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787B1 -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787B1
KR102396787B1 KR1020220035696A KR20220035696A KR102396787B1 KR 102396787 B1 KR102396787 B1 KR 102396787B1 KR 1020220035696 A KR1020220035696 A KR 1020220035696A KR 20220035696 A KR20220035696 A KR 20220035696A KR 102396787 B1 KR102396787 B1 KR 10239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pace
discharge
passa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2003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mechan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토출슈트는 그라인더의 토출부에 장착되는 토출슈트로서,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슈트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출구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개구부 주위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되,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로공간 내에 배치되는 댐핑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는 분말재료가 토출슈트의 내표면에 흡착 및 퇴적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DISPENSER CHUTE, GRINDING DEVICE, AND BEVERAGE MA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분말재료가 흡착 및 퇴적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높은 신선도 및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는 커피음료의 일종으로서, 곱게 분쇄한 커피 분말에 물을 매우 높은 온도 및 압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근래에 커피를 음미할 줄 아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음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였고, 시중에는 에스프레소 등의 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가정용 및 상업용 기기가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음료제조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물과 커피 원두를 공급하면, 음료제조장치는 그라인딩 장치에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을 만들고, 브류잉 장치에 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투입하여 에스프레소를 제조할 수 있다. 음료제조장치는 음료를 제조하기 직전에 원두를 분쇄하므로 사용자는 높은 신선도의 에스프레소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제조장치가 그라인딩 장치를 포함하여 직접 원재료를 분쇄하는 경우, 그라인딩 장치에서 토출되는 분말재료가 다양한 부품의 표면에 늘어붙게 될 우려가 있다. 브류잉 장치 자체에는 물이 공급되어 분말재료가 자연히 세척되지만, 그라인딩 장치와 브류잉 장치 사이의 중간 구간에서는 브류잉 장치로부터의 증기가 잔류하여 그라인딩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분말재료가 표면에 더 잘 흡착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면서 분말재료가 퇴적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오래된 분말재료가 흡착 및 퇴적하면서 추후에 분리되어 음료 제조에 사용된다면 제조되는 음료의 품질 및 향미가 떨어지게 함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분말재료가 흡착 및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여 높은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토출슈트는 그라인더의 토출부에 장착되는 토출슈트로서,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슈트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출구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개구부 주위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되,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로공간 내에 배치되는 댐핑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슈트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통로부의 상부에는 상기 댐핑플랩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댐핑플랩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토출슈트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댐핑플랩의 상단 위를 커버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플랩은 그 상단이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그 하단은 상기 슈트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슈트공간이 일측, 하측 및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는 공급되는 원재료를 분쇄하여 토출부의 토출구를 통해 분말재료를 토출하는 그라인더; 및 상기 토출부에 장착되는 토출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토출슈트는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슈트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출구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개구부 주위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되,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로공간 내에 배치되는 댐핑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통로부는 결합돌기와 결합레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유입구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토출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레일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레일은 상기 결합돌기에 맞물리는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를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레일의 길이는 상기 결합돌기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통로부는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는 상기 텅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텅부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전술한 그라인딩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말재료가 토출슈트의 내표면에 흡착 및 퇴적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말재료가 토출슈트의 내표면에 접촉하더라도 진동에 의해 쉽게 다시 분리되게 하는 구조를 가져 낮은 신선도의 분말재료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음료제조장치는 더 높은 신선도 및 위생 상태의 분말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를 