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706B1 -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706B1
KR102394706B1 KR1020210008357A KR20210008357A KR102394706B1 KR 102394706 B1 KR102394706 B1 KR 102394706B1 KR 1020210008357 A KR1020210008357 A KR 1020210008357A KR 20210008357 A KR20210008357 A KR 20210008357A KR 102394706 B1 KR102394706 B1 KR 10239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ccommodating
storage box
do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규
김동배
이정진
장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스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스굿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스굿
Priority to KR102021000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7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64Conditioning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Housings, e.g. machin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B2001/003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storage box for a manufacturing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 Provided is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a manufacturing device which includes: a manufacturing device (10); an accommodating part (10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device; a measurement part (200)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by means of a measurement sensor; an adjusting part (400) for adjust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control part (300) for receiving sensor information from the measurement par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rt.

Description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여, 생산되는 피공정물 수용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조 장치용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 device for performing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in, and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space for receiving an object to be produced.

특허문헌 001은 초정밀 가공기가 내장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밀폐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유동라인; 상기 챔버의 전 영역을 둘러 배치되는 습도-온도 감지수단; 상기 습도-온도 감지수단으로부터 습도 및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수단; 상기 데이터 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습도 및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를 제어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가지 가습하는 가습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하강할 경우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제습하는 제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수단의 데이터와 상기 설정된 온도를 비교한 후, 압력-온도-습도 변화의 연관관계를 통해 기설정된 로직을 통해 상기 가습수단 또는 제습수단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제어를 이용한 챔버 내부온도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discloses a chamber in which an ultra-precision processing machine is built-in and is formed entirely sealed; an air flow line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and discharged into the chamber; Humidity-temperature sensing means disposed around the entire area of the chamber; data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from the humidity-temperature detecting mean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inside the chamber us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mean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t a set temperature; humidifying means for humidifying the chamber unti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reaches a set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rise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and dehumidifying means for dehumidifying unti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reaches a set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decreases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includes the data of the data collection means and the set temperature. After comparing the temperature, a technology related to a chamber internal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humidity control is presen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umidifying means or dehumidifying means is operated through a logic preset through the correlation of pressure-temperature-humidity change, and there is.

특허문헌 002는 사용 장비; 온도와 습도에 정밀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사용 장비에서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온, 정습 정밀 제어기; 상기 사용 장비와 상기 정온, 정습 정밀제어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상기 사용 장비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습도 센서; 상기 정온, 정습 정밀제어기에 물 공급이 어려운 환경인 경우, 필요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공급 물통; 을 포함하는 정온, 정습 정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2 describes equipment used; A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precision controller for minimizing errors in the used equipment by supporting the efficient use of precise equipment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used equipment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precision controll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used equipment; a supply water tank for smoothly supplying necessary water when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to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precision controller; It presents the technology for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precision control system including

특허문헌 003은 내부에 전시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외부에서 상기전시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제1 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온도정보의 값이 설정온도정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온도 정보의 값이 상기 설정온도정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조절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습도정보의 값이 설정습도정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습도정보의 값이 상기 설정 습도정보의 값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수용공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온도정보와 상기 습도정보와 상기 설정온도정보와 살기 설정습도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부; 를 포함하는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진열장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3 includes: a first case uni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n exhibition object is accommodated, and to be able to observe the exhibition object from the outside; a sensor unit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sens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 generat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value of the se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so that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value of the se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sensor When the value of the hum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nit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value of the set humidity information,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adjusting unit so that the value of the humidit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value of the set humidity information; a terminal uni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humidity information, the se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living setting humidit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a screen so as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It presents a technology for a display case that can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including

특허문헌 004는 케미컬 세정 및 물 세척 공정을 마친 건조대상 웨이퍼가 내부에장착되는 챔버; 상기 참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대상 웨이퍼가 상면에 장착된 상태로, 사전설정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체; 상기 챔버에서 건조대상 웨이퍼의 상부에 이격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부; 사기 히터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부에서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외기가, 상기 건조대상 웨이퍼 전체며에 걸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유입부; 상기 챔버 내 건조대상 웨이퍼 주변 다수 온/습도센서의 측정온도를 전달받아, 사전설정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히터부를 가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사전설정조거으로 항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도 및 습도 조절형 히터를 갖는 Ÿ‡클린장비용 웨이퍼 공정챔버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discloses a chamber in which a wafer to be dried after chemical cleaning and water cleaning is mounted; a rotating body installed in the chamber to rotate the drying target wafer at a preset speed while the wafer to be drie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 heater uni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afer to be dried in the chamb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incoming outside air to control humidity; an air inlet tha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ter unit so that the outside air whos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controlled in the heater unit is uniformly su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afer to be drie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a plurality of temperature/humidity sensors around the wafer to be dried in the chamber, and operates the heater unit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a preset temperature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chamber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by a preset jog; It presents a technology for a wafer process chamber for clean equipment with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heater that includes

KR 10-1437631 B1 (2014년08월28일)KR 10-1437631 B1 (28 Aug 2014) KR 10-2020-0098221 A (2020년08월20일)KR 10-2020-0098221 A (20 Aug 2020) KR 10-2016-0045319 A (2016년04월27일)KR 10-2016-0045319 A (27 April 2016) KR 10-2160436 B1 (2020년09월22일)KR 10-2160436 B1 (September 22, 2020)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여, 생산되는 피공정물 수용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a device for performing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in, an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production target object receiving space.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조 장치용 보관함에 관한 발명이며, 제조장치(10); 상기 제조장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 내부의 환경조건을 계측용 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수용부 내부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400); 상기 측정부의 센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 accommodating part 10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measuring unit 200 for measur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by a measurement sensor; a control unit 400 for adjust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a control unit 300 receiving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수용부(100)는 전면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제1 함체(110); 상기 제1 함체(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함체(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함체(120); 를 포함한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with a front portion, and a first housing 110 standing from the ground; a second housing 120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housing 110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housing 11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수용부(100)는 전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도어(101); 를 포함한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in the front portion, the door 101 for selectively sealing the front portion;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도어(101)의 후면부와 접하는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 개구부에 배치되는 마그네틱부(102); 를 포함한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gnetic part 102 disposed in openings of a plurality of the housings 110 and 120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door 101;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도어(101)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와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의 개구부와 접하는 후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101-1); 를 포함한다.The door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portion 101-1 formed between a fron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rea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the housings 110 and 120; includes

본 발명의 복수의 상기 제어 수단(400)은 상기 수용부(10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제원을 가변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control means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out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 and are formed in a structure to vary the dimensions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side.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100) 하단부에 배치되는 질량 가변부(5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s variable unit 50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100;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100)와 연동되어,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상태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표시부(7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accommodating unit 100, the accommodating unit 100, a display unit for the manager to monitor the inside of the state in real time (700); includes

본 발명은 제조 장치 기구와 원료를 일정한 제원 값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성형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도중에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악취가 관리자에게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의 회동 방향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됨에 따라, 본 발명의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을 일부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finally produced molded article can be improved by arrang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raw material in a space formed with a constant specification valu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osur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odor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the manager. Furthermore, as the degree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ccommodating part is improved, som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limin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복수의 자성체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스위치와 와이어의 회동축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그네틱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창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순환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질량 가변부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의 연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rotation axis control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gne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window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ircul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examples of the mass vari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The 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only to the objects of reference, and may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 The higher-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sub-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제조장치(10); 상기 제조장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 내부의 환경조건을 계측용 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수용부 내부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400); 상기 측정부의 센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Embodiment 1-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instrument therein, compris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10; a accommodating part 10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measuring unit 200 for measur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by a measurement sensor; a control unit 400 for adjust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300 receiving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measur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unit.

