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610B1 -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610B1
KR102395610B1 KR1020210121423A KR20210121423A KR102395610B1 KR 102395610 B1 KR102395610 B1 KR 102395610B1 KR 1020210121423 A KR1020210121423 A KR 1020210121423A KR 20210121423 A KR20210121423 A KR 20210121423A KR 102395610 B1 KR102395610 B1 KR 10239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measured
moisture content
target region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최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엠아이솔루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3Systems checking the operation of, or calibrating, the measuring apparatus
    • G01N27/4165Systems checking the operation of, or calibrating, the measuring apparatus for pH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은, 토양에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토양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센서, 기상데이터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토양의 강수량을 산출하는 제1 무선단말기 및 강수량에 따른 기준범위를 설정하고, 토양데이터와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SYSTEM FOR REAL-TIME REMOTE MEASUREMENT OF LOW IMPACT DEVELOPMENT EQUIPMENT}
본 발명은 LID시설의 토양 상태, 함수율(수분함유율), 전기전도도, 온도, 유전율, 산화환원전위(OPR), 유량 및 수소이온농도(PH) 등을 원격으로 실시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 LID시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지역의 확대는 우수유출량 및 첨두유출의 증가를 야기하여 홍수를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도시에는 위와 같은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저영향 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이 설치된다.
LID시설은 소규모/분산형 자연 친화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물 순환 상태를 원활하게 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시설의 개간 및 유지보수는 도심지의 홍수 예방 및 물 관리 계획을 지원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따라서, 물 순환 관리 및 국지성 호우에 의한 홍수 대비를 위해서 LID시설의 토양상태, 함수율(수분함유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PH),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OPR)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적이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에서의 인력에 의한 측정이 아닌 원격 비대면 측정 및 분석을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ID시설의 토양 상태, 함수율(수분함유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PH),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 등을 원격으로 실시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은, 토양에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토양데이터를 수집하는 측정센서, 기상데이터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토양의 강수량을 산출하는 제1 무선단말기 및 강수량에 따른 기준범위를 설정하고, 토양데이터와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는,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1 깊이에 위치한 제1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1 측정센서,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2 깊이에 위치한 제2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2 측정센서 및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3 깊이에 위치한 제3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3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제2 깊이는 제1 깊이보다 깊고, 제3 깊이는 상기 제2 깊이보다 깊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측정센서는 제1 측정센서를 기준으로 제1 하수도관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3 측정센서는 제2 측정센서를 기준으로 제1 하수도관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1 차이함수율을 산출하고,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한 토양의 함수율과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2 차이함수율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차이함수율 및 상기 제2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차이함수율 및 상기 제2 차이함수율이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타겟영역 간의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와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1 전기전도도를 산출하고,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와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전도도의 차이인 제2 전기전도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전기전도도 및 상기 제2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와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를 산출하고,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타겟영역에서 수소이온농도와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1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하고, 제2 타겟영역에서 수소이온농도와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2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산화환원전위와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1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하고,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산화환원전위와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2 산화화원전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산화환원 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는, 제1 측정센서와 제1 간격으로 이격되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1 깊이에 위치한 제4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4 측정센서, 제2 측정센서와 제2 간격으로 이격되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2 깊이에 위치한 제5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5 측정센서 및 제3 측정센서와 제3 간격으로 이격되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3 깊이에 위치한 제6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6 측정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4 내지 제6 측정센서는, 제1 내지 제3 측정센서를 기준으로 제2 하수도관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4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3 차이함수율을 산출하고,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5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4 차이함수율을 산출하고,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6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5 차이함수율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제5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정상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은 LID시설의 토양 상태, 함수율(수분함유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PH),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 등을 원격으로 실시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LID시설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LID시설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설명에서 "동일하다"라고 표현한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동일하다고 납득할 수 있을 정도의 동일함일 수 있다. 그 외의 표현들도 "실질적으로"가 생략된 표현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1)은 데이터수집부(10) 및 관리시스템(20)을 포함한다.
데이터수집부(10)는 태양광발전패널(11), 베터리(12), 제어보드(13), 측정센서(14), 및 제1 무선단말기(15)를 포함한다.
태양광발전패널(11)은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패널(11)은 지지대(100, 도 2b 참고)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태양광발전패널(11)은 태양광이 수직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지지대(1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는 태양광발전패널(11)이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수집부(10)가 작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데이터수집부(10)는 발전소(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베터리(12)는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베터리(12)는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베터리(12)는 전력을 제어보드(13), 측정센서(14), 및 제1 무선단말기(15)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베터리(12)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제어보드(13), 측정센서(14), 및 제1 무선단말기(15)가 작동할 수 있다.