정면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에서 토출슈트의 연결통로부와 그라인더의 토출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에서 토출슈트의 연결통로부와 그라인더의 토출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에서 토출슈트의 연결통로부와 그라인더의 토출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10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1000)는 그라인더(100) 및 이에 장착되는 토출슈트(20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라인더(100)의 분쇄공간(110)에 투입되는 원재료를 그라인더(100)가 분쇄하면, 그 결과 형성된 분말재료(미도시)가 토출슈트(200)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1000)는 원재료의 분쇄가 요구되는 다양한 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지만, 에스프레소 머신 등의 음료제조장치에서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그라인딩 장치(1000)를 포함하는 제조장치라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1000)의 그라인더(100)는 내부에 분쇄공간(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인더(100) 내에는 분쇄공간(110) 내에서 회전하는 분쇄날이 구비되어 있고, 분쇄날은 그라인더(100)에 장착된 모터부(1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라인더(100)의 기어부(20)는 음료제조장치의 다른 부품과 치합되어 있으므로 분쇄날의 회전은 음료제조장치의 다른 부품의 동작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라인더(100)의 모터부(10)가 분쇄날을 회전시키면 분쇄공간(110)에 투입된 원재료는 그라인더(100)의 설정에 따라 정해진 입자크기의 분말재료를 생성하고, 분말재료는 그라인더(100)의 투입구(150; 도 6 참조)에 장착된 토출슈트(20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그라인딩 장치(1000)가 음료제조장치의 일부를 이룰 수 있고, 토출슈트(200)에서 토출되는 분말재료가 음료 제조를 위한 브류잉 장치(미도시) 내부로 연결되는 호퍼 등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그라인더(100)와 토출슈트(200)의 구조 및 동작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200)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라인더(100)에서 토출부(150)가 형성된 부분을 그라인더(100)의 정면으로 지칭하고, 토출슈트(200)에서 연결통로부(300)가 형성된 부분을 토출슈트(200)의 정면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토출슈트(200)는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에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토출슈트(200)의 연결통로부(300)가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는 분쇄공간(110)에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토출슈트(200)의 연결통로부(300)는 토출슈트(200)의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슈트공간(250)에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공간(130)은 개구부(120)에 의해 분쇄공간(110)에 연통하고 토출구(140)에 의해 외부에 연통한다. 또한, 토출슈트(200)의 연결통로부(300)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공간(230)은 개구부(240)에 의해 슈트공간(250)에 연통하고 유입구(220)에 의해 외부에 연통한다. 결국, 분쇄공간(110)에서 생성되는 분말재료는 토출부(150)의 개구부(120), 통로공간(130) 및 토출구(140)를 통과한 후 토출슈트(200)의 유입구(220), 통로공간(230), 개구부(240) 및 슈트공간(250)을 거쳐 토출슈트(200) 하측의 유출구(26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200)는 크게 본체부(210), 연결통로부(300), 댐핑플랩(400) 및 차폐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슈트공간(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0)의 일측에는 슈트공간(250)에 연통하는 개구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슈트공간(250)에 연통하는 유출구(2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0)가 상측부재(270)와 하측부재(290)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된 구조는 이하 설명되는 형상을 가진 본체부(210)를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0)가 하나의 일체형 부재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나뉘어진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측부재(270)는 특정 높이에 형성된 플랜지(280)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280) 아래로 더 연장되는 삽입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부재(270)가 하측부재(290)에 결합될 때, 플랜지(280)는 하측부재(290)의 상부림(298)에 걸리고 삽입부(284)는 상부림(298)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플랜지(280)의 전측에는 고정부(282)가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280)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돌기(286)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82)에는 수용홈(283)이 형성되어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282)는 연결통로부(300)를 중심으로 상측부재(27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마찰돌기(286)들은 상부림(298)의 외주면을 접촉하며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측부재(270)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마찰돌기(286)가 상측부재(270)의 후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찰돌기(286)의 개수, 위치 및 형상을 다를 수 있다.
상측부재(270)는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가 하측부재(290)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됨에 따라 본체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측부재(270)가 상측으로도 개방될 수 있다. 상측부재(270)의 개방된 상측은 환기구(288)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210)가 상측으로도 개방된 환기구(288)를 갖는 경우, 슈트공간(250)은 일측, 하측 및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측부재(270)의 환기구(288)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즉 전후 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측부재(270)의 상부는 그 정면 및 후면에 각각 평면형 벽(272, 274)을 포함하고 측면에 굴곡형 벽(27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면의 평면형 벽(272)은 후면의 평면형 벽(274)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환기구(288)가 정면보다 후면으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환기구(288)가 상측부재(270)의 중심에 비해 그라인더(100)로부터 멀게 위치하게 한다.
