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882B1 -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882B1
KR102396882B1 KR1020200130224A KR20200130224A KR102396882B1 KR 102396882 B1 KR102396882 B1 KR 102396882B1 KR 1020200130224 A KR1020200130224 A KR 1020200130224A KR 20200130224 A KR20200130224 A KR 20200130224A KR 102396882 B1 KR102396882 B1 KR 10239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valuation
flexibility
uni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930A (ko
Inventor
문훈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핏
Priority to KR102020013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8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피평가자의 동작을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신체 유연성을 평가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평가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유연성 평가 항목과 동작 안내 영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하고, 피평가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평가용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에 제공하며 동작 평가를 수행하되, 해당 순서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하고, 피평가자 영상과 표준 동작 이미지를 겹쳐 표시하며,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 수행부와,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로부터 신체 외곽선 형상의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와, 비교 데이터에 기반하여 유연도를 산출하는 유연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유연도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VALUATING FLEXIBILITY OF THE BODY}
본 발명은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평가자를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피평가자의 신체 유연성을 평가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부분의 사무 업무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면서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서 지내는 현대인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업무를 볼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체가 책상 쪽을 향해 기울어진 자세 및 다리를 다른 다리에 얹어 꼬는 자세 등 척추와 골반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가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며, 척추와 골반의 불균형을 야기하여 그로 인한 만성통증에 시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만성 통증의 해결 방안으로 장소의 구애없이 틈틈이 수행 가능한 스트레칭을 제시한다. 이때, 개인의 몸 상태에 따라 적합한 스트레칭 동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스트레칭 시작 전 신체 상태의 유연도 파악을 위해 피평가자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평가자의 유연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피평가자의 영상을 통해 유연성 지수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평가 동작에 관한 시범 영상을 화면상에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피평가자의 움직임이 있을 때 피평가자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됨으로, 피평가자가 움직이게 되면 피평가자의 영상만 화면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피평가자는 평가 동작을 기억하며 평가를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평가자가 평가 동작을 따라하는 동안에 피평가자 영상과 함께 평가 동작을 안내하는 이미지를 화면상에 겹쳐 표시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673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평가자가 평가 동작을 따라하는 동안에 피평가자 영상과 함께 평가 동작을 안내하는 이미지를 화면상에 겹쳐 표시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평가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와, 유연성 평가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동작 안내 영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피평가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평가용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에 제공하며 동작 평가를 수행하되,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피평가자 영상과 표준 동작 이미지를 겹쳐 표시부에 표시하며,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해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 수행부와,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으로부터 신체 외곽선 형상의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해 평가 수행부에 제공하는 이미지 생성부와, 비교 데이터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연도를 산출하는 유연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유연도 산출부로부터 유연도를 제공받아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가 수행부는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겹쳐 표시부에 표시하고 난 후 특정 시점에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캡쳐 이미지의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에 각각 신체 특정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생성하고, 두 직선 사이 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각도를 비교 데이터로서 유연도 산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안내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이 시계열적인 순서로 이어진 것이며, 이미지 생성부는 동작 안내 영상의 첫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의 외곽선을 따라 제1라인 이미지를 생성하며, 동작 안내 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의 외곽선을 따라 제2라인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라인 이미지와 제2라인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하며, 평가 수행부는 제2라인 이미지와 피평가자의 영상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가 수행부는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하기 전 제1라인 이미지가 피평가자 영상에 표시된 피평가자의 신체와 일치하도록 표준 동작 이미지를 리사이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생성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의 나이에 따라 특정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b)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으로부터 신체 외곽선 형상의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해 평가 수행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c) 표준 동작 이미지와 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피평가자 영상을 겹쳐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해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 데이터를 유연도 산출부로 제공하는 단계와, e) 유연도 산출부가 비교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연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f)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평가용 데이터를 제공하며 a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g) 유연도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유연성 평가 장치와, 유연성 평가 장치로부터 유연도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평가자 영상과 함께 표준 동작 이미지를 화면상에 겹쳐 표시함으로써, 피평가자가 해당 평가 동작 및 신체 부위가 도달해야 할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평가자의 나이에 따라 평가 기준을 달리함으로써, 해당 연령에 맞는 유연도가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유연성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작 평가 수행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작 평가 수행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데이터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는 촬영부(11), 저장부(12), 표시부(13), 제어부(14) 및 통신부(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는 피평가자를 촬영하며 실시간으로 피평가자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피평가자 영상을 제어부(14)로 송신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촬영부(11)는 카메라, 캠 등과 같이 실시간 영상 촬영 및 송신이 가능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피평가자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1)는 하나 또는 두개일 수 있다. 촬영부(11)가 하나인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13)의 화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11)가 두개인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13)의 화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정면과 측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12)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유연성 평가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동작 안내 영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유연성 평가 항목은 목 좌로 늘리기, 목 우로 늘리기, 허리 굽히기, 허리 좌로 늘리기, 허리 우로 늘리기, 팔 위로 들어 올리기, 어깨 위로 들어 올리기 등이 될 수 있다.