제어보드(13)는 측정센서(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보드(13)는 측정센서(14)가 토양(30)의 토양데이터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보드(13)는 복수의 측정센서(14)가 토양(30)의 층위 별 토양데이터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토양(30)의 토양데이터는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PH),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OP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드(13)는 측정센서(14)가 측정한 층위 별 토양데이터를 제1 무선단말기(15)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무선단말기(15)는 기상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기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단말기(15)는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토양(30)의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단말기(15)는 제2 무선단말기(21)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층위 별 토양데이터 및 토양(30)의 강수량을 관리시스템(20)에 제공할 수 있다.
측정센서(14)는 토양(30)에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토양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복수의 측정센서(14)는 서로 다른 깊이로 토양(30)에 수직방향으로 관입될 수 있다. 복수의 측정센서(14)는 층위 별 토양(30)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PH),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OPR)를 측정할 수 있다.
관리시스템(20)은 제2 무선단말기(21), 관리서버(22), 데이터베이스(23), 및 사용자단말기(24)를 포함한다.
제2 무선단말기(21)는 실시간으로 제1 무선단말기(15)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층위 별 토양데이터 및 토양(30)의 강수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무선단말기(21)는 층위 별 토양데이터 및 토양(30)의 강수량을 관리서버(22)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토양(30)의 강수량에 따른 기준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2)는 토양(30)의 강수량에 따라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인 기준함수율 범위,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기준온도 범위,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기준유량 범위 및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함수율 범위,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기준온도 범위,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기준유량 범위 및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는 강수량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2)는 층위 별 토양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고, 이를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토양의 강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30)의 함수율의 차이인 차이함수율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30) 전기전도도의 차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30) 온도의 차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30)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30)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층위 별 토양(30)의 유량의 차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는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인 강수량에 따른 기준함수율 범위,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기준온도 범위,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기준유량 범위 및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4)는 관리서버(22)가 따라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정상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측정센서(14)는 본체부(140) 및 센서부(141)를 포함한다. 측정센서(14)의 센서부(141)는 소정의 깊이(A1)로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관입될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14)의 본체부(140)는 제어보드(13)와 함께 보관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측정센서(14)의 센서부(141)는 지지대(100)의 내부공간을 통해서 토양(30)에 수직방향으로 관입 될 수 있다.
센서부(141)는 소정의 깊이(A1)에 위치한 토양(30)의 토양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1)는 소정의 깊이(A1)에 위치한 토양(30)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본체부(140)는 센서부(141)가 측정한 토양(30)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제어보드(1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LID시설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LID시설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날짜 별로 토양(30)의 강수량(mm/h) 및 함수율(1/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2021년 02월 28일부터 2021년 03월 06일까지 실시간으로 측정된 토양(30)의 강수량 및 함수율이 도시된다.
Gb 그래프는 날짜 별로 측정한 강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Gr 그래프는 LID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토양의 날짜 별 함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Gg 그래프는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LID시설이 설치된 토양의 함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Gp 그래프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LID시설이 설치된 토양의 함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Gb 그래프를 참고하면, 2021년 03월 01일부터 2021년 03월 02일까지 토양(30)의 강수량은 증가하였다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2021년 03월 01부터 2021년 03월 02일까지 토양(30)에 국지성 호우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2021년 03월 01일부터 2021년 03월 02일까지 내린 비는 토양(30)에 흡수된다. Gr 그래프를 참고하면 LID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토양의 경우, 2021년 03월 02일부터 2021년 03월 03일까지 내린 비는 토양(30)에 흡수되므로 함수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2021년 03월 03일부터 2021년 03월 06일까지 내린 비는 토양(30)의 주변 방향으로 빠져나가므로 토양(30)의 함수율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토양(30)에 흡수된 비는 LID시설을 통해서 배출되지 않는다. Gg 그래프를 참고하면 2021년 03월 01일부터 2021년 03월 02일까지 토양(30)의 함수율은 Gr 그래프의 일반토양에 비해 천천히 증가한다. 또한, 2021년 03월 03일부터 2021년 03월 06일까지 토양(30)의 함수율은 Gr 그래프의 일반적인 토양에 비해 천천히 감소한다.