본 발명은 3D 프린터와 같은 장치를 수용하는 보관함에 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작업과정 중, 환경에 의해 제품의 영향을 받으며, 또한 외부의 영향(외부진동 등)에 의해 제품 품질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that houses a device such as a 3D printer. 3D printers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 during the work process, and product quality problems may occur due to external influences (external vibration, etc.).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and vibration ar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조장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조건을 형성한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환경조건(온도, 습도 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측정부, 조절부, 제어부의 장치를 포함한다. 측정부는 수용공공간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측정하며, 조절부는 설정된 환경조건을 구현하며, 조절부의 작동은 측정부에서 계측된 정보를 입력받아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에 의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presented above. To implement th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to form a condi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humidity, etc.)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device includes a measuring unit, a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commodating void space, and the control unit implements the se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operates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해, 제조장치는 설정된 환경에서 제품을 제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제품의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can obtain the effect of manufacturing a product in a set environment. Also, since it is not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product errors.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조장치는 3D프린터, 3차원가공기, 조각기 등이 해당되어진다. 상기 수용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형성한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3D printer, a 3D processing machine, an engraver, and the like. The receiving portion forms a door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실시예 1-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온도 값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210);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습도 값을 측정하는 습도 센서(220);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공기에 대한 오염도 값을 측정하는 공기 오염도 센서(230); 를 포함한다. 수용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원료(20)는 복수의 요인에 의해 성질이 변형될 수있다. 이 때, 원료(20)의 상태나 성질을 변형시키는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온도, 습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수용부(100) 내부의 온도 값과 습도 값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용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측정부(200)는 온도 값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210), 습도 값을 측정하는 습도 센서(220)를 포함한다. (Embodiment 1-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 1-1, the measuring unit 200 measures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temperature sensor 210; Humidity sensor 220 for measuring the humidity value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100; an air pollution level sensor 230 for measuring a pollution level value of the air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includes The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2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be modified by a plurality of factors. At this time, as a representative factor that changes the state or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20, temperature and humidity may be mentioned as examples. That is, the manager needs to recogniz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100 . Accordingly, the measur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210 for measuring a temperature value and a humidity sensor 220 for measuring a humidity value.

또한 수용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제조장치(10)는 실시되는 제조 공정에 따라 주변에 유해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100)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형성할 시에는 유해물질이 관리자가 위치하는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수용부(100) 내부에 대한 공기 오염도 값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측정부(200)는 수용부(100) 내부의 공기 오염도 값을 측정하는 공기 오염도 센서(2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generate harmful substances around it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being carried out. At this time,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opened to form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phenomenon in which harmful substances are leaked to the outside where the manager is located may occur. That is, the manager needs to recognize the air pollution degree value for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Accordingly, the measurement unit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air pollution level sensor 230 for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value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100 .

(실시예 1-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수용부(100)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1-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instrument therein, In Embodiment 1-1, the plurality of adjusting units 400 are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

(실시예 1-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온도 값을 상승시키는 온도 조절 노즐(410);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습도 값을 가변시키는 수분 분사 노즐(420);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음이온 발생 수단(430); 을 포함한다. (Embodiment 1-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s 1-3, the plurality of adjusting units 400 adjust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Temperature control nozzle 410 to raise; a water spray nozzle 420 for varying the humidity value inside the receiving part 100; Negative ion generating means 430 for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cludes

조절부(400)는 수용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측정부(200)와 연동되는 제어부(300)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즉, 조절부(400)는 측정부(200)에서 실측하는 제원 값을 가변시킨다. 따라서, 조절부(400)는 수용부(100) 내부의 온도, 습도 값을 가변시키고, 내부 공기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정화시키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조절부(400)는 수용부(100) 내측에 배치되어, 수용부(100) 내부 공간의 제원을 직접적으로 가변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비교적 단시간내에 원하는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수용부(100) 내측에서 계측되는 온도 값에 따라, 온도 조절 노즐(41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 값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수용부(100) 내측의 온도 값이 관리자의 기설정 온도 값보다 높은 값으로 계측된다면, 제어부(300)에서 연산이 완료된 낮은 온도 값의 유체가 분사된다. 이 때, 분사되는 유체의 상태와 성질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아, 관리자는 액상의 수분을 분사하는 수랭식(水冷式)과 기상의 냉기를 분사하는 공랭식(空冷式) 중 택일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수용부(100) 내측의 온도 값이 관리자의 기설정 온도 값보다 낮은 값으로 계측된다면, 제어부(300)에서 연산이 완료된 높은 온도 값의 유체가 분사된다.The control unit 400 is selectively activated by the control unit 300 interlocking with the measuring unit 200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 That is, the adjusting unit 400 changes the dimension value actually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20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100, and purifying the harmful substances remaining in the internal air. In this case, the adjusting unit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imensions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are directly varied.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can create a desired environment in the space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nozzle 410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 If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measured to be higher than the administrator's preset temperature value, the fluid of the low temperature value for which the calculation is completed in the controller 300 is injected. At this time, the state and properties of the injected fluid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and the administrator can choose between a water cooling type that sprays liquid moisture and an air cooling type that sprays gaseous cold air.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value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100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the administrator's preset temperature value, the fluid having a high temperature value for which the calculation is completed in the control unit 300 is injected.

상기한 온도 조절 구성은 증발과 응축을 수행하는 별도의 냉동 사이클과 연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냉동 사이클은 냉매가 증발기와 응축기에 의해주변에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열에너지의 이동을 활용하는 히트 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control configura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associated with a separate refrigeration cycle for performing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At this time, the refrigeration cycle may be formed as a heat pump utilizing the transfer of thermal energy that the refrigerant emits or absorbs to the surroundings by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실시예 1-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수용부(100) 내측에서 생성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자외선 조사부; 를 포함한다.(Example 1-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s 1-4,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100. UV irradiation unit to remove; includes

(실시예 1-6)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수용부(100)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광촉매 수단; 을 포함한다.(Example 1-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 1-5, the UV irradiation unit includes a lamp for irradiating UV light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unit 100; a photocatalyst means disposed around the lamp to promote a photochemical reaction of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lamp; includes

자외선 조사부는 음이온 발생 수단(430)에 의해 정화되지 않는 수용부(100) 내의유해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 때, 자외선 조사부는 주변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 외에도 자외선으로부터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스티렌과 카프로락탐과 같은 유해물질과의 광화학 반응을 개시하는 광촉매 수단을 포함한다. 즉, 광촉매 수단은 램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스티렌과 카프로락탐의 광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광촉매 수단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별도로 한정하지는 않으나, 수분 분사 노즐(420)에서 분사하는 수분으로부터 수소 및 산소 기체를 얻을 수 있는 이산화 타이타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s configured to remove harmful chemical substances in the receiving unit 100 that are not purified by the negative ion generating means 430 . In this cas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ncludes a photocatalytic means for absorbing light energy from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to a lamp emitting ultraviolet rays to the surroundings to initiate a photochemical reaction with harmful substances such as styrene and caprolactam. That is, the photocatalytic means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promotes a photochemical reaction between styrene and caprolactam by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lamp. At this time, the material used as the photocatalytic mean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but is preferably formed of titanium dioxide from which hydrogen and oxygen gas can be obtained from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 spray nozzle 420 .

