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02B1 -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02B1
KR102395102B1 KR1020200059149A KR20200059149A KR102395102B1 KR 102395102 B1 KR102395102 B1 KR 102395102B1 KR 1020200059149 A KR1020200059149 A KR 1020200059149A KR 20200059149 A KR20200059149 A KR 20200059149A KR 102395102 B1 KR102395102 B1 KR 10239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ire
container
wire
steam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2389A (en
Inventor
황두성
이준희
임준혁
김근호
서범경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5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02B1/en
Publication of KR2021014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1 컨테이너 및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이송된 폐전선을 분쇄하고,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a first container provid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cleaning and stripping of a waste wire and a waste wir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tainer are crushed, and the first and a second container that filters the gas introduced from the containe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Description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Portable Waste Wire Treatment Equipment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또는 해체 중에 발생한 방사성 오염 폐전선은 일괄 방사성폐기물로 처분하거나, 제염 및 탈피 등의 방법을 통하여 폐기물을 감용하고 유용 금속인 구리 등은 자체처분폐기물로 전환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방사성 오염된 폐전선의 세정 및 탈피, 분쇄 및 분리, 배기체 처리 등의 과정들을 처리 하기 위해서는 각종 부대 설비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Radioactively contaminated waste wire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r dismantling of nuclear power plants are disposed of as radioactive waste, or the waste is reduced through methods such as decontamination and stripping, and copper, which is a useful metal, is converted into self-disposal waste and recycled. In order to handle processes such as cleaning and stripping, pulverization and separation, and exhaust treatment of radioactively contaminated waste wires,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are essential.

그러나 종래에는 폐전선이 발생했거나 적재된 현장에 방사성 오염된 폐전선의 세정 및 탈피, 분쇄 및 분리, 배기체 처리 등의 과정을 처리하는 각종 부대설비들을 각각 설치 하여야 하였으므로 이동이 어렵고, 설치 비용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in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move, and installation costs, etc. This growing problem existed.

본 발명의 과제는 방사성 오염 폐전선이 있는 현장으로 이동되어 폐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부대 설비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including ancillary facilities that can be moved to a site with radioactively contaminated waste wires and can process the waste wires.