따라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토양(30)에 내리는 비는 토양(30)에 잘 흡수되지 않고 토양(30)에 흡수된 비는 토양(30)으로부터 잘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홍수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토양(30)에 흡수된 비는 LID시설을 통해서 빠르게 배출된다. Gp 그래프를 참고하면 2021년 03월 01일부터 2021년 03월 02일까지 토양(30)의 함수율은 Gr 그래프의 일반적인 토양 및 Gg 그래프의 토양의 함수율에 비해 빠르게 증가한다. 또한, 2021년 03월 03일부터 2021년 03월 06일까지 토양(30)의 함수율은 Gr 그래프의 일반토양 및 Gg 그래프의 토양의 함수율에 비해 빠르게 감소한다.
따라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토양(30)에 내리는 비는 토양(30)에 잘 흡수되고, 토양(30)에 흡수된 비는 토양(30)으로부터 잘 빠져나가므로, 홍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측정센서(14(1), 14(2), 14(3))는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제1 대상토양(S1)의 층위 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측정센서(14(1))는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제1 깊이(B1)에 위치한 제1 타겟영역(SS1)에 관입될 수 있다. 제2 측정센서(14(2))는 제1 측정센서(14(1))에 인접하며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제2 깊이(B2)에 위치한 제2 타겟영역(SS2)에 관입될 수 있다. 제3 측정센서(14(3))는 제2 측정센서(14(2))에 인접하며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제3 깊이(B3)에 위치한 제3 타겟영역(SS3)에 관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깊이(B2)는 제1 깊이(B1)보다 깊고, 제3 깊이(B3)는 제2 깊이(B2)보다 깊다.
제1 측정센서(14(1))는 제1 본체부(140(1)) 및 제1 센서부(141(1))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141(1))는 제1 타겟영역(SS1)의 토양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센서(14(2))는 제2 본체부(140(2)) 및 제2 센서부(141(2))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141(2))는 제2 타겟영역(SS2)의 토양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측정센서(14(3))는 제3 본체부(140(3)) 및 제3 센서부(141(3))를 포함한다. 제3 센서부(141(3))는 제3 타겟영역(SS3)의 토양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센서(14(2))는 제1 측정센서(14(1))를 기준으로 제1 하수도관(50) 또는 우수관(미도시)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정센서(14(3))는 제2 측정센서(14(2))를 기준으로 제1 하수도관(50) 또는 우수관(미도시)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대상토양(S1)을 항해 내리는 비는 제1 대상토양(S1)으로 흡수되고, 제1 측정센서(14(1)) 내지 제3 측정센서(14(3))를 거쳐 제1 방향(W1)으로 제1 하수도관(50) 또는 우수관(미도시)을 통해서 빠져나간다.
제1 측정센서(14(1))는 제1 타겟영역(SS1)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센서(14(2))는 제2 타겟영역(SS2)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측정센서(14(3))는 제3 타겟영역(SS3))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흡수된 비는 제1 방향(W1)으로 제1 하수도관(50) 또는 우수관을 통해서 빠져나가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다.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1 차이함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2 차이함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1 차이함수율 및 제2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차이함수율 및 제2 차이함수율이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타겟영역(S11, S12, S13)의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이용하여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는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보조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보다 크다. 또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보다 크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1 전기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2 전기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1 전기전도도 및 제2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보다 낮다. 또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보다 낮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 내지 제3 타겟영역(SS3)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비와 함께 제1 하수도관(50) 또는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 내지 제3 타겟영역(SS3)의 수소이온농도는 일정한 범위(예를 들어, 7.0 ~ 7.2)를 유지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1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2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 내지 제3 타겟영역(SS3)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비와 함께 제1 하수도관(50) 또는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겟영역(SS1) 내지 제3 타겟영역(SS3)의 산화환원전위는 일정한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1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2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보다 크다. 또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보다 크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1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2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1 유량 및 제2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2)는 제1 전기전도도 및 제2 전기전도도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온도 및 제2 온도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수소이온농도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산화환원전위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유량 및 제2 유량이 제1 기준유량에 포함되는 경우, LID시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미도시)은 제4 내지 제6 측정센서(14(4), 14(5), 14(6))의 일 측면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미도시)은 제1 내지 제3 측정센서(14(1), 14(2), 14(3))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미도시)은 제1 내지 제3 측정센서(14(1), 14(2), 14(3)) 또는 제4 내지 제6 측정센서(14(4), 14(5), 14(6))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는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미도시)은 제4 내지 제6 측정센서(14(4), 14(5), 14(6))의 일 측면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도 4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측정센서(14(4), 14(5), 14(6))는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제2 대상토양(S2)의 층위 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제4 측정센서(14(4))는 제1 측정센서(14(1))와 제1 간격(d1)으로 이격되며,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제1 깊이(B1)에 위치한 제4 타겟영역(SS4)에 관입될 수 있다. 제5 측정센서(14(5))는 제2 측정센서(14(2))와 제2 간격(d2)으로 이격되며,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제2 깊이(B2)에 위치한 제5 타겟영역(SS5)에 관입될 수 있다. 제6 측정센서(14(6))는 제3 측정센서(14(3))와 제3 간격(d3)으로 이격되며,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제3 깊이(B3)에 위치한 제6 타겟영역(SS6)에 관입될 수 있다.
