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345B1 -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345B1
KR102394345B1 KR1020200080462A KR20200080462A KR102394345B1 KR 102394345 B1 KR102394345 B1 KR 102394345B1 KR 1020200080462 A KR1020200080462 A KR 1020200080462A KR 20200080462 A KR20200080462 A KR 20200080462A KR 102394345 B1 KR102394345 B1 KR 10239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kiosk
resident
mourner
mort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4341A (en
Inventor
함지연
Original Assignee
함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지연 filed Critical 함지연
Priority to KR102020008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345B1/en
Publication of KR2022001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마련한 후, 조문객이 기설정 조문 단계에 따라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키오스크를 통하여 해당 빈소에 방명록 작성 및 상주와 연락이 가능하도록 하고, 키오스크를 통한 부의금 계좌이체, 카드 결제, 또는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실물 부의금 봉투를 보관하고,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각 조문객에 대하여 전체 조문 절차와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상주에게 전달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을 확인함으로써, 빈소가 마련된 어느 곳에서든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조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through mortuary for the deceased, after providing a drive-through mortuary, a mourner writes a guestbook at the mortuary through a kiosk while moving to a vehicle according to a preset condolence step;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resident, and have an account transfer, card payment, or input port through a kiosk, but store the actual alimony envelope in a storage box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because a locking device is included, and the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are stored However, for each mourner, a video related to the entire mourning process is filmed and delivered to the resident, and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re checked us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mourn safely non-face-to-face at any place where a mortuary is provided. Provided are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ervice.

Description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마련한 후, 조문객이 기설정 조문 단계에 따라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키오스크를 통하여 해당 빈소에 방명록 작성 및 상주와 연락이 가능하도록 하고, 키오스크를 통한 부의금 계좌이체, 카드 결제, 또는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실물 부의금 봉투를 보관하고,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각 조문객에 대하여 전체 조문 절차와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상주에게 전달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을 확인함으로써, 빈소가 마련된 어느 곳에서든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조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through mortuary for the deceased, after providing a drive-through mortuary, a mourner writes a guestbook at the mortuary through a kiosk while moving to a vehicle according to a preset condolence step;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resident, and have an account transfer, card payment, or input port through a kiosk, but store the actual alimony envelope in a storage box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because a locking device is included, and the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are stored However, for each mourner, a video related to the entire mourning process is filmed and delivered to the resident, and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re checked us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pay tribute safely non-face-to-face at any place where a mortuary is provided. It relates to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ervice.

일반적으로 부고가 발생하면 상주와 유가족은 조문객들에게 전화 등으로 부고를 알리고 조문객들은 분향소를 직접 찾아와 조의금을 내고 조문을 한다.In general, when an obituary occurs, the resident and the bereaved family notify the mourners by phone, etc.

우리나라는 경조사에 직접 참석하여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전통문화를 형성하여 왔고 경조사가 원거리에서 발생하더라도 가급적 분향소에 직접참석하는 것이 예의로 생각되어 왔다.Korea has formed a traditional culture of sharing joy and sorrow by directly attending congratulations and ceremonies.

그러나 최근 고향을 떠나는 사람이 많아지고 직장인의 경우 평일날 원거리에 장례가 있을 경우 조문을 위해 휴가를 내어야 하는 등의 부담이 있다.However,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leaving their hometown, and in the case of office workers, if there is a funeral in a remote place on a weekday, there is a burden such as having to take a leave to pay tribute.

한편, 장례식장에 직접 참석할 수 없는 경우 지인을 통해 조의금을 전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지인에게 부탁하는데 부담이 있고 상주에게 계좌번호를 개별적으로 문의하여 조의금을 전달하기에는 예의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are unable to attend the funeral, condolences may be delivered through an acquaintance.

현재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으로 모든 산업과 사회생활 영역에서 '비대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으로 온라인 및 스마트워크가 디지털경제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Due to the spread of non-face-to-face services due to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non-face-to-face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in all industries and social life areas. With the proliferat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online and smart work are emerging as key keywords in the digital economy.

코로나 19 팬데믹이 초래한 비대면 경제 추세는 모든 산업에 걸쳐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대면 비즈니스 위축, 다중 밀집 서비스의 사양화 등 급격한 판도변화에 내몰릴 산업 영역은 빠른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The non-face-to-face economic trend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is expected to rapidly expand across all industries, and it is urgent to prepare a quick response plan for industries that will be driven by rapid changes in the game, such as face-to-face business contraction and discontinuation of multi-dense services.

즉,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응하기 위한 비대면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비대면 경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In other words, as non-face-to-face services to respond to social distancing are rapidly spreading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a non-face-to-face economic phenomenon is emerging.

비대면 경제란 비대면 재화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콘택트'에 부정의 '언(un)'을 합성해 언택트(untact) 이코노미라고 부르기도 한다.Non-face-to-face economy minimizes contact with other people in the process of using non-face-to-face goods or services.

특히 인공지능, 모바일, 클라우드컴퓨팅,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맞물리면서 '비대면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obile, cloud computing, and robots, there is a trend of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economy'.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분위기 속에서 영화관보다는 집에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수가 직접 교회 예배에 참석하기보다는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해 참여하는 방식으로 전환된 점이 반영되고 있다.In the atmosphere of practicing social distancing, online video services are being used at home rather than movie theaters,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people have switched to online streaming rather than directly attending church services.

비대면 경제는 소비자 입장에서 '온라인화', 기업 입장에서는 '스마트워크'를 핵심 키워드로 들 수 있다.In the non-face-to-face economy, the key keywords are 'online'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and 'smart work' from the company's point of view.

