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660B1 -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 Google Patents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660B1
KR102396660B1 KR1020200017106A KR20200017106A KR102396660B1 KR 102396660 B1 KR102396660 B1 KR 102396660B1 KR 1020200017106 A KR1020200017106 A KR 1020200017106A KR 20200017106 A KR20200017106 A KR 20200017106A KR 102396660 B1 KR102396660 B1 KR 10239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eedle
syringe
present
need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726A (ko
Inventor
이춘기
이의수
Original Assignee
이춘기
이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기, 이의수 filed Critical 이춘기
Priority to KR102020001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6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6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friction 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3Connection of needle cannula to needle hub, or directly to syringe nozzle without a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61M2005/312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comprising sealing means, e.g. severable caps, to be removed prior to injection by, e.g. tearing or twi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배럴(120), 상기 배럴(120)의 일단에 성형된 노즐(140), 상기 노즐(140)에 탈착되는 니들베이스(150) 및 상기 니들베이스(150)에 연결된 니들(160)을 포함하는 주사기(100)에 있어서, 노즐(140)의 테이퍼 면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엠보싱면(142)을 형성하고, 그리고 노즐(140)의 테이퍼 면중 엠보싱면(142) 이외의 영역은 평활면(146)을 형성하며, 니들베이스(150)의 베이스내면(152)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내부엠보싱면(15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Easy removable needle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주사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중 노즐(40)과 니들베이스(50)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사기(10)는 피스톤(30), 베럴(20) 및 니들베이스(50)로 구성된다. 니들베이스(50)는 니들(60)을 포함하고, 노즐(40)에 탈착 가능하다. 이는 주사기(10)를 일회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폐기시 니들(60)과 니들베이스(50)를 분리하여 폐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노즐(40)의 노즐외면(42)에는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다. 도 3a는 도 2중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중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노즐외면(42)에는 자외선 엠보싱을 처리하여 미세한 돌기(44)를 형성한다. 그리고, 니들베이스(50)의 베이스내면(52)은 평활면이다. 이는 니들베이스(50)가 노즐(40)에 꽉 끼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자외선 엠보싱 처리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자외선을 조사하여 돌기(44)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약 4 ~ 5시간 정도의 조사 시간이 필요하여 가공시간이 길어지는 비경제성이 있었다.
또한, 자외선 엠보성의 처리로 인해, 주사기(10)에는 매케한 냄새가 발생하고 되고, 제조후 포장됨에 따라 악취가 함께 잔류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의 주사기(10)는 노즐(40)에 니들베이스(50)를 결합하기 위해 자동화된 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고, 사용후 노즐(40)로부터 니들베이스(50)를 분리하여 폐기시에도 자동화된 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노즐(40)에 니들베이스(50)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은 수작업으로만 가능했다.
종래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돌기(44)의 크기를 변경설계하는 시도가 있어 왔지만 돌기(44)가 너무 큰 경우 잘 빠지지 않고 액체가 노즐(40)과 니들베이스(50) 사이로 누수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돌기(44)가 너무 작은 경우에도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액체가 새어 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376137 호(주사기),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120715 호(주사기 배럴의 제조 방법), 3.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 20-1992-0008895 호(주사기 조립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과정에서 악취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신속히 생산할 수 있는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밀을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배럴(120), 배럴(120)의 일단에 성형된 노즐(140), 상기 노즐(140)에 탈착되는 니들베이스(150) 및 니들베이스(150)에 연결된 니들(160)을 포함하는 주사기(100)에 있어서, 노즐(140)의 테이퍼 면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엠보싱면(142)을 형성하고, 그리고 노즐(140)의 테이퍼 면중 상기 엠보싱면(142) 이외의 영역은 평활면(14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가 제공된다.
또한, 엠보싱면(142)은 배럴(120)로부터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까지의 둘레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엠보싱면(142)은 노즐(140)의 축선 방향 전체 길이중 1/3 ~ 2/3 범위까지 형성된다.
또한, 엠보싱면(142)은 노즐(140)의 축선 방향 전체 길이중 1/2 까지 형성된다.
또한, 니들베이스(150)의 베이스내면(152)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내부엠보싱면(154)을 형성한다.
또한, 내부엠보싱면(154)은 니들(160)로부터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부터 둘레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소정 거리는 니들(160)로부터 상기 니들베이스(150) 전체 길이의 1/3 ~ 2/3 범위이다.
또한, 소정 거리는 상기 니들(160)로부터 상기 니들베이스(150) 전체 길이의 1/2 이다.
