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37B1 -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637B1
KR102398637B1 KR1020220014039A KR20220014039A KR102398637B1 KR 102398637 B1 KR102398637 B1 KR 102398637B1 KR 1020220014039 A KR1020220014039 A KR 1020220014039A KR 20220014039 A KR20220014039 A KR 20220014039A KR 102398637 B1 KR102398637 B1 KR 10239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filter media
tank
media layer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훈
Original Assignee
(주)대일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이앤지 filed Critical (주)대일이앤지
Priority to KR102022001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76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ration system, which is capable of being properly used for initial purific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omprises: a precipitation tank for precipitating contaminants in introduced rainwater outflow; and a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primary treated water provided from the precipitation tank in an up-flow filtration method. The precipitation tank includes: a baffle wall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outflow introduced from an inlet and allowing the stored rainwater outflow to have a predetermined residence period of time in the precipitation tank; and a column-shaped screen installed adjacent to a partition wall between the precipitation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in order to move the primary treated water precipitated in the precipitation tank to the filtration tank. The filtration tank includes: a filter media layer spaced apart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backwash air pipe buried inside the filter media layer to generate air bubbles for cleaning the filter media; a lower perforated plate installed on a lower supporter to support the filter media layer from the lower part; and an upper perforated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pporter and spaced upward apart from the filter media lay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자동 운영 시스템을 구비한 컴팩트 비점오염저감시설{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Compact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의 초기 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used for initial purification of a non-point pollution source.

환경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은 크게 오염물질의 배출지점이 명확한 점오염원(點汚染源)과, 오염물질의 배출지점이 유동적이고 분명하지 않은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점오염원은 폐수배출시설, 하수발생시설, 축사 등으로서 관거(管渠)나 수로 등을 통해 일정한 지점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지칭하고,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 장소에서 불규칙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지칭한다. Pollution sources that pollute the environment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point sources with a clear discharge point and non-point sources with fluid and unclear discharge points. A point source refers to a source that discharges pollutants to a certain point through a conduit or waterway, such as a wastewater discharge facility, sewage generation facility, or livestock house. It refers to a source that discharges pollutants irregularly in an unspecified place.

일반적으로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해 수집이 쉽고, 계절 등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점오염원은 상대적으로 관거나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 관리가 쉽게 이뤄질 수 있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지 않아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물환경보전법"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도시의 개발, 산업단지의 조성, 그 밖에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을 유발하는 사업장에 대해 비점오염원을 신고하고,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를 강제하고 있다.In general, point source pollutants are easy to collect because the discharge route of pollutants is clear. Therefore, the design and maintenance of a pipe or treatment facility can be relatively easy for a point source. On the other hand, non-point source pollutants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managing them because the discharge route of pollutants is not clear. Accordingly, in the current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reported to businesses that develop more than a certain size, industrial complexes, and other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the install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is mandatory. .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현재까지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0987316호는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의 등록특허는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우수에서 기름 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 포집하고, 다음 처리조에서 부유물질을 상향여과를 통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10-0991492호는 "다단 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의 등록특허는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의 분리시설을 설치하고, 다단 처리를 통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집수해 전량 여과하도록 구성되어, 정화 성능이나 수명을 향상시키고 있다.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so far. As an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0987316 discloses "a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apparatus and purification method of a combined oil-water separation and upward filtration method". The above registered patent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separate and collect oil components from rainwater flowing in from a rainwater pipe, and effectively treat suspended matter through upward filtration in the next treatment tank. As anothe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0991492 discloses "a natural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purification method through multi-stage treatment". The above registered patent is configured to install a separation facility for early rainwater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collect and filter the entire amount of rainwater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through multi-stage treatment, thereby improving purification performance and lifespan.

다만 현재까지도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개량된 형태의 비점오염저감시설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다.However, up to now,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have many problems, and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ore improved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continues.

등록특허 제10-0987316호(2010년 10월 6일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0987316 (registered on October 6, 2010) 등록특허 제10-0991492호(2010년 10월 27일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0991492 (registered on October 27, 20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점오염원의 초기 정화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initial purific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침전조와 여과조를 일체화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n which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are integ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조나 설치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수질변동에 대한 대응성을 강화하여 장기간 시설의 성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that can minimize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or installation costs, and strengthen the responsiveness to water quality fluctuations to properly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된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및 상기 침전조로부터 제공되는 일차처리수를 상향류 여과방식으로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유출수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우수유출수가 상기 침전조 내에서 소정의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는 도류벽; 및 상기 침전조에서 침전 처리된 일차처리수를 상기 여과조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 사이의 격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컬럼형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는, 상기 여과조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여재층; 상기 여재층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어 여과재의 세척을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역세공기배관; 하부받침대에 안착 설치되어 상기 여재층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타공판; 및 상부받침대에 안착 설치되되, 상기 여재층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상부타공판;을 포함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dimentation tank for precipitating pollutants in the introduced rainwater runoff; and a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provided from the settling tank by an upflow filtration method, wherein the settling tank temporarily stores stormwater effluent flowing in from the inlet, and the stored stormwater effluent is predetermined in the settling tank. a guiding wall to have a residence time; and a column-type screen installed adjacent to a partition wall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to flow the primary treated water precipitated in the settling tank to the filtration tank. Media lay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backwash pipe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media layer to generate bubbles for washing the filter media; a lower perforated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to support the filter media layer from the lower part; and an upper perforated plate sea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edestal, the upper perforated plat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ncluding a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침전조와 여과조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져, 보다 컴팩트한 설비 구현이 가능하고, 크기를 상당 부분 축소해 제조나 설치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are integrated, so that a more compact facility can be realized, and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can also be reduced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siz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여재층의 높이 조절기능을 통하여 수질 변동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함으로써 환경여건의 변화에 대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pond flexibly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by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respond to changes in water quality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filter media lay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역세척시 여재층의 충분한 유동공간을 확보해 여재층에 포함된 오염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여재층으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은 하부이송구 내지 역세척수배출도어를 통해 여과조 외부로 적절히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이송구는 여과조 내지 침전조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오염물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역세척수배출도어는 경사 배치된 구조를 통해 개폐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sufficient flow space of the filter media layer during backwashing to more reliably remov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filter media layer, and the pollutants detached from the filter media layer are removed from the lower transfer It may be proper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through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Here, the lower transfer port forms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or the settling tank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pollutants, and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can reduce malfunctions during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inclined structur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컬럼형스크린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역세척수배출도어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컬럼형스크린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타공판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타공판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역세공기배관의 확대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잠시설의 강우시 작동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역세척 공정시 작동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plan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
3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lumnar screen shown in FIG. 1 .
5 is an operation view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shown in FIG.
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lumn-type screen shown i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shown in FIG.
8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shown i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ck pore pipe shown in FIG.
10A and 10B are operational diagrams of the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y shown in FIG. 1 during rain.
11A and 11B are operational views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mponents or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하부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plan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 3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침전조(110) 및 여과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settling tank 110 and a filtration tank 120 .

침전조(110)는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침전조(110)는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을 침전시켜 처리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여과조(120)는 침전조(110)의 후단에서 일차처리수를 이차적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여과조(120)는 여과재(121a)를 통해 일차처리수 중의 오염물을 여과 처리할 수 있다.The sedimentation tank 110 may primarily treat contaminants in stormwater effluent. The settling tank 110 may be configured to precipitate and treat contaminants in stormwater effluent. The filtration tank 120 may secondary filtrate the primary treated water at the rear end of the settling tank 110 . The filtration tank 120 may filter contaminants in the primary treated water through the filter medium 121a.

본 실시예의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침전조(110) 및 여과조(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하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of this embodiment may have one feature in that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are integrally formed.

침전조(110) 및 여과조(120)는 하나의 구조물을 공유할 수 있고, 격벽(130)에 의해 구조물의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침전조(110) 및 여과조(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설치공간을 줄여 비용이나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공간적 제약으로 인한 여과나 역세척 성능의 확보는 후술할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들에 의해 적절히 이뤄질 수 있다.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may share a single structur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structure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30 , so that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formed. This type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can have an advantage in terms of cost or maintenance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other hand, filtration or backwashing performance due to space constraints can be ensured by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침전조(110)와 관련된 세부구성들을 살펴본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settling tank 110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침전조(11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침전조(110)는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된 바에 따르면 대체로 여과조(120) 대비 작은 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처리수의 특성이나 사용환경 등에 따라 침전조(110)의 크기나 비율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The settling tank 110 of this embodiment may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settling tank 110 is for primary treatment of relatively large contaminants, and as illustrated, generally forms an internal space of a smaller size than the filtration tank 1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ize and ratio of the settling tank 11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ated water or the use environment.

