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917B1 - Toner catridge - Google Patents

Toner cat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917B1
KR102396917B1 KR1020210109282A KR20210109282A KR102396917B1 KR 102396917 B1 KR102396917 B1 KR 102396917B1 KR 1020210109282 A KR1020210109282 A KR 1020210109282A KR 20210109282 A KR20210109282 A KR 20210109282A KR 102396917 B1 KR102396917 B1 KR 10239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ischarge
coupling protrusion
discharge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성호
Original Assignee
(주)토너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너월드 filed Critical (주)토너월드
Priority to KR102021010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9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toner accommodating part.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 efficiency of a toner filling operation for the toner cartridge to be increased.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TONER CATRIDGE}Toner Cartridge {TONER CATRIDGE}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에 이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고,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cartridge used in a print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er cartridge configured to prevent failure due to damag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a toner filling operation.

사무기기로 이용되는 레이저 프린터 장치나 복사기는 토너로써 화상을 형성한 후, 이를 종이와 같은 매체에 전사함으로써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A laser printer or copier used as an office device forms an image using toner and then transfers the image to a medium such as paper to perform a print job.

따라서, 프린터 장치를 이용한 인쇄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토너가 소모되므로, 일정 인쇄 작업 기간 경과 후에는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들이 모두 소진된다.Accordingly, since toner is consumed as a print job is performed using the printer device, all the toners in the toner cartridge are exhaust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he print job has elapsed.

오래 전에는, 프린터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가 일회용으로 제작되어, 사용 후에는 폐기물로 처리되어 왔다. Long ago, toner cartridges for printer devices were produced for one-time use and disposed of as waste after use.

그런데, 근래 토너를 쉽게 보충할 수 있도록 프린터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However, recently, toner cartridge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rinter device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so that toner can be easily replenished.

또한, 폐자원의 재활용과 경비 절감을 위해 토너 카트리지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cycle waste resources and reduce costs, a technology for recycling and using toner cartridges is being developed and applied.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된 토너 카트리지를 회수 후 소모된 토너를 충진하여 다시 사용하는 실정이다.According to this trend, the used toner cartridge is collected and then the used toner is filled and used again.

도 1 은 공개 특허공보 제 10-2011-0107256 호와 관련된 종래 실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ner cartridge 100 related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107256.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는 프린터 장치로 공급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110)와 프린터 장치에서 전사에 이용된 후 수거된 수거 토너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120)를 포함한다.The toner cartridge 100 includes a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10 for accommodating new toner to be supplied to the printer apparatus,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0 for accommodating the collected toner collected after being used for transfer in the printer apparatus. .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를 재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단 부분의 마개(112)를 개방하여 새로운 토너를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10)에 충진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112)를 폐쇄한 후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를 프린터 장치에 장착한다.When the toner cartridge 100 is to be reused, the stopper 112 of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new toner is filled in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10, the stopper 112 is closed, and then the The toner cartridge 100 is mounted in the printer apparatus.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를 프린터 장치(미도시)에 장착하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10)에 형성된 토너배출부(130)가 프린터 장치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된다.When the toner cartridge 100 is mounted in a printer apparatus (not shown), the toner discharge unit 130 formed in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printer apparatus.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프린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토너배출부(130)에 배치되는 결합돌출부(132) 부분으로 전달된다.In this stat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printer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32 disposed in the toner discharging unit 130 .

상기 토너배출부(130) 내부에는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상기 결합돌출부(132) 부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블레이드 역시 회전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토너가 상기 토너배출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개구(134)를 통해 배출된다.A transfer blade for transferring the toner is disposed inside the toner discharging unit 130 , and the conveying blade is also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2 , and by this action, the toner is transferred to the toner discharging unit 130 . )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3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상기와 같이 배출된 토너는 프린터 장치에 설치되는 이송용 블레이드의 작용에 의해 토너 전사를 위한 감광드럼 측으로 이동된다.The toner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is moved toward the photosensitive drum for toner transfer by the action of a transfer blade installed in the printer apparatus.

