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860B1 -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 Google Patents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860B1
KR102397860B1 KR1020220011138A KR20220011138A KR102397860B1 KR 102397860 B1 KR102397860 B1 KR 102397860B1 KR 1020220011138 A KR1020220011138 A KR 1020220011138A KR 20220011138 A KR20220011138 A KR 20220011138A KR 102397860 B1 KR102397860 B1 KR 10239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electrochromic element
barrier layer
transmit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3923A (en
Inventor
오승배
나용상
안병욱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860B1/en
Publication of KR2022004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 기재층, 제2 기재층,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광투과가변 구조체를 포함하고, 반복된 굽힘이나 굽힌 상태로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 또는 전원이 장시간 차단된 경우라도 초기 대비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고 투과율 동작 기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and a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disposed therebetween, and is repeatedly bent or maintained in a bent state for a long time, or power is cut off for a long time. Even in this case, there is little change in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and the transmittance operation function can be maintained as it is.

Description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전기변색 원리를 바탕으로 우수한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연성을 갖는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that realizes an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function based on the electrochromic principle and at the same time has flexibility.

최근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과 같은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스마트 윈도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투과 정도를 조절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능동 제어 기술을 의미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이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는 전기 변색을 기본 원리로 하는데, 전기 변색이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전기 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전기변색 활성 물질의 고유한 색이나 광투과도와 같은 광학적 특성이 변하는 현상이다.Recently, a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tection increases, interest in technology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is also increasing. For exampl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uch as smart windows and energy harvesting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mong them, the smart window refers to an active control technology that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and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users by adjusting the degree of transmission of light coming from the outside, and is a basic technology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 These smart windows use electrochromism as a basic principle,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an electrochemical oxidation or reduction reaction occurs by an applied power, and, accordingly, optical properties such as the intrinsic color or light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active material are changed. .

현재는 여러 장의 유리 사이에 전기변색소자를 적용한 유리형 스마트 윈도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시공할 창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맞춰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가격이 매우 고가이어서 상용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 마감 등을 하는 경우 수분이 침투될 수 있어 누전의 위험이 있고, 물류 이동시에 적재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동시에 유리라는 소재 특성상 외부의 충격에 깨지기 쉬워 위험하다는 문제도 있다.Currently, a glass-type smart window with an electrochromic element applied between several sheets of glass is generally used, bu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 price is very expensive because it has to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ndow to be installed, so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it. There are difficult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silicone finishing, there is a risk of short circuit because moisture can penetrate, and it takes up a lot of loading space during logistics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angerous because it is easy to break due to external impact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such as glass.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우수한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research on a smart window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 and implementing an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function is continuously required.

구현예는 전기변색원리를 바탕으로 우수한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연성을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intend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flexibility while implementing an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function based on the electrochromic principle.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기재층, 제2 기재층,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광투과가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착색 및 탈색이 조절 가능한 제1 변색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로서,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상태를 일정 시간 지속하는 시험 시에, 아래 식 (4)에서 정의된 제4 투과율 변화(△TT_100H)가 3% 이내인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rst discoloration comprising a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and a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dis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is adjustable in color and discolo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n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a layer, based on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in a test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75 m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bent state Here, an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four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 defined in Equation (4) below 3% is provided:

△TT_100H (%) = │TT_100H - TT_0│ ... (4)△TT_100H (%) = │TT_100H - TT_0│ ... (4)

상기 식 (4)에서, TT_100H은 상기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지속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4), TT_100H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performing the sustain test for 100 hours, and TT_0 is the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sustain test I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기변색원리를 바탕으로 우수한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연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반복된 굽힘이나 굽힌 상태로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 또는 전원이 장시간 차단된 경우라도 초기 대비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고 투과율 동작 기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while realizing an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function based on the electrochromic principle.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repeatedly bent or maintained in a bent state for a long time or when the power is cut off for a long time, there is little change in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and the transmittance operation function can be maintained as it is.

따라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굴곡이 있는 윈도우에도 성능의 저하 없이 적용할 수 있고, 전자기기, 자동차, 건축 등의 분야에서 곡면 부위 또는 움직이는 큰 부분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유연한 특성을 이용하여 롤 형태로 감을 수 있어 제작 공정, 운반, 설치 등에 편리함을 줄 수 있고, 다양한 윈도우 사이즈에 맞게 손쉽게 재단하여 부착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다.Accordingly,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applied to a curved window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and can be applied to a curved part or a large moving part in the fields of electronic devices, automobiles, architectur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can be wound in the form of a roll using its flexible characteristics,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ransportation, installation, etc., and can be easily cut and attached to fit various window sizes, so it has excellent workability.

도 1a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구부린 후 원래의 형태로 펴는 굽힘 시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구부린 상태에서 일정 시간 지속하는 시험을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 시간 유지하는 메모리 시험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시험을 위한 시편의 평면도 및 투과율 측정 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및 광투과가변 구조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및 배리어층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가 적용된 윈도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및 이의 확대도이다.
1A shows a bending test in which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bent and then straightened to its original shape.
1B illustrates a test in which an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1C illustrates a memory test in which power is cut off and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plan view and transmittance measurement points of a specimen for tes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a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a barrier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indow to which an electrochromic elemen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7 and an enlarged view thereof.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각 필름, 윈도우, 패널, 구조체, 또는 층 등이 각 필름, 윈도우, 패널, 구조체, 또는 층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Where each film, window, panel, structure, or layer, etc. is described herein as being formed "on" or "under" each film, window, panel, structure, or layer, etc. As such, “on” and “under” include both “directly” or “indirectly” formed through another element.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for the upper / lower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actually applied.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expression “a” is interpreted as meaning including “a” or “plural” as interpreted in context.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numbers and expressions indicating amounts of components, reaction conditions, etc. described herein are modified by the term "about" in all cas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 기재층, 제2 기재층,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광투과가변 구조체를 포함한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and a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disposed therebetween.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착색 및 탈색이 조절 가능한 제1 변색층을 포함한다.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lor-changing layer that can be colored and discolor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또한,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가 상기 제1 변색층 하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변색층 상의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상의 제2 변색층; 및 상기 제2 변색층 상의 제2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층이 환원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층이 산화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is a first electrode layer under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 electrolyte layer o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 second color-changing layer on the electrolyt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wherei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includes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includes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기재층(110) 및 제2 기재층(150) 사이에 광투과가변 구조체(130)가 개재되고,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130)가 제1 변색층(133) 및 제2 변색층(13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층(133) 및 상기 제2 변색층(137) 사이에 전해질층(135)이 개재된다(도 3 및 도 4 참조).In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light transmission variable structure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110 and the second base layer 150, and the light transmission variable structure 130 is It includes a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and a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 and an electrolyte layer 135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 FIGS. 3 and 3 and see Fig. 4).

상기 전기변색소자(100)는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시트 또는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a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have a sheet or film form.

상기 전기변색소자(100)의 두께는 20 ㎛ 내지 1,00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변색소자(100)의 두께는 25 ㎛ 내지 900 ㎛, 25 ㎛ 내지 800 ㎛, 25 ㎛ 내지 700 ㎛, 25 ㎛ 내지 600 ㎛, 또는 25 ㎛ 내지 50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have a thickness of 20 μm to 1,000 μm.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25 μm to 900 μm, 25 μm to 800 μm, 25 μm to 700 μm, 25 μm to 600 μm, or 25 μm to 500 μm,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최대 탈색 상태에서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 40% 내지 90%, 50% 내지 90%, 또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최대 착색 상태에서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 10% 내지 40%, 10%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have an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40% to 90%, 50% to 90%, or 60% to 80% in the maximum decolorization s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have an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10% to 40%, 10% to 30%, or 10% to 20%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착색 및 탈색시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적외선(IR 선) 및 자외선(UV 선)의 투과율도 조절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control transmittance of infrared (IR) and ultraviolet (UV) rays as well as visible light during coloring and decolorization.

상술한 전기변색소자의 각 층별 구성 성분, 물성 등과 같은 특징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Characteristics such as constituent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each layer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chromic element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전기변색소자의 유연 특성Flexible properties of electrochromic elements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전기변색원리를 바탕으로 우수한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연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반복된 굽힘이나 굽힌 상태로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 또는 전원이 장시간 차단된 경우라도 초기 대비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고 투과율 동작 기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제1 변색층 또는 제2 변색층을 기준으로 인장(tensile) 또는 압축(compressive)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변색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while realizing an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function based on the electrochromic principle.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repeatedly bent or maintained in a bent state for a long time or when the power is cut off for a long time, there is little change in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and the transmittance operation function can be maintained as it is.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ent in a tensile or compressiv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or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the color-changing function may be maintained.

구체적으로, 도 1a에서 보듯이 전기변색소자의 가로 방향의 길이(L) 대비 25%에 해당하는 거리(D)로 양 말단을 구부렸다 펴는 시험을 반복 시에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 보듯이 전기변색소자의 가로 방향의 길이(L) 대비 25%에 해당하는 거리(D)로 양 말단을 구부린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 시에도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또, 도 1c에서 보듯이 전기변색소자에 전원을 차단하고 장시간 유지 시에도 투과율의 변화가 거의 없을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A , there may be little change in transmittance when the test of bending and unfolding both ends at a distance D corresponding to 25% of the transverse length L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repea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B , there may be little change in transmittance even when both ends are bent at a distance D corresponding to 25% of the transverse length L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c , there may be little change in transmittance even when the power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ut off and maintained for a long time.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후 원래의 형태로 펴는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1)에서 정의된 제1 투과율 변화(△TT_B30)가 1.5% 이내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en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75 mm based on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and then unfold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bending test is repeated, the first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 defined in Equation (1) below is within 1.5%.

△TT_B30 (%) = │TT_B30 - TT_0│ ... (1)△TT_B30 (%) = │TT_B30 - TT_0│ ... (1)

상기 식 (1)에서 TT_B30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1), TT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and TT_0 is the electrical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I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투과율 변화(△TT_B30)는 1% 이내, 0.5% 이내, 또는 0.3% 이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 may be within 1%, within 0.5%, or within 0.3%.

또한, 상기 식 (1)에서 TT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1)에서 TT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B30 and TT_0 in Formula (1) may be 50% or more, 60% or more, or 65% or more, respectively, and may be 90% or less, 80% or less, or 70% or les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B30 and TT_0 in Equation (1) may be 50% to 90%, 60% to 80%, or 65% to 7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2)에서 정의된 제2 투과율 변화(△TT_B30_d)가 3% 이내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repeats the bending test, the second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_d) defined in Equation (2) below may be within 3%.

△TT_B30_d (%) = ││TT_B30 - TT_B30'│-│TT_0 - TT_0'││ ... (2)△TT_B30_d (%) = ││TT_B30 - TT_B30'│-│TT_0 - TT_0'││ ... (2)

상기 식 (2)에서 TT_B30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B30'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2), TT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and TT_B30' is the maximum coloring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is the measured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and TT_0' is the maximum before the bending test I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color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투과율 변화(△TT_B30_d)는 2% 이내, 1% 이내, 0.5% 이내, 또는 0.3% 이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_d may be within 2%, within 1%, within 0.5%, or within 0.3%.

또한, 상기 식 (2)에서 TT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2)에서 TT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B30 and TT_0 in Equation (2) may be 50% or more, 60% or more, or 65% or more, respectively, and may be 90% or less, 80% or less, or 70% or les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B30 and TT_0 in Equation (2) may be 50% to 90%, 60% to 80%, or 65% to 7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식 (2)에서 TT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30%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고, 또한 0%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2)에서 TT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0% 내지 30%, 5% 내지 10%, 또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B30' and TT_0' in Equation (2) may be 30% or less, 20% or less, or 15% or less, respectively, and may be 0% or more, 5% or more, or 10% or more,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B30' and TT_0' in Equation (2) may be 0% to 30%, 5% to 10%, or 10% to 15%,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3)에서 정의된 제3 투과율 변화(△TT_B50)가 3% 이내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repeats the bending test, the third transmittance change (ΔTT_B50) defined in Equation (3) below may be within 3%.

△TT_B50 (%) = │TT_B50 - TT_0│ ... (3)△TT_B50 (%) = │TT_B50 - TT_0│ ... (3)

상기 식 (3)에서 TT_B50은 상기 굽힘 시험을 5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3), TT_B5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50 times, and TT_0 is the electrical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I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투과율 변화(△TT_B50)는 2% 이내, 1% 이내, 0.5% 이내, 또는 0.3% 이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hird transmittance change ΔTT_B50 may be within 2%, within 1%, within 0.5%, or within 0.3%.

