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979B1 - multifunctional stov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st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979B1
KR102396979B1 KR1020210040667A KR20210040667A KR102396979B1 KR 102396979 B1 KR102396979 B1 KR 102396979B1 KR 1020210040667 A KR1020210040667 A KR 1020210040667A KR 20210040667 A KR20210040667 A KR 20210040667A KR 102396979 B1 KR102396979 B1 KR 10239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lamp
insertion hole
multifunctional
braz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핑고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to KR102021004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979B1/en
Priority to KR1020220025397A priority patent/KR1023866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ultifunctional brazier. The multifunctional braz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having a grill part provided on an upper side, and having an air inflow hole provided on one side such that outside air can flow inward; a first support bracket supporting a wooden combustion material in the body from a lower side while having a lamp insertion hole into which a lighting lamp can be inserted, wherein the lamp insertion hole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lighting lamp;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bracket as well as the lighting lamp inserted in the lamp insertion hole from a lower side at the same time such that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lighting lamp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loor surface of the body by at leas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to the inner floor surface of th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lamp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lamp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a mood lamp, and, moreover, a sub bracket is mounted to close the lamp insertion hole, and then, wooden combustion materials such as firewood and pellets are placed in an upper part thereof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heating, cooking and the like.

Description

다기능 화로대{multifunctional stove}multifunctional stove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기능 화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razi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캠핑이 붐을 일으키며 캠핑을 좋아하는 동호인들의 숫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s is well known, recently, camping is booming due to Corona 19, and the number of campers who like camping is rapidly increasing.

이러한 캠핑을 하기 위해서는 야외에서 적어도 1박 정도 야영을 해야 하므로 야영에 필요한 캠핑용품 역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즉, 야영을 하기 위해서는 텐트와 요리를 할 수 있는 요리도구와 식사를 하기 위한 식기 및 요리시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화로대가 필요하게 된다.In order to do this kind of camping, camping needs to be done outdoors for at least one night, so various camping supplies for camping have been proposed. That is, in order to camp, you need a tent, cooking utensils for cooking, tableware for eating, and a brazier that can provide a heat source for cooking.

특히, 화로는 고기를 굽거나 요리재료가 담긴 용기에 열원을 제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도구 중에 하나이다.In particular, the brazier is one of the essential tools for grilling meat or providing a heat source to a container containing cooking ingredients.

사용자는 캠핑용품을 선택함에 있어 사용 편의성, 재미와 흥미 유발, 편안한 분위기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기준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캠핑용품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예를 들면, 화로대에 있어서도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화로대가 개발되어 있으며 야외 캠핑용 충전식 무드등 또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When selecting camping equipment, users select it based on various functions such as ease of use, fun and interest, and providing a comfortable atmosphere. For example, a folding brazier that is easy to carry has been developed for a brazier, and a rechargeable mood lamp for outdoor camping is also widely applied.

그러나, 종래의 화로대는 단순히 음식을 조리하거나 주변공간을 난방할 수 있는 기능만 제공하고 있을뿐 그 외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azi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provides only a function of simply cooking food or heating the surrounding space, but h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providing other additional function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92826호(2020. 12. 16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2826 (Notice on Dec. 16, 202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을 조리하거나 난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조명램프를 거치하여 무드등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화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ultifunctional brazier that can be used not only for cooking or heating food, but also for mood lighting by mounting a lighting lamp inside. aim to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수용공간을 갖고 상측에는 그릴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공기 유입홀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목재연소물을 하방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조명램프가 삽입 가능하도록 램프삽입홀이 마련되되, 상기 램프삽입홀이 상기 조명램프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제1 지지 브래킷과 상기 조명램프가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게 상기 제1 지지 브래킷과 상기 램프삽입홀에 삽입된 조명램프를 하방에서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다기능 화로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a grill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n air inlet hole is provided on one side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ward; a first support bracket in which a lamp insertion hole is provided to support the wood-burning material in the body from below and to allow insertion of a lighting lamp, wherein the lamp insertion hol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ghting lamp; an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lighting lamp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from the bottom so that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lighting lamp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certain amount or more.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brazier including a second support bracket to be fixed.

