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51B1 -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51B1
KR102395151B1 KR1020200121908A KR20200121908A KR102395151B1 KR 102395151 B1 KR102395151 B1 KR 102395151B1 KR 1020200121908 A KR1020200121908 A KR 1020200121908A KR 20200121908 A KR20200121908 A KR 20200121908A KR 102395151 B1 KR102395151 B1 KR 10239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signal
information
signal
bio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930A (ko
Inventor
전영협
문병기
김종우
김홍렬
김정수
소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리시스
Priority to KR102020012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6Wearable electrodes, e.g. having stra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신호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산출하는 과정; 신호처리부에 의해 상기 생체신호를 가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및 통신부에 의해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신호 처리 등에 소요되는 전력 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Wearable Patch type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for measuring multi-bio signal}
본 발명은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싱 모듈로부터 생성된 생체 신호 정보의 저장, 전송 및 이를 위한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oT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징상 휴대가 간편해야 하며, 가볍고 오랜 시간 동작하여 한다. 이에 따라 저전력과 전원 관리 기술이 많이 요구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의 장비는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거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 아닌 옷이나 다른 장구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와 같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패치형 전극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다양한 신체부위(가슴, 손목, 발목 등)와 접점을 형성시켜 심전도와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로,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부정맥, 심정지와 같은 질환의 발생을 예측 또는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피측정자는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중 손쉽게 심전도와 같은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의료진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장착된 센서 및 통신 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전달 받아 예상되는 질환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해 사망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피측정자는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되고 이를 토대로 병원 외부에서도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숙련도가 차이가 있어 이를 이용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심전도 데이터는 장시간 즉, 24시간 이상 측정 시에만 발생하는 각종 신체 이상 신호가 추출이 되지만, 통신 환경 또는 배터리 방전과 같은 전력 부족 등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서 믿을 수 있는 데이터를 얻기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513288호(장기간 부착을 위한 장치 특징부들 및 설계 요소들)는 전자 구성요소를 지니는 하우징, 전자 구성요소, 날개부, 전극, 부착체 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람 착용하고 있는 사람을 관찰, 기록, 보고 또는 치료를 수행한다. 다만, 열악한 통신 환경, 제한된 전력 공급 등의 한계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288호 (2015. 04. 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센싱 모듈로부터 생성된 생체 신호 정보의 저장, 전송 및 이를 위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회로 구조 및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생체신호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산출하는 과정; 신호처리부에 의해 상기 생체신호를 가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및 통신부에 의해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통신 환경 또는 전력 환경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의 무선 통신망으로의 전송은 중단시키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신호처리부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생체신호를 산출하는 생체신호 센서; 상기 생체신호를 가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통신 환경 또는 전력 환경에 기반하여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의 무선 통신망으로의 전송은 중단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신호처리부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당량의 전력을 소모하는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에서 발생되는 정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를 함께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는 피측정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싱 모듈(110), 센싱 모듈(110)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에 기초하는 산출된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20) 및 센싱 모듈(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로부터 생성되는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를 가공한 결과인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도면 미도시) 또는 센싱 모듈(110)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도면 미도시) 또는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측정자의 생체신호는 센싱 모듈(110)을 통해서 입력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 또는 원거리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120)를 이용하여 생체신호 정보가 수신 장치(도면 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 장치는 병원의 내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는 피측정자가 병원 또는 병원 밖에서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 스스로 자산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110)은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의 외부 한쪽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110)은 피부표면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전극을 통해 검출된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목표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센싱 모듈(110)은 미약한 초기 확보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모듈(110)은 측정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신호만을 추출하는 필터 등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체 신호는 뇌파, 심전도, 근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체지방, 자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표면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이 