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005B1 -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005B1
KR102398005B1 KR1020200063030A KR20200063030A KR102398005B1 KR 102398005 B1 KR102398005 B1 KR 102398005B1 KR 1020200063030 A KR1020200063030 A KR 1020200063030A KR 20200063030 A KR20200063030 A KR 20200063030A KR 102398005 B1 KR102398005 B1 KR 10239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frame
cap
vert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041A (ko
Inventor
최태원
Original Assignee
(주)유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에너지 filed Critical (주)유에너지
Priority to KR102020006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0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구에 의하여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 배열되게 구비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구는 단위 태양광발전부의 가로 프레임 단부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 연결구와, 단위 태양광발전부의 세로 프레임 단부에 연결되는 세로 프레임 연결구로 구비되되, 상기 가로 프레임 연결구는 가로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가로 연결캡과;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과 대응되도록 가로 프레임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타측 가로 연결캡과;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과 타측 가로 연결캡에 결합된 각각의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 ; 및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되는 가로 연결몸체를 호함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 연결구는 세로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세로 연결캡과;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과 대응되도록 세로 프레임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타측 세로 연결캡과;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과 타측 세로 연결캡에 결합된 각각의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 및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되는 세로 연결몸체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LAND WEIGHT TYPE SOLAR ENERGY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본 발명은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태양광패널이 결합될 수 있는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자중체에 의하여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착탈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에 의하여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등의 친환경 정책 선언과 같은 환경 규제 제도의 시행과 전 세계적인 오일쇼크 및 일본의 원전 사고로 인하여 기존의 화석연료와 원자력에 의존하는 에너지 공급체계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는 일정한 면적의 설치부지가 필요한데, 기존의 건축물 등의 시설물들을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분별한 산림훼손 등의 부작용으로 규제가 강화되어 설치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대안적으로 저수지나 댐 수면 등에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고 있다.
수상 태양광 발전소는 유휴 수면을 활용하기 때문에 부지 구입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지상의 태양광 시설에 비하여 냉각효과가 우수하여 지상 대비 18~26%의 발전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95401호(200 8.10.2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지역, 계절, 시간 및 일조량 등의 환경여건을 극복하면서 태양광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전지 셀이 집적된 태양전지판이 배열되어 있는 상판이 태양을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이 설치되어 있는 부유구조물의 수면 하부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부유구조물의 방향을 조절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유구조물을 직접 움직여서 태양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은 부유구조물의 큰 중량과 수면 하부의 부유구조물 부분의 저항으로 인하여 스크류 작동에 많은 전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수중 부유물들이 스크류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한편, 육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지 프레임의 일부가 지면속으로 매립된 상태나 기초콘트리트 상부에 지지 프레임의 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에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이 결합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가 설치된 이후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95401호(200 8.10.29)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육상의 지면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자중체에 의하여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 이 후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구(A)에 의하여 단위 태양광발전부(B)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구(A)는, 단위 태양광발전부(B)의 가로 프레임(300) 단부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와, 단위 태양광발전부(B)의 세로 프레임(320) 단부에 연결되는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로 구비되되, 상기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는, 가로 프레임(300)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가로 연결캡(110);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대응되도록 가로 프레임(300)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타측 가로 연결캡(110');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타측 가로 연결캡(110')에 결합된 각각의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 및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Bt)로 고정되는 가로 연결몸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는, 세로 프레임(320)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세로 연결캡(210);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대응되도록 세로 프레임(320)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타측 세로 