소비자 입장에서는 쇼핑, 교육, 심지어 건강 서비스까지 온라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기업 입장에서는 회사라는 공간적 제약과 출퇴근 시간이라는 시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근무하는 스마트워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shopping, education, and even health services are rapidly becoming online,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anies, smart work is gradually expanding, freeing from the spatial constraints of the company and the time constraints of commuting time.

모바일로 모든 것이 이뤄지는 '모바일 전성시대'가 더 빨리 도래할 전망되며 배달앱, 온라인 쇼핑, OTT 시청, 음악 청취 등이 모바일로 재편되고 있다.The 'mobile heyday', in which everything is done through mobile, is expected to arrive sooner, and delivery apps, online shopping, OTT viewing, and music listening are being reorganized into mobile.

한편, 화상회의, 온라인 예배, 온라인 수업 등이 일상이 되고, 핀테크, 무인점포, 스마트 행정, 원격진료 등에 관한 요구도 거세질 전망이다.On the other hand, video conferences, online worship services, and online classes have become daily routines, and demands for fintech, unmanned stores, smart administration, and remote treatment are expected to intensify.

한편, 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매장에 진입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차량 안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인 '드라이브 스루'라고 하는 카 커머스(Commerce) 서비스도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 검사도 드라이브 스루 진료소를 통해 진행하고 있다.Meanwhile, as the number of self-driving cars increases, a car commerce service called 'drive-through', a service that allows drivers to enter a store and purchase desired products directly from within the vehicle, without getting out of the vehicle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Corona testing is also being conducted through drive-thru clinics.

기존에 차량을 이용한 주문 서비스는 운전자가 매장에 진입한 후 소정의 매뉴판을 보고, 자신이 구매하기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한 후 매장 직원에게 해당 상품을 주문하면서 신용카드 등과 같은 결제 수단을 직원에게 인도하면, 직원이 매장 내의 POS(Point of Sales)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처리한 후 해당 상품을 운전자에게 인도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In the existing ordering service using a vehicle, the driver enters the store, sees a predetermined menu, selects the product he or she wants to purchase, orders the product from the store employee, and delivers a payment method such as a credit card to the employee In this case, a method was used in which the employee processes the payment through the POS (Point of Sales) terminal in the store and then delivers the product to the driver.

이러한 차량을 이용한 주문 서비스는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상품에 대한 주문 및 대금 결제 방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주문 및 대금 결제 방식에 따라 매장 직원이 직접 주문을 받고,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다소간의 불편이 존재하였다.The ordering service using such a vehicle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driver in that the driver can order products without getting off the bus. There was some inconvenience in that the employee directly receives the order and performs payment processing.

커피 등 음료나 패스트푸드를 구입할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서는, 이용 고객들의 증가로 드라이브 스루 평균 대기시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점심이나 저녁 시간과 같이 고객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주문 시간과 대기 시간이 더 길어지고, 주문된 것과 다르게 제품이 만들어지는 오류도 늘어날 수 있다.In drive-thru stores where you can purchase beverages such as coffee or fast food, the average drive-thru wait time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customers. In particular, during peak hours such as lunch or dinner, ordering and waiting times may be longer, and errors in products made differently from what was ordered may increase.

또한, 드라이브 스루 주문 방식을 도입하려는 프랜차이즈 업체가 늘어남에 따라, 관련 매장을 운영하는 설비와 인력과 관련된 비용도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드라이브 스루 주문 방식에 있어서 운영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그 운영방법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franchisees who want to introduce a drive-thru ordering method increases, the costs related to equipment and manpower to operate related stores are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utomate the operation method in order to reduce operation time and cost in the drive-through ordering method.

한편, 각종 서비스의 자동화를 위해, 사용자가 기계를 통해 주문할 수 있는 무인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for the automation of various services, the case of installing an unmanned kiosk through which a user can place an order through a machine is also increasing.

여기서, 키오스크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시스템으로 드라이브 스루, 영화관 등에 설치된 무인 결제 단말기를 가리킨다. 키오스크는, 서비스 업무의 무인화를 통해 산업의 자동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교체하여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Here, the kiosk generally refers to an unmanned payment terminal installed in a drive-thru, a movie theater, etc. as a touch screen typ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Kiosks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to realize industrial automation through unmanned service tasks, and can help reduce labor costs because built-in software can be replaced and used for new purposes.

한편, 한국등록특허 [10-0848363]에서는 조의금 납부 현황을 비롯하여 장례식장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례식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848363] discloses a funeral hom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re systematically managing general matters related to the funeral home, including the payment status of condolences.

한국등록특허 [10-1559970]에서는 디지털 조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문객이 직접 분향소를 찾지 않고도 통신망을 통해 조문 메시지 및 조의금을 전달할 수 있고, 특히,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유족별로 조의금을 집계하여 장례 절차 후에 조의금 정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지털 조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Korea Patent [10-1559970] relates to a digital mourn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condolence message and condolence money can be deliver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the mourners directly visiting an incense place. Disclosed is a digital condolence system that can facilitate the settlement of condolences after funeral procedures by providing and collecting condolences for each bereaved family.