동작 안내 영상은 가상 또는 실존 인물이 신체를 움직이며 평가 동작을 안내하는 영상으로, 사전 준비 동작에서 최종 평가 동작까지 인물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복수의 프레임이 시계열적인 순서로 이어진 것일 수 있다.
표시부(13)는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4)를 통해 입력받은 평가용 데이터, 피평가자 정보, 피평가자 영상 및 표준 동작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롬과 램과 주변회로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14)는 평가 수행부(141), 이미지 생성부(142) 및 유연도 산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13)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며 동작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수행부(141)는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촬영부(11)로부터 제공된 피평가자 영상과 이미지 생성부(142)로부터 제공된 표준 동작 이미지를 겹쳐 표시부(13)에 표시하며,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해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표준 동작 이미지는 일정한 굵기의 점선 또는 실선으로 표현된 신체 외곽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동작 안내 영상 속 인물의 신체 외곽선을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동작 평가 수행 과정 중 동작 안내 영상 표시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가 수행부(141)는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우선적으로 표시부(13)에 표시하고, 동작 안내 영상 종료 시점에 표준 동작 이미지가 겹쳐진 피평가자 영상을 이어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가 수행부(141)는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과 표준 동작 이미지가 겹쳐진 피평가자 영상을 동시에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평가 수행부(141)는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반복해서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3)의 화면은 두부분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부분에는 표준 동작 이미지와 겹쳐진 피평가자 영상이 표시되고, 다른 하나의 부분에는 동작 안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동작 평가 수행 과정 중 비교 데이터 생성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가 수행부(141)는 특정 시점에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에 표시된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 내 피평가자의 동작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평가 수행부(141)는 피평가자 정지 동작과 표준 동작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캡쳐 이미지에 표시된 표준 동작 이미지에서 신체 특정 지점을 지나도록 가상의 직선(I2)을 생성하고, 캡쳐 이미지에 표시된 피평가자 영상 내 피평가자의 동작에서 신체 특정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I1)을 생성하며, 두 직선(I1, I2) 사이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를 비교 데이터로서 유연도 산출부(143)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평가 수행부(141)는 캡쳐 이미지에서 피평가자의 신체를 구분하고, 표준 동작 이미지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 중 피평가자의 신체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을 비교 데이터로서 유연도 산출부(143)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시점은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겹쳐 표시부(13)에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S초(S는 자연수)가 경과된 시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평가 수행부(141)는 입력부(16)를 통해 피평가자 정보가 입력되면, 유연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피평가자 정보는 피평가자 식별 정보와 나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성별, 키, 몸무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가 수행부(141)는 비교 데이터를 유연성 평가 항목 정보와 함께 유연도 산출부(143)로 송신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42)는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바탕으로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해 평가 수행부(14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42)는 동작 안내 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 외곽선을 따라 점선 또는 실선으로 라인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표준 동작 이미지로 평가 수행부(141)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생성부(142)는 동작 안내 영상의 첫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 외곽선을 따라 제1라인 이미지(L1)를 생성하고, 동작 안내 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 외곽선을 따라 제2라인 이미지(L2)를 생성하며, 제1라인 이미지(L1)와 제2라인 이미지(L2)를 신체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중첩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표준 동작 이미지(L)로 평가 수행부(14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체 특정 지점은 동작 평가 수행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관절 부위일 수 있다.