일 예에서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는,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1 컨테이너 및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이송된 폐전선을 분쇄하고,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In an example,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pulverizes the waste wir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tainer and the first container provid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cleaning of the waste wire and stripping of the waste wire, and from the first container and a second container for filtering the introduced gas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폐전선의 비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게 마련되는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may include a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provided to remove non-stick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게 마련되는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1차 여과하는 스팀 필터, 상기 스팀 필터를 통해 여과된 스팀을 통해 폐전선을 세정하는 스팀 세정조 및 폐전선을 세정한 후의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를 2차 여과하는 응축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is disposed of through a steam generator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a steam filter that primarily filters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and steam filtered through the steam filter It may include a steam cleaning tank for cleaning electric wires and a condensed water filter for secondary filtering of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steam after cleaning the waste electric wires.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폐전선의 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키게 마련되는 폐전선 탈피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may include a waste wire stripper provided to strip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in order to remove the fixed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폐전선 탈피기는, 한 쌍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키며, 외면에 칼날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탈피부 및 상기 한 쌍의 축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축에 동시에 직교하는 직선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탈피부 사이로 폐전선이 인입되어 지나가도록 폐전선을 가압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waste wire stripper is formed rotatably around a pair of shafts, strips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and includes a blade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 pair of strippers and the pair of shafts Doedoe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shafts is formed rotatably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a straight line at the same time orthogonal to the pair of axes, and includes a roller unit for pressing the waste wire so that the waste wire is drawn and passed between the pair of stripping skins. can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폐전선의 비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게 마련되는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 및 폐전선의 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키게 마련되는 폐전선 탈피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includes a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provided to remove non-stick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and a waste wire stripper provided to strip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to remove the sticky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can do.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된 폐전선인 1차 처리 폐전선을 분쇄하는 폐전선 분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container may include a waste wire crusher for crushing a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that is a waste wire on which at least one of cleaning and stripping of the waste wire from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performed.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에서 발생한 기체인 제1 배기체를 모으는 제1 배기체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1 배기체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1 배기체 및 상기 1차 처리 폐전선이 상기 폐전선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어 형성된 분쇄물이 투입되게 마련되는 이송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haust pipe collecting a first exhaust gas, which is a gas generat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ipe. The first exhaust body and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introduced through the pipe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provided to be put into the pulverized product formed by pulverizing through the waste wire pulverizer.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이송집진부는, 상기 분쇄물 및 상기 제1 배기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1 배기체 내의 집진물 중 1차 집진된 1차 집진물 및 상기 분쇄물을 배출시키며, 상기 제1 배기체가 1차 집진이 완료되어 형성된 제2 배기체를 배출하는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first exhaust body flowing in, and discharging the primary dust collected and the pulverized material among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exhaust body, and the first exhaust The sieve may include a cyclone for discharging the second exhaust body form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on is completed.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이송집진부는, 상기 제2 배기체 내의 집진물인 2차 집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상기 2차 집진물을 수집하며, 상기 제2 배기체가 여과되어 형성된 제3 배기체를 배출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filters and separates secondary dust collectors, which are dust collectors in the second exhaust body, collects the secondary dust collectors, and discharges a third exhaust body formed by filtering the second exhaust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ng unit.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3 배기체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기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gas processing unit that filters and discharges the third exhaust gas.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기체 처리부는, 여과된 상기 제3 배기체의 방사성 물질 포함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체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gas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as monitoring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filtered third exhaust contains radioactive material.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사이클론에서 배출된 상기 분쇄물 및 상기 1차 집진물을 금속과 잔여물로 분리하게 마련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unit provided to separate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primary dust collected from the cyclone into metal and residue.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에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각종 설비들을 설치한 후,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를 방사성 오염 폐전선이 있는 현장으로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설비들의 이동이 용이 하고, 각종 부대설비들을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으로 폐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various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of waste in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can be loaded and moved to the site where the radioactively contaminated waste wire is located, so various facilities They are easy to move,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so there is an effect of economically disposing of waste wi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의 제1 컨테이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컨테이너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의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의 폐전선 탈피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의 제2 컨테이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컨테이너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의 사이클론및 집진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first container of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form of the first container of FIG. 2 as viewed from above.
4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aste wire steam cleaning apparatus of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aste wire stripper of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econd container of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hape of the second container of FIG. 6 as viewed from above.
8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yclone and a dust collector of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device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는 방사성 오염 폐전선이 있는 현장으로 이동되어 폐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부대 설비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site where the radioactively contaminated waste wire is located, and it relates to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ing ancillary facilities capable of processing the waste wire will be.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장치는 제1 컨테이너(200) 및 제2 컨테이너(300)를 포함한다. 제1 컨테이너(200)는,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00)는, 사람이 내부로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250, 251, 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00)는, 제1 컨테이너(200)로부터 이송된 폐전선을 분쇄하고, 제1 컨테이너(200)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00)는, 사람이 내부로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370, 371, 3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200)과 제2 컨테이너(300)는 서로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ac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200 and a second container 300 . The first container 200 may be provid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cleaning of the closed wire and the stripping of the closed wire. The first container 200 may include doors 250 , 251 , and 252 through which a person can enter and exit. The second container 300 may pulverize the waste wir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tainer 200 , filter the gas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tainer 200 ,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300 may include doors 370 , 371 , and 372 through which a person can enter and exit. The first container 200 and the second container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종래에는 폐전선이 발생했거나 적재된 현장에 방사성 오염된 폐전선의 세정 및 탈피, 분쇄 및 분리, 배기체 처리 등의 과정을 처리하는 각종 부대설비들을 각각 설치 하여야 하였으므로 이동이 어렵고, 설치 비용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Conventionally, it is difficult to move, and installation costs are high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that handle the processes such as cleaning and stripping, grinding and separation, exhaust treatment, etc. There was a growing problem.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컨테이너(200) 및 제2 컨테이너(300)에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각종 설비들을 설치한 후, 제1 컨테이너(200) 및 제2 컨테이너(300)를 방사성 오염 폐전선이 있는 현장으로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설비들의 이동이 용이 하고, 각종 부대설비들을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으로 폐전선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various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of waste in the first container 200 and the second container 300 , the first container 200 and the second container 300 are radioactively contaminated with a waste wire. Since it can be loaded and moved to the site where it is located, it is easy to move various facilities,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so there is an effect of economically disposing of waste wires.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1 컨테이너(2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의 제1 컨테이너(20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컨테이너(200)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first contain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first container 200 of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hape of the first container 200 of FIG. 2 as viewed from above.