또한, 상기 식 (3)에서 TT_B5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3)에서 TT_B5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B50 and TT_0 in Equation (3) may be 50% or more, 60% or more, or 65% or more, respectively, and may be 90% or less, 80% or less, or 70% or les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B50 and TT_0 in Equation (3) may be 50% to 90%, 60% to 80%, or 65% to 7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상태를 일정 시간 지속하는 시험 시에, 아래 식 (4)에서 정의된 제4 투과율 변화(△TT_100H)가 3% 이내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 test in which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en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75 mm based on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our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 defined in Equation (4) below may be within 3%.

△TT_100H (%) = │TT_100H - TT_0│ ... (4)△TT_100H (%) = │TT_100H - TT_0│ ... (4)

상기 식 (4)에서 TT_100H은 상기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지속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4), TT_100H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performing the sustain test for 100 hours, and TT_0 is the electrical measur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sustain test. I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color-changing ele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투과율 변화(△TT_100H)는 2% 이내, 1% 이내, 0.5% 이내, 또는 0.3% 이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our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 may be within 2%, within 1%, within 0.5%, or within 0.3%.

또한, 상기 식 (4)에서 TT_100H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4)에서 TT_100H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100H and TT_0 in Equation (4) may be 50% or more, 60% or more, or 65% or more, respectively, and may be 90% or less, 80% or less, or 70% or les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100H and TT_0 in Equation (4) may be 50% to 90%, 60% to 80%, or 65% to 7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지속 시험을 수행하고 나서 상기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5)에서 정의된 제5 투과율 변화(△TT_100H_B30)가 3% 이내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repeats the bending test after performing the sustain test, the fif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_B30) defined in Equation (5) below may be within 3%.

△TT_100H_B30 (%) = │TT_100H_B30 - TT_0│ ... (5)△TT_100H_B30 (%) = │TT_100H_B30 - TT_0│ ... (5)

상기 식 (5)에서 TT_100H_B30은 상기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하고 나서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한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지속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5), TT_100H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performing the sustain test for 100 hours and then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TT_0 is the sustain test I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previously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 투과율 변화(△TT_100H_B30)는 2% 이내, 1% 이내, 0.5% 이내, 또는 0.3% 이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f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_B30 may be within 2%, within 1%, within 0.5%, or within 0.3%.

또한, 상기 식 (5)에서 TT_100H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5)에서 TT_100H_B30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100H_B30 and TT_0 in Equation (5) may be 50% or more, 60% or more, or 65% or more, respectively, and may be 90% or less, 80% or less, or 70% or les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100H_B30 and TT_0 in Equation (5) may be 50% to 90%, 60% to 80%, or 65% to 7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굽힘 시험을 반복하고 나서, 전원을 인가하여 최대 탈색 상태로 만든 이후,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 시간 유지하는 메모리 시험 시에, 아래 식 (6)에서 정의된 제6 투과율 변화(△TT_B30_M12H)가 3% 이내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mory test in which the electrochromic element repeats the bending test, applies power to make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then cuts off the power and maintains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ixth transmittance defined in Equation (6) below The change (ΔTT_B30_M12H) may be within 3%.

△TT_B30_M12H (%) = │TT_B30_M12H - TT_0│ ... (6)△TT_B30_M12H (%) = │TT_B30_M12H - TT_0│ ... (6)

상기 식 (6)에서 TT_B30_M12H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하고 나서 최대 탈색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시험을 12시간 수행 후에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In Equation (6), TT_B30_M12H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easured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and performing the memory test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for 12 hours, TT_0 is before the bending test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6 투과율 변화(△TT_B30_M12H)는 2% 이내, 1% 이내, 0.5% 이내, 또는 0.3% 이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xth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_M12H) may be within 2%, within 1%, within 0.5%, or within 0.3%.

또한, 상기 식 (6)에서 TT_B30_M12H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이상, 60% 이상, 또는 6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90% 이하, 80% 이하, 또는 7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 (6)에서 TT_B30_M12H 및 TT_0의 값은 각각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ues of TT_B30_M12H and TT_0 in Formula (6) may be 50% or more, 60% or more, or 65% or more, respectively, and may be 90% or less, 80% or less, or 70% or les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values of TT_B30_M12H and TT_0 in Equation (6) may be 50% to 90%, 60% to 80%, or 65% to 70%, respectively.

상기 식 (1) 내지 (6) 등에서 언급되는 가시광 평균 투과율은, 가시광 파장 범위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380~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5 nm 간격으로 측정된 투과율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referred to in Equations (1) to (6), etc., means an average value of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specifically, the average value of transmittances measured at 5 nm intervals in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there is.

기재층base layer

상기 제1 기재층(110) 및 상기 제2 기재층(150)은 투명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층에 해당하며,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110 and the second base layer 150 correspond to layers for maintaining transparency and durability, and may include a polymer resin. For exampl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be a polymer film.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에테르술폰(PES), 나일론(nylo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each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carbonate (PC), polyimide (PI), and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polyethersulfone (PES), nylon (nylon),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olefin polymer (CO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이 상술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내구성과 가요성을 모두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polymer resin,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both durability and flexibility can be implemented.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하여 각각 8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하여 각각 85% 이상 또는 9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각각 2.0% 미만, 1.8% 이하, 또는 1.5% 이하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각각 80% 이상의 신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은 각각 90% 이상, 100% 이상, 또는 120% 이상의 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이 각각 상술한 범위의 광투과도 및 헤이즈를 만족함으로써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고, 상술한 범위의 신율을 만족함으로써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80% or more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Specifically,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85% or more or 90% or more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have a haze of less than 2.0%, 1.8% or less, or 1.5% or less.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have an elongation of 80% o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have an elongation of 90% or more, 100% or more, or 120% or mor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y exhibit transparency by satisfying the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of the above-described ranges, respectively, and may exhibit flexibility by satisfying the elongation of the above-described ranges.

상기 제1 기재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10 ㎛ 내지 30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50 ㎛ 내지 180 ㎛, 70 ㎛ 내지 180 ㎛, 80 ㎛ 내지 180 ㎛, 100 ㎛ 내지 180 ㎛, 100 ㎛ 내지 170 ㎛, 또는 100 ㎛ 내지 15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기재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기재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전기변색소자의 신율 및 인장강도를 특정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변색소자를 굽히는 경우에도 각 층에 크랙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얇으면서도 가볍고 유연성을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구현할 수 있고, 박막화에도 유리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may be 10 μm to 300 μm,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are respectively 50 μm to 180 μm, 70 μm to 180 μm, 80 μm to 180 μm, 100 μm to 180 μm, 100 μm to 170 μm, Alternatively, it may be 100 μm to 15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satisfy the above ranges, the elongation and tensile strength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implemented at a specific level. In addition, even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ent, cracks or cracks do not occur in each layer,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hin, light and flexible electrochromic elem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thin film formation.

배리어층barrier layer

상기 배리어층은 외부로부터 광투과가변 구조체에 수분이나 기체를 포함한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예를 들어 제1 배리어층 및 제2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rrier layer serves to prevent penetration of impurities including moisture or gas into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from the outsid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barrier layer and a second barrier layer.

상기 제1 배리어층(120) 및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은 각각 2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층(120) 및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은 각각 2 개의 층을 포함하거나, 3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Each of the first barrier layer 120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may include two or more layers.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barrier layer 120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may include two layers or three layers (see FIG. 5 ).

예를 들어,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2 개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2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3 개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3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arrier layer 120 may include two layers,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may include two layers. Alternatively, the first barrier layer 120 may include three layers,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may include three layers.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제1A 배리어층(121) 및 제1B 배리어층(122)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배리어층이 제1A 배리어층(121), 제1B 배리어층(122) 및 제1C 배리어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In one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120 includes a 1A barrier layer 121 and a 1B barrier layer 122, or the first barrier layer includes a 1A barrier layer 121 and a 1B It may include a barrier layer 122 and a 1C barrier layer 123 (see FIG. 5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층은 제1A 배리어층 및 제1B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 또는 제1A 배리어층, 제1B 배리어층 및 제1C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arrier layer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1A barrier layer and a 1B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lternatively, the 1A barrier layer, the 1B barrier layer, and the 1C barrier layer may b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제1 배리어층은 제1 기재층 상에 적층될 수 있다. The first barrier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first base layer.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제2A 배리어층(141) 및 제2B 배리어층(142)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배리어층이 제2A 배리어층(141), 제2B 배리어층(142) 및 제2C 배리어층(143)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In one embodiment,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includes a 2A barrier layer 141 and a 2B barrier layer 142, or the second barrier layer includes a 2A barrier layer 141 and a 2B second barrier layer. It may include a barrier layer 142 and a 2C barrier layer 143 (see FIG. 5 ).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리어층은 제2A 배리어층 및 제2B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 또는 제2A 배리어층, 제2B 배리어층 및 제2C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2A barrier layer and a 2B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lternatively, the 2A barrier layer, the 2B barrier layer, and the 2C barrier layer may be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제2 배리어층은 제2 기재층 하면에 적층될 수 있다.The second barrier layer may be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제1A 배리어층(121) 및 제1B 배리어층(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제2A 배리어층(141) 및 제2B 배리어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배리어층이 제1A 배리어층(121), 제1B 배리어층(122) 및 제1C 배리어층(1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제2A 배리어층(141) 및 제2B 배리어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120 includes a 1A barrier layer 121 and a 1B barrier layer 122 ,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is a 2A barrier layer 141 . and a 2B barrier layer 142 . Alternatively, the first barrier layer includes a 1A barrier layer 121 , a 1B barrier layer 122 , and a 1C barrier layer 123 ,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is a 2A barrier layer 141 . ) and a 2B barrier layer 142 .

상기 제1 배리어층(120) 및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은 각각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금속산화질화물, 준금속산화물, 준금속질화물, 준금속산화질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The first barrier layer 120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are each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al oxide, a metal nitride, a metal oxynitride, a metalloid oxide, a metalloid nitride, a metalloid oxynit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contains one or more species.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층(120) 및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은 각각 금속질화물, 금속산화질화물, 준금속질화물, 준금속산화질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barrier layer 120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al nitride, a metal oxynitride, a metalloid nitride, a metalloid oxynit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include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층(120) 및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은 각각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barrier layer 120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제1A 배리어층(121) 및 제1B 배리어층(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A 배리어층 및 상기 제1B 배리어층 중 하나는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120 includes a 1A barrier layer 121 and a 1B barrier layer 122, and one of the 1A barrier layer and the 1B barrier layer is a metal oxide.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metalloid oxide, and the other one may include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제1C 배리어층(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C 배리어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arrier layer 120 may further include a 1C barrier layer 123 . In this case, the 1C barrier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imide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또한,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제2A 배리어층(141) 및 제2B 배리어층(142)을 포함하고, 상기 제2A 배리어층 및 상기 제2B 배리어층 중 하나는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includes a 2A barrier layer 141 and a 2B barrier layer 142 , and one of the 2A barrier layer and the 2B barrier layer i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and the other one may include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제2C 배리어층(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C 배리어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arrier layer 140 may further include a 2C barrier layer 143 . In this case, the 2C barrier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imide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이 제1A 배리어층 및 제1B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A 배리어층 및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 비는 1:2 내지 1:10이다. 이때, 상기 제1A 배리어층은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B 배리어층은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includes a first A barrier layer and a first B barrier layer, and a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A barrier layer and the first B barrier layer is 1:2 to 1:10. In this case, the first A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and the first B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상기 제1A 배리어층 및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 비는 1:2.5 내지 1:10 또는 1:2.5 내지 1:7.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thickness ratio of the barrier layer 1A and the barrier layer 1B may be 1:2.5 to 1:10 or 1:2.5 to 1:7.5,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2 배리어층이 제2A 배리어층 및 제2B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A 배리어층 및 상기 제2B 배리어층의 두께 비는 1:2 내지 1:1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A 배리어층은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B 배리어층은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include a second A barrier layer and a second B barrier layer, and a thickness ratio of the second A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B barrier layer may be 1:2 to 1:10. In this case, the 2A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and the 2B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상기 제2A 배리어층 및 상기 제2B 배리어층의 두께 비는 1:2.5 내지 1:10 또는 1:2.5 내지 1:7.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ratio of the 2A barrier layer and the 2B barrier layer may be 1:2.5 to 1:10 or 1:2.5 to 1:7.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A 배리어층 및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 비 및 상기 제2A 배리어층 및 상기 제2B 배리어층의 두께 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필름의 광학적 특성, 굴절률 및 내후성과 같은 장기신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The thickness ratio of the 1A barrier layer and the 1B barrier layer and the thickness ratio of the 2A barrier layer and the 2B barrier layer satisfy the above range, thereby improving long-term reliability such as optical properties, refractive index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film It works.