한국등록특허 [10-1633899]에서는 경조사비 이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단말기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633899] discloses a method, a server and a terminal, and a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 transfer service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한국등록특허 [10-0848363](등록일자: 2008. 07. 18)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848363] (Registration Date: 2008. 07. 18) 한국등록특허 [10-1559970](등록일자: 2015. 10. 06)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559970] (Registration Date: 2015. 10. 06) 한국등록특허 [10-1633899](등록일자: 2016. 06. 21)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633899] (Registration Date: 2016. 06. 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인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마련한 후, 조문객이 기설정 조문 단계에 따라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키오스크를 통하여 해당 빈소에 방명록 작성 및 상주와 연락이 가능하도록 하고, 키오스크를 통한 부의금 계좌이체, 카드 결제, 또는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실물 부의금 봉투를 보관하고,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각 조문객에 대하여 전체 조문 절차와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상주에게 전달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을 확인함으로써, 빈소가 마련된 어느 곳에서든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조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e-through mortuary for the deceased, and then to the mortuary through the kiosk while moving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t mourning steps. Make it possible to write a guest book and communicate with the resident, and have an account transfer through a kiosk, payment by card, or a slot, but store the actual affidavit envelope in a storage box that includes a locking device and can onl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and the resident Receive the prepared items, but take a video related to the entire mourning process for each mourner and deliver it to the resident, and use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check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It is to provide a drive-thru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에게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200);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에게 순차적인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 상주와 상기 조문객 사이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단말(230); 각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160); 및 해당 빈소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 상기 통신단말,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 사이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20)을 포함한다.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that provides condolence services to mourners boarding a vehicle through a plurality of drive-through binso. ); a plurality of kiosks (110, 120, 130) connected to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rovide condolence services sequentially to mourners riding in the vehicle; a communication terminal 230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mourner; a camera 160 provided in each drive-through bin to provide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2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kiosks,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mera and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mortuary.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는, 방문할 고인의 빈소를 선택받고, 상기 조문객의 방명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키오스크(110); 상기 조문객의 부의금을 처리하기 위한 제2키오스크(120); 및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주문 및 수령하고, 상기 조문객과 상기 상주와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제3키오스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kiosks (110, 120, 130) may include: a first kiosk (110) for selecting a burial place of the deceased to visit, and acquiring the guestbook data of the mourners; a second kiosk 120 for processing the donations of the mourners; and a third kiosk 130 for ordering and receiving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and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mourners and the resident.

상기 카메라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er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btains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by using a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by using the obtained vehicle number as a unique number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the mourners are verifie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빈소에 방문한 각 조문객의 조문에 대한 전체 과정이 녹화되어 상기 상주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is terminated, the entire process of condolences of each mourner visiting the mortuary is recorded and provided to the resident.

상기 각 키오스크는,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 및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310); 상기 조문객이 상기 각 키오스크를 작동시키는 전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320);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부(330); 상기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40);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350); 상기 조문객의 음성을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360);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370); 부의금 처리에 따른 영수증을 프린트하는 프린트부(38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kiosks, the touch screen 310 for providing a screen and input means for providing the condolence service; a photographing unit 320 for photographing the entire process in which the mourner operates the respective kiosks; a communication unit 3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storage unit 340 for storing data necessary to provide the condolence service; a speaker 350 for transmitting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kiosk; a microphone 360 receiving a signal for the voice of the mourner; a verification unit 370 for verifying the mourners by judging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by using the vehicle number obtained through the camera as a unique number; a print unit 380 for printing a receipt according to the payment processing; and a control unit 390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이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 진입함을 감지하는 진입감지단계(S510); 제1키오스크를 통해 조문할 빈소를 선택받고, 상기 조문객의 방명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조문객기록단계(S520); 제2키오스크를 통해 부의금을 처리하는 부의금처리단계(S530); 상기 조문객과 해당 빈소의 상주 사이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는 통화제공단계(S540);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상기 조문객이 상기 드라이브 스루 빈소로부터 출차함을 감지하는 출차감지단계(S57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e-through mou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entrance detecting step (S510) of detecting that a mourner riding a vehicle enters the drive-through bin; a mourning visitor recording step (S520) of receiving a selection of a mortuary to mourn through the first kiosk, and obtaining guestbook data of the mourners; an installment payment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installment payment through the second kiosk (S530); a call providing step (S540) of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mourner and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and an un-parking detecting step (S570) of detecting that the mourner riding in the vehicle leaves the drive-through bin.

