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896B1 -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896B1
KR102395896B1 KR1020200081745A KR20200081745A KR102395896B1 KR 102395896 B1 KR102395896 B1 KR 102395896B1 KR 1020200081745 A KR1020200081745 A KR 1020200081745A KR 20200081745 A KR20200081745 A KR 20200081745A KR 102395896 B1 KR102395896 B1 KR 10239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time
variable cod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910A (ko
Inventor
최유민
Original Assignee
최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민 filed Critical 최유민
Priority to KR102020008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8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system having a variable access-code, e.g. varied as a function of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Abstract

본 명세서는 관리 서버에 의해 시설물에 대한 입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다.

Description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FACILITY MANAGEMENT SERVER,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MANAGES ENTRANTS FOR FACILITIES USING VARIABLE CODES FOR FACILITY ENTRANCE}
본 명세서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는 다수의 근로자들이 일을 하게 되는 바, 근로자의 국적, 이름, 근무 이력, 자격증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정 정보를 인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근로자들이 출, 퇴근시마다 인력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정보와 근로자의 정보를 일일히 대조하여 확인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출근시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서 본인 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규 근로자가 취업한 경우, 관리자가 신규 취업한 근로자의 정보를 인력 관리 시스템에 신규로 등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장자들을 관리하지 않는 시설물들에 대해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발급하고,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입장자의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는 과정을 통해 입장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리 서버에 의해 시설물에 대한 입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가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현재의 제1 시간 정보를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인식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2 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시설 정보와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2 시간 암호값을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이 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입장자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시설 정보에 제2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에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의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시간과 관련된 제2 시간 암호값,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시간 암호값, 상기 제3-1 시간 암호값, 및 상기 제3-2 시간 암호값에 상기 시설 정보를 각각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상기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중에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참(TRUE)으로 반환(return)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가변 시설물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를 정해진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에 접근하는 링크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관리 서버가 유효한 상기 입장 신호의 입장자의 데이터를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의 전자 장치에서 로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입장 신호의 입장자에 대한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입장자의 온도 정보를 상기 입장자에 대한 기록에 포함시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상기 시설물 내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부터의 상기 입장자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수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상기 시설물 내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물 내의 자리에 대한 코드를 인식하는 자리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자리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장자의 자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에 대한 입장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현재의 제1 시간 정보를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인식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2 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시설 정보와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2 시간 암호값을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이 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입장자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2 시설 정보에 제2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에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의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시간과 관련된 제2 시간 암호값,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 암호값, 상기 제3-1 시간 암호값, 및 상기 제3-2 시간 암호값에 상기 시설 정보를 각각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상기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중에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참(TRUE)으로 반환(return)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가변 시설물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를 정해진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에 접근하는 링크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유효한 상기 입장 신호의 입장자의 데이터를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관리자의 전자 장치에서 로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입장 신호의 입장자에 대한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입장자의 온도 정보를 상기 입장자에 대한 기록에 포함시켜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상기 시설물 내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부터의 상기 입장자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수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상기 시설물 내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물 내의 자리에 대한 코드를 인식하는 자리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자리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장자의 자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장자들을 관리하지 않는 시설물들에 대해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발급하고,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입장자의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는 과정을 통해 입장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500)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 “러닝” 등의 용어는 인간의 교육 활동과 같은 정신적 작용을 지칭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닌 절차에 따른 컴퓨팅(computing)을 통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함을 일컫는 용어로 해석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시설물 관리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00),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 및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시스템(10)에서,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리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시설물과 대응되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여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는 현재의 시간 정보를 기초로 단방향 해시 함수로 암호화될 수 있다. 