상기 램프삽입홀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제1 지지브래킷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rac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to selectively close the lamp insertion hole.

상기 제1 지지 브래킷에는 복수의 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램프삽입홀 주변의 상기 제1 지지 브래킷에는 복수의 삽입홀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 브래킷은, 복수의 통공이 마련되는 보조 브래킷 몸체; 및 상기 보조 브래킷 몸체가 상기 제1 지지 브래킷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보조 브래킷 몸체의 가장자리에 절곡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around the lamp insertion hole, and the auxiliary bracket includes: an auxiliary bracket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that are connected to an edge of the auxiliary bracket body to be bent so that the auxiliary bracket body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which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상기 램프삽입홀의 내벽에는, 상기 내벽과 상기 램프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조명램프 외면 사이에 일정이상의 사이거리가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내벽과 상기 보조 브래킷 몸체의 측면과의 사이에 일정이상의 사이거리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절개홈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lamp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is formed at least a certain distance, an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bracket body at least a certain distance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may be provided to form a distance.

상기 제1 지지 브래킷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bracke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상기 램프삽입홀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amp insertion hole may have a rectangular or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본체는, 윈도우가 마련되는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측벽, 상기 전방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연결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벽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우 측벽에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후방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wall on which a window is provided, left and right side wall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and a rear wall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face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defines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to open to the outside, guide grooves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and guide projections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all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s.

상기 본체는, 윈도우가 마련되는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측벽, 상기 전방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연결되는 후방벽, 상기 전방벽과 상기 좌우 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벽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wall on which a window is provided, left and right side wall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a rear wall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face the front wall, and ends of the front wal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t includes a bottom plate, and the rear wall may be hinge-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상기 바닥판과 상기 후방벽에는, 걸림고리와 걸림홀을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Locking means including a locking ring and a locking hol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and the rear wall.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공간에서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 이동하도록 와류 유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A vortex flow part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moves upward while turning spirally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상기 와류 유동부는, 상기 나선형의 공기유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중심에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상측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rtex flow part, a guide part which is continuously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the spiral air flow path; and a bent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guide part adjacent to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to be bent upward.

상기 제2 지지 브래킷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나선형의 공기유동경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와의 연결 부위에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second support bracke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uide part so that the spiral air flow path of the guide part is continuously connecte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기능 화로대에 의하면, 제1 지지 브래킷의 램프삽입홀 내측에 조명램프를 삽입, 거치하여 무드등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램프삽입홀을 폐쇄하도록 보조 브래킷을 장착하고 그 상부에 장작, 펠렛 등과 같은 목재연소물을 거치하여 난방, 음식 조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brazier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lamp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side the lamp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to be used for mood lighting purposes, and an auxiliary bracket is mounted to close the lamp insertion hole and the It can be used for heating and food cooking by mounting wood burning materials such as firewood and pellets on the upper part.

또한, 본체의 후방벽이 좌우 측벽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를 마련하거나, 힌지 회전 가능한 구조를 마련하여 본체의 후방측을 대략 전면 개방할 수 있으므로, 연소 후 남은 재의 제거 및 본체 내부의 세척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r by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hinge rotati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can be opened approximately in front, so that the ash remaining after combustion and cleaning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본체 내부에 와류 유동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지지 브래킷과 보조 브래킷 상부에 거치된 목재연소물 전체에 대해 최대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를 촉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vortex flow part inside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omote combustion by supplying air as uniformly as possible to the entire wood combustible material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auxiliary brack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다른 형태의 조명램프 거치를 위해 구조가 변경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 기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3 기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changed for mounting a different type of lighting lamp in FIG. 2;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ference use state of Figure 1,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ference use state of Figure 3,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8;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는 고기를 굽거나 음식을 조리하거나 난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조명램프를 거치하여 무드등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grilling meat, cooking food, or heating, but also can be used for mood lighting by mounting a lighting lamp inside.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는 본체(100), 제1 지지 브래킷(110), 보조 브래킷(120) 및 제2 지지 브래킷(124)을 포함한다.1 to 7, the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irst support bracket 110, an auxiliary bracket 120,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124. include