제1 컨테이너(200)는,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의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는 폐전선의 비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게 마련될 수 있다. 비고착성 오염이라 함은, 표면에 묻어 있되, 고착화 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제거하기 쉬운 상태의 방사성 물질을 말한다.The first container 200 may include a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 4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of the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may be provided to remove non-stick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Non-stick contamination refers to radioactive material in a state that is relatively easy to remove because it is buried on the surface but is not fixed.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는, 스팀 발생기(212), 스팀 필터(219), 스팀 세정조(211), 스팀 응축기(213) 및 응축수 필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12)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팀 필터(219)는, 스팀 발생기(212)에서 발생한 스팀을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팀 세정조(211)는, 스팀 필터(219)를 통해 여과된 스팀을 통해 폐전선을 세정하여 비고착성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스팀 응축기(213)는 폐전선을 세정한 후의 스팀을 수집한 후, 응축시켜 응축수로 만들수 있다. 스팀 응축기(213)는, 물 저장조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필터(218)는 스팀 응축기(213)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여과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물 저장조는, 응축수 필터(218)에서 여과된 응축수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스팀 필터(219) 및 응축수 필터(218)를 통해, 세정에 필요한 스팀을 2차에 걸친 여과를 통해 재순환시키고 사용함으로써 액체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212 , a steam filter 219 , a steam cleaning tank 211 , a steam condenser 213 , and a condensate filter 218 . The steam generator 212 may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The steam filter 219 may filter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12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 steam cleaning tank 211 may remove non-stick contamination by cleaning the waste wire through steam filtered through the steam filter 219 . The steam condenser 213 may collect steam after cleaning the waste wire and condense it to make condensed water. The steam condenser 213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therein. The condensed water filter 218 may filter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steam condenser 213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 water storage tank may temporarily store the condensed water filtered by the condensate filter 218 . Through the steam filter 219 and the condensate filter 218, the amount of liquid waste can be reduced by recirculating and using the steam required for cleaning through secondary filtration.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는, 냉각 수조(214) 및 냉매 펌프(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수조(214)는,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해 스팀 응축기(213)를 냉각시키는 냉매를 보관할 수 있다. 냉매 펌프(217)는, 스팀 응축기(213)의 냉각이 필요한 경우, 냉각 수조(214) 내부의 냉매를 스팀 응축기(213)로 압송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는, 스팀 응축기(213)로 냉매를 유입시키도록, 폐루프 형태로 구성되는 별도의 냉매 유로를 가질 수 있고, 냉매 펌프(217)를 통해, 냉매가 냉매 유로를 순환할 수 있다.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water tank 214 and a refrigerant pump 217 . The cooling water tank 214 may store a refrigerant for cooling the steam condenser 213 to condense steam. The refrigerant pump 217 may pressurize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water tank 214 to the steam condenser 213 when cooling of the steam condenser 213 is required. 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may have a separate refrigerant flow path configured in a closed loop form to introduce the refrigerant into the steam condenser 213 , and the refrigerant pump 217 ), the refrigerant may circulate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는, 스팀 배기팬(215) 및 응축수 펌프(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배기팬(215)은, 스팀 세정조(211)와 스팀 응축기(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배기팬(215)은 스팀 세정조(211)에서 배출된 스팀을 스팀 응축기(213)로 이송시키는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응축수 펌프(216)는, 응축수 필터(218)와 스팀 발생기(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펌프(216)는, 응축수 필터(218)에서 여과된 응축수를 스팀 발생기(212)의 물 저장조로 압송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210)는, 스팀 발생기(212), 스팀 필터(219), 스팀 세정조(211), 스팀 응축기(213) 및 응축수 필터(218)를 포함하는 폐루프 형태의 유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팀 배기팬(215)에 의해 유로 내에서 스팀이 이동되고, 응축수 펌프(216)에 의해 유로 내에서 응축수가 이동될 수 있다.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may further include a steam exhaust fan 215 and a condensate pump 216 . The steam exhaust fan 2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eam cleaning tank 211 and the steam condenser 213 . The steam exhaust fan 215 may generate a flow for transferring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steam cleaning tank 211 to the steam condenser 213 . The condensate pump 21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densate filter 218 and the steam generator 212 . The condensate pump 216 may pressurize the condensed water filtered by the condensate filter 218 to the water storage tank of the steam generator 212 . 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0 includes a steam generator 212 , a steam filter 219 , a steam cleaning tank 211 , a steam condenser 213 and a condensed water filter 218 . It may be formed as a closed-loop flow path including, steam may be moved in the flow path by the steam exhaust fan 215 , and condensed water may be moved in the flow path by the condensate pump 216 .

