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452B1 -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452B1
KR102396452B1 KR1020210014534A KR20210014534A KR102396452B1 KR 102396452 B1 KR102396452 B1 KR 102396452B1 KR 1020210014534 A KR1020210014534 A KR 1020210014534A KR 20210014534 A KR20210014534 A KR 20210014534A KR 102396452 B1 KR102396452 B1 KR 10239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terminal
safety check
self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모바일 엔트로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바일 엔트로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바일 엔트로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하는 점검원 단말 및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 단말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점검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전달부, 점검원 단말로부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로 결과를 전송하는 결과처리부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NON FACE-TO-FACE CITY GAS SAFETY CHECKING SERVICE}
본 발명은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대면으로 메신저를 통하여 자가 안전점검을 시행하도록 하고 점검원은 안전점검 결과에 대한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을 업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국내 도시가스는 대부분의 가구에 공급이 되는 국민 에너지로 성장한 반면, 국내 계량기는 대다수는 여전히 통신 및 안전 기능이 없는 기계식 계량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검침, 안전, 요금 등과 관련된 민원이 빈발하고, 계량정보에 대한 신뢰성 저하문제와 건물이 높은 외벽이나, 담벼락 사이 등 방문이 용이하지 않아 검침원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한 난검침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방문검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와 사칭 범죄 등 여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산업통상자원부는 가스미터에 관련한 실태조사를 시행한 후 계량 선진화 방안으로서 고성능 기기도입을 목표로 하는 가스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보급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산업부의 가스 AMI 보급 계획은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 대책의 일환으로 가스에너지 사용자를 대상으로 기계식 계량기를 무선검침기반 스마트 계량기로 교체를 하는 것을 계획했고, 방문검침의 불편을 해소하고 검침 신뢰성 확보와 안전점검 품질 개선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도시가스 선진화를 목표로 했다.
이때, 가스검침을 원격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76568호(2020년02월27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076917호(2020년06월30일 공개)에는, 검침단말의 설치 시 설치자가 스파트폰으로 검침단말의 통신품질신호를 확인하도록 하고, 검침단말의 통신품질을 감시하여 통신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모니터링 정보를 알림정보로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검침단말을 관리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무선 가스미터의 원격검침에서 정보를 보안처리하도록 보안모듈에 포함된 제 1 보안키를 이용하여 제 2 보안키가 내장된 SE(Secure Element)를 발급하고, SE가 스마트 미터에 설치되면 제 2 보안 키를 이용하여 제 3 보안 키를 발급함으로써, 원격검침에서 물리적 보안 모듈을 적용하고 양방향 인증을 통하여 높은 수준의 보안레벨을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가스 AMI 의 전면 보급에 앞서 무선검침의 정확도, 배터리 및 보안 등 기술적 문제로 인해 무선검침 관련 실증 기술 확보가 선결과제로 대두되었으며, 가스 AMI 와 스마트가스미터의 기술 확보 후, 시범사업을 거쳐 단계적으로 전면 보급을 하는 것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 무선검침을 실시하더라도 여전히 방문검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검침 신뢰성 저하 및 난검침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이 난제로 남아있다. 게다가 코로나(COVID-19)로 인하여 대면접촉을 꺼리거나 금지하는 뉴노멀(New Normal) 환경에서 방문작업은 자가격리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자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에는 방문할 가정이 상호 간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이에, 소비자 편익이나 작업자의 인권보호 뿐만 아니라 상호간 건강상의 위험부담을 제거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점검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적합 통보를 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부적합 통보를 함으로써 2차 자가 안전점검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2차 자가 안전점검에도 부적합 통보를 받은 경우에는 현장기사 단말로 안전점검 및 부적합 통보를 받은 이유에 대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최소한의 대면접촉을 가능케 하고, 부적합 이유에 대한 알림으로 최단시간 내에 점검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하는 점검원 단말 및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 단말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점검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전달부, 점검원 단말로부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로 결과를 전송하는 결과처리부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점검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적합 통보를 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부적합 통보를 함으로써 2차 자가 안전점검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2차 자가 안전점검에도 부적합 통보를 받은 경우에는 현장기사 단말로 안전점검 및 부적합 통보를 받은 이유에 대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최소한의 대면접촉을 가능케 하고, 부적합 이유에 대한 알림으로 최단시간 내에 점검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용자 단말(100) 및 점검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 내의 지시사항으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설비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라는 