle intervention by directly generating an exercise load on the foot including the toe during the intermediate stepping phase, the toe stepping phase, and the toe-off process.
도 5는 본 발명의 근력강화부재(100)에 적용가능한 연결부(110)의 다양한 예시를 도 5(a) 내지 도 5(d)를 통해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도 5(a)를 참조하면, 연결부(110a)가 하나인 실시예로서,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를 하나의 연결부(110a)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는 근력강화부재(100)의 소재 및 두께 등의 조건이 도 5에 도시된 예시들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탄성복원력이 가장 낮을 수 있다. 연결부(110a)는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 각각의 중앙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발가락 중 중지 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 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이는 연결부(110a)에 휘어짐(banding)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효과적으로 발생되기 위한 것이다. 즉, 연결부(110, 110a, 110b, 110c)의 수와 무관하게, 연결부(110, 110a, 110b, 110c)에 의해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가 연결되는 구조는 연결부(110, 110a, 110b, 110c)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to effectively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도 5(b)는 앞서 설명한 예시로서, 세 개의 연결부(110)를 포함하며 연결부(11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복수 개의 연결부(110)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부(110)의 휘어짐(banding) 시에 연결부(110)가 비대칭적인 경우 비틀림도 함께 발생하여 반복적인 신발(1) 사용에 의해 밑창(20)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110)는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와 연결시에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부(110)가 복수(複數)인 경우에는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5( b ) is an example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three
도 5(c)에 도시된 예시도 전술한 바람직한 연결부(110, 110a, 110b, 110c)의 배치요건을 충족하는 일 예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d)는 연결부(110c)가 5개 배치된 예시로서, 각 발가락(발가락이 5개인 일반적인 경우를 예로 함)의 수와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발가락의 위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개시한 예시들 가운데 가장 균등하게 탄성복원력을 전달할 수 있는 예시일 수 있다.The example shown in FIG. 5( c ) can also be said to be an example that satisfies the arrangement requirements of the above-described
한편, 상기 예시들의 제1탄성유지부(120) 및 제2탄성유지부(130)는 휘어짐(banding)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종방향의 휘어짐(banding)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연결부(110)와는 달리, 횡방향의 휘어짐(banding)으로부터 착용자에게 저항을 제공한다. 즉, 횡방향의 휘어짐(banding)에 대하여 본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탄성력이 발생된다는 것이며, 서로 연결된 제1탄성유지부(120), 제2탄성유지부(130) 및 연결부(110)는 이를 통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휘어짐(banding)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이 발생되어 본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도 6은 본 발명의 방전부(150)의 다양한 예시를 도 6(a) 내지 도 6(c)를 통해 나타낸 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방전부(150)의 접촉타입에 따른 각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지면(3)과 선(線)접촉될 수 있다. 본 예시는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은 타입으로서 지면(3)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한 방전부(150)이나 대부분 밑창(20)에 인입되어 지면(3)측 단부만 노출되므로, 선(線)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3)과의 선접촉을 통해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 이는 보행시 걸음마다 지면(3)과의 접촉을 통해 방전이 가능한 조건에서 방전이 수행되므로, 이후에 착용자와 신발(1) 간의 마찰로 인해 생기는 정전기가 체내에 머무르는 것을 접지시킴으로 해서 막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each example according to the contact type of the
도 6(b)의 경우 방전부(150a)가 일부만 돌출되어 점(點)접촉(상대적으로 좁은 면적과의 접촉)이 되도록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구조적으로 하중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장심부 내에서도 체압이 낮게 측정되는 지점에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탄성연장부(140)의 연장경로 상에 인접하여 마련되지 않더라도 방전부(150a)의 연장에 의해 노출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마련할 수 있다. 도 6(c)의 경우 면(面)접촉을 통해 방전을 수행하는 방전부(150c)의 예시이고, 면상으로 지면(3)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6(b) , only a part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16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a)는 근력강화부에 형성된 탄성가압부(160)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밑창(20)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탄성가압부(160)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근력강화부재(100)는 착용자의 발가락 측으로 제1탄성유지부(120)로부터 돌출된 탄성가압부(160)를 더 포함한다.7 (a) and 7 (b), the muscle
상기 탄성가압부(160)는 제1탄성유지부(120)에 별도로 부착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제1탄성유지부(120)를 일부 절곡하여 상향 돌출시켜 탄성가압부(160)로 구비할 수도 있다.The elastic
탄성가압부(160)는 방전을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일수단이며, 착용자의 발가락과 접촉되고, 도전체인 근력강화부재(100)는 정전기를 방전부(150)를 통해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밑창(20)에 인입된 제1탄성유지부(120)로부터 밑창(20)의 일부를 상방으로 관통하여 신발(1)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발가락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를 방출하기 위해 유도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The elastic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서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된다고 보아지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관련된 여러 사항들에 의해 균등타당하게 결정되어져야 할 사안으로 생각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it is considered as a matter that should be determined equally and justly by the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
1 : 신발
2 : 발바닥
3 : 지면
3' : 접촉부
10 : 외피
20 : 밑창
100 : 근력강화부재
110, 110a, 110b, 110c : 연결부
111 : 제1연결부
112 : 제2연결부
113 : 제3연결부
120 : 제1탄성유지부
130 : 제2탄성유지부
140 : 탄성연장부
150, 150a, 150b : 방전부
160 : 탄성가압부
S : 배치구간
A : 장심부
M : 중족지절
R : 회동각도1: Shoes
2: sole
3: ground
3': contact
10: integument
20: sole
100: muscle strengthening member
110, 110a, 110b, 110c: connection part
111: first connection part
112: second connection part
113: third connection part
120: first elastic holding part
130: second elastic holding part
140: elastic extension part
150, 150a, 150b: discharge part
160: elastic pressing part
S: Placement section
A: long core
M: metatarsophalangeal
R : rotation angle
Claims (5)
연결부(110)로부터 뒤꿈치 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된 탄성연장부(140);
가 포함되며,
연결부(1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중족지절(M)과 발가락 사이 구간 또는 발가락 하부에 위치되고 발 볼 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형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된 제1탄성유지부(120);
연결부(1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결부(110)와 탄성연장부(140)에 개재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형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구성된 제2탄성유지부(13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부재.
