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25B1 -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25B1
KR102397125B1 KR1020200122139A KR20200122139A KR102397125B1 KR 102397125 B1 KR102397125 B1 KR 102397125B1 KR 1020200122139 A KR1020200122139 A KR 1020200122139A KR 20200122139 A KR20200122139 A KR 20200122139A KR 102397125 B1 KR102397125 B1 KR 10239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economic effect
artificial rainfall
calculating
exper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241A (ko
Inventor
김부요
차주완
구해정
이철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2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8Adaptations of balloons, missiles, or aircraft for meteorological purposes; Radioson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가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위성 자료를 호출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인공강우 실험과 관련된 실험조건을 기반으로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전자장치가 수자원량을 기반으로 실험조건에 대응되는 인공강우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f Economic Effect Based on Artificial Precipitation Experiments of Dam Watershed}
본 발명은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는 지구 전체의 약 70%를 구성하고 있으나, 바다 표면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증발량 중 약 9%만이 육지로 이동한다. 육지로 이동하는 물의 총량 중 약 97%는 염수이며 나머지는 담수이나, 담수 중에서 인류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은 고작 0.3%에 해당한다. 인류는 이 담수를 농업, 공업,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해 왔으나, 인구 증가에 따라 물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댐을 건설하는 것인데, 댐 건설은 초기 건설 비용이 수천억원에서 1조원에 달하며 건설을 위해 10~20년 가까이의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주변 지형, 환경 변화 및 수몰지역의 생태계 파괴 등의 사회적인 문제와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하수 재이용, 해수담수화, 지하수, 빗물이용, 강변여과수, 해양심층수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역시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아 필요한 때에 수자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종종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는 기상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구름에 직접 시딩(seeding) 물질을 살포하여 지상에 강수를 발생시키는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를 일컫는 인공강우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강우를 발생시키는 실험을 장기간 수행하고 있는 미국, 중국, 태국, 호주 등은 실험에 의한 연강수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하고 있을 뿐, 인공강우를 이용할 경우 증진되는 경제효과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댐 유역의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수자원량을 산출하고, 수자원량으로부터 수력발전을 수행하였을 때의 전력생산량을 산출하여 인공강우 실험 시에 증진되는 경제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은, 전자장치가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위성 자료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인공강우 실험과 관련된 실험조건을 기반으로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수자원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험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인공강우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수량,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성공률, 상기 실험횟수 및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가 유효한 유효면적을 기반으로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면, 상기 댐의 전격낙차 및 유역면적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기 댐의 유역면적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제효과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자원량, 용수판매가, 전력생산량 및 전력판매가를 기반으로 결과값을 산출하여 상기 경제효과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장치는,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해 호출된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고, 상기 인공강우 실험과 관련된 실험조건을 기반으로 수자원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자원량을 기반으로 상기 실험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정된 경제효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량,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성공률,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횟수 및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가 유효한 유효면적을 기반으로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면, 상기 댐의 전격낙차 및 유역면적을 호출하여 상기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기 댐의 유역면적을 호출하여 상기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수자원량, 용수판매가, 전력생산량 및 전력판매가를 기반으로 산출된 결과값을 상기 경제효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는,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수자원량을 산출하고, 수자원량으로부터 수력발전을 수행하였을 때의 전력생산량을 산출하여 인공강우 실험을 이용할 경우에 증진되는 경제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해 인공강우 방법의 이용을 장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운을 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공강우는 자연강수가 아닌 강설 또는 강우와 증설 또는 증우 효과를 통칭하는 용어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위성 자료를 수집하여 전자장치(100)로 제공하는 외부서버(미도시) 또는 정지궤도위성 등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 LTE 및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위성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목표 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목표 댐에 대한 정보는 댐 이름,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 유역면적, 전격낙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경계값을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해 호출된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고, 인공강우 실험과 관련된 실험조건을 기반으로 수자원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수자원량을 기반으로 실험조건에 대응되는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여 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산정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입력부(120)로부터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목표가 되는 목표 댐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입력된 목표 댐의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확인된 위치에 대한 위성 자료를 호출하되,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년치의 위성 자료를 호출한다.
