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709B1 - 키보드 - Google Patents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709B1
KR102396709B1 KR1020200101922A KR20200101922A KR102396709B1 KR 102396709 B1 KR102396709 B1 KR 102396709B1 KR 1020200101922 A KR1020200101922 A KR 1020200101922A KR 20200101922 A KR20200101922 A KR 20200101922A KR 102396709 B1 KR102396709 B1 KR 10239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nection
unit
coupled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270A (ko
Inventor
김민혁
Original Assignee
김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혁 filed Critical 김민혁
Priority to KR102020010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7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의 접속부가 위치되는 기판과, 상기 접속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강시 상기 접속부를 접점동작 시킨 후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되는 다수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에 따른 고유 입력값이 기설정되는 입력부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위치가 결합된 상기 접속부에 상기 고유 입력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보드{KEYBOARD}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스위치들이 고유한 입력값을 가지므로, 스위치의 배열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컴퓨터에 필수적인 대표적인 입력장치의 하나로써 다수의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입력 방식에 따라 기계식 구조와 멤브레인식 구조 등으로 구분된다.
기계식 구조의 키보드는 스위치의 누름 동작과 연동하는 접속단자들 간의 접점 및 접점 해지 동작에 의해 회로부의 접속 여부를 가변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가 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멤브레인식 구조의 키보드는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의해 러버돔이 압축되거나 복원되는 방식을 통해 회로부의 접속 여부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키보드는 대부분 스위치가 표준화되어 있는 배열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특정 스위치의 배열 상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배열 상태로 스위치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키보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8-0002026호(2018년 07월 0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키보드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스위치들이 고유한 입력값을 가지므로, 스위치의 배열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의 접속부가 위치되는 기판과, 상기 접속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강시 상기 접속부를 접점동작 시킨 후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되는 다수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에 따른 고유 입력값이 기설정되는 입력부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위치가 결합된 상기 접속부에 상기 고유 입력값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스위치가 하강시 상기 회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스위치가 상승 복귀시 상기 회로부의 연결을 해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점 감지신호 전달시 상기 고유 입력값을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의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하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의 하단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암수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를 상하로 슬라이드 승강시키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일측에서 하단이 측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게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도록 하단에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위치의 하부 또는 측부로 노출된 접속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스위치의 하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고유한 입력값을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특정 스위치를 위치시킬 수 있고, 스위치의 입력 위치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스위치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스위치를 교체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접속부를 멤브레인 구조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접속부를 멤브레인 구조로 적용하고, 스위치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접속부의 각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스위치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스위치를 교체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접속부를 멤브레인 구조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접속부를 멤브레인 구조로 적용하고, 스위치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접속부의 각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본체(100)와, 기판(200)과, 스위치(300)와, 입력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일정 넓이의 설치공간(110)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상부에는 후술 될 스위치(30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다수의 통과홀(12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통과홀(120)은 스위치(300)의 개수, 형상, 크기, 배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기판(200)은 본체(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설치되고, 후술 될 제어부(PC 등, 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판(200)의 상부에는 후술 될 스위치(300)에 의해 접점 또는 접점이 해지되는 다수의 접속부(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기판(200)의 상부에는 접속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220)가 구비될 수 있고, 회로부(220)의 일부분은 접속부(210)에 의해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지될 수 있으며, 회로부(210)는 후술될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210)는 후술 될 스위치(300)가 누름 동작에 의해 하강되는 경우 스위치(210)의 하강과 연동하여 접점 상태로 전환되고, 스위치(300)가 누름 동작 해지에 의해 상승 복귀되는 경우 접점 해지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접속부(210)는 스위치(300)의 승강 동작과 연동하여 접점 또는 접점이 해지되는 기계식 구조 또는 멤브레인식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접속부(210)의 접점 및 접점 해지 구조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210)를 기계식 구조(미도시)로 적용하는 경우, 접속부(210)는 후술 될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시 연동하여 상호 접점되고,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 해지시 접점 해지 상태로 전환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미도시)와,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 해지시 압축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300)를 상승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스프링 등, 미도시)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210)를 기계식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접속부(210)의 접속단자는 스위치(3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스위치(300)의 승강 동작과 연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는 기판(200)의 상부에서 스위치(300)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접속부(210)를 멤브레인식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도 5와 6에서처럼 접속부(210)는 기판(200)의 상부에 러버돔(고무 등, 211)을 위치시킬 수 있고, 러버돔(211)은 스위치(300)의 하단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러버돔(211)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의 상부에 접속단자(212)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시에는 러버돔(211)의 상단이 스위치(300)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될 수 있고, 러버돔(211)의 공간부에 위치된 접속단자(212)가 하강되면서 기판(200)의 회로부(220)와 접속되어 접점될 수 있다.
반면, 스위치(300)의 누름 해지시에는 러버돔(211)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300)가 상승 복귀될 수 있고, 러버돔(211)의 공간부에 위치된 접속단자(212)가 회로부(220)의 상부로 이격 위치되어 접점이 해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300)는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접속부(210)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스위치(300)는 접속부(2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강시 접속부(210)를 접점동작 시킨 후 접속부(21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스위치(300)의 하부에는 가이드돌기(310)가 더 돌출될 수 있고, 전술한 기판(200)의 상부에는 스위치(300)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30)의 상부에는 가이드돌기(310)가 암수로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시에는 가이드돌기(310)가 가이드홈(231)의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하강될 수 있고,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 해지시에는 접속부(21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돌기(310)가 가이드홈(231)의 상부로 상승 복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31)의 일측 벽면에는 걸림홈(211)이 더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돌기(310)의 일측에는 하단이 측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바(31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바(311)의 일측에는 걸림홈(211)에 대응되게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도록 걸림돌기(312)가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312)의 상단에는 걸림홈(23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돌기(312)의 하단에는 걸림홈(23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300)를 결합부(230)에 결합시키는 경우, 하부 경사면이 결합부(230)의 일측 상단과 접촉되면서 하강되고, 탄성바(311)의 하단이 걸림홈(23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벤딩된다. 이후 탄성바(311)가 하강된 위치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걸림돌기(312)가 걸림홈(23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걸림돌기(312)는 걸림홈(232)의 상하 간격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위치된다.