<폐전선 탈피기(220)><Waste wire stripper (220)>

제1 컨테이너(200)는, 폐전선 탈피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의 탈피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폐전선 탈피기(220)는 폐전선의 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착성 오염이라 함은, 표면에 고착화 되어, 상대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상태의 방사성 물질를 말한다. 따라서, 폐전선의 고착성 오염이 있는 경우,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켜, 폐전선 피복재와 내부 금속을 각각 분리 수집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iner 200 may include a waste wire stripper 220 . 5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ipper of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wire stripper 220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sticky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The fixed contamination refers to a radioactive material in a state that is fixed to the surface and is relatively difficult to remove. Therefore, when there is a sticky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is peeled off, and the waste wire covering material and the inner metal can be separately collected.

폐전선 탈피기(220)는, 한 쌍의 탈피부(221), 롤러부(222), 롤러 조절부(223) 및 피복재 분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탈피부(221)는, 한 쌍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축은, 한 쌍의 탈피부(221)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축은,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탈피부(221)는 칼날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칼날은 한 쌍의 탈피부(221)의 외면에 형성되어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탈피부(221)가 2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짝수 개로 형성 될 수 있다.The waste wire stripper 220 may include a pair of strippers 221 , a roller part 222 , a roller adjustment part 223 , and a covering material separation part 224 . A pair of stripping skin 221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pair of axes, respectively. The pair of shaft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pair of peeling skins 221 do not contact each other. The pair of shafts may be connected to a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A pair of peeling skin 221 may include a blade, respectively. The blad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stripping skin 221 to peel off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For reference, although only two peeling skins 221 are shown in the drawing, this is exemplary and may be formed in an even number.

롤러부(222)는, 한 쌍의 축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롤러부(222)는, 한 쌍의 축에 동시에 직교하는 직선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222)는, 한 쌍의 탈피부 사이로 폐전선이 인입되어 지나가도록 폐전선을 가압할 수 있다. 롤러부(222)를 통해 폐전선이 인입되어 지나가는 동안 한 쌍의 탈피부(221)가 회전하여, 한 쌍의 탈피부(221)의 칼날이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킬 수 있다.The roller part 222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shafts. As shown in FIG. 5 , the roller part 222 can rotate about a rotational axis parallel to a straight line orthogonal to the pair of shafts at the same time. can be formed. The roller unit 222 may press the closed wire so that the closed wire is introduced and passed between the pair of stripping skins. A pair of stripping skin 221 rotates while the waste wire is drawn in and passed through the roller part 222 , so that the blade of the pair of stripping skin 221 can strip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롤러 조절부(223)는, 롤러부(222)의 위치를 조절하게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조절부(223)를 통해, 폐전선의 두께에 따라, 롤러부(222)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roller adjusting unit 223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oller unit 222 . Through the roller adjusting unit 223,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losed wir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roller unit 222.

피복재 분리부(224)는, 탈피된 폐전선의 피복재를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다. 피복재 분리부(224)는, 절연재 등의 내피복재가 재오염되지 않게 폐전선의 피복재를 분리 수집하여, 추후에 폐전선의 피복재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covering material separation unit 224 may separate and collect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stripped waste wire. The covering material separation unit 224 may separate and collect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electric wire so that the inner covering material such as an insulating material is not re-contaminated, thereby enabling the recycling of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electric wire later.

