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43B1 -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43B1
KR102395343B1 KR1020160014159A KR20160014159A KR102395343B1 KR 102395343 B1 KR102395343 B1 KR 102395343B1 KR 1020160014159 A KR1020160014159 A KR 1020160014159A KR 20160014159 A KR20160014159 A KR 20160014159A KR 102395343 B1 KR102395343 B1 KR 10239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witch
power terminal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901A (ko
Inventor
홍성빈
김호준
박경민
원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43B1/ko
Priority to US15/403,712 priority patent/US10044336B2/en
Publication of KR2017009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8Muting in response to a mechanical action or to power supply variations, e.g. during tuning; Click remov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제 1 전원단자와 제 2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마이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마이크부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NOISE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이어폰이 상대방과 통화 중인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키들 중 하나의 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외부 전자 장치가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에서는 사용자의 키 선택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키 선택에 의한 노이즈가 외부 전자 장치와 상대방 간의 통화 중에 발생되면, 노이즈에 의해 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 시스템의 약전계 상황에서 이러한 노이즈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의 키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회로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키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제 1 전원단자와 제 2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마이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마이크부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의 키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회로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키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제 1 전자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의 키 선택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 2 전자 장치 105와 제 3 전자 장치 107과 기지국 109와 제 2 전자 장치 105와 연결된 제 1 전자 장치 1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이 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기지국 109를 통해 제 3 전자 장치 107과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호를 통해 제 3 전자 장치 107로 통화 신호(예: 음성 또는 화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화 신호의 송수신으로 인해 제 2 전자 장치 105의 사용자는 제 3 전자 장치 107의 사용자(예: 상대방)와 통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또는 제 3 전자 장치 105, 107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또는 제 3 전자 장치 105, 107은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워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본체가 금속인 휴대 단말기(예: 스마트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 105의 후면, 측면, 정면 중 적어도 한 면이 금속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제 2 전자 장치 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4극 이어폰일 수 있으며, 제 2 전자 장치 105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통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키들 103은 제 3 전자 장치 107로부터 수신된 통화 요청을 수락하거나 종료하는 통화/종료 키(Send/End)와 통화 음성의 볼륨을 높이는 볼륨 업 키(Vol+)와 통화 음성의 볼륨을 줄이는 볼륨 다운 키(Vol-)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 105 와 제 3 전자 장치 107이 통화 기능을 수행 중에 복수의 키들 103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전기적 요소(예: 저항값)를 변경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 101과 연결된 제 2 전자 장치 105는 변경된 전기적 요소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기적 요소에 대응하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 101의 볼륨 다운 키(Vol-)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볼륨 다운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압값을 기반으로 제 2 전자 장치 105의 이어폰 볼륨을 줄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09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제 3 전자 장치 107 간에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호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제 3 전자 장치 107 간에 통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제 2 세대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세대 통신 시스템은,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850(GSM850), GSM900,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1800(DCS1800) 및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1900(PCS19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전자 장치 107은 기지국 109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 105와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호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 105로 통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화 신호의 송수신으로 인해 제 3 전자 장치 107의 사용자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기) 105가 기지국 109의 약전계 지역, 예를 들면, 제 2 통신 시스템의 약전계 지역에 위치할 때, 제 2 전자 장치 105는 약전계 지역에 위치하지 않을 때보다 RF부(미도시)의 송신 신호 전력을 높여서 기지국 109으로 송신 신호(예: 통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 101의 복수의 키들 103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눌림)되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제 1 전자 장치 101의 키 누름에 의한 노이즈를 포함하는 신호(예: 통화 신호와 노이즈를 포함)를 기지국 109을 통해 제 3 전자 장치 107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의 키 누름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가 가청 범위(200Hz 내지 1.5kHz) 내의 주파스 스펙트럼에 포함되는 경우,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DMA 노이즈는 음성 잡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 3 전자 장치 107은 TDMA 노이즈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중에서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된 음성 신호는 TDMA 노이즈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3 전자 장치 107은 제 3 전자 장치 107의 사용자에게 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DMA 노이즈는 모기와 같은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3 전자 장치 107의 사용자는 통화 품질에 