그런데, 종래 토너 카트리지(100)를 프린터 장치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때에, 상기 결합돌출부(132) 부분이 프린터 장치의 상기 결합홈 부분이나 타 구성요소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된다. 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toner cartridge 100 is separated from or mounted on the printer device, a phenomenon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32 collides with the coupling groove part or other components of the printer device and is damaged or damaged frequently occurs.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 장치에 장착되더라도, 회전력을 원활히 전달받지 못하게 되어, 토너를 프린터 장치로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toner cartridge is mounted in the printer apparatus, rotational force is not smoothly transmit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ner cannot be supplied to the printer apparatus.

특히, 상기 결합돌출부(132) 부분은 프린터 장착 시 외부에서 그 파손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토너 카트리지 또는 프린터 장치의 구성들에 익숙한 전문 인력이 아닌 경우, 인쇄가 되지 않는 문제의 원인을 찾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132 part is a part tha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or not its damage from the outside when the printer is mounted, find the cause of the problem that printing is not performed if you are not a professional person familiar with the toner cartridge or the configurations of the printer device lead to difficult situations.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카트리지 장착 시 발생되는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ner cartridge configured to prevent failure due to damage occurring when the toner cartridge is moun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ner cartridge configu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 toner filling operation for the toner cartrid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는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new toner to be supplied to a printing device, and a toner that is integrally formed under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and is collected from the printing device. A toner cartridge including a second toner accommodating part for A ton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toner is formed into the It includes a discharge pipe, a conveying blade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to convey the ton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to the discharge port,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conveying blade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printer device.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and a base uni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protrudes from the base. is formed, the base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base meet is predetermined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the depth.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너유입부는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toner inlet unit includes an inlet pip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oner receiving unit, and a transfer blade disposed inside the inlet pipe to transport the toner flowing through the inlet to the second toner receiving unit;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and includes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for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rinter device,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and the coupling projec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let It includes a bas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tube, the end of the inlet tub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inlet tube,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from the end of the inlet pipe to the outside configured to protrude.

여기서, 상기 토너배출부와 토너유입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oner discharge part and the toner inlet part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의 측부에는 측부지지부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측부지지부가 상기 배출관 또는 유입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the side support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or the inlet pipe.

그리고, 상기 측부지지부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 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and four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한편, 상기 측부지지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와 동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end of the side support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또한,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에는 가이드부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flow pipe.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의 외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guide part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o protrude from the outer ends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let pipe.

그리고,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측면에 압력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hexahedral shape, and a pressur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여기서, 상기 압력배출공은 외부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essur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having a diameter that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또한, 상기 압력배출공에는 압력배출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압력배출마개에는 공기배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ssure discharge stopper may be coupled to the pressure discharge hole, and an air discharge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pressure discharge stopp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pressure release stopper is formed of a porous material.

또한,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발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lease stopper may be formed of a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nonwoven fabric.

본 발명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 장착 시의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ilure due to damage when the toner cartridge is mounted.