위성 자료는 위성 운량, 운정 고도, 운상 및 강우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운량(cloud fraction)은 위성에서 탐지된 해당 격자 영역 구름의 분율로 0 내지 100의 운량(단위: %)를 의미한다. 운정 고도(cloud top height)는 구름의 정상부 고도(단위: km)를 의미한다. 운상(cloud phase)는 구름의 상태 즉, 액체상(water phase)과 얼음상(ice phase)를 의미한다. 강우 강도(rainfall rate)는 해당 격자 영역 내에 발생될 수 있는 강우의 강도(단위: mm/h)를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호출된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여 유효운의 발생빈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유효운의 발생빈도를 기반으로 목표 댐에서 획득될 수 있는 수자원량을 산출한다. 이때, 유효운은 위성운량이 80%를 초과하고 운정고도가 1~5 km이며 운상이 액체상 또는 얼음상이며 강우강도가 5 mm/h 미만을 조건으로 하는 구름으로 인공증우 실험을 위한 구름 시딩(cloud seeding)에 적절한 구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유효운 발생빈도, 유효운이 발생한 일수, 인공강우 실험이 가능한 시간 및 인공강우 실험 시간을 이용하여 실험횟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험횟수, 강설 또는 강우량, 실험성공률 및 유효면적을 이용하여 수자원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목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는 댐이면, 목표 댐에 대한 전격낙차를 호출하여 목표 댐에서의 전력생산량을 산출한다. 전력생산량은 수자원량, 전격낙차 및 설비효율을 이용하여 산출되고, 제어부(150)는 수자원량, 용수판매가, 전력생산량 및 전력판매가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경제효과를 산정한다. 반대로, 제어부(150)는 목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지 않는 댐이면, 수자원량 및 용수판매가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경제효과를 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산정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201단계의 확인결과, 산정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203단계를 수행하고, 산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산정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위성 자료를 호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목표가 되는 즉,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목표 댐의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확인된 위치에 대한 위성 자료를 호출하되,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년치의 위성 자료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위성 자료는 천리안 1호(COMS), 천리안 2호(GK-2A)와 같은 정지궤도위성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천리안 2호 위성과 같은 정지궤도위성은 특정 지상 영역을 매 2분 간격으로 2km*2km의 공간해상도로 관측하여 위성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203단계에서 호출된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여 유효운의 발생빈도를 확인하고, 207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유효운을 탐지하여 유효운의 발생빈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하기의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목표 댐에 대한 유역면적을 호출한다. 이때, 유역면적은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지상에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의 유효면적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 예컨대, 유효면적을 300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1
으로 설정한 경우 댐의 유역면적이 이를 초과하면 최대 유효면적이 300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2
으로 설정된다. 유효면적이 300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3
미만일 경우 유역면적이 유효면적으로 설정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50)는 205단계에서 확인된 유효운의 발생빈도와 207단계에서 호출된 유역면적에 의해 산출된 유효면적을 이용하여 목표 댐에서 획득될 수 있는 수자원량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하기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수자원량을 산출한다.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4
이때, 일수는 유효운발생빈도가 월 평균값일 경우 월 일수를 의미하고, 유효유운발생빈도가 연 평균값일 경우 연 일수를 의미한다. 또한, 시간은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의 경우 구름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컨대, 인공강우 실험은 주간(09시부터 18시)에만 실험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1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실험시간은 인공증우 실험을 수행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목표 지역으로의 이동과 시딩시간 그리고 회항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5
이때, 강설 또는 강우량 및 실험성공률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을 포함하는 선진국의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평균 강설 또는 강우량과 실험성공률을 적용할 수 있다. 유효면적은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수의 유효한 면적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목표 댐의 유역면적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21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목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는 댐인지를 확인한다. 211단계의 확인결과, 목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는 댐이면 제어부(150)는 213단계를 수행하고, 수력발전을 이용하지 않는 댐이면 제어부(150)는 215단계를 수행한다. 21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목표 댐에 대한 전격낙차를 호출하고 215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21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수자원량, 용수판매가, 전력산량 및 전력판매가를 이용하여 경제효과를 산정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제어부(150)는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목표 댐에서의 전력생산량을 산출한다.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6
이때, 수자원량은 209단계에서 산출된 수자원량이며, 전격낙차는 목표 댐에서의 전격낙차, 설비효율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상수이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하기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경제효과를 산정하고 217단계를 수행하여 산정된 경제효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7
이때, 수자원량은 209단계에서 산출된 수자원량이며, 용수판매가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공시하고 있는 용수 판매가격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값이다. 전력생산량은 수학식 3에서 산출된 값이며 전력판매가는 한국전력공사에 공시하고 있는 전력거래가격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값이다.
