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308B1 -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308B1
KR102398308B1 KR1020150191729A KR20150191729A KR102398308B1 KR 102398308 B1 KR102398308 B1 KR 102398308B1 KR 1020150191729 A KR1020150191729 A KR 1020150191729A KR 20150191729 A KR20150191729 A KR 20150191729A KR 102398308 B1 KR102398308 B1 KR 10239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larizing plate
glasses
stereoscopic
mirr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332A (ko
Inventor
최상호
나상현
김근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5Image reproducers using digital micromirror devices [D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R을 사용하지 않고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거울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를 관측자의 우안 시점 또는 좌안 시점에서 촬영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러한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동일 평면상에서 공간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층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STEREOSCOPIC MIRROR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MIRROR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울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 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에 의한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양안 시차란 관측자의 좌, 우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5mm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같은 물체를 보아도 좌, 우 눈에 비치는 영상이 다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상술한 양안 시차를 느끼게 하기 위하여,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관측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관측자는 특수 안경을 이용하여 좌안으로 좌안 영상만을 보고, 우안으로 우안 영상만을 봄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셔터 글라스 방식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편광 패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셔터 글라스 방식은 최소 60분의 1초의 속도로 특수 안경의 양쪽을 번갈아 가면서 빛을 차단하는 것으로,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고 안경 셔터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안경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편광 패턴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서로 다른 빛을 투과해 주는 편광 필름을 부착한 것으로서, 안경 가격이 저렴하고 화각이 넓은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편광 패턴 방식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패널(110), 편광판(120) 및 FPR(Film-type Patterned Retarder, 13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좌안 영상(110a) 및 우안 영상(110b)을 교번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패널(110)에 표시된 좌안 영상(110a) 및 우안 영상(110b)은 편광판(120)을 통과하여 선편광된다.
FPR(130)은 제1 광축을 가지는 제1 위상지연 필름(130a), 및 상기 제1 광축에 수직하는 제2 광축을 가지는 제2 위상지연 필름(130b)을 교번적으로 형성한다.
이때, FPR(130)은 표시패널(110)의 좌안 영상(110a) 상에 제1 위상지연 필름(130a)을 형성하여 선편광된 좌안 영상(110a)을 제1 광축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또한, FPR(130)은 표시패널(110)의 우안 영상(110b) 상에 제2 위상지연 필름(130b)을 형성하여 선편광된 우안 영상(110b)을 제2 광축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110a) 및 우안 영상(110b)은 FPR(130)에 의하여 서로 다른 광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분이 가능하여 입체안경(140)에서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다.
즉, 좌안 안경(140a)은 좌안 영상(110a)만 투과시킴으로써, 관측자의 좌안에 좌안 영상(110a)만이 보이도록 한다. 반면, 우안 안경(140b)은 우안 영상(110b)만 투과시킴으로써, 관측자의 우안에 우안 영상(110b)만이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110a)과 우안 영상(110b)을 구분하기 위하여 FPR(130)에 광축이 상이한 위상지연 필름들을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패턴한다.
이때,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패널(110)의 좌안 영상(110a) 및 우안 영상(110b)과 FPR(130)의 제1 위상지연 필름(130a) 및 제2 위상지연 필름(130b)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좌안 영상(110a)이 우안 안경(140b)을 투과하거나 우안 영상(110b)이 좌안 안경(140a)을 투과하게 되어 3D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관측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거나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는 다른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패널(110)의 좌안 영상(110a) 및 우안 영상(110b)과 FPR(130)의 제1 위상지연 필름(130a) 및 제2 위상지연 필름(130b)이 정확하게 일치하더라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에 따라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이 구분되어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해상도가 저하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FPR(130)을 구현하기 위한 고가의 재료 사용, 및 um 단위의 치수제어로 인하여 수율이 저하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FPR을 사용하지 않고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촬영장치 및 입체안경을 포함한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울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 및 제1 이미지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를 표시한다. 촬영장치는 제1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촬영이미지를 생성한다. 입체안경은 제1 이미지를 투과하는 제1 안경, 및 제2 이미지를 투과하는 제2 안경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울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 및 제1 이미지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를 표시한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 및 반사형 편광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반사형 편광판은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어 제1 이미지의 제1 편광을 반사시키고 제2 이미지의 제2 편광을 투과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패널과 FPR 각각의 우안 영역 및 좌안 영역을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일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3D 크로스토크 현상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를 동일 평면상에 공간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층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고,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에 대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이미지를 추출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 입체안경(320) 및 촬영장치(325)로 구성된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거울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305a), 및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때, 제2 이미지(305b)는 촬영장치(325)를 통해 제1 이미지(305a)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한다.