또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oner filling operation for the toner cartridge.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출부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압력배출공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압력배출공에 끼워지는 압력배출마개의 단면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follow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ner cartridg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rotrus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release hole formed in the toner cartridg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discharge stopper fitted to the pressure discharge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in the dictionary meaning,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xpress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출부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압력배출공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압력배출공에 끼워지는 압력배출마개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toner cartridg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discharge stopper fitted into the pressure discharge hole.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는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10)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미도시)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20)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12)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1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50)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30)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32)과,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38)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34)와, 상기 이송블레이드(34)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36)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36)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2)에 수용되는 베이스부(364)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32)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364)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364)가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베이스부(364)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new toner to be supplied to a printing apparatus,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 A toner cartridge including a second toner accommodating unit 20 for storing toner and toner collected from a printing device (not shown), wherein a toner injection port 1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unit 10, , a stopper 14 for closing the toner inlet 12 is disposed, and a toner discharge unit 30 for discharging the toner to the printer devi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10, , a toner inlet 50 for introducing the toner collected from the printer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toner receiver 20 , and the toner outlet 30 includes the first toner receiver 10 . a discharge pipe 32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pipe 32, and a conveying blade 34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32 to convey the ton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10 to the discharge port 38;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34 and includes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36 for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rinter device,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36 is a coupling protrusion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 362), and a base portion 364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362 and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32, wherein an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portion 364. Thus, the base part 364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32, and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362 protrudes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to the outs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62) And the part where the base part 364 meet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는 프린트 장치로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구성이다.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unit 10 is configured to receive new toner to be supplied to the printing apparatus.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는 대략 아래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새 토너를 주입할 토너주입구(12)가 형성된다.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ownwardly elongated hexahedral shape, and a toner injection port 12 for injecting new toner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그리고, 상기 토너주입구(12)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14)가 결합 배치된다.A stopper 14 for closing the toner inlet 12 is coupled to the toner inlet 12 .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30)가 형성된다. A toner discharging unit 30 for discharging toner to the printer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10 .

상기 토너배출부(30)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배출관(32)과,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배치되어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34)를 포함한다.The toner discharge unit 30 includes a cylindrical discharge pipe 32 protruding from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10, and a transfer blade 34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32 to convey the toner. includes

상기 이송블레이드(34)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되는 토너를 상기 배출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38)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s the transfer blade 34 is rotated, the ton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38 formed under the discharge pipe 32 .

상기 이송블레이드(34)의 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력전달부(36)와 이송블레이드(34)들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38)를 개방하게 된다.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34 is supported by a spring, and whe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rinter,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36 and the transfer blade 34 compress the spring. moved to open the outlet (38).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36)와 이송블레이드(34)들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38)가 폐쇄된다.And, whe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printer devic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36 and the transfer blade 34 are mov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discharge port 38 is closed. do.

상기 이송블레이드(34)의 단부에는 회전력전달부(36)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36) 부분이 프린터장치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36 is formed at an end of the transfer blade 34,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36 is coupled to the printer to receive rotational force.

상기 회전력전달부(36)는 프린터장치 측에 배치되는 회전력발생부(미도시)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364)를 포함한다.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36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362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not show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inter, and a base 364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362. include

상기 베이스부(36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base portion 364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32 .

그리하여,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는 상기 베이스부(36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364)가 상기 배출관(32) 내부로 소정의 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Thus,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protrudes from the base portion 364 , and the base portion 364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ortion 364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tube 32 by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에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와 만나는 측의 반대편 단부를 의미한다.The outer end means an end opposite to the side that meets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in the discharge pipe 32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베이스부(364)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로 배치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362 and the base portion 364 meet is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364)는 대략 5 mm 내외의 깊이로 상기 배출관(32)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Preferably, the base portion 364 is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32 to a depth of about 5 mm.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의 외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In this state,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362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

그리하여, 상기 결합돌출부(362)가 상기 배출관(32)의 외부로 돌출되어, 프린터장치 측의 회전력발생부와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결합돌출부(362) 부분이 부주의에 의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 주변과 부딪혀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us, the coupling protrusion 36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32 so that it can be coupled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n the printer device side, but the coupling protrusion 362 part is inadvertently caus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part of the printer device. I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by bumping into the surroundings.

왜냐하면,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 주변과 부딪히는 부분은 주로 상기 배출관(32)의 외측 단부 부분이 되며, 이때 상기 배출관(32)의 외측 단부 부분이 상기 결합돌출부(362)에 대한 보호벽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Becaus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 that collides with the periphery of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apparatus is mainly an outer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2, and at this time,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2 is the coupling protrusion ( 362) because it acts as a protective wall.

또한, 상기 베이스부(364)가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일정 깊이 깊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단부 부분만이 상기 배출관(32)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의 물체가 상기 결합돌출부(362)에 닿을 수 있는 부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364 is deep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32 to a certain depth, only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36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32, so that the extern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portion where the objec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362 .