불만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 105의 본체가 전파에 민감한 금속인 경우, TDMA 노이즈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본체가 플라스틱일 때보다 심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TDMA 노이즈의 세기가 커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전자 장치 101의 회로 구성도를 변경함으로써 약전계에서 발생하는 TDMA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제 1 전자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 101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제 1 전원단자, 제 2 전원단자, 스위치부 205와 마이크부 2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마이크부 201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203와 복수의 저항들(R4, R5)과 복수의 캐패시터들(C1, C2, C3)과 적어도 하나의 제너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연결되는 경우, 마이크부 201은 마이크 203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기) 105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자 장치 105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기지국 109를 통해 제 3 전자 장치 107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저항(R4)의 저항값은 1.8 ㏀이고, 제 5 저항(R5)의 저항값은 15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캐패시터(C1)의 정전 용량은 1 ㎌이고, 제 2 캐패시터(C2)의 정전 용량은 10 ㎊이고, 제 3 캐패시터(C3)의 정전 용량은 47 ㎊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 205는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 및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과 연결된 복수의 저항들 213, 215, 2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은 눌리면 닫히는 스위치들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저항들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저항 213의 저항값은 50 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저항 215의 저항값은 270 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저항 217의 저항값은 357 Ω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 각각은 복수의 저항들 213, 215, 217 중 적어도 하나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스위치 207은 제 1 저항 213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스위치 209는 제 2 저항 215 및 제 3 저항 217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스위치 211은 제 3 저항 217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키들 103은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 중 하나의 스위치 및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종료 키(Send/End)는 제 1 스위치 207와 제 1 저항 21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볼륨 업 키(Vol+)는 제 3 스위치 211와 제 2 저항 215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볼륨 다운 키(Vol-)는 제 2 스위치 209, 제 2 저항 215 및 제 3 저항 217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 205와 마이크부 201은 제 1 및 제 2 전원단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단자는 제 2 전자 장치 10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 또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접지와 연결되는 접지단자가 될 수 있다. 또는, 제 2 전원단자는 제 2 전자 장치 10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 또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접지와 연결되는 접지단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단자가 접지단자인 경우, 제 2 전원단자는 (-)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전원단자가 접지단자인 경우, 제 1 전원단자는 (+)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단자는 스위치부 205의 제 1 저항 213의 한 단자와 제 3 스위치 211의 한 단자와 제 3 저항 217의 한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원단자는 마이크부 201의 제 2 캐패시터(C2)의 한 단자와 제 3 캐패시터(C3)의 한 단자와 제너 다이오드(D1)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제 4 저항(R4)의 한 단자와 제 5 저항(R5)의 한 단자와 마이크 203의 두 단자들(예: 3번과 4번 단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단자는 스위치부 205의 제 1 스위치 207의 한 단자와 제 2 저항 215의 한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원단자는 마이크부 201의 제 2 캐패시터(C2)의 나머지 단자와 제 3 캐패시터(C3)의 나머지 단자와 제너 다이오드(D1)의 캐소드(cathode) 단자와 마이크 203의 한 단자(예: 1번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 101의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눌림)되면, 제 1 전자 장치 101는 스위치의 누름에 따른 노이즈와 함께 마이크부 20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 10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스위치가 닫히는 경우에, 제 2 전원단자로부터 제 1 전원단자까지 폐루프가 형성될 수 있고, 접지로부터 올라오는 노이즈가 형성된 폐루프를 통해 제 1 전원단자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스위치 207이 닫히는 경우, 제 1 저항 213과 제 1 스위치 207를 통해 제 2 전원단자(접지단자)로부터 제 1 전원단자까지의 폐루프가 형성될 수 있고, 접지로부터 올라오는 노이즈가 제 1 저항 213과 제 1 스위치 207를 거쳐서 제 1 전원단자로 출력될 수 있다. 만일, 제 1 전자 장치 101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연결되는 경우, 출력된 노이즈는, TDMA 노이즈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 101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제 1 전원단자, 제 2 전원단자, 스위치부 305 및 마이크부 301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마이크부 301은 제 1 전원단자 및 제 2 전원단자와 연결되고, 스위치부 305는 마이크부 301와 제 1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부 305는 마이크부 301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 305는 제 1 전원단자와 연결되고, 제 2 전원단자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이크부 301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303과 복수의 저항들(R4, R5)과 복수의 캐패시터들(C1, C2, C3)과 적어도 하나의 제너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연결되는 경우, 마이크부 301은 마이크 303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제 2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기) 105로 송신할 수 있다. 