먼저, 본체(10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홀(101)이 마련된다.First, the main body 100 has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d an air inlet hole 101 is provided on one side so tha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유리 또는 아크릴 재질의 윈도우(103)가 마련되는 전방벽(102), 전방벽(10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측벽(104), 전방벽(102)과 마주보도록 좌우 측벽(104)에 연결되는 후방벽(105), 바닥판(106), 전방벽과 좌우 측벽과 후방벽의 상측에 거치되는 그릴부(107)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faces the front wall 102 on which the window 103 made of glass or acrylic material is provide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04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102, and the front wall 102, respectively. It includes a rear wall 105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04 so as to be seen, a bottom plate 106, and a grill portion 107 mounted on the front wall,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rear wall.

여기서, 공기 유입홀(101)은 후방벽(105)의 하단과 바닥판(106) 사이에 마련되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목재 연소물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윈도우(103)를 통해 사용자는 본체(100)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목재 연소물의 연소 상태, 조명램프의 발광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필요시 목재 연소물 재충전이나 조명램프의 관리(일 예로 에탄올 충전 등) 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Here, the air inlet hole 101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105 and the bottom plate 106,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is a wood-burning product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d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o ensure smooth combustion. In addition, through the window 103,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ternal state of the main body 100 with the naked eye, and for example, easily check the combustion state of wood combustion products,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lighting lamp, etc. Management of the lighting lamp (eg, ethanol filling, etc.) can be quickly performed.

다음, 제1 지지 브래킷(110)은 본체(100) 내에 장작, 펠렛 등의 목재연소물(111)을 하방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조명램프(112)가 삽입 가능하도록 램프삽입홀(113)이 마련된다. 조명램프는 에탄올을 주기적으로 충전하여 사용하는 에탄올 램프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발광램프가 사용 가능하며, 사용자는 본체 내부로 조명램프를 자유롭게 거치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is provided with a lamp insertion hole 113 so that the lighting lamp 112 can be inserted while supporting the wood combustion products 111 such as firewood and pellets from below in the main body 100 . . As the lighting lamp, an ethanol lamp that is used by periodically recharging ethanol can be applied, and various types of light emitting lamps can be used, and the user can freely mount and separate the lighting lamp inside the body.

또한, 보조 브래킷(120)은 램프삽입홀(113)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제1 지지 브래킷(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racket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to selectively close the lamp insertion hole (113).

따라서, 첫째, 사용자는 도 1,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브래킷(120)을 이용하지 않고 램프삽입홀(113)에 조명램프(112)을 삽입하며 제1 지지 브래킷(110) 상부에는 목재연소물을 거치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무드등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체(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윈도우(103)를 통해 조명램프의 발광 빛은 주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refore, first, the user inserts the lighting lamp 112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without using the auxiliary bracket 120 as shown in FIGS. 1, 2, 5, and 6 and supports the first The top of the bracket 110 can be used in a state that does not pass wood combustibles.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mood lamp,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lamp may be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windows 103 formed in the body 100 .

이와 달리, 둘째, 사용자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램프(112)를 이용하지 않고 램프삽입홀(113)을 폐쇄하도록 보조 브래킷(120)을 결합하며 제1 지지 브래킷(110)과 보조 브래킷(120)의 상부에 목재연소물을 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그릴부(107)에 고기 등을 올려놓고 음식을 조리하거나 난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목재연소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은 본체(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 등을 통해 주변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econd, the user engages the auxiliary bracket 120 to close the lamp insertion hole 113 without using the lighting lamp 112 as shown in FIGS. 3, 4 and 7 and supports the first It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wood combustible material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110 and the auxiliary bracket 120 .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ooking or heating food by placing meat, etc. on the grill unit 107, and similarly, hea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i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ody 100, etc. can be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space.