(실시예 1-7)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의 하단부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는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한다.(Embodiment 1-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mbodiment 1-1,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spacing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100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includes

(실시예 1-8)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수용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밀착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위상을 결정하는 높이 제어 수단; 을 포함한다. (Embodiment 1-8)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In Examples 1-7, the height adjustment part includes a pos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toward the ground; a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ost, the lower end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height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the phase of the support; includes

수용부(1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관리자는 제조장치(10)에서 실시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제조장치(10)와 원료(20)를 수용하는 수용부(100)의 위상을 결정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부(100)는 하단부와 지면 사이에 이격되는 높이 값을 결정하는 높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높이 제어부는 지면과 밀착하는 지지체와 수용부(100) 하단부의 높이를 결정하는 높이 제어 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 제어 수단은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체를 이송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높이 제어 수단은 지주의 외주부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산과 지지체 내주부에 지주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골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to stand up from the ground.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manager to easily grasp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manufacturing device 10 ,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determines the phase of the manufacturing device 10 and the accommodating part 100 accommodating the raw material 20 . Do. 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height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height value spaced apart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ground. At this time, the height control unit may be formed with a height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receiving unit 100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he height control means is a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formed in a transport structure. For example, the height control mean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crew thread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le and a screw troug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pole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pport.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는 전면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장치(10)를 수용하는 제1 함체(110); 상기 제1 함체(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함체(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조장치(10)에서 필요한 원료(20)를 수용하는 제2 함체(120); 를 포함한다. (Embodiment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xample 1-1, the receiving part 100 is formed in an open shape with a front part, and is formed by standing up from the ground. , a first housing 110 for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for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 second housing 120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housing 110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housing 110 to receive the raw material 20 requir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includes

제조장치(10)와 원료(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00)는 조절부(400)에 의해 내부 공간을 조성하는 제원 값이 가변된다. 이 때, 공정을 실시하는 제조장치(10)와 제조되는 성형품을 구성하는 원료(20)는 상이한 제원 값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장치(10)와 원료(20)는 각각 개별적인 공간에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수용부(100)는 제조장치(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함체(110)와 원료(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함체(120)로 형성된다. 이 때, 관리자는 통상적으로 원료(20)의 상태를 인지하는 횟수보다 제조 공정을 실시하는 제조장치(10)의 상태를 인지하는 횟수가 많은 것을 고려하여, 제2 함체(120) 상측에 제1 함체(110)가 개재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ccommodating part 100 for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therein, the specification value for creating an internal space is varied by the adjusting part 400 . At this tim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performing the process and the raw material 20 constituting the molded article to be manufactured may require different specification values. Therefor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are each formed in a structure accommodated in a separate space. In order to realize the structure,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of a first housing 110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therein and a second housing 120 accommodating the raw material 20 therein. At this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manager recognizes the stat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state of the raw material 20 is recognized, the first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110 is interposed.

(실시예 2-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제1 함체(110)와 상기 제2 함체(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결합재(1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2-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and in Example 2-1,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cludes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 120) interposed between the bonding material 130 to maintain the mutual bonding force; includes

결합재(130)는 제1 함체(110)과 제2 함체(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제1 함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제조장치(10)는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성형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구성이 2축 내지 3축을 따라 이송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특정 구성의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장치(10)가 일정하지 않은 진동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장치(10)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은 제조장치(10) 외주부에 배치되는 제1 함체(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함체(110)가 제2 함체(120) 상단부에 단순히 재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면, 제조 공정을 실시하는 제조장치(10)에 의해 진동수를 갖는 제1 함체(110)가 제2 함체(1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binder 130 is configured to mutually coupl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110 is generally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specific process is transferred along 2 to 3 axes in order to process the finally finished molded product. That is, as the position of a specific configuration is formed in a variable structure, it means that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has a non-constant frequenc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itself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housing 110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 At this time, if the first housing 11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simply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using 120 , the first housing 110 having a frequency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the second A phenomenon of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20 may occu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는 별도의 결합재(130)에 의해 하나의 결합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재(130)는 복수의 함체(110,120)가 상호 접하는 구간에 대한 복수의 모서리부에 개재되며, 복수의 함체(110,120)는 결합재(130)와 접하는 구간에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합축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포함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formed as a single bonding structure by a separate bonding material 130 . At this time, the binder 130 is interposed in a plurality of corners for a s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enclosures 110 and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enclosures 110 and 120 is a coupling shaft that improves the mutual coupling force in the section in contact with the binder 130 .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separate component, such as

(실시예 2-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제1 함체(110)의 내부와 상기 제2 함체(120)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켜, 상기 제2 함체(120) 내측의 원료를 상기 제1 함체(110) 내측으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140); 를 포함한다.(Embodiment 2-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mbodiment 2-1,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cludes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a raw material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a raw material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to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by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with each other; includes

(실시예 2-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부(140)는 일단이 상기 제2 함체(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함체(110)와 결합하는 공급관(141); 상기 제2 함체(120) 내측에 수용되어, 원료를 상변화시키는 용융부(142); 를 포함한다.(Embodiment 2-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and in Example 2-3,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40 has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20, a supply pipe 141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10; The second housing 1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elting portion 142 for changing the phase of the raw material; includes

(실시예 2-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체(120) 내부에 수용되는 원료는 상기 공급관(141)과 연결된 롤러(143)의 외주부에 권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조 공정을 실시하는 제조장치(10)와 성형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원료(20)가 각각 독립적인 공간에 수용됨에 따라, 제2 함체(120) 내부의 원료(20)를 제1 함체(110)의 기구로 공급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함체(110,120)의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공급관(141)과 공급관(141)을 따라 이동한 원료를 제조장치(10)에 적합한 상태로 용융시키는 용융부(142)로 형성되는 원료 공급부(14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함체(120) 내부에 수용되는 원료(20)는 공급관(141) 내측으로 권출시키는 롤러(143)의 외주부에 권취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원료(20)에 대한 교체 작업을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Embodiment 2-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and in Example 2-4, the raw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12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41 It is formed in a structu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ller (143). A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raw material 20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product are accommodated in an independent space, the raw material 20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housing 110 . A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supply with the mechanism of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pipe 141 for interconnecting the internal spaces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and the melting part 142 for melting the raw material moved along the supply pipe 141 to a state suitable for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formed raw material supply unit 140 . In addition, the raw material 20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ller 143 for unwinding to the inside of the supply pipe 141 . As it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ven a non-skilled person can easily perform a replacement operation for the raw material 20 .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는 전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도어(101); 를 포함한다.(Embodiment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xample 2-1, the receiving part 1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ront part is opened, and the front part is optional. a door 101 to seal with; includes