본체부(210)의 상측에 환기구(288)가 형성됨에 따라, 본체부(210) 내에 유입될 수 있는 습기는 슈트공간(250)의 내표면에 응결하지 않고 환기구(28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슈트공간(250) 내부의 습기는 슈트공간(250)을 통과하는 분말재료가 표면에 흡착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것이나, 습기가 환기구(288)를 통해 배출되므로 분말재료의 흡착 가능성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출슈트(200)를 포함하는 그라인딩 장치(1000)가 에스프레소 머신 등의 음료제조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토출슈트(200) 하부에 배치되는 추출 카트리지는 세척을 위해 정기적으로 분리되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체부(210)의 상측에 환기구(288)가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추출 카트리지를 분리한 상태에서 또는 매번 원재료를 분쇄한 후, 환기구(288)를 통해 공기를 송풍하여 토출슈트(200)의 내부가 세척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제조장치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송풍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환기구(288)가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환기구(288)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환기구(288)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낮추는 동시에 환기구(288)를 통한 송풍을 더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환기구(288)가 그라인더(100)로부터 멀게 위치할수록 그라인더(100)의 움직이는 부품들로부터 전달되는 이물질이 환기구(288)로 유입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측부재(270) 내부에서 슈트공간(250)이 절곡된 형상을 갖게 하여 환기구(288)의 위치를 그라인더(100)로부터 더 멀게 할 수도 있다.
하측부재(290)는 그 상부에 형성된 상부림(298)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부재(270)가 하측부재(290)에 결합될 때, 상측부재(270)의 삽입부(284)는 상부림(298)의 내주면에 밀착하며 삽입되고, 이 때 상부림(298)은 삽입부(284)와 고정부(282) 사이에, 그리고 삽입부(284)와 마찰돌기(286)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상부림(298)은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삽입부(284)의 하단부가 단턱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삽입부(284)의 내주면과 하측부재(290)의 내주면이 간격 없이 연속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하측부재(290)는 그 정면에 평면형 벽(292)을 포함하고 나머지 면에 굴곡형 벽(296)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부(210) 하측에 형성되는 유출구(260)는 원에서 현을 따라 일부가 제거된 형상에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측부재(290)의 굴곡형 벽(296)은 전체적으로 원에 가까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토출슈트(200) 내부로 진입하는 분말재료가 굴곡형 벽(296)에 충돌하면 굴곡형 벽(296)은 분말재료가 유출구(260)의 가운데를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평면형 벽(292)은 이미 분말재료가 토출되어야 하는 위치에 대응하므로,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측부재(290)는 그 하부가 상부에 비해 감소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평면형 벽(292) 및 굴곡형 벽(296)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평면형 벽(292)이 90도의 경사 또는 충분히 급격한 경사를 갖도록 하여 평면형 벽(292)에 낙하하는 분말재료가 평면형 벽(292)에 쌓이지 못하고 곧바로 유출구(260)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부재(290)가 하나의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측부재(290)는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측부재(290)의 내표면에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코팅층을 부가하거나, 하측부재(290)의 정전기를 방출하기 위한 전도체 부재를 부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측부재(270)에도 재료, 코팅층, 전도체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는 본체부(210)의 개구부(240) 주위로 형성되어 본체부(210)의 정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는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측에 유입구(220)가 형성되어 유입구(220)로부터 개구부(240)까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연결통로부(300)의 통로공간(230)이 슈트공간(250)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는 또한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토출부(150)와 연결통로부(300)가 충분한 강도로 결합되고 강한 밀착을 유지하되 토출슈트(200)의 미세한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여 토출슈트(200)의 슈트공간(250)의 내부 표면에 분말재료가 접촉하더라도 흡착되지 않고 쉽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의 유입구(200)의 상부에는 결합레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가 토출부(150)에 결합될 때, 결합레지(310)는 토출부(15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결합레지(310) 하부에는 고정돌기(37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가 토출부(150)에 결합될 때, 고정돌기(370)는 토출부(150)에 형성된 고정홈(170)에 삽입될 수 있으며, 토출부(150)의 일부가 결합레지(310)와 고정돌기(37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토출부(150)와 토출슈트(200)를 결합하는 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의 유입구(220)의 측면에는 결합레일(35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레일(350)은 연결통로부(30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결통로부(300)의 단부와 결합레일(350) 사이에 결합홈(360)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홈(360)에는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의 결합돌기(160)가 삽입되어 토출부(150)와 토출슈트(200)를 결합하는 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결합레일(350)의 길이는 결합돌기(16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의 유입구(220)의 하부에는 전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는 텅부(380)가 형성될 수 있다. 