침전조(110)의 내부공간에는 유입된 우수유출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은 침전조(110)에 체류하는 동안 일부가 침전 분리될 수 있다. 침전조(110) 내부에는 오염물의 침전 등을 위한 적절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ttling tank 110 , the introduced rainwater runoff may be temporarily stored.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effluent may be partially precipitated and separated while staying in the settling tank 110 . Appropriate components for precipitation of contaminants, etc.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침전조(110)의 일측에는 유입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유입구(111)는 침전조(110)의 측벽 상단 부위에 배치되고 있다. 유입구(111)는 침전조(110)에 관통 형성되어 침전조(110) 내부로 우수유출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An inlet 111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ttling tank 110 . As illustrated, the inlet 111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settling tank 110 . The inlet 111 is formed through the settling tank 110 to introduce rainwater runoff into the settling tank 110 .

침전조(110)의 내부에는 도류벽(112)이 구비될 수 있다. 도류벽(112)은 침전조(110) 내부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침전조(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류벽(112)은 침전조(11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공간(S1)은 유입구(11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입구(111)로부터 공급되는 우수유출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공간(S1)에 저장된 우수유출수는 도류벽(112)을 따라 제2공간(S2)으로 유동될 수 있다.A guide wall 1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The guiding wall 112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ttling tank 110 . Specifically, the guiding wall 112 may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settling tank 110 into a first space S1 and a second space S2 . The first space S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111 to temporarily store rainwater runoff supplied from the inlet 111 . Rainwater runoff stored in the first space S1 may flow to the second space S2 along the guiding wall 112 .

도류벽(112)에는 도류벽지지대(112a)가 설치될 수 있다. 도류벽지지대(112a)는 도류벽(112)의 상단과 침전조(11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도류벽(112)을 지지할 수 있다. 도류벽지지대(112a)는 처리수에 의한 지속적인 수압으로 인해 도류벽(112)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류벽지지대(112a)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도류벽(112)을 따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 guide wall support 112a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wall 112 . The guiding wall support 112a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guiding wall 112 and the inner wall of the settling tank 110 to support the guiding wall 112 . The guiding wall support 112a can prevent the guiding wall 112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due to continuous water pressure by the treated water. If necessary, a plurality of guide wall supports 112a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wall 112 .

침전조(110) 내부의 제2공간(S2)에는 정체수배수펌프(113) 및 정체수배출배관(113a)이 구비될 수 있다. 정체수배수펌프(113)는 제2공간(S2)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공간(S2)에서 정체되어 있는 처리수를 정체수배출배관(113a)으로 가압 이송할 수 있다. 정체수배출배관(113a)은 정체수배수펌프(113)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정체수배수펌프(113)로부터 제공되는 처리수를 상부로 이송해 배출시킬 수 있다.A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and a stagnant water discharge pipe 113a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S2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The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pace S2 to pressurize and transfer the treated water stagnant in the second space S2 to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pipe 113a.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pipe 113a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 and the treated water provided from the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can be transported upward and discharged.

침전조(110)의 상부에는 침전조점검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침전조점검구(114)는 침전조(110)의 내부 점검을 위해 작업자 등이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settling tank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ttling tank check hole 114 . The settling tank inspection port 114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n operator or the like can access for internal inspection of the settling tank 110 .

침전조(110) 내부의 제2공간(S2)에는 컬럼형(column type)스크린(115)이 구비될 수 있다. 컬럼형스크린(115)은 격벽(1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럼형스크린(115)은 제2공간(S2)의 일차처리수가 여과조(120)로 유동될 수 있는 이송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 column type screen 115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S2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The columnar screen 11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130 . The columnar screen 115 may provide a transport path through which the primary treated water in the second space S2 may flow to the filtration tank 120 .

본 실시예의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상기와 같은 컬럼형스크린(115)의 구성에 있어 하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 4와 관련해 부연하기로 한다.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of this embodiment may have one characteristic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lumn-type screen 115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를 구획하는 격벽(130)에는 하부이송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이송구(131)는 격벽(130) 하단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침전조(110)와 여과조(120) 사이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컬럼형스크린(115)의 내부로 유입된 일차처리수는 컬럼형스크린(115)의 하단에서 하부이송구(131)를 통해 여과조(120)로 제공될 수 있다.A lower transfer port 131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30 dividing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lower transfer port 131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passage between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primary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may be provided to the filtration tank 120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115 .

바람직하게 하부이송구(131)는 침전조(110) 및 여과조(120)의 내측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침전조(110)와 여과조(12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역세척 모드로의 작동시 오염물의 원활한 이송 및 배출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10과 관련해 부연하기로 한다.Preferably, the lower transfer port 131 may be formed through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inner bottom surfaces of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smooth transfer and discharge of contaminants during operation in the backwashing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여과조(120)와 관련된 세부구성들을 살펴본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filtration tank 120 will be described.

전술한 침전조(110)와 유사하게, 여과조(12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과조(120)의 내부에서는 침전조(110)로부터 유입된 일차처리수가 저장되며 여과 처리될 수 있다. 일차처리수는 하부이송구(131)를 통해 여과조(120)로 유입될 수 있다. 침전조(110)의 경우 오염물을 침전시켜 제거하는데 반해, 여과조(120)에서는 여과재(121a)를 통해 오염물을 여과 처리해 제거할 수 있다.Similar to the settling tank 110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tank 120 may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In the interior of the filtration tank 120, the primary tre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settling tank 110 may be stored and filtered.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120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 In the case of the sedimentation tank 110, contaminants are precipitated and removed, whereas in the filtration tank 120, the contaminants can be removed by filtration through the filter medium 121a.

여과조(120)의 내부에는 여재층(121)이 구비될 수 있다. 여재층(121)은 여과조(12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재층(121)은 대체로 하부이송구(131)가 형성된 영역(높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하부이송구(131)를 통한 처리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A filter media layer 1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filter media layer 12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lter media layer 121 may be generally disposed above the area (height) in whic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is formed. This is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treated water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

여재층(121)은 다수의 여과재(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여재층(121)은 침전조(110) 내부의 소정 영역에 채워진 다수의 여과재(121a)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과재(121a)는 폴리에스테르를 재질로 포함하는 섬유상의 여과재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여과재(121a)는 대체로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여과재(121a)는 대략 20~25mm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 여과재(121a)의 재질이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과재(121a)는 공지된 다양한 재질이나 형상의 여과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edia layer 1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 media 121a. That is, the filter media layer 121 may b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 media 121a filled in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The filter medium 121a may be formed of a fibrous filter material containing polyester as a material. In addition, the filter medium 121a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medium 121a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20 to 25 mm.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filter medium 121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filter medium 121a may include a filter medium of various known materials or shapes.

여과재(121a)는 물보다 소정 정도 높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재(121a)는 처리수 중에서 침지되어 소정의 여재층(121)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여재층(121)을 일부 부유시켜 포집된 오염물을 배출 및 제거하게 되므로, 여과재(121a)가 지나치게 높은 비중을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여과재(121a)는 1.2~1.5의 비중을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4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여과재(121a)가 1.2 이하의 비중을 갖는 경우 처리수 중에서 적절한 침지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1.5 이상의 비중을 갖는 경우 여과재(121a)의 부유 및 세척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The filter medium 121a may have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water. Accordingly, the filter medium 121a may be immersed in the treated wat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filter medium layer 121 . However, since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of this embodiment discharges and removes the collected contaminants by partially floating the filter medium layer 121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filter medium 121a has an excessively high specific gravity. Accordingly, the filter medium 121a may have a specific gravity of 1.2 to 1.5, and more preferably, a specific gravity of 1.3 to 1.4. When the filter medium 121a has a specific gravity of 1.2 or less,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n appropriate immersion state in the treated water, and when the filter medium 121a has a specific gravity of 1.5 or more, floating and washing effects of the filter medium 121a may be reduced.