표준 동작 이미지로 중첩 이미지가 제공되는 경우, 평가 수행부(141)는 비교 데이터 생성 과정 전에 피평가자의 영상에서 피평가자의 신체를 구분하고, 제1라인 이미지가 피평가자 영상의 피평가자의 신체 외곽부와 일치하도록 표준 동작 이미지를 리사이징 할 수 있다. 이때, 평가 수행부(141)는 표준 동작 이미지를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대각선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표준 동작 이미지의 리사이징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S초가 경과된 시점에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에 표시된 표준 동작 이미지의 제2라인 이미지(L2)와 피평가자의 동작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생성부(142)는 피평가자 정보에 포함된 나이에 따라 특정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평가자의 나이가 10대 내지 30대인 경우, 특정 프레임을 동작 안내 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피평가자의 나이가 40대 내지 50대인 경우, 특정 프레임을 동작 안내 영상의 마지막 프레임과 n1(n1은 자연수)개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앞서 위치한 프레임을 특정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고, 피평가자의 나이가 60대 이상인 경우, 마지막 프레임과 n2(n2는 자연수, n1<n2)개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앞서 위치한 프레임을 특정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생성부(142)는 나이에 따라 제2라인 이미지(L2)를 달리 생성하여, 유연성 평가 기준이 강화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유연도 산출부(143)는 평가 수행부(141)로부터 제공받은 비교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유연도 산출부(143)는 비교 데이터의 수치 범위 별로 그에 대응하여 유연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유연도는 점수 또는 등급으로 표현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로부터 제공받을 비교 데이터가 각도인 경우, 유연도 산출부(143)는 각도 범위 별로 유연도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각도가 0°이상이고 20°이하인 경우, 유연도로 A 등급(또는 5점, 5점 만점 기준)이 산출될 수 있고, 산출된 각도가 20°를 초과하고 40°이하인 경우, 유연도로 B등급(또는 4점)이 산출될 수 있으며, 산출된 각도가 40°를 초과하고 크고 65°이하인 경우, 유연도로 C 등급(또는 3점)이 산출될 수 있고, 산출된 각도가 65°를 초과한 경우, 유연도로 D 등급(또는 2점)이 산출될 수 있다. 즉, 비교 데이터로 제공된 각도 값이 커질수록 유연도는 낮아질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로부터 제공받을 비교 데이터가 비율인 경우, 유연도 산출부(143)는 비율 범위 별로 유연도가 매칭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비교 데이터로 제공된 비율 값이 커질수록 유연도는 높아질 수 있다.
유연도 산출부(143)는 산출된 유연도를 해당 유연성 평가 항목 정보와 매칭시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한 유연도를 순차적으로 혹은 한꺼번에 통신부(15)를 통해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유연도 산출부(143)는 유연도를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연도 산출부(143)는 모든 유연성 평가 항목들에 대한 유연도 산출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모든 유연성 평가 항목들에 대해 유연도 산출이 완료된 경우에 저장한 유연도를 한꺼번에 통신부(15)를 통해 서버(20)로 송신하고, 저장한 유연도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도 산출부(143)는 일방향으로 복수의 유연성 평가 항목이 나열되고 각 유연성 평가 항목 별로 입력란이 배치된 서식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산출된 유연도를 해당 유연성 평가 항목의 입력란에 입력할 수 있으며, 모든 입력란에 유연도 기재가 완료되면 저장된 유연도를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와 서버(20)간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유연도 산출부(143)로부터 수신한 유연도를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6)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로부터 피평가자 정보 및 유연성 평가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피평가자 정보를 제어부(14)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1)은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하고 이에 따르는 피평가자의 신체 움직임을 촬영하여 신체 부위의 유연도를 평가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 및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와 연결되어 유연도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20)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는 유연성 평가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동작 안내 영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피평가자에게 제공하며 각 평가용 데이터에 대한 동작 평가를 수행하고, 동작 평가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비교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연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유연도를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는 각 평가용 데이터에 대한 동작 평가 수행 시 마다,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며, 실시간으로 피평가자 영상을 촬영해 화면 상에 표시하며, 특정 시점에서 화면 상에 표시된 동작 안내 영상과 피평가자 영상을 기반으로 비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10)로부터 피평가자 정보가 포함된 유연도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피평가자 정보에 기초하여 피평가자 별로 유연도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는 저장된 유연도 토대로 피평가자에게 맞는 스트레칭 동작에 관한 하나 이상의 스트레칭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스트레칭 데이터 요청 신호가 송신되면, 스트레칭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다양한 날짜에 유연도가 저장된 경우, 가장 최근 날짜로 저장된 유연도를 바탕으로 스트레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피평가자를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데이터 요청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수신한 스트레칭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1)은 사용자별 유연도를 바탕으로 맞춤형 스트레칭 데이터를 추출해 피평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유연성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평가 수행부(141)는 S10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에는 피평가자 식별 정보 및 나이를 입력하는 입력란을 포함하는 피평가자 정보 입력 요청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S20단계에서 입력부(16)를 통해 피평가자 정보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피평가자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평가 수행부(141)는 S30단계에서 첫번째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피평가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평가 수행부(141)는 S20단계로 돌아간다.