수용부(100)는 제조장치(10)와 원료(20)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 때, 수용부(100)는 관리자에 의한 유지보수가 제조장치(10)와 원료에 수행될 수 있도록, 전면부가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조장치(10)가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상황에서도 수용부(100)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면, 공정 중에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악취가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용부(100)의 전면부에는 외부와의 연통 구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도어(101)가 설치된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therein.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art is opened and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so that maintenance by an administrator can be performed 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However,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performs the manufacturing process, i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par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harmful substances and odor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may be delivered to the manag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oor 101 that selectively forms a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실시예 3-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전면부 폭방향 일단 및/또는 타단에 배치되는 손잡이(101-2); 폭방향 양단에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동축(101-3); 을 포함한다.(Embodiment 3-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3-1, the door 101 has a handle ( 101-2); a rotation shaft (101-3) passing through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cludes

도어(101)는 복수의 함체(110,12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도어(101)는 폭방향 일단과 타단에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관통되는 회동축(101-3)이 형성되는 여닫이 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회동축(101-3)은 관리자에 의해 도어(101)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회동축(101-3)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도어(101)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의 손잡이(101-2)도 도어(101)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됨에 따라, 관리자는 수용부(100)의 내측 공간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The door 101 i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In this case, the door 101 may be formed of a hinged door in which a rotation shaft 101-3 penetrat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rotation shaft 101-3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101 by an administrator, and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protruding rotation shaft 101-3 to rotate the receiving part ( 100) Open the inner space. Accordingly, as the handles 101 - 2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101 are also formed at both ends of the door 101 in the width direction,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ope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 . there is.

(실시예 3-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상기 회동축(101-3)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제1 자성체(101-4A); 상기 제1 자성체(101-4A)와 대향되어, 상기 도어(101) 내측에 고정되는 제2 자성체(101-4B); 를 포함한다.(Embodiment 3-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mechanism therein. In Embodiment 3-2, the door 101 is a first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1 magnetic material (101-4A); a second magnetic body (101-4B) facing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101); includes

(실시예 3-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101-4A)는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극성이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3-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In Embodiment 3-3,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has a polarity variable by a current flowing therein. formed into a structure.

(실시예 3-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상기 제1 자성체(101-4A)와 연동되어, 전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1 스위치(101-5A); 를 포함한다.(Embodiment 3-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3-4, the door 101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A first switch (101-5A) for selectively applying; includes

도어(101)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동축(101-3)은 관리자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회동축(101-3) 외주부와 도어(101)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체(101-4)에 의해 실현된다. 회동축(101-3)의 평면상 위치를 결정하는 도어(101)의 내부에는 고정적인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 자성체(101-4B)가 배치된다. 이 때, 회동축(101-3) 외주부와 결합하는 제1 자성체(101-4A)는 제2 자성체(101-4B)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자성체(101-4A)는 전류가 선택적으로 흐르는 도선을 포함하는 전자석으로 형성된다. 즉, 도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시에는 제2 자성체(101-4B)와 동일한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여, 회동축(101-3)이 도어(10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반해, 도선에 전류가 흐를 시에는 제2 자성체(101-4B)와 상반된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어, 회동축(101-3)이 도어(101)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 제1 자성체(101-4A)는 제1 스위치(101-5A)와 연동되어, 회동축(101-3)의 위치를 제어한다. 즉, 관리자는 제1 스위치(101-5A)로 제1 자성체(101-4A) 내부 도선의 전류를 제어함에 따라, 회동축(101-3)이 도어(101)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부(100) 내측을 개방시킨다.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0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door 101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to protrude or sink in the height direction by an administrator. The above structure is realized by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101-4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and the inside of the door 101 . A second magnetic body 101-4B that forms a fixed magnetic field is disposed inside the door 101 that determines the planar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101-3.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magnetic body 101-4B. The first magnetic material 101-4A is formed of an electromagnet including a conducting wire through which a current selectively flows. That is, when no current flows in the conducting wire, a magnetic field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101-4B is formed, and the rotation shaft 101-3 protrudes upward or downward of the door 101 . On the other hand, when a current flows in the conducting wire, a magnetic field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101-4B is formed, and the rotation shaft 101-3 is inserted into the door 101 .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switch 101-5A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101-3. That is, as the manager controls the current of the inner conductor of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with the first switch 101-5A, the rotation shaft 101-3 is inserted into the door 101 and the receiving unit 100 ) to open the inside.

(실시예 3-6)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101-3)을 내부에 수용하는 회동축 결합 홈(101-6); 을 포함한다.(Embodiment 3-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3-3, the door 10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the rotation shaft 101-3 ) to accommodate the rotation shaft coupling groove (101-6) therein; includes

(실시예 3-7)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 결합 홈(101-6)은 상기 제2 자성체(101-4B)를 내부에 고정시키고, 복수의 상기 자성체(101-4A,101-4B)를 내부에 수용하는 회동축 홀(101-6A); 상기 회동축 홀(101-6A)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101-3)의 이송 경로를 유도하는 회동축 홈(101-6B); 을 포함한다. (Embodiment 3-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3-6, the rotation shaft coupling groove 101-6 is the second magnetic body 101-4B. a rotation shaft hole (101-6A) for fixing therein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e magnetic bodies (101-4A, 101-4B) therein; a rotation shaft groove (101-6B) formed in a structure to communicate the rotation shaft hole (101-6A) with the outside to guide a transport path of the rotation shaft (101-3); includes

회동축(101-3)이 도어(10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구조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어(101) 내측에서 회동축(101-3)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도어(101)의 높이 방향 외에 의도치 않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도어(101)의 내측에는 회동축(101-3)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로를 따라 도어(101)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회동축 결합 홈(101-6)이 형성된다. 이 때, 회동축 결합 홈(101-6)은 회동축(101-3)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회동축 홈(101-6B)와 제1 자성체(101-4A)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회동축 홀(101-6A)로 형성된다. 제1 자성체(101-4A)는 회동축(101-3)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회동축 홀(101-6A)과 회동축 홈(101-6B)은 동일한 중심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 홀(101-A)의 내경은 회동축 홈(101-6B)의 내경보다 큰 값으로 형성되어, 제1 자성체(101-4A)의 이동 경로를 제한한다.In order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shaft 101-3 is transpor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101 ,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is gripped inside the door 101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101 . In addition, the phenomenon of unintentional movement in a different direction should be prevented. Accordingly, on the inside of the door 101, the rotation shaft coupling groove 101-6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ward from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door 101 along the path of the ascending or descending path of the pivot axis 101-3 is formed. do. 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coupling groove 101-6 is a rotation shaft groove 101-6B for gripp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and a rotation shaft hole for gripp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101-6A) is formed. As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is formed in a structure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the rotation shaft hole 101-6A and the rotation shaft groove 101-6B have the same center. can be formed with Also,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hole 101 -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groove 101 - 6B,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실시예 3-8)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101-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결합되어,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101-2)의 일단부를 기점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는 제2 스위치(101-5B); 를 포함한다.(Embodiment 3-8)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3-2, the door 101 has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handle 101-2. a second switch (101-5B) coupled to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handle (101-2); includes