연결캡(210');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타측 세로 연결캡(210')에 결합된 각각의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 및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Bt)로 고정되는 세로 연결몸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태양광발전부(B)는, 자중체(310)를 갖는 2열로 구비된 가로 프레임(300)의 상부에 세로 프레임(320)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320)의 상부에 태양광패널 지지프레임(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패널 지지프레임(330)은, 세로 프레임(3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높이가 상이 하도록 구비된 전,후방 수직 프레임(331,332); 상기 전,후방 수직 프레임(331,332)의 상단에 양측단부가 연결되도록 구비된 경사 프레임(333); 및 상기 경사 프레임(333)의 전,후방 상단측에 얹혀지며, 세로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 패널 안착프레임(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프레임(300)은 각관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320)은 C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타측 가로 연결캡(110')은, 찬넬형태를 갖는 사이드 지지편(111,111')이 구비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된 가로 프레임(300)의 단부측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고, 상기 사이드 지지편(111,111') 사이의 상,하부로 각각 외측면에 걸림후크(112,112')를 갖는 상,하부 탄성편(113,114,113',114')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 프레임(300)의 상,하부벽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후크(112,112')가 가로 프레임(300)의 상,하부벽에 구비된 걸림홀(301)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편(111,111')과 상,하부 탄성편(113,114,113',114')이 관통홀(115,115')을 갖는 가로 연결캡 몸체(116,116')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 연결캡 몸체(116,116')는 가장자리가 가로 프레임(300)의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 상기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 상기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에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123,123'); 및 상기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의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형태를 갖는 숫조인부(124,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연결몸체(130)는, 반구형태의 제1하부 숫조인부 안착홈(131-1)이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모서리에 제1암나사부(131-2)가 구비된 가로 연결몸체 받침(131); 반구형태의 제1상부 숫조인부 안착홈(132-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모서리에 제1단턱홀(132-2)이 구비된 가로 연결몸체 커버(132); 및 상기 가로 연결몸체 커버(132)가 가로 연결몸체 받침(131)에 얹혀져 제1단턱홀(132-2)을 관통하여 제1암나사부(13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B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타측 세로 연결캡(210')은, 찬넬형태를 갖는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이 구비되어 세로 프레임(320)의 상,하부벽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고, 상기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 사이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외측면에 제1걸림후크(213,213')를 갖는 사이드 탄성편(214,214')이 구비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320)의 양측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면서 상기 제1걸림후크(213,213')가 세로 프레임(320)의 측벽에 구비된 제1걸림홀(321)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탄성편(214,214')과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이 제1관통홀(215,215')을 갖는 세로 연결캡 몸체(216,216')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세로 연결캡 몸체(216,216')는 가장자리가 세로 프레임(320)의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 상기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 상기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223,223'); 및 상기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와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의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형태를 갖는 세로 숫조인부(224,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 연결몸체(230)는, 반구형태의 제2하부 숫조인부 안착홈(231-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2암나사부(231-2)가 구비된 세로 연결몸체 받침(231); 반구형태의 제2상부 숫조인부 안착홈(232-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2단턱홀(232-2)이 구비된 세로 연결몸체 커버(232); 및 상기 세로 연결몸체 커버(232)가 세로 연결몸체 받침(231)에 얹혀져 제2단턱홀(232-2)을 관통하여 제2암나사부(23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B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태양광패널이 결합될 수 있는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자중체에 의하여 지면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기초설비를 갖추지 않고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중체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태로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중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을 배수시킨 후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면 위에 놓혀진 단위 태양광발전부와 다른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프레임 연결구에 의하여 가로, 세로방향으로 반복 배열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면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서로 연결되어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장치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단위 태양광발전부를 연결하고 있는 프레임 연결구만 분리시키는 것으로 해체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켜 재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가로 프레임 연결구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세로 프레임 연결구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가로 프레임 연결구의 결합 및 분리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을 도시한 정면도.