a connecting portion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M), positioned at a position facing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M)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as to be linearly restored when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 elastic extension 140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connector 110 toward the heel;
is include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110, locat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M) and the toes or under the toes and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hich is the ball direction of the foot, a first elastic holding part 120 configured to have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straight line;
a second elastic holding part 13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10 and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10 and the elastic extension part 14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straight line;
Any one or two of the muscle strengthen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제1탄성유지부(120), 상기 연결부(110), 상기 제2탄성유지부(130) 및 상기 탄성연장부(140)는 탄성변형구간이 존재하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140)로부터 지면(3)을 향해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면(3)과 접촉가능한 방전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120, the connecting part 110, the second elastic holding part 130 and the elastic extension part 14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section,
Muscle strengthening member comprising a; extending from the elastic extension (140) toward the ground (3),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3);
상기 제1탄성유지부(120), 상기 연결부(110), 상기 제2탄성유지부(130) 및 상기 탄성연장부(140)는 탄성변형구간이 존재하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유지부(120)로부터 발가락에 닿도록 연장 형성된 탄성가압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astic holding part 120, the connecting part 110, the second elastic holding part 130 and the elastic extension part 14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section,
Muscle strengthening member comprising a; elastic pressure portion (160)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portion (120) to touch the to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0801A KR102398660B1 (en) | 2020-12-08 | 2020-12-08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PCT/KR2021/018313 WO2022124721A1 (en) | 2020-12-08 | 2021-12-06 | Muscle strengthening member and shoes compri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0801A KR102398660B1 (en) | 2020-12-08 | 2020-12-08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8660B1 true KR102398660B1 (en) | 2022-05-17 |
Family
ID=8180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0801A KR102398660B1 (en) | 2020-12-08 | 2020-12-08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8660B1 (en) |
WO (1) | WO2022124721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6086A (en) | 2010-10-07 | 2012-04-17 | 백운학 | Gait correction and muscle-boosting shoes |
KR101408912B1 (en) * | 2014-03-21 | 2014-06-18 | 노태석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968B1 (en) * | 2006-05-19 | 2007-09-19 | 남정용 | Shoes for electrostatic prevention adhesive |
KR20090002730U (en) * | 2007-09-14 | 2009-03-18 | 김호현 | An insole with shank |
KR200444746Y1 (en) * | 2007-09-14 | 2009-06-02 | 김호현 | An insole with horseshoe-type shank |
KR200462766Y1 (en) * | 2010-02-23 | 2012-09-27 | 임재영 | The shank for insole |
-
2020
- 2020-12-08 KR KR1020200170801A patent/KR10239866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2-06 WO PCT/KR2021/018313 patent/WO202212472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6086A (en) | 2010-10-07 | 2012-04-17 | 백운학 | Gait correction and muscle-boosting shoes |
KR101408912B1 (en) * | 2014-03-21 | 2014-06-18 | 노태석 | Sports shoes for rope skipping having flat sp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24721A1 (en) | 2022-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04925B2 (en) | Active rolling walking equipment | |
KR101073810B1 (en) | Shoe sole with propelling function for impact dispersion and round walking | |
US20110252665A1 (en) | Soft and elastic shoe pad | |
KR20230014609A (en) | Tunable Reflective Footwear Technology | |
KR101047352B1 (en) | Shoe sole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resilience | |
US5704140A (en) | Training device | |
EP1830671A1 (en) | Rear balance walking shoes | |
KR200481847Y1 (en) |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 |
KR101136716B1 (en) | Shoe | |
KR100675816B1 (en) | A shoes for compensating the arch of foot | |
KR100940011B1 (en) | The Shoes which Disperses a Load | |
KR100872313B1 (en) | Insole and shank for shoe | |
KR102398660B1 (en) | Muscle reinforcement members and shoes comprising the same | |
JP3195381U (en) | Sandal board and sandals | |
KR20110112975A (en) | Sole of shoes | |
KR20100000799U (en) | The shoes bottom piece which has the bends which is identical with the sole of a foot structure of the person | |
JP3260668B2 (en) | Shoe sole | |
KR200341150Y1 (en) | Health shoes | |
KR101263614B1 (en) | Shoes | |
JP6721995B2 (en) | Method for training strength and footwear used therefor | |
KR102628685B1 (en) | Shoe insoles | |
KR200431327Y1 (en) | A footwear with springy device at outsole | |
KR200392873Y1 (en) | Footwear which improves exercise effect thru walking and promote your health | |
KR100979261B1 (en) | A running shoes for sports | |
KR100575138B1 (en) | A well-being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