그 후에, 제 2 전자 장치 105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기지국 109를 통해 제 3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기) 107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저항(R4)의 저항값은 1.8 ㏀이고, 제 5 저항(R5)의 저항값은 15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캐패시터(C1)의 정전 용량은 1 ㎌이고, 제 2 캐패시터(C2)의 정전 용량은 10 ㎊이고, 제 3 캐패시터(C3)의 정전 용량은 47 ㎊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 305는 복수의 키들 307, 309, 3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키 307은 통화 연결을 시작하거나 통화를 종료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통화/종료 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키 309는 볼륨을 다운 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볼륨 다운 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키 311은 볼륨을 업 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볼륨 업 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키들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키들 307, 309, 311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저항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키 307은 제 4 스위치 313과 제 6 저항 319을 포함하고, 제 4 스위치 313은 제 6 저항 319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키 309는 제 5 스위치 315와 제 7 저항 321을 포함하고, 제 5 스위치 315는 제 7 저항 321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키 311은 제 6 스위치 317과 제 8 저항 323을 포함하고, 제 6 스위치 317은 제 8 저항 323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6 내지 제 8 저항들 319, 321, 323의 저항값들은 제 1 내지 제 3 저항들 213, 215, 217의 저항값들에 대응되거나 그들의 합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저항 319의 저항값은 도 2의 제 1 스위치 207과 직렬로 연결된 제 1 저항 213의 저항값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저항 319의 저항값은 50 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저항 323의 저항값은 도 2의 제 3 스위치 211과 직렬로 연결된 제 2 저항 215의 저항값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저항 323의 저항값은 270 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저항 321의 저항값은 도 2의 제 2 스위치 209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저항 215의 저항값(예: 270 Ω)과 제 3 저항 217의 저항값(예: 357 Ω)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저항 321의 저항값은 627 Ω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TDMA 노이즈는 도 2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들의 접지를 거쳐서 제 2 전자 장치 105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 305는 도 3과 같이, 접지와 연결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접지를 통해 전달되는 TDMA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저항의 병렬 구조가 도 3과 같이, 직렬 구조로 변경됨으로써 도 3의 복수의 스위치들 313, 315, 317 각각은 도 2의 복수의 스위치들 207, 209, 211 각각에 대응하는 저항값과 동일한 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 101의 복수의 키들 307, 309, 311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TDMA 노이즈를 전달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자 장치 105는 오픈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의 저항값이 스위치부 305의 전체 저항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스위치 315가 눌리면, 제 5 스위치 315가 오픈되고, 제 5 스위치 315와 병렬로 연결된 제 7 저항 321의 저항값(예: 627 Ω)이 스위치부 305의 전체 저항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륨 다운 키 309가 선택되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볼륨 다운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볼륨 다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 101이 볼륨 업 키, 볼륨 다운 키 및 통화/해제 키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은 제 2 전자 장치 105의 전원을 턴-오프할 수 있는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전자 장치 105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전자 장치 105는 프로세서 401, 통신 모듈 403, 디스플레이 405, 메모리 407,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 입력 장치 411, 음성 모듈 413, 스피커 415 및 마이크 41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프로세서 401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401은 제 2 전자 장치 105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 403은 제 2 전자 장치 105와 외부 장치(예: 제 3 전자 장치 107)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 403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기지국 109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3 전자 장치 107)와 통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40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405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405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 407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407은, 예를 들면, 제2 전자 장치 105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 101)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 105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 101)로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는 이어폰 잭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으며, 제 2 전자 장치 105와 이어폰 간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 411은 터치 패널(touch panel),(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 센서는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는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 입력 장치는 마이크(예: 마이크 417)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모듈 413은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모듈 413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모듈 413은 스피커 415, 마이크 417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401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로부터 제 1 전자 장치 101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제 2 전자 장치 105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전압값이 제 2 전자 장치 105의 볼륨 다운 기능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서 401은 볼륨 다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된 전압값이 볼륨 업 기능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서 401은 볼륨 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전자 장치 105와 제 3 전자 장치 107간에 통화 중일 때, 수신된 전압값이 통화/종료 기능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서 401은 통화 종료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전자 장치의 연결 인터페이스 구성도이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 101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은 4극 이어폰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기) 105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어폰 501은 이어폰 잭 5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잭 503은 제 2 전자 장치 105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예: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 잭 503은 4 개의 단자를 포함하며, 각 단자들은 이어폰 501의 각 구성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 잭 503은 마이크 단자(M), 접지 단자(G), 우측 스피커 단자(R) 및 좌측 스피커 단자(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스피커 단자(R)는 이어폰 501의 우측 스피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좌측 스피커 단자(L)는 이어폰 501의 좌측 스피커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 단자(M)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전원단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지 