상기 진입감지단계(S510)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입감지단계부터 상기 출차감지단계가 수행될 때까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try detection step (S5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s obtained through a camera, and the obtained vehicle number is used as a unique number from the entry detection step until the exit detection step is per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rners are verified by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상기 부의금처리단계(S530)는, 상기 조문객의 통장에서 상기 상주의 등록된 계좌로 계좌이체가 처리되는 계좌이체단계; 상기 조문객의 신용카드로 부의금이 결제되는 신용카드결제단계; 및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상기 조문객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물의 부의금 봉투가 보관되는 실물보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tallment payment processing step (S530) may include an account transfer step in which an account transfer is processed from the passbook of the mourner to the registered account of the resident; a credit card payment step in which the deposit is paid to the mourner's credit card; and an actual storage step in which the actual gift envelope received from the mourner is stored in a storage box that is provided with an inlet but includes a locking device and can onl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상기 부의금처리단계(S530)가 수행된 이후, 제3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상주가 제공하는 물품이 주문되는 물품주문단계(S550); 및 주문된 물품이 제공됨에 따라, 물품 수령이 확인되는 물품수령확인단계(S5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installment payment processing step (S530) is performed, the goods ordering step (S550) of ordering the goods provided by the resident through a third kiosk; And as the ordered goods are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oods receipt confirmation step (S560) in which receipt of the goods is confirmed.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빈소에 방문한 각 조문객의 조문에 대한 전체 과정이 녹화되어 상기 상주에게 제공되는 단계(S580); 및 해당 상주에게 서비스 비용이 청구되는 단계(S5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includes the steps of, when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is terminated, recording the entire process of condolences of each mourner visiting the mortuary and providing it to the resident (S580);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S590) of charging the service cost to the resid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is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고인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마련한 후, 조문객이 기설정 조문 단계에 따라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키오스크를 통하여 해당 빈소에 방명록 작성 및 상주와의 연락이 가능하도록 하고, 키오스크를 통한 부의금 계좌이체, 카드 결제, 또는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실물 부의금 봉투를 보관하고,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수령하도록 하되, 각 조문객에 대하여 전체 조문 절차와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상주에게 전달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을 확인함으로써, 빈소가 마련된 어느 곳에서든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조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oviding a drive-through mortuary for the deceased, the mourner writes and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resident, and store the actual donation envelope in a storage box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including a lock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an account transfer, card payment, or insertion hole through a kiosk, and the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However, for each mourner, a video related to the entire mourning procedure is filmed and delivered to the resident, and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re checked us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to safely and non-face-to-face at any place where a mortuary is provided.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condolence servic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빈소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대규모의 주차시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도심의 규모가 작은 장소에서도 드라이브 스루 빈소 운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ve-through funer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tuary can be miniaturized and a large-scale parking facility is not required, so that the drive-through funeral service can be operated even in a small city center. It works.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빈소의 위치가 상관이 없으며, 고인에 대하여 다수 지역에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조문객의 이용이 쉽고 먼 곳에 위치한 장례식장으로 꼭 가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ve-through funeral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mortuary is irrelevant, and the drive-through funeral home can be provided in multiple areas for the deceased, making it easy for mourners to use. There is no need to go to a funeral home located far away, saving time and mone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관리자 1명과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바리스타 1명으로 드라이브 스루 빈소의 운영이 가능하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e-through binso can be operated by one manager and one barista for providing drinks, labor costs can be reduced.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조문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코로나19 등의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afely provide a condolence service non-face-to-face, it can play a major role in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19.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키오스크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 흐름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되는 터치스크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kiosk of Figure 1;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box of Figure 1;
5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screen output through a kiosk in a method for providing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process,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processe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will be omitted.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문객이 탑승한 차량(100)이 드라이브 스루 빈소(101)로 진입하면, 제1키오스크(110)에서, 고인의 빈소를 확인하고, 방명록을 작성한다.As shown in FIG. 1 , when the vehicle 100 on which the mourner is boarded enters the drive-through mortuary 101, the first kiosk 110 checks the burial place of the deceased and creates a guestbook.

이후, 제2키오스크(120)으로 진행하여, 부의금을 처리한다.Thereafter, it proceeds to the second kiosk 120 to process the installment payment.

여기서, 제2키오스크(120)를 통해 계좌이체 또는 카드결제도 가능하며, 실물 부의금 봉투를 보관함(140)에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account transfer or card payment is also possible through the second kiosk 120 , and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actual deposit envelope in the storage box 140 .

이후, 제3키오스크(130)로 진행하여, 실제 빈소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주와 통화서비스(음성통화/영상통화)가 가능하다.After that, it proceeds to the third kiosk 130, so that the image of the actual mortuary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with the resident is possible.

또한,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주문하여 수령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주가 준비한 물품으로는 음료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order and receive the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For example, beverages are available with items prepared by the resident.

이후, 상기 조문객이 탑승한 차량(100)이 출차한다.Thereafter, the vehicle 100 on which the mourners are boarded is taken out.

상기 조문객이 탑승한 차량(100)이 진입할 때, 카메라(160)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영상)로부터 통해 차량 번호를 획득한다. 획득한 차량 번호는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조문 절차가 모두 끝날 때까지 조문객의 진위 여부 및 일관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된다.When the vehicle 100 in which the mourner is boarded enters, a vehicle number is obtained from an image (video)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60 . The acquired vehicle number is used as a unique number to verify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until the mourning process is complet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200),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 통신단말(230), 카메라(160) 및 통신 모듈(2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 a plurality of kiosks 110 , 120 , 130 , a communication terminal 230 , and a camera. 160 and a communication module 220 .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다수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에게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condolence services to mourners boarding a vehicle through a plurality of drive-through binso.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는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에게 순차적인 조문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lurality of kiosks 110 , 120 ,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to sequentially provide condolence services to mourners in the vehicle.

상기 통신단말(230)은 상주와 상기 조문객 사이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230 provides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mourner.

상기 카메라(160)는 각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제공한다.The camera 160 is provided at each drive-through bin so as to provide a photographing function.

상기 통신 모듈(220)은 해당 빈소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 상기 통신단말(230), 및 상기 카메라(160)와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 사이(200)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20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kiosks 110 , 120 , 130 provided in the mortuary, the communication terminal 230 , and the camera 160 and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 send and receive data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는, 방문할 고인의 빈소를 선택받고, 상기 조문객의 방명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키오스크(110), 상기 조문객의 부의금을 처리하기 위한 제2키오스크(120), 및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주문 및 수령하고, 상기 조문객과 상기 상주와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제3키오스크(130)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kiosks 110, 120, and 130 include a first kiosk 110 for selecting a burial place of a deceased person to visit, and a first kiosk 110 for obtaining the visitor book data of the mourner, and a second kiosk for processing the mourner's installment payment ( 120), and a third kiosk 130 for ordering and receiving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and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mourner and the resident.