텅부(380)는 토출부(150)의 안착홈(180)에 삽입되어 토출부(150)와 토출슈트(200)를 결합하는 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텅부(380)가 돌출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위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연결통로부(300)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그라인더(100) 측의 토출부(150)의 일부 구성요소와 대응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연결통로부(30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된 구성요소가 토출부(150)에 구비될 수 있고, 토출부(15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된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연결통로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댐핑플랩(400)은 연결통로부(300)의 통로공간(230) 내에 배치되어 그라인더(100)로부터 유출되는 분말재료가 과도한 힘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댐핑플랩(400)은 그 일부가 본체부(210) 및/또는 연결통로부(300)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본체부(210)의 슈트공간(250), 연결통로부(300)의 통로공간(230) 및 토출부(150)의 통로공간(130)이 이루는 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00)의 상부에 장착홀(430)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 장착돌기(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홀(430)에 장착돌기(340)가 삽입되도록 댐핑플랩(400)의 상부가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 댐핑플랩(4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슬릿(330; 도 9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댐핑플랩(400)은 슬릿(330)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450)는 댐핑플랩(400)이 본체부(210) 및/또는 연결통로부(300)에 결합되는 부분 위에 배치되어 댐핑플랩(4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슬릿(330) 등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폐부(450) 역시 본체부(210) 및/또는 연결통로부(300)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 또는 기타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그라인더 장치(1000)의 토출부(15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토출부(150)는 그라인더(100)의 개구부(120) 주위로 형성되어 그라인더(100)의 정면으로부터 토출슈트(200)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토출부(150)는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측에 토출구(140)가 형성되어 개구부(120)로부터 토출구(140)까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토출부(150)는 토출슈트(200)의 연결통로부(3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150)의 토출구(140)의 상부에는 고정홈(170)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가 토출부(150)에 결합될 때, 고정돌기(370)는 토출부(150)에 형성된 고정홈(170)에 삽입될 수 있으며, 토출부(150)의 상부가 결합레지(310)와 고정돌기(37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토출부(150)와 토출슈트(200)를 결합하는 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부(150)의 토출구(140)의 측면에는 결합돌기(16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60)은 토출부(15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160)를 포함한 토출부(150)의 전측 단부가 편평한 표면을 유지하여 연결통로부(300)의 편평한 단부와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묘사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60)는 편평한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가져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 결합돌기(160)는 결합레일(35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360)에 삽입되어 토출부(150)와 토출슈트(200)를 결합하는 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도 4와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60)와 결합레일(35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부(150)의 토출구(140)의 하부에는 연결통로부(300)의 텅부(38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안착홈(180)에 텅부(380)가 삽입될 때 텅부(380)의 상면과 토출부(150)의 내측 하면이 간격 없이 연속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텅부(38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할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져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경우, 안착홈(180)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텅부(380)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토출부(150)의 내측벽 자체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부(150)의 내측벽은 텅부(380)를 따라 내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토출부(150)의 통로공간(130)은 내측이 외측보다 좁고, 개구부(120)가 토출구(140)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60)와 결합레일(35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홈(180)과 텅부(380) 또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결합돌기(160)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되어 약간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결합레일(350)은 경사가 없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결합레일(350)은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를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결합돌기(160)는 통로부(150)의 측면 전체에 따라 형성되어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결합레일(350)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결통로부(300)의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하부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까지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160)와 결합레일(35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토출슈트(200) 및 도 6에 도시된 그라인더(100)가 사용되는 경우, 토출부(150)는 양측의 경사진 결합돌기(160)로 인해 아래에서 위를 향할수록 더 좁아지는 폭을 갖되, 연결통로부(300)의 결합레일(350)은 동일한 폭을 유지한다. 