입체안경(320)은 제1 이미지(305a)를 우안 안경 및 좌안 안경 중 어느 하나에 투과시키고, 제2 이미지(305b)를 다른 하나에 투과시킴으로써, 관측자가 입체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종래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달리, 좌안 이미지 및 우안 이미지를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층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 입체안경(320) 및 촬영장치(325)로 구성된다.
먼저,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제1 이미지(305a), 및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거울(312) 및 표시패널(314)을 포함한다.
표시패널(314)은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하여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패널(314)은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한다.
거울(312)은 반사축을 가지는 반사형 편광판으로 형성되어,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반사시키고, 표시패널(314)에 표시된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투과시킨다. 이때, 제1 편광과 제2 편광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형 편광판(312)은 제1 이미지(305a)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표시패널(314)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312)은 표시패널(314)로부터 제2 이미지(305b)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표시패널(314)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예컨대, 반사축이 0°인 반사형 편광판(312)은 제1 이미지(305a)를 0°로 선편광시켜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312)은 제2 이미지(305b)를 90°로 선편광시켜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305a) 및 제2 이미지(305b)는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선편광되기 때문에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이미지(305a)와 제2 이미지(305b)를 입체 이미지의 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판(312)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GP(Wire Grid Polarizer), 및 CLC(Cholesteric Liquid Crystal)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음, 입체안경(320)은 제1 이미지(305a)가 관측자의 우안 및 좌안 중 어느 하나에 보이도록 하고, 제2 이미지(305b)가 다른 하나에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입체안경(320)은 제1 안경(322a) 및 제2 안경(322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안경(322a)이 좌안 안경에 대응되고, 제2 안경(322b)이 우안 안경에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안경(322a)이 우안 안경에 대응되고, 제2 안경(322b)이 좌안 안경에 대응될 수도 있다.
제1 안경(322a)은 제1 이미지(305a)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좌안에 제1 이미지(305a)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경(322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선편광, 즉,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흡수시키고, 평행한 방향의 선편광, 즉,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평관판(312)의 반사축 0°과 수직한 방향의 흡수축 90°를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는 흡수형 편광판을 투과하여 관측자의 좌안에 보여질 수 있다. 반면,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는 흡수형 편광판에 흡수되어 관측자의 좌안에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안경(322a)이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선편광, 즉,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차단시키고, 평행한 방향의 선편광, 즉,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평관판(312)의 반사축 0°과 평행한 방향의 평광축 0°를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는 편광판을 투과하여 관측자의 좌안에 보여질 수 있다. 반면,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는 편광판에 차단되어 관측자의 좌안에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제2 안경(322b)은 제2 이미지(305b)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우안에 제2 이미지(305b)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안경(322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선편광, 즉,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흡수시키고, 수직한 방향의 선편광, 즉,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평관판(312)의 반사축 0°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 0°를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는 흡수형 편광판을 투과하여 관측자의 우안에 보여질 수 있다. 반면,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는 흡수형 편광판에 흡수되어 관측자의 우안에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안경(322b)이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선편광, 즉,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차단시키고, 수직한 방향의 선편광, 즉,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평관판(312)의 반사축 0°과 수직한 방향의 평광축 90°를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는 편광판을 투과하여 관측자의 우안에 보여질 수 있다. 반면, 반사형 편광판(312)에 의하여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는 편광판에 차단되어 관측자의 우안에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다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25)는 거울(312)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305a)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를 관측자의 우안 시점 또는 좌안 시점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장치(325)는 제2 안경(322b)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경(322b)의 우측에 장착되어, 제1 이미지(305a)를 관측자의 우안 시점에서 촬영하여 제2 이미지(305b)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305a)는 관측자의 좌안에 제공되는 좌안 이미지에 상응하고, 제2 이미지(305b)는 관측자의 우안에 제공되는 우안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촬영장치(325)가 제2 안경(322b)의 우측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325)가 제2 안경(322b)의 좌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를 관측자의 좌안 시점에서 촬영하여 제2 이미지(305b)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305a)는 관측자의 우안에 제공되는 우안 이미지에 상응하고, 제2 이미지(305b)는 관측자의 좌안에 제공되는 좌안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제1 이미지(305a)가 반사형 편광판(312)에 표시되고 제2 이미지(305b)가 표시패널(314)에 표시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에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가 FPR(130)에서 공간 분할되었던 것과 달리, 제1 이미지(305a)와 제2 이미지(305b)를 공간 분할하지 않고, 층으로 분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FPR(13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FPR(130)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패널(110)과 FPR(130) 각각의 우안 영역 및 좌안 영역을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일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3D 토크크로스 현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안 영역 및 좌안 영역을 공간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고,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 입체안경(320) 및 촬영장치(325)로 구성된다.