(실시예 3-9)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일단이 상기 제2 스위치(101-5B)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회동축(101-3)과 결합하는 와이어(101-7); 를 포함한다.(Embodiment 3-9)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3-8, the door 101 has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101-5B. and a wire 101-7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01-3; includes

도어(101)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동축(101-3)은 제2 스위치(101-5B)와 와이어(101-7)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위치(101-5B) 일단부는 손잡이(101-2) 후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손잡이(101-2)의 후면부로부터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 때, 일단부를 중심으로 제2 스위치(101-5B)의 타단부가 손잡이(10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 일단부가 제2 스위치(101-5B)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축(101-3)의 내측 단부와 결합되는 와이어(101-7)에 의해 회동축(101-3)이 도어(101)의 내측으로 함몰된다. 즉, 관리자는 제2 스위치(101-5B)로 회동축(101-3)의 위상을 기계적으로 가변시켜 수용부(100) 내측을 개방시킨다.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0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door 101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sink in the height direction by the second switch 101-5B and the wire 101-7. there is.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es 101-5B is coupled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101-2,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a shape inclin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101-2. At this time, wh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101-5B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andle 101-2 around one end, one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101-5B.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101-3 is recess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101 by the wire 101-7 coupled to the inner end of the rotation shaft 101-3. That is, the manager mechanically changes the phase of the rotation shaft 101-3 with the second switch 101-5B to ope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도어(101)의 후면부와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네틱부(102); 를 포함한다.(Embodiment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3-1, the storage unit 100 includes a rear portion of the door 101 and a plurality of the enclosures ( 110 and 120) a magnetic portion 102 disposed between the openings; includes

(실시예 4-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부(102)는 상기 도어(101)와 접하는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제1 마그네틱부(102-1); 상기 도어(101)의 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마그네틱부(102-1)와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마그네틱부(102-2); 를 포함한다.(Embodiment 4-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4-1, the magnetic part 102 includes a plurality of the enclosures 110 and 120 in contact with the door 101. ) a first magnetic part (102-1) fixed to the opening; a second magnetic part (102-2) fixed to the rear part of the door (101)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ic part (102-1); includes

도어(101)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구성이다. 즉, 수용부(100) 내측 공간은 유해물질과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조 공정 시에 발생하는 각종 유해물질과 악취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여, 미세한 틈새로도 관통하여 확산이 가능한 물질이다. 따라서,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시에는 수용부(100)의 개구부와 도어(101) 사이의 상호 밀착력을 극대화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수용부(100)는 개구부와 도어(101)의 후면부에는 상호 상반된 극성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틱부(102)가 배치된다. 즉, 도어(101)의 후면부와 접하는 개구부에는 자기장이 형성되는 제1 마그네틱부(102-1)와 도어(101)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틱부(102-2)가 배치되어, 상호 밀착력을 극대화한다.The door 101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blocks the opening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and odors to the outside. Various harmful substances and odor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xist in a gaseous state, and are substances that can penetrate and diffuse through even minute gaps. Therefore, when blocking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from the outsid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mutual adhesion between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and the door 101 .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structure, the receiving part 10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part 102 that forms magnetic fields having opposite polarities to each other in the opening and the rear part of the door 101 . That is, the first magnetic part 102-1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02-2 disposed in the rear part of the door 101 are disposed in the opening in contact with the rear part of the door 101, so that mutual adhesion force is provided. to maximize

(실시예 4-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틱부(102-2)는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네틱부(102-1)와 상반되는 극성의 자기장이 생성되는 전자석으로 형성된다. 관리자가 도어(101)를 열어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개방할 시에는 마그네틱부(102)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력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관리자가 작은 값의 외력으로도 도어(101)를 이용하여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어(101) 후면부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틱부(102-2)는 전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마그네틱부(102-2)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개방할 시에 제2 마그네틱부(102)의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Embodiment 4-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4-2, the second magnetic part 102-2 is formed by a current flowing inside the first It is formed of an electromagnet in which a magnetic field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magnetic part 102-1 is generated. When the manager opens the door 101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adhesive force formed by the magnetic part 102 . This is for the manager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by using the door 101 even with a small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ic part 102 - 2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1 may be formed of an electromagnet.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ic part 102 - 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blocks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ive line of the second magnetic part 102 whe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opened.

(실시예 4-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틱부(102-2)는 상기 제1 스위치(101-5A)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4-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mbodiment 4-3, the second magnetic part 102-2 is the first switch 101-5A.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linked to

(실시예 4-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틱부(102-2)는 상기 제1 자성체(101-4A)의 극성이 가변될 시에 전력이 차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4-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In Example 4-4, the second magnetic part 102-2 is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power is cut off when the polarity of the

제2 마그네틱부(102-2)는 관리자가 도어(101)를 회동시켜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개방할 시에 선택적으로 내부 전류가 차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2 마그네틱부(102-2)는 제1 자성체(101-4A)의 극성을 가변시키는 제1 스위치(101-5A)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제1 스위치(101-5A)에 압력을 가하면, 제1 자성체(101-4A) 내부 도선의 전류 방향을 전환하여 제2 자성체(101-4B)와 상반된 극성의 자기장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 마그네틱부(102-2) 내부 도선의 전류를 차단시켜 제1 마그네틱부(102-1)와의 밀착력을 해제한다.The second magnetic part 102 - 2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current is selectively cut off when the manager rotates the door 101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function, the second magnetic part 102-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terlocked with the first switch 101-5A for changing the polarity of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That is, when the manager applies pressure to the first switch 101-5A,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inner conductor of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is changed to form a magnetic field of the opposite polarity to that of the second magnetic body 101-4B.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of the internal conducting wire of the second magnetic part 102-2 is cut off to release the adhesive force with the first magnetic part 102-1.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와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의 개구부와 접하는 후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101-1); 를 포함한다.(Example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xample 3-1, the door 101 has a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the enclosures 110 and 120 A hollow portion (101-1) formed between the rea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pening of the; includes

(실시예 5-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빛이 투과되는 복수의 창(101-8); 을 포함한다.(Example 5-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xample 5-1, the door 101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 plurality of windows 101-8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ncludes

도어(101)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제조장치(10)와 원료(20)에 대하여 관리자가 유지보수를 실시함과 동시에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는 도어(101) 내부에 수용되는 제조장치(10)와 원료(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도어(101)의 회동 여부를 결정한다. 즉, 도어(101)에는 관리자가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The door 101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so that the manager performs maintenance on the manufacturing device 10 and the raw material 20, and at the same time, harmful substances and odor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removed from the outside. leakage can be prevented. At this time, the manager recognizes the stat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accommodated inside the door 101 in real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101 is rotated. That is, the door 101 need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dministrator can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space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100 .