메세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설비를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한 결과 부적합 판정을 점검원 단말(400)로부터 받은 경우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재출력하고 다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 현장기사 단말(500)의 방문이 예약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을 등록하여 각 행정구역 또는 관할별로 담당 가구를 배정 및 할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가구당 점검주기 및 점검일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 또는 설비를 사용자가 직접 점검하도록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면 점검원 단말(400)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점검원 단말(400)로부터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을 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 2차 재점검을 위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재전송하고, 그럼에도 불구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에는 현장기사 단말(500)로 현장점검을 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초기에는 [동영상-판정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점검원이 수행하도록 하지만, 충분히 데이터가 누적되어 라벨링(Labelling)이 된 경우에는 영상 기반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직접 점검원인 인간의 개입이 없더라도 영상 만으로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을 내릴 수 있도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부적합 판정을 받거나 오류에 대하여 정정하도록, 점검원이나 전문가 등의 인간의 개입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은,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동영상 데이터를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을 내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다시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점검원 단말(400)의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에는 그 이유가 함께 업로드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점검원의 적합 및 부적합 판정과 그 이유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하기 위한 라벨링 데이터가 된다. 라벨링이란, 이미지, 사진 또는 동영상의 특징을 텍스트 등으로 라벨을 붙이는 것인데, 이 데이터가 있어야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학습할 근거가 있기 때문이다. [사진-적합-이유]나, [사진-부적합-이유]와 같은 자료구조가 형성되고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 나면, 이 데이터들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셋이 될 수 있다. 이에, 별도로 라벨러들을 고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다보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구축을 위한 데이터셋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는,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현장방문을 요청받는 현장기사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기사 단말(500)은, 2차 재점검까지 부적합 판정을 받았던 이유와 증상 또 해결방법 등에 대하여 현장점검이 완료된 후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현장기사 단말(500)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 또한 점검원 단말(400)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와 같이 라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진 또는 동영상-설비 종류-증상-이유-해결방법] 등과 같이 데이터가 업로드될 수 있고, 이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학습하는 경우 그 이후에는 사용자에게 해결방법을 알려주거나 현장기사에게 현장방문을 요청하더라도 증상이나 이유를 파악하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설정부(310), 전송부(320), 전달부(330), 결과처리부(340), 재점검부(350), 할당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로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는,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점검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장기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설정부(310)는,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점검주기는, 가스사용시설의 안전점검에 대한 법적사항(안전관리규정 36조)에 기반하여 1 년에 2 회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관련 법규가 개정되는 경우 개정법에 따를 수 있다. 이때, 점검항목에 대해서는, 가스렌지는, 가스누설여부, 휴즈코크 설치여부, 호스길이(3m 이내)상태 등이고, 보일러는, 보일러 연결부 가스누출여부, 고시기준 미달여부 등이고, 기타시설물은, 입상관 설치상태, 계량기 설치상태, 배관고정상태, 배관도색상태, 도시가스 시설물과 화기와의 이격거리 및 기타 관련고시기준 미달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내용들도 관련고시가 개정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전송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점검원 단말(4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은 가스계량기일 수 있다. 이때,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가스계량기의 계량기함 적정설치 여부, 계량기 연결부 누수점검, 공급중단세대 밸브차단조치 여부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은 노출배관일 수 있다. 이때,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노출배관의 배관 도색손상 및 부식여부, 배관 고정장치 이탈 여부, 차량추돌 방호시설 적정 여부, 위성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을 포함한 지장물 설치 여부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은 연소기일 수 있다. 이때,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휴즈톡 및 호스 연결부 누출 여부, 가스누출 자동차단기 작동상태, 빌트인 점검구 설치 여부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일 수 있다.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설치장소 적합여부, 급기구 또는 환기구 설치부적합 여부, 배기연도 이탈을 포함하는 폐가스 유입 여부 및 플렉시블 호스 연결부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일 수 있다.