도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세로 프레임 연결구의 결합 및 분리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을 도시한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각각의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가로 프레임 연결구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세로 프레임 연결구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가로 프레임 연결구의 결합 및 분리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세로 프레임 연결구의 결합 및 분리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 각각의 단위 태양광발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운반시 하중을 줄여 용이하게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설치 과정에서는 하중을 늘여 지면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구(A)에 의하여 단위 태양광발전부(B)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 배열되게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연결구(A)는 단위 태양광발전부(B)의 가로 프레임(300) 단부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 및 단위 태양광발전부(B)의 세로 프레임(320) 단부에 연결되는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로 구비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는 일측 가로 연결캡(110), 타측 가로 연결캡(110'),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 및 가로 연결몸체(130)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은 가로 프레임(300)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는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타측 가로 연결캡(110')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로 연결몸체(130)는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t)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볼트(Bt)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타측 가로 연결캡(110')은 찬넬형태를 갖는 사이드 지지편(111, 111')이 구비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된 가로 프레임(300)의 단부측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고, 상기 사이드 지지편(111, 111') 사이의 상,하부로 각각 외측면에 걸림후크(112, 112')를 갖는 상,하부 탄성편(113, 114, 113', 114')이 구비되어 상기 가로 프레임(300)의 상,하부벽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후크(112, 112')가 가로 프레임(300)의 상,하부벽에 구비된 걸림홀(301)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지지편(111,111')과 상,하부 탄성편(113,114,113',114')은 관통홀(115,115')을 갖는 가로 연결캡 몸체(116,116')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로 연결캡 몸체(116,116')는 가장자리가 가로 프레임(300)의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한도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에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123,123')가 구비된다.
상기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의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형태를 갖는 숫조인부(124,12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로 연결몸체(130)는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에 구비된 숫조인부(124,124')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결합 과정에서 일정 한도 이내에서 상하, 좌우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가로 연결몸체(130)는 반구형태의 제1하부 숫조인부 안착홈(131-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1암나사부(131-2)를 갖는 가로 연결몸체 받침(131)가 구비되고, 반구형태의 제1상부 숫조인부 안착홈(132-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1단턱홀(132-2)을 갖는 가로 연결몸체 커버(132)가 구비된다.
상기 가로 연결몸체 커버(132)가 가로 연결몸체 받침(131)에 얹혀져 제1단턱홀(132-2)을 관통하여 제1암나사부(131-2)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Bt)에 의하여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가 도4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는 일측 세로 연결캡(210), 타측 세로 연결캡(210'),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 및 세로 연결몸체(230)로 구비된 것으로, 일측 세로 연결캡(210)은 세로 프레임(320)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타측 세로 연결캡(210')은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대응되도록 세로 프레임(320)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는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타측 세로 연결캡(2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 연결몸체(230)는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Bt)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타측 세로 연결캡(210')은 찬넬형태를 갖는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이 구비되어 세로 프레임(320)의 상,하부벽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고, 상기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 사이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외측면에 제1걸림후크(213,213')를 갖는 사이드 탄성편(214,214')이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320)의 양측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면서 상기 제1걸림후크(213,213')가 세로 프레임(320)의 측벽에 구비된 제2걸림홀(321)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탄성편(214,214')과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이 제1관통홀(215,215')을 갖는 세로 연결캡 몸체(216,216')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 연결캡 몸체(216,216')는 가장자리가 세로 프레임(320)의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에 제2너트(223,223')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와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의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형태를 갖는 세로 숫조인부(224,224')가 구비된다.
상기 세로 연결몸체(230)는 반구형태의 제2하부 숫조인부 안착홈(231-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2암나사부(231-2)를 갖는 세로 연결몸체 받침(231)가 구비되어 있고, 반구형태의 제2상부 숫조인부 안착홈(232-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2단턱홀(232-2)을 갖는 세로 연결몸체 커버(232)가 구비된다.
상기 세로 연결몸체 커버(232)가 세로 연결몸체 받침(231)에 얹혀져 제2단턱홀(232-2)을 관통하여 제2암나사부(231-2)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Bt)의 체결력에 의하여 도5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며, 볼트(Bt)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5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 태양광발전부(B)는 자중체(310)를 갖는 2열로 구비된 가로 프레임(300)의 상부에 세로 프레임(320)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320)의 상부에 태양광패널 지지프레임(330)이 구비된다.