그리하여, 만약 상기 결합돌출부(362) 부분이 외부 물체와 부딪히는 경우에도 가급적 작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파손의 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Thus, even if the coupling protrusion 362 part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it is configured to apply as little force a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부에는, 프린트 장치(미도시)에서 전사 단계 후에 감광드럼에 잔류하여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20)가 일체로 형성된다.A second toner accommodating part 20 is integrally formed under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to store the toner remaining and collected in the photosensitive drum after the transfer step in the printing apparatus (not shown).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50)가 형성된다. A toner inlet 50 for introducing the toner collected from the printer device into the second toner accommodating unit 2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toner accommodating unit 20 .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r discharge unit 30 and the toner inlet unit 5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너유입부(50)는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유입관(52)과, 상기 유입관(52)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블레이드(54)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toner inlet 50 includes a cylindrical inlet tube 52 protruding from the second toner receiver 20 , and a transfer blade 54 disposed inside the inlet tube 52 . ) is included.

상기 이송블레이드(54)에 의해, 상기 유입관(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58)로 유입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 내부로 이송시킨다.The toner flowing into the inlet 58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pipe 52 is transferred into the second toner receiving unit 20 by the transfer blade 54 .

상기 이송블레이드(54)의 단부 역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회전력전달부(56)와 이송블레이드(54)들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58)를 개방하게 된다.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54 is also supported by a spring, and whe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rinter apparatu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56 and the transfer blade 54 move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ng the spring. to open the inlet 58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56)와 이송블레이드(54)들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58)가 폐쇄된다.And, whe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printer devic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56 and the transfer blade 54 are mov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inlet 58 is closed. do.

상기 이송블레이드(54)의 단부에도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56)가 형성된다.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56 for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rinter is also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54 .

상기 회전력전달부(56) 역시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562)와, 상기 결합돌출부(562)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564)를 포함한다.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56 also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562 fo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apparatus, and a base 564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562 .

상기 베이스부(564) 역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52)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base part 564 is also formed in a disk shape and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52 .

그리하여, 상기 배출관(52)의 외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56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564)가 상기 배출관(52) 내부로 소정의 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Thus,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52 protrudes from the base part 564 , and the base part 564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564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52 by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베이스부(564) 역시 대략 5 mm 내외의 깊이로 상기 배출관(52)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The base part 564 is also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52 to a depth of about 5 mm.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562)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출관(52)의 외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In this state,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562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52 to the outside.

그리하여, 상기 결합돌출부(562)가 상기 배출관(52)의 외부로 돌출되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결합돌출부(562) 부분이 부주의에 의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 주변과 부딪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us, the coupling protrusion 56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52 so that it can be coupled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562 part is inadvertently moved around the rotating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can reduce the chance of colliding with

또한, 상기 베이스부(564)가 상기 배출관(52)의 내부에 일정 깊이 깊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562)의 단부 부분만이 상기 배출관(52)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의 물체가 상기 결합돌출부(562)에 닿을 수 있는 부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564 is deep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ipe 52 to a certain depth, only the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56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52 , so that an external objec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portion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562 .

그리하여, 만약 상기 결합돌출부(562) 부분이 외부 물체와 부딪히는 경우에도 가급적 작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Thus, even if the coupling protrusion 562 part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it is configured to apply as little force a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의 설계와 제조가 용이해진다.I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oner discharge unit 30 and the toner introduction unit 5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re symmetrically disposed, the toner discharge unit 30 and the toner introduction unit 50 are designed and easy to manufacture.

그리고,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가 한 쌍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토너배출부(30)만이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외부의 물체와 부딪혀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In addition, as a pair of the toner discharging unit 30 and the toner inlet 50 are formed to protrude,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toner discharging unit 30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are It reduces the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by colliding with an external object.