덧붙여, 사용자는 그릴부(107)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본체(100)의 상측을 개구한 후 조명램프(112)를 거치 및 이탈, 목재연소물을 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lift the grill unit 107 upwards to ope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n mount and leave the lighting lamp 112 , and mount wood combustib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브래킷(110)은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예를 들어 본체(100)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스크루 등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루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 지지 브래킷(11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 등이 필요할 경우 제1 지지 브래킷(110)을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세척 후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0 , for example, may be coupled through a screw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body 100 . A flange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to enable such screw coupling. Therefore, when cleaning, etc. is necessar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from the main body 100, wash it, and then recombined it for use.

또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삽입홀(113)은 조명램프(112)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삽입홀(113)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명램프(112)는 램프삽입홀(113)에 삽입되고 후술하는 제2 지지 브래킷(12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 좌우방향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2 and 5, the lamp insertion hole 113 is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ghting lamp 112,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may have a rectangular or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ccordingly, the lighting lamp 112 may be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 shaking is minimiz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and supported by a second support bracket 124 to be described later.

관련 도면에서는 일 예로 램프삽입홀(113)이 사각형,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조명램프(112)는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In the related drawings,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the lamp insertion hole 11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is illustrat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other than this, and in this case, the lighting lamp 112 has a corresponding cross-sectional shape.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브래킷(110)에는 복수의 통공(114)이 마련되고, 제1 지지 브래킷(110)은 제2 지지 브래킷(124)에 의해 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그 상부에 거치된 목재연소물의 연소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삽입홀(113) 주변의 제1 지지 브래킷(110)에는 복수의 삽입홀(115)이 마련된다.3 and 7 ,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4 ,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is connected to the body 100 by the second support bracket 124 .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mote the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mounted on the upper part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unit by a certain amount or mo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5 ar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around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 브래킷(120)은 복수의 통공(122)이 마련되는 보조 브래킷 몸체(121)와, 보조 브래킷 몸체(121)의 가장자리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삽입돌기(123)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racket 120 includes an auxiliary bracket body 12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2 ,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23 that are bent to the edges of the auxiliary bracket body 121 . includes

복수의 삽입돌기(123)는 복수의 삽입홀(115)에 각각 삽입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보조 브래킷 몸체(121)는 제1 지지 브래킷(110) 상부의 기설정된 위치에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안착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다기능 화로대를 목재연소물을 연소시켜 난방 등의 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제1 지지 브래킷(110)과 보조 브래킷(120) 상부에 목재연소물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123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15 , and accordingly, the auxiliary bracket body 121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in a state in which shaking is minimized. It is possible. When a user wants to use the multifunctional braz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heating and the like by burning wood combustible, i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wood combustible on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and the auxiliary bracket 1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삽입홀(113)의 내벽에는 복수의 절개홈(116)이 마련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4 and 5 ,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116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일 예로, 목재연소물을 연소시키지 않고 조명램프(112) 만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절개홈(116)은 램프삽입홀(113)의 내벽과 램프삽입홀(113)에 삽입된 조명램프(112) 외면 사이에 일정이상의 사이거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명램프(112)를 램프삽입홀(113)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삽입된 조명램프를 이로부터 이탈하고자 할 때 보다 손쉽게 작업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사용자는, 절개홈(116)에 의해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형성된 램프삽입홀(113)의 내벽과 램프삽입홀(113)에 삽입된 조명램프(112) 외면 사이의 틈으로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램프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ly the lighting lamp 112 is used without burning wood combustible, the cutout groove 116 i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1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lamp 112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It is possible to form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operation easier when the user inserts the lighting lamp 112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or wants to separate the inserted lighting lamp from it. In other words,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113 formed by the incision groove 116 to have a relatively larger width than the peripher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lamp 112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lamp,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lighting lamp.