먼저,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제1 이미지(305a), 및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거울(312), 표시패널(314) 및 제1 위상지연판(316)을 포함한다.
표시패널(314)은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하여 표시한다.
거울(312)은 반사축을 가지는 반사형 편광판으로 형성되어,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반사시키고, 표시패널(314)에 표시된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투과시킨다. 이때, 제1 편광과 제2 편광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형 편광판(312)은 제1 이미지(305a)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제1 위상지연판(316)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312)은 표시패널(314)로부터 제2 이미지(305b)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제1 위상지연판(316)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판(312)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GP(Wire Grid Polarizer), 및 CLC(Cholesteric Liquid Crystal)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과 표시패널(314)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진다.
이러한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에 투과된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이 반사되어 다시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에 투과된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을 45° 또는 -45°를 회전시키고, 표시패널(314)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을 다시 45° 또는 -45°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은 제1 위상지연판(316)에 의하여 90° 또는 -90°가 회전되기 때문에 제1 편광으로 된다. 이때,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하므로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하지 못한다.
반사형 편광판(312)에 투과되어 장치 내부로 입사된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이 표시패널(314)에 반사되어 다시 관측자로 진행되면,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이 제2 안경(322b)에 투과되어 3D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위상지연판(316)을 더 포함하여,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이 표시패널(314)에 반사되어 다시 관측자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3D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위상지연판(316)에 의하여 제2 이미지에 대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에 반사된 제2 이미지(305b)의 제1 편광을 90° 또는 -90°가 회전시킨다. 이때, 제2 이미지(305b)의 제1 편광은 제1 위상지연판(316)에 의하여 제2 편광으로 되고,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편광성분이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하게 되므로, 제2 이미지(305b)에 대한 휘도가 향상된다.
다음, 입체안경(320)은 제1 이미지(305a)가 관측자의 우안 및 좌안 중 어느 하나에 보이도록 하고, 제2 이미지(305b)가 다른 하나에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입체안경(320)은 제1 안경(322a) 및 제2 안경(322b)를 포함한다.
제1 안경(322a)은 제1 이미지(305a)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좌안에 제1 이미지(305a)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경(322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안경(322a)이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안경(322b)은 제2 이미지(305b)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우안에 제2 이미지(305b)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안경(322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 안경(322b)이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25)는 거울(312)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305a)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를 관측자의 우안 시점 또는 좌안 시점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장치(325)는 제2 안경(322b)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 입체안경(320) 및 촬영장치(325)로 구성된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제1 이미지(305a), 및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거울(312), 표시패널(314) 및 흡수형 편광판(318)을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위상지연판(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314)은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하여 표시한다.
다음, 거울(312)은 반사축을 가지는 반사형 편광판으로 형성되어,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반사시키고, 표시패널(314)에 표시된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투과시킨다. 이때, 제1 편광과 제2 편광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형 편광판(312)은 제1 이미지(305a)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표시패널(314)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312)은 표시패널(314)로부터 제2 이미지(305b)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표시패널(314)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입체안경(320)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판(312)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GP(Wire Grid Polarizer), 및 CLC(Cholesteric Liquid Crystal)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음, 흡수형 편광판(318)은 표시패널(314)과 반사형 편광판(312)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형 편광판(318)은 제1 위상지연판(316)과 반사형 편광판(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형 편광판(318)은 반사형 편광판(312)에 반사되지 못하고 일부 투과된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흡수한다. 반사형 편광판(312)은 재료적 한계에 의하여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이 일부 투과될 수 있다. 이때, 투과된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은 제1 위상지연판(316)을 통과하여 제2 편광이 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이 제2 안경(322b)에 투과되어 3D 토크크로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흡수형 편광판(318)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 내부로 입사된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과 표시패널(314)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에 투과된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이 반사되어 다시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에 투과된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을 45° 또는 -45°를 회전시키고, 표시패널(314)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을 다시 45° 또는 -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미지(305a)의 제2 편광은 제1 위상지연판(316)에 의하여 90° 또는 -90°가 회전되기 때문에 제1 편광으로 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은 흡수형 편광판(318)에 흡수되거나, 흡수형 편광판(318)에 흡수되지 못하고 일부 투과되더라도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하므로 반사형 편광판(312)을 투과하지 못한다.