상기 카메라(160)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을 검증하는데 사용한다.The camera 160 obtains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uses the obtained vehicle number as a unique number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to verify the mourners. do.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빈소에 방문한 각 조문객의 조문에 대한 전체 과정이 녹화되어 상기 상주에게 제공되며, 해당 상주에게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비용이 청구된다.As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sion is terminated, the entire process of condolences of each mourner visiting the mortuary is recorded and provided to the resident, and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fee is charged to the resident.

도 3은 도 1의 키오스크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kiosk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키오스크(110, 120, 130)는, 터치스크린(310), 촬영부(320), 통신부(330), 저장부(340), 스피커(350), 마이크(360), 검증부(370), 프린트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each of the kiosks 110 , 120 , 130 includes a touch screen 310 , a photographing unit 320 , a communication unit 330 , a storage unit 340 , a speaker 350 , and a microphone ( 360 ), a verification unit 370 , a printing unit 380 , and a control unit 390 .

상기 터치스크린(310)은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 및 입력수단을 제공한다. 터치스크린(310)은 영상정보의 표시 및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신호입력이 모두 가능한 입출력 장치로, 터치스크린(310)은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그 자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ouch screen 310 provides a screen and input means for providing the condolence service. The touch screen 310 is an input/output device capable of both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in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and since the touch screen 310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촬영부(320)는 상기 조문객이 상기 각 키오스크(110, 120, 130)를 작동시키는 전과정을 촬영한다. 키오스크(110, 120, 130)를 사용하는 조문객(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의 하우징(미도시됨)의 전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hotographing unit 320 photographs the entire process in which the mourner operates each of the kiosks 110 , 120 , 130 .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n front of the housing (not shown) of the kiosk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mourners (users) using the kiosks 110 , 120 , 130 can be photographed.

상기 통신부(330)는 상기 통신모듈(220)을 통해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한다. 통신부(330)으로는 이더넷(ethernet) 카드와 같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 등 다양한 통신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키오스크(110, 120, 130)가 설치되는 장소의 여건에 따라 무선통신수단이나 유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공공장소의 서버 또는 인터넷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30 communicates with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 As the communication unit 330 ,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means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Ethernet card may be used, an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place where the kiosks 110 , 120 , 130 are installe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r wired communication Use the means to connect to a server in a public place or the Internet.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The storage unit 340 stores data necessary to provide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상기 스피커(350)는 상기 키오스크(110, 120, 13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전달한다.The speaker 350 transmits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kiosk 110 , 120 , 130 .

상기 마이크(360)는 상기 조문객의 음성을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microphone 360 receives a signal for the voice of the mourner.

상기 검증부(370)는 상기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을 검증한다.The verification unit 370 verifies the mourners by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by using the vehicle number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60 as a unique number.

상기 프린트부(380)는 부의금 처리에 따른 영수증을 프린트한다.The print unit 380 prints a receipt according to the payment processing.

상기 제어부(390)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each component.

상기 각 키오스크(110, 120, 130)는,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키오스크(110, 120, 130)를 통한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Each of the kiosks 110 , 120 , 130 may connect to a user terminal and provide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through the kiosk 110 , 120 , 130 through the user terminal.

한편, 키오스크는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카드투입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현금카드,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에 입력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리더(미도시됨)가 설치된다.Meanwhile, the kiosk may further include a card slot (not shown) for account transfer or credit card payment. It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a card reader (not shown) capable of identifying information input to a cash card, debit card, or credit card is installed therein.

카드투입구로 투입되어 카드리더에 의해 식별된 정보는 제어부(390)로 전달되고, 제어부(390)는 통신부(330)을 통하여 신용카드 회사의 서버 등에 접속하여 확인 작업을 거친다. 이러한 카드투입구 및 카드 리더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formation that is input into the card slot and identified by the card read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90 , and the control unit 390 accesses a server of a credit card compan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30 and performs a verification operation. Since such a card slot and a card reader are general matter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바코드 스캐너(미도시됨)는 안내장, 또는 물품보관증 등과 같은 곳에 인쇄된 바코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바코드 스캐닝부(미도시됨) 내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바코드 스캐닝부 내에 바코드가 인쇄된 것을 비추면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바코드 정보가 스캔되면, 관련된 정보가 터치스크린(3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 barcode scanner (not shown) is installed in a barcode scanning unit (not shown) to identify barcode information printed on an invitation card or a storage voucher. When the user illuminates that the barcode is printed in the barcode scanning unit, when barcode information is scanned by the barcode scanner, the rela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310 .

한편, 키오스크(110, 120, 130)는 조문객이 터치스크린(310)에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촬영부(320)가 작동되도록 하여 키오스크(110, 120, 13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에 상기 터치스크린(310)에서 선택되는 내용도 함께 촬영되어 상주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kiosks 110 , 120 , 130 allow the photographing unit 320 to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by the mourner to the touch screen 310 to capture an image of a user in front of the kiosk 110 , 120 , 130 . It can be done, and the content selected on the touch screen 310 can also be photograph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user and provided to the resident.

도 4는 도 1의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orage box of FIG. 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보관함(140)은, 각각이 식별번호(410)를 가지고 있으며, 상주마다 한 개를 구비할 수 있다. 투입구(420)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조문객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물의 부의금 봉투가 보관된다. 해당 상주에게 매일 전달되도록 한다.4, the storage box 140 in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410, may be provided with one per resident. It has an inlet 420 but includes a locking device, so that onl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can open and close it. The actual donation envelope received from the mourners is kept. It should be delivered daily to the relevant resid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차량(100)에 탑승한 조문객이 드라이브 스루 빈소(101)에 진입함을 감지한다.(S510).First, it is detected that a mourner riding in the vehicle 100 enters the drive-through bin 101 (S510).