이것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상기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에 나눠져 가해지는 것도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돌출 형성되는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에 의해 토너 카트리가 장착에 적합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장착 위치로 이동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This may also be a factor in that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divided and applied to the two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but as described above, the toner discharging unit 30 and the toner inlet 50 are formed as two protruding parts. )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 toner cartridge will be moved to the mounting position in a state suitable for mounting.

즉, 상기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 중 하나만이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만을 프린터장치의 결합부분에 끼우면 되기에,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프린터장치로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That is, when only one of the two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is formed to protrude, only on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inter device,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mounted to the printer device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orrect mounting position. .

이에 비해, 상기와 같이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모두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을 모두 프린터장치의 결합부분에 끼워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므로, 하나의 결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무의식적으로 더욱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In contrast, when the two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are formed to protrude as described above, it is thought that both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should be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inter device, so that one coupling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he possibility of moving the toner cartridge from a more correct mounting position involuntarily increases.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의 파손 및 고장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By this action, damage and failur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can be further prevented.

한편,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의 측부에 측부지지부(366)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the side support portion 366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62, 562).

비록, 도 3 에서 상기 토너배출부(30)의 결합돌출부(362)에 상기 측부지지부(366)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토너유입부(50)의 결합돌출부(562)에도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side support part 366 is form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362 of the toner discharging part 30 in FIG. 3 , it may also be form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562 of the toner inlet 50 . .

상기 측부지지부(366)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면에서 등간격으로 4 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pport parts 366 may be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and four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362 .

상기 측부지지부(366)는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베이스부(364)가 만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side support portion 366 is integrally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362 and the base portion 364 meet.

그리하여, 상기 측부지지부(366)는 상기 배출관(32) 또는 유입관(5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부지지부(366)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us, the side support part 366 is disposed to be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32 or the inlet pipe 52 , and the outer end of the side support part 366 i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 configured to be placed.

따라서, 상기 측부지지부(366)가 상기 배출관(32) 내부에 배치되면서도 그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 또는 유입관(5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while the side support portion 366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32 , its outer end is configured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32 or the inlet pipe 52 .

상기 측부지지부(366)가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측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32) 또는 유입관(52)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 부분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side support part 366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outlet pipe 32 or the inlet pipe 52 in a state formed on the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62, so that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coupling protrusion parts 362 and 562. Even if it does, i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또한, 도 4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관(32)과 유입관(52)에는 가이드부(37, 57)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 guide parts 37 and 5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32 and the inflow pipe 52 .

상기 가이드부(37, 57)는 대략 외측 모서리 부분이 절단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2)과 유입관(52)의 외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s 37 and 57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from which an outer edge portion is cut, and protrude from the outer ends of the outlet pipe 32 and the inlet pipe 52 .

상기 가이드부(37, 57)의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상기 배출관(32)과 유입관(52)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와 대략 동일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대략 1 mm 내지 2 mm 더욱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guide parts 37 and 57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protrud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gree of protrusion from the discharge pipe 32 and the inlet pipe 52, or preferably approximately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further by 1 mm to 2 mm.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부(37, 57)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시 올바른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 물체에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guide parts 37 and 57 serve to guide the toner cartridge to the correct mounting position when replacing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from collided with an external object. function can b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시, 상기 토너 카트리지 변위에 따라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에 작용될 수 있는 비틀림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Further, when replacing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rsional force that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toner cartridge.

그리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시 발생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expected damage to the coupling protrusions 362 and 562 that may occur when replacing the toner cartridge.

한편,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측면에 압력배출공(16)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 pressure discharge hole 16 may b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

토너 카트리지에 새로운 토너 충진 시, 상기 마개부(14)를 개방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충진하는데, 토너 충진을 위해 작용되는 압력이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야 토너 충진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toner cartridge is filled with new toner, the toner cartridge is filled by pressure with the stopper 14 ope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ressure applied for filling the toner is discharged must be formed so that the toner filling can proceed smoothly.