반대로, 211단계에서 목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는 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215단계를 수행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하기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경제효과를 산정하고 217단계를 수행하여 215단계에서 산정된 경제효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운을 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아울러, 유효운은 시딩(seeding)하기 적절한 구름을 의미하며 위성기반으로 관측된 구름 특성 및 강우 강도 자료로부터 탐지될 수 있다. 즉, 천리안 2호 등과 같은 정지궤도위성으로부터 관측된 구름 특성자료인 위성 운량이 80%를 초과하고 운정 고도가 1~5km이내이며 운상이 액체상 또는 얼음상이고 강우 강도가 5mm/h 미만인 경우가 유효운으로 정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유효운을 탐지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복수의 경계값을 설정한다. 경계값을 설정하는 것은 위성 운량, 운정 고도, 운상 및 강우 강도의 경계값을 설정하는 설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지형 고도, 기상항공기의 유효 비행고도, 자연 강수 유무 및 구름의 광학적인 특정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값 설정 시에 제어부는 대관령과 같이 해발이 800m가 넘는 지역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하는 경우 지형 고도를 고려하여 기상항공기의 유효 비행 고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고, 자연 강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거나 그렇지 않은 지역의 경우 강우 강도의 조건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3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유효운을 탐지하기 위해서 설정된 복수의 경계값과 위성 자료를 비교한다. 303단계의 비교결과, 위성 자료에 포함된 수치가 복수의 경계값에 수렴하면 제어부(150)는 305단계를 수행하고, 복수의 경계값이 어느 하나라도 수렴하지 않으면 유효운이 탐지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여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설정된 경계값 중 위성 운량, 운정 고도 및 강우 강도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고,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년 동안 탐지된 유효운을 기반으로 유효운의 발생빈도를 산출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위성 격자별로 기준 격자 주변의 임계치 예컨대, 200km 반경의 유효운 발생빈도를 평균하고, 목표 댐 지역의 유효운 발생빈도는 주변 최근접 격자 4군데를 선행 내삽하여 산출할 수 있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위성 자료와 복수의 경계값을 기반으로 유효운이 탐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도 2의 207단계로 리턴한다. 예를 들어, 위성 운량 80%, 운정 고도 1km이상 5km이하, 강우 강도 5mm/h 미만을 경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계값을 설정한 이후에 제어부(150)는 위성 자료에 포함된 수치 중 위성 운량, 운정 고도 및 강우 강도를 확인하여 위성 운량이 80%를 초과하고, 운정 고도가 1km이상 5km 이하이고, 강우 강도가 5mm/h 미만이면 유효운이 탐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x축에 제시된 댐을 목표 지역으로 설정하여 댐 유역별 월평균 경제효과를 y축에 도시하였다. 이때, 위성 자료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천리안 1호에서 획득된 자료를 수집하여 연평균 유효운발생빈도를 계산하였고, 실험성공률은 70%, 강설 또는 강우량은 0.7mm, 유효면적은 300
Figure 112020100581225-pat00009
로 설정하였다. x축에 기재된 모든 댐에서 수력발전을 수행하므로, 용수 판매 이윤과 전력 판매 이윤을 산출하였으며, 두 이윤의 합은 총 경제효과로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인공강우 실험에 따라 어떤 댐에서 수자원의 확보와 그에 대한 수력발전을 통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어떤 댐에서 수자원의 확보와 그에 따른 수력발전을 통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대효과뿐 아니라, 인공강우 실험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고, 인공강우 실험이 보다 효율적인 댐을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자장치가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한 위성 자료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인공강우 실험과 관련된 실험조건을 기반으로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수자원량, 용수판매가, 전력생산량 및 전력판매가를 기반으로 결과값을 산출하여 상기 실험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인공강우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수량,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성공률, 상기 실험횟수 및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가 유효한 유효면적을 기반으로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 산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면, 상기 댐의 전격낙차 및 유역면적을 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 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기 댐의 유역면적을 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 산정 방법.
  5. 삭제
  6.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기 위해 호출된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유효운을 탐지하고, 상기 인공강우 실험과 관련된 실험조건을 기반으로 수자원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자원량, 용수판매가, 전력생산량 및 전력판매가를 기반으로 결과값을 산출하여 상기 실험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산정된 경제효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량,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성공률,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실험횟수 및 상기 인공강우 실험에 의해 발생된 강설 또는 강우가 유효한 유효면적을 기반으로 상기 수자원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전자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면, 상기 댐의 전격낙차 및 유역면적을 호출하여 상기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전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강우 실험을 수행한 댐이 수력발전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기 댐의 유역면적을 호출하여 상기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효과를 산정하는 전자장치.