해당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는 전극, 포토다이오드(photodiod)를 포함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센서 또는 체온 측정 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극은 패치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탈부착될 수 있으며, 전극은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는 패치형, 밴드형, 반지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는 피측정자의 심전도에 대한 센서, 자세에 대한 센서 또는 기타 생체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피측정자의 생체신호는 센싱 모듈(110)을 통해서 입력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 또는 원거리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120)를 이용하여 생체신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비콘(Beac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WI-FI 통신, Z-wav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원거리 무선 통신인 LTE 통신, 5G 통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측정자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가 가공 또는 전처리된 생체신호 정보는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피측정자는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병원 내부 또는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교육에 대한 이해 및 피측정자의 숙련도에 차이가 있어,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를 통해 산출된 정보의 신뢰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장시간 즉, 24시간 이상 연속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는데, 열악한 무선 통신 환경 또는 전력이 부족한 환경 등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서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는 센싱 모듈(110)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곧바로 저장하는 메모리(1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30)는 센싱 모듈(110)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센싱 모듈(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로부터 생성되는 생체신호는 신호처리부(112)에 의해 가공 또는 전처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처리부(112)는 신호 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 unit, M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112)에 의해 가공 또는 전처리된 생체 신호 정보는 센싱 모듈(110)에 직접 연결된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처리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 신호의 파형을 오실로스코프 등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처리부(112)는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가공된 정보인 생체 신호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112)는 아날로그 신호인 생체 신호의 파형을 실시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과정, 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과정, 저장된 파일을 다시 불러오는 과정, 아스키 형태로 저장하여 다른 소프트웨어 툴에서 읽어오는 과정 등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파수 분석, 상관계수, 바이스펙트럼, 비선형계산 등의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로부터 생성되는 생체신호는 가공 또는 전처리 되지 않고, 메모리(130)에 곧바로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에서의 생체신호는 가공 과정을 거친 후 생체신호 정보의 형태 또는 원래 형태로 메모리(13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망 또는 원거리 통신망에 일시적인 문제가 생기거나 여러 요인에 의해 장시간 생체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전송되지 않았던 생체 신호와 전송될 수 있는데, 이에 앞서, 센싱 모듈(110)과 통신부(120) 사이에서도 실시간 전송되어야 할 생체 신호와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신호도 동시에 전송됨에 따른 문제가 생기며, 동시 전송에 따른 전송 속도 감소, 부하 누적, 제한된 무선 전송 채널의 용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111-1, 111-2, 111-n)로부터 생성되는 실시간 생체신호로부터 생성된 생체신호 정보가 동시에 전송될 때, 통신부(120)가 실시간의 생체신호 정보와 미리 메모리(130)에 저장된 생체 신호 정보, 두 정보 중 전달 받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센싱 모듈(11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는 기 설정 주기 또는 무선 전송할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이상인 경우, 센싱 모듈(110)로 실시간의 생체신호 정보 또는 이전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기에, 도 3과 도 4를 함께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의 메모리(330)는 센싱 모듈(31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통신부(320)에 연결되어 있는 특징이 도 1의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의 메모리(130)와 상이하다. 즉,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의 메모리(330)는 통신부(320)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통신부(320)가 메모리(330)에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장시간 근거리 통신망 또는 원거리 통신망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통신부(120)는 메모리(130)에 저장 되어 있는 상당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정보를 계속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센싱 모듈(110)를 계속적으로 동작 시켜 파워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상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유사한 상황에서 통신부(320)에 정보 저장 장치인 메모리(330)을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많은 정보를 장시간 전송시에는 선택적으로 생체정보 취득 회로 모듈을 파워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선택적인 제어를 통하여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장치에서 중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센서(311-1, 311-2, 311-n)로부터 생성되는 생체신호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S410).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 생체신호를 가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420).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30).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통신 환경 또는 전력 환경에 기반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지 또는 저장하지 않고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통신부(320)를 통한 무선 전송시에는 센싱 모듈(31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센싱 모듈(310)로의 전력 제공을 중단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20)는 전원부(도면 미도시)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여 전력이 임계 전력 미만이거나, 통신부(320)이 사용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의 간섭 또는 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의 인접 채널의 간섭의 발생이 감지되거나, 피측정자의 이동에 따른 전파 감쇄가 감지되거나, 다중경로페이딩이 감지되는 경우 등의 열악한 통신 환경이 감지되면, 통신부(320)는 메모리(330)에 생체신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 대비, 생체신호 센서 n+1(511-(n+1))가 통신부(520) 및 메모리(530)에 부가될 수 있다. 