피복재 분리부(224)는 분리부 투입구와 분리부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폐전선의 외피복재는 탈피부(221)의 칼날에 의해 탈피된 후 분리부 투입구로 유입되지 않고, 내피복재는 분리부 투입구로 투입될 수 있다. 분리부 투입구로 투입된 내피복재는 분리부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분리부 배출구에는 수집포가 결합될 수 있다. 수집포는 분리부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내피복재를 수집하여 내피복재가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adding separation unit 224 may include a separation unit inlet and a separation unit outlet. The outer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does not flow into the separation unit inlet after being peeled by the blade of the stripping skin 221 , and the inner covering material may be put into the separation unit inlet port. The inner covering material input through the inlet of the separation un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separation unit. A collection cloth may be coupled to the separation unit outlet. The collection cloth collects the inner cover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separation unit to prevent re-contamination of the inner covering material.

제1 컨테이너(200)는, 폐기물 반출부(240), 1차 처리 폐전선 반출부(241) 및 제1 배기체 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반출부(240)는,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외부로 반출하게 수집할 수 있다. 1차 처리 폐전선 반출부(241)는 1차 처리 폐전선을 제2 컨테이너(300)로 이송시키기 위해, 1차 처리 폐전선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1차 처리 폐전선은, 제2 컨테이너(300)로 이송될 수 있다. 1차 처리 폐전선이란, 제1 컨테이너(200)로부터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된 폐전선을 말한다. 제1 배기체 배관(230)은, 제1 컨테이너(200)에서 발생한 기체인 제1 배기체를 모을 수 있다. 제1 배기체 배관(230)은 제2 컨테이너(3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200 may include a waste discharging unit 240 , a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discharging unit 241 , and a first exhaust pipe 230 . The waste discharging unit 240 may collect wast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carrying out unit 241 may collect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in order to transfer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to the second container 300 . The collected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tainer 300 .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refers to a waste wire in which at least one of cleaning and stripping of the waste wire from the first container 200 is performed. The first exhaust pipe 230 may collect a first exhaust gas, which is a gas generated in the first container 200 . The first exhaust pip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iner 300 .

<폐전선 분쇄기(310)><Waste wire crusher (310)>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제2 컨테이너(3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의 제2 컨테이너(30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컨테이너(300)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1차 처리 폐전선의 이동 동선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제1 배기체의 이동 동선을 나타낸다.Hereinafter, components of the second contain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 6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second container 300 of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hape of the second container 300 of FIG. 6 as viewed from above. 6 to 7 , an arrow indicated by a solid line indicates a movement line of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and an arrow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dicates a movement line of the first exhaust body.

제2 컨테이너(300)는, 폐전선 분쇄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전선 분쇄기(310)는, 1차 처리 폐전선을 분쇄하여, 분쇄물로 만들 수 있다. The second container 300 may include a waste wire crusher 310 . The waste wire pulverizer 310 may pulverize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and make it into a pulverized product.

<이송집진부(320)><Transfer dust collection unit (320)>

제2 컨테이너(300)는, 이송집진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집진부(320)는, 제1 배기체 및 분쇄물이 투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기체는, 제1 배기체 배관(23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40)을 통해 이송집진부(3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300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320 . 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320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first exhaust body and the pulverized material. The first exhaust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320 through a connection pipe 340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ipe 230 .

이송집진부(320)는, 사이클론(321) 및 집진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100)의 사이클론(321)및 집진부(325)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사이클론(321)은, 유입구(322), 분쇄물 배출구(323) 및 제2 배기체 배출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322)는, 분쇄물 및 제1 배기체가 유입되는 입구이다. 분쇄물 배출구(323)는, 1차 집진물 및 분쇄물을 배출시키는 출구이다. 여기서 1차 집진물은, 제1 배기체 내의 집진물 중 1차 집진된 집진물을 말한다. 제2 배기체 배출구(324)는, 제2 배기체가 배출되는 출구이다. 여기서 제2 배기체는, 제1 배기체가 1차 집진이 완료되어 형성되는 기체를 말한다 제2 배기체 배출구(324)는 집진부(325)와 연결될 수 있다. 사이클론(321)을 통해, 분쇄물 및 제1 배기체를 유입시켜, 1차 집진물 및 분쇄물을 배출시킬 수 있고, 제2 배기체를 집진부(325)로 보내어 2차 집진을 실시할 수 있다.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320 may include a cyclone 321 and a dust collecting unit 325 . 8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yclone 321 and a dust collecting unit 325 of the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clone 321 may include an inlet 322 , a pulverized material outlet 323 , and a second exhaust outlet 324 . The inlet 322 is an inlet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first exhaust gas are introduced. The pulverized material discharge port 323 is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rimary dust collection material and the pulverized material. Here, the primary dust collection material refers to the primary dust collection material among the dust collection materials in the first exhaust body. The second exhaust gas outlet 324 i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econd exhaust gas is discharged. Here, the second exhaust body refers to a gas formed by the first exhaust body completing primary dust collection. The second exhaust gas outlet 324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325 . Through the cyclone 321,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first exhaust may be introduced, the primary dust and the pulverized material may be discharged, and the second exhaust may be sen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325 to perform secondary dust collection. .