다음, 입체안경(320)은 제1 이미지(305a)가 관측자의 우안 및 좌안 중 어느 하나에 보이도록 하고, 제2 이미지(305b)가 다른 하나에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입체안경(320)은 제1 안경(322a) 및 제2 안경(322b)를 포함한다.
제1 안경(322a)은 제1 이미지(305a)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좌안에 제1 이미지(305a)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경(322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안경(322b)은 제2 이미지(305b)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우안에 제2 이미지(305b)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안경(322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25)는 거울(312)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305a)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를 관측자의 우안 시점 또는 좌안 시점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장치(325)는 제2 안경(322b)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 입체안경(320) 및 촬영장치(325)로 구성된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제1 이미지(305a), 및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거울(312), 표시패널(314) 및 제2 위상지연판(319)을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형 편광판(318) 및 제1 위상지연판(3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314)은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하여 표시한다.
다음, 거울(312)은 반사축을 가지는 반사형 편광판으로 형성되어,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반사시키고, 표시패널(314)에 표시된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입체안경(320) 쪽으로 투과시킨다. 이때, 제1 편광과 제2 편광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형 편광판(312)은 제1 이미지(305a)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제2 위상지연판(319)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표시패널(314)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312)은 표시패널(314)로부터 제2 이미지(305b)가 입사되면, 반사축과 평행한 제1 편광은 표시패널(314)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축과 수직인 제2 편광은 제2 위상지연판(319)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판(312)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WGP(Wire Grid Polarizer), 및 CLC(Cholesteric Liquid Crystal)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음, 제2 위상지연판(319)은 반사형 편광판(312) 상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진다. 제2 위상지연판(319)는 제1 이미지(305a)의 제1 편광, 및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45° 또는 -45°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광축이 45°인 제2 위상지연판(319)은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를 45°로 회전시키고,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를 135°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위상지연판(319)은 후술하는 제3 및 제4 위상지연판(324a, 324b)과 함께 제1 이미지(305a) 및 제2 이미지(305b)를 원편광시킴으로써,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제1 위상지연판(316)은 반사형 편광판(312)과 표시패널(314)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다음, 흡수형 편광판(318)은 표시패널(314)과 반사형 편광판(312) 사이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다음, 입체안경(320)은 제1 이미지(305a)가 관측자의 우안 및 좌안 중 어느 하나에 보이도록 하고, 제2 이미지(305b)가 다른 하나에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입체안경(320)은 제1 안경(322a), 제2 안경(322b), 제3 위상지연판(324a) 및 제4 위상지연판(324b)를 포함한다.
제3 위상지연판(324a)은 제1 안경(322a) 상에 배치되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진다. 이러한 제3 위상지연판(324a)은 제2 위상지연판(319)에 의하여 원편광된 제1 이미지(305a) 및 제2 이미지(305b)를 45° 또는 -45°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광축이 45°인 제2 위상지연판(319)은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를 45°로 회전시키고,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135°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축이 -45°인 제3 위상지연판(324a)은 제1 이미지(305a)를 0°로 회전시키고, 제2 이미지(305b)를 90°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안경(322a)은 제1 이미지(305a)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좌안에 제1 이미지(305a)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경(322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3 위상지연판(324a)의 광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3 위상지연판(324a)의 광축은 서로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3 위상지연판(324a)의 광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안경(322a)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3 위상지연판(324a)의 광축은 서로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4 위상지연판(324b)은 제2 안경(322b) 상에 배치되어, 제3 위상지연판(324a)과 평행한 방향의 광축을 가진다. 이러한 제4 위상지연판(324b)은 제2 위상지연판(319)에 의하여 원편광된 제1 이미지(305a) 및 제2 이미지(305b)를 45° 또는 -45°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광축이 45°인 제2 위상지연판(319)은 0°로 선편광된 제1 이미지(305a)를 45°로 회전시키고, 90°로 선편광된 제2 이미지(305b)의 제2 편광을 135°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축이 -45°인 제4 위상지연판(324b)은 제1 이미지(305a)를 0°로 회전시키고, 제2 이미지(305b)를 90°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안경(322b)은 제2 이미지(305b)를 투과시켜 관측자의 우안에 제2 이미지(305b)가 보이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안경(322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4 위상지연판(324b)의 광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4 위상지연판(324b)의 광축은 서로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수직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4 위상지연판(324b)의 광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안경(322b)은 반사형 편광판(312)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위상지연판(319) 및 제4 위상지연판(324b)의 광축은 서로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다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325)는 거울(312)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305a)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장치(325)는 제1 이미지(305a)를 관측자의 우안 시점 또는 좌안 시점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장치(325)는 제2 안경(322b)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촬영장치(325)로부터 제2 이미지(305b)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촬영장치(325)로부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이미지(305b)를 포함하는 촬영이미지(810)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촬영이미지(810)에서 제2 이미지(305b)를 추출하고, 추출한 제2 이미지(305b)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촬영장치(325)가 입체안경(320)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325)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310)와 대향하는 벽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촬영장치들(325)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촬영장치(325)를 통해 제2 이미지(305b)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입체거울디스플레이 시스템 310: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312: 거울 314: 표시패널