  10. 삭제
KR1020200122139A 2020-09-22 2020-09-22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 KR10239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39A KR102397125B1 (ko) 2020-09-22 2020-09-22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39A KR102397125B1 (ko) 2020-09-22 2020-09-22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41A KR20220039241A (ko) 2022-03-29
KR102397125B1 true KR102397125B1 (ko) 2022-05-13

Family

ID=8099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139A KR102397125B1 (ko) 2020-09-22 2020-09-22 댐 유역 인공강우 실험에 따른 경제효과 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48B1 (ko) 2013-12-18 2015-06-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자료 및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방법 및 위성 기반 강수량의 보정방법
KR101802162B1 (ko) * 2016-07-27 2017-11-29 대한민국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공증설 항공실험 실시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698B1 (ko) 2018-05-29 2019-10-23 대한민국 구름액체물량을 고려한 항공실험용 인공증우 시딩라인 산출 방법 및 표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060B1 (ko) * 2008-12-19 2011-11-09 대한민국 인공증설 또는 인공증우 목표지역 시딩 및 검증방법
KR101840651B1 (ko) * 2016-04-22 2018-03-27 대한민국 구름레이더를 이용한 강우 강도 산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강우 강도 산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48B1 (ko) 2013-12-18 2015-06-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자료 및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방법 및 위성 기반 강수량의 보정방법
KR101802162B1 (ko) * 2016-07-27 2017-11-29 대한민국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공증설 항공실험 실시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698B1 (ko) 2018-05-29 2019-10-23 대한민국 구름액체물량을 고려한 항공실험용 인공증우 시딩라인 산출 방법 및 표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41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weet et al. Global and regional sea level rise scenarios for the United States
Casanueva et al. Variability of extreme precipitation over Europe and its relationships with teleconnection patterns
Clark et al. CONUS-wide evaluation of National Weather Service flash flood guidance products
Jensen et al. The sensitivity of US wildfire occurrence to pre-season soil moisture conditions across ecosystems
Saito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tion of a shallow landslide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in Japan
Karagali et al. Wind characteristics in the North and Baltic Seas from the QuikSCAT satellite
Tsutaki et al. Contrasting thinning patterns between lake-and land-terminating glaciers in the Bhutanese Himalaya
Yao et al. Evaluation of flood prediction capability of the distributed Grid‐Xinanjiang model driven by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precipitation
MacLeod et al. Drivers and subseasonal predictability of heavy rainfall in equatorial East Africa and relationship with flood risk
Pan et al. Rain-on-snow events in Alaska, their frequency and distribution from satellite observations
Carvalho et al. Characterizing the Indian Ocean sea level changes and potential coastal flooding impacts under global warming
Won et al. Future drought analysis using SPI and EDDI to consider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Getirana et al. GRACE improves seasonal groundwater forecast initialization over the United States
David-Novak et al. Modern extreme storms and the rainfall thresholds for initiating debris flows on the hyperarid western escarpment of the Dead Sea, Israel
Smiatek et al. Potential of commercial microwave link network derived rainfall for river runoff simulations
Akyurek et al. Investigation of the snow‐cover dynamics in the Upper Euphrates Basin of Turkey using remotely sensed snow‐cover products and hydrometeorological data
Diodato et al. Stormines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Mediterranean Central Area
Gusain et al. Operational algorithm for generation of snow depth maps from discrete data in Indian Western Himalaya
Schreiner-McGraw et al. Extreme weather events and transmission losses in arid streams
Cantet et al. Using a particle filter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nowpack water equivalent
Shi et al. Large-scale climate patterns and precipitation in an arid endorheic region: linkage and underlying mechanism
Abessolo et al. Beach adaptation to intraseasonal sea level changes
Garousi‐Nejad et al. A comparison of National Water Model retrospective analysis snow outputs at snow telemetry sites across the Western United States
Maddah et al. Forecastability of a heavy precipitation event at different lead-times using WRF model: the case study in Karkheh River basin
Pavur et al. Observing the recent floods and drought in the Lake Victoria Basin using Earth observations and hydrological anoma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