상기 자중체(310)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태로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운반과정에서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을 배수시킨 후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설치 과정에서 물이 다시 채워지도록 하여 자중에 의하여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면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태양광패널 지지프레임(330)은 세로 프레임(3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높이가 상이 하도록 전,후방 수직 프레임(331,332)이 직립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 수직 프레임(331,332)의 상단에 경사 프레임(333)의 양측단부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 프레임(333)의 전,후방 상단측에 얹혀지며, 세로방향의 길이를 갖는 패널 안착프레임(334)이 구비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300)은 하중을 줄이는 가운데 충분한 비틀림이나 굽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각관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320)은 추게를 최소한을 줄이는 가운데 최대의 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C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는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와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에 의하여 단위 태양광발전부(B)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 배열되게 결합된 상태는 도1에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단위 태양광발전부(B)를 분리시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와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가 분리된 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위치된 단위 태양광발전부(B)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A:프레임 연결구 B:단위 태양광발전부
100:가로 프레임 연결구 110:일측 가로 연결캡
110':타측 가로 연결캡 120,120':일,타측 가로 연결로드
130:가로 연결몸체 200:세로 프레임 연결구
210:일측 세로 연결캡 210':타측 세로 연결캡
220,220':일,타측 세로 연결로드 230:세로 연결몸체
300:가로 프레임 320:세로 프레임

Claims (10)

  1. 프레임 연결구(A)에 의하여 단위 태양광발전부(B)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반복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구(A)는, 단위 태양광발전부(B)의 가로 프레임(300) 단부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와, 단위 태양광발전부(B)의 세로 프레임(320) 단부에 연결되는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로 구비되되, 상기 가로 프레임 연결구(100)는, 가로 프레임(300)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가로 연결캡(110);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대응되도록 가로 프레임(300)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타측 가로 연결캡(110');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타측 가로 연결캡(110')에 결합된 각각의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 및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Bt)로 고정되는 가로 연결몸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 연결구(200)는, 세로 프레임(320)의 일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세로 연결캡(210);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대응되도록 세로 프레임(320)의 타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타측 세로 연결캡(210');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타측 세로 연결캡(210')에 결합된 각각의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 및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Bt)로 고정되는 세로 연결몸체(230);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연결몸체(130)는,
    반구형태의 제1하부 숫조인부 안착홈(131-1)이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모서리에 제1암나사부(131-2)가 구비된 가로 연결몸체 받침(131);
    반구형태의 제1상부 숫조인부 안착홈(132-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모서리에 제1단턱홀(132-2)이 구비된 가로 연결몸체 커버(132); 및
    상기 가로 연결몸체 커버(132)가 가로 연결몸체 받침(131)에 얹혀져 제1단턱홀(132-2)을 관통하여 제1암나사부(13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B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태양광발전부(B)는,
    자중체(310)를 갖는 2열로 구비된 가로 프레임(300)의 상부에 세로 프레임(320)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320)의 상부에 태양광패널 지지프레임(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패널 지지프레임(330)은,
    세로 프레임(3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높이가 상이 하도록 구비된 전,후방 수직 프레임(331,332);
    상기 전,후방 수직 프레임(331,332)의 상단에 양측단부가 연결되도록 구비된 경사 프레임(333); 및
    상기 경사 프레임(333)의 전,후방 상단측에 얹혀지며, 세로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 패널 안착프레임(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300)은 각관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320)은 C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로 연결캡(110)과 타측 가로 연결캡(110')은,
    찬넬형태를 갖는 사이드 지지편(111,111')이 구비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된 가로 프레임(300)의 단부측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고,
    상기 사이드 지지편(111,111') 사이의 상,하부로 각각 외측면에 걸림후크(112,112')를 갖는 상,하부 탄성편(113,114,113',114')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 프레임(300)의 상,하부벽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후크(112,112')가 가로 프레임(300)의 상,하부벽에 구비된 걸림홀(301)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지지편(111,111')과 상,하부 탄성편(113,114,113',114')이 관통홀(115,115')을 갖는 가로 연결캡 몸체(116,116')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 연결캡 몸체(116,116')는 가장자리가 가로 프레임(300)의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타측 가로 연결로드(120,1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
    상기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