반면, 상기 제1A 배리어층 및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 비 또는 상기 제2A 배리어층 및 상기 제2B 배리어층의 두께 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절률이 저하되거나, 불투명해지거나, 광학적 특성 및 내후성과 같은 장기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ratio of the 1A barrier layer and the 1B barrier layer or the thickness ratio of the 2A barrier layer and the 2B barrier layer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refractive index decreases, becomes opaque, optical properties and weather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long-term reliability is lowered, such as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이 제1A 배리어층 및 제1B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제1 기재층, 제1A 배리어층 및 제1B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A 배리어층은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B 배리어층은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includes a 1A barrier layer and a 1B barrier layer, a first base layer, a 1A barrier layer, and a 1B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1A barrier layer Silver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and the 1B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이 제1A 배리어층, 제1B 배리어층 및 제1C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제1 기재층, 제1A 배리어층, 제1B 배리어층 및 제1C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A 배리어층은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B 배리어층은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C 배리어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includes a 1A barrier layer, a 1B barrier layer and a 1C barrier layer, and the first substrate layer, the 1A barrier layer, the 1B barrier layer and the 1C barrier layer are stacked sequentially, wherein the 1A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the 1B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and the 1C barrier layer includes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silicone-based resins, polyimide-based resins, or polyurethane-based resins.

이때, 상기 제1A 배리어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50 nm, 10 nm 내지 40 nm, 또는 10 nm 내지 30 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layer 1A may be 10 nm to 50 nm, 10 nm to 40 nm, or 10 nm to 3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는 30 nm 내지 100 nm, 30 nm 내지 80 nm, 30 nm 내지 70 nm, 또는 40 nm 내지 60 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layer 1B may be 30 nm to 100 nm, 30 nm to 80 nm, 30 nm to 70 nm, or 40 nm to 6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A 배리어층 및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투습도는 각각 0.2 g/day·m2 이하, 0.15 g/day·m2 이하, 또는 0.1 g/day·m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ach of the barrier layer 1A and the barrier layer 1B may have a moisture permeability of 0.2 g/day·m 2 or less, 0.15 g/day·m 2 or less, or 0.1 g/day·m 2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상기 제1A 배리어층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 범위 및 투습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필름의 광학적 특성, 굴절률 및 내후성과 같은 장기신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The 1A barrier layer When the thickness range and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1B barrier layer satisfy the above ranges, long-term reliability such as optical properties, refractive index,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film is improved.

반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절률이 저하되거나, 불투명해지거나, 광학적 특성 및 내후성과 같은 장기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fractive index is lowered,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opaque, or the long-term reliability such as optical properties and weather resistance is lowered.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리어층이 제2A 배리어층 및 제2B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제2 기재층, 제2A 배리어층 및 제2B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A 배리어층은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B 배리어층은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barrier layer includes a 2A barrier layer and a 2B barrier layer, a second base layer, a 2A barrier layer, and a 2B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2A barrier layer Silver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and the 2B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또한, 상기 제2 배리어층이 제2A 배리어층, 제2B 배리어층 및 제2C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제2 기재층, 제2A 배리어층, 제2B 배리어층 및 제2C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A 배리어층은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B 배리어층은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C 배리어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arrier layer includes a 2A barrier layer, a 2B barrier layer and a 2C barrier layer, and a second substrate layer, a 2A barrier layer, a 2B barrier layer and a 2C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2A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the 2B barrier layer includes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and the 2C barrier layer is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or a polyimide. It contains a mid-type resin or a polyurethane-type resin.

이때, 상기 제2A 배리어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50 nm, 10 nm 내지 40 nm, 또는 10 nm 내지 30 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layer 2A may be 10 nm to 50 nm, 10 nm to 40 nm, or 10 nm to 3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2B 배리어층의 두께는 30 nm 내지 100 nm, 30 nm 내지 80 nm, 30 nm 내지 70 nm, 또는 40 nm 내지 60 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layer 2B may be 30 nm to 100 nm, 30 nm to 80 nm, 30 nm to 70 nm, or 40 nm to 6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A 배리어층 및 상기 제2B 배리어층의 투습도는 각각 0.2 g/day·m2 이하, 0.15 g/day·m2 이하, 또는 0.1 g/day·m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2A barrier layer and the 2B barrier layer may have a moisture permeability of 0.2 g/day·m 2 or less, 0.15 g/day·m 2 or less, or 0.1 g/day·m 2 or less, respectiv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상기 제1A 배리어층 상기 제1B 배리어층의 두께 범위 및 투습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필름의 광학적 특성, 굴절률 및 내후성과 같은 장기신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절률이 저하되거나, 불투명해지거나, 광학적 특성 및 내후성과 같은 장기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1A barrier layer The thickness range and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1B barrier layer satisfy the above ranges, thereby improving long-term reliability such as optical properties, refractive index and weather resistance of the film. On the other hand, when out of the above range, the refractive index This deterioration, opacity, or long-term reliability, such as optical properties and weather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상기 제1 배리어층 및 상기 제2 배리어층의 투습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층 및 상기 제2 배리어층의 투습도는 상이할 수 있다.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first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Specifically,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first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be different.

구체적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제1 배리어층이 제1A 배리어층 및 제1B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제1 기재층, 제1A 배리어층 및 제1B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A 배리어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을 포함하고, 상기 제1B 배리어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배리어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C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the first barrier layer includes a 1A barrier layer and a 1B barrier layer, a first base layer, a 1A barrier layer, and a 1B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1A barrier layer Silver includes silicon nitride (SiNx), and the 1B barrier layer includes silicon oxide (SiOx). In addition, optionally, the first barrier layer may further include a 1C barrier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상기 제1A 배리어층이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Si:N의 비가 1.0:0.8 내지 1.0: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B 배리어층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Si:O의 비가 1.0:1.7 내지 1.0:2.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1A barrier layer includes silicon nitride, the Si:N ratio may be 1.0:0.8 to 1.0: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1B barrier layer includes silicon oxide, the Si:O ratio may be 1.0:1.7 to 1.0:2.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2 배리어층이 제2A 배리어층 및 제2B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제2 기재층, 제2A 배리어층 및 제2B 배리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A 배리어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을 포함하고, 상기 제2B 배리어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2 배리어층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2C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rrier layer includes a 2A barrier layer and a 2B barrier layer, a second substrate layer, a 2A barrier layer, and a 2B barri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2A barrier layer is silicon nitride ( SiNx), and the 2B barrier layer includes silicon oxide (SiOx). In addition, optionally,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further include a 2C barrier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imide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상기 제2A 배리어층이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Si:N의 비가 1.0:0.8 내지 1.0: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B 배리어층이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Si:O의 비가 1.0:1.7 내지 1.0:2.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2A barrier layer includes silicon nitride, the Si:N ratio may be 1.0:0.8 to 1.0: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2B barrier layer includes silicon oxide, the Si:O ratio may be 1.0:1.7 to 1.0:2.3,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배리어층 및 상기 제2 배리어층이 상술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얇은 두께로도 목적하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수분 침투를 최대한 막음으로써 전기변색소자의 내구성 및 장기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satisfy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desired performance can be realized even with a thin thickness, and durability and long-term st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improved by maximally preventing moisture penetration.

상기 제1 배리어층 및 상기 제2 배리어층은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각각에 진공 증착 방법으로 증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리어층 및 상기 제2 배리어층은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각각에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 방법으로 증착될 수 있다. The first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be deposited on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by a vacuum deposition method. Specifically, the first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barrier layer may be deposited on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by a sputtering deposition method.

이때, 상기 증착 원료는 금속 또는 준금속(metalloid) 중 1종 이상일 수 있고,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마그네슘(Mg), 실리콘(Si), 인듐(In), 티탄(Ti), 비스무트(B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osition raw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of a metal or a metalloid, and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magnesium (Mg), silicon (Si), indium (In), titanium ( Ti), bismuth (Bi), germanium (G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um (Al).

증착 반응 가스는 산소(O2) 가스 또는 질소(N2)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 가스로서 산소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금속산화물 또는 준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이 형성되며, 반응 가스로서 질소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금속질화물 또는 준금속질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반응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적절히 혼합 사용하는 경우, 금속산화질화물 또는 준금속산화질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The deposition reaction gas may include an oxygen (O 2 ) gas or a nitrogen (N 2 ) gas. When oxygen gas is used as a reactive gas, a barrier layer including a metal oxide or a metalloid oxide is formed, and when nitrogen gas is used as a reaction gas, a barrier layer including a metal nitride or a metalloid nitride can be formed. When an oxygen gas and a nitrogen gas are appropriately mixed and used as the reaction gas, a barrier layer including a metal oxynitride or a metalloid oxynitride may be formed.

진공 증착 방법에는 물리적 진공증착 방법과 화학적 진공증착 방법이 있다. 상기 물리적 진공증착 방법은 열 진공증착, E-beam 진공증착 및 스퍼터링 증착 등이 있다.The vacuum deposition method includes a physical vacuum deposition method and a chemical vacuum deposition method. The physical vacuum deposition method includes thermal vacuum deposition, E-beam vacuum deposition, and sputtering deposition.

상기 스퍼터링(sputtering)은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또는 교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일 수 있다.The sputtering may be DC magnetron sputtering or AC magnetron sputtering.

상기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구체적으로, 플라즈마 스퍼터링, 예를 들어, 반응 플라즈마 스퍼터링(reactive plasma sputtering)일 수 있다.The DC magnetron sputtering may be specifically, plasma sputtering, for example, reactive plasma sputtering.

광투과가변 구조체light transmittance variable structure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130)는 제1 전극층(131); 상기 제1 전극층(131) 상의 제1 변색층(133); 상기 제1 변색층(133) 상의 전해질층(135); 상기 전해질층(135) 상의 제2 변색층(137); 및 상기 제2 변색층(137) 상의 제2 전극층(139)을 포함한다(도 4 참조).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130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131; a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an electrolyte layer 135 on the first discoloration layer 133; a second discoloration layer 137 on the electrolyte layer 135;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139 on the second discoloration layer 137 (see FIG. 4 ).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130)는 제1 전극층(131), 제1 변색층(133), 전해질층(135), 제2 변색층(137) 및 제2 전극층(139)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는 소정의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 광 투과율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적층 구조체이다.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130 i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layer 131 , a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 an electrolyte layer 135 , a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139 are sequentially stacked. can be Specifically, 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structure is a laminate structure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is reversibly changed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층(131) 및 상기 제2 전극층(139)에 전압을 걸어주면, 상기 제2 변색층(137)으로부터 상기 전해질층(135)을 거쳐 상기 제1 변색층(133)까지 관통하여 이동하는 특정 이온 또는 전자에 의해 전체적인 광 투과율이 높아졌다 낮아지게 된다.Specifically,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9 , from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135 to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 The overall light transmittance increases and decreases due to specific ions or electrons moving through them.

상기 제2 변색층(137)의 광 투과율이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1 변색층(133)의 광 투과율도 낮아지고, 상기 제2 변색층(137)의 광 투과율이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1 변색층(133)의 광 투과율도 높아지게 된다.Whe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is lowere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is also lowered, and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is increased, the first color change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ayer 133 is also increased.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first electrode layer and second electrode layer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각각 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중 하나는 투명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은 모두 투명 전극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transparent electrode or a reflective electrode. In one embodimen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ther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In another embodiment, both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제1 전극층(131)은 상기 제1 배리어층(120) 상에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층(139)은 상기 제2 배리어층(140) 상에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may be formed by depositing on the first barrier layer 120 by a sputtering method.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9 may be formed by depositing on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by a sputtering method.

상기 투명 전극은 빛에 대하여 높은 투과율, 낮은 면저항을 갖고, 내침투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전극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ransmittance to light, low sheet resistance, and penetration resistance,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n electrode plate.