한편 침전조(110) 내부에는 여재층(121)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타공판(122) 및 하부타공판(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타공판(122) 및 하부타공판(123)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여재층(121)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n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a lower perforated plate 123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media layer 1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media layer 121 .

여과조(120)의 면적에 따라 상부타공판(122) 및 하부타공판(123)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부타공판(122)은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여재층(121) 상부에서 하나의 횡방향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하부타공판(123)은 횡방향으로 경합되어, 여재층(121) 하부에서 하나의 횡방향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lower perforated plate 123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plurality of upper perforated plates 122 may be comb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transverse support surfa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 Similarly, the plurality of lower perforated plates 123 may compe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one transverse support surface under the filter media layer 121 .

상부타공판(122)은 여재층(121) 상부에 배치된 상부받침대(124)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부받침대(12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의 형태를 가지고, 여과조(12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타공판(122)의 크기나 개수에 따라 상부받침대(12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부받침대(124)는 상부타공판(122)을 하부에서 적절히 지지하거나 위치 규제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고, 반드시 예시된 바의 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ay be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upper support 124 disposed on the filter media layer 121 . The upper support 124 has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in the filtration tank 1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lurality of upper supports 12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r number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 However, as long as the upper support 124 can properly support or position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from the lower par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of the illustrated bar.

상기에서 본 실시예의 상부타공판(122)은 상부받침대(124)에 의해 하방으로의 위치가 규제되나, 상측으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하나의 특징을 갖는다.In the above,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of this embodiment has one feature in that the posi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upper support 124, but is not fixed upward.

즉, 상부타공판(122)은 자중에 의해 처리수 내에서 침지되어, 상부받침대(124)에 안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작동 상태에서 상부타공판(122)은 여재층(121)과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여과재(121a)의 보충이나, 여재층(121)의 세척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과 관련해 부연하기로 한다.That is,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ay be immersed in the treated water by its own weight, and may be dispos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pport 124 . Also, as shown in FIG. 1 , in a general operating state,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ay be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lter media layer 1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supplement the filter medium 121a or to consider the cleaning of the filter medium layer 121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부타공판(122)과 유사하게, 하부타공판(123)은 여재층(121) 하부에 배치된 하부받침대(125)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하부받침대(125)는 여과조(120) 내부에서 횡방향 배치된 바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Similar to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may be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lower support 125 disposed under the filter media layer 121 . The lower support 125 may have a shape of a bar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filtration tank 120 ,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하부타공판(123)은 하부받침대(125)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상부타공판(122)과 상이하게 하부타공판(123)은 하부받침대(125)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하부타공판(123)은 여재층(121)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어느 경우에나 하부타공판(123)은 대체로 고정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may be disposed to be seated on the lower support 125 . Alternative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upper perforated plate 122 ,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125 . However, in general, since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is pressed downward by the filter media layer 121, in any case,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can be generally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한편 여재층(121)의 하부에는 역세공기배관(126)이 구비될 수 있다. 역세공기배관(126)은 역세척 동작시 여과재(121a)로부터 오염물을 탈리시키기 위해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back pore pipe 126 may be provided under the filter media layer 121 . The backwash air pipe 126 may discharge air to desorb contaminants from the filter medium 121a during backwashing.

여기서 본 실시예의 역세공기배관(126)은 여재층(1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점에서 하나의 특징을 갖는다.Here, the back pore pipe 126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feature in that it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media layer 121 .

즉, 역세공기배관(126)은 하부타공판(123)의 상측에서, 여재층(121)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역세공기배관(126)은 여재층(121)의 내부에서 오염물의 탈리를 위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back pore pipe 126 may be disposed above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to be buried in the filter media layer 121 . The back-fine air pipe 126 may discharge air for desorption of contaminants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medium layer 121 .

상기와 같은 역세공기배관(126)의 배치는 여재층(121) 내부로 직접 공기를 배출해 오염물의 탈리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역세공기배관(126)이 여재층(121) 내부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여재층(121)으로부터 떨어지는 오염물에 의해 역세공기배관(126)이 막히는 현상을 일부 방지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backwash pipe 126 as described above directly discharges air into the filter media layer 121 to increase the desorption effect of contaminants. In addition, since the back pore pipe 126 is buried inside the filter media layer 121 , it is possible to partially prevent the back pore pipe 126 from being blocked by contaminants falling from the filter media layer 121 .

부연하면, 종래 일반적인 경우 역세공기배관은 여재층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역세공기배관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여재층의 내부가 적절히 침투되지 못하고, 여재층의 외부 표면으로만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여재층으로부터 오염물이 떨어져 나와 역세공기배관에 그대로 적층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오염물이 역세공기배관의 배출홀을 막아 역세 공기가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고, 역세척시 세척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general case of the related art, the back pore pipe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lter media lay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cas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ackwash pipe may not properly penetrate the in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but may be supplied on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media lay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aminants are separated from the filter media layer and are directly stacked on the backwash pipe. In this case, the contaminants block the discharge hole of the backwash pipe, so that the backwash air cannot be properly discharged, an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leaning effect is lowered during backwashing.

본 실시예의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역세공기배관(126)을 여재층(121)에 내부에 배치하고, 후술할 바와 같은 역세공기배관(126)의 토출구(126c) 설계를 통해 상기의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 즉, 역세공기배관(126)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여재층(121) 내부에 효과적으로 침투되어 오염물의 탈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탈리된 오염물로 인해 역세공기배관(126)이 막히는 현상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도 9를 참조해 부연하기로 한다.I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of this embodiment, the back pore pipe 126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media layer 121, and the discharge port 126c of the back pore pipe 126 as will be described later is designed through the above problem. can be largely solved.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ackwash air pipe 126 can effectively penetrate the in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to improve the desorption effect of contaminants, and the clogging of the backwash pipe 126 due to the desorbed contaminants can also be minimized. ca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여과조(120) 외부에는 블로워(127)가 구비될 수 있다. 블로워(127)는 역세공기급관(127a)을 통해 역세공기배관(126)으로 역세척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공기는 역세공기배관(126)을 통해 여과조(120) 내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A blower 127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blower 127 supplies air for backwashing to the backwash pipe 126 through the backwash air supply pipe 127a, and the supplie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120 through the backwash pipe 126. there is.

여과조(120)의 일측에는 유출구(128)가 구비될 수 있다. 유출구(128)는 여재층(1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여재층(121)을 거쳐 나온 처리수를 설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An outlet 128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outlet 128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a layer 121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여과조(120) 상부에는 여과조점검구(129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과조점검구(129a)는 여과조(120)의 내부 점검을 위해 작업자 등이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A filter tank check hole 129a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filter tank inspection port 129a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 worker or the like can access for internal inspection of the filter tank 120 .

또한 여과조(120)의 외부에는 제어반(129b)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반(129b)은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침전조(110)나 여과조(120)의 수위, 운전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어반(129b)은 자동운전기능을 갖추고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무인으로 자동제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반(129b)은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의 제어나 정보 표시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panel 129b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ltration tank 120 . The control panel 129b may control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as a whole, and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water level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ttling tank 110 or the filtration tank 120 . If necessary, the control panel 129b may have an automatic operation function and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unmanned.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29b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control or information display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컬럼형스크린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컬럼형스크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의 (b)는 컬럼형 스크린의 개략적인 후면도, 도 4의 (c)는 컬럼형 스크린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lumnar screen shown in FIG. 1 . Fig. 4(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columnar screen, Fig. 4(b) is a schematic rear view of the columnar screen, and Fig. 4(c)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columnar screen.