집진부(325)는, 집진필터(326), 집진물 수집부(327) 및 제3 배기체 배출구(328)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필터(326)는, 2차 집진물을 여과하여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집진물은, 제2 배기체 내의 집진물을 말한다. 집진필터(326)는, 백 필터(bag filter)일 수 있다. 집진물 수집부(327)는, 집진필터(326)에 의해 걸러진 2차 집진물을 수집할 수 있다. 제3 배기체 배출구(328)는, 제3 배기체를 후술할 기체 처리부(350)로 배출할 수 있다. 제3 배기체는, 집진필터(326)에 의해 제2 배기체가 여과되어 형성된 기체를 말한다. 집진부(325)를 통해, 2차 집진물을 분리 및 수집하며, 기체 처리부(350)로 제3 배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325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filter 326 , a dust collecting unit 327 , and a third exhaust outlet 328 . The dust collecting filter 326 may filter and separate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material. Here,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material refers to the dust collecting material in the second exhaust body. The dust collecting filter 326 may be a bag filter. The dust collection unit 327 may collect the secondary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on filter 326 . The third exhaust gas outlet 328 may discharge the third exhaust gas to a gas processing unit 350 to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exhaust body refers to a gas formed by filtering the second exhaust body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326 .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325 ,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material may be separated and collected, and the third exhaust gas may be discharged to the gas processing unit 350 .

<기체 처리부(350)><Gas processing unit 350>

기체 처리부(350)는, 기체 필터부, 기체 배기팬(352) 및 기체 감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 필터부는, 제3 배기체를 여과할 수 있다. 기체 필터부는, HEPA 필터일 수 있다. 기체 배기팬(352)은, 기체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제3 배기체를 배기구(35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체 감시부(351)는, 기체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제3 배기체의 방사성 물질 포함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gas processing unit 350 may include a gas filter unit, a gas exhaust fan 352 , and a gas monitoring unit 351 . The gas filter unit can filter the third exhaust body. The gas filter unit may be a HEPA filter. The gas exhaust fan 352 may generate a flow for discharging the third exhaust gas filtered through the gas filter un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353 . The gas monitoring unit 351 may acquire information on whether the third exhaust material filtered by the gas filter unit contains radioactive materials.

기체 감시부(351)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체 감시부(351)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연결 될 수 있다. 메모리는 방사성 물질의 포함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The gas monitoring unit 351 may be connected to a processor and a memory. The processor may perform control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gas monitoring unit 351 . The processor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may be associated with a memory. The memory may store control instructions that are a basis for generating, in the processor,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radioactive material is included. The memory may be a data store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rive (SSD), a volatile medium, or a nonvolatile medium.

<분리부(330), 금속반출부(361) 및 잔여물 반출부(360)><Separation unit 330, metal discharging unit 361, and residue discharging unit 360>