상기 투명 전극은 예를 들어,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tin oxide), 아연산화물(ZnO, zinc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zinc ox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electrode is, for exampl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ium-tin oxide (ITO, indium-tin oxide), zinc oxide (ZnO, zinc oxide), indium-zinc oxide (IZO, indium-zinc oxid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include a selected one.

상기 반사 전극은, 예를 들어,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금(Au), 텅스텐(W), 크롬(C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ive electrode is, for example, a group consisting of silver (Ag),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gold (Au), tungsten (W), chromium (Cr),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상기 제1 전극층(131) 및 상기 제2 전극층(139) 각각의 두께는 100 nm 내지 500 nm, 100 nm 내지 400 nm, 100 nm 내지 300 nm, 또는 150 nm 내지 250 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9 may have a thickness of 100 nm to 500 nm, 100 nm to 400 nm, 100 nm to 300 nm, or 150 nm to 250 nm,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각각은 투명 전극일 수 있고, 인듐-주석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may include indium-tin oxide.

구체적으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각각은 인듐 산화물:주석 산화물을 70:30 내지 98:2 또는 80:20 내지 97:3의 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include indium oxide:tin oxide in a mass ratio of 70:30 to 98:2 or 80:20 to 97:3.

또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각각의 표면저항은 5 Ω/sq 내지 100 Ω/sq, 5 Ω/sq 내지 80 Ω/sq, 5 Ω/sq 내지 70 Ω/sq, 또는 5 Ω/sq 내지 50 Ω/sq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rface resistanc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5 Ω/sq to 100 Ω/sq, 5 Ω/sq to 80 Ω/sq, 5 Ω/sq to 70 Ω/sq, or 5 Ω/sq to It may be 50 Ω/sq,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변색층first chromic layer

상기 제1 변색층(133)은 상기 제1 전극층(131) 및 상기 제2 전극층(139)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층으로, 전기변색소자에 광 투과율 가변성을 부여하는 층이다.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is a layer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changes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9, and is a layer that imparts light transmittance variability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m.

상기 제1 변색층(133)은 상기 제2 변색층(137)에 포함되는 전기 변색 물질과는 상보적인 발색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보적인 발색 특성이란 전기 변색 물질이 발색하는 반응의 종류가 서로 상이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color development characteristic complementary to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ncluded in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 The complementary color development characteristic means that the types of reactions in which the electrochromic material develops colo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1 변색층에 산화성 변색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변색층에는 환원성 변색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변색층에 환원성 변색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변색층에는 산화성 변색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is used for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and when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is used for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the second color-changing material An oxidative color change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변색층(133)은 환원성 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층(137)은 산화성 변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include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may include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상기 산화성 변색 물질은 산화반응이 일어날 때 변색되는 물질을 의미하고,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은 환원반응이 일어날 때 변색되는 물질을 의미한다.The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refers to a material that changes color when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and the reductive color-change material refers to a material that changes color when a reduction reaction occurs.

즉, 산화성 변색 물질이 적용된 변색층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착색 반응이 일어나고,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탈색 반응이 일어난다. 환원성 변색 물질이 적용된 변색층에서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착색 반응이 일어나고,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탈색 반응이 일어난다.That is, when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in the color-changing layer to which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is applied, a coloring reaction occurs, and when a reduction reaction occurs, a decolorization reaction occurs. When a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color-changing layer to which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is applied, a coloring reaction occurs, and when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a decolorization reaction occurs.

이처럼 상보적인 발색 특성을 갖는 물질이 각 변색층에 포함됨으로써, 착색 또는 발색이 두 층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색 또는 발색은 전기변색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교대될 수 있다.Since the material having such complementary color development properties is included in each color-changing layer, coloring or color develop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both layers. In addition, coloring or color development may be alternat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상기 제1 전극층(131) 및 상기 제1 변색층(133)의 초기 투과율은 9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투과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상술한 각 층들이 각각 매우 균일하게 도포되었음을 의미하고, 매우 투명함을 나타낸다.The initial transmittan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and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be 90% or more. Specifically, if the initial transmittance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means that each of the above-described layers is applied very uniformly, respectively, and indicates that the layer is very transparent.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층(133)은 환원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include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은 티타늄 산화물(TiO), 바나듐 산화물(V2O5), 니오븀 오산화물(Nb2O5), 크롬 산화물(Cr2O3), 망간 산화물(MnO2), 철 산화물(FeO2), 코발트 산화물(CoO2), 니켈 산화물(NiO2), 로듐 산화물(RhO2), 탄탈 산화물(Ta2O5), 이리듐 산화물(IrO2), 텅스텐 산화물(WO2, WO3, W2O3, W2O5), 비올로겐(viologe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is titanium oxide (TiO), vanadium oxide (V 2 O 5 ), niobium pentoxide (Nb 2 O 5 ), chromium oxide (Cr 2 O 3 ), manganese oxide (MnO 2 ), iron oxide (FeO) 2 ), cobalt oxide (CoO 2 ), nickel oxide (NiO 2 ), rhodium oxide (RhO 2 ), tantalum oxide (Ta 2 O 5 ), iridium oxide (IrO 2 ), tungsten oxide (WO 2 , WO 3 , W) 2 O 3 , W 2 O 5 ), viologen,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고분자 수지는 유연성(flexibility)를 갖는 수지일 수 있고,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수지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에틸렌초산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변색층(133)은 텅스텐 산화물(WO3) 및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resin may be a resin having flexibility, and specific type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polymer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e-based resin, an acrylic resin, a phenol-based resin, a polyurethane-based resin, a polyimide-based resin,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based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include tungsten oxide (WO 3 ) and an acrylic resin.

상기 제1 변색층(133)이 환원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0.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또는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변색층이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 및 고분자 수지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전기변색소자의 반복적인 굽힘 이후나, 장시간 굽힌 상태로 유지한 이후, 또는 장시간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가시광 투과율 변화를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include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and may contain 0.1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Specifically, the polymer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part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2 parts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or 3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Specifically,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may include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and 3 to 7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When it is within the preferred range,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suppress a change in visible light transmittance that may occur after repeated bending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fter maintaining the bent state for a long time, or after turning off the power for a long time.

반면, 상기 제1 변색층이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메모리 성능이 저하되어 특정 수준의 투과율을 유지할 수 없거나, 특정 투과율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변색 시간이 증가하여 변색 속도가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변색층이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상술한 범위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가요성의 저하로 인해 작은 곡률 반경으로 변형 시에 균열이 생길 수 있고, 일정 수준의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contains the polymer resin in excess of the above-mentioned rang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memory performance is deteriorate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transmittance or it takes a long time to reach a specific transmittance. As the discoloration time increases, the discoloration rate may decrease.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contains less than the above-described range of the polymer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cracks may occur when deformed to a small radius of curvature due to a decrease in flexibility, and a certain level of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variable light transmission function.

상기 제1 변색층(133)은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한 재질의 2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include at least one layer, for example, may include two or more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상기 제1 변색층(133)의 두께는 100 nm 내지 1,000 nm, 200 nm 내지 1,000 nm, 200 nm 내지 800 nm, 200 nm 내지 700 nm, 또는 300 nm 내지 700 nm, 또는 300 nm 내지 600 nm일 수 있다. 상기 제1 변색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의 광 투과율 변화 정도가 전기변색소자 전체에 유의미한 광 투과율 가변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 전체가 건물 또는 자동차 창문 등에 적용되어 에너지 조절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광투과 변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변색층의 두께가 300 nm 내지 600 nm 내일 때, 전기변색소자의 반복적인 굽힘 이후나, 장시간 굽힌 상태로 유지한 이후, 또는 장시간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가시광 투과율 변화를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may have a thickness of 100 nm to 1,000 nm, 200 nm to 1,000 nm, 200 nm to 800 nm, 200 nm to 700 nm, or 300 nm to 700 nm, or 300 nm to 600 nm. there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may impart significant light transmittance variability to the entire electrochromic element, whereby the entire electrochromic element may be a building or It can be applied to automobile windows, etc. to realize the light transmission change characteristic that can realize the energy control effect. In particular,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is 300 nm to 600 nm, a change in visible light transmittance that may occur after repeated bending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fter maintaining the bent state for a long time, or after turning off the power for a long time may be more advantageous in suppressing

또한 상기 제1 변색층의 두께와 상기 고분자 수지의 함량 간에는 일정한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변색층은 상기 고분자 수지의 함량을 인자로 하는 아래 식에서 계산된 두께를 기준으로 ±150 nm 이내, ±100 nm 이내, 또는 ±50 nm 이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certain relationship may be satisfied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discoloration layer and the content of the polymer resin.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within ±150 nm, within ±100 nm, or within ±50 nm based on the thickness calculated in the formula below using the content of the polymer resin as a factor.

제1 변색층 두께(nm)=[고분자 수지 함량(중량부) × 75(nm/중량부)] + 75(nm)First color-changing layer thickness (nm) = [Polymer resin content (parts by weight) × 75 (nm/parts by weight)] + 75 (nm)

상기 식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 함량은 상기 제1 변색층 내의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부이다.In the above formula, the content of the polymer resin is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i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상기 제1 변색층의 두께와 상기 고분자 수지의 함량 간에 상기 바람직한 관계를 만족할 때, 전기변색소자의 반복적인 굽힘 이후나, 장시간 굽힌 상태로 유지한 이후, 또는 장시간 전원을 차단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가시광 투과율 변화를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When the desired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content of the polymer resin is satisfied, it may occur after repeated bending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fter maintaining the bent state for a long time, or after turning off the power for a long time.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suppress a change in visible light transmittance.

제2 변색층second color change layer

상기 제2 변색층(137)은 상기 제1 전극층(131) 및 상기 제2 전극층(139)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층으로, 전기변색소자에 광 투과율 가변성을 부여하는 층이다.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is a layer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is changed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9, and is a layer that imparts light transmittance variability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m.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색층(137)은 산화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may include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상기 산화성 변색 물질은 니켈 산화물(nickel oxide, 예를 들어, NiO, NiO2), 망간 산화물(manganese oxide, 예를 들어, MnO2), 코발트 산화물(cobalt oxide, 예를 들어, CoO2), 이리듐-마그네슘 산화물(iridium-magnesium oxide), 니켈-마그네슘 산화물(nickel-magnesium oxide), 티탄-바나듐 산화물(titanium-vanadium oxide), 프루시안 블루계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루시안 블루계 안료는 짙은 파란색 계열의 안료로서, Fe4(Fe(CN)6)3의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이다.The oxidative color change material is nickel oxide (eg, NiO, NiO 2 ), manganese oxide (eg, MnO 2 ), cobalt oxide (eg, CoO 2 ), iridium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titanium-vanadium oxide, Prussian blue pigment, and combinations thereo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ussian blue pigment is a dark blue pigment, and is a compound having a chemical formula of Fe 4 (Fe(CN) 6 ) 3 .

상기 고분자 수지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수지일 수 있고, 구체적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계 수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lymer resin may be a resin having flexibility, and specific type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polymer resin may be a urethane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n ester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polyimide resin,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tc., but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 내지 10,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 내지 10,000, 200 내지 10,000 또는 500 내지 10,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resin may be 50 to 10,000. Specificall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resin may be 100 to 10,000, 200 to 10,000, or 500 to 10,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제2 변색층(137)은 니켈 산화물(NiO) 및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 내지 10,000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may include nickel oxide (NiO) and an acrylic resin, and the acrylic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 to 10,000.

상기 제2 변색층(137)이 산화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0.1 내지 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may include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and may contain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상기 제2 변색층이 상기 산화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를 상술한 범위만큼 포함하는 경우 산화성 변색 물질이 필름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게 하여 원활한 광투과 가변 성능을 구현하는데 도움을 준다.When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contains the above-described range of the polymer res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the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is stably attached to the film surface, thereby helping to implement smooth light transmission variable performance.