상기 진입감지단계(S510)는, 카메라(160)를 통해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진입감지단계부터 상기 출차감지단계가 수행될 때까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이 검증된다. 검증단계는 각 키오스크(110, 120, 130)에서 수행된다.In the entry detection step (S510),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s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60, and the obtained vehicle number is used as a unique number from the entry detection step until the exit detection step is performed. The mourners are verified by judging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The verification step is performed at each kiosk 110 , 120 , 130 .

이후, 제1키오스크(110)를 통해 조문할 빈소를 선택받고, 상기 조문객의 방명록 데이터를 획득한다(S520).Thereafter, a mortuary to mourn is selected through the first kiosk 110 , and guestbook data of the mourners is obtained ( S520 ).

이후, 제2키오스크(120)를 통해 부의금을 처리한다(S530).Thereafter, the installment payment is processed through the second kiosk 120 ( S530 ).

여기서, 상기 부의금처리단계(S530)는, 상기 조문객의 통장에서 상기 상주의 등록된 계좌로 계좌이체가 처리될 수도 있고, 상기 조문객의 신용카드로 부의금이 결제될 수도 있고,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상기 조문객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물의 부의금 봉투가 보관될 수도 있다.Here, in the installment payment processing step (S530), an account transfer may be processed from the mourner's passbook to the resident's registered account, or the installment payment may be settled with the mourner's credit card, and a locking device is provided. The actual gift envelope received from the mourner may be stored in a storage box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이후, 상기 조문객과 해당 빈소의 상주 사이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한다.Thereafter,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is provided between the mourner and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이후, 상기 차량에 탑승한 상기 조문객이 상기 드라이브 스루 빈소로부터 출차함을 감지한다(S570).Thereafter, it is sensed that the mourner riding in the vehicle leaves the drive-through binso (S570).

상기 부의금처리단계(S530)가 수행된 이후, 제3키오스크(130)를 통해 상기 상주가 제공하는 물품이 주문되고(S550), 주문된 물품이 제공됨에 따라, 물품 수령이 확인될 수 있다(S560). 일예로, 상주가 제공하는 물품이 음료수 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문한 음료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After the payment processing step (S530) is performed, the goods provided by the resident are ordered through the third kiosk 130 (S550), and as the ordered goods are provided, receipt of the goods may be confirmed (S560) ). For example, the goods provided by the resident may be beverages, and the beverages ordered accordingly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빈소에 방문한 각 조문객의 조문에 대한 전체 과정이 녹화되어 상기 상주에게 제공된다(S580).On the other hand, as the drive-through mourning service is terminated, the entire process of mourning of each mourner visiting the mortuary is recorded and provided to the resident (S580).

최종적으로, 해당 상주에게 서비스 비용이 청구된다(S590).Finally, a service fee is charged to the resident (S590).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되는 터치스크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6A to 6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screen output through a kiosk in a method for providing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제1키오스크(110)에서의 터치스크린(310)에 출력되는 일실시예 화면이다.6A is a screen output on the touch screen 310 of the first kiosk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촬영부(320)는 조문객이 상기 제1키오스크(110)를 작동시키는 동안 계속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unit 320 continues to photograph while the mourner operates the first kiosk 110 .

조문객은 조문할 빈소를 선택하는데, 고인의 성함으로 조문할 빈소를 찾을 수 있으며(601), 고인의 가족의 성함으로 조문할 빈소를 찾을 수 있다(602).The mourner selects a burial place to mourn, and he or she can find a burial place to mourn with the name of the deceased (601), and can find a burial place to mourn with the name of the deceased's family (602).

고인의 빈소를 선택한 이후, 방명록을 작성 버튼(603)을 눌러 방명록을 작성할 수 있다.After selecting the burial place of the deceased, the guestbook can be created by pressing the create guestbook button 603 .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키오스크(120)로 진행한 후, 부의금을 처리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B , after proceeding to the second kiosk 120 , the installment payment is processed.

터치스크린(310) 상에는 계좌이체 버튼(611), 카드 결제 버튼(612), 및 실물 부의금 봉투 보관 버튼(613)이 출력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310)의 조작에 따라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On the touch screen 310 , a bank transfer button 611 , a card payment button 612 , and a physical payment envelope storage button 613 may be output.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310 .

촬영부(320)는 조문객이 상기 제2키오스크(120)를 작동시키는 동안 계속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unit 320 continues to photograph while the mourner operates the second kiosk 120 .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키오스크(130)로 진행한 후, 부의금 처리에 따라 영수증 발급 버튼(612)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주가 준비한 물품(예를 들어 커피와 같은 음료)을 주문하는 버튼(622) 및 상주가 준비한 물품에 대한 수령 확인 버트(623)이 출력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310)의 조작에 따라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C , after proceeding to the third kiosk 130 , a receipt issuance button 612 may be output according to the payment processing, and an item (eg, a beverage such as coffee) prepared by the resident may be ordered. A button 622 and the receipt confirmation vert 623 for the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may be output.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310 .