제2 컨테이너(300)는, 분리부(330), 금속반출부(361) 및 잔여물 반출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330)는 사이클론(321)에서 배출된 분쇄물 및 1차 집진물을 금속과 잔여물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금속은, 재활용을 위해 금속반출부(361)에서 수집될 수 있다. 분리된 잔여물은, 잔여물 반출부(360)에서 수집될 수 있다. 금속반출부(361) 및 잔여물 반출부(360)는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3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unit 330 , a metal discharging unit 361 , and a residue discharging unit 360 . The separation unit 330 may separate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primary dust collected from the cyclone 321 into metals and residues. The separated metal may be collected in the metal discharging unit 361 for recycling. The separated residue may be collected in the residue discharging unit 360 . The metal discharging part 361 and the residue discharging part 360 may be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200: 제1 컨테이너
210: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
211: 스팀 세정조
212: 스팀 발생기
213: 스팀 응축기
214: 냉각 수조
215: 스팀 배기팬
216: 응축수 펌프
217: 냉매 펌프
218: 응축수 필터
219: 스팀 필터
220: 폐전선 탈피기
221: 탈피부
222: 롤러부
223: 롤러 조절부
224: 피복재 분리부`
230: 제1 배기체 배관
240: 폐기물 반출부
241: 1차 처리 폐전선 반출부
250, 251, 252: 출입문
300: 제2 컨테이너
310: 폐전선 분쇄기
320: 이송집진부
321: 사이클론
322: 유입구
323: 분쇄물 배출구
324: 제2 배기체 배출구
325: 집진부
326: 집진필터
327: 집진물 수집부
328: 제3 배기체 배출구
330: 분리부
340: 연결배관
350: 기체 처리부
351: 기체 감시부
352: 기체 배기팬
353: 배기구
360: 잔여물 반출부
361: 금속반출부
370, 371, 372: 출입문
100: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200: first container
210: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211: steam cleaning tank
212: steam generator
213: steam condenser
214: cooling water bath
215: steam exhaust fan
216: condensate pump
217: refrigerant pump
218: condensate filter
219: steam filter
220: waste wire stripper
221: skin removal
222: roller unit
223: roller control unit
224: cladding material separation part`
230: first exhaust pipe
240: waste discharging unit
241: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exit unit
250, 251, 252: door
300: second container
310: waste wire crusher
320: transfer dust collection unit
321: cyclone
322: inlet
323: pulverized material outlet
324: second exhaust outlet
325: dust collector
326: dust collection filter
327: dust collection unit
328: third exhaust outlet
330: separation unit
340: connecting pipe
350: gas processing unit
351: gas monitoring unit
352: gas exhaust fan
353: exhaust port
360: residue discharge unit
361: metal carrying out part
370, 371, 372: entrance door