반면, 스위치(300)를 결합부(230)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시키는 경우, 상부 경사면이 걸림홈(232)의 상단과 접촉되면서 상승하고, 탄성바(311)의 하단이 걸림홈(23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걸림돌기(312)와 걸림홈(232)의 걸림을 해지시킨다. 이후 가이드돌기(310)를 가이드홈(231)의 상부로 분리시키는 경우 탄성바(311)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입력부(400)는 스위치(30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입력부(400)의 접속단자가 접속부(210)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입력부(400)에는 스위치(300)에 따른 고유 입력값(숫자, 글자, 기호 등)이 선택적으로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는 스위치(300)의 하부 또는 측부를 통해 노출되어 접속부(210)의 접속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스위치(300)를 접속부(210)의 상부로 분리시키는 경우,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가 접속부(210)의 접속단자(2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210)를 멤브레인식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도 5와 도 6에서처럼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를 스위치(300)의 하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러버돔(211)의 상부에는 내부의 접속단자(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213)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접속부(210)의 접속단자(213)가 스위치(300)의 하부에서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와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치(300)에 가이드돌기(310)를 형성시키는 경우는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를 가이드돌기(310)의 하부를 통해 노출시킬 수 있다.
반면, 접속부(210)를 기계식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를 스위치(300)의 측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접속부(210)의 접속단자가 스위치(300)의 측부에서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치(300)에 가이드돌기(310)를 형성시키는 경우는 입력부(400)의 접속단자(410)를 가이드돌기(310)의 측부를 통해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400)는 스위치(300)가 결합된 접속부(210)에 고유 입력값을 전달하며, 스위치(300)의 결합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 현재 스위치가 결합된 접속부(210)로 스위치(300)의 고유 입력값을 동일하게 전달한다.
즉, 스위치(3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해당 스위치(300)의 고유 입력값이 동일하게 전달되므로, 스위치(3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회로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30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접속부(210)가 접점 동작을 하는 경우, 해당 스위치(300)에 따른 고유 입력값을 표시부(모니터 등, 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키보드는 스위치(300)의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고유한 입력값을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특정 스위치를 위치시킬 수 있고, 스위치의 입력 위치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설치공간
200: 기판 210: 접속부
211: 러버돔 212, 213: 접속단자
220: 회로부 230: 결합부
231: 가이드홈 232: 걸림홈
300: 스위치 310: 가이드돌기
311: 탄성바 312: 걸림돌기
400: 입력부 410: 접속단자
500: 제어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의 접속부가 위치되는 기판;
    상기 접속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강시 상기 접속부를 접점동작 시킨 후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되는 다수의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에 따른 고유 입력값이 기설정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위치가 결합된 상기 접속부에 상기 고유 입력값을 전달하되,
    상기 기판의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하단이 결합 및 분리되도록 결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스위치가 하강시 상기 회로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스위치가 상승 복귀시 상기 회로부의 연결을 해지시키며,
    상기 회로부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접점 감지신호 전달시 상기 고유 입력값을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스위치의 하단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암수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를 상하로 슬라이드 승강시키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일측에서 하단이 측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게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도록 하단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위치의 하부 또는 측부로 노출된 접속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스위치의 하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01922A 2020-08-13 2020-08-13 키보드 KR10239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22A KR102396709B1 (ko) 2020-08-13 2020-08-13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22A KR102396709B1 (ko) 2020-08-13 2020-08-13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70A KR20220021270A (ko) 2022-02-22
KR102396709B1 true KR102396709B1 (ko) 2022-05-11

Family

ID=8049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922A KR102396709B1 (ko) 2020-08-13 2020-08-13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59842U (zh) 2019-05-15 2019-12-27 东莞市索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型键帽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134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판배열이 자유로운 키보드장치
CN105185635B (zh) * 2015-08-19 2017-11-1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一种键盘开关
KR102380716B1 (ko) * 2017-12-01 2022-03-31 토프레 코포레이션 키보드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59842U (zh) 2019-05-15 2019-12-27 东莞市索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型键帽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70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2695B2 (en) Key switch with noise reduction mechanism
TWI607474B (zh) 按鍵
WO2016107547A1 (zh) 一种具有良好手感的开关
US5516996A (en) Keyboard apparatus
KR101860792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
US8314721B2 (en) Key switch
US4602138A (en) Keyboard with removable modular keys
CA253749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keypad providing enhanced usability and reduced size, and associated method
US6956179B2 (en) Rocker/pushbutton switch
KR102396709B1 (ko) 키보드
TWI484515B (zh) Push button switch
CN202067709U (zh) 键盘
CN107516610B (zh) 一种按钮开关
KR100780736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US4002879A (en) Double column leaf spring push-button switch
CN107887186A (zh) 按键
CN110828218B (zh) 键盘装置
CN109390177B (zh) 具有按压段落感的薄型按键
CN111383858A (zh) 按键结构
KR101692121B1 (ko) 버튼 스위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161897Y1 (ko) 사무용기기의 일체형 키이버튼 장치
KR100759734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102650194B1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CN207319974U (zh) 一种微动开关
KR101291194B1 (ko) 키 버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