이때, 동영상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수집될 수 있다. 클라우드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 DaaS(Data as a Service), FaaS(Function as a Service) 및 DBaaS(Database as a Service)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두 번째는,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세 번째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 하는 서비스이다.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온프레미스(On-Premise) 플랫폼 내에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온프레미스는 물리적인 서버들을 직접 설치해서 운영한다는 뜻으로, 우리말과 정확히 대응되는 적절한 용어가 없으므로 영어를 그대로 옮겨 이하 '온프레미스'라 호칭한다. 온프레미스 플랫폼은 한 대 혹은 그 이상의 물리적인 서버들을 직접 설치하여 운영하는 플랫폼을 가리킨다. 말 그대로 서버들을 직접 관리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물리적인 서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온프레미스 플랫폼 비용에 있어서 서버 장비 비용이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필요한 서버들이 확보된다면 그 서버들을 물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한, 두대의 서버들이라면 연구실 내 한켠에 둘 수도 있겠지만, 열 대 혹은 그 이상의 서버들이라면 상황이 달라진다. 일단 장비들이 내뿜는 소음과 열기로 인해 연구원들과 한 공간에 상주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24시간 작동하는 서버들에게 안정적인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며, 손실되지 말아야할 중요한 작업을 하는 서버들의 경우에는 정전의 사태에 대비해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라는 무정전 전원 장치도 필요하다.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도 중요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들 사이의 빠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들 간 내부 네트워크 연결 또한 중요하다. 많은 서버들과 케이블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랙(Rack) 장비, 그리고 서버실 내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줄 항온항습기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드웨어적인 준비를 마치면, 다음 단계로는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야 한다. 가장 먼저 서버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리눅스(Linux)와 같은 오픈소스(Open Source)를 활용한다면 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밖에 서버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며, 상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라이센스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준비까지 마치면, 마지막으로 이 모든 작업을 수행할 인력이 준비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작업을 수행할 인력과 소프트웨어 작업을 수행할 인력 모두가 필요하겠지만, 작고 단순한 플랫폼의 경우 소프트웨어 인력이 하드웨어 작업까지 수행하는 경우도 흔히 존재한다.
최초에 이 모든 것들을 설치하는 일회성 작업에 대한 인력도 필요하지만, 정상적으로 가동이 된 이후 유지보수를 할 운영 인력 또한 필요하다. 특히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플랫폼의 경우 프론트 엔드(Front End)에서 사용자들의 문의 및 요구 사항들을 직접 응대할 서비스 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온프레미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장비, 소프트웨어 환경, 그리고 이를 수행할 인력을 요한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플랫폼 또는 온프레미스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플랫폼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온프레미스와 비교하는 측면에서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설명한다. 이는, 온프레미스와 같이 직접 설치 및 운영하는 물리적인 플랫폼은 아니지만, 클라우드 상 어딘가에 존재하면서 온프레미스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프레미스와 비교해서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바로 서버 장비를 직접 확보 및 관리할 필요가 없다. 장비가 실제로 어디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지 알 수 없으며, 또 알 필요도 없다. 사용자들은 그저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는 컴퓨팅 자원과 저장 공간 등을 이용하면 되는 것이다.
서버 장비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서버 공간, 전력, 네트워크 등의 모든 하드웨어 장비들도 동일한 이유로 사용자가관리해야할 대상에서 사라진다. 온프레미스와 비교했을 때 확실하게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장점이기도 하다. 소프트웨어는 온프레미스와 상황이 거의 유사하다.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영체제나 주요 소프트웨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이미 설치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소프트웨어 설치에 따른 수고를 상당 부분 덜 수 있다. 인력의 경우는 하드웨어 장비의 최초 설치와 이후 운영에 대한 수고가 사라지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설치와 운영에만 집중하면 되고, 앞서 밝힌 대로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상당 부분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준다. 결론적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을 운영할 경우 하드웨어 장비에 대한 고려는 완전히 사라지고, 핵심적인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려만 남는다고 할 수 있다.
결과처리부(340)는, 점검원 단말(400)로부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점검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렇게 업로드된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에 라벨링 되어 이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딥러닝을 수행할 데이터셋(DataSet)이 된다. 각 이미지나 동영상에 인간의 개입으로 하나하나 라벨링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생각하면 결과도 업로드하면서 이를 빅데이터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가 된다.
딥러닝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 기반, 즉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촬영하여 동영상 내 특정 프레임이나 사진 등을 기반으로 하게 되므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딥러닝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이 기반으로 개발된 YOLO(You Only Look Once)를 이용하기로 한다.