도어(101)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소정 두께 값으로 이격되어 내부에 중공부(101-1)를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창(101-8)이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복수의 창(101-8)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관리자는 복수의 창(101-8)을 통하여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The door 10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hollow part 101-1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the window 101-8 is disposed o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respectively. is 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windows 101 - 8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he administrator can visually observe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windows 101 - 8 .

(실시예 5-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창(101-8)은 상기 처리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측정부(200)가 실측한 제원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한다.(Embodiment 5-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5-2, the plurality of windows 101-8 are interlocked with the processing unit 300,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dimension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00; includes

(실시예 5-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상기 중공부(101-1)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10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01-9); 를 포함한다.(Example 5-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xample 5-2, the door 101 is inserted inside the hollow part 101-1, and the a plurality of blades 101-9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01; includes

(실시예 5-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101-9)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제3 스위치(101-5C); 를 포함한다.(Example 5-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xample 5-5, the door 101 is configured to change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blades 101-9. a third switch 101-5C; includes

관리자는 복수의 창(101-8)을 통하여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창(101-8)은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복수의 창(101-8)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101-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101-9)가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블레이드(101-9)는 도어(10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하는 블라인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01-9)의 회동 각도를 결정하는 제3 스위치(101-5C)가 도어(101)에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중공부(101-1) 내측에 배치되어 빛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필름이 개재될 수 있다. 즉, 필름이 투과시키는 빛의 양에 따라,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는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또한 복수의 창(101-8)은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형성되어,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시각 정보 외에도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manager may acquir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real time through the plurality of windows 101 - 8 . However,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manager does not need information o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windows 101 - 8 are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selectively see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administrator. For example, a plurality of blades 101 - 9 may be interposed in the hollow portion 101-1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windows 101 - 8 . At this time, the blade 101-9 may be formed in a blind structure tha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01, and a third switch 101-5C that determines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de 101-9. )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door 101 . In another embodiment, a film disposed inside the hollow portion 101-1 to control light transmittance may be interposed. That i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by the film,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selectively expos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indows 101 - 8 are formed as a transparent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may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

(실시예 6-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어 수단(400)은 상기 수용부(10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제원을 가변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In Example 2-1, the plurality of control means 400 are disposed outside the storage unit 100,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mensions of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are variable.

수용부(100) 내측 공간은 조절부(400)에 의해 온도, 습도와 공기 오염도 값이 가변된다. 이 때, 조절부(400)가 수용부(100) 내측에 배치된다면, 단시간내에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원하는 제원 값의 환경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조절부(400)에서 직접적으로 분사하거나 배출하는 물질에 의해 제조장치(10)와 원료(20)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제원 값을 가변시키는 조절부(400)는 수용부(100)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degree values are varied by the adjusting part 400 . At this time, if the adjusting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can be changed to an environment of a desired specification value within a short time. However,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are damaged by the material directly sprayed or discharged from the control unit 400 .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djusting unit 400 for changing the value of the specification for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out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

(실시예 6-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조절부(400)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함체(110,120)와 연통되어, 공기의 유로를 가이드하는 순환부(600); 를 포함한다.(Embodiment 6-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and in Example 6-1, an adjustment unit 400 is disposed,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enclosures 110 and 120, a circulation unit 600 for guiding an air flow path; includes

(실시예 6-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600)는 조절부(400)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3 함체(610); 상기 제1 함체(110)와 상기 제2 함체(120)를 상기 제3 함체(610)와 연결하는 복수의 덕트(620); 를 포함한다.(Embodiment 6-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 6-2, the circulation unit 600 is a third housing in which the adjustment unit 400 is accommodated therein. (610); a plurality of ducts 620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o the third housing 610; includes

순환부(600)는 조절부(400)에 의해 제원이 가변된 공기를 수용부(100)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순환부(600)는 수용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함체(110,120)와 연통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조절부(4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별도의 구성인 제3 함체(610) 내측에 배치되고, 제3 함체(610)는 일단이 복수의 함체(110,120)와 결합되는 덕트(620)의 타단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함체(610) 내에 배치되는 조절부(400)에 의해 제원 값이 가변된 공기는 덕트(620)를 따라 수용부(1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공기의 제원 값을 가변시킨다.The circulation unit 600 is configured to introduce the air whose dimensions are changed by the control unit 400 into the receiving unit 100 . Accordingly, the circulation unit 600 form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enclosures 110 and 120 constituting the accommodation unit 100 .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structure, the adjusting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third housing 610, which is a separate configuration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third housing 610 has one end of a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uct 620 coupled. Accordingly, the air whose dimension value is changed by the adjusting unit 400 disposed in the third housing 610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unit 100 along the duct 620, and the Change the air quality value.

(실시예 6-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덕트(620)는 내부에 개재되어, 이물질을 집진하는 필터(621); 를 포함한다.(Embodiment 6-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6-3, the duct 620 is interposed therein, and includes a filter 621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cludes

(실시예 6-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덕트(6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복수의 송풍 수단(622); 을 포함한다.(Embodiment 6-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6-3, the duct 620 includes a plurality of blow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flow pa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622); includes

덕트(620)는 수용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함체(110,120)와 조절부(4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함체(610)를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제3 함체(610) 내에서 제원 값이 가변된 공기는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 내부에 유입됨과 동시에 수용부(100) 내측의 공기는 제3 함체(610)로 이동하는 기류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덕트(620) 내부에는 상기한 기류를 형성하는 복수의 송풍 수단(622)이 개재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장치(10)와 원료(20) 외주부에 부착된 이물질이 송풍 수단(622)에 의해 제조 공정이 수행되는 피공정물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덕트(620) 내부에는 기류에 의해 이물질이 집진되는 필터(621)가 개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ct 6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constituting the accommodation unit 100 and the third housing 610 in which the adjusting unit 400 is disposed. At this time, the air having a variable specification value in the third housing 61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transferred to the third housing 610 . ) should be forme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owing means 622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airflow are interposed inside the duct 620 .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from adhering to the to-be-processed object in which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blowing means 622, the inside of the duct 620 is caused by the airflow.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621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s interposed.

(실시예 7-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 하단부에 배치되는 질량 가변부(50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 2-1, a mass variable unit 50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includes

수용부(100)는 제조장치(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1 함체(110)와 원료(20)를 수용하는 제2 함체(120)가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관리자가 내부 상태를 관찰하는 횟수를 고려하여, 수용부(100)는 제1 함체(110)가 제2 함체(120)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통상적으로 중량 값이 큰 제조장치(10)가 제조 공정을 수행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측에 무게중심이 형성된 수용부(100)가 지면으로부터 불안정한 상태로 기립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함체(120)의 하단부에는 제조장치(10)보다 큰 중량 값을 갖는 질량 가변부(500)가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is accommodated therei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accommodating the raw material 20 are stacked. Considering the number of times the manager observes the internal state,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housing 110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housing 120 .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art 100 having the center of gravity formed on the upper side b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having a large weight value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general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it stands in an unstable state from the ground. there i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120 disposed on the lower side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mass variable part 500 having a larger weight value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is disposed.