또한, 베이스내면(152)중 내부엠보싱면(154) 이외의 영역은 내부평활면(158)을 형성한다.
또한, 엠보싱면(142)과 내부엠보싱면(154)중 적어도 하나는 샌딩 가공된다.
또한, 니들베이스(150)가 상기 노들(140)에 결합되었을 때, 엠보싱면(142)과 상기 내부엠보싱면(154)이 면접하여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평활면(146)과 내부평활면(158)이 면접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샌딩 가공으로 돌기를 형성함에 따라 4 ~ 5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신속하게 주사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다.
또한, 제조과정과 사용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주사기 노즐(140)과 니들베이스(150) 사이의 기밀을 충분히 유지하여 액체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러한 탈착의 용이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주사기(100)는 자동화된 기기를 통해 생산하거나 분리 폐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주사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중 노즐(40)과 니들베이스(50)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중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중 B-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5a는 도 4중 C-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중 D-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의 부분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의 부분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00)는 크게 베렐(120), 피스톤(번호 미부여) 및 니들베이스(150)로 구분된다.
베럴(120)의 일단에는 테이퍼 형상의 노즐(1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140)은 6/100 기울기를 갖는다.
노즐(140)의 외면은 축선 방향을 따라 엠보싱면(142)과 평활면(146)으로 구분된다. 엠보싱면(142)은 노즐(140)의 외면중 베럴(120)측 둘레에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싱면(142)은 전체 노즐(140)의 축선 방향 길이중 약 1/2 정도이다. 엠보싱면(142)은 축선 방향을 따라 1/3 ~ 2/3 범위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범위 보다 작으면 결합력이 작아서 니들베이스(150)가 빠지기 쉽고, 2/3 보다 크면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는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면(142)은 샌딩(Sanding) 가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즉, 금형으로부터 평활하게 사출된 노즐(140)에 대해 샌드페이퍼를 회전 접촉시켜 짧은 시간내에 엠보싱면(14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가공시간도 크게 단축되고 악취 발생도 차단할 수 있다.
평활면(146)은 금형으로부터 사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샌딩가공을 하지 않는다.
니들베이스(150)는 일단이 노즐(140)에 끼워지고, 타단에는 니들(160)이 고정된다. 니들베이스(150)는 니들(160)을 교환하거나 분리 폐기할 때 베럴(120)로부터 분리된다.
도 5a는 도 4중 C-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40)의 외면은 돌기(144)를 갖는 엠보싱면(142)과 샌딩 가공되지 않고 사출된 상태 그대로인 평활면(146)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돌기(144)는 샌딩 가공을 통해 불규칙하게 형성된 돌기(144)이다.
도 5b는 도 4중 D-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내면(152)은 샌딩가공된 내부엠보싱면(154)과 평활한 내부평활면(158)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내부엠보싱면(154)은 전체 니들베이스(150)의 축선 방향 길이중 약 1/2 정도이다. 내부엠보싱면(154)은 노즐(140)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을 따라 1/3 ~ 2/3 범위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범위 보다 작으면 결합력이 작아서 니들베이스(150)가 빠지기 쉽고, 2/3 보다 크면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는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엠보싱면(154)은 샌딩(Sanding) 가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즉, 금형으로부터 평활하게 사출된 내부평활면(158)에 대해 샌드페이퍼를 부분적으로 회전 접촉시켜 짧은 시간내에 내부엠보싱면(154)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가공시간도 크게 단축되고 악취 발생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니들베이스(150)를 노즐(140)에 결합하고자 할 때이다. 한손으로 베럴(120)을 잡고, 한손으로 니들베이스(150)를 잡은 다음, 베이스내면(152)으로 노즐(140)을 끝까지 끼운다. 이 때, 엠보싱면(142)과 내부엠보싱면(154)이 면접하면서 돌기(144)와 내부돌기(156)의 걸림과 마찰력으로 인해 니들베이스(150)가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엠보싱면(142)과 내부엠보싱면(154)은 상호 충분한 면접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활면(146)과 내부평활면(158)은 상호 면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하여 주사기(100) 내부의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평활면(146)과 내부평활면(158)은 상호 충분한 면접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베럴(120)로부터 니들베이스(150)를 분리하고자 할 때이다. 한손으로 베럴(120)을 잡고, 한손으로 니들베이스(150)를 잡은 다음, 니들베이스(150)를 살짝 돌리면서 동시에 베럴(120)로부터 니들베이스(150)를 잡아 당긴다. 그러면 니들베이스(150)가 손쉽게 분리된다.