영상에서 객체 인식을 하는 방법으로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방식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폭넓게 활용하는 방식은 R-CNN 계열의 알고리즘을 들 수 있다. 영역 기반의 합성곱을 활용한 방식으로 여러 개의 신경망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고, 각 신경망에 해당하는 가중치 값들이 존재한다. 이 가중치 값은 학습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렇게 결정된 값들은 객체 인식에 이용되는데, Fast R-CNN, Faster R-CNN, Mask R-CNN이 등이 존재한다.
첫 번째 Fast R-CNN은 단일 단계 학습을 통해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를 확보할 수 있다. 3가지 방법 중에 유일하게 기 학습된 가중치를 사용하지 않고, Xavier 초기값을 사용할 수 있다. 단일 단계 학습을 할 수 있어 간단하게 인공지능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다수의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 경계 상자(Boundary Box) 후보군을 생성하는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주로 긴 연산 시간을 갖는 선택적 검색(Selective Search) 알고리즘 수행에 기인한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Faster R-CNN에서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는데, 특히 관심 영역 경계 상자 후보군을 생성하는데, 새로운 심층 신경망을 사용한다. 즉, 기존의 알고리즘은 주로 CPU 자원을 활용한 연산을 사용하여 비교적 많은 연산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심층 신경망을 통한다면 GPU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산 시간이 단축된다. 이 같은 심층 신경망은 관심 영역의 후보군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고 하여 영역 제안 네트워크(Region Proposal Network)라고 하는데, 백본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신경망 층을 가지고 있다. 이 신경망을 통해 객체 인식을 하는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대부분이 CPU에서 GPU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 같은 구조로 완성된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친 학습 수행이 필요하다. Faster R-CNN은 백본 네트워크, 영역 제안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Classifier Network)로 구성되며 이 3 개의 심층 신경망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수행이 필요하므로 다중 단계 학습 기법으로 완성된 모델을 구하는데 시간이 연장될 수도 있다.
R-CNN 계열 방법의 마지막인 Mask R-CNN의 가장 큰 특징은 객체 인식의 분할(Segmentation)까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 전까지 객체 인식은 영상 내에서 사각 박스를 통해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 종류를 구분하였지만, Mask R-CNN에서는 객체 인식 기술에 객체의 위치를 화소 단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심층 신경망을 설계한다. 이 심층 신경망의 역할은 각 화소가 객체에 해당되는 것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으로 바이너리 마스크(Binary Mask)라고 한다. 백본 네트워크로부터 얻은 특징 지도(Feature Map)에 바이너리 마스크를 씌워서 화소 단위로 구분을 짓는다. 다만, 일반적인 특징 지도의 크기는 원본 영상의 크기도 4분의 1일에서 16분의 1크기의 수준으로 작다. 이렇게 작아진 특징 지도에서 화소 단위로 객체 영역을 결정하더라도 원본 영상에서는 그 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이 같은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심 영역 정렬(ROI Align)이라는 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ROI 풀(Pool) 영역에서 생기는 소수점 오차를 2차 선형보간법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YOLO 중 YOLO-v3은, 하나의 합성곱 신경망이 동시에 여러 개의 경계 상자 (Bounding Box)를 예측하고, 각 경계 상자에 대하여 분류 확률(Class Probability)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사용되는 합성곱 신경망은 특징 지도를 생성하는 용도로 활용되는데 알고리즘의 중추를 담당한다고 하여 백본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이 특징 지도는 여러 개의 그리드 셀(Grid Cell)로 구성되는데, 각 셀마다 스코어(Score) 방식을 적용하여 대상 객체의 종류와 위치를 동시에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차량, 사람, 비행기, 동물 등을 포함하여 총 20가지 종류를 매 영상 프레임마다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재점검부(350)는, 결과처리부(340)의 결과가 안전점검결과 부적합 통보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재전송하여 2차 안전점검을 시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할당부(360)는, 재검검부(350)의 2차 안전점검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기 등록된 현장기사 단말로 현장점검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담당자 할당 문제는, 현장점검 수를 균등하게 배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력이 할당되어야 하고, 각 현장기사의 업무 부담이 균등해야 한다. 