제4 측정센서(14(4))는 제1 측정센서(14(1))를 기준으로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5 측정센서(14(5))는 제2 측정센서(14(2))를 기준으로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6 측정센서(14(6))는 제3 측정센서(14(3))를 기준으로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토양(30)에 내리는 비는 제1 대상토양(S1) 및 제2 대상토양(S2)으로 흡수되며 제1 측정센서(14(1)) 및 제4 측정센서(14(4))를 거쳐 제2 방향(W2)으로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을 통해서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센서(14(2)) 및 제5 측정센서(14(5))를 거쳐 제3 방향(W3)으로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을 통해서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제3 측정센서(14(3)) 및 제6 측정센서(14(6))를 거쳐 제4 방향(W4)으로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을 통해서 빠져나갈 수 있다.
제4 측정센서(14(4))는 제4 타겟영역(SS4)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5 측정센서(14(5))는 제5 타겟영역(SS5)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6 측정센서(14(6))는 제6 타겟영역(SS6))의 함수율,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다.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다.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3 차이함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4 차이함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5 차이함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제5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제5 차이함수율이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1 내지 제6 타겟영역(SS11, SS12, SS13, S14, S15, S16)의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비교하여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는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보조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비는 제2 방향(W2), 제3 방향(W3), 및 제4 방향(W4)으로 이동하여 제2 하수도관(52) 또는 우수관으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는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보다 크다. 또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는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보다 크다. 또한,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는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전기전도도보다 크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3 전기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4 전기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5 전기전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3 전기전도도 내지 제6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는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보다 낮다. 또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는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보다 낮다. 또한,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는 제6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온도보다 낮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3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4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5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3 온도 내지 제5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4 타겟영역(SS4) 내지 제6 타겟영역(SS6)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비와 함께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타겟영역(SS4) 내지 제6 타겟영역(SS6)의 수소이온농도는 일정한 범위(예를 들어, 7.0 ~ 7.2)를 유지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3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4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5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3 수소이온농도 내지 제5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4 타겟영역(SS4) 내지 제6 타겟영역(SS6)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비와 함께 제2 하수도관(51) 또는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타겟영역(SS4) 내지 제6 타겟영역(SS6)의 산화환원전위는 일정한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3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4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5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3 산화환원전위 내지 제5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보다 많다. 또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보다 많다. 또한,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30)의 함수율보다 크므로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은 제6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30)의 유량보다 많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3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4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5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22)는 제3 유량 내지 제5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2)는 제3 전기전도도 내지 제5 전기전도도가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온도 내지 제5 온도가 제2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수소이온농도 및 제5 수소이온농도가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산화환원전위 내지 제5 산화환원전위가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유량 내지 제5 유량이 제2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LID시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S10)에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토양에 대한 토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측정센서(14(1), 14(2), 14(3))는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제1 대상토양(S1)의 층위 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S11)에서 강수량에 따른 기준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2)는 토양(30)의 강수량에 따라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인 기준함수율 범위,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기준온도 범위,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기준유량 범위, 및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제1 타겟영역 내지 제3 타겟영역의 함수율을 측정한다.