반면, 고분자 수지가 상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산화성 변색 물질이 필름 표면에 부착이 약하게 되어 약간의 외부 충격에도 탈리 또는 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유연성 또한 떨어지게 되어 굴곡시 색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가 상술한 범위 초과인 경우, 고분자 수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저항으로 인해 이온 전도도가 낮아져 산화성 변색 물질의 이온 전도도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고온에서의 내구성이 약해져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lymer resin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oxidative discoloration material may have weak adhesion to the film surface,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detachment or scattering even with a slight external impact, and may cause color cracks during bending due to poor flexibility. In addition, when the polymer resin exceeds the above range,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oxidative discoloration material may be lower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polymer resin itself, and the ionic conductivity performance of the oxidative discoloration material may be lowered, and the durability at high temperature may be weakened,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

상기 제2 변색층(137)은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재질의 2 개 이상의 층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second discoloration layer 137 includes at least one layer, and if necessary, two or more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may be applied.

상기 제2 변색층(137)의 두께는 100 nm 내지 1,000 nm, 100 nm 내지 800 nm, 100 nm 내지 600 nm, 100 nm 내지 500 nm, 100 nm 내지 400 nm, 200 nm 내지 800 nm, 또는 300 nm 내지 800 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may be 100 nm to 1,000 nm, 100 nm to 800 nm, 100 nm to 600 nm, 100 nm to 500 nm, 100 nm to 400 nm, 200 nm to 800 nm, or 300 nm. to 80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 변색층(137)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디고, 적절한 함량의 이온을 보유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기변색소자의 박막화, 가요성 확보, 우수한 광투과 변화 특성을 구현하기에 유리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can withstand external impact well and retain an appropriate amount of ions. It is advantageous to implement transmission change characteristics.

반면, 상기 제2 변색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변색층이 얇아서 이온 전도도의 성능 저하로 인해 변색 성능을 적절하게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변색층이 두꺼워 약간의 외부 충격에도 균열(crack)이 발생하여 플렉서블 전기변색소자로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높아져 비경제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implement the color-changing performance due to a decrease in ionic conductivity because the color-changing layer is thin. In addition,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color-changing layer is thick and cracks may occur even with a slight external impact,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implement as a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and may be uneconomical due to increased manufacturing cost.

상기 제2 변색층(137)의 초기 투과율은 5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 투과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육안으로 보았을 때 어둡고 짙은 파란색 또는 옅은 남색을 띄는 것을 의미한다.The initial transmittance of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may be 50% or less. Specifically, when the initial transmittance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means that it is dark and dark blue or pale indigo blue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색층(133)이 환원성 변색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층(137)이 산화성 변색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색층 및 상기 제2 변색층이 각각 습식 코팅(wet coat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includes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includes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and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each include It may be formed by a wet coating metho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변색층(133)은 상기 제1 전극층(131)의 일면에 습식 코팅 방법으로 원료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변색층(137)은 상기 제2 전극층(139)의 일면에 습식 코팅 방법으로 원료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iscoloration layer 133 may be formed by coating a raw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31 by a wet coating method and then drying it. In addition, the second discoloration layer 137 may be formed by applying a raw material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9 by a wet coating method and then drying it.

상기 습식 코팅시 사용되는 용매는 비방향족 용매 또는 방향족 용매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에탄올, 아세톤, 톨루엔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lvent used in the wet coating may be a non-aromatic solvent or an aromatic solvent, and specifically, may be ethanol, acetone, toluene,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변색층 및 상기 제2 변색층이 스퍼터링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코팅 방식의 특성상 100 nm 이하의 아주 얇은 도막의 형성만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한 광투과 가변 성능 및 유연성을 모두 갖는 전기변색소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Whe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are formed by the sputtering coating method,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both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performance and flexibility because only a very thin coating film of 100 nm or less can be form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method There are limits to its application.

상기 제1 변색층과 상기 제2 변색층의 두께비는 50:50 내지 80:20, 55:45 내지 75:25, 또는 60:40 내지 70:30일 수 있다.A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may be 50:50 to 80:20, 55:45 to 75:25, or 60:40 to 70:30.

상기 제1 변색층과 상기 제2 변색층의 두께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투명해지고 어두워지는 색상 변화 구간이 폭 넓어지고, 색상 변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투명해지고 어두워지는 색상 변화 구간이 좁아질 수 있고, 색상 변화 시간이 증가하여 느리게 변화하거나 전기변색소자에 전기를 인가해도 작동이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 color change period that becomes transparent and dark becomes wider and the color change time is short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 range is not satisfied, a color change section that becomes transparent and dark may be narrowed, and the color change time is increased to change slowly or it may be difficult to operate even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전해질층electrolyte layer

상기 전해질층(135)은 상기 제1 변색층과 상기 제2 변색층 사이의 이온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전해질층에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lyte layer 135 is a layer serving as an ion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and the type of electrolyte used in the electrolyt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상기 전해질층은 수소 이온 또는 1족 원소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층은 리튬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 화합물은 LiClO4, LiBF4, LiAsF6, LiPF6, LiTFSi, LiFSi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electrolyte layer may include hydrogen ions or Group 1 element ions. Specifically, the electrolyte layer may include a lithium salt compound. The lithium salt compound may be LiClO 4 , LiBF 4 , LiAsF 6 , LiPF 6 , LiTFSi, LiFSi,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전해질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Specifically, the electrolyte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a polyimide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열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또는 광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등일 수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광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rylic resin may be a thermosetting acrylic resin or a photocurable acrylic resin, and the polyurethane-based resin may be a thermosetting polyurethane-based resin, a photocurable polyurethane-based resin, or an aqueous polyurethane-based resin.

상기 전해질층은 고분자 수지와 리튬염을 95:5 내지 80:20, 95:5 내지 85:15, 또는 93:7 내지 87: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nd a lithium salt in a weight ratio of 95:5 to 80:20, 95:5 to 85:15, or 93:7 to 87:3.

상기 전해질층의 이온 전도도는 10-3 mS/cm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층의 이온 전도도는 10-3 mS/cm 내지 103 mS/cm, 또는 10-3 mS/cm 내지 102 mS/c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질층의 이온 전도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 목적하는 광투과 가변 성능이 구현될 수 있고, 유연성과 고온에서의 신뢰성 면에서도 유리하다. 반면, 상기 전해질층의 이온 전도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색상 변화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전기변색소자의 성능이 저하된다.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layer is 10 -3 mS/cm or more. Specifically,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10 -3 mS/cm to 10 3 mS/cm, or 10 -3 mS/cm to 10 2 mS/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a desired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performance can be realized,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flexibility and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layer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color change rate is very slow,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deteriorated.

상기 전해질층의 점착력은 200 g/inch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층의 점착력은 200 g/inch 내지 900 g/inch 또는 200 g/inch 내지 700 g/inc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질층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인 경우 양쪽의 기재에 잘 부착되어 전기변색소자의 성능이 원활하게 발현되게 한다. 반면, 상기 전해질층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양쪽 기재와의 부착에 문제가 생겨 외부의 작은 충격이나 자극에도 쉽게 박리되거나 빈 공간 및 일부 층 표면에서 들뜸과 같은 불연속면이 생기게 되고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고 전기변색소자의 특정 수준까지의 성능 구현이 어렵게 된다.The adhesive strength of the electrolyte layer is 200 g/inch or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force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200 g/inch to 900 g/inch or 200 g/inch to 700 g/inch,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adhesive forc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well adhered to both substrates to allow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to be smoothly expres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ve forc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adhesion to both substrates, so that it is easily peeled off even by a small external shock or stimulus, or a discontinuous surface such as floating in an empty space or some layer surface is generated, and the ionic conductivity is lower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realize the performance up to a certain level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상기 전해질층(135)은 상기 제1 변색층(133) 또는 상기 제2 변색층(137) 중 어느 하나의 층의 일면에 원료를 습식(wet) 코팅 방법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135 may be formed by coating a raw material on one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133 or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7 by a wet coating method and then drying. .

상기 전해질층을 습식 코팅 방법으로 도포하는 경우 도막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도막의 두께 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어서 이온 전도도의 향상 또는 변색속도의 향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반면, 상기 전해질층을 습식 코팅 방법이 아닌 스퍼터링 코팅 방법 등을 이용하는 경우, 도막의 박막 형성으로 인해 도막이 쉽게 깨지거나, 설령 손상이 없더라도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electrolyte layer is applied by a wet coating method,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can be thickened or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can be easily controll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mprovement of ionic conductivity or improvement of discoloration rate.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sputtering coating method rather than the wet coating method for the electrolyte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ating film is easily broken due to the formation of a thin film of the coating film, or the ionic conductivity is lowered even if there is no damage.

상기 전해질층(135)의 두께는 30 ㎛ 내지 200 ㎛, 50 ㎛ 내지 200 ㎛, 50 ㎛ 내지 150 ㎛, 70 ㎛ 내지 130 ㎛, 또는 80 ㎛ 내지 120 ㎛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135)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에 내구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제1 변색층 및 제2 변색층 사이의 이온의 이동 경로를 적절한 길이로 확보하여 적절한 속도의 광투과 변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135 may have a thickness of 30 μm to 200 μm, 50 μm to 200 μm, 50 μm to 150 μm, 70 μm to 130 μm, or 80 μm to 120 μm. When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layer 135 satisfies the above range, durability is impar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at the same time, an ion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d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is secured to an appropriate length to achieve an appropriate spe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light transmission change performance.

이형필름층release film layer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상기 제1 기재층(110)의 상기 제1 배리어층(120)이 적층된 면의 반대측 면 상에 이형필름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film layer 160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barrier layer 120 of the first base layer 110 is laminated. (See Fig. 6).

상기 이형필름층(16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film layer 160 may include a polyester-based resin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or polycarbonate (PC).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필름층의 두께는 10 ㎛ 내지 100 ㎛, 10 ㎛ 내지 80 ㎛, 10 ㎛ 내지 50 ㎛, 또는 12 ㎛ 내지 5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layer may be 10 μm to 100 μm, 10 μm to 80 μm, 10 μm to 50 μm, or 12 μm to 5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50 gf/inch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3 gf/inch 내지 50 gf/inch, 또는 10 gf/inch 내지 50 gf/inc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eeling force of the release film layer is 50 gf/inch or less. Specifically, the peeling force of the release film layer may be 3 gf/inch to 50 gf/inch, or 10 gf/inch to 50 gf/inch,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이형필름층은 전기변색소자의 보관 및 이동시 전기변색소자를 외부의 수분이나 불순물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추후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투명한 윈도우 등에 적용할 때는 필요시 이형필름층 부분을 떼어낸 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형필름층은 특히 점착제층의 부착력 저하를 막을 수 있다.The release film layer serves to prote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from external moisture or impurities during storage and movement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t can also be used later. The release film layer can prevent a decrease in the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particular.

상기 이형필름층의 일면에는 점착제층(161)이 형성될 수 있다.An adhesive layer 16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layer.

상기 점착제층(161)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광학특성 및 내구성 향상에 유리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61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 silicone-based resin, a polyurethane-based resin, an epoxy-based resin, or a polyimide-based resin. 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nd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to improve opt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상기 점착제층의 UV 차단율(400 nm 기준)은 95%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V blocking rate (based on 400 n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95% or more, 97% or more, 98% or more, or 99%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초기 점착력은 0.5 N/inch 내지 8.0 N/inch, 1.0 N/inch 내지 7.0 N/inch, 또는 2.0 N/inch 내지 6.0 N/inc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initial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0.5 N/inch to 8.0 N/inch, 1.0 N/inch to 7.0 N/inch, or 2.0 N/inch to 6.0 N/inch,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프라이머층primer layer

상기 제1 기재층(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110)의 일면에 제1A 프라이머층(111)이 적층될 수 있고, 타면에 제1B 프라이머층(112)이 적층될 수 있다(도 6 참조).A primer layer may be lamin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base layer 110 . Specifically, the 1A primer layer 111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110 , and the 1B primer layer 112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see FIG. 6 ).

또한, 상기 제2 기재층(15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재층(150)의 일면에 제2A 프라이머층(151)이 적층될 수 있고, 타면에 제2B 프라이머층(152)이 적층될 수 있다(도 6 참조).In addition, a primer layer may be lamin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econd base layer 150 . Specifically, a 2A primer layer 151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layer 150 , and a 2B primer layer 152 may be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see FIG. 6 ).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층(120)과 상기 제1 기재층(110)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리어층(140)과 상기 제2 기재층(150)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개재될 수 있다(도 6 참조).In one embodiment, a primer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rrier layer 120 and the first base layer 110 . In addition, a primer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and the second base layer 150 (see FIG. 6 ).