해당 평가용 데이터에 대한 동작 평가를 수행하고 난 후, 유연도 산출부(143)는 S40단계에서 평가 수행부(141)로부터 유연성 평가 항목 정보와 함께 비교 데이터를 제공받아 유연도를 산출하고, 이를 유연성 평가 항목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유연도를 저장하고 난 후, 유연도 산출부(143)는 S50단계에서 유연도 산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유연도 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유연도 산출부(143)는 S60단계에서 통신부(15)를 통해 저장된 유연도를 피평가자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유연도 산출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평가 수행부(141)는 S70단계에서 다음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평가를 수행하며, S40단계 내지 S50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평가 수행부(141)는 S10단계에서 유연성 평가 요청 신호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일 수 있고, 평가 요청 신호를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 수행부(141)는 S20단계에서 입력부(16)를 통해 평가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여부에 따라, S30단계로 넘어가거나 S20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S30 단계 내지 S70 단계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3의 동작 평가 수행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평가 수행부(141)는 S31(S71)단계에서 저장부(12)에 저장된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 중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동작 안내 영상에 대응되는 유연성 평가 항목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142)는 S32(S72)단계에서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바탕으로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S33(S73)단계에서 이미지 생성부(142)가 생성한 표준 동작 이미지를 제공받고, 표준 동작 이미지를 실시간 피평가자 영상과 겹쳐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S34 (S74)단계에서 표준 동작 이미지를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피평가자 영상의 신체 외곽부와 일치하도록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평가 수행부(141)는 S35(S75)단계에서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해 비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표준 동작 이미지를 리사이징하는 단계(S34, S74)는 표준 동작 이미지의 구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동작 평가 수행에 따라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피평가자 영상과 표준 동작 이미지(L)가 겹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도 4의 S33(S73)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의 화면 상단에는 유연성 평가 항목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좌측에는 유연성 평가 순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피평가자 영상과 표준 동작 이미지(L)가 겹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준 동작 이미지(L)는 제1라인 이미지(L1)와 제2라인 이미지(L2)가 중첩되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도 5의 (b)는 표준 동작 이미지(L)가 리사이징된 후 표준 동작 이미지와 겹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도 4의 S34(S74)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표준 동작 이미지(L)는 제1라인 이미지(L1)와 피평가자(H)의 신체 외곽부가 일치하도록 리사이징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데이터 생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평가 수행부(141)는 특정 시점에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캡쳐 이미지에 표시된 표준 동작 이미지(L)와 피평가자(H)의 동작 이미지에서 각각 신체 특정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I1, I2)을 생성하며, 두 직선(I1, I2) 사이 각도(θ)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θ)를 비교 데이터로서 유연도 산출부(14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좌로 늘리기에 대한 유연성 평가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캡쳐 이미지이면, 캡쳐 이미지에 표시된 표준 동작 이미지와 피평가자(H)의 동작 이미지에서 각각 머리의 중심점을 지나며 머리를 좌우로 반분하는 가상의 직선(I1, I2)을 생성하고, 두 직선 사의 각도(θ)를 산출해 비교 데이터로서 유연도 산출부(143)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유연성 평가 항목에 따라 가상의 직선이 지나는 신체 특정 지점은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
10 :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20 : 서버
3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7)

  1. 피평가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와,
    유연성 평가 항목과 그에 대응되는 동작 안내 영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평가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피평가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평가용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며 동작 평가를 수행하되,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피평가자 영상과 표준 동작 이미지를 겹쳐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표준 동작 이미지와 상기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해 비교 데이터를 생성하고 동작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 수행부와, 상기 해당 순서의 평가용 데이터의 동작 안내 영상으로부터 신체 외곽선 형상의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해 상기 평가 수행부에 제공하는 이미지 생성부와, 상기 비교 데이터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연도를 산출하는 