그런데, 종래 토너 카트리지들은 상기 마개부(14)가 형성되는 부근 즉,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상면에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었다.However, in conventional toner cartridges, an opening for discharging pressur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stopper 14 , that is,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

토너 충진을 위해 작용되는 압력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서 수직 하방으로 작용되므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바닥 부분에 부딪힌 토너들이 반작용에 수직 상방으로 튀어오르게 된다. Since the pressure applied for filling the toner acts vertically downwards in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the toners collided with the bottom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bounce upwards vertically in response to the reaction.

이러한 작용에 의해, 토너 충진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이 높을 수록, 압력배출을 위한 개구 부분으로 토너가 미세하게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Due to this action, the higher the pressure applied to fill the toner, the more finely the toner flows out to the opening for releasing the pressure.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는 토너 충진을 위한 압력이 수직 하방으로 작용됨에 비해, 상기 압력배출공(16)이 상기 압력이 작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측방을 향하여 형성된다.However, in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for filling the toner is applied vertically downward, whereas the pressure discharge hole 16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that is, the first toner receiving part ( 10) is formed toward the side.

그리하여, 토너 충진 시 작용되는 압력에 따른 반작용으로 튀어오르는 토너들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leakage of toners that bounce off due to a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toner is filled.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배출공(16)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측면에서 내부(In)로부터 외부(Out)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pressure discharge hole 16 has a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diameter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side (In) to the outside (Out)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 space can be formed.

그리하여, 압력에 의해 충진되는 토너들이 유동되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압력은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us, the siz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through which the toners filled by pressure flows is minimized to prevent the toner from leaking, and the pressure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더욱이, 상기 압력배출공(16)이 마치 디퓨져(Diffuser)의 원리로 형성되는데, 디퓨져는 공간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압력이 커지는 기계 요소이다.Moreover, the pressure discharge hole 16 is formed as if the principle of a diffuser, the diffuser is a mechanical element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pace.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내측 압력에 비해 외측 압력이 더욱 높아지므로, 압력은 배출되지만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 내부의 토너들이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구성된다.Due to this principle, since the external pressure is high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the pressure is discharged, but the toners inside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1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air flow. It is designed to prevent

그리고, 상기 압력배출공(16)에는 압력배출마개(162)가 결합된다.And, a pressure discharge stopper 162 is coupled to the pressure discharge hole 16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배출마개(162)에는 공기배출개구(164)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outlet openings 164 may be formed in the pressure outlet stopper 162 .

예를 들어, 상기 압력배출마개(162)는 많은 기공들을 포함하는 발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많은 미세한 공기배출개구(164)들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ure outlet stopper 162 is formed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a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or nonwoven fabric including many pores, so that numerous fine air outlet openings 164 can be formed therein.

그리하여, 상기 압력배출마개(162)를 압력배출공(16)에 끼운 상태에서도, 토너 충진을 위한 압력은 외부로 배출되면서도 토너들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us,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discharge stopper 162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discharge hole 16, the pressure for filling the ton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toners are not discharged.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followed.

10: 제 1 토너수용부
20: 제 2 토너수용부
30: 토너배출부
32: 배출관
34: 이송블레이드
50: 토너유입부
52: 유입관
10: first toner receiving unit
20: second toner receiving unit
30: toner discharge unit
32: discharge pipe
34: transfer blade
50: toner inlet
52: inlet pipe