    상기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에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123,123'); 및
    상기 가로 연결로드 나사부(122,122')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로 연결로드 몸체(121,121')의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형태를 갖는 숫조인부(124,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세로 연결캡(210)과 타측 세로 연결캡(210')은,
    찬넬형태를 갖는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이 구비되어 세로 프레임(320)의 상,하부벽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고,
    상기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 사이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외측면에 제1걸림후크(213,213')를 갖는 사이드 탄성편(214,214')이 구비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320)의 양측 내면에 맞대어지게 끼워지면서 상기 제1걸림후크(213,213')가 세로 프레임(320)의 측벽에 구비된 제1걸림홀(321)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탄성편(214,214')과 상,하부 지지편(211,212,211',212')이 제1관통홀(215,215')을 갖는 세로 연결캡 몸체(216,216')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세로 연결캡 몸체(216,216')는 가장자리가 세로 프레임(320)의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타측 세로 연결로드(220,220')는,
    디스크형태를 갖는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
    상기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
    상기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223,223'); 및
    상기 세로 연결로드 나사부(222,222')와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 연결로드 몸체(221,221')의 중앙에서 내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형태를 갖는 세로 숫조인부(224,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연결몸체(230)는,
    반구형태의 제2하부 숫조인부 안착홈(231-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2암나사부(231-2)가 구비된 세로 연결몸체 받침(231);
    반구형태의 제2상부 숫조인부 안착홈(232-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모서리에 제2단턱홀(232-2)이 구비된 세로 연결몸체 커버(232); 및
    상기 세로 연결몸체 커버(232)가 세로 연결몸체 받침(231)에 얹혀져 제2단턱홀(232-2)을 관통하여 제2암나사부(231-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B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200063030A 2020-05-26 2020-05-26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9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30A KR102398005B1 (ko) 2020-05-26 2020-05-26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30A KR102398005B1 (ko) 2020-05-26 2020-05-26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41A KR20210146041A (ko) 2021-12-03
KR102398005B1 true KR102398005B1 (ko) 2022-05-16

Family

ID=7886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30A KR102398005B1 (ko) 2020-05-26 2020-05-26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031B1 (ko) 2022-07-04 2023-03-30 주식회사 설악에너텍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태양광 발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90B1 (ko) * 2016-01-15 2016-12-20 전인권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KR101918970B1 (ko) 2017-09-13 2018-11-15 주식회사 애니온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19B1 (ko) 2007-04-24 2010-02-05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70119B1 (ko) * 2014-06-27 2016-10-27 (주)아이시스이엔씨 Frp 단위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207983B1 (ko) * 2018-05-23 2021-01-26 우도영 부상체
KR102132647B1 (ko) * 2018-10-29 2020-07-21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수상 설치용 태양광 패널 지지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90B1 (ko) * 2016-01-15 2016-12-20 전인권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KR101918970B1 (ko) 2017-09-13 2018-11-15 주식회사 애니온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031B1 (ko) 2022-07-04 2023-03-30 주식회사 설악에너텍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태양광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41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001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68423Y1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수상부유 구조체
CN106656006A (zh) 一体化拼装式水面光伏发电系统及其安装方法
KR102398005B1 (ko)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육상용 자중식 태양광 발전장치
JP3180791U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設置架台
JP2016220510A (ja) 雪国用太陽光発電パネル架構ユニット
JP6666966B2 (ja) 離散型操作および保守チャネルのための独立支持される水面太陽光発電システムとその設置方法
JP595621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支持する架台の基礎構造
CN206490638U (zh) 一种单立柱三脚架及其支架与水上光伏电站
TWM557815U (zh) 太陽能板架台以及包含該太陽能板架台之太陽能系統
KR101626877B1 (ko) 태양광 패널 설치용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2009941B1 (ko) 산비탈경사지에 솔라셀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과 시스템 장치
JP2013118238A (ja) 太陽光発電パネルフレームの支持架台構造及び支持金具
JP5235603B2 (ja) 太陽電池アレイ及びその設置構造
KR101716662B1 (ko) 프레임리스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JP3182262U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架台
KR101626357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JP2014212177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JP2014148820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CN207339731U (zh) 用于混凝土屋面的光伏组件支撑座
CN219993356U (zh) 一种装配式基坑临时护栏
CN218161570U (zh) 一种隧道电缆安装支架连接结构
JP6021588B2 (ja) 架台
CN219080333U (zh) 一种取水口沉井开挖下沉挖掘机座顶钢平台
CN216194885U (zh) 一种减小地面空间的风机基础土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