(실시예 7-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질량 가변부(500)는 일정 용량의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체 수용부(51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In Embodiment 7-1, the mass variable unit 500 includes a fluid receiving unit accommodating a fluid of a predetermined capacity therein. (510); includes

(실시예 7-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부(510)는 유체가 수용되는 내측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511); 을 포함한다.(Embodiment 7-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manufacturing tools therein. In Embodiment 7-2, the fluid accommodating part 51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dividing an inner space in which a fluid is accommodated. (511); includes

수용부(100)의 무게중심을 하향시키는 질량 가변부(500)는 제조장치(10)보다 중량 값이 큰 물질로 형성된다. 이 때, 수용부(100)가 배치되는 지형과 제조장치(10)의 제조 공정에 종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에 따라, 수용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기립할 수 있는 최적화된 무게중심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질량 가변부(500)는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 구획하는 격벽(511)이 복수로 배치되는 유체 수용부(5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유체 수용부(510) 내의 공간은 복수로 분리되어, 관리자는 필요한 공간 내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The mass variable part 500 for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weight value great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topography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disposed and the direction of vibration that occurs dependentl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an optimized center of gravity that can stand stably from the ground.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mass variable unit 500 may be formed as a fluid accommodating unit 51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511 that separate and partition into a plurality of spaces are disposed. As the structur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in the fluid accommodating part 5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so that the manager can selectively place the fluid in the required space.

(실시예 7-4)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질량 가변부(500)는 일정한 질량 값을 갖는 무게추(52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manufacturing equipment therein. In Embodiment 7-1, the mass variable unit 500 includes a weight 520 having a constant mass value; includes

(실시예 7-5)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4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520)는 상기 수용부(100)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되는 제1 무게추(521); 상기 제1 무게추(521)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무게추(522); 를 포함한다.(Embodiment 7-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and in Example 7-4, the weight 520 is a third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1 weight (521); a plurality of second weights 522 sel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weight 521; includes

수용부(100) 하단부에는 제조장치(10)보다 중량 값이 큰 무게추(520)가 배치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수용부(100)가 안정적으로 기립될 수 있다. 이 때, 무게추(520)는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무게추(521)와 제1 무게추(521)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무게추(52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관리자는 수용부(100) 하단에 형성되는 무게중심을 폭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As the weight 520 having a larger weight value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stably stand up from the ground. At this time, the weight 520 may be formed of a first weight 521 dispos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weight 522 sel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weight 521 . As the structur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along the width direction.

(실시예 7-6)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4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500)는 상기 무게추(52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이동부(530); 를 포함한다. (Embodiment 7-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instrument therein. In Embodiment 7-4, the circulation unit 500 is a moving uni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eight 520 . (530); includes

격벽(511)이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유체 수용부(510)와 복수의 모듈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하는 무게추(520)는 수용부(100)의 무게 중심을 제2 함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질량 가변부(500)는 유체 수용부(510) 또는 무게추(520) 구조의 위치를 제2 함체(12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가변시키는 이동부(5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530)의 구조와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유체 수용부(510) 또는 무게추(520)의 길이방향 양단과 결합하고, 제2 함체(120)의 내벽에서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tion wall 51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odules and the fluid accommodating part 510 that separates and partitions the space and the weight 520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set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 the second housing 120 . It can be ch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is, the mass variable unit 500 includes a moving unit 530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luid receiving unit 510 or the weight 520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 structure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moving part 530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but combined with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receiving part 510 or the weight 520 , and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using 120 .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rail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line.

(실시예 8-1)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와 연동되어,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상태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표시부(700); 를 포함한다.(Embodiment 8-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tool therein, and in Example 1-1, it is linked with the accommodation part 100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100 a display unit 700 for real-time monitoring by an administrator; includes

관리자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제조장치(10)와 원료(20)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수용부(10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101)에 창(101-8)을 설치하는 구조에 대한 실시예로, 제조장치(10)와 원료(20) 관찰에 대한 필요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가 수용부(100)가 배치된 공간으로부터 이탈했을 시에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부(100)의 내측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표시부(7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700)의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데이터를 시각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nager needs to know in real time the current stat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window 101-8 on the door 101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part 100, and it can satisfy the need for observ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ca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manager deviates from the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arranged, information o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cannot be obtain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display unit 700 that outputs image information about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to a manager in real time. In this case, although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display unit 70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display that converts data into a visual signal and outputs the data.

(실시예 8-2)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수용부(100) 내측에 배치되어, 제조장치(10)를 촬영하는 카메라(240); 를 포함한다.(Embodiment 8-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instrument therein, and in Embodiment 8-1, the measuring unit 200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unit 100,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camera 240 for photographing (10); includes

(실시예 8-3) 본 발명은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측정부(2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조절부(400)로 하달하는 명령을 연산하는 연산부(310); 상기 측정부(200), 조절부(400), 표시부(700)와 연동되는 송수신부(320); 상기 측정부(200)에서 계측한 제원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8-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ccommodating a manufacturing device therein. In Embodiment 8-2, the control unit 300 is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unit 200, , an operation unit 310 for calculating a command sent to the control unit 400; a transceiver 320 interlocking with the measuring unit 200 , the adjusting unit 400 , and the display unit 700 ; a database 330 for storing the parameter value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00; includes

관리자가 수용부(10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제조장치(10)와 원료(20)의 상태를 인지하기 위하여, 수용부(100) 내측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측정부(200)는 수용부(100) 내측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240)가 포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카메라(240)는 복수의 함체(110,120) 내벽에서 제조장치(10)와 원료(20)를 촬영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40)에서 촬영하는 영상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달되어 저장된 후에 표시부(700)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는 제조장치(10)가 실시하는 제조 공정의 전 과정을 관리자가 추후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조절부(400)에 하달하는 명령 값을 결정하는 연산부(310), 제어부(30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연산된 데이터를 타 구성으로 송신하는 송수신부(320), 카메라(240)에서 촬영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manager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from a distance from the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disposed, a configuration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bout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required. Accordingly, the measuring unit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camera 240 for photographing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 In this case, the camera 24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nd the raw material 20 are photographed on the inner walls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2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stor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700 . The interlock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that the manager can check the entire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perform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lat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310 that determines a command value to be sent to the control unit 400, a transceiver 320 that receives the data required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data in another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database 330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240 .