Claims (13)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에는 가이드부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a first toner accommodating unit for accommodating new toner to be supplied to the printing apparatus;
A toner cartridge comprising a second toner accommodating part integrally formed under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to store the toner collected from the printing apparatus,
A toner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toner receiving part,
A stopper for closing the toner inlet is disposed,
A ton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toner to the printer devi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A toner inlet for introducing the toner collected from the printer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toner receiving unit,
The toner discharge unit,
a discharge pipe protruding from the first toner receiving part;
a transfer blade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to transfer the ton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oner receiving unit to the discharge port;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and includes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for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rinter devic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and a bas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The base part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pipe,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base mee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The toner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le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유입부는,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toner inlet,
an inlet pipe protruding from the second toner accommodating part;
a transfer blade disposed inside the inlet tube to transfer the toner flowing into the inlet to the second toner receiving unit;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blade and includes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for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rinter devic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inter device;
and a bas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ccommodated in the inlet pipe,
The end of the inlet pip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The base part is disposed inside the inlet pipe,
An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from an end of the inle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배출부와 토너유입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toner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er discharge portion and the toner inlet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측부에는 측부지지부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측부지지부가 상기 배출관 또는 유입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ide support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ide support part is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pipe or the inlet pi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지지부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면에서 등간격으로 4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d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and four toner cartridg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6. The method of claim 5,
An out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an outer end of the discharge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의 외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art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protrudes from outer ends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inle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측면에 압력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a pressur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toner accommodating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공은 외부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oner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uncated cone having a diameter that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공에는 압력배출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압력배출마개에는 공기배출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9. The method of claim 8,
A toner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essure discharge stopper is coupled to the pressure discharge hole, and an air discharge opening is formed in the pressure discharge stopp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ner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release stopper is formed of a porous materi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발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ssure release stopper is a toner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or non-woven fabric.
삭제delete
KR1020210109282A 2021-08-19 2021-08-19 Toner catridge KR102396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82A KR102396917B1 (en) 2021-08-19 2021-08-19 Toner ca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82A KR102396917B1 (en) 2021-08-19 2021-08-19 Toner ca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917B1 true KR102396917B1 (en) 2022-05-13

Family

ID=8158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282A KR102396917B1 (en) 2021-08-19 2021-08-19 Toner cat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91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642A (en) * 1996-03-19 1996-10-15 Canon Inc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nic photograph image forming device
KR20040101321A (en) * 2002-03-18 2004-12-0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Developing cartridge, air flow device for developing cartridge, and toner cartridge
KR20110107256A (en) * 2010-03-24 2011-09-30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owder storage container, developing device using powder storage container,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119507A (en) * 2010-04-26 2011-11-0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owder delivery member, an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spectively using such powder delivery member
JP2016186579A (en) * 2015-03-27 2016-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642A (en) * 1996-03-19 1996-10-15 Canon Inc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nic photograph image forming device
KR20040101321A (en) * 2002-03-18 2004-12-0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Developing cartridge, air flow device for developing cartridge, and toner cartridge
KR20110107256A (en) * 2010-03-24 2011-09-30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owder storage container, developing device using powder storage container,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119507A (en) * 2010-04-26 2011-11-0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owder delivery member, an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spectively using such powder delivery member
JP2016186579A (en) * 2015-03-27 2016-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1730A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US4878603A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EP1184738B1 (en) Container, its support structure and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RU2766254C2 (en) Developer feed container and developer feed system
JP2014182267A (en) Developer replenishment container
JP2006343560A (en) Toner supply unit and mechanism for removing same
CN112041759B (en) Structure for releasing internal pressure in developing cartridge at the time of refilling toner
JP2009122546A (en) Developer contai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ttachably/detachably provided therewith
KR102351905B1 (en) Developer replenishment system, developer replenishment container mounting method, and developer replenishment unit
KR20210147112A (en) Developer replenishing container and developer replenishing system
KR102396917B1 (en) Toner catridge
KR102355754B1 (en) Toner catridge
KR101076035B1 (en) developing cartridge of image formaing apparatus
JP45629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38740B2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30096173A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US6584293B1 (en)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ontainer assembly
US7817945B2 (en) Developer cartridge and method of recycling the developer cartridge
KR20200025329A (en) Plunger locking structure in syringe type toner refill cartridge
KR100477634B1 (en) Refillable ink cartridge for liquid electrographic printer
JPH11212350A (en) Device for storing particle, developer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7249511B2 (en) image forming device
KR2006003416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equipment
KR100213118B1 (en) Ink cartridge for printing device and mechanism for connecting ink cartridge
CN216647092U (en) Powder add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