도 4를 참조하면, 컬럼형스크린(115)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컬럼(column)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럼형스크린(115)의 상단에는 소정 영역 타공컬럼(115a)이 구비될 수 있다. 타공컬럼(115a)은 침전조(110) 내부의 일차처리수를 컬럼형스크린(115)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lumnar screen 1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n internal space. A predetermined area perforated column 115a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115 . The perforated column 115a may introduce the primary treated water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

상기와 같은 일차처리수의 유입을 위해, 타공컬럼(115a)에는 복수의 제1홀(115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홀(115b)은 타공컬럼(115a)의 전영역에 걸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홀(115b)은 제1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제1홀(115b)은 20~3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홀(115b)은 대체로 후술할 상부타공판(122) 또는 하부타공판(123)에 형성된 제3홀(122b)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ntroduce the primary treated water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irst holes 115b may be formed through the perforated column 115a. The first hole 115b may b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ver the entire area of the perforated column 115a. Also, the first hole 115b may have a first diamete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hole 115b may have a diameter of 20 to 30 mm. The first hole 115b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rd hole 122b formed in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or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컬럼형스크린(115)의 하단 일측에는 역세척수배출구(115c)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는 반대편에는 역세척수유입구(115d)가 형성될 수 있다. 역세척수배출구(115c)는 침전조(110) 내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고, 역세척수유입구(115d)는 여과조(120) 또는 하부이송구(131)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역세척수유입구(115d)는 하부이송구(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역세척시 하부이송구(131)를 통해 제공되는 세척수가 역세척수유입구(115d)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backwash water outlet 115c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115 . A backwash water inlet 115d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corresponding to this. The backwash water outlet 115c may be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ttling tank 110 , and the backwash water inlet 115d may be disposed toward the filtration tank 120 or the lower transfer port 131 . Preferably, the backwash water inlet 115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transfer port 131 . This is to allow the washing water provided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to smoothly flow into the backwash water inlet 115d during backwashing.

또한 컬럼형스크린(115)은 역세척수배출구(115c)를 개폐시키는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를 구비할 수 있다.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상단이 컬럼형스크린(115)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역세척수배출구(115c)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umnar screen 115 may include a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that opens and closes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port 115c.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may have an upper end hinge-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ar screen 115, and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to open or close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port 115c.

여기서 본 실시예의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폐쇄 상태에서 침전조(110) 내부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하나의 특징을 둔다.Here,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of the settling tank 110 in a closed state, and has one feature.

구체적으로 컬럼형스크린(115)의 하단에는 침전조(110)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하단경사면(115f)이 구비될 수 있다. 하단경사면(115f)은 바닥면과 대략 50~70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역세척수배출구(115c)는 이러한 하단경사면(115f)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상단이 힌지 결합된 형태로 이러한 하단경사면(115f)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폐쇄 상태에서 하단경사면(115f)과 대응되는 소정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115, a lower inclined surface 115f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settling tank 110 may be provide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may exten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50 to 70 degrees with the floor surface. The backwash water outlet 115c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and the backwash water outlet door 115e may be seated and disposed 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in a hinged upper end. Accordingly,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may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in the closed stat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역세척수배출도어의 작동도이다.5 is an operation view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shown in FIG.

도 5의 (a)는 통상적인 여과 작동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경우 우수유출수는 침전조(110)에 체류되고, 우수유출수의 수압(P1)에 따라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침전조(110) 내부의 일차처리수는 컬럼형스크린(115) 상단의 타공컬럼(115a)을 통해 컬럼형스크린(11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컬럼형스크린(115) 내부로 유입된 일차처리수는 컬럼형스크린(115) 하단의 역세척수유입구(115d)와 하부이송구(131)를 통해 여과조(120)로 공급될 수 있다.Figure 5 (a) shows the operating state during a typical filtra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rainwater runoff is retained in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backwash water outlet door 115e can be kept closed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P1 of the rainwater runoff. Therefore, the primary treated water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through the perforated column 115a at the top of the columnar screen 115 . In addition, the primary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may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tank 120 through the backwash water inlet 115d and the lower transfer port 131 at the bottom of the columnar screen 115 .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에서, 하단경사면(115f) 또는 이에 대응되게 경사 배치된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우수유출수의 수압(P1)을 통해 적절히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역세척수배출도어(115e)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침전조(110) 내부의 수압(P1)이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역세척수배출도어(115e)가 하단경사면(115f)에 밀착되며 보다 완전하게 폐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the oper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or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slanted to correspond thereto can properly maintain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P1 of the rainwater runoff. That is, as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s inclined, the water pressure P1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presses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n the closing direction, thereby causing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and can be maintained in a more completely closed state.

상기와 관련해 부연하면, 역세척수배출도어의 배치에 있어 보다 일반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방식은 수직방향으로의 배치이다. 즉, 컬럼형스크린을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 형성하고, 그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 개폐식의 역세척수배출도어를 부가하는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침전조 내부의 수압이 역세척수배출도어에 직접적으로 작용되지 못해 견고한 폐쇄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To elaborate on the above, a more generally conceivable way of disposing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column-type screen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inged opening-and-closing typ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dded to the lower end thereof. However,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settling tank does not act directly on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so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olid closed state.

본 실시예의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하단경사면(115f)을 통해 폐쇄상태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수압(P1)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보다 견고한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so that the water pressure P1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and a more rigid closed state can be maintained.

한편 하단경사면(115f)은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로 침강되는 오염물을 하측으로 이송 유도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즉, 상부로부터 침강되는 오염물은 하단경사면(115f)에 의해 유동 안내되면서 하단경사면(115f) 전방의 바닥면에 퇴적(P2)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역세척수배출도어(115e)의 개방 동작과도 관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may have a function of transporting and guiding the contaminants settling through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to the lower side. That is, the contaminants settling from the upper part may be deposited (P2) on the bottom surface in front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while flowing and guided by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This is also related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의 (b)는 역세척수배출도어(115e)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역세척 모드에서 적절히 개방되어 여재층(121)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물질 등을 침전조(110)로 유입시킬 수 있다.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s opened.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may be properly opened in the backwash mode to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etc. separated from the filter media layer 121 into the settling tank 110 .

구체적으로 정체수배수펌프(113)에 의해 여과조(120)에서 침전조(110)를 향한 유동 흐름이 조성되면,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전술한 폐쇄 상태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역세척수배출구(115c)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조(120) 내부의 세척수가 하부이송구(131), 역세척수유입구(115d) 및 역세척수배출구(115c)를 거쳐 침전조(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하부이송구(131) 내지 역세척수배출구(115c)는 바닥면을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되어, 침전조(110)로의 세척수 유입이 보다 원활히 이뤄질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flow flow from the filtration tank 120 toward the settling tank 110 is created by the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rotates around the hinge in the closed state described above, and the backwash water The outlet 115c may be opened.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ttling tank 110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 the backwash water inlet 115d and the backwash water outlet 115c . Here, the lower conveying port 131 to the backwashing water outlet 115c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lo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flow more smoothly into the settling tank 110 .

또한 상기에서 역세척수배출도어(115e)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퇴적물(P2)로 인한 도어 폐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4의 (a)와 같이 퇴적물(P2)은 하단경사면(115f)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되어 퇴적되고,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경사 배치된 초기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바, 퇴적물(P2)로 인해 역세척수배출도어(115e)의 개방이 제한되지 않고, 원활한 개방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적층된 퇴적물(P2)은 세척수의 유동에 따라 적절히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s inclined in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closing phenomenon due to the deposit P2. That is, as shown in FIG. 4 (a), the sediment P2 is guided forward by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to be deposited, and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s rotated upward from the initial state in which it is inclined and is opened. As a result, the opening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is not limited due to the sediment P2, and a smooth opening operation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sediment P2 deposited in the front can be properly rem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상기와 관련해 부연하면, 역세수배출도어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침전조 내부의 퇴적물은 직접적으로 역세척수배출도어의 직하단에 적층되게 된다. 따라서 적층된 퇴적물이 역세척수배출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역세척수배출도어의 개방이 적절히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To elaborate on the above, when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diment inside the settling tank is directly stack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Accordingly, the stacked sediment limits the opening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and accordingly,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may not be properly opened.

본 실시예의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하단경사면(115f)을 통해 역세척수배출도어(115e)의 전방에 퇴적물(P2)이 적층되도록 유도하고, 역세척수배출도어(115e)가 개방되는 회동 궤적에 변화를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of this embodiment induces the sediment P2 to be stacked in front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through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and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being opened. By changing the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컬럼형스크린의 변형예이다.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lumn-type screen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컬럼형스크린(215)은 탈착 가능한 형태의 타공컬럼(215a)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의 타공컬럼(215a)은 상하가 개발된 덕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컬럼(215a)의 측면에는 제1홀(215b) 및 제2홀(215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215b)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타공컬럼(215a)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일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홀(215c)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2홀(215c)과 대응되도록 타공컬럼(215a)의 중심선(L1)을 기준으로 반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선(L1)에 대응되는 타공컬럼(215a)의 내측 둘레면에는 타공컬럼(215a)의 상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리브(215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리브(215d)의 상면 및 저면에는 적절한 실링구조나 패킹이 부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lumnar screen 215 of this modified example may include a perforated column 215a in a detachable form. Specifically, the perforated column 215a of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uct with upper and lower sides developed. A first hole 215b and a second hole 215c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A plurality of first holes 215b may be formed, and may be disposed in one area based on the center line L1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A plurality of second holes 215c may be formed, and may be disposed in an area opposite to the center line L1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to correspond to the second hole 215c. A rib 215d for regula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corresponding to the center line L1. In addition, an appropriate sealing structure or packing may be ad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ibs 215d as needed.