이러한 탈착 동작은 자동화 기기 상에서 손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대량 생산 및 대량 분리/폐기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주사기,
20 : 베럴,
30 : 피스톤,
40 : 노즐,
42 : 노즐외면,
44 : 돌기,
50 : 니들베이스,
52 : 베이스내면,
60 : 니들,
100 : 주사기,
120 : 배럴,
140 : 노즐,
142 : 엠보싱면,
144 : 돌기,
146 : 평활면,
150 : 니들베이스,
152 : 베이스내면,
154 : 내부엠보싱면,
156 : 내부돌기,
158 : 내부평활면,
160 : 니들.

Claims (10)

  1. 배럴(120), 상기 배럴(120)의 일단에 성형된 노즐(140), 상기 노즐(140)에 탈착되는 니들베이스(150) 및 상기 니들베이스(150)에 연결된 니들(160)을 포함하는 주사기(100)에 있어서,
    상기 노즐(140)의 테이퍼 면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엠보싱면(142)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140)의 테이퍼 면중 상기 엠보싱면(142) 이외의 영역은 평활면(146)을 형성하며,
    상기 엠보싱면(142)은 상기 배럴(120)로부터 축선 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중 1/2 까지 형성되며,
    내부엠보싱면(154)은 상기 니들베이스(150)의 베이스내면(152)중 상기 니들베이스(150) 전체 길이의 1/2부터 둘레 영역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내면(152)중 상기 내부엠보싱면(154) 이외의 영역은 내부평활면(158)을 형성하고,
    상기 엠보싱면(142)과 상기 내부엠보싱면(154)은 샌딩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7106A 2020-02-12 2020-02-12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KR10239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06A KR102396660B1 (ko) 2020-02-12 2020-02-12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106A KR102396660B1 (ko) 2020-02-12 2020-02-12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26A KR20210102726A (ko) 2021-08-20
KR102396660B1 true KR102396660B1 (ko) 2022-05-12

Family

ID=7746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106A KR102396660B1 (ko) 2020-02-12 2020-02-12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6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85B1 (ko) * 2012-10-02 2013-01-31 이영희 일회용 주사기
CN108261588A (zh) * 2016-12-30 2018-07-10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医疗装置、包括医疗装置的组件和制造医疗装置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46Y2 (ja) 1990-11-26 1995-05-01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0376137Y1 (ko) 2004-08-26 2005-03-11 월드금형테크놀러지(주) 주사기
US10220150B2 (en) 2014-02-10 2019-03-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anufacturing method of syringe barr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85B1 (ko) * 2012-10-02 2013-01-31 이영희 일회용 주사기
CN108261588A (zh) * 2016-12-30 2018-07-10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医疗装置、包括医疗装置的组件和制造医疗装置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26A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24784B (zh) 具有背胶型遮光组件的镜头
EP3017838B1 (en) A disposable safety self-destruction insulin needle
KR102396660B1 (ko) 니들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
CN1483639A (zh) 容器
JP2020526275A (ja) 保護レンズホルダ
DE102015115914B4 (de) Waferanordnung aufweisend einen Wafer und einen Wafer-Haltering
JP5636112B2 (ja) 照射源に対する被照射物の位置決めを行う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
KR20100032588A (ko) 차량용 휠
DE102011004236A1 (de) Schneidevorrichtung für ein zylindrisches Werkstück
KR101810888B1 (ko) 슬립방지 체결구조를 갖는 주사기 캡
KR101469965B1 (ko) 날개 없는 선풍기용 환형 노즐
US3811978A (en) Method of forming centrifugal blower wheel
JP2007520263A5 (ko)
CN104127249B (zh) 一种结构优化的光固化机
CN110325236A (zh) 用于具有桩撑针头的预填充式注射器的针头保护设备和包括此设备的注射器
WO2012046364A1 (ja) 光記録媒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302214A (zh) 针杆保护装置
CN206623999U (zh) 植保无人机的密闭式壳体
CN211164750U (zh) 瓷套内孔除尘装置及瓷套内孔加工设备
CN107526231B (zh) 一种手动镜头盖
CN218499981U (zh) 一种卷烟机烟丝输送带传动辊
CN100420492C (zh) 注射器的针头毁损安全装置
JPH08285986A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のグローブポート
CN203954196U (zh) 一种针头密封装置
CN207910228U (zh) 准分子激光器及准分子激光器的透镜固定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