상기 프라이머층(제1A 프라이머층, 제1B 프라이머층, 제2A 프라이머층, 제2B 프라이머층)은 각각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rimer layers (1A primer layer, 1B primer layer, 2A primer layer, and 2B primer layer)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 polyurethane-based resin, a silicone-based resin, or a polyimide-based resin.

상기 프라이머층(제1A 프라이머층, 제1B 프라이머층, 제2A 프라이머층, 제2B 프라이머층)은 각각 35 dyne/cm2 이하의 표면 장력, 또는 30 dyne/cm2 이하의 표면 장력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rimer layers (1A primer layer, 1B primer layer, 2A primer layer, and 2B primer layer) may have a surface tension of 35 dyne/cm 2 or less, or a surface tension of 30 dyne/cm 2 or less. .

상기 프라이머층(제1A 프라이머층, 제1B 프라이머층, 제2A 프라이머층, 제2B 프라이머층)은 3.0 gf/inch 이상의 부착력 또는 3.5 gf/inch 이상의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The primer layer (1A primer layer, 1B primer layer, 2A primer layer, 2B primer layer) may have an adhesive force of 3.0 gf/inch or more or 3.5 gf/inch or more.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층과 배리어층 사이에 부착력을 부여하거나 굴절률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 각각을 형성하는 재료, 표면 장력, 박리력 등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The primer layer serves to impart adhesion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barrier layer or to improve the refractive index. In addition, the material for forming each of the primer layers, surface tension, peeling force, etc.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하드코팅층hard coating layer

일 구현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는 상기 제2 기재층(150)의 상기 제2 배리어층(140)이 적층된 면의 반대측 면 상에 하드코팅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ard coating layer 17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of the second base layer 150 is laminated ( 6).

상기 하드코팅층(170)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rd coating layer 170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 silicone-based resin, a polyurethane-based resin, an epoxy-based resin, or a polyimide-based resin.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내지 10 ㎛, 2 ㎛ 내지 8 ㎛, 2 ㎛ 내지 6 ㎛, 또는 2 ㎛ 내지 5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1 μm to 10 μm, 2 μm to 8 μm, 2 μm to 6 μm, or 2 μm to 5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하드코팅층의 연필경도는 3H 이상, 4H 이상, 또는 5H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encil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3H or more, 4H or more, or 5H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하드코팅층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기변색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스크래치 등에 강하기 때문에 우수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다.The hard coating layer serves to prote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from external impact, and can provide excellent hardness because it is strong against scratches and the like.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유연성을 갖고 시공성이 우수한 전기변색소자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연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외부의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flexibility and excellent workability can be implemented. may be vulnerable to the impact of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100)는 이형필름층(160); 이형필름층(160) 상의 점착제층(161); 상기 점착제층(161) 상의 제1B 프라이머층(112); 상기 제1B 프라이머층(112) 상의 제1 기재층(110); 상기 제1 기재층(110) 상의 제1A 프라이머층(111); 상기 제1A 프라이머층(111) 상의 제1 배리어층(120); 상기 제1 배리어층(120) 상의 광투과가변 구조체(130);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130) 상의 제2 배리어층(140); 상기 제2 배리어층(140) 상의 제2A 프라이머층(151); 상기 제2A 프라이머층(151) 상의 제2 기재층(150); 상기 제2 기재층(150) 상의 제2B 프라이머층(152); 및 상기 제2 프라이머층(152) 상의 하드코팅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In a specific embodiment,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ncludes a release film layer 160;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61 on the release film layer 160; 1B primer layer 112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61; a first base layer 110 on the 1B primer layer 112; 1A primer layer 111 on the first base layer 110; a first barrier layer 120 on the 1A primer layer 111; a light transmission variable structure 130 on the first barrier layer 120; a second barrier layer 140 on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130 ; a 2A primer layer 151 on the second barrier layer 140; a second base layer 150 on the 2A primer layer 151; a 2B primer layer 152 on the second base layer 150; and a hard coating layer 170 on the second primer layer 152 .

효과 및 용도Effects and uses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전원을 인가했을 때 광 투과율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간단한 동작만으로 태양광의 투과율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전원 인가시 두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서 착색 및 탈색을 일으킴으로써 태양광의 파장별로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열 기능 및 차양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유용하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적은 비용으로도 넓은 면적의 소자를 제조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이 낮기 때문에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거울, 그 밖의 차세대 건축 창호 소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유연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고, 파손 위험이 낮으며, 롤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며, 운반하기에도 용이하다.Since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a characteristic of reversibly changing the light transmittance when power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transmittance of sunlight, etc. only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pressing a button, thereb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In particula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to cause coloring and discoloration, so that transmittance can be adjusted for each wavelength of sunlight, which is useful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hermal insulation function and a shading function.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manufacture a device of a large area at a low cost and has low power consumption, so it is suitable for use as a material for smart windows, smart mirrors, and other next-generation architectural windows.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a thin thickness and light and flexible characteristics, so it has excellent workability, a low risk of breakage, can be stored in a roll form, and is easy to transport.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광투과 가변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종래에 견고한 구조로만 적용해야 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의 투명한 윈도우와 같은 구조에 단순히 부착하는 것만으로 목적하는 기술 수단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기존의 투명한 윈도우와 같은 구조에 단순히 부착하는 방식을 통해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및 전기변색소자를 적용한 부분의 확대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상기 윈도우(10)의 일면에 전기변색소자(100)를 부착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10)는 편평한 면일 수도 있고 곡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10)의 전면에 전기변색소자(100)를 부착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100)를 윈도우(10) 내부에 삽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기판과 유리기판 사이에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개재하는 방식을 통해 적용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윈도우의 접합유리와 접합유리 사이에 2 개의 PVB 필름(polyvinyl butyral film)을 개재하고, 상기 2 개의 PVB 필름 사이에 전기변색소자를 개재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고, 열을 통해 압착하여 윈도우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realizes a variable light transmission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has flexibility, thereby overcoming the limitation that had to be applied only to a rigid structure in the prior art, and simply attaching it to a structure such as an existing transparent window. can be obtained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applied by simply attaching it to a structure such as an existing transparent window. Specifically, it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indow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and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to which an electrochromic element is applied are shown in FIG. 8 .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window 10 , and the window 10 may have a flat surface or a curved surface.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ow 10 or may be attached to only a portion of the window 10 .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window 10 .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by interpos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between the glass substrate and the glass substrate. More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by interposing two PVB films (polyvinyl butyral film) between the laminated glass and the laminated glass of the window, and interpos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between the two PVB films, and pressing through heat to the window It can be stably inserted inside.

[실시예][Example]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가 기술되지만, 이들 실시예의 기술범위에 해당하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가 구현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forms including equivalents and substitute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se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실시예 1Example 1

단계 1: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Step 1: Preparation of acrylic resin

온도계, 콘덴서, 적가 깔대기 및 기계식 교반기를 구비한 1L 3구 둥근 플라스크(플라스크 A)를 준비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0 g과 라디칼 중합개시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1.5 g을 투입한 후, 80℃ 항온조에서 기계식 교반기를 사용하여 분당 100회 회전 교반을 실시하였다. 이때, 냉각기의 온도는 10℃를 유지하였다. 또 다른 플라스크(플라스크 B)에 부틸아크릴레이트 189 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7 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1 g 및 파라-도데실스티렌 30 g을 투입하고 기계식 교반기로 30분간 혼합한 후, 적가 깔대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크(플라스크 A)에 천천히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유지하며 중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원하는 중량평균분자량에 도달하였을 때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반응을 종료시켜 아크릴계 수지를 얻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70,000 g/mol이고, 분산도는 4.2이었다.Prepare a 1L three-necked round flask (flask A) equipped with a thermometer, condenser, dropping funnel, and mechanical stirrer, and after adding 300 g of ethyl acetate and 1.5 g of 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80 Rotational stirring was performed at 100 times per minute using a mechanical stirrer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at °C.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cooler was maintained at 10 ℃. In another flask (Flask B), 189 g of butyl acrylate, 27 g of methyl methacrylate, 51 g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30 g of para-dodecyl styrene were added and mixed with a mechanical stirrer for 30 minutes, It was slowly introduced into the flask (Flask A) using a dropping funnel,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80°C. When the desire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reached,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slowly at room temperature to obtain an acrylic resin. As a result of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70,000 g/mol, and the dispersion was 4.2.

단계 2: 전기변색소자의 제조Step 2: Prepar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

PET 기재층(두께 125 ㎛) 상에 프라이머층, 배리어층 및 ITO 전극층(표면저항 50 Ω/s)이 형성된 투명전극기재를 2개 제조하고, 이들을 상판 및 하판으로 이용하였다.Two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s having a primer layer, a barrier layer, and an ITO electrode layer (surface resistance 50 Ω/s) formed on a PET substrate layer (thickness 125 μm) were prepared, and these were used as upper and lower plates.

아크릴계 수지(단계 1에서 제조)를 톨루엔에 용해한 뒤 암모늄 메타텅스테이트 수용액과 혼합하여 텡스텐 산화물(WO3) 페이스트를 제조하되, 텅스텐 산화물(WO3) 100 중량부 대비 아크릴계 수지가 3 중량부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하판의 ITO 전극층 상에 텅스텐 산화물 페이스트를 습식 코팅하고 14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환원 변색층(두께 300 nm)을 형성하였다. Dissolve the acrylic resin (prepared in step 1) in toluene and mix it with an aqueous ammonium metatungstate solution to prepare a tungsten oxide (WO 3 ) paste, but 3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resin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ungsten oxide (WO 3 ) prepared. A tungsten oxide paste was wet-coated on the ITO electrode layer of the lower plate and dried at 140° C. for 5 minutes to form a reduced color change layer (thickness 300 nm).

또한 상기 상판의 ITO 전극층 상에 프루시안 블루계 안료를 습식 코팅하고 140℃에서 5분간 건조하여 산화 변색층(두께 400 nm)을 형성하였다.In addition, a Prussian blue pigment was wet-coated on the ITO electrode layer of the upper plate and dried at 140° C. for 5 minutes to form an oxidative discoloration layer (thickness 400 nm).

상기 환원 변색층 및 상기 산화 변색층 사이에 겔 전해질(이온 전도도가 50 μS/cm 이상)을 100 ㎛ 두께로 코팅 후 합지하여 전기변색소자(가로 300 mm × 세로 200 mm)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판 및 하판의 ITO 전극층의 측면에 구리 테이프를 부착하여 전원 연결이 가능한 버스 바(bus bar)를 형성하였다.An electrochromic device (width 300 mm × length 200 mm) was prepared by coating and laminating a gel electrolyte (ion conductivity of 50 μS/cm or more) to a thickness of 100 μm between the reduction color change layer and the oxidation color change layer. Then, copper tapes were attach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ITO electrode layer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form a bus bar capable of power connection.

실시예 2 내지 9 및 비교예 1 및 2Examples 2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하기 표 1 내지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환원 변색층의 조성으로서 텅스텐 산화물과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 및/또는 환원 변색층의 두께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기변색소자를 제조하였다.As shown in Tables 1 to 4, an electrochromic devic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of tungsten oxide and the acrylic resin and/or the thickness of the reduced color-change layer were changed as the composition of the reduced color-changing layer. .

시험예test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기변색소자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The following tests were perform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s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가. 시편 크기: 가로 300 mm × 세로 200 mm × 두께 약 350 ㎛go. Specimen size: 300 mm wide × 200 mm long × 350 μm thick

나. 시험 방법me. Test Methods

- 굽힘 시험: 시편의 가로 양 말단 간의 거리가 가로 길이의 25%가 되도록 구부린 후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였다(분당 7~10회 반복).- Bending test: After bending the specime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pecimen is 25% of the width, it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repeat 7 to 10 times per minute).

- 지속 시험: 시편의 가로 양 말단 간의 거리가 가로 길이의 25%가 되도록 구부린 상태를 일정 시간 지속하였다.- Continuous test: The bending state was continu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verse ends of the specimen was 25% of the transverse length.