또한, 조명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목재연소물 만을 연소시키고자 할 경우, 이러한 절개홈(116)은 램프삽입홀(113)의 내벽과 보조 브래킷 몸체(121)의 측면과의 사이에 일정이상의 사이거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보조 브래킷(120)을 제1 지지 브래킷(110)에 결합하거나 결합된 보조 브래킷을 이로부터 이탈하고자 할 때 한층 손쉽게 작업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burn only combustible wood without using a lighting lamp, the cut-out groove 116 has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11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bracket body 121 . In the same way, when the user wants to combine the auxiliary bracket 120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or separate the combined auxiliary bracket from it, it is possible to work more easily, and the specific operation is as described above. same.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브래킷(124)은 제1 지지 브래킷(110)과 조명램프(112)가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게 제1 지지 브래킷(110)과 더불어 램프삽입홀(113)에 삽입된 조명램프(112)를 하방에서 동시에 지지한다. 이러한 제2 지지 브래킷(124)은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에 스크루, 용접 등을 통해 고정 가능하다.Next, 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support bracket 124 includes the first support bracket 110 and the lighting lamp 1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by a predetermined or more. 110) and the illumination lamp 112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are simultaneously supported from below. The second support bracket 124 may be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screws, welding, or the like.

덧붙이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삽입홀(113)은 조명램프(112)의 외곽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램프삽입홀(113)에 삽입된 조명램프(112)의 둘레방향 측면은 램프삽입홀(113)의 내측벽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조명램프(112)의 하부는 제2 지지 브래킷(124)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Incident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amp insertion hole 11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lighting lamp 112 ,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ing lamp 112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The direction side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113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ing lamp 112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bracket 124 .

이에 따라 조명램프(112)는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에탄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 발생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lamp 112 can be maintained in a stationary state with minimal shaking, and can stably burn ethanol,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ire.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를 설명하였으며, 사용자는 조명램프(112)를 거치하여 무드등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조명램프(112)를 제거한 후 펠렛, 장작 등을 본체 내부에 거치하여 난방, 음식조리용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Above, the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user can use the lighting lamp 112 for mood lighting purposes as well as remove the installed lighting lamp 112 and then pellets and firewood. It can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heating and cooking food by mounting the back inside the body.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repeat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200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후방벽(205)은 본체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도록 좌우 측벽(204)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8 and 9 ,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all 205 is slidably coupl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04 so as to ope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좌우 측벽(204)에는 가이드홈(208)이 마련되고 후방벽(205)에는 가이드홈(20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209)가 마련되며, 전술한 그릴부(207)는 후방벽(205)의 상측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Specifically, guide grooves 208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04 , and guide projections 209 are provided on the rear wall 205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s 208 , and the above-described grill portion 207 is provided. is mad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rear wall 205 .

한편, 제1 지지 브래킷(210) 상에 목재연소물을 거치, 연소하여 사용하게 되면 제1 지지 브래킷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연소하고 남은 재가 본체(200)의 바닥에 적재되며, 주기적으로 재의 제거 및 본체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ood combustible material is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bracket 210 to be burned and used, the ash remaining after burn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is loaded on the floor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ash is periodically removed and the need to clean the inside of the body arises.

본 발명은 후방벽(205)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본체(200) 내부공간을 외부에 대해 쉽게 개방할 수 있으므로, 연소 후 남은 재의 제거 및 본체(200) 내부 세척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00 can be easily opened to the outside by lifting the rear wall 205 upwar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the ash remaining after combustion and clea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0 .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300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후방벽(305)은 본체(300)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도록 좌우 측벽(304)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예를 들어 그릴부(307)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힌지핀(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후방벽(305)을 상하 회전시킬 수 있다.10,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all 305 is hinge-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304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300 to the outside, for example, For example, by installing a hinge pin (not shown) or the like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rill part 307 , the rear wall 305 can be vertically rotated.

한편, 후방벽(305)의 하단이 바닥판(306)에 인접하도록 하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후방벽(305)에 의해 공기 유입홀(301)이 폐쇄되지 않도록 후방벽(305)의 하단이 본체(300)의 내부공간 측으로 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05 is rotated downward to be adjacent to the bottom plate 306 ,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05 is not closed by the rear wall 305 to prevent the air inlet hole 301 from being closed. There is a need to prevent further entry in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body 300 .