316: 제1 위상지연판 318: 흡수형 편광판
319: 제2 위상지연판 320: 입체안경
322a: 제1 안경 322b: 제2 안경
324a: 제3 위상지연판 324b: 제4 위상지연판
325: 촬영장치

Claims (13)

  1. 거울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제1 이미지를 투과하는 제1 안경,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투과하는 제2 안경을 포함하는 입체안경을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편광을 상기 입체안경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편광을 상기 입체안경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사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과 상기 제2 편광은 서로 수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은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편광을 흡수하는 제1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경은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편광을 흡수하는 제2 흡수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반사형 편광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지는 제1 위상지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안경은,
    상기 제1 안경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지는 제2 위상지연판; 및
    상기 제2 안경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위상지연판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의 광축을 가지는 제3 위상지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2 안경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9. 거울에 반사되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1 이미지와 시점이 다른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미지의 제1 편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제2 이미지의 제2 편광을 투과시키는 반사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은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에 평행하고, 상기 제2 편광은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에 수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반사형 편광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지는 제1 위상지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반사형 편광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과 평행한 방향의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형 편광판의 반사축과 45° 또는 -45°를 이루는 광축을 가지는 제2 위상지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91729A 2015-12-31 2015-12-31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39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29A KR102398308B1 (ko) 2015-12-31 2015-12-31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729A KR102398308B1 (ko) 2015-12-31 2015-12-31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32A KR20170080332A (ko) 2017-07-10
KR102398308B1 true KR102398308B1 (ko) 2022-05-13

Family

ID=5935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729A KR102398308B1 (ko) 2015-12-31 2015-12-31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99A1 (ko) 2017-06-26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790B1 (ko) * 2012-05-22 2013-1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깊이 융합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464273B1 (ko) * 2013-03-06 2014-11-24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674709B1 (ko) * 2013-06-13 2016-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록거울과 카메라를 이용한 안면 영상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32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256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立体映像表示装置の整列システム及び方法
EP1965245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CN101025475A (zh) 立体三维影像显示系统与方法
US20090046214A1 (en) 2d/3d convert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7889552B (zh) 使用调制器不对称驱动器的高亮度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10761342B2 (en) Floating hologram apparatus
CN104820292A (zh) 一种基于视差的裸眼三维显示方法及其装置
KR100586221B1 (ko) 평면 표시 장치를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CN100399113C (zh) 立体图像显示装置
JP2008281605A (ja) 液晶表示パネル、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液晶タッチパネル装置
Sakamoto et al. Parallax polarizer barrier 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s
KR102398308B1 (ko)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거울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050052738A1 (en) Phase retardance autostereoscopic display
KR101988312B1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US5898520A (en)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having a polarizing filter
KR101782006B1 (ko) 3디 영상 시청용 편광안경 및 이를 구비한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102172408B1 (ko) 공간 영상 투영 장치
CN102854631A (zh) 立体影像显示设备以及其形成方法
KR20130114376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202033525U (zh) 偏光眼镜、偏光滤波器、投影机、立体影像系统
KR101799935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40055532A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86687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02650745A (zh) 偏光眼镜、偏光滤波器、投影机、立体影像系统
US10129537B2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