- 메모리 시험: 시편에 전원을 인가하여 최대 탈색 상태로 만든 이후,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 시간 유지하였다.- Memory test: After applying power to the specimen to achieve maximum discoloration, the power was turned off and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다. 투과율 측정: 시편에 전원을 인가하여 최대 탈색 상태 또는 최대 착색 상태로 만든 후, 도 2에서 보듯이 시편의 모서리 변에서 이격거리(a)가 30 mm인 4개의 지점(P2) 및 시편의 중앙 지점(P1)에서 각각 가시광 평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가시광 평균 투과율은 380~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5 nm 간격으로 투과율을 측정하여 얻은 값들의 평균 값이다.all. Transmittance measurement: After applying power to the specimen to make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or the maximum coloring state, as shown in FIG. 2, four points (P2) with a separation distance (a) of 30 mm from the edge of the specimen (P2) and the center point of the specimen In (P1), the averag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was measured.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is an average value of values obtained by measuring transmittance at intervals of 5 nm at a wavelength in the range of 380 to 780 nm.

라. 측정 데이터la. measurement data

- TT_0 : 초기(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0: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t the initial stage (before the test)

- TT_0' : 초기(시험 이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0':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initial (before the test) state of maximum coloring

- TT_B30 :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B30 :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 TT_B30' :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B30' :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 TT_B50 : 굽힘 시험을 5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B50 :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50 times

- TT_B50' : 굽힘 시험을 50회 반복 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B50' :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50 times

- TT_100H :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100H: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fter 100 hours of continuous testing

- TT_100H' :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 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100H':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after 100 hours of continuous testing

- TT_100H_B30 :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하고 나서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한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100H_B30: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fter performing the continuous test for 100 hours and then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 TT_100H_B30' :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하고 나서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한 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투과율- TT_100H_B30' : Transmittance measured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after performing the continuous test for 100 hours and then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 TT_B30_M12H :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하고 나서 최대 탈색 상태에서 메모리 시험을 12시간 수행 후에 측정된 투과율- TT_B30_M12H: The transmittance measured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and performing the memory test for 12 hours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 TT_B30_M12H' :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하고 나서 최대 착색 상태에서 메모리 시험을 12시간 수행 후에 측정된 투과율- TT_B30_M12H': The transmittance measured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and performing the memory test in the maximum coloration state for 12 hours

상기 측정된 데이터들을 아래 표 1의 형식으로 표 2 내지 5에 정리하였다.The measured data are summarized in Tables 2 to 5 in the format of Table 1 below.

시헝 항목Siheung items 초기
(시험전)
Early
(before the test)
30회
굽힘
30 episodes
flex
50회
굽힘
50 episodes
flex
구부린채
100시간
bent over
100 hours
구부린채 100H +30회 굽힘100H +30 bends while bent 30회 굽힘+
착색후 12H유지
30 bends+
12H maintenance after coloring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TT_0TT_0 TT_B30TT_B30 TT_B50TT_B50 TT_100HTT_100H TT_100H_B30TT_100H_B30 TT_B30_M12HTT_B30_M12H
착색coloring TT_0'TT_0' TT_B30'TT_B30' TT_B50'TT_B50' TT_100H'TT_100H' TT_100H_B30'TT_100H_B30' TT_B30_M12H'TT_B30_M12H'

구분division 환원
변색층
두께
(nm)
restoration
discoloration layer
thickness
(nm)
첨가제
함량*
(중량부)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시헝 항목Siheung items 초기
(시험전)
Early
(before the test)
30회
굽힘
30 episodes
flex
50회
굽힘
50 episodes
flex
구부린채
100H
bent over
100H
구부린채 100H +30회 굽힘100H +30 bends while bent 30회굽힘+
착색후
12H유지
30 bends+
after coloring
12H maintenance
실시예
1
Example
One
300300 33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7.367.3 67.267.2 67.067.0 67.267.2 67.067.0 66.966.9
착색coloring 13.013.0 12.912.9 13.113.1 12.912.9 13.213.2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54.354.3 54.354.3 53.953.9 54.354.3 53.853.8 -- 실시예
2
Example
2
450450 55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7.567.5 67.467.4 67.367.3 67.367.3 67.267.2 67.067.0
착색coloring 13.113.1 13.013.0 13.213.2 13.013.0 13.213.2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54.454.4 54.454.4 54.154.1 54.354.3 54.054.0 -- 실시예
3
Example
3
600600 77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7.667.6 67.667.6 67.567.5 67.667.6 67.367.3 67.167.1
착색coloring 13.313.3 13.213.2 13.413.4 13.313.3 13.713.7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54.354.3 54.454.4 54.154.1 54.354.3 53.653.6 -- * 첨가제 함량(중량부): 환원 변색층 내의 텅스텐 산화물 100 중량부 대비 함량
* 투과율: 380~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5 nm 간격으로 측정 후 평균값 산출
*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cont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ungsten oxide in the reducing color change layer
* Transmittance: Measure at 5 nm intervals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and calculate the average value

구분division 환원
변색층
두께
(nm)
restoration
discoloration layer
thickness
(nm)
첨가제
함량*
(중량부)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시험 항목Test Items 초기
(시험전)
Early
(before the test)
30회
굽힘
30 episodes
flex
50회
굽힘
50 episodes
flex
구부린채 100H100H bent 구부린채 100H +30회 굽힘100H +30 bends while bent 30회굽힘+착색후 12H유지30 times bending + 12H maintenance after coloring
실시예
4
Example
4
600600 1One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8.268.2 68.168.1 67.767.7 -- -- 65.565.5
착색coloring 13.213.2 13.313.3 14.014.0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55.055.0 54.354.3 53.753.7 -- -- -- 실시예
5
Example
5
600600 33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8.068.0 68.068.0 67.867.8 -- -- 67.067.0
착색coloring 13.313.3 13.413.4 13.513.5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54.754.7 54.654.6 54.354.3 -- -- -- 실시예
6
Example
6
600600 99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7.567.5 67.367.3 67.167.1 -- -- 64.064.0
착색coloring 13.513.5 13.613.6 13.813.8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54.054.0 53.753.7 53.353.3 -- -- -- * 첨가제 함량(중량부): 환원 변색층 내의 텅스텐 산화물 100 중량부 대비 함량
* 투과율: 380~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5 nm 간격으로 측정 후 평균값 산출
*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cont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ungsten oxide in the reducing color change layer
* Transmittance: Measure at 5 nm intervals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and calculate the average value

구분division 환원
변색층
두께
(nm)
restoration
discoloration layer
thickness
(nm)
첨가제
함량*
(중량부)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시험 항목Test Items 초기
(시험전)
Early
(before the test)
30회
굽힘
30 episodes
flex
50회
굽힘
50 episodes
flex
구부린채 100H100H bent 구부린채 100H +30회 굽힘100H +30 bends while bent 30회굽힘+착색후 12H유지30 times bending + 12H maintenance after coloring
실시예
7
Example
7
300300 1One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7.567.5 67.367.3 67.767.7 -- -- 67.167.1
착색coloring 13.013.0 13.313.3 14.014.0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Δ54.5Δ54.5 Δ54.0Δ54.0 Δ53.7Δ53.7 -- -- -- 실시예
8
Example
8
300300 77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7.067.0 66.866.8 67.867.8 -- -- 66.566.5
착색coloring 13.313.3 13.513.5 13.513.5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Δ53.7Δ53.7 Δ53.3Δ53.3 Δ54.3Δ54.3 -- -- -- 실시예
9
Example
9
300300 99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4.064.0 63.863.8 63.863.8 -- -- 59.559.5
착색coloring 14.814.8 15.015.0 15.115.1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Δ49.2Δ49.2 Δ48.8Δ48.8 Δ48.7Δ48.7 -- -- -- * 첨가제 함량(중량부): 환원 변색층 내의 텅스텐 산화물 100 중량부 대비 함량
* 투과율: 380~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5 nm 간격으로 측정 후 평균값 산출
*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cont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ungsten oxide in the reducing color change layer
* Transmittance: Measure at 5 nm intervals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and calculate the average value

구분division 환원
변색층
두께
(nm)
restoration
discoloration layer
thickness
(nm)
첨가제
함량*
(중량부)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시험 항목Test Items 초기
(시험전)
Early
(before the test)
30회
굽힘
30 episodes
flex
50회
굽힘
50 episodes
flex
구부린채 100H100H bent 구부린채 100H +30회반복100H +30 repetitions while bent 30회굽힘+착색후 12H유지30 times bending + 12H maintenance after coloring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One
600600 00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8.368.3 68.268.2 66.566.5 -- -- --
착색coloring 13.213.2 13.313.3 15.015.0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Δ55.1Δ55.1 Δ54.9Δ54.9 Δ51.5Δ51.5 -- -- --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900900 00 투과율*
(%)
Transmittance*
(%)
탈색decolorization 69.069.0 57.057.0 동작불가
(전면
크랙)
inoperable
(Front
crack)
-- -- --
착색coloring 12.512.5 21.021.0 -- -- -- Δ투과율 (%)ΔTransmittance (%) Δ56.5Δ56.5 Δ36.0Δ36.0 -- -- -- * 첨가제 함량(중량부): 환원 변색층 내의 텅스텐 산화물 100 중량부 대비 함량
* 투과율: 380~780 nm 범위의 파장에서 5 nm 간격으로 측정 후 평균값 산출
* Additive content (parts by weight): cont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ungsten oxide in the reducing color change layer
* Transmittance: Measure at 5 nm intervals at a wavelength of 380 to 780 nm and calculate the average value

e.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식의 계산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래 식을 계산하고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e. Calculation of Equations Using Measured Data The following equations were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data and summarized in the table below.

(1) 30회 반복 굽힘 시험 전후의 투과율 변화(1) Change in transmittance before and after 30 repeated bending tests

△TT_B30 (%) = │TT_B30 - TT_0│ △TT_B30 (%) = │TT_B30 - TT_0│

(2) 30회 반복 굽힘 시험 전후의 투과율 동작 범위의 변화(2) Changes in transmittance operating range before and after 30 repeated bending tests

△TT_B30_d (%) = ││TT_B30 - TT_B30'│-│TT_0 - TT_0'││ △TT_B30_d (%) = ││TT_B30 - TT_B30'│-│TT_0 - TT_0'││

(3) 50회 반복 굽힘 시험 전후의 투과율 변화(3) Change in transmittance before and after 50 repeated bending tests

△TT_B50 (%) = │TT_B50 - TT_0│ △TT_B50 (%) = │TT_B50 - TT_0│

(4) 구부린 상태에서 100시간 유지하는 시험 전후의 투과율 변화(4) Change in transmittance before and after the test held for 100 hours in a bent state

△TT_100H (%) = │TT_100H - TT_0│ △TT_100H (%) = │TT_100H - TT_0│

(5) 구부린 상태에서 100시간 유지후 30회 반복 굽힘 시험 후의 투과율 변화(5) Change in transmittance after 30 repeated bending tests after holding for 100 hours in a bent state

△TT_100H_B30 (%) = │TT_100H_B30 - TT_0│ △TT_100H_B30 (%) = │TT_100H_B30 - TT_0│

(6) 30회 반복 굽힘 시험 이후, 전원을 인가하여 최대 탈색 상태로 만든 이후, 전원을 차단하여 12시간 유지 후 투과율 변화(6) After 30 times of repeated bending test, apply power to make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then cut off the power and maintain for 12 hours, then change the transmittance

△TT_B30_M12H (%) = │TT_B30_M12H - TT_0│ △TT_B30_M12H (%) = │TT_B30_M12H - TT_0│

단위:%unit:% △TT_B30
(1)
△TT_B30
(One)
△TT_B30_d
(2)
△TT_B30_d
(2)
△TT_B50
(3)
△TT_B50
(3)
△TT_100H
(4)
△TT_100H
(4)
△TT_100H_B30
(5)
△TT_100H_B30
(5)
△TT_B30_M12H
(6)
△TT_B30_M12H
(6)
실시예 1Example 1 0.10.1 00 0.30.3 0.10.1 0.30.3 0.40.4 실시예 2Example 2 0.10.1 00 0.20.2 0.20.2 0.30.3 0.50.5 실시예 3Example 3 00 0.10.1 0.10.1 00 0.30.3 0.50.5 실시예 4Example 4 0.10.1 0.70.7 0.50.5 -- -- 2.72.7 실시예 5Example 5 00 0.10.1 0.20.2 -- -- 1.01.0 실시예 6Example 6 0.20.2 0.30.3 0.40.4 -- -- 3.53.5 실시예 7Example 7 0.20.2 0.50.5 0.20.2 -- -- 0.40.4 실시예 8Example 8 0.20.2 0.40.4 0.80.8 -- -- 0.50.5 실시예 9Example 9 0.20.2 0.40.4 0.20.2 -- -- 4.54.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81.8 3.63.6 -- -- --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크랙crack 크랙crack -- -- -- --

마. 결과 해석mind. Interpretation of results

상기 표에서 보듯이, 비교예 1의 전기변색소자는 30회 반복 굽힘 시험 이후 미세 크랙이 발생하여 초기 대비 투과율 변화가 1%를 초과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전기변색소자는 10회 반복 굽힘 이후에 다수의 크랙이 발생하여 투과율이 크게 저하되었고, 30회 반복 굽힘 시험 중에는 전면에 크랙이 다수 발생하여 작동이 불가하였다.As shown in the above table,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Comparative Example 1, microcracks occurred after the repeated bending test 30 times, so that the change in transmittance from the initial time exceeded 1%. In addition,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Comparative Example 2, a number of cracks occurred after repeated bending for 10 times, and the transmittance was greatly reduced, and during the repeated bending test of 30 times, a number of cracks occurred on the front surface, making operation impossible.