Claims (13)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1 컨테이너; 및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이송된 폐전선을 분쇄하고,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테이너는,
폐전선의 비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게 마련되는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a first container provid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cleaning of the closed wire and stripping of the closed wire; and
A second container for crushing the waste wir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tainer, filtering the gas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tainer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first container,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provided to remove non-stick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전선 스팀 세정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게 마련되는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1차 여과하는 스팀 필터;
상기 스팀 필터를 통해 여과된 스팀을 통해 폐전선을 세정하는 스팀 세정조; 및
폐전선을 세정한 후의 스팀이 응축된 응축수를 2차 여과하는 응축수 필터를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wire steam cleaning device,
a steam generator provided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water;
a steam filter for primary filter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a steam cleaning tank for cleaning the waste wire through the steam filtered through the steam filter; and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ondensate filter for secondary filtration of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steam after washing the waste w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는,
폐전선의 고착성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키게 마련되는 폐전선 탈피기를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ainer,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waste wire stripper provided to strip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in order to remove the sticky contamination of the waste wi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폐전선 탈피기는,
한 쌍의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폐전선의 피복재를 탈피시키며, 외면에 칼날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탈피부; 및
상기 한 쌍의 축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축에 동시에 직교하는 직선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탈피부 사이로 폐전선이 인입되어 지나가도록 폐전선을 가압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aste wire stripper,
A pair of stripping skins each rotatably formed about a pair of axes, stripping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waste wire, and including a blade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hafts, and is rotatably formed around a rotation axis parallel to a straight line orthogonal to the pair of axes at the same time, and pressurizes the closed wire so that the closed wire is drawn and passed between the pair of stripping skins. A mobile waste wire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rolle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1 컨테이너; 및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이송된 폐전선을 분쇄하고,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에서 발생한 기체인 제1 배기체를 모으는 제1 배기체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1 컨테이너로부터 폐전선의 세정 및 폐전선의 탈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된 폐전선인 1차 처리 폐전선을 분쇄하는 폐전선 분쇄기; 및
상기 제1 배기체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1 배기체 및 상기 1차 처리 폐전선이 상기 폐전선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어 형성된 분쇄물이 투입되게 마련되는 이송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a first container provid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cleaning of the closed wire and stripping of the closed wire; and
A second container for crushing the waste wir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tainer, filtering the gas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tainer and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first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exhaust pipe for collecting a first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first container,
The second container,
a waste wire crusher for pulverizing a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that is a waste wire on which at least one of cleaning and stripping of the waste wire from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performed; and
The first exhaust body and the primary treatment waste wire introduced through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ipe further include a transport dust collecting unit provided to be put into the pulverized product formed by pulverizing through the waste wire pulverizer ,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송집진부는,
상기 분쇄물 및 상기 제1 배기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1 배기체 내의 집진물 중 1차 집진된 1차 집진물 및 상기 분쇄물을 배출시키며, 상기 제1 배기체가 1차 집진이 완료되어 형성된 제2 배기체를 배출하는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first exhaust body are introduced, and the primary dust collected and the pulverized product among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exhaust body are discharged, and the first exhaust body is formed after the primary dust collection is completed. 2 Containing a cyclone discharging exhaust gas,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집진부는,
상기 제2 배기체 내의 집진물인 2차 집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상기 2차 집진물을 수집하며, 상기 제2 배기체가 여과되어 형성된 제3 배기체를 배출하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ransfer dust collecting unit,
Removable waste, further comprising a dust collector for filtering and separating a secondary dust collector that is a dust collector in the second exhaust body, collecting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material, and discharging a third exhaust body formed by filtering the second exhaust body wire handling devi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제3 배기체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기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gas processing unit for filtering and discharging the third exhaust body, a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체 처리부는,
여과된 상기 제3 배기체의 방사성 물질 포함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체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gas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gas monitoring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filtered third exhaust contains radioactive material,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테이너는,
상기 사이클론에서 배출된 상기 분쇄물 및 상기 1차 집진물을 금속과 잔여물로 분리하게 마련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폐전선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unit provided to separate the pulverized product and the primary dust collected from the cyclone into a metal and a residue, the mobile waste wire treatment device.
KR1020200059149A 2020-05-18 2020-05-18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KR102395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49A KR102395102B1 (en) 2020-05-18 2020-05-18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49A KR102395102B1 (en) 2020-05-18 2020-05-18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89A KR20210142389A (en) 2021-11-25
KR102395102B1 true KR102395102B1 (en) 2022-05-09

Family

ID=7874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49A KR102395102B1 (en) 2020-05-18 2020-05-18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10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90B1 (en) * 2009-03-20 2011-09-28 하나검사기술 주식회사 Rad Waste Cable Stripper
KR101278210B1 (en) * 2011-12-02 2013-07-01 한국원자력연구원 Movable melting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active metal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89A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3143B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edical wast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395102B1 (en) Portable wasted wire processing apparatus
CN206688803U (en) A kind of pharmaceutical purpose Lowtemperaturepulverizer of energy-conservation
EP0557030B2 (en) Washing apparatus
CN108097370A (en) A kind of recycling of innoxious old and useless battery can utilize device
CN110586303A (en) Collection device convenient to smash metal waste and have cleaning function
CN207628479U (en) A kind of integrative machine building waste sorting and crushed
CN110882783A (en) Waste timber fragmentation treatment device with dust removal function
CN210995459U (en) Raw material crushing device for pharmaceutical intermediate preparation
CN210787618U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ocessing is with heating milling equipment
KR200470873Y1 (en)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JP2001300335A (en) Crushing machine for waste, such as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product
JP6777362B2 (en) Dust removal system and cleaning equipment
CN218872323U (en) Auxiliary device is used in production of metal hafnium
CN111701707A (en)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quipment
CN106705105B (en) A kind of garbage disposa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nd method
CN212732444U (en) Solid useless shearing type breaker for processing
CN213611918U (en) Discharging device for recycling cocoa powder
JP66756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contaminated concrete lump
CN214655409U (en) High efficiency edulcoration scutcher
CN218873247U (en) Short stress hot rolling mill
CN212348869U (en)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quipment
KR102298694B1 (en) Movable Apparatus for Volume Reduction Processing of Radioactive Concrete Wastes
JP2022093091A (en) Method of removing deteriorated layer of waste plastic
US20230001420A1 (en) A food waste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