여기서, 담당자 입장에서의 부하(Load)는, 각 구두의 무게나 숫자, 조치 시간 그리고 이동해야 하는 거리 등을 업무 부하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담당자 할당 문제는, TSP(Traveling Salesman Problem) 및 지역분할(Regional Partitioning) 문제로 귀결되는데, TSP는 NPHard 문제에 속하는 문제이며, 모든 구역들 간의 이동시간이나 비용 등이 존재하며, 모든 구역들을 방문하고 돌아왔을 때의 최소 비용 혹은 최소 시간 등을 구하는 문제이다. TSP는 대칭적인 거리를 가지는 문제와 비대칭적인 거리를 가지는 문제로 나누어지는데, 경우의 수를 모두 확인하는 방법 이외에도, 시뮬레이티드 어닐링(Simulated Annealing), 터부 검색(Tabu Search),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개미집단 최적화(Ant Colony Optimizati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개미집단 최적화를 이용하기로 한다. 구동 초기에는 일반적인 개미집단 최적화와 같이 임의의 시작점을 잡고 시작하게 된다. 임의의 시작점을 시작으로 하여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을 시작하게 되고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의 값을 찾게 된다. 이때,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은, 최적의 값을 찾게 되었을 때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게 되는데, 여기서 일반적인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은 전역 최적 값인지 국부 최적 값인지 확인할 수가 없다. 만약, 일정 확률을 통해서 돌연변이를 진행시키는 경우, 돌연변이는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에서 나온 경로에서 한 숫자를 뽑아 변형을 주게 된다. 돌연변이를 통해 생성된 경로를 다시 한 번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기존의 경로와 돌연변이를 통해생성된 경로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돌연변이를 통해 나온 값은 전혀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기 때문에, 만약 돌연변이를 통해 나온 값이 국부 최적값으로 수렴하고 있다면, 이러한 돌연변이를 통해서 전역 최적 값으로 수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고, 자유경쟁시장 하에서 배송 수를 균등하게 배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시가스 안전점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도록, 검침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안전점검 거부세대, 위험한 환경 노출세대, 소비자의 폭언 또는 폭행 등 형사고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방문세대를 줄이면서도 검침원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3b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데, 1차 및 2차는 비대면으로 하되, 그래도 부적합이 나오는 경우에는 현장기사가 방문하여 조치를 취한 후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또, 도 3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 기반인 온프레미스 플랫폼 상에서 구동될 수도 있고, 클라우드 플랫폼 상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시설구분 및 점검항목이 도시되어 있는데, 어떠한 부분을 촬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어떠한 부분을 점검해야 하는지에 대한 목록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낫놓고 ㄱ 자도 모른다는 속담처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은 기기를 보고서도 해당 기기가 점검을 해야하는 기기인지 모를 수 있으므로, AR을 통하여 각 기기의 특징 데이터를 AR 마커로 함으로써 이를 화면 상에 표시해주도록 하는 구성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미리 정의된 영상이나 패턴을 추적하여 시각화하는 마커(Marker)기반 방식과 객체 또는 배경의 특징을 추출하여 추적할 목표 영상으로 사용하는 마커리스(Markerless)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두 방식 모두 객체를 추적한다는 공통점이 있어 마커라는 용어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의 AR 마커는 두 가지의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AR 마커는 증강현실의 주요 기능인 객체의 인식 및 추적(Tracking)의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AR 마커를 관리하는 것은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고 성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점검대상인 기기를 AR 마커로 사용할 때 영상 내에 객체의 분포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텍스처 등의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 등에 의하여 영상의 일부분이 손실된 경우 등에 따라 AR 마커 인식 및 추적 성능에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대부분 보일러, 가스밸브 등은 그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어 특징을 뽑아내기에 연산량이 많거나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이를 AR 마커로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기기를 열고 닫아봐야 하는지, 어떠한 기기가 점검대상 기기인지 등을 특정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 도 4b와 같이 본인확인을 한 후 촬영 데이터를 예를 들어 카카오톡으로 받을 수 있고, 점검 후 항목을 체크한 결과를 사용자는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설정한다(S5100).
그리고,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점검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한다(S5300).