10 : 제조장치 20 : 원료
100 : 수용부 101 : 도어
101-1 : 중공부 101-2 : 손잡이
101-3 : 회동축 101-4 : 자성체
101-4A : 제1 자성체 101-4B : 제2 자성체
101-5 : 스위치 101-5A : 제1 스위치
101-5B : 제2 스위치 101-5C : 제3 스위치
101-6 : 회동축 결합 홈 101-6A : 회동축 홀
101-6B : 회동축 홈 101-7 : 와이어
101-8 : 창 101-9 : 블레이드
102 : 마그네틱부 102-1 : 제1 마그네틱부
102-2 : 제2 마그네틱부
110 : 제1 함체 120 : 제2 함체
130 : 결합재
200 : 측정부 210 : 온도 센서
220 : 습도 센서 230 : 공기 오염도 센서
240 : 카메라
300 : 제어부 310 : 연산부
320 : 송수신부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조절부 410 : 온도 조절 노즐
420 : 수분 분사 노즐 430 : 음이온 생성 수단
500 : 질량 가변부 510 : 유체 수용부
511 : 격벽 520 : 무게추
521 : 제1 무게추 522 : 제2 무게추
530 : 이동부
600 : 순환부 610 : 제3 함체
620 : 덕트 621 : 필터
622 : 송풍 수단 700 : 표시부
10: manufacturing equipment 20: raw material
100: receiving unit 101: door
101-1: hollow part 101-2: handle
101-3: axis of rotation 101-4: magnetic material
101-4A: first magnetic material 101-4B: second magnetic material
101-5: switch 101-5A: first switch
101-5B: second switch 101-5C: third switch
101-6: rotation shaft coupling groove 101-6A: rotation shaft hole
101-6B: rotation shaft groove 101-7: wire
101-8: Spear 101-9: Blade
102: magnetic part 102-1: first magnetic part
102-2: second magnetic part
110: first enclosure 120: second enclosure
130: binder
200: measurement unit 210: temperature sensor
220: humidity sensor 230: air pollution level sensor
240 : camera
300: control unit 310: operation unit
320: transceiver 330: database
400: control unit 410: temperature control nozzle
420: water spray nozzle 430: means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500: mass variable part 510: fluid receiving part
511: bulkhead 520: weight
521: first weight 522: second weight
530: moving part
600: circulation unit 610: third enclosure
620: duct 621: filter
622: blowing means 700: display unit

Claims (8)

제조 기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제조장치(10);
상기 제조장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 내부의 환경조건을 계측용 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수용부 내부의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조절부(400);
상기 측정부의 센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00)는,
전면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기립하며, 상기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도어(101)를 포함하는 제1 함체(110);
상기 제1 함체(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함체(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함체(12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01)는,
전면부 폭방향 일단 또는 타단에 배치되는 손잡이(101-2);
폭방향 양단에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회동축(101-3);
상기 회동축(101-3)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제1 자성체(101-4A);
상기 제1 자성체(101-4A)와 대향되어, 상기 도어(101) 내측에 고정되는 제2 자성체(101-4B);
상기 제1 자성체(101-4A)와 연동되어, 전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1 스위치(101-5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101-4A)는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극성이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In the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equipment therein,
manufacturing apparatus 10;
a accommodating part 100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measuring unit 200 for measur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by a measurement sensor;
a control unit 400 for adjust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Including; receiving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0);
The accommodating part 100,
a first housing 110 formed in an open shape with a front portion, standing from the ground, and including a door 101 selectively sealing the front portion;
A second housing 120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housing 110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housing 110; includes;
The door 101 is
a handle 101-2 disposed at one end or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part;
a rotation shaft (101-3) passing through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magnetic body (101-4A)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shaft (101-3);
a second magnetic body (101-4B) facing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101);
A first switch (101-5A) for selectively applying power by interworking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101-4A);
The first magnetic material (101-4A) is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a manufacturing devic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olarity is variable by the current flowing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도어(101)의 후면부와 접하는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 개구부에 배치되는 마그네틱부(102); 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100,
a magnetic portion 102 disposed in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10 and 120 in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101;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1)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와 복수의 상기 함체(110,120)의 개구부와 접하는 후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101-1); 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101 is
A hollow portion (101-1) formed between the fron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rea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the housing (110, 120);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수용부(10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제원을 가변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adjusting unit 400,
I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hanges the dimensions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side;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manufacturing devices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 하단부에 배치되는 질량 가변부(500); 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ss variable unit 50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100;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0)와 연동되어, 상기 수용부(100) 내측의 상태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표시부(700); 를 포함하는 제조 장치용 항온 항습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unit 700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receiving unit 100 and monitors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real time;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torage box for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a.
KR1020210008357A 2021-01-20 2021-01-20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KR102394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57A KR102394706B1 (en) 2021-01-20 2021-01-20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57A KR102394706B1 (en) 2021-01-20 2021-01-20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706B1 true KR102394706B1 (en) 2022-05-06

Family

ID=8158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357A KR102394706B1 (en) 2021-01-20 2021-01-20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70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31B1 (en) 2012-12-31 2014-09-15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ior temperature of chamber using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KR20150142662A (en) * 2015-12-02 2015-12-22 안범주 weight unbalance correction
KR20160045319A (en) 2014-10-17 2016-04-27 씨앤에스 주식회사 Showcase capable of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KR101747780B1 (en) * 2015-07-01 2017-06-19 한국기계연구원 multi-photopolymerized extruding type composite 3D printer
CN206501429U (en) * 2016-11-29 2017-09-19 温州任和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portable collapsible 3D printer
KR20200098221A (en) 2019-02-12 2020-08-20 홍석균 A Precisio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60436B1 (en) 2019-01-08 2020-09-28 주식회사 앤아이윈 Wafer processing chamber for wet clean equipment with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able heat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31B1 (en) 2012-12-31 2014-09-15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ior temperature of chamber using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KR20160045319A (en) 2014-10-17 2016-04-27 씨앤에스 주식회사 Showcase capable of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KR101747780B1 (en) * 2015-07-01 2017-06-19 한국기계연구원 multi-photopolymerized extruding type composite 3D printer
KR20150142662A (en) * 2015-12-02 2015-12-22 안범주 weight unbalance correction
CN206501429U (en) * 2016-11-29 2017-09-19 温州任和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portable collapsible 3D printer
KR102160436B1 (en) 2019-01-08 2020-09-28 주식회사 앤아이윈 Wafer processing chamber for wet clean equipment with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able heater
KR20200098221A (en) 2019-02-12 2020-08-20 홍석균 A Precision Air Conditio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6820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fire control method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CN103645123B (en) For detection of checkout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aerial floating biomone
ES2642340T3 (en) Automatic microorganism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MALDI
CN104126110B (en) Abnormal detector and include the environment test device of this abnormal detector
KR20170003154A (en) Automatic control systems for animal care
JP4694489B2 (en) Microscope environmental chamber and environmental control means
JP2010500021A (en) Cell manipulation and culture apparatus for producing cell therapeutic agents
KR102394706B1 (en) Storage box provid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anufacturing device
KR101677179B1 (en) Water sampler
EP3436181B1 (en) Membrane microgravity air conditioner
KR102198498B1 (en) An air purifier
JP4734216B2 (en) Decontamination system
JP5124413B2 (en) Image acquisition device
CN109557967A (en) A kind of exchange cabinet temperature and humidity monitoring system
JPH01285185A (en) Controlling equipment of environment
CN210538014U (en) Ventilation device of SPF (specific pathogen free) experimental animal feeding equipment and feeding equipment
JP4619240B2 (en) Decontamination method and condensation sensor
KR20210068733A (en) A system for managing the heat-recovery ventilator with electric dust filter
KR102262846B1 (en) Side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glass greenhouse
CN109057405A (en) A kind of measuring workplace of precision instrument
CN215065678U (en) Soil sample drying device and soil detection equipment
US20210318701A1 (en) Autonomous concentr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a gas or particle mixture
CN108387507B (en) Dual-temperature control aging test device
CN207623338U (en) A kind of oil product detection device
CN105352094B (en) Photocatalyst filter power ventilation de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