단자(G)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전원단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 단자(M)은 이어폰 501의 마이크부(예: 마이크부 301), 적어도 하나의 키, 예를 들면, 볼륨 업 키 311, 볼륨 다운 키 309 및 통화/종료 키 307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지 단자(G)는 마이크부 301과 연결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폰 잭 503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 단자의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 501은 마이크부 301의 음성 신호를 마이크 단자(M)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 501은 마이크 단자(M)와 접지 단자(G)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부 301가 마이크 단자(M)와 접지 단자(G) 사이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키는 마이크부 301와 마이크 단자(M)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구성도이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전자 장치 105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 601는 도 4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의 전체 또는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 601은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 101의 마이크 단자(M) 603과 연결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605 및 비교기 60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DC 605는 마이크 단자(M) 603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 101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전자 장치 105의 프로세서 611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 607은 마이크 단자(M) 60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전압값과 지정된 기준 전압값(예: 0.75 V)을 비교하고, 프로세서 611이 제 2 전자 장치 105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교 결과를 프로세서 611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의 복수의 스위치들(예: 제 4 내지 제 6 스위치들 313, 315, 317)이 모두 닫힌 경우, 비교기 607의 입력 전압값은 지정된 전압값(예: 1.3 V)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전자 장치 101의 마이크부(예: 마이크부 305)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는 프로세서 611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스위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열린 경우, 열린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비교기 607의 입력 전압값은 지정된 전압값 미만이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 101의 스위치들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들(예: 제 6 내지 제 8 저항들 319, 321, 323)은 해당 스위치가 오픈되는 경우에, 비교기 607의 입력 전압값이 기준 전압값 이하가 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들은 서로 다른 스위치가 오픈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전압이 비교기 607의 입력 단자에 인가되도록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교기 607는 특정 스위치의 오픈(또는, 특정 키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비교 결과를 프로세서 611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 101의 제 6 스위치 311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비교기 607은 지정된 전압에서 제 8 저항 323에 인가된 전압만큼 강하된 입력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 전압값과 기준 전압값을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프로세서 611로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611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어떤 키가 눌러졌는지 결정하고, 그 결정을 기반으로 제 2 전자 장치 105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의 키 선택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면,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101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2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기) 105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동작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 401 또는 프로세서 611) 105는 이어폰 101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401은 이어폰 101을 통해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제 3 전자 장치 107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401은 제 3 전자 장치 107로부터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신호 중에서 음성 신호를 이어폰 101로 전송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프로세서 401은 이어폰 101의 볼륨 업 키에 대응하는 비교 결과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401은 입출력 인터페이스(예: 입출력 인터페이스 409)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볼륨 업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 501의 비교기(예: 비교기 607)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가 볼륨 업 키에 대응되게 지정된 값인 경우, 프로세서 401은 볼륨 업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볼륨 업 키의 전압값이 수신되면, 프로세서 401은 705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705 동작에서, 프로세서 401은 볼륨 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401은 음성 모듈(예: 음성 모듈 413)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401은 볼륨 업 기능 실행 후에 다른 키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7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707 동작에서, 프로세서 401은 이어폰 101로부터 볼륨 다운 키에 대응하는 비교 결과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 607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가 볼륨 다운 키에 대응되게 지정된 값인 경우, 프로세서 401은 볼륨 다운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볼륨 다운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수신되면, 프로세서 401은 709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709 동작에서, 프로세서 401은 볼륨 다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401은 음성 모듈 413의 볼륨을 낮출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401은 볼륨 다운 기능 실행 후에 다른 키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703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711 동작에서, 프로세서 401은 이어폰 101로부터 통화/종료 키에 대응하는 비교 결과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기 607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가 통화/종료 키에 대응되게 지정된 값인 경우, 프로세서 401은 통화 종료 키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 401은 713 동작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3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713 동작에서, 프로세서 401은 통화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401은 제 3 전자 장치 107과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 801은 제 2 통신 시스템의 약전계 상황에서 제 2 전자 장치 105와 제 3 전자 장치 107 간에 통화 중에 제 2 전자장치 105와 연결된 제 1 전자 장치(예: 이어폰 등) 101의 키가 선택될 때에 제 2 전자 장치 105의 TDMA 노이즈 레벨 측정 결과이다.