반면, 실시예 1 내지 9의 전기변색소자는 모두 30회 반복 굽힘 시험 이후에도 초기 대비 투과율 변화가 1% 이내인 것으로 측정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s of Examples 1 to 9, it was measured that the transmittance change was within 1%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even after the repeated bending test 30 times.

특히 이들 중 실시예 1 내지 3의 전기변색소자는 구부림을 반복하거나 지속하는 시험 또는 전원을 차단하여 유지하는 시험 이후에 모두 초기 대비 투과율 변화가 1% 이내인 것으로 측정되었다.In particular, the electrochromic elements of Examples 1 to 3 were measured to have transmittance changes of less than 1%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after the test of repeating or continuing bending or the test of keeping the power turned off.

한편, 실시예 4 내지 6을 볼 때, 일정 수준의 두께에서 첨가제 함량에 따라 탈색 유지(메모리) 기능 및 굽힘 특성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는 50회 반복 시에 미세 크랙이 발생하였고, 실시예 4 및 6은 30회 반복 굽힘 후 전원을 인가하여 최대 탈색 상태를 만들고 나서 전원을 차단하여 12시간 유지 시에 투과율이 다소 저하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Examples 4 to 6, it was found that the color retention (memory) function and bending properties were affected by the additive content at a certain level of thickness. Specifically, in Example 4, microcracks occurred when repeated 50 times, and in Examples 4 and 6, after repeated bending 30 times, power was applied to create a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nd then the transmittance was slightly decreased when the power was turned off and maintained for 12 hours. was lowered

또한, 실시예 7 내지 9을 볼 때, 텅스텐 산화물 두께가 얇은 경우, 첨가제 함량에 따라 투과율 동작 범위 및 메모리 기능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when viewing Examples 7 to 9, when the thickness of the tungsten oxide was thin, it was found that the transmittance operating range and the memory function were affected by the additive content.

A-A': 절개선
L: 전기변색소자의 길이
D: 전기변색소자의 양 말단 간의 거리
10: 윈도우
100: 전기변색소자
110: 제1 기재층
111: 제1A 프라이머층
112: 제1B 프라이머층
120: 제1 배리어층
121: 제1A 배리어층
122: 제1B 배리어층
123: 제1C 배리어층
130: 광투과가변 구조체
131: 제1 전극층
133: 제1 변색층
135: 전해질층
137: 제2 변색층
139: 제2 전극층
140: 제2 배리어층
141: 제2A 배리어층
142: 제2B 배리어층
143: 제2C 배리어층
150: 제2 기재층
151: 제2A 프라이머층
152: 제2B 프라이머층
160: 이형필름층
161: 점착제층
170: 하드코팅층
A-A': incision line
L: length of electrochromic element
D: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10: Windows
100: electrochromic element
110: first base layer
111: 1A primer layer
112: 1B primer layer
120: first barrier layer
121: 1A barrier layer
122: 1B barrier layer
123: 1C barrier layer
130: light transmission variable structure
131: first electrode layer
133: first color-changing layer
135: electrolyte layer
137: second color-changing layer
139: second electrode layer
140: second barrier layer
141: 2A barrier layer
142: 2B barrier layer
143: 2C barrier layer
150: second base layer
151: 2A primer layer
152: 2B primer layer
160: release film layer
161: adhesive layer
170: hard coating layer

Claims (9)

제1 기재층, 제2 기재층,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광투과가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착색 및 탈색이 조절 가능한 제1 변색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로서,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상태를 일정 시간 지속하는 시험 시에, 아래 식 (4)에서 정의된 제4 투과율 변화(△TT_100H)가 3% 이내인, 전기변색소자:
△TT_100H (%) = │TT_100H - TT_0│ ... (4)
상기 식 (4)에서
TT_100H은 상기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지속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
Electrochromic comprising a first color-changing layer comprising a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and a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dis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is adjustable in color and discolo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s a child,
In the test in which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is ben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75 m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defined in Equation (4) below The four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 is within 3%, the electrochromic element:
△TT_100H (%) = │TT_100H - TT_0│ ... (4)
In the above formula (4)
TT_100H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fter performing the continuous test for 100 hours,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sustain t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후 원래의 형태로 펴는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1)에서 정의된 제1 투과율 변화(△TT_B30)가 1.5% 이내인, 전기변색소자:
△TT_B30 (%) = │TT_B30 - TT_0│ ... (1)
상기 식 (1)에서
TT_B30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ased on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the following equation (1) ), the first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 defined in 1.5%, the electrochromic element:
△TT_B30 (%) = │TT_B30 - TT_0│ ... (1)
In the above formula (1)
TT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후 원래의 형태로 펴는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2)에서 정의된 제2 투과율 변화(△TT_B30_d)가 3% 이내인, 전기변색소자:
△TT_B30_d (%) = ││TT_B30 - TT_B30'│-│TT_0 - TT_0'││ ... (2)
상기 식 (2)에서
TT_B30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B30'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 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착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ased on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the following equation (2) ), the second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_d) defined in 3%, the electrochromic element:
△TT_B30_d (%) = ││TT_B30 - TT_B30'│-│TT_0 - TT_0'││ ... (2)
In the above formula (2)
TT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TT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colored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가로 300 mm 및 세로 200 mm의 크기의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시편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양 말단 간의 거리가 75 mm가 되도록 구부린 후 원래의 형태로 펴는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3)에서 정의된 제3 투과율 변화(△TT_B50)가 3% 이내인, 전기변색소자:
△TT_B50 (%) = │TT_B50 - TT_0│ ... (3)
상기 식 (3)에서
TT_B50은 상기 굽힘 시험을 50회 반복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Based on the specime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size of 30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the following formula (3) ), the third transmittance change (ΔTT_B50) defined in 3%, the electrochromic element:
△TT_B50 (%) = │TT_B50 - TT_0│ ... (3)
In the above formula (3)
TT_B5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50 times,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지속 시험을 수행하고 나서 상기 굽힘 시험을 반복 시에, 아래 식 (5)에서 정의된 제5 투과율 변화(△TT_100H_B30)가 3% 이내인, 전기변색소자:
△TT_100H_B30 (%) = │TT_100H_B30 - TT_0│ ... (5)
상기 식 (5)에서
TT_100H_B30은 상기 지속 시험을 100시간 수행하고 나서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한 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지속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When the bending test is repeated after performing the sustain test, the fifth transmittance change (ΔTT_100H_B30) defined in Equation (5) below is within 3%, the electrochromic device:
△TT_100H_B30 (%) = │TT_100H_B30 - TT_0│ ... (5)
In the above formula (5)
TT_100H_B3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a state of maximum discoloration after performing the sustain test for 100 hours and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sustain tes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굽힘 시험을 반복하고 나서, 전원을 인가하여 최대 탈색 상태로 만든 이후,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 시간 유지하는 메모리 시험 시에, 아래 식 (6)에서 정의된 제6 투과율 변화(△TT_B30_M12H)가 3% 이내인, 전기변색소자:
△TT_B30_M12H (%) = │TT_B30_M12H - TT_0│ ... (6)
상기 식 (6)에서
TT_B30_M12H은 상기 굽힘 시험을 30회 반복하고 나서 최대 탈색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시험을 12시간 수행 후에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고,
TT_0은 상기 굽힘 시험 이전에 최대 탈색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가시광 평균 투과율(%)이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applying power to make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and then turning off the power and maintaining the memory te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ixth transmittance change (ΔTT_B30_M12H) defined in Equation (6) below is 3 %, which is an electrochromic element:
△TT_B30_M12H (%) = │TT_B30_M12H - TT_0│ ... (6)
In the above formula (6)
TT_B30_M12H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after repeating the bending test 30 times and performing the memory test for 12 hours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TT_0 is the averag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measured in the maximum discoloration state before the bending t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이 고분자 필름이고,
상기 제1 변색층이 300 nm 내지 600 nm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두께가 20 ㎛ 내지 1,000 ㎛인,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re polymer films,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has a thickness of 300 nm to 600 nm,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a thickness of 20 μm to 1,000 μ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이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에테르술폰(PES), 나일론(nylo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층이 환원성 변색 물질 100 중량부 및 고분자 수지 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원성 변색 물질이 티타늄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니오븀 산화물, 크롬 산화물, 망간 산화물, 철 산화물, 코발트 산화물, 니켈 산화물, 로듐 산화물, 탄탈 산화물, 이리듐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비올로겐(viologe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에틸렌초산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re each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carbonate (PC), polyimide (PI),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 polyether sulfone (PES), nylon (nylon),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nd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olefin polymer (COP),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comprises 100 parts by weight of a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and 3 to 7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resin,
The reducible color-changing material is titanium oxide, vanadium oxide, niobium oxide, chromium oxide, manganese oxide, iron oxide, cobalt oxide, nickel oxide, rhodium oxide, tantalum oxide, iridium oxide, tungsten oxide and a group consisting of viologe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polymer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e-based resin, an acrylic resin, a phenol-based resin, a polyurethane-based resin, a polyimide-based resin,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based resin, an electrochrom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가변 구조체가
상기 제1 변색층 하의 제1 전극층;
상기 제1 변색층 상의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상의 제2 변색층; 및
상기 제2 변색층 상의 제2 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색층이 환원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색층이 산화성 변색 물질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transmitting variable structure
a first electrode layer under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n electrolyte layer on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a second color-changing layer on the electrolyte lay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The first color-changing layer includes a reducing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The second color-changing layer includes an oxidative color-changing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KR1020220011138A 2020-09-29 2022-01-26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397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38A KR102397860B1 (en) 2020-09-29 2022-01-26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809A KR102357887B1 (en) 2020-09-29 2020-09-29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20011138A KR102397860B1 (en) 2020-09-29 2022-01-26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809A Division KR102357887B1 (en) 2020-06-10 2020-09-29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923A KR20220043923A (en) 2022-04-05
KR102397860B1 true KR102397860B1 (en) 2022-05-13

Family

ID=802531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809A KR102357887B1 (en) 2020-06-10 2020-09-29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20011138A KR102397860B1 (en) 2020-09-29 2022-01-26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809A KR102357887B1 (en) 2020-06-10 2020-09-29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788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189B1 (en) * 2017-09-29 2019-09-11 전자부품연구원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22B1 (en) * 2017-09-04 2022-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189B1 (en) * 2017-09-29 2019-09-11 전자부품연구원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887B1 (en) 2022-02-07
KR20220043923A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8449B2 (en)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ross-linked ion conducting polymer
RU2420772C2 (en) Electrochemical system on plastic substrate
US11934079B2 (en) Electrochromic device
CN108604035A (en) Integration of the electrochromic film on matrix
US20200150507A1 (en) Electrochromic films with edge protection
US11143892B2 (en) Dimming element including glass film
KR102360035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475740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397860B1 (en)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421041B1 (en)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US11835832B2 (en)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KR102520076B1 (en) Electrochromic device, electrolyte used there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156892B2 (en)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hybrid electrolyte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499890B1 (en) Cell-divided electrochromic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444663B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42797B1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hybrid electroly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671405B1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window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136547B1 (en) An electrolyte composition, an electrolyte film,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KR20240040868A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window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40044192A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window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40040866A (en)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chromic device and laminate structure using thereof
KR20240074236A (en) Electrochromic device, laminate structure using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windows apparatus comp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