따라서 결합홈(360)에 결합돌기(160)가 맞물리도록 토출부(150) 상에 결합레일(350)이 결합되면, 연결통로부(300)는 토출부(150)에 대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연결통로부(300)의 단부가 어느 한 자세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결합레일(350)이 결합돌기(160)와 동일한 길이로 연결통로부(300)의 단부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면 토출부(150)의 토출구(140)가 연결통로부(300)의 유입구(220)와 정렬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60)가 결합홈(360) 내에서 느슨하게 배치되어야 하겠지만, 결합레일(350)이 결합돌기(16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돌기(160)는 느슨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300)가 토출부(150)에 대하여 움직임이 전혀 허용되지 않는 특정 자세로 제한되면, 토출슈트(200)를 통과하는 분말재료가 어느 표면에 접촉하여 흡착되는 경우 흡착된 분말 자체가 추가의 분말재료가 퇴적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말재료는 자체 중량에 의해 분리될 정도로 많은 양이 누적될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며, 마침내 분말재료가 분리될 때에는 오랜 기간 상온에 방치된 재료가 분리되는 것이므로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음료 등의 신선도 및 위생 상태를 저하시키게 된다.
위에 설명된 결합돌기(160)와 결합레일(350)의 구조는 견고한 결합 및 밀착을 유지하면서도 연결통로부(300)를 부동의 위치에 제한하지 않고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또한, 텅부(380)와 안착홈(180)이 분쇄공간(11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구조는, 폭이 좁아지지 않는 직사각형 구조에 비해 연결통로부(300)의 단부를 적게 제한한다. 텅부(380)와 안착홈(180)의 형상은 연결통로부(300)의 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연결통로부(300)의 진동을 억제하지 않는다. 그 결과, 그라인더(100) 및 기타 부품의 작동에 의한 진동이 토출부(150)에 대한 연결통로부(300)의 상대적 진동을 유발하며, 이 진동은 어느 표면에 부착되었을지 모르는 분말재료를 흔들어 이탈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토출슈트(200)의 연결통로부(300)와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에서 토출슈트(200)와 그라인더(100)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00)의 일부가 연결통로부(300)의 통로공간(23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는 댐핑플랩(4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는데, 댐핑플랩(400)은 슬릿(330)을 통과하여 장착되되 댐핑플랩(400)의 상부는 장착돌기(340)와 장착홀(430)에 의해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댐핑플랩(400)의 하부는 슬릿(330)을 통과하여 통로공간(2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부(150)의 토출구(130)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재료가 과도한 힘으로 배출되는 경우, 분말재료는 먼저 댐핑플랩(400)에 충돌하여 그 이동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댐핑플랩(400)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소된 분말재료는 통로공간(230)의 하면을 따라 슈트공간(250)으로 미끄러지거나, 곧바로 슈트공간(250)으로 낙하하거나, 최소한 감소된 힘으로 굴곡형 벽(296)에 충돌하게 되어 본체부(210)의 내표면에 흡착 또는 퇴적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00)이 슈트공간(250)을 향해 절곡되어 댐핑플랩(400)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배출되는 분말재료가 댐핑플랩(400)에 충돌한 후 이동이 아예 멈추어 통로공간(230) 내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00)이 분말재료가 쉽게 흡착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거나 댐핑플랩(400)의 표면에 흡착방지 코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분말재료가 댐핑플랩(400) 자체에 흡착 및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차폐부(450)의 일부가 본체부(210)에 형성된 슬롯(294)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차폐부(450)는 연결통로부(300)의 레지(310)까지 연장되어 댐핑플랩(4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슬릿(330)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00)의 상단이 그라인더(100)의 토출부(15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돌기(340)는 토출부(150)에 형성될 수 있다. 댐핑플랩(400)의 일부는 토출부(150)의 통로공간(130)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연결통로부(300)의 통로공간(230)에 위치할 수도 있다. 