이를 위해, 일 예로 후방벽(305)의 하단이 바닥판(306)에 인접하도록 하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측면에서 바라보았을때 후방벽(305)의 하단이 바닥판(306)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후방벽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측벽(304)에 후방벽(305)이 접촉 가능하도록 단턱(308)을 마련함으로써 후방벽(305)이 더 이상 본체(300)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05 is rotated downward to be adjacent to the bottom plate 306 ,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05 is located below the bottom plate 306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the rear wall 305 is formed by providing a step 308 so that the rear wall 305 can contact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304 .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 rotation of the body 300 in the inward direction.

또한, 후방벽(305)의 하단이 바닥판(306)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력(바람, 본체에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306)과 후방벽(305)에는 걸림고리(331)와 걸림홀(332)을 포함하는 잠금수단(330)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305 is not fixed to the bottom plate 306, it is shaken by an external force (wind, vibration applied to the body, etc.)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as shown in FIG. Locking means 330 including a locking ring 331 and a locking hole 332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306 and the rear wall 305 as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4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repeat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400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로대는 공기 유입홀(40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본체(400) 내부공간에서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 이동하도록 와류 유동부(440)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11 and 12, the multifunctional brazi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rtex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401 moves upward while turning spir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400. A flow part 440 is additionally provided.

이러한 와류 유동부(440)는 본체(400) 내부에 와류 발생과 더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류 발생도 유도 가능한 것으로써, 제1 지지 브래킷(410)과 보조 브래킷(420) 상부에 거치된 목재연소물 전체에 대해 최대한 균일하게 새로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목재연소물 전체 중 특히 본체 내측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목재연소물이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연소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연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vortex flow part 440 is capable of inducing turbulence generation as well as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 the body 4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ly new air as uniformly as possible to the air conditioner, and accordingly, the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s a whole by maximally preventing the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arranged in the corner area inside the main body at a relatively slow speed. there i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홀은 대략 한 쌍의 좌우 측벽 사이의 거리와 유사한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입홀(401)이 제1 실시예보다 길이가 짧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hole is made in the form of a long hole having a length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walls, but as shown in FIG. 12,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air inlet hole ( 401) is preferably made in the shape of a long hole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r in a circular shape.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 유동부(440)는 나선형의 공기유동경로(442)를 제공하도록 본체(4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가이드부(441)와, 본체(400)의 내부 중심에 인접한 가이드부(441)의 단부에 상측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부(443)를 포함한다.11 and 12, the vortex flow part 440 is a guide part 441 that is continuously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400 to provide a spiral air flow path 442. ) and a bent portion 443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441 adjacent to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400 to be bent upward.