상기에서 제1홀(215b) 및 제2홀(215c)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홀(215b)은 제2홀(215c)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공컬럼(215a)의 일측 영역에서는 소정 직경을 가진 제1홀(215b)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고, 그 반대측 영역에서는 그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2홀(215c)이 복수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irst hole 215b and the second hole 215c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the first hole 215b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hole 215c. Accordingly, a plurality of first holes 215b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may be penetrated in one region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215c having a larger diameter may be penetrated in an opposite region.

본 변형예의 타공컬럼(215a)은 운전환경 등에 따라 타공컬럼(215a)의 홀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데 특징을 둔다.The perforated column 215a of this modif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size of the perforated column 215a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etc.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컬럼(215a)은 제1홀(215b)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컬럼형스크린(215)의 상단에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차처리수는 제1홀(215b)을 통해 컬럼형스크린(215) 내부로 유입되며 이차 처리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6 , the perforated column 215a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215 so that the first hole 215b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is case, the primary treat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lumn-type screen 215 through the first hole 215b, and can be treated secondary.

대안으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컬럼(215a)은 제2홀(215c)이 상측에 배치되도록 컬럼형스크린(215)의 상단이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차처리수는 제2홀(215c)을 통해 컬럼형스크린(21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2홀(215c)이 제1홀(215b) 대비 큰 직경을 가진 경우 타공컬럼(215a)은 전술한 작동예 대비 보다 큰 크기의 이물질을 컬럼형스크린(215)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전환경 등에 따라 제1홀(215b) 또는 제2홀(215c)의 적절한 여과도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6 , the perforated column 215a may be used by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215 so that the second hole 215c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is case,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umnar screen 215 through the second hole 215c. As illustrated, when the second hole 215c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215b, the perforated column 215a can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having a larger size than that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example into the columnar screen 215. can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nd use an appropriate filtration degree of the first hole 215b or the second hole 215c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타공판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상부타공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의 (b)는 상부타공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의 (c)는 상부타공판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7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shown in FIG. Fig. 7 (a)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erforated plate is combined, Fig. 7 (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and Fig. 7 (c) show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타공판(122)의 구성은 하부타공판(123)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similarly applied to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

도 7을 참조하면, 상부타공판(122)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폭을 가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부타공판(12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상부타공판(122)이 상호 연결 설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상부타공판(122)이 연결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If necessary, a plurality of upper perforated plates 12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upper perforated plates 12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plane.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1 , in this embodiment, eight upper perforated plates 12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필요에 따라 인접한 한 쌍의 상부타공판(122)은 힌지부(122a)를 통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한 쌍의 상부타공판(122)이 인접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한 쌍의 상부타공판(122)이 전후방향의 힌지축을 갖는 힌지부(122a)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우로 배치된 복수의 상부타공판(122)은 힌지부(122a)를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동되어 그 배치형태가 가변될 수 있다. 이는 역세척 동작시 상부타공판(122)의 이동과 관련해 부연하기로 한다.If necessary, a pair of adjacent upper perforated plates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portion 122a.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upper perforated plates 12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and a pair of adjacent upper perforated plates 122 are hinged to each other by a hinge portion 122a having a hinge 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doing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upper perforated plates 122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may be rotated to a predetermined degree about the hinge portion 122a so that the arrangement shape thereof may be varied. This will be amplified in relation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during the backwashing operation.

상부타공판(122)에는 복수의 제3홀(122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3홀(122b)은 처리수의 유출입을 위한 것으로, 상부타공판(122)의 전영역에 걸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홀(122b)은 제3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3홀(122b)은 전술한 컬럼형스크린(115)의 제1홀(115b)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제3홀(122b)은 5~15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A plurality of third holes 122b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 The third hole 122b is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treated water,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ver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 Also, the third hole 122b may have a third diameter. The third hole 122b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hole 115b of the above-described columnar screen 115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one embodiment, the third hole 122b may have a diameter of 5 to 15 mm.

상부타공판(122)은 양단부에 측단절곡부(122c)를 구비할 수 있다. 측단절곡부(122c)는 상부타공판(122)의 주면(main surface)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된 수직절곡부(122d)와, 수직절곡부(122d)의 하단에서 상부타공판(122)의 중앙을 향해 다시 절곡된 수평절곡부(122e)로 이뤄질 수 있다. 측단절곡부(122c)는 상부타공판(122)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단절곡부(122c)는 상부타공판(122)의 주면이 상부받침대(124)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받침대(124)에 의한 제3홀(122b)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ay have side-cut bent portions 122c at both ends. The side bent portion 122c is a vertical bent portion 122d bent downward from the main surfac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ent portion 122d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gain. It may be made of a bent horizontal bent portion (122e). The side bending portion 122c can secur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prevent deformation. In addition, the side bending portion 122c allows the main surfac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pport 124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third hole 122b by the upper support 124 .

상부타공판(122)의 중앙에는 중심보강바(122f)가 구비될 수 있다. 중심보강바(122f)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부타공판(122)의 중앙에서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중심보강바(122f)는 대략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다. 중심보강바(122f)는 측단절곡부(122c)와 함께 상부타공판(122)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A center reinforcing bar 122f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 The center reinforcing bar (122f) has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back and forth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The center reinforcing bar 122f of this embodiment is exemplified in a substantially square pipe shape. The center reinforcing bar 122f may contribute to secur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together with the side bent portion 122c.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심보강바(122f)는 상부타공판(122)의 적절한 중량을 확보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상부타공판(122)은 여과 작동시에는 상부받침대(124)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되고, 역세척 작동시에는 상부받침대(124)로부터 이탈되어 소정 정도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타공판(122)은 하강 또는 상승 동작이 적절히 이뤄지도록 소정의 설정된 중량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중량 조절은 중심보강바(122f)의 설계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reinforcing bar (122f) may have a function of securing an appropriate weight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That is,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of this embodiment is lower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124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pport 124 during the backwashing operation and may be raised to a predetermined degree. Therefore,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ust have a predetermined weight so that the lowering or ascending operation can be properly performed. This weight control can be achieved through the design of the center reinforcing bar (122f).

참고로 종래 일반적인 경우 상부타공판은 여과조 내부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상부타공판(122)은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 상부받침대(124)에 안착 배치된 구조로 이뤄져 있는데, 이는 각 작동상태에 따른 체적변화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동작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10과 관련해 부연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upper perforated plate is installed in a fixed structure inside the filtration tank.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of this embodiment is not a fixed structure, but has a structure that is seated and disposed on the upper support 124, which enables a more efficient operation state to be implemented through a volume change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타공판의 변형예이다.8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상부타공판(222)은 중심보강바(222f)가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is detachable.

구체적으로 상부타공판(222)의 저면에는 중심보강바(222f)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보강바삽입리브(222g)가 형성될 수 있고, 중심보강바(222f)는 이러한 보강바삽입리브(222g)로 슬라이드되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중심보강바(222f)를 보강바삽입리브(222g) 내지 상부타공판(22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a reinforcing bar insertion rib (222g) to which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may be formed, and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is such a reinforcing bar insertion rib (222g) I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by sliding into the 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from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rib (222g) to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as needed.