표 801에 기재된 GSM900, GSM850, DCS1800, PCS1900은 제 2 통신 시스템의 한 종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GSM900은 900 ㎒ 대역을 이용하는 제 2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GSM850은 850 ㎒ 대역을 이용하는 제 2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DCS1800은 1800 ㎒ 대역을 이용하는 제 2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CS1900은 1900 ㎒ 대역을 이용하는 제 2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 개선 전은, 도 2의 이어폰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연결 중에 이어폰의 키가 선택된 경우에 제 2 전자 장치 107이 제 2 전자 장치 105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 음성 신호의 청음 측정값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출력한 음성 신호는 TDMA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 개선 후는, 도 3의 이어폰이 제 2 전자 장치 105와 연결 중에 이어폰의 키가 선택된 경우에 제 2 전자 장치 107이 제 2 전자 장치 105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 음성 신호의 청음 측정값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TDMA 노이즈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표 801을 살펴보면, 제 2 전자 장치 107의 통화 품질이 이어폰 개선 전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SM900의 채널 38에서, 이어폰 개선 전의 제 2 전자 장치 107의 청음 측정값은 -73.02 ㏈이며, 이어폰 개선 후의 제 2 전자 장치 107의 청음 측정값이 -89.26 ㏈일 수 있다. 다른 예로, DCS1800의 채널 698에서, 이어폰 개선 전의 제 2 전자 장치 107의 청음 측정값은 -77.86 ㏈이며, 이어폰 개선 후의 제 2 전자 장치 107의 청음 측정값이 -83.26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어폰 개선 후의 제 2 전자 장치 107의 청음 측정값이 이어폰 개선 전의 제 2 전자 장치 107의 청음 측정값보다 낮으므로, 제 2 전자 장치 107의 통화 품질이 이어폰 개선 전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제 1 전자 장치 103: 복수의 키들
105: 제 2 전자 장치 107: 제 3 전자 장치
109: 기지국

Claims (11)

  1.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를 포함하며, 제 1 전원단자와 제 2 전원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마이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마이크부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누르면 오픈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제 2 전원단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 2 통신 시스템의 약전계 상황에서 통신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전원단자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이어폰과 헤드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노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복수의 스위치들들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통화/종료 스위치, 볼륨 업 스위치 및 볼륨 다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항의 저항값이 상기 스위치부의 전체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스위치부 및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검출하고,
    상기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제1 전원단자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제2 전원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전원단자 및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누르면 오픈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014159A 2016-02-04 2016-02-04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KR10239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59A KR102395343B1 (ko) 2016-02-04 2016-02-04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US15/403,712 US10044336B2 (en) 2016-02-04 2017-01-11 Apparatus for preventing noise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59A KR102395343B1 (ko) 2016-02-04 2016-02-04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01A KR20170092901A (ko) 2017-08-14
KR102395343B1 true KR102395343B1 (ko) 2022-05-09

Family

ID=5949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59A KR102395343B1 (ko) 2016-02-04 2016-02-04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4336B2 (ko)
KR (1) KR102395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7142B (zh) * 2019-06-25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4512A1 (en) *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connection interfac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9721A3 (en) 1998-11-07 200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built-in type ear-microphon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US20120140956A1 (en) * 2010-12-06 2012-06-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Differential microphone circuit
KR101769798B1 (ko) * 2011-06-08 2017-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 특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US9793658B2 (en) * 2014-06-01 2017-10-17 Apple Inc. Reuse of plug detection contacts to reduce crosstalk
KR102161151B1 (ko) * 2014-07-23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셋 및 이어셋의 동작 방법
KR20160014991A (ko) * 2014-07-30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US9820029B2 (en) * 2015-04-17 2017-11-14 Blackberry Limited Device-adaptable audio heads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4512A1 (en) *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connection interfac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4336B2 (en) 2018-08-07
US20170230023A1 (en) 2017-08-10
KR20170092901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5061B2 (en)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device
US9019131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KR101640465B1 (ko) 휴대 단말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장치
US10805708B2 (en) Headset sound channel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
KR101609273B1 (ko) 이어폰 플러그용 연결부재, 이어폰 소켓 및 단말기
EP3015978A1 (en) Gesture-based convers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11129075B2 (en) Method for switching IMS voice call network, stora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06055364A (zh) 一种启动应用方法及终端设备
CN103513769A (zh) 按键功能的设置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3416040A1 (en) Sound effect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2079539B1 (ko)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75059A (ko) 표시된 폰트를 확대하는 방법과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8133664A1 (zh) 指纹识别模组及电子设备
CN108769401B (zh) 信号检测方法及相关产品
US20210133135A1 (en) Nfc pressure test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and storage device
CN106936516B (zh) 显示屏显示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CN106453909B (zh) 一种功率调整方法及移动终端
EP3477915A1 (en) Data migr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KR102395343B1 (ko)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방지하는 장치
CN105808043A (zh) 一种终端应用的设置方法和移动终端
JP6510676B2 (ja) 画像変形処理方法、デバイス、および記憶媒体
CN111897916A (zh) 语音指令识别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9417667B (zh) 一种音频控制方法、电路、图形用户界面、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EP3180867B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CN106294528B (zh) 一种实现信息发送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