유연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연도 산출부로부터 유연도를 제공받아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안내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이 시계열적인 순서로 이어진 것이며,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동작 안내 영상의 첫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의 외곽선을 따라 점선으로 이루어진 제1라인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 안내 영상의 특정 프레임에 표시된 신체의 외곽선을 따라 실선으로 이루어진 제2라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라인 이미지와 상기 제2라인 이미지를 고정된 관절 부위를 기준으로 중첩하여 표준 동작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 수행부는, 상기 표준 동작 이미지와 상기 피평가자 영상을 비교하기 전 상기 제1라인 이미지가 상기 피평가자 영상에 표시된 피평가자의 신체와 일치하도록 상기 표준 동작 이미지를 리사이징 하고, 특정 시점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의 표준 동작 이미지의 제2라인 이미지와 피평가자 동작 이미지에서 각각 신체 특정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생성하며, 생성된 두 직선 사이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를 비교 데이터로서 유연도 산출부에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의 나이에 따라 특정 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표준 동작 이미지와 상기 피평가자 영상을 겹쳐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S초가 경과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따른 유연성 평가 장치와,
    상기 유연성 평가 장치로부터 유연도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유연성 평가 시스템.
KR1020200130224A 2020-10-08 2020-10-08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9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224A KR102396882B1 (ko) 2020-10-08 2020-10-08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224A KR102396882B1 (ko) 2020-10-08 2020-10-08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930A KR20220046930A (ko) 2022-04-15
KR102396882B1 true KR102396882B1 (ko) 2022-05-11

Family

ID=8121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224A KR102396882B1 (ko) 2020-10-08 2020-10-08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8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932B1 (ko) * 2000-10-11 2003-12-31 주식회사 닷에이스 모션 게임 장치의 모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평가방법
KR101276734B1 (ko) * 2011-10-10 2013-06-20 (주)레이딕스텍 신체 각부의 유연성 테스트 시스템 및 유연성 테스트 방법
KR20180130834A (ko) * 2017-05-30 2018-12-10 (주)유인케어 운동 치료를 위한 동작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67997B1 (ko) * 2017-08-29 2019-04-10 안영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97190B1 (ko) * 2017-10-23 2020-04-03 남정우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여 실시간 운동 동작을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미러
KR102141288B1 (ko) * 2018-12-17 2020-08-0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트레이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930A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7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301138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2981603B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CN110349081B (zh) 图像的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1401330A (zh) 教学系统及采用该教学系统的智能镜
CN105867626A (zh) 头戴式虚拟现实设备及其控制方法、虚拟现实系统
KR20150055543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제스처 인식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113265A (ko)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JP201206602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wardhan et al. Multimodal affect recognition using kinect
KR101829879B1 (ko) 프로골퍼 음성과 영상을 통한 인공지능형 라이브골프자세교정장치 및 방법
US202302517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n-screen virtual keyboards
CN113544738B (zh) 人体测量数据便携式获取设备和收集人体测量数据的方法
KR102396882B1 (ko) 신체 유연성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njum et al. Skeleton tracking based complex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kinect camera
CN111901518B (zh) 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342157B (zh) 眼球追踪处理方法及相关装置
JP7012631B2 (ja) オブジェクト識別装置、識別システムおよび識別方法
CN114285944B (zh) 视频彩铃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215575A1 (en) Display method, display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003429A1 (ja) 人体モデル表示システム、人体モデル表示方法、通信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120731A (ko)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어포던스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TW201739486A (zh) 利用擴增實境輔助肢體訓練之方法
JP7214092B2 (ja) 画像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3240481A (zh) 模型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