상기에서, 중심보강바(222f)는 복수 종류(222g-1~222g-3)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종류에 따른 중심보강바(222f)는 외경은 유지한 채 벽 두께(d1~d3)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각각 상이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운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중심보강바(222f)를 선택해 상부타공판(222)에 체결함으로써, 상부타공판(222)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ypes (222g-1 ~ 222g-3).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according to each type has different wall thicknesses (d1 to d3) while maintaining the outer diameter, and may have different weight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weight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by selecting a suitabl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according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fastening it to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

한편 본 변형예에 있어서 상부타공판(222)의 상측에는 보조받침대(222h)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받침대(222h)는 대체로 상부받침대(124)와 유사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의 형태를 가지고, 여과조(120) 내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받침대(222h)는 상부받침대(124)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받침대(124)와 보조받침대(222h) 사이에는 상부타공판(222)이 유동될 수 있는 소정의 유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타공판(222)은 작동 상태에 따라 상부받침대(124)와 보조받침대(222h)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modified example, an auxiliary support 222h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 The auxiliary support (222h) is generally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milar to the upper support (124), may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iltration tank 120, a plurality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222h)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 (124)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a predetermined clearance space in which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can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pport 124 and the auxiliary support 222h. In addition,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may be moved between the upper support 124 and the auxiliary support (222h)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도 8의 (b)는 상부타공판(222)이 하강되어 상부받침대(124)에 안착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는 통상적인 여과 동작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 상부타공판(222)은 하부타공판(123)과 기 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여재층(121)을 통해 처리수의 여과가 수행될 수 있다.Figure 8 (b) shows a case in which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is lowered and seated on the upper support 124 . Fig. 8 (b) shows an operating state during a typical filtra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ltration of the treated water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ilter media layer 121 disposed in the space therebetween.

도 8의 (c)는 상부타공판(222)이 전술한 (b)의 상태에서 승강되어 보조받침대(222h)에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의 (c)는 역세척 동작시의 작동 상태 중 하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 상부타공판(222)은 역세공기배관(126)에서 배출되는 압력(기포)에 의해 소정 정도 상승 이동될 수 있다. 보조받침대(222h)는 상부타공판(222)의 상승을 적절히 규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보조받침대(222h)는 역세척 동작시 상부타공판(222)이 기 설정된 적정 위치까지만 상승되도록 규제할 수 있다.Figure 8 (c) shows a case in which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state of (b) described abov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auxiliary support (222h). 8C shows one of the operating states during the backwash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may be moved upward to a predetermined degree by the pressur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ack pore pipe 126 . The auxiliary support (222h) may have a function of appropriately regulating the ris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That is, the auxiliary pedestal 222h may regulate the upper perforated plate 222 to rise only to a preset appropriate position during the backwashing operation.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역세공기배관의 확대도이다. 도 9의 (a)는 역세공기배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의 (b)는 분지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9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ck pore pipe shown in FIG. Fig. 9 (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ack pore pipe, and Fig. 9 (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ranch pipe.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역세공기배관(126)은 주관로(126a)와 분지관(126b)을 구비할 수 있다. 주관로(126a)는 여과조(120)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외부의 블로워(127)와 연결될 수 있다. 분지관(126b)은 주관로(126a)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분지관(126b)은 대체로 주관로(126a)보다 소정 정도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분지관(126b)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주관로(126a)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A and 9B , the back pore pipe 126 may include a main channel 126a and a branch pipe 126b. The main passage 126a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ide the filtration tank 12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blower 127 . The branch pipe 126b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main channel 126a. The branch pipe 126b may generall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channel 126a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addition, a plurality of branch pipes 126b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main passage 126a.

분지관(126b)에는 토출구(126c)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6c)는 분지관(126b)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토출구(126c)는 주관로(126a) 및 분지관(126b)을 따라 유동된 세척용 공기를 외부의 여재층(121)으로 분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토출구(126c)는 분지관(126b)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도 9의 (b)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분지관(126b)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토출구(126c)는 상하방향에 대해 대략 45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A discharge port 126c may be formed in the branch pipe 126b.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6c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126b. The discharge port 126c may spray the cleaning air flowing along the main channel 126a and the branch pipe 126b to the external filter media layer 121 . Preferably, the discharge port 126c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ranch pipe 126b, and a pair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center of the branch pipe 126b as shown in FIG. there is. 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126c may be disposed to form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토출구(126c)의 배치는 본 실시예의 분지관(126b)이 여재층(121) 내부에 배치되는데 기인한다. 즉, 토출구(126c)가 분지관(126b)의 하부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분지관(126b)이 여재층(121) 내부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여재층(121)의 오염물 등으로 인해 토출구(126c)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port 126c as described above is due to the branch pipe 126b of the present embodiment being arranged inside the filter media layer 121 . That is, as the discharge port 126c is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ranch pipe 126b, despite the branch pipe 126b being disposed inside the filter medium layer 121, the discharge port ( 126c) clogging can be prevented.

필요에 따라 분지관(126b)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관영역(126d~126f)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지관영역(126d~126f)에는 각각 상이한 크기의 토출구(126g~126i)가 형성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branch pipe 126b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ipe regions 126d to 126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discharge ports 126g to 126i having different sizes may be formed in each branch tube region 126d to 126f.

도 9의 (c)는 상기와 같이 각 토출구(126c)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c)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분지관(126b)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된 제1 내지 3지관영역(126d~126f)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관영역(126d)에는 제1토출구(126g)가 형성될 수 있고, 제1토출구(126g)는 제1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지관영역(126e)에는 제2토출구(126h)가 형성될 수 있고, 제2토출구(126h)는 제2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직경은 제1직경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직경은 제1직경 대비 10~20%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지관영역(126f)에는 제3토출구(126i)가 형성될 수 있고, 제3토출구(126i)는 제2직경보다 소정 정도 큰 제3직경을 가질 수 있다.FIG. 9(c) shows an example in which each discharge port 126c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as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 9C , the branch pipe 126b may include first to third branch pipe regions 126d to 126f part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a first outlet 126g may be formed in the first branch tube region 126d, and the first outlet 126g may have a first diameter. Also, a second discharge port 126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ranch tube region 126e,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26h may have a second diameter. Here, the second diameter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by a predetermined degree. For example, the second diameter may be formed to be 10 to 20%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Similarly, a third outlet 126i may be formed in the third branch tube region 126f, and the third outlet 126i may have a third diameter greater than the second diameter by a predetermined degree.

상기와 같은 역세공기배관(126)은 분지관(126b)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의 배출량을 비슷하게 맞춰 길이방향의 전영역에 대해 여재층(121)의 세척이 적절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분지관(126b)의 단부(제3지관영역(126f))로 갈수록 압력이 떨어져 공기가 불균일하게 배출되고, 이로 인해 여재층(121)의 각 영역에 따라 세척에 편파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backwash air pipe 126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adjust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126b so that the filter media layer 121 can be properly cleaned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In general, as the pressure decreases toward the end of the branch pipe 126b (the third branch pipe region 126f), the air is discharged non-uniformly. is to solve

이하 상기와 같은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의 작동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0a 및 10b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잠시설의 강우시 작동도이다.10A and 10B are operational views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during rain.

도 10a의 (a)를 참조하면, 초기 우수(처리수)는 침전조(110)의 도류벽(112)을 따라 유도되면서 일정 시간 침전 과정을 거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0A , the initial rainwater (treated water) may undergo a settling process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ing wall 112 of the settling tank 110 .

도 10a의 (b)를 참조하면, 이후 일차처리수는 컬럼형스크린(115)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일차처리수는 하부이송구(131)를 통해 여과조(120)로 유동될 수 있다. 참고로 강우시 작동에서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침전조(110) 내부의 수압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침전조(110)와 여과조(120) 간의 일차처리수 이동은 컬럼형스크린(115)을 거쳐 이뤄질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0A , thereafter,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ar screen 115 . The introduced primary treated water may flow into the filtration tank 120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 For reference, in operation during rain,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may be closed by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settling tank 110 , and the primary treated water movement between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is a column-type screen 115 . can be done through

도 10b의 (c)를 참조하면, 여과조(120)로 유입된 일차처리수는 여재층(121)을 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 처리될 수 있다. 즉, 여과조(120)는 상향류식 여과재를 통해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처리수 중의 오염물은 여과재(121a)가 형성하는 공극 내부 및 여과재 표면에 적절히 포집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처리수는 여과조(120)의 상부에서 유출구(128)를 통해 외부로 방류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10B , the primary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a layer 121 upward. That is,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filtered through an upflow filter medium. In this process, contaminants in the treated water may be appropriately collected inside the pores formed by the filter medium 121a an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In addition, the filtered treate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28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120).