댐핑플랩(400)의 절곡 형상에 따라 슬릿(330)은 토출부(15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연결통로부(3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20)의 일부는 연결통로부(300)의 통로공간(230)에 배치될 수 있고, 일부는 슈트공간(2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말재료가 댐핑플랩(420)에 충돌한 후 통로공간(230)에 잔류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비해 도 10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댐핑플랩(420)은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으며, 따라서 댐핑플랩(420) 자체에 분말재료가 흡착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플랩(420)의 재료를 분말재료가 쉽게 흡착하지 않는 재료로 선정하거나 댐핑플랩(420)의 표면에 흡착방지 코팅을 적용하여 분말재료가 댐핑플랩(420)에 흡착 및 퇴적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댐핑플랩(420)의 일부가 슈트공간(25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환기구(288)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슈트공간(250)을 세척할 때 연결통로부(300)로 이어지는 개구부(240) 부위가 댐핑플랩(420)으로 가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부(210)의 환기구(288)의 위치, 본체부(210)의 형상 및 댐핑플랩(420)의 길이는 환기구(288)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개구부(240) 부위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기구(2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으로 편심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본체부(210)는 개구부(240) 주위가 가장 크도록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댐핑플랩(420)은 과도하게 길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20)이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의 외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댐핑플랩(420)은 수차례 절곡되어 댐핑플랩(420) 자체가 연결통로부(300) 상부의 외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댐핑플랩(420)은 그 상부가 연결통로부(300)의 레지(310), 고정돌기(370) 및 그 사이의 공간을 전부 또는 일부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통로공간(230) 또는 슈트공간(25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결통로부(300)에 슬릿(330)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차폐부(460)는 슬롯(294)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통로부(300)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폐부(460)는 그라인더(100)의 외표면과 토출슈트(200)의 외표면 사이의 간격을 모두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댐핑플랩(440)의 일부가 본체부(210)의 슈트공간(25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210)에서 연결통로부(300)의 위에 있는 소정 위치에는 댐핑플랩(44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슬릿(3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댐핑플랩(400)은 슬릿(330)을 통과하여 장착되되 댐핑플랩(400)의 상부는 장착돌기(340)와 장착홀(430)에 의해 연결통로부(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댐핑플랩(400)의 하부는 슬릿(330)을 통과하여 슈트공간(25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말재료가 댐핑플랩(440)에 충돌한 후 통로공간(230)에 잔류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토출부(150)의 토출구(130)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재료가 과도한 힘으로 배출되는 경우, 분말재료는 먼저 댐핑플랩(440)에 충돌하여 그 이동 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곧바로 슈트공간(250)으로 낙하하거나, 최소한 감소된 힘으로 굴곡형 벽(296)에 충돌하게 되어 본체부(210)의 내표면에 흡착 또는 퇴적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차폐부(470)의 일부가 본체부(210)에 형성된 슬롯(294)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차폐부(470)는 연결통로부(300)의 레지(310)까지 연장되어 댐핑플랩(4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슬릿(330)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댐핑플랩(440)을 위한 슬릿(335)이 본체부(210)에 형성되는 경우, 차폐부(470)를 고정하기 위한 슬롯(294)은 슬릿(335)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플랩(440)의 일부가 슈트공간(25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환기구(288)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슈트공간(250)을 세척할 때 연결통로부(300)로 이어지는 개구부(240) 부위가 댐핑플랩(440)으로 가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댐핑플랩(440)의 길이를 개구부(240)의 길이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환기구(288)의 위치 및/또는 본체부(210)의 형상을 변경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앞서 제시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슈트(200)가 그라인더(100)에 대하여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고 밀착을 유지하면서도 토출슈트(200)의 미세한 이동을 허용하여 토출슈트(200)의 내표면에 분말재료가 접촉하더라도 그라인딩 장치(1000)의 진동이 이를 분리시키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210)의 평면형 벽(292)과 굴곡형 벽(296) 및 댐핑플랩(400)은 분말재료가 최대한 본체부(210) 하측의 유출구(260)를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210)의 환기구(288)는 슈트공간(250) 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한편 편리한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두 분말재료가 슈트공간(250)의 내표면에 흡착 및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200), 그라인딩 장치(1000)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는 분말재료가 슈트공간(250)의 내표면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음료제조에 사용되는 분말재료가 항상 높은 신선도 및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더 높은 품질 및 우수한 향미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슈트(200)와 그라인딩 장치(1000)는 음료제조 이외의 맥락에서도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그라인딩 장치
100: 그라인더 150: 토출부
200: 토출슈트 250: 슈트공간
300: 연결통로부 350: 결합레일
400, 420, 440: 댐핑플랩 450, 460, 470: 차폐부

Claims (10)