제1 측정센서(14(1))는 제1 타겟영역(SS1)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센서(14(2))는 제2 타겟영역(SS2)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3 측정센서(14(3))는 제3 타겟영역(SS3))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제1 차이함수율 및 제2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를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1 차이함수율 및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2 차이함수율이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14)에서 제1 전기전도도 및 제2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전기전도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1 전기전도도 및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2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15)에서 제1 온도 및 제2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 및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16)에서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수소이온동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2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17)에서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2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18)에서 제1 유량 및 제2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1 유량 및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2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19)에서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차이함수율 및 제2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전기전도도 및 제2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유량 및 제2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제1 기준온도 범위,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제1 기준유량, 및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 LID시설은 정상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1 차이함수율 및 제2 차이함수율이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전기전도도 및 제2 전기전도도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온도 및 제2 온도가 제1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제2 수소이온농도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제2 산화환원전위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고, 제1 유량 및 제2 유량이 제1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LID시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S21)에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토양에 대한 토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측정센서(14(1), 14(2), 14(3), 14(4), 14(5), 14(6))는 토양(30)의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제1 타겟영역 내지 제6 타겟영역(SS1, SS2, SS3, SS4, SS5, SS6)의 층위 별 토양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 강수량에 따른 기준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2)는 토양(30)의 강수량에 따라 LID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인 기준함수율 범위,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기준온도 범위,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기준유량 범위, 및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3)에서 제1 타겟영역 내지 제3 타겟영역의 함수율을 측정한다.
제1 측정센서(14(1))는 제1 타겟영역(SS1)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센서(14(2))는 제2 타겟영역(SS2)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3 측정센서(14(3))는 제3 타겟영역(SS3))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S24)에서 제4 타겟영역 내지 제6 타겟영역의 함수율을 측정한다.
제4 측정센서(14(4))는 제4 타겟영역(SS4)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5 측정센서(14(5))는 제5 타겟영역(SS5)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6 측정센서(14(6))는 제3 타겟영역(SS6))의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S25)에서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제5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3 차이함수율,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4 차이함수율 및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과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5 차이함수율이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26)에서 제3 전기전도도 내지 제5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3 전기전도도,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4 전기전도도 및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5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27)에서 제3 온도 및 제5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3 온도,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4 온도 및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온도의 차이인 제5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28)에서 제3 수소이온농도 내지 제5 수소이온동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3 수소이온농도,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4 수소이온농도 및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5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29)에서 제3 산화환원전위 내지 제5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3 산화환원전위,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4 산화환원전위 및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와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5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30)에서 제3 유량 내지 제5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1 타겟영역(SS1)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4 타겟영역(SS4)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3 유량, 제2 타겟영역(SS2)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5 타겟영역(SS5)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4 유량 및 제3 타겟영역(SS3)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과 제6 타겟영역(SS6)에서 측정된 토양의 유량의 차이인 제5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단계(S31)에서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관리서버(22)는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제5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전기전도도 내지 제5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온도 및 제5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수소이온농도 내지 제5 수소이온동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산화환원전위 내지 제5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유량 내지 제5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 유량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2)에서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 제2 기준온도 범위,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 제2 유량 범위, 및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 LID시설이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는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제5 차이함수율이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전기전도도 내지 제5 전기전도도가 제2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온도 내지 제5 온도가 제2 기준온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수소이온농도 내지 제5 수소이온동도가 제2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산화환원전위 내지 제5 산화환원전위가 제2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고, 제3 유량 내지 제5 유량이 제2 기준유량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LID시설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
10: 데이터수집부
11: 태양광발전패널
12: 베터리
13: 제어보드
14: 측정센서
15: 제1 무선단말기
20: 관리시스템
21: 제2 무선단말기
22: 관리서버
23: 데이터베이스
24: 사용자단말기

Claims (20)

  1. 토양에 수직방향으로 관입되어 층위 별 토양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기상데이터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토양의 강수량을 산출하는 제1 무선단말기; 및
    상기 강수량에 따른 기준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층위 별 토양데이터와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1 깊이에 위치한 제1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1 측정센서;
    상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2 깊이에 위치한 제2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2 측정센서; 및
    상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제3 깊이에 위치한 제3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3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1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3 깊이는 상기 제2 깊이보다 깊은,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센서는 상기 제1 측정센서를 기준으로 제1 하수도관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3 측정센서는 상기 제2 측정센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수도관 또는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과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1 차이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한 상기 토양의 함수율과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2 차이함수율을 산출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차이함수율 및 상기 제2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차이함수율 및 상기 제2 차이함수율이 상기 제1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타겟영역 간의 전기전도도, 온도, 수소이온농도, 유량, 및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전도도와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1 전기전도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전도도와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전도도의 차이인 제2 전기전도도를 산출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전기전도도 및 상기 제2 전기전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전기전도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와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의 차이인 제1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와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의 차이인 제2 온도를 산출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온도 및 상기 제2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온도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타겟영역에서 상기 수소이온농도와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1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상기 수소이온농도와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수소이온농도의 차이인 제2 수소이온농도를 산출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수소이온농도 및 상기 제2 수소이온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수소이온농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산화환원전위와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1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산화환원전위와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산화환원전위의 차이인 제2 산화환원전위를 산출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산화환원전위 및 상기 제2 산화환원전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산화환원전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제1 측정센서와 제1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깊이에 위치한 제4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4 측정센서;
    상기 제2 측정센서와 제2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 깊이에 위치한 제5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5 측정센서; 및
    상기 제3 측정센서와 제3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토양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3 깊이에 위치한 제6 타겟영역에 관입되는 제6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지 제6 측정센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측정센서를 기준으로 제2 하수도관 또는 상기 우수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과 상기 제4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3 차이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2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과 상기 제5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4 차이함수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3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과 상기 제6 타겟영역에서 측정된 상기 토양의 함수율의 차이인 제5 차이함수율을 산출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3 차이함수율 내지 상기 제5 차이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준함수율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LID시설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단말기는, 제2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토양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ID시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정상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시스템.