따라서, 공기 유입홀(401)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441)의 공기유동경로(442)를 따라 선회하여 나선형의 와류를 형성하면서 본체(400) 내부공간을 전체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덧붙여, 공기유동경로(44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가이드부(441)를 따라 선회하면서 상승 이동하게 되고, 또 공기의 일부는 절곡부(443)를 넘어 본체(400) 중앙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400) 내부공간에는 와류 발생과 더불어 난류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브래킷(410)과 보조 브래킷(420) 상부에 거치된 목재연소물 전체에 대해 최대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를 촉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through the air inlet hole 401 turns along the air flow path 442 of the guide part 441 to form a spiral vortex and circulates throughout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400. . In addition, part of the air moving along the air flow path 442 moves upward while turning along the guide part 441 , and part of the air flows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body 400 beyond the bending part 443 . can do. In this case, turbulence and turbulence may be generated simultaneously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400, and accordingly, air is provided as uniformly as possible for the entire wood combustion product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bracket 410 and the auxiliary bracket 420. can be supplied to promote combustion.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브래킷(424)에는 가이드부(441)의 나선형의 공기유동경로(442)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즉 공기유동경로(442)가 제2 지지 브래킷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가이드부(441)와의 연결 부위에 복수의 관통공(45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통공(450)은 본체 내에 제2 지지 브래킷(424)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제2 지지 브래킷(424)의 가장자리와 개구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support bracket 424 has a spiral air flow path 442 of the guide portion 441 continuously connected, that is, the air flow path 442 is the second support bracket.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450 ar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uide portion 441 so as not to be blocked by the . Here, the through hole 45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424 in an opened state so as to easily install the second support bracket 424 in the body.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본체 101: 공기 유입홀
110: 제1 지지 브래킷 111: 목재연소물
112: 조명램프 113: 램프삽입홀
115: 삽입홀 116: 절개홈
120: 보조 브래킷 123: 삽입돌기
124: 제2 지지 브래킷 208: 가이드홈
209: 가이드돌기 308: 단턱
330: 잠금수단 440: 와류 유동부
441: 가이드부 442: 공기유동경로
443: 절곡부 450: 관통공
100: body 101: air inlet hole
110: first support bracket 111: wood combustion
112: lighting lamp 113: lamp insertion hole
115: insertion hole 116: incision groove
120: auxiliary bracket 123: insertion projection
124: second support bracket 208: guide groove
209: guide projection 308: step
330: locking means 440: vortex flow part
441: guide portion 442: air flow path
443: bent portion 450: through hole

Claims (12)

내부 수용공간을 갖고 상측에는 그릴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공기 유입홀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목재연소물을 하방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조명램프가 삽입 가능하도록 램프삽입홀이 마련되되, 상기 램프삽입홀이 상기 조명램프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 브래킷;
상기 제1 지지 브래킷과 상기 조명램프가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게 상기 제1 지지 브래킷과 더불어 상기 램프삽입홀에 삽입된 조명램프를 하방에서 동시에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지지 브래킷; 및
상기 램프삽입홀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제1 지지브래킷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 body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 grill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n air inlet hole provided on one side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ward;
a first support bracket in which a lamp insertion hole is provided to support the wood-burning material from below and to allow insertion of a lighting lamp in the body, the lamp insertion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ghting lamp;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lighting lamp simultaneously support the lighting lamp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bracket from below so that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lighting lamp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t leas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cond support bracket fixed to the; and
and an auxiliary brac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to selectively close the lamp insertion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브래킷에는 복수의 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 브래킷의 상기 램프삽입홀 주변에는 복수의 삽입홀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 브래킷은,
복수의 통공이 마련되는 보조 브래킷 몸체; 및
상기 보조 브래킷 몸체가 상기 제1 지지 브래킷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보조 브래킷 몸체의 가장자리에 절곡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 가능한 복수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e provided around the lamp insertion hol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The auxiliary bracket is
Auxiliary bracket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auxiliary bracket body is connected to an edge of the auxiliary bracket body to be bent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a multifunctional braz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that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삽입홀의 내벽에는,
상기 내벽과 상기 램프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조명램프 외면 사이에 일정이상의 사이거리가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내벽과 상기 보조 브래킷 몸체의 측면과의 사이에 일정이상의 사이거리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절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4.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inner wall of the lamp insertion hole,
A plurality of incisions are made to form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lamp inserted into the lamp insertion hole, an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bracket body. Multifunctional brazi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브래킷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bracket is a multifunctional brazi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삽입홀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amp insertion hole is a multifunctional brazi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tangular or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윈도우가 마련되는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측벽, 상기 전방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연결되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벽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우 측벽에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후방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wall on which a window is provided, left and right side wall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and a rear wall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face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so as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to the outside,
Guide groove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guide projections are provided on the rear wall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윈도우가 마련되는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측벽, 상기 전방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연결되는 후방벽, 상기 전방벽과 상기 좌우 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벽은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외부에 개방하도록 상기 좌우 측벽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wall on which a window is provided, left and right side wall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a rear wall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face the front wall, and ends of the front wal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cluding a bottom plate;
The rear wall is a multifunctional braz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후방벽에는, 걸림고리와 걸림홀을 포함하는 잠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9. The method of claim 8,
A multifunctional braz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and the rear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comprising a locking ring and a locking hole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공간에서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상승 이동하도록 와류 유동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braz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ortex flow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moves upward while turning spir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유동부는,
상기 나선형의 공기유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나선 형태로 마련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중심에 인접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상측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vortex flow unit,
a guide part continuously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the spiral air flow path; and
A multifunctional brazier comprising a bent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guide part adjacent to the inner center of the main body to be bent upwa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브래킷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나선형의 공기유동경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와의 연결 부위에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로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support bracket has a multifunctional brazi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provided in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uide portion so that the spiral air flow path of the guide portion is continuously connected.