단방향 해시 함수는 단방향 함수 이면서 해시 함수인 수학적 함수를 말하며, 데이터를 암호화할 뿐 아니라,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안전하게 저장하고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원 데이터를 단방향 해시 함수를 통해 변환한 경우에는 원 데이터의 검출은 불가능하나, 원 데이터와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에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부터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입장자의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는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해당 시설물 및 현재 시간과 대응되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는 시설물의 입장자에 의해 스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입장자에 의해 소지된 것으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감지하는 카메라 또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에서 출력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감지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로 현재의 시간 정보와 대응되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전송하고,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를 통해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통해 입장자의 입장을 시설물 별로 기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에 대한 입장 뿐만 아니라 시설물 내에서의 자리 배석에 대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는 시설물의 관리자가 소지한 전자 장치로서, 입장자의 입장 및 자리 배석 등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시설물에 대한 정보, 입장자에 대한 정보,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시설물에 대한 정보는 시설물 ID, 시설 전화 번호, GPS 좌표, 시설 인증 정보(시설 ID, 현재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 매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저장매체(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저장 매체(15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 시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저장 매체(15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력부(130)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에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서버, 다른 전자장치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시설물 관리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시설물에 대한 입장 정보 및 자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가변 코드 생성부(151), 입장 신호 처리부(152), 자리 지정 처리부 (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코드 생성부(151)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현재의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시설물의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한다.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는 이미지 코드 일 수 있으며, 해당 시설물의 상태와 대응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염병에 대한 오염된 시설물의 경우, 빨간색으로, 전염병에 대해서 오염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정, 초록,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염병에 대한 오염된 시설물 인지 여부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가 출력되는 화면의 배경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변 코드 생성부(151)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로 생성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가변 코드 생성부(151)는 현재의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시간 암호값과 시설물의 시설 정보를 결합한 가변 시설물 코드를 생성하고 가변 시설물 코드를 정해진 영역에 저장하고 가변 시설물 코드에 접근하는 링크를 포함하도록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가변 코드 생성부(151)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암호화 키로 암호화할 수 있다. 가변 코드 생성부(151)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AES 암호화 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수신한다.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에 출력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감지하고 감지한 이미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코드 영역을 검출하고 코드 영역에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시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시간 암호값을 산출하고, 시설 정보 및 시간 암호값을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한 시설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비교하여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가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부터의 입장 신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입장 신호에 포함된 입장자를 해당 시설물의 입장 기록에 추가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입장 신호의 유효성이 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입장 신호에 포함된 입장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입장자로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입장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입장자의 전염병 관련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염병 관련 상태 정보는 검사 중, 격리중, 완치자, 감염 확진자, 미감염자 등으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 또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의 출력부를 통해 표시된다. 또한, 상태 정보는 상태 정보와 대응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입장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입장자가 소속원인지 외부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입장자가 소속원인 경우,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에서 소속원과 대응되는 색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입장자가 외부인인 경우,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에서 외부인과 대응되는 색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 또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에서, 입장자가 소속원인지 또는 외부인인지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입장자가 소속원인지 또는 외부인인지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속원의 입장자와 대응하여 파랑색으로, 외부인의 입장자와 대응하여 연두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가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부터의 입장 신호가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입장 신호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가 인식 불가이거나,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획득 불가 하거나,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 요청된 문진 데이터에 대한 회신이 없거나, 문진 데이터에 이상 상태가 포함된 경우, 입장자의 입장 신호가 비정상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태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 또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에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하나 이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는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시설 정보에 수신된 현재의 제2 시간 정보를 암호화한 시간 암호값을 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는 현재의 제2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의 선행하는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의 후행하는 시간 정보를 각각 암호화한 시간 암호값들을 결합하여 복수 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관리 서버(100)의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제3-1 시간 정보, 제3-2 시간 정보, 제3-3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제3-1 시간 정보, 제3-2 시간 정보, 제3-3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 제3-3 시간 암호값을 각각 산출하고,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 제3-3 시간 암호값에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3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감지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가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3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중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의 유효성을 참(TRUE)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는 가변 시설물 코드에 접근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유효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와 대응하여, 입장자에 대한 정보, 입장자의 비정상 여부, 입장자의 소속 등을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 또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장 신호 처리부(152)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 또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에서 로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장 신호의 입장자에 대한 추가 정보(예를 들어 문진 데이터 등)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입장자에 대해서 추가로 입력되는 추가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온도 정보, 입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세분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정보인 문진 데이터는 입장자 별로 1회에 한하여 입력되는 정보, 입장 시에 매번 입력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회에 한하여 입력되는 정보로는 이름, 성별, 나이 등이 있을 수 있다. 1회에 한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입력 이력이 있는 경우, 1회에 한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입력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입장 시에 매번 입력되는 정보는 상태 확인용 정보, 진행 목적용 정보, 이벤트용 정보,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확인용 정보는 현재 상태와 대응되는 온도, 방문 목적, 소속 회사, 만날 사람 이름 등이 있을 수 있다. 