KR1020210121423A 2021-05-28 2021-09-13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 KR102395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849 2021-05-28
KR20210068849 2021-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610B1 true KR102395610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423A KR102395610B1 (ko) 2021-05-28 2021-09-13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6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14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센서를 이용한 현장용 실시간 직관식 토양오염도 진단장치
KR20120109864A (ko) * 2011-03-28 2012-10-09 (주)한서엔지니어링 지하수 및 토양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914B1 (ko) * 2017-02-10 2018-03-13 주식회사 데이타피씨에스 단위블록 lid 시설 성능평가용 유량-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81170A (ko) * 2019-12-23 2021-07-01 강정철 층위별 연속측정이 가능한 유전율식 토양수분장력 측정장치
KR102291266B1 (ko) * 2020-08-31 2021-08-20 주식회사 이도 골프장 잔디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14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센서를 이용한 현장용 실시간 직관식 토양오염도 진단장치
KR20120109864A (ko) * 2011-03-28 2012-10-09 (주)한서엔지니어링 지하수 및 토양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914B1 (ko) * 2017-02-10 2018-03-13 주식회사 데이타피씨에스 단위블록 lid 시설 성능평가용 유량-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81170A (ko) * 2019-12-23 2021-07-01 강정철 층위별 연속측정이 가능한 유전율식 토양수분장력 측정장치
KR102291266B1 (ko) * 2020-08-31 2021-08-20 주식회사 이도 골프장 잔디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65842U (zh) 光纤传感边坡监测预警系统
CN101872533B (zh) 一种泥石流预警方法及预警系统
CN103257644A (zh) 一种尾矿库安全状态在线监测方法
CN114252128B (zh) 一种地下管廊涌水量监测及预警系统、方法
KR20140029155A (ko) 실시간 제어 기반의 지능형 우수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04426B1 (ko) 하천 월류에 의한 치수시설물 붕괴 방지에 초점을 맞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5660B1 (ko) IoT 기반 라이다 센서 기술을 이용한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CN117057616A (zh) 基于数字孪生的水利监测方法及系统
CN112097851A (zh) 一种易涝点涝情检测方法及内涝预测方法
CN111325948A (zh) 一种山洪泥石流高隐患区监测预警系统
CN112700623A (zh) 房前屋后边坡失稳预警预报系统
KR102395610B1 (ko) 실시간 원격 lid 시설 측정 시스템
Oguz et al. IoT-based strategies for risk management of rainfall-induced landslides: a review
Sakuradani et al. Development of a slope disaster monitoring system for expressway operation and maintenance control
KR20050078189A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자료해석 방법
WO2018178708A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guttering system
CN116993163A (zh) 一种水利水电工程施工安全监管系统及方法
KR101659310B1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04424B1 (ko) 하천제방 붕괴 방지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N103472192B (zh) 一种气体传感器智能定位方法
CN206323627U (zh) 城市路灯内涝智能监测系统
KR102263963B1 (ko) 재난 방지 복합형 예고 시스템
KR20230102277A (ko) 기상청 데이터기반 홍수 예방시스템
KR20100116388A (ko) 차량 탑재형 비탈면 점검 시스템
CN112085924A (zh) 一种山沟季节性河流冲击预警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