  1. 그라인더의 토출부에 장착되는 토출슈트로서,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슈트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출구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개구부 주위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되,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로공간과 상기 슈트공간이 이루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댐핑플랩을 포함하는 토출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부의 상부에는 상기 댐핑플랩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댐핑플랩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댐핑플랩의 상단 위를 커버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토출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플랩은 그 상단이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고 그 하단은 상기 슈트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환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슈트.
  6. 공급되는 원재료를 분쇄하여 토출부의 토출구를 통해 분말재료를 토출하는 그라인더; 및
    상기 토출부에 장착되는 토출슈트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슈트는,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슈트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슈트공간에 연통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출구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개구부 주위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하되, 중공 형상을 가져 내부에 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로공간과 상기 슈트공간이 이루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댐핑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부는 결합돌기와 결합레일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유입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레일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레일은 상기 결합돌기에 맞물리는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를 이루는 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일의 길이는 상기 결합돌기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부는 상기 유입구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텅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는 상기 텅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텅부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라인딩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
KR1020220035696A 2022-03-23 2022-03-23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KR10239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96A KR102396787B1 (ko) 2022-03-23 2022-03-23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96A KR102396787B1 (ko) 2022-03-23 2022-03-23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787B1 true KR102396787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696A KR102396787B1 (ko) 2022-03-23 2022-03-23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937B1 (ko) 2023-04-17 2023-11-06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트윈 커피머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5018A (ja) * 1990-01-04 1991-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豆等の粉砕器
JPH03205019A (ja) * 1990-01-04 1991-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豆等の粉砕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5018A (ja) * 1990-01-04 1991-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豆等の粉砕器
JPH03205019A (ja) * 1990-01-04 1991-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豆等の粉砕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937B1 (ko) 2023-04-17 2023-11-06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트윈 커피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66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KR102396787B1 (ko)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EP2296514B1 (en) Beverage dispenser outlet
US9415930B2 (en)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5952321B2 (ja) 飲料ホイッパ
CN105578934A (zh) 手冲咖啡的随身杯
JP2009506867A (ja) 2モード・ローラ粉砕機
MX2015003399A (es) Trituradora de cafe y cafetera que contiene una trituradora de cafe.
CA2421238C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coffee extract with a fine-bubble froth layer using a liquid flow decelerating barrier
EP3664669B1 (en) Centrifugal coffee brewer
CN106413490A (zh) 用于能研磨产品的研磨装置
US20110132199A1 (en) Cartridge-hold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particularly coffee
US9955814B2 (en) Brewing unit for a coffee machine, and coffee machine
KR200493831Y1 (ko) 드립퍼 장착이 가능한 핸드밀
KR101409497B1 (ko) 필터가 부착된 일회용 컵
CN215687125U (zh) 一种咖啡豆研磨机的研磨机构及应用其的咖啡豆研磨机
KR20230083506A (ko) 드립 커피 머신
CN113768379A (zh) 一种能实现粗细分离的磨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