진행 목적용 정보는 해당 시설물에서 제공되는 것에 대한 선택 정보인, 메뉴, 식사, 선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용 정보는 해당 시설물에서 이벤트로 기획된 것에 대한 정보로서, 뽑기, 회전판 돌리기 등의 무작위 확률 게임을 수행한 결과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정보는 상태 확인용 정보, 진행 목적용 정보, 이벤트용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 정보를 통해 입장자의 상태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추가 정보인 문진 데이터를 통해 입장자의 체온, 기침, 목 아픔, 콧물 등의 증상 정보 중에서, 기 등록된 위험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입장자의 상태 정보가 유증상자로 설정될 수 있다. 문진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입장자에 대해서 체온계를 통해 측정된 체온 및 마스크 착용 여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자리 지정 처리부(153)는 입장 신호 처리부(152)에서 입장 신호가 처리된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 할 수 있다. 자리 지정 처리부(153)는 입장 신호를 처리한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자리 지정 처리부(153)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부터의 자리 정보를 요청하는 수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동 신호와 대응하여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자리 지정 처리부(153)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물 내의 자리에 대한 코드를 인식하는 자리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자리 신호에 대응하여 입장자의 자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자리 지정 처리부(153)로부터의 자리 지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자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리 입력 신호는 입장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입장자의 자리와 관련된 자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리 코드는 인쇄물로 구현되어, 자리와 관련된 이미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식당과 같은 시설물에 입장한 사용자의 자리 지정 처리는 아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자리에 위치한 자리 코드를 감지 또는 센싱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자리 코드를 감지한 자리 입력 신호와 대응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시설물과 관련된 메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리 코드를 감지한 단말기의 출력부에 시설물과 관련된 메뉴 정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주문할 메뉴를 입력할 수 있다. 주문할 메뉴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리 입력 신호가 생성되어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자리 입력 신호와 대응되는 출입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자리 입력 신호와 대응하여,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 또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 또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의 출력부에는 자리 입력 신호와 대응하여, 사용자의 자리 정보, 주문 메뉴, 주문 수량, 주문 금액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자리에 위치한 자리 코드를 감지 또는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자리 코드의 감지와 대응하여 자리 입력 신호를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자리 입력 신호와 대응하여, 해당 시설물, 입장 시간, 해당 자리 등과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해당 시설물의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이거나,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등록된 정보 일 수 있다. 광고 목적, 이벤트 목적, 프로모션 목적으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광고 정보, 프로모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에게 해당 이벤트 상품 정보, 혜택 정보, 할인 정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여부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통해 확률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로 제공된 게임에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품, 혜택, 할인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해당 시설물과 관련된 것이거나, 다른 시설물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 식당에 입장한 사용자에게 B 식당에 대한 할인 쿠폰, 상품권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할인 쿠폰, 상품권 등의 이벤트 정보는 자리 코드의 감지 이후에 바로 제공되거나, 자리 코드의 감지 이후에 제공되는 게임 실행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와 대응되는 게임은 기 정해진 몇가지 게임들 중에서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룰렛, 주사위 등의 확률 게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입장자들을 관리하지 않는 시설물들에 대해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발급하고,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입장자의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는 과정을 통해 입장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입장자에 대한 추가 정보, 자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 내에 부착된 자리 코드들을 감지함으로써, 입장자들의 자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S11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S12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요청하는 신호와 대응하여 현재의 제1 시간 정보를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13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S14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인식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15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2 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제2 시설 정보와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2 시간 암호값을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16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17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입장 신호의 유효성이 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입장자를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로 기록할 수 있다.
S160의 단계는 S161, S162, S163를 포함할 수 있다.
S161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제2 시설 정보에 제2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에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1 시간 정보 및 제3-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시간과 관련된 제2 시간 암호값,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을 산출할 수 있다.
S162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제2 시간 암호값,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에 시설 정보를 각각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163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중에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있는 경우에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참(TRUE)으로 반환할 수 있다.
S21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15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현재의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22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생성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S225에서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S230에서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시설물의 전자 장치(200)에서 출력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S235에서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는 인식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생성하고 입장 신호를 시설물의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S24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2 시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45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2 시간 암호값과 제2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S25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기초로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의 유효성으로 입장 신호의 유효성과 일치한 것일 수 있다.
S255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의 전자 장치(400)로 입장 신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170 단계의 이후에,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자리 입력을 대기한다(S310).
S32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33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자리 관련 코드를 인식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리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170 단계의 이후에, S41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입장자의 자리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42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자리 지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430에서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가 자리 지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자리 관련 코드를 인식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리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500)의 블록도이다.