촬영부(320)는 조문객이 상기 제3키오스크(130)를 작동시키는 동안 계속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unit 320 continues to photograph while the mourner operates the third kiosk 130 .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키오스크(130) 또는 통신단말(230)을 통해 빈소 실시간 영상 보기 버튼(631), 상주와 음성통화 버튼(632), 및 상주와 영상통화 버튼(633)이 출력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310)의 조작에 따라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D, through the third kiosk 130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230, a mortuary real-time video view button 631, a voice call button 632 with a resident, and a video call button 633 with a resident may be output, and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31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method of providing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have been described. Of course,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implemented.

즉, 상술한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a program of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tangibly implemented. In other word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0: 차량 101: 드라이브 스루 빈소
110: 제1키오스크 120: 제2키오스크
130: 제3키오스크 140: 보관함
150: 물품 제공부 160: 카메라
200: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통신모듈 230: 통신단말
310: 터치스크린 320: 촬영부
330: 통신부 340: 저장부
350: 스피커 360: 마이크
370: 검증부 380: 근거리통신부
390: 제어부 410: 보관함 번호
420: 보관함 투입구
100: vehicle 101: drive-through binso
110: first kiosk 120: second kiosk
130: third kiosk 140: storage box
150: goods providing unit 160: camera
200: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10: database
220: communication module 230: communication terminal
310: touch screen 320: recording unit
330: communication unit 340: storage unit
350: speaker 360: microphone
370: verification unit 38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390: control unit 410: storage box number
420: storage compartment

Claims (10)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지역에 마련되는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에게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200);
각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 구비되어,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에게 순차적인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
상주와 상기 조문객 사이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단말(230);
각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 구비되어 촬영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160); 및
해당 빈소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 상기 통신단말,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 사이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20)
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빈소에 방문한 각 조문객의 조문에 대한 전체 과정이 녹화되어 상기 상주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당 상주에게 서비스 비용을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카메라(160)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키오스크 또는 상기 통신단말을 통해 실제 빈소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문객이 상기 각 키오스크를 작동시키는 전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320)는,
상기 각 키오스크의 하우징(미도시됨)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110, 120, 130)는,
방문할 고인의 빈소를 선택받고, 상기 조문객의 방명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키오스크(110);
상기 조문객의 부의금을 처리하기 위한 제2키오스크(120); 및
상기 상주가 준비한 물품을 주문 및 수령하고, 상기 조문객과 상기 상주와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제3키오스크(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 키오스크는,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 및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310);
상기 조문객이 상기 각 키오스크를 작동시키는 전과정을 촬영하기 위한 상기 촬영부(320);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조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부(330);
상기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40);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350);
상기 조문객의 음성을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360);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부(370);
부의금 처리에 따른 영수증을 프린트하는 프린트부(38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 키오스크는 상기 조문객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하여 키오스크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에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선택되는 내용도 함께 촬영되어 상주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키오스크에는,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140)에 상기 조문객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물의 부의금 봉투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a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configured to provide condolence services to mourners boarding a vehicle through drive-through bin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egions;
a plurality of kiosks (110, 120, 130) that are provided in each drive-through bin and are connected to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hrough a network to provide condolence services sequentially to mourners on the vehicle;
a communication terminal 230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mourner;
a camera 160 provided in each drive-through bin to provide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2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kiosk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mortuar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mera and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s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sion en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process of condolences of each mourner who visited the mortuary is recorded and provided to the resid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charge is charged to the resident,
The camera 160,
Characterized in acquir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rners are verified by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by using the obtained vehicle number as a unique nu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mage of the actual mortuary in real time through the kiosk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hotographing unit 320 for photographing the entire process in which the mourner operates each kio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not shown) of each kiosk,
The plurality of kiosks (110, 120, 130),
a first kiosk 110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 burial place of the deceased to visit and acquiring the guestbook data of the mourners;
a second kiosk 120 for processing the donations of the mourners; and
The third kiosk 130 for ordering and receiving the goods prepared by the resident, and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mourner and the resid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Each of the kiosks,
a touch screen 310 providing a screen and input means for providing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The photographing unit 320 for photograph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mourners operating the respective kiosks;
a communication unit 3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storage unit 340 for storing data necessary to provide the condolence service;
a speaker 350 for transmitting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kiosk;
a microphone 360 receiving a signal for the voice of the mourner;
a verification unit 370 for verifying the mourners by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by using the vehicle number obtained through the camera as a unique number;
a print unit 380 for printing a receipt according to the payment processing; and
Control unit 390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n each kiosk, the photographing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by the mourner to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image of the user in front of the kiosk is photograp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the resident,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kiosk has an inlet but includes a locking device so that the actual donation envelope delivered from the mourner is stored in a storage box 14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의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지역에 마련되는 다수의 드라이브 스루 빈소를 통해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를 제공하되, 각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서 차량에 탑승한 조문객이 드라이브 스루 빈소에 진입함을 감지하는 진입감지단계(S510);
제1키오스크를 통해 조문할 빈소를 선택받고, 상기 조문객의 방명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조문객기록단계(S520);
제2키오스크를 통해 부의금을 처리하는 부의금처리단계(S530);
상기 조문객과 해당 빈소의 상주 사이의 통화서비스(음성통화/화상통화)를 제공하는 통화제공단계(S540);
상기 차량에 탑승한 상기 조문객이 상기 드라이브 스루 빈소로부터 출차함을 감지하는 출차감지단계(S570);
상기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빈소에 방문한 각 조문객의 조문에 대한 전체 과정이 녹화되어 상기 상주에게 제공되는 단계(S580); 및
해당 상주에게 서비스 비용이 청구되는 단계(S590)
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감지단계(S510)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입감지단계부터 상기 출차감지단계가 수행될 때까지 상기 획득한 차량번호를 고유번호로 이용하여 해당 빈소의 조문객의 진위 및 일관성 여부를 판단하여 조문객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키오스크 또는 통신단말을 통해 실제 빈소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문객이 상기 각 키오스크를 작동시키는 전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는,
상기 각 키오스크의 하우징(미도시됨)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의금처리단계(S530)는,
상기 조문객의 통장에서 상기 상주의 등록된 계좌로 계좌이체가 처리되는 계좌이체단계;
상기 조문객의 신용카드로 부의금이 결제되는 신용카드결제단계; 및
투입구를 구비하되 시건장치가 포함되어 해당 빈소의 상주만 개폐 가능한 보관함에 상기 조문객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물의 부의금 봉투가 보관되는 실물보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의금처리단계(S530)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제3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상주가 제공하는 물품이 주문되는 물품주문단계(S550); 및
주문된 물품이 제공됨에 따라, 물품 수령이 확인되는 물품수령확인단계(S5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 키오스크는 상기 조문객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부가 동작하도록 하여 키오스크 전방에 있는 사용자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며,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에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선택되는 내용도 함께 촬영되어 상주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조문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in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ding system of claim 1,
An entry detection step (S510) of providing a drive-through mourning service through a plurality of drive-through bin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egions, and detecting that a mourner boarding a vehicle enters the drive-through bins at each drive-through bin;
a mourning visitor recording step (S520) of receiving a selection of a mortuary to mourn through the first kiosk, and obtaining guestbook data of the mourners;
an installment payment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installment payment through the second kiosk (S530);
a call providing step (S540) of providing a call service (voice call/video call) between the mourner and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an un-parking detecting step (S570) of detecting that the mourner riding in the vehicle leaves the drive-through bin;
Step (S580) of recording the entire process of condolences of each mourner visiting the mortuary as the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provision is terminated (S580); and
A step in which the service fee is charged to the resident (S590)
including,
The entry detection step (S510) is,
Characterized in acquir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through a camera,
From the entry detection step until the exit detection step is performed, the obtained vehicle number is used as a unique number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and consistency of the mourners at the mortu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rners are verif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mage of the actual mortuary in real time through the third kiosk or communication terminal,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mourners operating each of the kiosk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not shown) of each kiosk,
The non-payment processing step (S530) is,
an account transfer step in which an account transfer is processed from the mourner's passbook to the registered account of the resident;
a credit card payment step in which the deposit is paid to the mourner's credit card; and
A physical storage step in which the actual gift envelope received from the mourner is stored in a storage box that is equipped with an inlet but includes a locking device and can onl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sident of the mortua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fter the installment payment processing step (S530) is performed, the goods ordering step (S550) of ordering the goods provided by the resident through the third kiosk; and
As the ordered goods are provided, the goods receipt confirmation step (S560) in which receipt of the goods is confi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In each kiosk, the photographing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by the mourner to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image of the user in front of the kiosk is photographed. A method of providing a drive-through condolenc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the resid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80462A 2020-06-30 2020-06-30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KR102394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62A KR102394345B1 (en) 2020-06-30 2020-06-30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62A KR102394345B1 (en) 2020-06-30 2020-06-30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341A KR20220014341A (en) 2022-02-07
KR102394345B1 true KR102394345B1 (en) 2022-05-04