KR1020210040667A 2021-03-29 2021-03-29 multifunctional stove KR102396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67A KR102396979B1 (en) 2021-03-29 2021-03-29 multifunctional stove
KR1020220025397A KR102386634B1 (en) 2021-03-29 2022-02-25 multifunctional st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67A KR102396979B1 (en) 2021-03-29 2021-03-29 multifunctional stov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397A Division KR102386634B1 (en) 2021-03-29 2022-02-25 multifunctional sto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979B1 true KR102396979B1 (en) 2022-05-13

Family

ID=812115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667A KR102396979B1 (en) 2021-03-29 2021-03-29 multifunctional stove
KR1020220025397A KR102386634B1 (en) 2021-03-29 2022-02-25 multifunctional stov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397A KR102386634B1 (en) 2021-03-29 2022-02-25 multifunctional sto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697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694Y1 (en) * 2002-01-07 2002-04-10 정현진 Electric fireplace having visual effect
KR200469514Y1 (en) * 2012-05-09 2013-10-16 김용태 Fire fit and heater for camping
KR20160059673A (en) *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Folded for fire box
KR20180003899A (en) * 2016-07-01 2018-01-10 김성우 Roaster to equip with lighting fixture
KR200492826Y1 (en) 2020-06-24 2020-12-16 진청쇄 Charcoal brazi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35B1 (en) * 2012-04-20 2014-01-03 최진홍 Portable briz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694Y1 (en) * 2002-01-07 2002-04-10 정현진 Electric fireplace having visual effect
KR200469514Y1 (en) * 2012-05-09 2013-10-16 김용태 Fire fit and heater for camping
KR20160059673A (en) *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Folded for fire box
KR20180003899A (en) * 2016-07-01 2018-01-10 김성우 Roaster to equip with lighting fixture
KR200492826Y1 (en) 2020-06-24 2020-12-16 진청쇄 Charcoal braz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634B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6015C2 (en) Solid fuel fired furnace with improved combustion process
US4573905A (en) Burner unit for fireplace simulation
US20120204857A1 (en) Fireplace unit
US20200146505A1 (en) Portable three-in-one food griller, food smoker and fire pit
KR101328507B1 (en)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 adjustment
KR102396979B1 (en) multifunctional stove
KR102311102B1 (en) Furnace Having Multiple Combustion Structure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102562843B1 (en) prefab camping brazier
KR101932451B1 (en) combined roaster and heater
US7624729B2 (en) Easily lighted grill
KR200438301Y1 (en) A very efficient solid fuel stove
ATE277551T1 (en) IMPROVED MODULAR BARBECUE
KR102176927B1 (en) Charcoal brazier
JP6559742B2 (en) Assembling stove
KR20160136930A (en) Combustion tube for outdoor
KR102551855B1 (en) Portable brazier for both in and out door
KR200485993Y1 (en) Household charcoal-fired roaster
KR102465755B1 (en) Camping Brazier with Good Ventilation Control
KR102641729B1 (en) brazier
KR102252752B1 (en) Prefab brazier
KR200228993Y1 (en) Folding charcoal grill
KR102602031B1 (en) brazier
KR102474021B1 (en) Whole grill brazier
KR102082045B1 (en) A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