데이터베이스(500)는 시설 정보 관리부(501), 입장자 정보 관리부(502), 자리 정보 관리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 정보 관리부(501)는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시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입장자 정보 관리부(502)는 시설물 별로 입장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입장자는 유효한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전송한 사용자를 말한다. 입장자에 대한 식별 정보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자리 정보 관리부(503)는 자리 지정 메시지를 통해 입장자에 대한 자리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자리 정보 관리부(503)는 시설물 내의 내부 위치들과 대응되는 자리 코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자리 정보 관리부(503)는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 수신된 자리 지정 메시지에서 입장자 및 자리 정보를 연결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시설물 관리 시스템 100: 관리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출력부
150: 저장 매체 151: 가변 코드 생성부
152: 입장 신호 처리부 153: 자리 지정 처리부
200: 시설물의 전자 장치 300: 입장자의 전자 장치
400: 관리자의 전자 장치 500: 데이터베이스
501: 시설 정보 관리부 502: 입장자 정보 관리부
503: 자리 정보 관리부

Claims (9)

  1. 관리 서버에 의해 시설물에 대한 입장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가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현재의 제1 시간 정보를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인식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2 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시설 정보와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2 시간 암호값을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이 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입장자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시설 정보에 제2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에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의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시간과 관련된 제2 시간 암호값,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시간 암호값, 상기 제3-1 시간 암호값, 및 상기 제3-2 시간 암호값에 상기 시설 정보를 각각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상기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중에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참(TRUE)으로 반환(return)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가변 시설물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를 정해진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에 접근하는 링크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유효한 상기 입장 신호의 입장자의 데이터를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시설물에 대한 입장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현재의 제1 시간 정보를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물의 전자 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인식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장 신호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제2 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시설 정보와 현재의 제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2 시간 암호값을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및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이 참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입장자를 상기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로 기록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2 시설 정보에 제2 시간 정보, 제2 시간 정보에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1 시간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의 인접한 임의의 시간인 제3-2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시간과 관련된 제2 시간 암호값, 제3-1 시간 암호값, 제3-2 시간 암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 암호값, 상기 제3-1 시간 암호값, 및 상기 제3-2 시간 암호값에 상기 시설 정보를 각각 결합한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상기 제3-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제3-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 중에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입장 신호의 유효성을 참(TRUE)으로 반환(return)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신호와 대응하여 제1 시간 정보에 단방향 해시 함수를 적용한 제1 시간 암호값과 상기 시설물의 제1 시설 정보를 결합한 가변 시설물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를 정해진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가변 시설물 코드에 접근하는 링크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생성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유효한 상기 입장 신호의 입장자의 데이터를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KR1020200081745A 2020-07-02 2020-07-0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9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45A KR102395896B1 (ko) 2020-07-02 2020-07-0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45A KR102395896B1 (ko) 2020-07-02 2020-07-0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10A KR20220003910A (ko) 2022-01-11
KR102395896B1 true KR102395896B1 (ko) 2022-05-10

Family

ID=7935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745A KR102395896B1 (ko) 2020-07-02 2020-07-02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8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236B1 (ko) 2009-03-16 2011-11-24 주식회사 케이티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165325B1 (ko) 2010-06-22 2012-07-13 (주)이컴앤드시스템 일회용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도어락 장치
KR101629845B1 (ko) 2015-01-28 2016-06-14 주식회사 제이엔디아이오티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KR101689121B1 (ko) 2015-12-14 2017-01-02 김준영 출입권한 관리시스템 및 그 출입 인증방법
KR101887479B1 (ko) 2017-04-07 2018-09-06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코드표시를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436B1 (ko) 2017-05-19 2018-12-28 주식회사 코맥스 Qr 코드를 이용하여 출입을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047B1 (ko) 2019-04-30 2019-10-08 (주)그린아이티코리아 경량화된 보안 방식을 지원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236B1 (ko) 2009-03-16 2011-11-24 주식회사 케이티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165325B1 (ko) 2010-06-22 2012-07-13 (주)이컴앤드시스템 일회용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도어락 장치
KR101629845B1 (ko) 2015-01-28 2016-06-14 주식회사 제이엔디아이오티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KR101689121B1 (ko) 2015-12-14 2017-01-02 김준영 출입권한 관리시스템 및 그 출입 인증방법
KR101887479B1 (ko) 2017-04-07 2018-09-06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코드표시를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436B1 (ko) 2017-05-19 2018-12-28 주식회사 코맥스 Qr 코드를 이용하여 출입을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047B1 (ko) 2019-04-30 2019-10-08 (주)그린아이티코리아 경량화된 보안 방식을 지원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10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3855A1 (en) Techniques for the safe serialization of the prediction pipeline
US20210365445A1 (en) Technologie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providing contact tracing information for infectious disease response and mitigation
EP3365827B1 (en) End user initiated access server authenticity check
US10154037B2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data storage device as a security device for managing access to resources
CN107113326A (zh) 基于规则的设备注册
US11588804B2 (en) Providing verified claims of user identity
US9934310B2 (en) Determining repeat website users via browser uniqueness tracking
US8904482B1 (en) Techniques for securing a one-time passcode with an alteration code
US20150278969A1 (en) Integrated automated solution for the management of services for the disabled and others
KR20200067596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시스템
US11263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fectious disease dissemination
CN111612168A (zh) 一种机器学习任务的管理方法以及相关装置
JP7192769B2 (ja) 提供装置、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60262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verification, and redemption of electronic tickets
CN107465511B (zh) 个体的进入权利的验证方法
CN111914029A (zh) 基于区块链的医疗数据调用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0515317B1 (en)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user engagement based on confidential data statistical information
US10484387B1 (en) Tracking submission of confidential data in a computer system
US11416600B2 (en) Unlocking passwords in augmented reality based on look
KR102395896B1 (ko) 시설 입장용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입장자를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108008A1 (en) Platform health verification
US20210019381A1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778473B2 (en) Mobile identification using thin client devices
KR20210051517A (ko) 통합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90319949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