Family

ID=8025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62A KR102394345B1 (en) 2020-06-30 2020-06-30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345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63B1 (en) 2007-12-20 2008-07-24 연세대학교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uneral parlor
KR101559970B1 (en) 2014-08-13 2015-10-13 사단법인 장애인생산품판매지원협회 Digital system for funeral ceremony
KR101633899B1 (en) 2015-08-26 2016-06-27 주식회사 코페스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providing congratulatory and condolence money transferring ser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180019827A (en) * 2016-08-17 2018-02-27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Order device for drive-through based store using recognition of license plate number
KR20190001858A (en) * 2017-06-28 2019-01-07 이일승 Kiosk system having matters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for managing matters for congratulatory and condole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341A (en)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3737B1 (en) Authentication systems, operations, processing, and interactions
US20130212017A1 (en)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a transaction
KR101775880B1 (en) Virtual planogr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641109B2 (en) Money transfer cards, systems and methods
US20160379287A1 (en) Vending machine with user id/age verif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10373148B1 (en) Proactive bank transaction staging methods and systems
US20210117880A1 (en) Consumers management system
US8566203B1 (en) User identification using mobile device
US9501765B2 (en) Preparing preliminary transaction work for a mobile banking customer
US20070075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endant assisted gift card printing
US20110251909A1 (en) Credit card payment system for handling numerous payors
US20110231285A1 (en) Retail mobile point-of-sale (pos) software application
EP2798618B1 (en) System for remotely providing services through video communication
US20110213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Correctional Facilities
US20150088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payments
JP7361262B2 (en) Settlement payment device and unmanned store system
JP2004326208A (en) Customer managing system, program for realiz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180349912A1 (en) Authenticating and authorizing retail transactions using face and location data
US11715084B1 (en) Proactive bank transaction staging methods and systems
US20240169404A1 (en) Ambient transaction system
JPWO20200271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US2003006115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an acquisition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requested financial account
TWM570489U (en) Smart store shopping system
KR102394345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dolence service of drive through and method thereof
US20210027290A1 (en) Payment transaction initiation from a sender to a recipient using recipient's biometric parameters as the sole ident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