부가된 생체신호 센서 n+1(511-(n+1))에서 발생되는 생체 신호는 통신부(520)에 의해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될지 또는 메모리(530)에 저장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지 못하는 경우의 전력 소모 사정이 도시된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가 전송될 때, 상당한 전력이 짧은 시간동안 소모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전력 소모에는 평균 전력 소모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웨어러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의해, 통신부의 무선 전송 시간 동안, 평균 전력 소모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체신호의 측정 및 신호처리 과정을 중단시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를 통한 무선 통신망을 통한 전송 시, 기기간 연결이 끊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정보가 전송되지 않고, 기기간 연결이 된 정상적인 상태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까지 상당량의 정보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모듈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고, 통신부만이 대용량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의 감지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생체신호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생체신호 산출과정;
    신호처리부에 의해 상기 생체신호를 가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생체신호 정보 산출과정; 및
    통신부에 의해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의 무선 통신망으로의 전송은 중단시키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전송과정은,
    통신 환경 또는 전력 환경에 의해 생체신호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되는 과정;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이상인지 여부가 분석되는 과정; 및
    상기 생체신호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이상이면 실시간의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센싱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생체신호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미만이면 이전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센싱모듈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과정은,
    상기 신호처리부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5.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생체신호 센서;
    상기 생체신호를 가공하여 생체신호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망으로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경우, 무선 통신망으로의 전송은 중단시키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통신 환경 또는 전력 환경에 의해 생체신호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생체신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분석하되, 상기 생체신호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이상이면 실시간의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센싱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생체신호 정보의 량이 기 설정량 미만이면 이전에 저장된 생체신호 정보를 전송하라는 제어 신호를 센싱모듈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신호처리부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는,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0200121908A 2020-09-22 2020-09-22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95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08A KR102395151B1 (ko) 2020-09-22 2020-09-22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08A KR102395151B1 (ko) 2020-09-22 2020-09-22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30A KR20220039930A (ko) 2022-03-30
KR102395151B1 true KR102395151B1 (ko) 2022-05-11

Family

ID=8094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908A KR102395151B1 (ko) 2020-09-22 2020-09-22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7991B1 (en) 2010-05-12 2022-06-15 Irhythm Technologies, Inc. Device features and design elements for long-term adhesion
KR20180086011A (ko) * 2017-01-20 2018-07-30 김정훈 IoT모듈의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67979B1 (ko) * 2017-12-01 2020-01-21 웰빙소프트 주식회사 심전도 측정 장치
KR102210215B1 (ko) * 2018-07-11 2021-02-01 (주)씨어스테크놀로지 다중생체신호 측정용 패치형 바이오센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30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00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signal measuring condi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EP3229665B1 (en) Technologies for biofeedback electrode contact monitoring
US202001550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04077B1 (ko) 사용자의 생체 정보들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55739B1 (ko) 생체신호 측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US9504400B2 (en) Atrial fibrillation analyzer, atrial fibrillation analysis system, atrial fibrillation analysis method, and program
KR101803291B1 (ko) Eeg 및 emg 신호에 기반한 자궁 수축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2826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US116600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CN102485171A (zh) 无创超长记录超大容量存储的贴附式遥测心电记录的方法和系统
US202100852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20220107909A (ko) 혈압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07725A (ko) 기기 착용 여부를 고려한 제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95151B1 (ko)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93558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5326482B (zh) 记录生理信号的方法和装置
EP40324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lood pressure
US119508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102267707B1 (ko) 웨어러블 패치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전력절감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22063864A2 (en)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heart rhythm abnormalities
KR20130082878A (ko) 생체 신호 송신 장치, 이를 이용하는 생체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998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US116023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ttachment positions of ECG electrodes
KR20220039929A (ko) 다중 채널 연결 방식을 이용한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85708A (ko) 침대와 연동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