도 11a 및 도 11b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역세척 공정시 작동도이다.11A and 11B are operational views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shown in FIG. 1 .

한편 강우가 종료되면, 필요에 따라 역세척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11a의 (a)와 같이 소정 수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정체수배수펌프(113)가 작동해 내부의 정체수가 일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조(120) 내의 정체수는 여과조(120)와 침전조(110)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부이송구(131)를 통해 침전조(110)로 이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in ends, the backwashing mode may be performed if necessary. First, as shown in (a) of FIG. 11A ,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s maintained, the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operates to partially discharge the stagnant water. Here, the stagnant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ttling tank 110 through the filtration tank 120 and the lower transfer port 131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ttling tank 110 .

본 실시예의 하부이송구(131)는 여과조(120) 및 침전조(110)의 바닥면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정체수 중의 각종 침전물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정체수의 배수가 보다 원활히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정체수의 배수 과정에서 여과조(120) 내부의 침전물이 적절히 함께 이송되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정체수의 배출 단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lower transfer port 131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ltration tank 120 and the settling tank 110, so that, despite various sediments in the stagnant water, the stagnant water can be drained more smoothl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raining the stagnant water, the sediment inside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appropriately transported and removed. This is also the case in the stage of discharging stagnant wa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1a의 (b)를 참조하면, 초기의 (a) 상태에서 여재층(121) 상단에 대응되는 경계(G1)가, 여재층(121)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배수가 이뤄질 수 있다. 즉, 여재층(121)을 거쳐 여과 처리된 처리수(정체수)가 여재층(121)을 완전히 수용하도록, 배수를 통해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이미 여과 처리된 정체수로 여재층(131)을 세척해 세척효율을 개선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1A (b), in the initial state (a), drainage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boundary G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is lower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there is. That is, the water level may be adjusted through drainage so that the treated water (stagnant 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media layer 121 completely accommodates the filter media layer 121 . This is to improve the washing efficiency by washing the filter media layer 131 with purified water that has already been filtered.

이후 도 11의 (c)와 같이 역세척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세공기배관(126)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기포)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여재층(121)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여재층(121)에 잔여하고 있던 오염물은 이러한 기포에 의해 여과재(121a)로부터 떨어져 나와 여과조(120) 하부에 포집될 수 있다.Thereafter, a back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11C . Specifically,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back pore pipe 126 , and the discharged air (bubbles) moves upward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filter medium layer 121 may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medium 121a by these air bubbles and collected under the filter medium 120 .

상기에서, 여과재(121a)는 기포에 의해 소정 정도 유동되면서 오염물이 탈리될 수 있다. 즉, 여과재(121a)는 상부타공판(122)과 하부타공판(123) 사이에서 유동되면서 오염물이 탈리될 수 있다. 상부타공판(122)은 여재층(121)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와 같은 여과재(121a)의 기포에 의한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above, while the filter medium 121a flows to a predetermined extent by air bubbles, contaminants may be desorbed. That is, the filter medium 121a may be removed from contaminants while flowing between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the lower perforated plate 123 .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dium layer 12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nables the flow of the filter medium 121a by air bubbles.

나아가 도 8의 변형예와 같이 상부타공판(122)이 유동 가능하게 이뤄질 경우, 상부타공판(122)은 기포나 여과재(121a)의 유동에 따라 상측으로 보다 더 이동될 수 있다. 즉, 상부타공판(122)이 보조받침대(222h)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상승되어, 여과재(121a)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보다 더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재(121a) 간의 간격이 충분히 이격되어 오염물의 탈리가 좀 더 원활히 이뤄질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made to be flowable as 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8 ,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may be moved more upward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bubbles or the filter medium 121a. That is,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rais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support 222h, so that the space through which the filter medium 121a can flow can be secured more widely. Accordingly, the interval between the filter media 121a is sufficiently spaced apart, so that desorption of contaminants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한편 이후에는 도 11의 (d)와 같이 내부의 정체수가 배출될 수 있다. 정체수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여재층(121) 등을 세척하고 다량의 오염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정체수는 정체수배수펌프(11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여과조(120) 내부의 정체수는 적층된 이물질 등과 함께 하부이송구(131) 및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를 통해 침전조(110)로 이송되어 외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정체수는 전술한 하부이송구(131)의 배치나, 역세척수배출도어(115e)의 구조를 통해 여과조(120)로부터 침전조(110)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다.Meanwhile, thereafter, as shown in FIG. 11( d ), the internal stagnant water may be discharged. The stagnant water washes the filter media layer 121 and the lik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The stagnant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3 . In addition, the stagnant water inside the filtration tank 12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ttling tank 110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and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together with the stacked foreign substance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 the stagnant water may be smoothly transferred from the filtration tank 120 to the settling tank 110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above-described lower transfer port 131 or the structure of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침전조(110)와 여과조(120)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져, 보다 컴팩트한 설비 구현이 가능하고, 크기를 상당 부분 축소해 제조나 설치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are integrated, so that a more compact facility can be realized, and the size is significantly reduced.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can also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역세척시 여재층(121)의 충분한 유동공간을 확보해 여재층(121)에 포함된 오염물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여재층(121)으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은 하부이송구(131) 내지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를 통해 여과조(120) 외부로 적절히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이송구(131)는 여과조(120) 내지 침전조(110)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오염물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는 경사 배치된 구조를 통해 개폐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sufficient flow space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during backwashing to more reliably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filter media layer 121, Contaminants desorbed from the filter media layer 121 may be proper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120 through the lower transfer port 131 to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Here, the lower transfer port 131 forms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20 to the settling tank 110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contaminants, and the backwash water discharge door 115e opens and closes through an inclined structure. It can reduce the malfunction of the cit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which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비점오염저감시설 110: 침전조
111: 유입구 112: 도류벽
113: 정체수배수펌프 114: 침전조점검구
115: 컬럼형스크린 120: 여과조
121: 여재층 122: 상부타공판
123: 하부타공판 124: 상부받침대
125: 하부받침대 126: 역세공기배관
127: 블로워 128: 유출구
130: 격벽 131: 하부이송구
100: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110: sedimentation tank
111: inlet 112: baffle wall
113: stagnant water drainage pump 114: sedimentation tank check port
115: column type screen 120: filtration tank
121: filter media layer 122: upper perforated plate
123: lower perforated plate 124: upper support
125: lower support 126: backwash pipe
127: blower 128: outlet
130: bulkhead 131: lower transfer port

Claims (6)