마지막으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점검원 단말로부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받아 사용자 단말로 결과를 전송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하는 점검원 단말; 및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주기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점검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전달부, 상기 점검원 단말로부터 상기 안전점검에 대한 결과를 업로드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과를 전송하는 결과처리부를 포함하는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점검의 대상 항목은, 휴즈코크 설치여부, 호스길이, 입상관 설치상태, 계량기 설치상태, 배관고정상태, 배관도색상태, 도시가스 시설물과 화기와의 이격거리, 고시기준 미달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결과처리부의 결과가 안전점검결과 부적합 통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를 재전송하여 2차 안전점검을 시행하도록 하는 재점검부;
    상기 재점검부의 상기 2차 안전점검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기 등록된 현장기사 단말로 현장점검을 할당하는 할당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이 가스계량기이면, 상기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상기 가스계량기의 계량기함 적정설치 여부; 계량기 연결부 누수점검; 공급중단세대 밸브차단조치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은 노출배관이면, 상기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상기 노출배관의 배관 도색손상 및 부식여부; 배관 고정장치 이탈 여부; 차량추돌 방호시설 적정 여부; 위성안테나 또는 케이블선을 포함한 지장물 설치 여부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은 연소기이면, 상기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휴즈톡 및 호스 연결부 누출 여부; 가스누출 자동차단기 작동상태; 빌트인 점검구 설치 여부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시설은 보일러이면, 상기 자가 안전점검 메세지는, 설치장소 적합여부; 급기구 또는 환기구 설치부적합 여부; 배기연도 이탈을 포함하는 폐가스 유입 여부; 플렉시블 호스 연결부 누출 여부; 를 포함하는 점검항목을 안내하는 메세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14534A 2021-02-02 2021-02-02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34A KR102396452B1 (ko) 2021-02-02 2021-02-02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34A KR102396452B1 (ko) 2021-02-02 2021-02-02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452B1 true KR102396452B1 (ko) 2022-05-12

Family

ID=8159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34A KR102396452B1 (ko) 2021-02-02 2021-02-02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0264A1 (en) * 2023-03-08 2023-09-07 Chengdu Qinchuan Iot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corrosion protection optimization of pipeline of smart g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80U (ko) * 1998-11-11 2000-06-05 최진민 가스누출감지장치
KR20130026549A (ko) * 2011-07-25 2013-03-14 주식회사 두산 장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3794A (ko) * 2017-04-07 2018-10-1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가스 사용량 자가 검침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80U (ko) * 1998-11-11 2000-06-05 최진민 가스누출감지장치
KR20130026549A (ko) * 2011-07-25 2013-03-14 주식회사 두산 장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3794A (ko) * 2017-04-07 2018-10-1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가스 사용량 자가 검침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80264A1 (en) * 2023-03-08 2023-09-07 Chengdu Qinchuan Iot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corrosion protection optimization of pipeline of smart gas
US11982613B2 (en) * 2023-03-08 2024-05-14 Chengdu Qinchuan Iot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corrosion protection optimization of pipeline of smart g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5201B2 (en) Ubiquitous visual computing witness
US20240046166A1 (en)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ople flow of public place in smart city
JP2020517004A (ja) パイプ漏れを予測する新規な自律的人工知能システム
KR101797416B1 (ko) 요청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CN103106553A (zh) 基于物联网的智能物业资源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
KR102396452B1 (ko) 비대면 도시가스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453147B1 (en) Methods and systems to generate property insurance data based on aerial images
CN203165005U (zh) 区域物业智能管理系统
KR20200017612A (ko) 딥러닝을 이용한 위치 측위 학습 방법
CN111126422B (zh) 行业模型的建立及行业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548980B1 (ko) 순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40111917A1 (en) Methods for designing, manufacturing, installing, and/or maintenance of roofing accessories and systems of use thereof
Nocera et al. Selection of the modeling resolution of infrastructure
US2019008041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hazardous conditions and predicting policy transaction behavior
US20220327652A1 (en) Multi-modal mobility management solutions framework
KR101626022B1 (ko) 순찰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087909A1 (en) Technology platform dispatch system
Oliphant et al. Optimising scale and deployment of community health workers in Sierra Leone: a geospatial analysis
CN113626170B (zh) 通信工程任务全生命周期的控制方法及装置
Masmoudi et al. Multi agent parking lots modelling for anomalies detection while parking
KR102342929B1 (ko) 사고 발생패턴 분석을 통한 사고 취약지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80090018A (ko) 무인 이동체 협업 안정성을 위한 가상 참가자 생성 및 임무 할당 방법 및 시스템
Buchanan et al. Use of participatory apps in contact tracing: option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privacy and trust
Kelemenis et al.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identify policy priorities of municipalities in Greece
Sutjarittham Modelling and optimisation of resource usage in an IoT enabled smart camp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30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29

Effective date: 202203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