유입된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110); 및
상기 침전조(110)로부터 제공되는 일차처리수를 상향류 여과방식으로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120);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110)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유출수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우수유출수가 상기 침전조(110) 내에서 소정의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는 도류벽(112); 및
상기 침전조(110)에서 침전 처리된 일차처리수를 상기 여과조(120)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침전조(110)와 상기 여과조(120) 사이의 격벽(13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컬럼형스크린(115);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120)는,
상기 여과조(12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여재층(121);
상기 여재층(121)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어 여과재(121a)의 세척을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역세공기배관(126);
하부받침대(125)에 안착 설치되어 상기 여재층(12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타공판(123); 및
상부받침대(124)에 안착 설치되되, 상기 여재층(121)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상부타공판(122);을 포함하고,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은,
상기 격벽(130) 하단에 형성된 하부이송구(131)와 대응되도록, 상기 여과조(120)를 향한 하단 일면에 형성된 역세척수유입구(115d);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의 하단 반대면에서 상기 침전조(110)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하단경사면(115f);
상기 역세척수유입구(115d)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단경사면(115f)에 형성된 역세척수배출구(115c); 및
상기 하단경사면(115f)에 힌지 결합되어 처리수의 유동방향에 따라 개폐 동작되는 역세척수배출도어(115e);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a sedimentation tank 110 for precipitating contaminants in the introduced rainwater runoff; and
Including a;
The settling tank 110,
a guiding wall 112 for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runoff flowing in from the inlet 111 and allowing the stored rainwater runoff to have a predetermined residence time in the settling tank 110; and
A columnar screen 115 installed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130 between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in order to flow the primary treated water precipitated in the settling tank 110 to the filtration tank 120 . including;
The filtration tank 120,
a filter media layer 12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ackwash air pipe 126 that is embedded in the filter medium layer 121 and generates air bubbles for cleaning the filter medium 121a;
a lower perforated plate 123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lower support 125 to support the filter media layer 121 from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on the upper pedestal 124,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cluding;
The columnar screen 115 is,
a backwash water inlet (115d)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20) to correspond to the lower transfer port (13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0);
a lower inclined surface (115f)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115) toward the inside of the settling tank (110);
a backwash water outlet 115c formed 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5f to correspond to the backwash water inlet 115d; and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은,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의 상단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의 내부로 상기 침전조(110)의 일차처리수를 유입시키는 타공컬럼(215a)을 포함하되,
상기 타공컬럼(215a)은,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되, 일측 영역에 복수의 제1홀(215b)이 형성되고, 반대측 영역에 상기 제1홀(215b)과 상이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홀(215c)이 형성되며,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에 정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홀(215b)을 통해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으로 처리수를 유입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2홀(215c)을 통해 상기 컬럼형스크린(115)으로 일차처리수를 유입시키도록 형성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umnar screen 115 is,
I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ar screen 115 and includes a perforated column 215a for introduc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of the settling tank 110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The perforated column (215a) is,
Doedoe detachably formed on the columnar screen 115, a plurality of first holes 215b are formed in one area,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from the first holes 215b in an opposite area ( 215c) is formed, and is fastened to the columnar screen 115 in the forward direction to introduce treated water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through the first hole 215b, or is fast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formed to introduce primary treated water into the columnar screen 115 through the hole 215c.
유입된 우수유출수 중의 오염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110); 및
상기 침전조(110)로부터 제공되는 일차처리수를 상향류 여과방식으로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120);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110)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유출수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우수유출수가 상기 침전조(110) 내에서 소정의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는 도류벽(112); 및
상기 침전조(110)에서 침전 처리된 일차처리수를 상기 여과조(120)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침전조(110)와 상기 여과조(120) 사이의 격벽(13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컬럼형스크린(115);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120)는,
상기 여과조(12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여재층(121);
상기 여재층(121)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어 여과재(121a)의 세척을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역세공기배관(126);
하부받침대(125)에 안착 설치되어 상기 여재층(121)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타공판(123); 및
상부받침대(124)에 안착 설치되되, 상기 여재층(121)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상부타공판(122);을 포함하고,
상기 여재층(121)은,
1.2~1.5의 비중을 가진 복수의 여과재(121a)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타공판(122)은,
수직절곡부(122d)와 수평절곡부(122e)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타공판(122)의 각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타공판(122)을 상기 상부받침대(124)로부터 이격시키는 측단절곡부(122c); 및
상기 상부타공판(122)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어, 여과 동작시 상기 상부타공판(122)이 상기 상부받침대(124)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소정의 중량을 부가하는 중심보강바(122f, 222f);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
a sedimentation tank 110 for precipitating contaminants in the introduced rainwater runoff; and
Including a;
The settling tank 110,
a guiding wall 112 for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runoff flowing in from the inlet 111 and allowing the stored rainwater runoff to have a predetermined residence time in the settling tank 110; and
A columnar screen 115 installed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130 between the settling tank 110 and the filtration tank 120 in order to flow the primary treated water precipitated in the settling tank 110 to the filtration tank 120 . including;
The filtration tank 120,
a filter media layer 12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ackwash air pipe 126 that is embedded in the filter medium layer 121 and generates air bubbles for cleaning the filter medium 121a;
a lower perforated plate 123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lower support 125 to support the filter media layer 121 from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on the upper pedestal 124,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dia layer 1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cluding;
The filter media layer 121 is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media (121a)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2 to 1.5,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A side bending portion 122c having a vertical bent portion 122d and a horizontal bent portion 122e and formed at each side end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to space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from the upper support 124 . ); and
Center reinforcing bars 122f, 222f that ar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add a predetermined weight so that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pport 124 during a filtering operation.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타공판(122)은,
저면 중앙에 상기 중심보강바(222f)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보강바삽입리브(222g)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보강바(222f)는,
상기 보강바삽입리브(222g)로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상부타공판(122)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되, 각각 중량이 상이한 복수의 중심보강바(222f-1~222f-3)를 포함하고, 운용환경에 따라 복수의 중심보강바(222f-1~222f-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보강바삽입리브(222g)로 체결 및 사용되도록 형성된 비점오염저감시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A reinforcing bar insertion rib (222g) to which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he center reinforcing bar (222f) is,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rib (222g) is inserted or separated to be detachably formed on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and each includes a plurality of center reinforcing bars (222f-1 to 222f-3) having different weights, and operating environment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formed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enter reinforcing bars (222f-1 to 222f-3)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fastened to and used with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rib (222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타공판(122)은,
상기 상부받침대(124)에 의해 하부에서 지지되어 위치 규제되고, 상기 상부받침대(124)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보조받침대(222h)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받침대(222h)에 의해 상측으로의 위치가 규제되며, 역세척 작동시 상기 상부받침대(124)로부터 상기 보조받침대(222h)를 향해 상기 상부타공판(122)이 소정 정도 상승되어, 상기 여과재(121a)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도록 형성된 비점오염저감시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An auxiliary support 222h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upport 124, supported from the lower portion by the upper support 124, and upward by the auxiliary support 222h. is regulated, and the upper perforated plate 122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degree from the upper support 124 toward the auxiliary support 222h during backwashing operation, thereby expanding the space through which the filter medium 121a can flow.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formed to

KR1020220014039A 2022-02-03 2022-02-03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KR102398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039A KR102398637B1 (en) 2022-02-03 2022-02-03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039A KR102398637B1 (en) 2022-02-03 2022-02-03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637B1 true KR102398637B1 (en) 2022-05-16

Family

ID=817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039A KR102398637B1 (en) 2022-02-03 2022-02-03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534B1 (en) * 2023-03-24 2023-09-20 주식회사 에코스타 Filtering structure capable of modularization and Water treatment facility including the same
KR102644687B1 (en) * 2023-06-26 2024-03-08 주식회사 우영엔텍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equipped with check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16B1 (en) 2010-05-13 2010-10-12 박병대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KR100991492B1 (en) 2010-02-24 2010-11-04 박병대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KR101700931B1 (en) * 2015-12-15 2017-01-31 조성범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 having function of screen and filtering media washing
KR101812917B1 (en) * 2017-01-12 2018-01-30 경 택 임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Of Driving Type Having Stagnating Water Fiter Ba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92B1 (en) 2010-02-24 2010-11-04 박병대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KR100987316B1 (en) 2010-05-13 2010-10-12 박병대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KR101700931B1 (en) * 2015-12-15 2017-01-31 조성범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 having function of screen and filtering media washing
KR101812917B1 (en) * 2017-01-12 2018-01-30 경 택 임 A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Of Driving Type Having Stagnating Water Fiter Ba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534B1 (en) * 2023-03-24 2023-09-20 주식회사 에코스타 Filtering structure capable of modularization and Water treatment facility including the same
KR102644687B1 (en) * 2023-06-26 2024-03-08 주식회사 우영엔텍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equipped with check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637B1 (en) Compact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automatic operation system
US10927538B2 (en) In-line partitioned separator storm water drain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US20100032363A1 (en) Floating skimmer apparatus with up-flow filter
KR100800559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cartridge screw type screen
KR101872911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1545448B1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 Water
KR100704901B1 (en) Rainwater-controlling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97619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102253591B1 (en)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having inproved backwash performance
US20190160396A1 (en) Foldable and removable partition assembly for septic tank
KR102373598B1 (en) Filtration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equipped with backwashing function using treated water
KR102354522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102397623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20090130283A (en) A settling tank having an aeration part in its inner space
KR100697649B1 (en) Water tank of water supplier
KR20040106906A (en) A water cleaning device for multi-house
KR101995494B1 (en) Rainwater controlling apparatus for easying upkeeping a furnished with perpendicularity filtering floor
KR100495694B1 (en) A filtering device for waterworks
KR101080256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1884307B1 (en) Submerged filtration system with backwash system using compressed air
KR20100130346A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1623039B1 (en) Eco multi cell filter
KR100964784B1 (en) A water purify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KR20080012618A (en) Structure functioning case of fil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of filtering devices
KR200216477Y1 (en) Device for water tank automatic draw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